KR830001773B1 - Telecommunication switching device - Google Patents

Telecommunication switch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773B1
KR830001773B1 KR1019780002828A KR780002828A KR830001773B1 KR 830001773 B1 KR830001773 B1 KR 830001773B1 KR 1019780002828 A KR1019780002828 A KR 1019780002828A KR 780002828 A KR780002828 A KR 780002828A KR 830001773 B1 KR830001773 B1 KR 830001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ircuit
network
data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800028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30000486A (en
Inventor
제이. 페핑 버나드
지. 피트로다 사탄
민. 병씨
Original Assignee
웨스콤 인코오포레이티드
제이. 씨. 킬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콤 인코오포레이티드, 제이. 씨. 킬포 filed Critical 웨스콤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19780002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773B1/en
Publication of KR830000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4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773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원거리 통신 스위칭 장치Telecommunication switching device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망의 예시적인 주변장치의 원거리 통시 스위칭 시스템을 도시한 계통도.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of an exemplary peripheral device of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회로망이 전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계통도.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network.

제3도는 스위칭 시스템의 회로망, 이것의 제어부 및 이에 관련된 부분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계통도.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twork of a switching system, its control unit and related parts.

제4a도-제4c도는 직렬-대-병렬-대-직렬 변환기의 논리계통도.4A-4C are logic diagrams of a series-to-parallel-to-serial converter.

제5도는 고레벨 인터페이스(interface)회로의 계통도.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제6a도-제6b도인 CPVA터페이스회로의 논리계통도.6A to 6B are logic system diagrams of a CPVA interface circuit.

제7a도-제7e도는 CPVB인터페이스회로의 논리계통도.7a to 7e are logic diagrams of a CPVB interface circuit.

본 발명은 원거리 통신스위칭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포오트(port)들 사이의 접속이 완전히 이러한 장치의 회로망 부분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devices, and in particular to a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ports, to a network part of such a device.

전화스위칭 회로망의 궁극적인 목적은 2개 이상의 단자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실제로 금속 회로들 완전하게 하는 교차바(bar)스위칭, 리이드(reed)스위치 등은 공지되어 있고, 손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고장탐구에 그다지 어려운 점이 없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The ultimate purpose of the telephone switching network is to connect two or more terminals. In practice, cross-bar switching, lead switches, etc., which make metal circuits complete, are well known, easily understood, and have nothing in common for troubleshooting.

본 발명은 "전 시간(all time)"스위치, 즉 정보의 샘플을 적당한 시간에 수신하고, 저장하며 지연시킨다음 송신하여, 샘플들이 시간슬롯트에 배당된 단자들 사이로 효과적인 통신을 하기위해 한시간 슬롯트로부터 다른 시간 슬롯트로 스위치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회로망은 금속 접속자를 사용하지 않고, 샘플들이 연속적으로 수신될때 이 샘플들을 저장하고, 시간 슬롯트에 배당된 단자들 사이로 통신하기 위해 시간슬롯트들 사이의 샘플을 교환하도록 부수적인 반도체 메모리(접속 메모리라고 공지됨)의 제어상태하여 저장된 정보를 해독하기 위해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한다. 이 형태의 장치에서, 입력에 있는 억세스(access)포오트들의 모든 어레이로부터의 샘플들은 스위칭 하기위해 회로망내의 매우작은수의 버스(bus)로 채널 다운(channeled down)되고, 그다늠 포오트로 분배하기위해 스위칭한후에 디멀리플렉스된다. 회로망내의 정보 밀도때문에, 이 회로망 내부가 고장나면 모든 스위칭 교환기의 모든부분 또는 대부분이 작동하지 못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 all time " switch, i.e. a one-time slot, for receiving, storing and delaying a sample of information at an appropriate time, and then transmitting it, for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ssigned to the time slot To a switch that switches from one node to another time slot. This circuitry does not use a metal connector, but is a secondary semiconductor memory (connection) to store samples when they are received continuously and to exchange samples between timeslots for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ssigned to time slots. Semiconductor memory is used to decode the stored information under controlled control. In this type of device, samples from all the arrays of access ports at the input are channeled down to a very small number of buses in the network for switching, and distributed to that port. To be demultiplexed after switching. Because of the density of information in the network, a failure in this network will render all or most of all switching exchanges inoperable.

이 형태로 스위칭 장치가 작동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대부분의 전화교환국형 스위칭교환기는 1치장치가 고장날 경우에 즉시 회선상에 복귀되도록 여분의 회로망을 갖추고 있다. 이들 장치내에서, 모든 회로망은 2중으로 되어있고, 만약 회로망이 블록형태로 된 경우, 각각의 블록은 1차블럭을 복귀시키도록 2중으로 된다. 이 형태의 장치에서, 각각의 여분 블럭은 주요블럭과 동일하게된다. 예를들어, 여분블럭은 1차블럭과 병렬로 동작될 수 있으므로 접속부가 양쪽에 모두 기입된다. 다른 방법은 차블럭이 작동하지 못하게 될 경우에 이것의 메모리 내용이 동작에 의해 여분 블럭으로 이동되도록 1차 및 2차 블럭 사이에 DMA채널을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switching devices failing in this form, most switchboard switching devices are equipped with redundant circuitry to immediately return on the line if the primary device fails. Within these devices, all networks are doubled, and if the network is in block form, each block is doubled to return the primary block. In this type of device, each spare block is equal to the main block. For example, the spare block can be operated in parallel with the primary block so that the connections are written on both sides. Another method is to provide a DMA channel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 blocks so that when the secondary block becomes inoperable, its memory contents are moved to extra blocks by operation.

완전한 이중 회로망은 상당한 하드웨어를 포함하므로 제조가격이 상당히 비싸기 때문에, 대부분의 소형스위칭장치에서는, 후원회로망장치를 갖출수가 없다.Since a complete dual network involves considerable hardware and is quite expensive to manufacture, in most small switching devices, it is not possible to have a backing network device.

상술한 관점에 비추어볼때, 본 발명의 주목적은 안정도가 증가되고 회로망을 완전히 이중으로 할 필요가 없는 스위칭 회로망을 경제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1차블럭과 단한개의 여분 회로망 블럭을 갖고 있고 여분블럭의 동일성이 1차블럭의 동일성을 취하도록 프로그램되는 회로망을 제공하는 것이다.In view of the foregoing, it is a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conomically provide a switching network in which stability is increased and there is no need to fully double the network. More 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twork having a plurality of primary blocks and only one redundant circuit block and the sameness of the redundant blocks is programmed to take the identity of the primary block.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분블럭이 전체적인 장치 안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멀리플렉싱/디멀리플릭싱 구조내의 한지점에서 대체되도록 1차 및 여분 블럭을 정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개의 단에서 멀티플렉싱을 완전하고 회로망내에 제 또는 더 높은 등급의 단을 포함하여 여분블럭이 후원하도록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 구조를 정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fine primary and redundant blocks so that they are replaced at a point in the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structure where the spare block has the greatest impact on overall device stability. More specificall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fine a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structure so that redundant blocks are sponsored, including multiplexing in two stages and including zero or higher graded stages in the network.

이제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하겠다.Hereinafter,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을 참조하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망의 예시적인 주변장치를 제공하는 전화기 스위칭 장치의 계통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는 전화기(30, 31)로 표시한 다수의 선과, (32)로 표시한 다수의 중계선에 접속되기에 적합하게 되어있다. 억세스포오트는 이러한 입력장치에 유용한 스위칭 장치입력을 나타낸다. 회로는 스위칭장치에 억세스 포오트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제공되는데, 이러한 회로는 선회로(33, 34), 아날로그 중계선 회로(35) 및 디지탈중계선 회로(36)으로 표시된다. 스위칭 장치가 4개의 와이어 변화로 되어있기 때문에, 2개의 와이어 중계선에 접속된 선 회로(33,34)와 아날로그 중계선은 스위칭 장치에 의해 사용하기 위해 2개의 와이어 선 신호를 4개의 와이어 선 신호로 변환시키는 하이브릿드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FIG. 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telephone switching device providing an exemplary peripheral device of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apparatus is adapted to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ines indicated by telephones 30 and 31 and a plurality of relay lines indicated by 32. The access point represents a switching device input useful for such an input device. Circuitry is provided for interfacing the access ports to the switching device, which is represented by the line circuits 33 and 34, the analog trunk line circuit 35 and the digital trunk line circuit 36. Since the switching device consists of four wire changes, the line circuits 33,34 and analog relay lines connected to the two wire trunk lines convert the two wire line signals into four wire line signals for use by the switching device. Include hybrids.

억세스 포오트에 접속된 선과 중계선 장치이외에도, 스위칭 장치는 소자(38)로 표시된 특정한 형태를 제공하도록 부수적인 장치를 써비스할 수 있다. 예를들어, 스위칭 장치는 페이징(paging), 코오드호출, 다중-포오트 부분등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요한 부수적인 장치, 예를들어, 페이징 형태로 사용하기 위한 오디오 장치는(39)로 표시되어 있다.In addition to the line and trunk line devices connected to the access ports, the switching devices may serve additional devices to provide the particular form indicated by the element 38. For example, the switching device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paging, code calling, multi-pot portions, and the like. The required additional device, for example an audio device for use in paging form, is indicated by 39.

도시한 실시예에서, 억세스 포오트에 접속된것은 다이얼번호를 수신 및 해석하는 다이얼 수신기 및 레지스터(40)과, 스위칭 장치에 의해 진행톤을 발생시키는 디지탈 톤 발생기(41)이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connected to the access port are a dial receiver and register 40 for receiving and interpreting a dial number, and a digital tone generator 41 for generating advancing tones by a switching device.

이미 암시한 바와같이, 스위칭 장치는 4개의 와이어 디지탈시간 스위치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날로그 억세스 포오트에 나타난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탈 형태로 변환시켜야 한다. 이 목적은 위해서, 다수의 코오드 변환기(45)가 제공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코오드는 8비트 포오맷(format), 1. 544메가비트 송신비 및 압축비 μ=235를 사용하는 표준 D2/D 3PCM 코오드이다. 그러므로 코오드 변환기 블럭(45)는 종래의 T1 PCM코오드 변환기가 아니라 각각 24채널을 처리할 수 있는 다수의 변환기를 사용하도록 개량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워드, 신호송신용 3번째 비트 및 패리티(parity)용 10번째 비트내에 2개의 부수적인 비트를 제공함으로써 스위칭장치를 수정하는 것이 양호하다. 도시한 스위칭 장치의 한 실시예는 최대 3,088개의 채널을 수용할수 있으나, 3072개가 작동하고 16개는 구조가 손실된다. 제1도는 저레벨 멀티플렉서(48)에 디지탈정보의 24채널을 각각 이송하는 128개의 버스로 구성된 버스구조물(46)을 나타내는 이러한 스위칭장치를 도시한 것이다.As already implied, the switching device is formed as a four wire digital time switch, so that the analog information shown in the analog access port must be converted into digital form. For this purpose, a number of code transducers 45 are provided.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de used is a standard D2 / D 3PCM code using an 8-bit format, 1.544 megabits transmission rate and compression ratio μ = 235. Therefore, the code converter block 45 can be improved to use a plurality of converters capable of processing 24 channels each,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T1 PCM code converter. It is also desirable to modify the switching device by providing two additional bits within each word, the third bit for signal transmission and the tenth bit for parity. One embodiment of the illustrated switching device can accommodate up to 3,088 channels, but 3072 work and 16 lose structures. FIG. 1 shows such a switching device showing a bus structure 46 consisting of 128 buses each carrying 24 channels of digital information to a low level multiplexer 48.

저레벨멀티플렉서는 회로망을 향해 다수의 분리된 억세스포오트내에서 발생된 정보를 계속 수집한다. 이것은 4그룹의 24채널버스(46)을 96채널 직렬 버스구조물(47)내에 결합시킨다. 도시한 크기의 스위칭 장치에서는, 96개의 채널버스중에 32개의 버스가 제공되는데, 이 버스들은 다수의 억세스포오트를 사이의 접속이 취해지는 회로망(50)으로 보내진다.The low level multiplexer continues to collect information generated within a number of separate access points towards the network. This combines four groups of 24 channel buses 46 into a 96 channel serial bus structure 47. In the switching device of the size shown, 32 of the 96 channel buses are provided, which are sent to the network 50 where a number of access ports are taken between.

스위칭 장치를 실제로 실시할때, 입력회로, 코오드 변환기 및 저레벨 멀티플렉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분리블럭으로 분해되지 않고, 96개의 채널버스를 만들때 카아드들사이의 배선을 최소화시키도록 기능선을 따라 서로 혼합된다. 예를들어, 선 회로를 써비스하는 장치 프레임내에는, 다수의 화일(file)들이 제공되는데, 각각의 화일은 4개의 코오드 변환기와, 이 프레임내의 각각의 화일이 96개의 채널버스들중의 한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개의 저레벨 멀티플렉서를 따라 4개의 코오드변환기를 지지하는데 필요한 선 회로를 포함한다. 버스들은 각각의 화일로부터 회로망 회로를 덮는 장치프레임으로 순환되는 케이블 형태로 되어 있다. 중계선 회로에서와 같은, 어떤 경우에는, 96개의 정보채널을 만들기위해 2개의 화일을 가져야하나, 이러한 경우에라도, 장치는 회로망에 입력으로서 작용하는 한개의 버스를 써비스하는 각각의 세그먼트를 향해 시각적으로 분단된다. 이 방법으로 형성된 장치에 의하면, 단일 선 또는 중계선회로의 고장은 이 선 또는 중계선에만 영향을 주고, 코오드 변환기의 고장은 24채널에만 영향을 주며, 저레벨 멀티플렉서의 고장은 전체 스위칭 장치의 3%정도인 특정한 96채널에 영향을 준다. 결과적으로, 이 소자들의 고장은 중요하긴 하지만, 전체스위칭장치의 동작에 대해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다. 그러나, 정보가 회로망을 향해 계속 모이게되면, 96채널직렬레벨이상의 소자의 고장은 전반적인 스위칭장치의 동작에 상당한 충격을 준다. 따라서, 다음에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같이 96채널 이상의 장치용으로 후원장치가 제공된다.When the switching device is actually implemented, the input circuit, the code converter and the low level multiplexer are not disassembled into separate blocks as shown in Fig. 1, and function to minimize the wiring between the cards when making 96 channel buses. Blend with each other along the line. For example, in a device frame serving a line circuit, a number of files are provided, each file having four code converters and each file in the frame having one of the 96 channel buses. It contains the line circuits needed to support four code converters along one low-level multiplexer to support them. The buses are in the form of cables that circulate from each file to the device frame covering the network circuitry. In some cases, such as in a trunk line circuit, you must have two files to make 96 information channels, but even in this case, the device visually divides towards each segment serving one bus that acts as input to the network. do. According to the device formed by this method, the failure of a single line or repeater circuit affects only this line or repeater line, the failure of the code converter affects only 24 channels, and the failure of the low level multiplexer is about 3% of the total switching device. Affects specific 96 channels. As a result, the failure of these devices is important, but not so important for the operation of the entire switching device. However, as information continues to gather towards the network, failure of devices above the 96-channel serial level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peration of the overall switching device. Therefore, a sponsoring device is provided for devices of 96 channels or more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우선,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 컴플렉스란 명칭으로 피트로다 등이 출원한 미합중국 특허원 제734,732호(방치됨)에 상세하게 기술된 분할식 멀티프로세서 제어컴플렉스(51)로된, 스위칭 장치 공통제어기에 대해서 기술하겠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분할식 프로세서 제어기(51)은 이미 기술한 소자들이 스위칭 교한 작용을 실시하게 하기 위해 이 소자들에 접속되는 회로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 컴플렉스는 장치내의 각각의 억세스 포오트의 현제상태를 계속 추적하고, 써비스 요구를 검출하며, 각각의 억세스 포스트의 다음 상태를 결정하고, 회로망내의 기입 접속에의한 것과 같이,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변화를 취한다.Before describing this, firs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ivided multiprocessor control complex 51 described in detail in US Patent Application No. 734,732 (not left) filed by Pirotda et al. Under the name of a microprocessor control complex.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the split processor controller 51 has a circuit connected to these elements so that the above-described elements can perform switching interactions. In general, the control complex keeps track of the current state of each access point in the device, detects service requests, determines the next state of each access post, and one state, such as by a write connection in the network. To change from one state to another.

완전하게 하기 위해서, 제 1도에는 장치 접속을 감시하고 새로운 접속을 설정하는 등의 일을 하기 위해 분할식 프로세서 제어기에 결합된 부수적인 콘솔(Console, 52)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 상태 및 유지판넨(53)은 수선작업을 돕고 특정한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능력뿐만 아니라 장치를 수동으로 재구성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데이타 단자(54)는 프로세서 컴플렉서(51)속에 정보를 넣기위한 포오트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의 정보출력을 제공한다. 원격 단자 인터페이스(55)는 원격단에 있는 국에 이와 유사한 능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유연성 디스크(56)은 장치용의 모든 프로그램을 적재하고 선로상에 다시 장치를 배치시키기위해 프로그램을 제부하시키도록 소프트웨어가 본연의 정신을 상실하는 경우에 작동될 수 있다.For the sake of completeness, FIG. 1 shows an additional console 52 coupled to a split processor controller for monitoring device connections, establishing new connections, and the like. The device status and retaining pann 53 provide the ability to assist in repair work and indicate the status of a particular device, as well as the ability to manually reconfigure the device. The data terminal 54 provides information output therefrom as well as a port for inserting information into the processor complex 51. Remote terminal interface 55 provides similar capabilities to stations at remote ends. Finally, the flexible disk 56 can be operated when the software loses its inherent nature to load all the programs for the device and load the program to reposition the device on the track.

제2도를 참조하면, 4개의 1차블럭(60-63), 및 여분 블럭(64)로 구성된 회로망(50)의 일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회로망 입력뿐만 아니라, 이것의 출력들은 선, 중계선 및 써비스회로로 또는 이회로로부터 정보를 이송하는 96채널 버스 구조물(47)로 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직렬-대-병렬-대-직렬 변환기 장치(66)은 버스 구조물(47)을 써비스하기 위한 회로망 입력및 출력으로서 작용한다. 변환기들은 스위칭 소자들을 향기 디지탈 정보를 모으는 고레벨 멀티플렉서(67)과 이러한 "전시간" 스위치내의 접속 메모리의 제어상태하에 동작하는 정보 메모리(68)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2, the general structure of a network 50 consisting of four primary blocks 60-63 and redundant blocks 64 is shown. In this case, as well as the network inputs, its outputs may be 96-channel bus structures 47 that carry information to or from lines, repeaters and service circuit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ries-to-parallel-to-serial converter device 66 acts as a network input and output for servicing the bus structure 47. The transducers provide switching elements with a high level multiplexer 67 for gathering fragrance digital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memory 68 opera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nected memory in such " full time " switch.

도시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회로망 블럭은 768개의 정보채널은 처리할 수 있다. 이 능력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해, 각각의 블럭의 직립-대-별렬-대-직렬 변환기는 각각 96개의 채널 버스중의 2개를 처리할 수 있는 4개의 카아드로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블럭은 96개의 채널버스중의 8개를 처리하여, 768개의 채널로 부터의 버스 이송 정보를 정보메모리에 입력으로 제공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network block can process 768 information channels. To efficiently provide this capability, the upright-to-sort-to-serial converter of each block is formed of four cards each capable of handling two of the 96 channel buses. Thus, each block processes eight of the 96 channel buses and provides bus transfer information from the 768 channels as inputs to the information memory.

블럭 0의 변환기 카이드(66a)를 참조하면, 이 카아드는 저레벨 단부에서 4개의 단 0-3으로 나누어지고, 0블럭은 이에 접속된 96개의 채널 버스 B1, B2를 갖고 있으며, 고레벨 멀티플렉서(67)에 2개의 출력버스(70)을 제공하는 고레벨 단부에 공통단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블럭 0내의 각각의 나머지 카아드들은 96개의 채널 버스B3-B8을 써비스하도록 동일한 방법으로 접속된다. 블럭 1에서는, 변환기 카아드의 1단의 사용되고, 블럭 2에서는 2단이 사용되며, 블럭 3에서는 3단이 사용된다. 여분 회로망 블럭 변환기 카아드들은 인입버스, 예를들면, 카아드(66b)제공버스 B1, B2, B9, B10, B17, B18, B25, 및 B26에 접속된 4개의 단을 갖고 있다. 이 방법으로 변환기 카아드를 형성하면 단일 카아드 형태가 카아드 화일(file)내의 적당한 위치에 삽입되는 경우 1차 블럭으로 작용하거나, 여분 블럭화일내에 삽입되는 경우 여분블럭 변환기로서 작용할 수 있게된다.Referring to the converter card 66a of block 0, this card is divided into four stages 0-3 at the low level end, and the block 0 has 96 channel buses B1 and B2 connected thereto, and the high level multiplexer 67 It can be seen that it has a common end at the high level end that provides two output bus 70 in the). Each remaining card in block 0 is connected in the same way to service 96 channel buses B3-B8. In block 1, one stage of the converter card is used, two stages are used in block 2, and three stages are used in block 3. The redundant network block converter cards have four stages connected to an incoming bus, for example, a card 66b providing buses B1, B2, B9, B10, B17, B18, B25, and B26. Forming a converter card in this way allows a single card form to act as a primary block when insert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in the card file, or as a spare block converter when inserted into an extra block file.

직렬-대-병렬-대-직렬 변환기는 관련된 버스들로부터의 직렬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것을 병렬로 변환시키며, 변환기가 주사하는 중의 적당한 시간에 고레벨 멀티플렉서(67)에 의해 수신하기 위해(70)과 같은 출력버스상에 이 변환된 데이타를 유지시킨다. 반대방향으로 동작하면, 변환기(66)은 디멀티플레스된 병렬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것을 직렬로 변환시키며, 저레벨 멀티플렉서를 통해 억세스 포오트로 정보를 분해하기 위해 구환 버스 B1-B32를 구동시킨다. 각각의 버스 B1-B32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단일 쌍방향 버스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한상의 단일방향 버스로서 실시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고레벨 멀티플렉서(67)은 768개의 채널 버스(72)상의 정보 메모리에 병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변환기로 부터 병렬 정보를 받아들인다. 이러한 정보는 바쳐진 시간 슬롯트내의 정보 메모리속에 기입된다. 접속 메모리의 제어상태하에, 정보 메모리는 고레벨 멀티플렉스(67)에 768개의 귀환 채널 버스상의 이러한 정보를 삽입시키기 위해 해독되는데, 이 경우에 이것은 디멀티플렉스되어, 변환기 카아드(66)으로 이송되며, 저레벨, 멀티플렉서, 필요한 선, 중계선, 또는 레지스터 회로로 분배하기 위한 코오드 변환기의 D/A단을 통해 다시 이송되기 위해 직렬화 된다.A serial-to-parallel-to-serial converter accepts serial information from related buses, converts it in parallel, and receives it by the high level multiplexer 67 at a suitable time during the converter's scanning (70). Keep this converted data on the output bus. Oper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converter 66 accepts demultiplexed parallel information, converts it in series, and drives feedback buses B1-B32 to decompose the information into access ports via a low level multiplexer. Each bus B1-B32 is shown as a single bidirectional bus for simplicity, but is actually implemented as a one-way bus of one phase. As described above, the high level multiplexer 67 periodically receives parallel information from the converter to provide parallel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memory on the 768 channel buses 72. This information is written into the information memory in the dedicated time slo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act memory, the information memory is decrypted to insert this information on the 768 feedback channel buses into the high level multiplex 67, in which case it is demultiplexed and transferred to the converter card 66. It is serialized for transport back through the D / A stage of the code converter for distribution to low-level, multiplexers, required wires, repeaters, or resistor circuits.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소자들과 이것의 제어기 사이의 관계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계통도이다. 제3도는 단일의 직렬-대-병렬-대-직렬 변환기(66)과 이것을 써비스하는 2개의 저레벨 멀티 플렉서(48)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단일의 직렬-대-병렬-대-직렬변환기(66)에만 접속된 것으로 도시된 고레벨 멀티플렉서(67)은 이 블럭내의 부수적인 3개의 변환기 카아드에 접속된 회로 접속부(도시하지 않음)도 갖고 있다. 제3도에는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정보 메모리(68)내에 기억시키기 위해 이 정보 메모리(68)을 향해 신호들을 공급하는 고레벨 멀티플렉서(67)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비교기 및 비교기 인트페이스 회로(74)에서 디멀티플렉싱이 이루어진다. 이 소자는 회로망이 3개의 공동부분으로 형성될때 이용되고, 정보 메모리내의 2개의 메모리 소자로 부터 샘플을 받아들이며, 각각의 시간 슬롯트 동안 정보를 비교하고, 2개의 샘플 중에서 큰 샘플을 이송시킨다. 직렬-대-병렬-대-직렬 변환기(66)의 스트로브 펄스들은 이내의 병렬 레지스터들이 적당한 시간 슬롯트내의 비교 결과를 수신하게 한다. 효과적으로, 비교기 및 비교기 인터페이스 회로(74)은 소자(67)에서 실시된 멀티플렉싱을 보충하는 디멀티플렉싱을 완성한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in more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shown in FIG. 2 and the controller thereof. 3 shows only a single series-to-parallel-to-serial converter 66 and two low level multiplexers 48 that serve it. However, the high level multiplexer 67, shown as connected only to a single series-to-parallel-to-serial converter 66, also has circuit connections (not shown) connected to the three additional transducer cards in this block. Have 3 shows a high level multiplexer 67 which supplies signals towards the information memory 68 for storage in the information memory 68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however, demultiplexing takes place in the comparator and comparator interface circuit 74. This device is used when the network is formed of three cavities, accepts samples from two memory elements in the information memory, compares the information during each time slot, and transfers the larger sample of the two samples. The strobe pulses of the serial-to-parallel-to-serial converter 66 cause the within parallel registers to receive the comparison result within an appropriate time slot. Effectively, the comparator and comparator interface circuit 74 completes demultiplexing to compensate for the multiplexing implemented in device 67.

제3도에는 선택된 회로망 블럭으로 분배하기위해 제어 컴플렉스(51, 제1도)로 부터 데이타를 수신하는 한쌍의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75,75')를 포함하는 회로망 블럭의 제어 부분도 도시되어 있다. 제어컴플렉스 뿐만아니라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에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원 제734,732호(방치됨)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이 명세서에서 제시한 분할식 제어 컴플렉스 배열에서, 상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회로망의 제어 소자이다. 여기에서 제시한 바와같이, 한번에 단 한개의 고레벨 인터페이스회로가 활성화되고, 제2유니트는 완전한 여분 용으로 제공되므로, 작동중인 인터페이스 회로가 고장하면, 이것의 파트너가 자동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이터페이스 회로의 2개의 입력및 출력 모선 구조물은 병렬로 접속된다. 상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75 또는 75')를 통해 CPVA인터페이스회로(76)과 CPVB인터페이스 회로(77)과 동일한 회로망 인터페이스 카아드와 통신한다. CPVA인터페이스 회로(76)은 보수및 호출처리를 하기 위해 사용되고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75,75')를 통과한 어드레스를 부분적으로 해독한다. CPVB인터페이스 회로(77)은 회로망 메모리내에 접속부를 기입하기 위해 제어컴플렉스로 부터 데이타 워드를 수신한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데이타는 기입될 특정한 위치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것이 수신되고, 다른 데이타는 이 어드레스된 위치에서 기입될 실제 데이타로서 수신된다. 따라서, CPVB인터페이스 회로(77)은 접속메모리(79)에 어드레스와 데이타를 접속시키기 위한 회로 접속부를 갖고 있다. 결과적으로, 접속은 접속된 채널들에 관련된 시간 슬롯트들 사이에 정보 메모리(68)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교환시키는 접속메모리 속에 기입될 수 있다.3 also shows the control portion of the network block including a pair of high level interface circuits 75, 75 'that receive data from the control complex 51 (FIG. 1) for distribution to the selected network block. High level interface circuits as well as control complexes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aforementioned U.S. Patent Application No. 734,732 (left). In the split control complex arrangement presented here, the state microprocessor is the control element of the network. As shown here, only one high-level interface circuit is active at a time, and the second unit is provided for complete redundancy, so that if the operating interface circuit fails, its partner will automatically operate. For this purpose, the two input and output bus structures of the interface circuit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 state microprocessor communicates with the same network interface card as the CPVA interface circuit 76 and the CPVB interface circuit 77 via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75 or 75 '. The CPVA interface circuit 76 is used for maintenance and call processing and partially decrypts the address passed through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s 75 and 75 '. CPVB interface circuit 77 receives data words from the control complex to write connections in the network memory. More specifically, data is received indicating the address of a specific position to be written, and other data is received as actual data to be written at this addressed position. Accordingly, the CPVB interface circuit 77 has a circuit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an address and data to the connection memory 79. As a result, the connection can be written into a connection memory that exchanges information received by the information memory 68 between time slots associated with the connected channels.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들은 제어 컴플렉스의 일부분이고, 효과적으로, 회로망과 제어 컴플렉스를 인터페이스 하는 버스 구조들의 부분을 제공한다. 이러한 것과 같이,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75, 75')중의 활성 인터페이스 회로는 모든 회로망 블럭들을 써비스한다. 대조적인 방법에 의해서, CPV인 터페이스 회로(76, 77)은 회로망 블럭의 일부로 된다.High level interface circuits are part of the control complex and effectively provide part of the bus structures that interface the network and the control complex. As such, the active interface circuit among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s 75, 75 'serves all network blocks. By way of contrast, interface circuits 76 and 77, which are CPVs, become part of the network block.

따라서 최대 크기의 장치에는 5쌍이 제공되고, 각각의 1차 블럭에는 한쌍이 제공되며, 여분 블럭에는 한쌍이 제공된다. 고레벨 인터페이스회로(75, 75')는 5개의 셋트 모두에 접속된다. 그러나, 다음에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쌍은 단 한개의 회로망 블럭만이 제어 컴플렉스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게 하도록 해독되는 특유의 어드레스를 갖고 있으므로, 제어 컴플렉스는 각각의 블럭을 선택적으로 어드레스 할 수 있다.Thus, five pairs are provided for the full size device, one pair for each primary block, and one pair for the spare block.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s 75 and 75 'are connected to all five sets. However,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each pair has a unique address that is decrypted such that only one network block responds to commands from the control complex, so that the control complex selectively addresses each block. can do.

본 발명을 실시할때, 여분 회로망 블럭은, 작동 가능한 경우에, 1개의 1차 어드레스에 응답하므로, 최소한 호출처리 모우드에서, 제어 컴플렉스는 1차 블럭만을 어드레스해야 한다. 따라서, 여분 블럭이 온라인(online)상태로 놓이면, 여분블럭은 블럭을 대체시키는 것을 알고있는 호출 처리 프로그램이 없이, 이 블럭이 대체되는 위치에 응답한다. 이 결과로, 호출 처리 소프트웨어는 변화시킬 필요가 없고 1차 블럭위치에 여분 블럭을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하도록 분리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간단하게 된다. 여분 블럭이 작동되고, 고장난 1차 블럭작 동하지 못하게 되면, 작동하지 못하게된 1차 블럭에 유도된 기능들을 여분 수행하더라도, 1차블럭이 온라인으로된 것처럼 호출 처리를 계속하게 된다.In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redundant network block, when enabled, responds to one primary address, so at least in the call processing mode, the control complex should only address the primary block. Thus, when a spare block is placed online, the spare block responds to where the block is replaced, without a call handler program that knows to replace the block. As a result, the call processing software is simple because it does not need to be changed and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program to cover the use of extra blocks at the primary block location. If a spare block is activated and it fails to operate, the primary block will continue to process the call as if the primary block were online, even if it performs extra functions derived from the disabled primary block.

이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로망 블럭의 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망 소자의 특정회로에 대해서 기술하겠다.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각각의 회로 카아드 또는 카아드 또는 카아드는 보편적인 것으로 각각 1차블럭이나 여분 블럭으로서 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각각의 유너버샬 카아드는 특정한 장치 형태에 특정하고도 특유한 기능을 배당한다.In view of these advantages, a specific circuit of the network element, which shows one embodiment of the network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below, each circuit card or card or card is universal and can act as a primary block or a spare block, respectively, and optionally, each universal card is specific to a particular device type. Allocate unique features.

제4a도-제4c도를 참조하면, 저레벨 및 고레벨, 멀티플렉서(제3도참조)사이에 삽입된 변환기 장치(66)이 도시되어 있다. 변환기는 저레벨 멀티플렉스로 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직렬-대-병렬변환시키어, 고레벨 멀티플렉서가 수신하도록 출력선상에 준비시킨다. 반대 방향에서 변환기는 병렬-대-직렬 변환을 수행하여, 비교기로 부터 병렬 데이타를 받아들이고, 저레벨 멀티플렉서가 수신하도록 이 데이타를 직렬로 만든다. 직렬비트 대열내의 각각의 데이타 워드는 8비트를 포함하고 8개의 변환기는 단일의 고레벨 멀티플렉서를 제공하기 때문에, 저레벨 및 고레벨 멀티플렉서의 비트 비는, 고레벨 멀티플렉서가 8배의 데이타량을 처리하지만,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저레벨 및 고레벨 멀티플렉서의 비트비는 약 6,176mHz로 되어, 각각의 데이타 비트에 대해 약 162nsec로 되게하고 각각의 8비트 워드 에대해 약 1300nsec로 되게한다.4A-4C, there is shown a transducer device 66 inserted between a low level and a high level multiplexer (see FIG. 3). The converter serial-to-parallel converts the data received from the low level multiplex and prepares it on the output line for the high level multiplexer to recei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converter performs parallel-to-serial conversion, accepting parallel data from the comparator and serializing it for the low-level multiplexer to receive. Since each data word in the serial bit sequence contains 8 bits and the eight converters provide a single high level multiplexer, the bit ratio of the low level and high level multiplexers is equally high, although the high level multiplexer handles 8 times the amount of data. maintain. Thus, the bit rate of the low and high level multiplexers is about 6,176 mHz, resulting in about 162 nsec for each data bit and about 1300 nsec for each 8-bit word.

제4a도는 변환기 직렬-대-병렬 부분을 도시한 것으로, 제2도에 블럭 C-3으로 분할된 저단부 회로의 부분들인 4개의 3중 상태 구동기(100-103)셋트를 포함한다. 입력 버스, 즉 선, 중계선 및 써비스회로 프레임으로 부터 나오는 케이블은 구동기 입력, 특히 관심있는 특정한 회로망 블럭에 연결된 4개의 그룹중의 한 그룹에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은 프레임의 뒷면에 있는 접속기에 형성되므로, 기판이 접속기내에 삽입될때, 적당한 구동기는 신호를 수신한다. 그러므로, 96개의 직렬 채널을 이송하는 케이블들은, 블럭 0에서, 신호들이 구동기(100)에 제공되고, 블럭 1에서는 구동기(101)에 제공되며, 블럭 2에서는 구동기(102)에 제공되고, 블럭 3에서는 구동기(103)에 제공되도록, 접속기들에 결선된다. 제2도의 설명에 관련해서 기술한 바와같이, 여분 회로망 블럭카아드들의 접속기들은 구동기(100-103)모두가 이에 제공된 입력 신호들을 갖도록 결선된다.FIG. 4A shows the converter series-to-parallel portion, which includes a set of four triple state drivers 100-103 that are portions of the low-end circuit divided into block C-3 in FIG. Input busses, i.e. cables from lines, repeaters and service circuit frames, are connected to the driver input, one of four groups connected to the particular network block of particular interest. This connection is formed in the connector on the back of the frame, so that when the substrat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the appropriate driver receives a signal. Thus, cables carrying 96 serial channels are provided at block 0 with signals to driver 100, at block 1 with driver 101, at block 2 with driver 102, and at block 3.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s so as to be provided to the driver 103.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FIG. 2, the connectors of the redundant network block cards are wired such that all of the drivers 100-103 have input signals provided thereto.

단 1개의 구동기 블럭이 소정의 시간에 작동하게 하기 위해서, 블럭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가능장치(105)가 제공된다. 이 작동 가능 장치는, 본 실시예에서, 4개의 출력을 가진 4개의 해독기 중의 한 해독기 형태로 있는데, 한 출력은 입력신호의 상태에 따라 약간 구동된다. 입력 신호는 NBI OFF*와 NBI IFF*로 표시되는데, 이 기호는 회로망 블럭 표시(0또는 1) 플립-플롭 회로를 나타내고, 별표(*)는 저레벨 논리 상태가 진(true)인 것을 나타낸다. 이 입력신호들은 4개의 구동기 블럭중의 한 블럭을 선택하여 작동시키기 위해, 1차 블럭의 경우에 하드와이어(hardwire)되고 여분블럭의 경우에는 프로그램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변환기의 동일성(identity)를 부분적으로 배당한다. 예를들어, 2개의 반전된 ID비트들이 모두 고레벨이 경우에, 출력(106)은 약간 구동되고, 이러한 신호는 4개의 3중 상태 구동기(110-113)을 작동시키도록 출력을 고레벨로 구동시키는 반전기(107)에 제공된다. 1차 채널들의 코오드(비-반전)들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llow only one driver block to operate at a given time, an operable device 105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block is provided. This operable device, in this embodiment, is in the form of one of four decoders with four outputs, one output driven slightly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input signal. The input signal is denoted by NBI OFF * and NBI IFF * , which indicates a network block representation (0 or 1) flip-flop circuit, and an asterisk (*) indicates that the low level logic state is true. These input signals can be hardwired for the primary block and programmed for the redundant block to select and operate one of the four driver blocks, thus partially identifying the identity of a particular converter. Divided by For example, if both inverted ID bits are high level, output 106 is driven slightly, and this signal drives the output to high level to operate four triple state drivers 110-113. Provided to the inverter 107. The codes (non-inverting) of the primary channels are as follows.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1

각각의 코오드는 2개의 96채널 직렬 버스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블럭(100)의 도선(115, 116)은 이러한 버스들의 입력 포오트를 제공한다. 스위칭 장치를 실제로 실시할 때에는, 채널마다 8개의 데이타 비트 이외에, 시그날링(signaling)비트 및 패리티(parity)비트로 있게 된다. 이 시그날링 비트 및 패리티 비트는 분리 버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버스(115)상의 데이타 시그날링으및 판리티를 싣고 있는 버스(117)과, 버스(116)상의 데이타 시그날링 및 패리티를 싣고 있는 버스(118)상에 실린다. 그외의 다른 구동기 블럭들도 각각 이와 비슷하게 배열된다.Since each code can handle two 96-channel serial buses, the conductors 115 and 116 of block 100 provide the input ports of these buses. When the switching device is actually implemented, in addition to eight data bits per channel, there are signaling bits and parity bits. These signaling bits and parity bits are separate buse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bus 117 carrying data signaling and parity on the bus 115, and a data signaling and parity on the bus 116. On bus 118. The other driver blocks are similarly arranged respectively.

예를들면, 버스(115)는 그룹 X LMPCM*G(X)의 PCM데이타를 저레벨 멀티플렉서로부터 수신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버스(116)은 그룹 X+1의 데이타를 수신하며, 버스(117, 118)은 LMSIG*G(X) 및 X+1을 수신한다.For example, bus 115 receives PCM data of group X LMPCM * G (X) from a low level multiplexer, bus 116 likewise receives data of group X + 1, and buses 117, 118. Receives LMSIG * G (X) and X + 1.

구동기(110, 111)에 의해 통과된 PCM데이타 뿐만아니라 그외의 다른 구동기 브럭내의 이것들의 부분은, 안전기(122)를 통해 레지스터에 결합된 인입 데이타 162nsec 클럭 L 162 I의 제어상태하에 클럭되는 관련된 8비트 전이 레지스터(120, 121)의 입력에 나타난다. 8비트 워드 전체가 수신되면, 각각의 레지스터의 출력 선들은 병렬로 이 8비트 워드를 나타내고, 이 병렬 데이타는 반전기(123)을 통해 래치 회로에 결합된 인입 데이타 1300nsec 클럭 L 1300 I*의 제어상태하에 래치회로(124, 125)속으로 스트로브(strobe)된다. 래치회로(124, 125)는 상기에 언급한 클럭의 제어상태하에 데이타를 받아 들이고 고레벨 멀티플렉서에의해 이 데이타를 받아들일 준비를 할때 출력선(126, 127)상에 이 데이를 유지시킨다.The PCM data passed by drivers 110 and 111, as well as other parts of these other driver blocks, are associated with clocked under the control state of the incoming data 162 nsec clock L 162 I coupled to register via safety device 122. Appears at the input of the 8-bit transition registers 120 and 121. When the entire 8-bit word is received, the output lines of each register represent this 8-bit word in parallel, and this parallel data is controlled by the incoming data 1300 nsec clock L 1300 I * coupled to the latch circuit through the inverter 123. Strobes into latch circuits 124 and 125 under this condition. The latch circuits 124 and 125 accept this data under the control state of the above-mentioned clock and hold this day on the output lines 126 and 127 when ready to accept this data by the high level multiplexer.

시그날링 및 패리티 비트를 참조하면, 각각의 이 비트들은 각각 1300nsec기간 동안 2번 발신되므로, 이것들은 324nsec기간에 클럭된다. 그러므로, 구동기(112, 113)의 출력은 각각의 전이 레지스터(130, 131)에 제공되고, 수신된 데이타는 완충 발전기(132)에 의해 레지스터에 제공된 324nsec클럭 L 324 I*만큼 클럭된다. 그러므로 이 데이타는 수신된 다음 출력선에서 유용하게 되고, 동시에 래치회로(124, 125)를 제작성(update)한 동일한 클럭만큼 완충 래치회로(134)에 클럭된다.Referring to the signaling and parity bits, each of these bits is sent twice during each 1300 nsec period, so they are clocked in the 324 nsec period. Therefore, the outputs of drivers 112 and 113 are provided to respective transition registers 130 and 131 and the received data is clocked by 324 nsec clock L 324 I * provided to the register by buffer generator 132. This data is therefore available at the next output line received and simultaneously clocked to the buffer latch circuit 134 by the same clock that updated the latch circuits 124 and 125.

따라서, 각각의 1300ηsec기간동안, 각각의 2개의 직렬 버스로 부터의 데이타 워드는 레지스터(120, 121)에 클럭되고, 시그날링 및 패리티는 레지스터(130, 131)에 클럭된다. 이러한 1300ηsec기간이 끝날때, 래치회로(124, 125, 134)는 데이타를 병렬로 수신하도록, 클럭되고, 연속적으로 적당한 지점에서 고레벨 멀티플렉서에 의해 수신하기 위해 이 데이타를 유지시키도록 클럭된다. 고레벨 멀티플렉서는 동작시에 래치회로(124, 125, 134)와, 적당한 시간으로 정해진 순서로 3개의 부수적인 카아드상의 유사한 래치회로로 부터 데이타를 수신하므로, 각각의 채널로부터 연속적인 10비트 병렬 워드 대열을 형성하는데, 이것이 취해지는동안, 레지스터(120, 121, 130, 131)은 다음의 워드를 부하시키므로, 회로망의 스위칭 소자를 향해 저레벨회로로 부터 정보를 계속 집중시키도록 주기가 계속 반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us, during each 1300? Sec, data words from each of the two serial buses are clocked into registers 120 and 121, and signaling and parity are clocked into registers 130 and 131. At the end of this 1300? Sec period, latch circuits 124, 125, and 134 are clocked to receive the data in parallel, and subsequently clocked to hold this data for reception by the high level multiplexer at appropriate points. The high-level multiplexer receives data from the latch circuits 124, 125 and 134 in operation and from similar latch circuits on three additional cards in the order determined in the appropriate time, so that 10-bit parallel words from each channel are contiguous. While this is taken, the registers 120, 121, 130, and 131 load the next word, so that the cycle is repeated to continue to concentrate information from the low level circuitry towards the switching elements of the network. Able to know.

회로의 병렬-대-직렬 부분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96채널 직렬버스를 제공하는 케이블을 종료시키는 회로에 대해서 설명하겠다.Before discussing the parallel-to-serial portion of the circuit, let me describe the circuit that terminates the cable that provides the 96-channel serial bus.

이 케이블들은 각각 약 162ηsec의 펄스를 가진 일련의 비트 대열을 싣고 있고, 케이블들은 전형적으로 길이가 약 30피이트이므로, 적당히 종료시키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또한 96채널 직렬 레벨 이상의 모든것을 후원 장치에 제공하는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2개의 위치에서 각각의 케이블을 종료시켜야 하는데, 이 종료 문제는 상당한 복잡하다.These cables carry a series of bits, each with a pulse of about 162 η sec., And cables are typically about 30 feet in length, so it is important to terminate them properly. Also, in order to meet the criteria for providing everything above the 96-channel serial level to the backing device, each cable must be terminated in two locations, which is a significant complication.

초기 프레임에 의해 발신되는 데이타가 회로망에서 안정하게 수신되게 하기 위해 여러가지의 수단들이 취해진다. 처음에, 인입 케이블의 종료 임피단스는 1차 및 여분 블럭사이로 분산되므로, 이 2개의 블럭들의 회로기판이 적당한 위치에 있게되면, 케이블이 종료되고, 한 블럭이 이동되며, 생기는 임피단스 오정합을 허용할 수 있게된다. 이것을 완성하기 위해서, 각각의 입력선(115-118)과, 구동기 블럭(100-103)내의 대응하는 선들은 케이블 특성 임피단스의 값의 2배인 접지에 접속된 종료 임피단스를 갖는다. 예를들어, 100Ω의 케이블이 직렬 입력버스로서 사용되면, 저항기 단 (pack)(144)내의 각각의 종료 임피단스(140-143)의 값은 200Ω으로 된다. 결과적으로, 1차 및 여분 블럭들이 적당한 위치에 배치되면, 2개의 이러한 종료 저항기가 병렬로 있게 되므로, 케이블의 특성 임피단스를 정합시키기 위해 100Ω의 종료 임피단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수리할 경우와 같이 한개의 기판이 이동되면, 200Ω의 종료 임피단스가 남게되어, 2대 1의 오정합을 제공하더라도, 최소한 짧은 기간동안 허용될 수 있는 단말부를 완성하게 된다.Various means are taken to ensure that data sent by the initial frame is received stably in the network. Initially, the termination impedance of the incoming cable is distributed between the primary and redundant blocks, so once the circuit boards of these two blocks are in the proper position, the cable is terminated, one block is moved, and the resulting impedance mismatch occurs. It will be acceptable. To complete this, each input line 115-118 and the corresponding line in driver block 100-103 have a termination impedance connected to ground that is twice the value of the cable characteristic impedance. For example, if a 100Ω cable is used as the serial input bus, the value of each termination impedance 140-143 in the resistor pack 144 is 200Ω. As a result, when the primary and redundant blocks are placed in the proper position, two such termination resistors will be in parallel, providing a termination impedance of 100Ω to match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of the cable. However, if one substrate is moved, such as in the case of repair, a 200 ohm termination impedance remains, resulting in a terminal that can be tolerated for at least a short period, even if it provides a two-to-one mismatch.

적당한 단말부의 제2형태는 1차및 여분 블럭에 인입 케이블이 접속된 것을 도시한 제2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버스 B1용 케이블(145)에 집중하면, 케이블이 1차 블럭으로 가는 케이블(147)과 여분블럭으로 가는 케이블(148)을 내보내는 접합부(146)를 형성하고 있는 1차 블럭 0부근의 장치 프레임에서 종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케이블(147)은 차단선(147a)로 표시한 바와같이 루우프(loop)되므로, 접합부로부터 뒷면 접속기 까지의 길이는 케이블(148)의 대응 길이와 같게된다. 따라서, 동일하지 않은 케이블 길이가 최소화 됨으로써 다른 영향이 생기게 된다.A second form of a suitable terminal part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2 showing the inlet cable connected to the primary and redundant blocks. Concentrating on the cable 145 for bus B1, in the device frame near primary block 0, where the cable forms a junction 146 which leads the cable 147 to the primary block and the cable 148 to the spare block. You can see that it ends. Since the cable 147 is looped as indicated by the break line 147a, the length from the junction to the back connector is equal to the corresponding length of the cable 148. Thus, different effects are produced by minimizing unequal cable lengths.

이 수단들을 취하여도, 수신 구동기에서의 인입 데이타는 각각의 기간의 약 50%동안, 즉 각각의 162ηsec기간의 약 80ηsec동안만 유효하게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당한 링깅, 반사(feflection)등은 스위칭이 다시 생기는 기간의 종료부주위까지 최종적으로 안정되는 각각의 펄스의 초기 부분에서 발견되어, 부수적인 잡음이 생기게 한다. 데이타가 각각의 펄스의 초기부와 말단부 부근에서 불안정하게 되게하는 회로 소자내의 불균등한 전달 지연에 의해 부수적인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데이타는 펄스의 약 35%지점에서 부터 약 85%지점까지 거의 모든 상태에 대해 안정하게 된다. 이 사실의 잇점을 취하기 위해, 클럭 L162 I*와 L324I*는 각각의 162nsec기간의 약 50%지점에서 생기도록 동위상으로 지연된다. 따라서, 상당한 잡음이 존재하더라도, 저레벨 회로에서 발생된 데이타는 안정하게 회로망이 수신된다.Taking these means, it has been found that the incoming data at the reception driver is only valid for about 50% of each period, ie only about 80ηsec of each 162ηsec period. Significant ringing, reflections, etc. are found in the initial portion of each pulse that finally settles around the end of the period when switching occurs again, resulting in incidental noise. An additional problem arises due to uneven propagation delays in the circuit elements that cause data to become unstable near the beginning and end of each pulse. However, the data is stable for almost all states from about 35% of the pulse to about 85% of the pulse. To take advantage of this fact, clocks L162 I * and L324I * are delayed in phase to occur at about 50% of each 162 nsec period. Thus, even if there is considerable noise, the data generated in the low level circuit is stably received by the network.

제4b도를 참조하면, 회로망을 통해 스위치된 병렬데이타가 선, 중계선 및 써비스회로로 분산되도록 저레벨 멀티플렉서로 귀환하기 위해 직렬로 변환되는 변환기 회로의 병렬-대-직렬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병렬 데이타 B0-B7뿐만 아니라 시그날링 및 패리티 B8, B9의 8비트들은 정보 메모리에서 해독되고 병렬-대-직렬 변환기의 입력에서 CMPB0*-CMPB*로 나타나도록 비교기를 통해 지나간다. 저항기단(150-152)는 적당한 종료부를 제공한다. 데이타비트 CMPB0*-CMPB7*은 한쌍의 8비트래치회로(153, 154)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래치 회로중의 한 회로는 특정한 변환기 회로에 의해 써비스된 각각의 96채널 버스를 제공한다. 래치회로(153)에 의해 수신된 관련된 버스에 대한 데이타가 선상에 나타나며, 이 데이타는 반전기(156)를 통해 래치회로(153)의 클럭 입력으로 자지나간 저레벨 병렬-대-직렬스트로브 펄스 LPSSTR(×)에 의해 래치 회로속에 스트로브 된다. 동시에 CMPB8*와 CMPB9*는 래치회로(159)속에 스트로브된다. 이와같은 형태로, 데이타는 반전기(157)를 통해 클럭 입력으로 결합된 이 채널 LPSSTR*(×+1)에 대한 저레벨 병렬-대-직렬 스트로브 펄스에 의해 순차대로 적당한 지점에서 한쌍의 래치회로(154, 160)속에 스트로브된다. 상술한 2쌍의 래치회로와 특정한 회로망 블럭에 의해 제공된 부수적인 6채널 버스에 대한 6쌍의 유사한 래치회로를 적재하는데에는 약 1300ηsec가 소모된다. 다른 회로망 블럭들도 동시에 동일한 기능을 실시한다. 1300ηsec가 끝날때, 처리 공정은 새롭게 시작된다.Referring to FIG. 4B, the parallel-to-serial portion of the converter circuit is shown converted in series to return to the low level multiplexer so that the parallel data switched through the network is distributed to lines, relay lines and service circuits. As mentioned above, the eight bits of the signaling and parity B8, B9 as well as the parallel data B0-B7 are decoded in the information memory and passed through the comparator to appear as CMPB0 * -CMPB * at the input of the parallel-to-serial converter. Resistor stages 150-152 provide suitable terminations. Data bits CMPB0 * -CMPB7 * are coupled to a pair of 8-bit latch circuits 153 and 154, one of which latch circuits providing each 96 channel bus serviced by a particular converter circuit. Data for the associated bus received by the latch circuit 153 appears on the line, which data is passed to the clock input of the latch circuit 153 through the inverter 156 to the low level parallel-to-serial strobe pulse LPSSTR ( Strobe in the latch circuit by x). At the same time, CMPB8 * and CMPB9 * are strobe in the latch circuit 159. In this manner, the data is sequentially paired at a suitable point by a low-level parallel-to-serial strobe pulse for this channel LPSSTR * (× + 1) coupled to the clock input via inverter 157 (a pair of latch circuits). 154, 160) is strobe. It takes about 1300 η sec to load the two pairs of latch circuits described above and six pairs of similar latch circuits for the additional six channel buses provided by the particular network block. Other network blocks perform the same function at the same time. At the end of 1300 η sec, the treatment process starts anew.

이것을 시작하기 전에, 래치회로내의 데이타는 한 셋트의 안정화용 래지스터 속에 스트로브된다. 래치회로(153)에 관련된 이 레지스터는 레지스터(162)의 J 및 K입력에 결합된 레지스터(161)의 QD출력을 갖고 있는 한쌍의 4비트 레지스터(161, 162)로 구성된다. 래치회로(154)에 관련된 레지스터(163), 164)도 이와 유사하게 배열된다. 레지스터(165)는 제1채널 동안 시그날링 및 패리티 비트를 수신하기 위해 래치회로(159)연결되고, 레지스터(166)은 제2채널동안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레지스터(165, 166)외부에는 단지 2개의 비트가 클럭 아웃트(clocked out)되어 있고 각각 2번 발신되기 때문에, A 및 B입력은 C 및 D입력과 같이 병렬로 연결된다. 각각의 래치회로로부터이 데이타는 반전기(168)에 의해 정형된 저레벨부하 데이타 출력 펄스 LLDO의 제어상태하에, 블럭내의 다른 변환기 카아드상의 데이타와 같이, 관련된 레지스터 속에 부하된다. 이때 데이타는 반전기(169)에 의해 정형된 저레벨 162출력펄스 L162O*의 제어상태하의 162ηsec기간에 레지스터 외부로, 이경우에는 0내지 7비트에 클럭 아웃트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시그날링 및 패리티비트는 반전기(170)에 의해 완충된 저레벨 324출력펄스 L324O*에 의해 324ηsec비로 클럭 아웃트된다. 레지스터(161, 162)를 참조하면, 직렬 데이타는 각각의 구동기 블럭(100a-103a, 제4C도)내의 4개의 3중상태 구동기에 병렬로 접속된 출력선(172)상에 나타난다. 이러한 블럭들은 직렬-대-병렬 변환과 관련해서 기술한 입력블럭(100-103)에 관련되어 있고, 직렬-대-병렬-대-직렬 변환기의 저레벨 단부의 출력부분을 형성한다. 제1의 8비트 워드로 부터의 직렬 데이타는 블럭(100)내의 구동기(174)뿐만 아니라 다른 블럭들내의 유사한 구동기들에 접속된다. 레지스터(163, 164)로 부터의 직렬 데이타는 구동기(175)뿐만 아니라 다른 블럭내의 유사한 구동기에 접속된다. 구동기(176, 177)뿐만 아니라 다른 3개의 블럭내에 있는 이것들의 짝(Partner)은 레지스터(165, 166)으로 부터 각각 324ηsec시그날링 패리티 정보를 수신한다. 도면상의 별표 표시는 각각의 구동기를 통과하는 데이타의 동일성을 나타낸다. 예를들어, 구동기(174)는 그룹×PSPCM*G(×)의 병렬-대-직렬PCM데이타를 통과한다. 그룹(102a)내의 대응구동기, 즉 블럭 2용의 구동기는 PSPCM*G(×+16), 즉 회로망블럭(2)용의 유사한 그룹을 통과한다.Before starting this, the data in the latch circuit is strobe into a set of stabilizing registers. This register, associated with latch circuit 153, consists of a pair of four-bit registers 161, 162 having a Q D output of register 161 coupled to the J and K inputs of register 162. The registers 163 and 164 associated with the latch circuit 154 are similarly arranged. Register 165 is coupled to latch circuit 159 to receive signaling and parity bits during the first channel, and register 166 provides the same functionality during the second channel. Outside registers 165 and 166, only two bits are clocked out and sent twice each, so the A and B inputs are connected in parallel like the C and D inputs. This data from each latch circuit is loaded into the associated register, like the data on the other translator cards in the block, under the control of the low level load data output pulse LLDO shaped by the inverter 168. At this time, the data is clocked out of the register, in this case 0 to 7 bits, in the 162? Sec period under the control state of the low-level 162 output pulse L162O * formed by the inverter 169. Similarly, the signaling and parity bits are clocked out at a rate of 324 [eta] sec by the low level 324 output pulse L324O * buffered by the inverter 170. Referring to registers 161 and 162, serial data appears on output lines 172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our tri-state drivers in each driver block 100a-103a (FIG. 4C). These blocks are related to the input blocks 100-103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serial-to-parallel conversion and form the output portion of the low level end of the serial-to-parallel-to-serial converter. Serial data from the first 8-bit word is connected to the driver 174 in block 100 as well as similar drivers in other blocks. Serial data from registers 163 and 164 is connected to driver 175 as well as similar drivers in other blocks. The drivers 176 and 177 as well as their partners in the other three blocks receive 324 η sec signaling parity information from registers 165 and 166 respectively. Asterisks in the figures indicate the identity of the data passing through each driver. For example, driver 174 passes through the parallel-to-serial PCM data of group x PSPCM * G (x). Corresponding drivers in group 102a, i.e. drivers for block 2, pass through PSPCM * G (x + 16), i.e., similar groups for network block 2.

어떤 구동기들은 질문시의 회로망 블럭의 동일성과 NBDIS신호의 상태에 따라 제어되는 신호를 통과시키도록 작동된다. 순간적으로 이 신호의 상태를 무시하면, 해독기(105)의 경우와 같이, 동일성은 특정한 카아드가 1차 블럭으로 작용하는지 여분 블럭으로 작용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고정되거나 프로그래머블 된다. 따라서, 해독기(180)은 4개의 블럭(100a-103a)중의 한 블럭을 어드레스하는 4개의 출력중의 한 출력을 제공하도록 입력으로서 동일성 코오드 NBID 0 FF*및 NBID 1 FF를 수신하도록 제공된다. 해독기(105)에 관련해서 기술한 바와같이, 회로가 블럭 0으로 작용하게 되면, 반전된 0-0은 입력이 제공되어, 즉 2개의 ID비트들은 고레벨로 되어, 출력(181)이 이 신호를 저레벨로 만들므로, 완충기(182, 183)을 통해 결합될때 3중-상태 구동기(174, 177)을 작동시킨다. 이 회로 카아드상의 그외의 다른 모든 3중-상태 구동기들은 동작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비교기로 부터 수신되는 병렬데이타는 안정하게 되고 블럭 0에 의해 써비스될 케이블로 귀환하기 위해 구동기(174-177)중의 적당한 구동기를 통과한다. 이제 다른 확인 코오드들에 대한 회로의 응답에 대해서 기술하겠다.Some drivers are operated to pass a signal tha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dentity of the network block in question and the state of the NBDIS signal. Instantly ignoring the state of this signal, as in the case of decoder 105, the identity is fixed or programmable depending on whether a particular card acts as a primary block or as an extra block. Thus, the decoder 180 is provided to receive the identity codes NBID 0 FF * and NBID 1 FF as inputs to provide one of four outputs addressing one of the four blocks 100a-103a. A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decoder 105, when the circuit acts as block 0, the inverted 0-0 is provided with an input, i.e. the two ID bits are high level, so that the output 181 outputs this signal. Because of the low level, the tri-state drivers 174, 177 are actuated when coupled through the buffers 182, 183. All other tri-state drivers on this circuit card become inoperable. Thus, the parallel data received from the comparator is stable and passes through the appropriate driver in drivers 174-177 to return to the cable to be serviced by block 0. We will now describe the circuit's response to the different confirmation codes.

회로가 한번에 적당한 장소에 한개의 여분 회로망 블럭을 설치한 것으로 형성되면, 한개의 회로망 블럭이 계속 작동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므로, 전체 완전품만이 주어진 시간에 작동하게 된다.If the circuit is formed by installing one redundant network block at a suitable place at one time, a device is provided to prevent one network block from continuing to operate, so that only the whole complete product is operated at a given time.

이 목적을 위하여, 회로망 블럭작동불능기능 NBDIS가 제공되어, 해독기(180)의 작동불능 입력(185)에 결합된다. 이 입력이 고레벨로 구동되면, 해독기(180)이 작동하지 않게되고 모든 출력들이 고레벨로 되므로, 블럭(100a-103a)내의 구동기가 어떤 신호도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이와 유사한 작용은 해독기(105)에 관련되진는 않는다. 따라서, 블럭이 작동하지 못하더라도, 선, 중계선 등에서 발생된 신호들은 직렬입력 구동기(100-103)을 통해 지나가서, 회로망을 통해 스위치되고, 병렬 데이타로서 귀환되며, 레지스터(161)등을 통해 처리된다. 패리티및 그외의 다른 동작 검사들은 정상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블럭이 작동하지 않게되면, 해독기(180)은 모든 출력 구동기들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작용하므로, 선, 중계선 등에 분산하기 위해 저레벨 회로에 데이타를 귀환시키는 케이블에 이 블럭이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회로망은 보수 소프트웨어에 의해 검사하기 위해 계속 작동하게 되고, 검사중인 회로망 블럭에 접속되는 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한다.For this purpose, a network block disabled function NBDIS is provided and coupled to the disabled input 185 of the decoder 180. When this input is driven to a high level, the decoder 180 will not operate and all outputs will be at a high level, preventing the driver in blocks 100a-103a from passing any signal. Similar action is not related to the decryptor 105. Thus, even if the block does not operate, signals generated in lines, relay lines, etc., pass through the serial input drivers 100-103, are switched through the network, returned as parallel data, and processed through the register 161, and the like. do. Parity and other operational checks may be performed normally. However, if the block becomes inoperative, the decoder 180 acts to prevent all output drivers from working, thus preventing the block from affecting the cable returning data to low-level circuits for distribution to lines, relay lines, and the like. Thus, the network continues to operate for inspection by the maintenance software and does not affect the lines connected to the network block under test.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로망용의 제어신호는 상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만들어지고, 고레벨인터페이스 회로(75, 75')중의 한 작동 회로를 통해 회로망내의 인터페이스회로에 결합된다.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에 언급한 피트로다 출원서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간단하게만 설명하겠다.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signal for the network is produced by a state microprocessor and is coupled to an interface circuit in the network via one of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s 75, 75 '. Since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mentioned pitot, the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only briefly.

상기에 언급한 피트로다 출원서에 기술된 바와같이, 제어 컴플렉스는 완전히 이중으로 되어 있고 여분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여분 버스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 결과로, 제5도에 계통도로서 도시된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는 여분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중의한 작동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흐르거나 이 프로세서에서 흘러나오는 데이타를 제어하는 다수의 2대 1 멀티플렉서를 포함한다. 제1의 2대1 멀티플렉서(201)은 어드레스 선택기로서 작용하고, 카피(COPY) 0으로 부터의, 어드레스 비트 A0-A15 및 어드레스 패리티 AP뿐만 아니라, 카피 1로 부터의 대응 비트들을 입력으로서 갖고 있다. 데이타 선택 멀티플렉서(203)은 카피 0및 1로부터의 D0-D7 및 데이타 패리티 DP비트들을 입력으로서 갖는다. 제어 선택기(205)는 카피 0으로부트의 기입및 해독 제어신호뿐만 아니라, 이것의 특성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내에 생긴 프레임 엔에이블(enable)FE신호(206)을 갖고 있다. 카피 0 및 카피 1작동 신호는 2대 1멀티플렉서 뿐만 아니라 블럭 계통도로 표시한 바와같은 그외의 다른 회로용의 제어 신호를 만들도록 카피선택회로(207)에 제공된다. 이러한 신호들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카피가 작동하는 것에 따라 2개의 입력신호 그룹중의 한 그룹을 선택하도록 작용한다.A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Fitroda application, the control complex is fully redundant and includes redundant microprocessors and redundant bus structures. As a result,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shown as a schematic diagram in FIG. 5 includes a number of two-to-one multiplexers that control data flowing into or out of one of the redundant microprocessors. The first two-to-one multiplexer 201 acts as an address selector and has as inputs not only address bits A0-A15 and address parity APs from COPY 0, but also corresponding bits from copy 1. . The data selection multiplexer 203 has as inputs D0-D7 and data parity DP bits from copies 0 and 1. The control selector 205 has a frame enable FE signal 206 generated in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in response to receiving not only the write and read control signals of the boot at copy 0, but also its characteristic address. The copy 0 and copy 1 enable signals are provided to the copy select circuit 207 to produce control signals for the two-to-one multiplexer as well as other circuits as indicated by the block diagram. These signals act to select one of the two groups of input signals as the microprocessor copy operates.

어드레스 패리티 검사기(213)과 데이타 패리티 검사기(215)는 패리티 착오를 검출하기 위해 각각의 수신된 워드를 검사하도록 제공된다. 패리티 착오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어드레스 패리티 착오 APE또는 데이타 패리티 착오 DPE신호가 발생되어 상태워드 래치회로(230)내에 래치회로를 셋트시키고, 모든 양호한 해독기(211)이 작동 카피용의 모든 양호한 ASW선상에 펄스를 만들게 한다.An address parity checker 213 and a data parity checker 215 are provided to check each received word to detect parity error. If a parity error is detected, an address parity error APE or data parity error DPE signal is generated to set the latch circuit in the status word latch circuit 230, and all good decoders 211 are on all good ASW lines for operational copying. Let's make a pulse.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작동 카피로 부터 수신된 어드레스 비트들은 부분적으로 고레벨 인터페이스회로내에서 해독되고 부분적으로는 해독되기 위해 저 등급(order)회로로 지나간다. 고 등급 비트 A8-A15는 고레벨 인터페이스 어드레스 해독기(225)에 결합제어 프레임 엔에이블신호(206)을 만들도록 해독된다.The address bits received from the working copy of the microprocessor are partially decoded in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ry and passed through to the lower order circuitry to be partially decoded. High rank bits A8-A15 are decoded to produce a joint control frame enable signal 206 in the high level interface address decoder 225.

고등급 비트, 즉 어드레스 비트 A12-A15는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를 어드레싱하기 위해 보존된 고정 형태로 되어야 하고, 어드레스 비트 A8-A11은 스트래핑 (strapping) ST8-ST11에 의해 취해진 특정한 고레벨 인터페이스 기판용 뒷면 스트랩 비트들과 정합해야 된다. 모든 상태들이 포화상태로 되면, 프레임 인에이블 신호가 선(206)상에 발생되고, 제어선택기(205)로 다시 결합되어 작동 CPV로 부터 제어신호가 통과하게 한다. 중간등급 어드레스 비트 A5-A7은 각각의 저레벨장치 블럭을 작동시키는 화일인에이블 신호 FLE0-FLE7을 만드는 1/8저레벨 인터페이스 해독기(227)에 결합된다. 1/8착오 검출기(22P)는 단 한개의 화일 인에이블 신호만이 주어진 시간에 작동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한개 이상의 화일인에이블 신호가 작동하면 1/8착오가 발생되어, 적당한 래치회로를 셋트시키도록 상태 워드 래치회로(230)으로 다시 결합된다. 저등급 비트 A0-A4는 해독하기 위해 저등급 회로로 지나가도록 한쌍의 반전기(226, 228)을 통과한다.The high grade bits, i.e. address bits A12-A15, should be in fixed form reserved for addressing high-level interface circuits, and address bits A8-A11 are back strap bits for a particular high-level interface board taken by strapping ST8-ST11. You have to match them. When all states are saturated, a frame enable signal is generated on line 206 and coupled back to control selector 205 to allow the control signal to pass from the working CPV. Mid-grade address bits A5-A7 are coupled to a 1/8 low-level interface decoder 227, which produces a file enable signal FLE0-FLE7 that activates each low-level device block. The 1/8 aberration detector 22P is provided to allow only one file enable signal to operate at a given time. When one or more file enable signals are actuated, a 1/8 error occurs, which is coupled back to the status word latch circuit 230 to set the appropriate latch circuit. Low grade bits A0-A4 pass through a pair of inverters 226 and 228 to pass to the low grade circuit for decryption.

부수적으로 저레벨 인터페이스 어드레스 페리티 발생기(235)는 각각의 저등급 어드레스 워드를 가진 적당한 패리티 비트를 발신한다. 발전기(226)에 의해 반전된 바와 같은, 어드레스 비트 LAC-4는 보수 허용신호 MAC를 제공하도록 해독되는 보수허용 해독회로(231)에도 결합되고, 보수 모우드에 상태워드 래치회로가 기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상태워드 기입회로(232)에 결합된다. 간단히 말하자면, 적당한 어드레스가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에 나타날 경우에, 이 회로가 작동하게 되어, 1/8화일 인에이블 신호가 발생되게 하고, 어드레스 데이타의 5비트를 통과시킬 뿐만 아니라 특정한 회로를 어드레싱하기 위해 저등급 회로로 화일 인에이블 신호를 통과시킨다.Incidentally, the low level interface address parity generator 235 sends out the appropriate parity bits with each low class address word. The address bits LAC-4, as inverted by the generator 226, are also coupled to the maintenance permit decoding circuit 231, which is decrypted to provide the maintenance allowance signal MAC, and controls the write of the status word latch circuit to the maintenance mode. Is coupled to the status word write circuit 232. In short, when the proper address appears in the high-level interface circuit, the circuit is activated to generate an 1/8 file enable signal, not only to pass five bits of address data but also to address a particular circuit. Pass the file enable signal through a rating circuit.

고레벨 인터페이스회로 내의 어드레싱을 고려하여, 데이타 워드에 관련된 회로에 대해 기술하겠다. 데이타 선택 멀티플렉서(203)을 통과한 것과 같은, 작동 카피로 부터이 데이타 비트 D0-D7은 해독/기입 저레벨 인터페이스 데이타 게이트(218)에 결합된다. 이 게이트용의 제어 신호는 보수가 고레벨 인터페이스회로 MAC를 허용하지 않을때, 고장난 래치회로가 TRBL을 세트시키지 않을때 및 해독 펄스가 작동될때, 데이타비트가 통과되게 한다. 이때, 데이타 비트 D0-D7과 DP는 이것들이 저레벨 데이타 LD0-LD7과 LDP로서 나타나는 게이트(218)을 통과하여 저등급 회로로, 이 경우에는 CPV인터 페이스회로 B(제3도)로 가게된다. 저레벨 인터페이스 제어 게이트(219)는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로 부터 저등급 회로로 해독 R, 기입 WR 및 고레벨 작동 HLA신호들을 통과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다음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타는 여기로 지나가는 화일 인에이블, 저등급 어드레스 및 제어 비트에 따라서 받아들여지고 처리된다.Considering the addressing in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a circuit related to the data word will be described. This data bits D0-D7 from the working copy, such as through the data select multiplexer 203, are coupled to the read / write low level interface data gate 218. The control signal for this gate allows the data bits to pass when the repair does not allow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MAC, when the failed latch circuit does not set TRBL and when the readout pulse is activated. At this time, data bits D0-D7 and DP pass through gate 218, which appears as low-level data LD0-LD7 and LDP, to a low class circuit, in this case to CPV interface circuit B (FIG. 3). Low level interface control gate 219 is provided to pass read R, write WR and high level operational HLA signals from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to the low class circuit.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data is received and processed according to the file enable, low-order address, and control bits that pass through it.

또다른 데이타 유통로는 저레벨 회로, 즉 CPV A 및 B인터페이스 회로로 부터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하는 CPV까지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 저등급 회로로 부터 수신된 데이타 비트 LD0-LD7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작동카피로 다시 통과하기 위해 3중-상태데이타 버스(240)에 결합된다. 3중-상태데이타 버스(240)은 장치가 보수모우드 MAC에 있지 않을때와 해독 펄스 R이 존재할때 3중-상태데이타버스를 인에이블 시키는 데이타 1상태 워드 선택회로(243)에 의해 인에이블 된다. 이때, 데이타 비트들은 데이타 구동기(221)이 결합되는 입력 타데이 DIN0-DIN7을 형성하도록 3중-상태 버스를 통과한다. 데이타 구동기(221)은 카피0 및 카피1 작동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타 구동기 제어회로(217)로 부터의 입력신호를 결합하고도 있다. 따라서, 데이타 구동기 회로(221)내의 적당한 게이트들은 데이타 비트들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작동 카피의 D0-D7선으로 통과하도록 인에이블 된다. 이 발법으로, 저등급 회로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다시 통신할 수 있다.Another data distribution ranges from low level circuits, namely CPV A and B interface circuits, to CPV through high level interface circuits. For this purpose, the data bits LD0-LD7 received from the low grade circuit are coupled to the tri-state data bus 240 to pass back to the working copy of the microprocessor. The tri-state data bus 240 is enabled by the data one-state word select circuit 243 which enables the tri-state data bus when the device is not in the maintenance mode MAC and when the decode pulse R is present. . At this time, the data bits pass through the tri-state bus to form the input towel DIN0-DIN7 to which the data driver 221 is coupled. The data driver 221 combines input signals from the data driver control circuit 217 to receive the copy 0 and copy 1 operation signals. Thus, suitable gates in data driver circuit 221 are enabled to allow data bits to pass through lines D0-D7 of the working copy of the microprocessor. With this technique, low grade circuits can communicate back to the microprocessor.

또 다른 데이타 유통로는 고레벨 인터페이스회로 자체로 부터 마이크로 프로세서까지 존재한다. 이 경우에, 상태워드 래치회로(230)내의 데이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해독된다. 이것을 완성하기 위해서, 데이타 1상태 워드 선택회로(243)은 보수 작동 신호 MAC가 작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이것의 출력 도선을 스위치시킨다. 3중-상태 데이타 버스(240)은 디스에이블(disable)되고, 상태워드 선택회로(222)는 인에이블된다. 상태워드 선택회로는 어드레스 비트 A2의 상태에 따라서 CPV로 다시 송신하기 위해 2개의 워드들 중의 한 워드를 선택한다. 작동 카피로 부터의 기입 펄스가 존재하면, A2에 의해 선택된 워드는 상태워드 래치회로(230)으로 부터 해독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 카피로 송신하기 위해 워드 선택회로(222)를 통해 데이타 구동기(221)에 결합된다.Another data distribution ranges from high-level interface circuits themselves to microprocessors. In this case, the data in the status word latch circuit 230 is read into the microprocessor. To complete this, the data one-state word select circuit 243 switches its output lead in response to the maintenance operation signal MAC actuating. The tri-state data bus 240 is disabled and the status word selection circuit 222 is enabled. The status word selection circuit selects one word of the two words for transmission back to the CPV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address bit A2. If there is a write pulse from the operational copy, the word selected by A2 is decoded from the status word latch circuit 230 and sent to the data driver 221 through the word select circuit 222 for transmission to the operational copy as described above. ) Is combined.

마지막으로, CPU는 고레벨 인터페이스회로 속에 데이타를 가입할 수 있는데, 이것은 제어 선택회로(205)를 통해 결합된 기입펄스와 결합해서 상태워드 데이타 래치회로(230)에 직접 결합되는 데타이 비트D0-D7에 의해 이루어진다.Finally, the CPU can add data into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which is coupled to the write pulse coupled via the control selection circuit 205 and directly coupled to the status word data latch circuit 230. Is made by.

간단히 말하자면, 작동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고레벨 인터페이스회로 뿐만 아니라 이 인터페이스 회로에 접속된 저레벨 회로를 통해 모든 해독 1기입 제어를 한다. 호출 처리는 주로 CPV로 부터 저등급회로 속에 데이타를 기입할 수 있는 가능성에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4가지의 데이타 흐름 형태는 모두, CPV가 이것의 동작 가능성을 결정하도록 특정한 기능을 실시하는 경우에 보수하기에 유용하게 된다.In short, the working microprocessor controls all readout writes not only through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but also through the low level circuit connected to the interface circuit. Call handling is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possibility of writing data from the CPV into low-level circuits. However, all four data flow types are useful for repairing when the CPV performs a particular function to determine its operability.

이점을 감안하여, CPVA인터 페이스회로(76)의 회로계 통로를 도시한 제6a도-제6b도에 대해서 기술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에 의해 발생된 어드레스 비트들은 제 6a도의 좌측에 도시한 입력에서 CPVA인터페이스 회로(76)으로 들어간다. 회로망에 연결된 여분의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가 있다는 것을 상기하면 2개의 카피로 부터의 어드레스 비트가 유용하게 되는데, 이 비트는 저등급 어드레스비트 LA0-LA4뿐만 아니라 패리티 LAP, 캐리 0 및 1을 포함하고, 이것들의 모든 신호는 2대1 멀티플렉스 어드레스 선택기(301)용 입력으로서 작용한다.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에 의해 발생된 화일 인에이블신호들 중의 단 2개의 신호만이 회로망에 필요한데, 카피 0 및 1용의 신호 FLE4*와 FLE5*가 2대1 멀티플렉서(302)에 입력으로서 제공된다. 각각의 카피의 제어 입력은 멀티플렉서(302)에 의해서도 선택되는데 각각의 카피용의 기입 펄스 LWR*과 해독펄스 LRPL*가 여기에 입력으로서 제공된다. 입력이 출력으로 통과되는 것은, 출력이 멀티플렉서(301, 302)의 선택기 입력에 결합된 반전기(303)에 의해 반전된 HLA*/1의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 카피 0용의 고레벨 작동신호 HLA/0도, 이 경우에는 발전기(304)에 의해 반전되고, 정상상태에서 출력이 단 한개의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가 작동되는 것을 표시하는 익스크루시브(exclusive) OR게이트(305)의 입력에 반전기(303)의 출력과 함께 결합된다. 2개의 고레벨 인터페이스 신호가 활성(active)상태로 나타나는 경우에, 익스크로시브 OR게이트(305)의 출력은 CPVA인터페이스 회로가 응답하지 못하도록 저레벨 상태로 스위치 된다.In view of these advantages, FIGS. 6A to 6B showing the circuit system passages of the CPVA interface circuit 76 will be described. Address bits generated by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as described above enter the CPVA interface circuit 76 at the input shown on the left of FIG. 6A. Recalling that there is a redundant high-level interface circuit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address bits from two copies are useful, which include parity LAPs, carry 0s and 1s, as well as the low-grade address bits LA0-LA4. All signals of s serve as inputs for the two-to-one multiplex address selector 301. Only two of the file enable signals generated by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are needed in the network, and the signals FLE4 * and FLE5 * for copy 0 and 1 are provided as inputs to the two-to-one multiplexer 302. The control input of each copy is also selected by the multiplexer 302, where a write pulse LWR * and a decryption pulse LRPL * for each copy are provided as inputs. The passing of the input to the output is determined by the state of HLA * / 1 that the output is inverted by the inverter 303 coupled to the selector input of the multiplexers 301, 302. The high level operating signal HLA / 0 for copy 0 is also inverted by the generator 304 in this case, and an exclusive OR gate whose output indicates that only on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is in operation under normal conditions. 305 is coupled with the output of inverter 303 to the input. When two high level interface signals appear to be active, the output of the exclusive OR gate 305 is switched to a low level so that the CPVA interface circuit is unresponsive.

각각의 회로망 블럭내의 고장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작용하는 패리티 검사 구조에 대해서 기술하겠다. 저등급 어드레스 비트 LAC-4와 패리티 LAP는, 출력이 어드레스 패리티 에러 래치회로(309)의 D입력에 결합된 패리티 검사기(308)에 입력으로서 결합된다. 래치회로의 클럭 입력은, 출력이 다른 AND게이트(311)을 통해 게이트 되는 NOR게이트(310)에 의해 제어되므로, 클럭신호는 플립-플롭회로(309)가 회로당 블럭 보수 해독 NBMNTRD, 회로망 블럭 보수기입 NBMNTWR 또는 회로망 블럭호출 처리기입 NBCPWR 제어 기능을 하기 위해 리셋트 상태에 있는 경우에 발생된다. 적당한 상태들이 동시에 발생하면, 플립-플롭회로(30)은 어드레스 패리티 에러신호 APEFF를 발생시키도록 셋트된다.A parity check structure will be described that acts as a device for detecting faults in each network block. The low grade address bits LAC-4 and parity LAP are coupled as inputs to a parity checker 308 whose output is coupled to the D input of the address parity error latch circuit 309. Since the clock input of the latch circuit is controlled by the NOR gate 310 whose output is gated through the other AND gate 311, the clock signal is obtained by the flip-flop circuit 309 deciphering block repair per circuit NBMNTRD, network block repair. Occurs when a write NBMNTWR or network block call processor is in the reset state for the NBCPWR control function. If the appropriate conditions occur at the same time, the flip-flop circuit 30 is set to generate the address parity error signal APEFF.

데이타 패리티 착오 플립-플롭회로(314)는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로 부터의 데이타 내의 패리티 착오를 검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DPEFF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데이타는 플립-플롭회로(314)의 D입력에 결합된 CPOVB데이타 패리티 착오신호 CPVBDPE를 발생시키는, 다음에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은 CPVB인터 페이스회로(77)에 작동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플립-플롭 회로는 기능 NBMNTRD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플립-플롭회로(309)와 유사하게 클럭된다. 또다른 쌍의 래치회로(316, 319)는 출력신호 CMOPEFF와 CMIPEFF와 같은 것을 발생시키는 접속 메모리 1 및 2로 부터의 패리티 착오를 나타내기 위해 제공된다. 패리티는 접속메모리에서 해독되는 각각의 워드로 검사되는데, 이러한워 드들은 기억된 PCM데이타를 해독하기 위해정보 메모리를 어드레스 하는데 사용된다. 플립-플롭회로단(316, 319)는 본래 2개의 단이다. 예를들어, 단(316)은 접속 메모리 패리티 에러클럭 CMPECLK*의 제어 상태하에 플립-플롭회로속에 접속 메모리 0패리티 착오신호 CMOPE를 클럭시키는 제1 플립-플롭회로(317)과, 회로망 블럭보수 허용신호 NBMNTACC의 제어상태하에 플립-플롭회로(318)속에 플립-플롭회로(317)의 출력을 클럭시키는 제2단을 갖고 있다. 단(319)도 이와 유사하게 배열된다.A data parity error flip-flop circuit 314 is provided for generating a DPEFF signal that indicates detecting parity error in data from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The data is operatively coupled to the CPVB interface circuit 77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which generates a CPOVB data parity error signal CPVBDPE coupled to the D input of the flip-flop circuit 314. This flip-flop circuit is clocked similarly to the flip-flop circuit 309 except that it does not respond to the function NBMNTRD. Another pair of latch circuits 316 and 319 are provided to indicate parity error from the connection memories 1 and 2 which generate output signals CMOPEFF and CMIPEFF. Parity is checked with each word that is decrypted in the access memory. These words are used to address the information memory to decrypt the stored PCM data. Flip-flop circuit stages 316 and 319 are essentially two stages. For example, stage 316 permits first block flip-flop circuit 317 to clock the connection memory 0 parity error signal CMOPE in the flip-flop circuit under the control condition of the connection memory parity error clock CMPECLK * , and the network block maintenance. And a second stage for clocking the output of the flip-flop circuit 317 in the flip-flop circuit 318 under the control state of the signal NBMNTACC. Stage 319 is similarly arranged.

인입 어드레스 신호에 대해 다시 참조하면, 아랫자리 3개의 비트 LA0-LA2는 CPVA인터 페이스 회로에 사용하기 위해(320)으로 표시된 회로에 의해 해독되고, CPVB인터 페이스 회로에 사용하기 위해 CPVA인터페이스 신호 CPVAAO*-CPVAA2*를 형성하도록 반전기(321)에 의해 완충된다. 2개의 윗자리 저등급 어드레스 비트 LA3, LA4는 회로망 내의 각각의 블럭들을 선택적으로 어드레스 하기위해 한쌍의 비교기(323, 324)에 이력으로서 접속되고, 비교기에 결합된 FLE5신호는 다른 능력을 어드레싱하기 위해 사용되고, 보수와 호출 처리 기능사이를 구별하는데도 사용된다.Referring back to the incoming address signal, the lower three bits LA0-LA2 are decoded by the circuit denoted 320 for use in the CPVA interface circuit, and the CPVA interface signal CPVAAO * for use in the CPVB interface circuit. Buffered by an inverter 321 to form -CPVAA2 * . Two upper-order low-order address bits LA3, LA4 are connected as history to a pair of comparators 323, 324 to selectively address each block in the network, and the FLE5 signal coupled to the comparator is used to address other capabilities. It is also used to distinguish between complement and call handling functions.

일반적인 비교기를 참조하면, 비교기(323)은 보수 명령에 응답하고, 비교기(324)는 어떤 상황 하에서 보수 명령이 이 비교기(324)에 도달 하더라도, 호출 처리 명령에 응답한다. 이 2개의 비교기들의 인에이블 입력들은 FLE4 및 FLE5입력을 가진 익스크루시브 OR게이트 (325)의 출력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신호 ELE4 및 FLE5종의 한 신호는 회로망에 처리기가 도달하게 하기 위해 고레벨로 되어야 한다. 제2명령 요구에 따라, 익스 크루시브 OR게이트(305)의 출력은 2개의 비교기 내에서 1과 비교된다. 게이트 입력들은 HLA0과 HLA1이다. 따라서, 2개의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종의 한 회로만이 처리기가 회로망에 도달하게 하기 우해 작동상태로 되어야 한다.Referring to a general comparator, comparator 323 responds to a repair command, and comparator 324 responds to a call processing command, even under which circumstances a repair command arrives at this comparator 324. The enable inputs of these two comparators are driven by the output of the exclusive OR gate 325 with FLE4 and FLE5 inputs. Thus, one signal of the signals ELE4 and FLE5 must be at a high level in order for the processor to reach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second instruction request, the output of the exclusive OR gate 305 is compared to one in two comparators. Gate inputs are HLA0 and HLA1. Therefore, only one circuit of two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types should be in operation to allow the processor to reach the network.

보수 비교기(323)을 참조하면, 3개의 입력신호NBIDO-NBID2가 LA3, LA4 및 LA5를 각각 비교하기위해 이 비교기에 제공된다. NBID 0-2기능은 보수 어드레스를 배당하도록 각각의 회로망 블럭의 뒷면에 하드 와이어(hardwire)되어 있다. 1차 블럭의 경우에, NBID0및 1은 이전의 표에 기술한 ID코오드를 싣고 있고, NBID2는 모든 경우에 0로 있는다. 여분 블럭의 경우에, NBID2는 고레벨로 스트랩되고, NBID1 및 0은 모두 저레벨 상태로 있는다. 이 3개의 어드레스 레벨들은 LA3, LA4 및 FLE5와 비교된다. 다시말하면 보수를 하기 위해 저등급 어드레스 신호의 윗자리 2개의 비트는 특정한 블럭의 표시 코오드(또는 여분 블럭의 0-0)을 싣고 있고, FLE5는 1차 블럭을 어드레스레스하기 위해 저레벨로 되어야 하거나 여분블럭을 어드레스 하기 위해 고레벨로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고레벨 이터페이스 회로 중의 한 회로가 CPV인터페이스 회로에 3개의 비트를 나타낼때와, FLE4와 5가 반대상태로 되어있는 경우에, 비교기(323)은 포화상태로 되어, 보수회로가 블럭내의 보수 포오트들을 해독하거나 기입할 수 있게하는 출력을 만든다.Referring to complementary comparator 323, three input signals NBIDO-NBID2 are provided to this comparator to compare LA3, LA4 and LA5, respectively. The NBID 0-2 function is hardwired on the back of each network block to assign a complement address. In the case of the primary block, NBID0 and 1 carry the ID code described in the previous table, and NBID2 is zero in all cases. In the case of redundant blocks, NBID2 is strapped to a high level, and both NBID1 and 0 are in a low level state. These three address levels are compared with LA3, LA4 and FLE5. In other words, the two digits above the low-level address signal carry the indication code (or 0-0 of the extra block) of the particular block for maintenance, and FLE5 must be low-level or extra block to address the primary block. It must be at a high level to address. Therefore, when one of the high-level interface circuits shows three bits in the CPV interface circuit, and when FLE4 and 5 are in opposite states, the comparator 323 is saturated, and the repair circuit repairs in the block. Create an output that allows you to decrypt or write the ports.

비교기(323)의 경우와 같이, 비교기(324)는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로 부터 LA3, LA4 및 FLE5신호를 수신한다. 이것은 LA3와 LA4를 PNBID0와 PNBID1에 각각 비교한다. 2개의 비트 PNBID0와 PNBID1은 블럭에 배당된 것과 동일하게 1차 블럭에 하드외이어 되어있고, 1차 블럭과 동일하도록 여분블럭에 대해 프로그램할 수도 있다. FLE5신호는 CPVA인터페이스 회로자체에서 발생되는 PNBID2와 비교된다. PNBID2비트는 보수회로에 의해 제어 회로에 관련된한 온 라인으로 되는 블럭에 대해 0으로 프로그램되고 오프라인(offline)블럭에 대해 1로 프로그램된다. 이때 공통제어 회로는 비교기(324)가 포화상태로 되도록 FLE5비트가 저레벨로된 (FLE4는 고레벨로 됨) 모든 정상적인 호출처리 명령을 형성한다. 이것은 공통제어 회로가 이내에 접속부를 기입하기 위해 회로망 블럭에 도달하게 하는 정상상태이다. 그러나,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수회로가 접속부를 기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능력은 보수 포오트들을 통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수 회로는 CPVA인테페이스 카아드상의 PNBID2비트를 1로 셋트시킨 다음 비교기(324)가 만족하게 되도록 FLE5가 고레벨로된 호출처리 명령을 발생시키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 능력의 중요성은 CPVB인터페이스 회로를 고찰함으로써 더욱 잘 알게 될수 있다.As in the case of the comparator 323, the comparator 324 receives the LA3, LA4, and FLE5 signals from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This compares LA3 and LA4 to PNBID0 and PNBID1, respectively. The two bits PNBID0 and PNBID1 are hardwired to the primary block as allocated to the block, and may be programmed for the extra block to be the same as the primary block. The FLE5 signal is compared with the PNBID2 generated by the CPVA interface circuit itself. The PNBID2 bit is programmed by the repair circuit to 0 for the block going online and to 1 for the offline block. The common control circuit then forms all normal call processing instructions with the FLE5 bit low (FLE4 high) so that the comparator 324 is saturated. This is a steady state causing the common control circuit to reach the network block to write the connection within. However, as will be clearer, it is desirable for the repair circuit to fill in the connections, but this capability is not provided through the repair ports. Thus, the repair circuit has the ability to set the PNBID2 bit on the CPVA interface card to 1 and then generate a call processing instruction with FLE5 set to high level so that the comparator 324 is satisfied. The importance of this capability can be better understood by considering the CPVB interface circuit.

공통 제어 회로가 보수 모우드에서 특정한 회로망 블럭에 도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이회로는 바람직한 보수 기능을 이루기 위해 해독회로(326)내에 사용된 출력 신호를 만드는 이 블럭내의 비교기(323)을 포화시키는 적당한 어드레스를 출력으로 내보낸다. 예를들어, NAND게이트(327)은 회로망 블럭 보수해독기능 NBMNTRD를 만들도록 저레벨 해독 펄스 LRPL로 보수회로 억세스 코오드를 게이트 시킨다. NAND게이트(328)은 회로망 블럭 보수 기입기능 NBMNTWR을 만들도록 CPVAA2와 저등급 기입펄스 LWR로 보수회로 억세스 신호를 게이트 시킨다.In the case where it is desirable for the common control circuit to reach a particular network block in the maintenance mode, this circuit is suitable for saturating the comparator 323 in this block to produce the output signal used in the decryption circuit 326 to achieve the desired repair function. Export the address to output. For example, the NAND gate 327 gates the repair circuit access code with a low level read pulse LRPL to make the network block repair function NBMNTRD. The NAND gate 328 gates the repair circuit access signal with CPVAA2 and the low-grade write pulse LWR to make the network block repair write function NBMNTWR.

호출처리 비교기(324)의 출력은 바람직한 호출처리 제어신호를 만들도록 기입기능을 따라 게이팅 회로내에서 해독된다. NAND게이트 (330)은 반전기(331)의 출력에서의 CPVAA2*신호와, 회로망 블럭호출처리기입 신호 NBCPWR을 만들기 위한 저레벨 기입신호 LWR로, 비교기(324)에 의해 만들어진 호출처리 억세스 신호를 게이트 시킨다. 또 다른 신호들도 발생되어, 비교기(324)에 의해 해독된 특정한 어드레스에 게이트 되지는 않지만, 동시에 모든 회로망 블럭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신호들은 반전기(333)의 출력에 있는 저레벨 클럭기입 LLCWR*과, 각각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과한 기립펄스나 해독펄스에 의해 작동되는 반전기(334)의 출력에 있는 저레벨 클럭해독 LLCRPL*이다.The output of the call processing comparator 324 is decrypted in the gating circuit along with the write function to produce the desired call processing control signal. The NAND gate 330 gates the call processing access signal generated by the comparator 324 with the CPVAA2 * signal at the output of the inverter 331 and the low level write signal LWR for making the network block call processor write signal NBCPWR. . Further signals are also generated that are not gated to the particular address decrypted by comparator 324, but affect all network blocks at the same time. These signals are the low level clock write LLCWR * at the output of the inverter 333 and the low level clock read LLCRPL * at the output of the inverter 334, which is operated by standing or decode pulse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respectively. .

CPAAAO-CPVAA 2신호를 해독하는 게이팅 회로(320)을 다시 참조하면, AND게이트(340)은 반전기(341)의 출력에 있는 CPVAAO*, 반전기(342)의 출력에 있는 CPVAAI*및 반전기(343)을 통해 게이트(340)으로 가게되고 AND게이트(328)에 의해 해독된 회로망 블럭 보수 기입신호 NBMNTWR을 해독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게이트(340)의 출력은 CPV가 회로망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를 어드레스할때 특히 보수 모우드에서 이 회로망 내의 한 블럭을 어드레스할때, 적당한 형태의 저등급 어드레스 LAO와 LA1비트로 작동된다. AND게이트 (340)의 출력은 비교기 인터페이스 패리티 착오 소거신호 CIPECLR*을 만들도록 게이트(346)에 의해 완충된 CPV데이타 비트3 CPVD3을 통과시키기 위해 NAND게이트(345, 제3b도)를 부분적으로 엔에이블 시킨다.Referring back to CPAAAO-CPVAA 2 signal gating circuit 320 to decode, AND gate 340 is the output CPVAAI * and the inverter in the CPVAAO *, the inverter 342 in the output of the inverter 341, Go to gate 340 via 343 and provide to decrypt the network block complement write signal NBMNTWR, which is decrypted by AND gate 328. Thus, the output of the gate 340 is operated with the appropriate type of low-grade address LAO and LA1 bits when the CPV addresses the network high level interface circuitry, particularly when addressing a block in the network in the maintenance mode. The output of AND gate 340 partially enables NAND gate 345 (FIG. 3b) to pass CPV data bit 3 CPVD3 buffered by gate 346 to produce comparator interface parity error cancellation signal CIPECLR * . Let's do it.

AND게이트 (340)의 출력은 입력 CPVDBO와 CPVDB1을 각각 수신하는 한쌍의 AND게이트(348, 349)도 부분적으로 엔에이블 시킨다. 이 게이트들의 출력들은 고장난 플립-플롭회로(351)을 제어한다. 따라서, AND게이트 (340)이 포화상태로 되면, CPV데이타비트 0은 고장난 플립-플롭회로(351)을 통해셋트 제어되고 CPV데이타 비트 1은 리셋트 제어된다. 플립-플롭 회로가 셋트되면, 이것의 Q출력은 작동 회로망 블럭고장 플립-플롭회로 신호 NBTBLFF를 만들도록 한쌍의 반전기(352, 353)을 통해 작용하는 고레벨로 된다. 또한, 고레벨 Q신호는 고레벨 회로망 블럭 디스에이블 기능 NBDIS를 만들도록 NOR게이트(355)와 반전기 (356)을 통과한다. 이것은 저레벨 멀티플렉서에 귀환버스상의 데이타를 인가시키는 3중-상태구동기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직렬-대-병렬-대-직렬 인터페이스 회로가아드에 결합되는 신호이다. 따라서, 고장난 플립-플롭회로(351)은 셋팅된후에 저레벨 멀티플렉서로의 귀환데이타가 관련된 한 질문시에 회로망 블럭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작용한다. 래치회로를 리셋팅하면 질문시의 블럭은 다시 선상에 놓이게 된다. 고레벨

Figure kpo00002
신호은 데이타흐름을 제어하도록 회로망의 정보 메모리 회로에 사용되는 고레벨 정보메모리 멀티플렉스 석택신호 IMMVXSL을 발생시키도록 반전기(357)로도 통과된다.The output of AND gate 340 also partially enables a pair of AND gates 348 and 349 that receive input CPVDBO and CPVDB1, respectively. The outputs of these gates control the failed flip-flop circuit 351. Therefore, when the AND gate 340 is saturated, the CPV data bit 0 is set controlled through the failed flip-flop circuit 351 and the CPV data bit 1 is reset controlled. When the flip-flop circuit is set, its Q output is at a high level, which acts through a pair of inverters 352 and 353 to produce the working network block failure flip-flop circuit signal NBTBLFF. The high level Q signal also passes through a NOR gate 355 and an inverter 356 to create a high level network block disable function NBDIS. This is a signal in which the series-to-parallel-to-serial interface circuit is coupled to the child so that the tri-state driver that applies data on the feedback bus to the low-level multiplexer does not work. Thus, the failed flip-flop circuit 351, after being set, acts to prevent the network block from working when asked for feedback data to the low-level multiplexer. Resetting the latch circuit puts the block in question back on line. High level
Figure kpo00002
The signal is also passed to inverter 357 to generate a high level information memory multiplexed granular signal IMMVXSL used in the information memory circuitry of the network to control the data flow.

해독회로(320)을 다시 참조하면, 반전기(343)을 통해 결합된 회로망 블럭보수 기입기능 NBMNTWR의 존재시에 CPVAAO 및 AA1이 모두 고레벨로 있을때 포화상태로 되는 또 다른 게이트(360)이 제공된다. AND게이트(360)의 출력은 다수의 AND게이트(362-367)을 부분적으로 엔에이블시키어, 이렇게 어드레스될때 표로세서가 래치회로(370-372)속에 기입하게 한다. 래치회로(370)만이 1차블럭내에 기입되어야하고, 모든 래치회로 들은 여분 블럭에 기입되어야 한다. 작동회로 소자는 래치회로(351)에 관련해서 기술한 것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이것의 배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겠다. CPV데이타 비트 0*는 래치회로(372)를 기입하도록, 즉 래치회로를 셋트시키도록 작용하는 저레벨상태와 래치회로를 리셋트 시키도록 작용하는 고레벨상태를 기입하도록 사용된다.Referring back to the decryption circuit 320, another gate 360 is provided that is saturated when both CPVAAO and AA1 are at high levels in the presence of the network block repair write function NBMNTWR coupled via an inverter 343. . The output of AND gate 360 partially enables a number of AND gates 362-367 to cause the table processor to write into latch circuits 370-372 when addressed this way. Only the latch circuit 370 should be written in the primary block, and all the latch circuits should be written in the spare block. Since the actuating circuit element has the same form a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latch circuit 351, the arrangement thereof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CPV data bit 0 * is used to write the latch circuit 372, i.e., to write the low level state that acts to set the latch circuit and the high level state that acts to reset the latch circuit.

셋트될때, 래치회로(372)의 Q출력은 고레벨 회로망 블럭 IDO 플립-플롭회로 신호 NBDOFF와 대응하는 저레벨 NBDOFF*를 발생시킨다. 래치회로를 리셋팅하면, 반대상태의 것이 발생된다. 이와마찬가지로 CPVBD 1*신호는 셋트할때 고레벨 PNBID2를 발생시키도록 래치회로(371)을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CPV데이타 비트 2CPVDB2*는 셋트할때 고레벨 PNBID 2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래치회로(370)을 기입하는 것을 제어한다. 이제 CPV는 여분블럭에 동일성을 배당하는 래치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시키고 모든 블럭용의 PNBID 2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래치회로(370-372)를 제어한다는 것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When set, the Q output of latch circuit 372 generates a low level NBDOFF * corresponding to the high level network block IDO flip-flop circuit signal NBDOFF. When the latch circuit is reset, the opposite state is generated. Likewise, the CPVBD 1 * signal controls the latch circuit 371 to generate a high level PNBID2 when set. Finally, the CPV data bit 2CPVDB2 * controls writing the latch circuit 370 to generate a high level PNBID 2 signal when set. It will now be appreciated that the CPV controls the latch circuits 370-372 to generate a latch address signal that assigns equality to the redundant block and to control the PNBID 2 state for all blocks.

블럭 동일성의 배당은 다음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1차 블럭의 경우에, 직렬-대-병렬-대-직렬 변환기(제4도)와 CPVA인터페이스회로(제6도)의 입력인 PNBIDO 및 1은 뒷면에 하드와이어된다. 여분 블럭의 경우에, 이 입력들의 상태는 프로그램할 수 있는 래치회로(372, 371)에 의해 제어된다. 모든블럭, 즉 1차 및 여분 블럭의 경우에, PVBID 2는 래치회로(370)에 의해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제어회로는 호출처리기입 명령에 대한 블럭의 ID2비트의 응답을 제어하기 위해 이 블럭의 ID2비트를 프로그램할 수 있다. 이 비트는 원래의 호출처리 기입 명령이나 정반대의 음성을 무시하고서 호출처리 기입 명령을 보수하기 위해 블럭이 응답하게 하도록 프로그램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도, 고장난 래치회로(351)은, 모든블럭, 즉 1차 및 여분블럭의 경우에, 이 회로를 통해흐르는 정보가 관련된 한 회로망의 응답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램 될수 있다. 특정한 블럭에 대한 래치회로가 셋트되면, 래치회로(351)에 의해 발생된 고레벨 NBDIS신호는 PCM정보흐름이 관련된 한 오프라인으로 되도록 블럭 출력을 간단히 디스에이블시키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직렬-대-병렬-대-직렬 변환기(제4도)를 제어한다.The allocation of block identity is done in the following way. In the case of the primary block, PNBIDO and 1, the inputs of the serial-to-parallel-to-serial converter (FIG. 4) and the CPVA interface circuit (FIG. 6), are hardwired on the back side. In the case of redundant blocks, the state of these inputs is controlled by programmable latch circuits 372 and 371. In the case of all blocks, ie primary and redundant blocks, PVBID 2 can be programmed by latch circuit 370. The control circuitry can program the ID2 bits of the block to control the response of the ID2 bits of the block to the call processor write command. This bit can be programmed to cause the block to respond in order to repair the call handling write command, ignoring the original call handling write command or vice versa. Finally, the failed latch circuit 351 can be programmed to control the response of one network to which all the information flows through this circuit, i.e. primary and redundant blocks. Once the latch circuit for a particular block is set, the high-level NBDIS signal generated by the latch circuit 351 is serial-to-parallel-as described above to simply disable the block output so that the PCM information flow is offline as long as it is relevant. To control the serial-to-serial converter (FIG. 4).

이러한 배열은 상당한 융통성을 제공한다.This arrangement provides considerable flexibility.

회로망을 통하여 흐르는 PCM정보에 대해 고찰하면 회로망형태는 각각의 고장난 래치회로들에 의해제어된다. 이 래치회로들은 한블럭이 항상 오프-라인으로 되어 한번에 선상에 블럭의 전체 보충물을 유지시키도록 프로그램된다.Considering the PCM information flowing through the network, the network type is controlled by the respective failed latch circuits. These latch circuits are programmed so that one block is always off-line to hold the entire refill of the block on line at one time.

제어회로에 의해 각각의 회로망 블럭에 도달하는 것은 고장난 래치회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회로는 하드와이어된 어드레스 및 비교기(323)에 의해 보수모우드에서 블럭에 선택적으로 도달할 수 있다. PNBID 2비트의 적당한 수정에 의한 제어회로는 온-라인 블럭에, 오프-라인 블럭에, 또는 이러한 2개의 블럭에 병렬로 접속부를 기입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부들은 보수모우드나 초기호출처리 모우드에서 기입될 수 있다.Reaching each network block by the control circuit is not limited by the failed latch circuit. The control circuitry can selectively reach blocks in the maintenance mode by hardwired addresses and comparators 323. A control circuit with a suitable modification of the PNBID 2 bits can write connections in on-line blocks, in off-line blocks, or in parallel to these two blocks. These connections can be entered in either the maintenance mode or the initial call processing mode.

일예로서, 보수회로가 고레벨 PNBID 2신호를 제공하도록 특정한 블럭용의 래치회로(370)을 셋트하고, FLE5가 초기호출처리 기입주기 동안 항상 저레벨로 있는 경우에, 이 블럭은 이러한 명령에 응답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보수회로가 1차 블럭의 동일성을 여분 블럭에 배당하고 1차 블럭 속이아니라 여분블럭속으로 접속부를 기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에 1차 블럭이 호출처리 기입명령에 응답하지 못하도록 간단하게 PNBID 2를 1차 블럭의 경우에는 고레벨로 씻트시키고 여분블럭의 경우에는 저레벨로 셋트시킬 수 있다. . 이것은 1차 블럭이 접속부를 보수할 때 작용하더라도 행해질 수 있다. 1차 블럭이 호출처리 기입주기에 다시 응답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PNBID 2는 비교기(324)가 다시 응답하도록 보수회로에 의해 저레벨로 복귀한다. 선택적으로, 보수회로는 PNBID 2를 여분블럭의 경우에는 고레벨로 셋트시키고 1차블럭의 경우에는 저레벨로 셋트시킬 수 있으며, 1차 블럭이 아니라 여분블럭내에 접속부를 기입하기 위해 보수호출처리 명령을 사용한다. 제어회로는 메모리 지역과 같이 호출처리중에 회로망을 간단하게 어드레스 하므로, 보수회로는 이 지역이 1차 블럭, 여분블럭 또는 이 2개의 블럭응답을 어드레스 하도록 회로망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호출처리가 블럭을 스위치한 후에 상이한 하드웨어편을 어드레싱하더라도, 명령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다.As an example, if the repair circuit sets the latch circuit 370 for a particular block to provide a high level PNBID 2 signal, and FLE5 is always at a low level during the initial call processing write period, this block may not respond to this command. none. Therefore, if it is desired that the repair circuit allocates the identity of the primary block to the spare block and writes the connection into the spare block rather than in the primary block, it is simply PNBID 2 to prevent the primary block from responding to the call processing write command. Can be washed to a high level for the primary block and to a low level for the extra block. . This can be done even if the primary block acts when repairing the connection. If it is desirable for the primary block to respond back to the call processing write period, then PNBID 2 is returned to the low level by the complement circuit for the comparator 324 to respond again. Optionally, the repair circuit can set PNBID 2 to a high level in the case of redundant blocks and to a low level in the case of the primary block, and use a maintenance call processing instruction to write the connection into the spare block rather than the primary block. do. Since the control circuit simply addresses the network during call processing, such as a memory area, the repair circuit can form a network such that the area addresses the primary block, redundant block, or these two block responses. Therefore, even if the call processing addresses different pieces of hardware after switching blocks,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instruction.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블럭 동일성의 프로그래밍은 공통제어회로에 의해 자동적으로 또는 기술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수 모우드에서, 제어 컴플렉스는 여분블럭과 1차 블럭을 교환하기 위해 래치회로(351, 370-372)를 기입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이것을 이루기 위한 능력은 회로망 프레임에 관련된 보수판넬에 의해 수동으로 제공된다. 이 판넬은 푸시버튼 스위치(380-387)의 어레이로서 제6b도에 간단하게 도시한 동일 및 고장 플립-플롭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스위치들은 래치회로(351, 370-372)중의 관련된 래치회로 셋트시키거나 리셋트 시키는 관련된 부(-) 논리 NAND게이트(388-395)에 입력을 제공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gramming of block identity can be done automatically by a common control circuit or manually by a technician. As described above, in the maintenance mode, the control complex has the ability to write latch circuits 351 and 370-372 to exchange spare blocks and primary blocks. The ability to accomplish this is provided manually by the maintenance panel associated with the network frame. This panel provides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faulty flip-flop circuits shown briefly in FIG. 6B as an array of pushbutton switches 380-387. These switches provide inputs to the associated negative logic NAND gates 388-395 that set or reset the associated latch circuits in the latch circuits 351, 370-372.

NAND게이트(388-395)용의 억제신호는 특정한 CPVA인터페이스회로가 보수모우드에 관련될때 수동으로 스위칭되지 못하게 하기 위해 보수 해독기(323)의 출력에 의해 제공된다. 그러나, 다른시간에, 상기에 언급한 NAND게이트들은 모두 스위치(380-387)중의 어느한 스치를 누름으로써 관련된 래치회로가 응답하도록 부분적으로 엔에이블된다, 예를들어, 스위치(380)을 누르면 래치회로(370)에 결합되는 보수판넬회로망 블럭 표시비트 2셋트기능 MPNBID 2S*가 생기게되어, 이것의 Q출력은 고레벨로 스위치된다. 스위치(381)은 플립-플롭 회로를 리셋트시키도록 작용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치(382와 383)은 ID1 플립-플롭회로(371)을 셋트 및 리셋트시키고 스위치(384, 385)는 IDO플립-플롭회로(372)를 각각 셋트 및 리셋트시킨다. 마치막으로, 스위치(386, 387)은 고장난 플립-플롭회로(386, 387)을 각각 셋트 및 리세트시킨다. 따라서, 기술자들은 여분 회로망 블럭에 동일성을 배당할 수 있고, 1차 블럭과 여분블럭을 교환할 수 있으며, PCM정보의 제어 및 스위칭에 관련해서 블럭 온 또는 오프라인을 선택적으로 스위치할 수 있다.A suppression signal for the NAND gates 388-395 is provided by the output of the complement decoder 323 to prevent certain CPVA interface circuits from being manually switched when associated with the complement mode. However, at other times, the above-mentioned NAND gates are all partially enabled for the associated latch circuit to respond by pressing any of the switches 380-387, for example, pressing switch 380 will latch. Two sets of complementary panel network block indication bits MPNBID 2S * coupled to circuit 370 are generated, so that its Q output is switched to a high level. The switch 381 acts to reset the flip-flop circuit. Similarly, switches 382 and 383 set and reset ID1 flip-flop circuits 371 and switches 384 and 385 set and reset IDO flip-flop circuits 372, respectively. Finally, switches 386 and 387 set and reset the failed flip-flop circuits 386 and 387, respectively. Therefore, the technicians can assign the sameness to the redundant network block, exchange the redundant block with the primary block, and can selectively switch block on or offline with respect to control and switching of PCM information.

제7a도-제7e도를 참조하면, CPVB인터페이스(77)의 회로가 도시되어있다. 상기에 주지한 바와 같이, CPVB인터페이스회로는 보수 및 호출처리모우드에서 동작한다. 고레벨 인터페이스회로에 CPVB인터페이스회로를 결합시키는 데이타 버스는(400, 제7a)도)으로 표시되어 있고, 카피0 및 카피1 고레벨 인터페이스회로용의 저등급 데이타 비트 및 패리티 LDO-LD7, LDP를 포함한다. 이 신호들은 반전기(402)를 통해 결합된 HLA*/1신호에 의해 구동된 선택기 입력을 가진 2대 1 멀티플랙서에 결합된다. 따라서, 활성 고레벨 인터페이스회로로 부터의 데이타 비트 DC-D7과 패리티 DP는 멀티플렉서(401)의 출력에서 나타난다. 패리티는 착오의 검출에 응답하여 CPVBDPE패리티 착오신호를 만드는 패리티 검사기(404)에 의해 검사된다. 이에데 이타 비트 D0-D6는 저등급 데이타 레지스터(405)와 고등급 데이타 레지스터(406)에 입력으로서 접속된다(제7b도). 이와마찬가지로, 데이타 비트 D0-D7은 저등급 어드레스 레지스터(407)에 결합되고 데이타비트 D0-D5는 고등급 어드레스 레지스터(408)에 결합된다(제7G도).7A-7E, a circuit of CPVB interface 77 is shown. As noted above, the CPVB interface circuitry operates in the maintenance and call processing mode. The data bus that couples the CPVB interface circuit to th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is shown in (400, 7a) and includes low-grade data bits and parity LDO-LD7, LDP for copy 0 and copy 1 high level interface circuits. . These signals are coupled to a two-to-one multiplexer with a selector input driven by an HLA * / 1 signal coupled through an inverter 402. Thus, data bits DC-D7 and parity DP from the active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appear at the output of multiplexer 401. Parity is checked by parity checker 404 which generates a CPVBDPE parity error signal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an error. The data bits D0-D6 are thus connected as inputs to the low grade data register 405 and the high grade data register 406 (Fig. 7B). Likewise, data bits D0-D7 are coupled to the low grade address register 407 and data bits D0-D5 are coupled to the high grade address register 408 (FIG. 7G).

따라서, 특정한 회로망 블럭이 어드레스되면, 제어 컴플렉스는 상기에 언급한 4개의 레지스터 속에 각각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부하시키는 능력을 갖는다. 이것을 이루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에 기술하겠다.Thus, once a particular network block is addressed, the control complex has the ability to selectively load data into each of the four registers mentioned above. How to accomplish this is described next.

순간적으로 데이타는 형성된 회로망 슬롯트수를 나타내는 저 및 고등급 데이타 레지스터에 부하되고 다른 데이타는 접속부가 기입될 접속메모리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고 및 저등급 어드래스 레지스터에 부하된다고 말해 두겠다.At the moment, it will be said that data is loaded into the low and high grade data registers representing the number of network slots formed and other data is loaded into the high and low grade address registers representing the connection memory addresses to which the connection is to be written.

우선 어드레스 레지스터(407, 408)을 참조하면, 이것들의 출력은 3중상태 구동기 어레이(410, 제7d도)이, 신호가 반전기(412)를 통해 구동기의 엔에이블링 입력으로 가게 되는 비트계수기(411)용의 QD출력에 의해 작동될때, 이 3중-상태구동기 어레이(410)를 지나간다. 이때, 이 데이타는 계수기(414) 속에 병렬로 부하될 수 있다. 계수기 출력들은 접속메모리 어드레스신호 CMA 0*-CMA 9*, 접속메모리 데이타 래치신호 CMDL*, 및 이중 반전기(416, 417)을 통해, 접속 메모리 패리티 착오 클럭신호 CMPECLK*를 제공하도록 반전구동기(415)에 의해 완충된다.Referring first to the address registers 407 and 408, their outputs are the bit counters in which the tri-state driver array 410 (Fig. 7d) passes the signal through the inverter 412 to the enabling input of the driver. When operated by the Q D output for 411, it passes through this tri-state driver array 410. This data can then be loaded in parallel into counter 414. The counter outputs are inverted by the inversion driver 415 to provide the connection memory parity error clock signal CMPECLK * through the connection memory address signals CMA 0 * -CMA 9 * , the connection memory data latch signal CMDL * , and the double inverters 416, 417. Is buffered).

이와 유사한 형태로, 저등급 및 고등급 데이타 레지스터(405, 406)의 출력들은 접속 메모리 데이타 신호 CMD 0*-CMD 5*, CMD 7*-CMD 12*, 및 저등급 및 고등급 패리티 비트 CMDPLO*및 CMDPHI*를 만들도록 반전구동기(420)을 통해 결합된다. 어레이(420)내의 구동기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CPVA인터페이스 회로의 기능으로 사용되는 CPV 데이타비트 CPVBD 0*-CPVBD 3*를 만들도록 직접 데이타 비트 D0-D3을 수신한다. 이 비트들의 기능중에는 확인 및 고장 래치회로(370-372, 351)을 셋팅 및 리셋팅 하는 기능도 있다.Similarly, the outputs of the low and high grade data registers 405 and 406 are connected memory data signals CMD 0 * -CMD 5 * , CMD 7 * -CMD 12 * , and the low and high grade parity bits CMDPLO *. And through inverting driver 420 to make CMDPHI * . Drivers in array 420 directly receive data bits D0-D3 to make CPV data bits CPVBD 0 * -CPVBD 3 * used as a function of the CPVA interface circuit as described above. One of the functions of these bits is to set and reset the check and fault latch circuits 370-372 and 351.

지금까지 기술한 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전에, 우선 접속메모리내의 기입접속부의 동작시에 사용되는 한쌍의 해독기(425, 426, 제7도)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고 및 저등급 어드레스 및 데이타 레지스터가 완전하게 되면, 비교기들은 접속메모리 0 또는 접속부 메모리 1용의 기입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고등급 어드레스 레지스터내의 특정한 비트에 응답한다.Before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described so far, first, a pair of decoders 425, 426, and FIG. 7 used in the operation of the write connection unit in the connection memory will be described. Once the high and low class address and data registers are complete, the comparators respond to specific bits in the high class address register to generate a write signal for connection memory 0 or connection memory 1.

이 경우에, 접속메모리는 여분이 아니고, 회로망이 3개의 포오트 비교를 형성할 때 제공되는 한쌍의 접속메모리로 된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memory is not redundant, but a pair of connection memories provided when the network forms three port comparisons.

따라서, 3개의 포오트를 비교할 때에는, 부분 2 및 3의 회로망 슬롯트 수를 각각 접속메모리 0 및 1 내의 부분 1 위치에 기입해야 한다. 이와 유사한 접속부들은 3개의 부분에 각각 기입된다.Therefore, when comparing three ports, the number of network slots of the parts 2 and 3 should be written in the part 1 positions in the connection memories 0 and 1, respectively. Similar connections are written in each of the three parts.

비교기(425, 426)을 참조하면, 엔에이블입력은, 다음에 더욱 사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4개의 완충기 레지스터가 기입될 접속부용 데이타를 적재할때 고 완충기 전체신호를 만드는 완충기 전체 래치회로(428)의 출력에 의해 구동된다. 엔에이블될때, 2개의 비교기(425, 426)은 모두 고등급 어드레스 레지스터(408)의 3Q, 4Q 및 6Q 출력을 각각 PNBID 0, PNBID 1 및 PNBID 2에 대해 비교한다. 그러므로, 그등급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제3 및 제 4비트들은 회로망 블럭확인 쿄오드에 대해 비교되고, 1차블럭의 경우에는 하드와이어되며, 여분블럭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된다. 6번째 비트는, CPVA 인터페이스회로상의 비교기(323, 324)에 의해 부과된 제한을 상기하면, 정상 호출처리 기입극기의 경우에 0으로 되어야 하고 보수 호출처리기임주기의 경우에 1로 되어야 하는 프로그램된 PNBID 2 기능에 대해서 비교된다.Referring to the comparators 425 and 426, the enable input is a buffer full latch circuit 428 that produces a high buffer total signal when loading data for a connection into which four buffer registers are to be written,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Driven by the output of When enabled, the two comparators 425 and 426 both compare the 3Q, 4Q and 6Q outputs of the high order address register 408 against PNBID 0, PNBID 1 and PNBID 2, respectively. Therefore, the third and fourth bits of the class address register are compared against the network block check kyode, hardwired for the primary block, and programmed for the redundant block. The sixth bit is programmed to be zero in case of normal call handling write pole and 1 in case of complement call handler recall, recalling the limitation imposed by comparators 323, 324 on the CPVA interface circuit. The PNBID 2 function is compared.

마지막으로, 고등급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5번째 비트는 비교기(425)내의 0과 비교기(426)내의 1에 비교된다. 이 5번째 비트는 접속부 메모리 0 또는 1을 선택하도록 프로그램되므로, 0일 경우에는 비교기(425)가 포화상태로 되고, 1일 경우에는 비교기(426)이 포화상태로 된다. 비교기(425, 426)의 출력은 각각의 접속메모리 기입신호 CMOWR과 CMIWR을 형성하도록 (432, 433)에서 게이트된 출력을 가진 각각의 래치회로(430, 431)의 D입력에 결합된다. 또한, 이 게이트들의 출력은 기입회로의 부분들을 리셋트 시키도록 사용된 클리어 CLR 신호를 만드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36)을 클럭시키는 출력을 가진 NOR 게이트(434)에 제공된다.Finally, the fifth bit of the high order address register is compared to zero in comparator 425 and one in comparator 426. This fifth bit is programmed to select connection memory 0 or 1, so if 0, the comparator 425 is saturated, and if 1, the comparator 426 is saturated. The outputs of the comparators 425 and 426 are coupled to the D inputs of the respective latch circuits 430 and 431 having the output gated at 432 and 433 to form respective connection memory write signals CMOWR and CMIWR. In addition, the output of these gates is provided to a NOR gate 434 having an output that clocks a monostable multivibrator 436 that produces a clear CLR signal used to reset portions of the write circuit.

나머지회로 소자들의 구조 및 기능은 동작주기를 설명함으로서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다. CPVB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접속부를 기입하는 동안 뿐만 아니라, 정보 메모리를 어드레스하도록 이 정보를 사용하기 위해 접속 메모리내의 위치가 이미 기입된 접속부를 해독하도록 차례대로 어드레스 되는 회로망의 정상주기동안, 접속메모리를 어드레스 하도록 작용한다. 각각의 회로망 블럭은 772개의 시간 슬롯트를 갖고 있는데, 768개의 시간슬롯트는 작동 채널에 제공되고 4개의 시간 슬롯트 프레밍(framing)에 손실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4개의 프레밍 시간슬롯트 동안 작동채널이 어드레스되지 않으면, 접속메모리가 공통 제어회로로부터 새로운 접속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remaining circuit elements can be seen more clearly by explaining the operation cycle. As described above, the CPVB interface circuit not only not only writes a new connection, but also during the normal period of the network in which a position in the connection memory is sequentially addressed to decrypt the already written connection for using this information to address the information memory, It acts to address the connection memory. Each network block has 772 timeslots, with 768 timeslots provided to the working channel and lost to 4 timeslot framing. In an exemplary embodiment, if the operating channel is not addressed during the four framing timeslots, the connection memory can receive new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common control circuit.

마지막으로, 계수기(414)는 호출처리용의 접속메모리 위치를 차례대로 어드레싱하고, 새로운 접속부를 기입하도록 리셋트 기간의 프레밍중에 특정한 위치를 어드레싱하기 위해 사용된다.Finally, counter 414 is used to address the connection memory locations for call processing in turn, and to address specific locations during framing of the reset period to write new connections.

이점에 감안하면, 게수기(414)가 모듈로(4096) 계수기로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계수기는 저레벨클럭에 의해 만들어진 41nsec 클럭신호에 의해 클럭되고, 저레벨 클럭으로부터 생기는 다른 신호에 의해 리셋트 기간동안 종료되는 주기를 갖는다. 리셋트 펄스는 폭이 648nsec이고 기간은 125μsec이다.In view of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water collector 414 is formed with a modulo 4096 counter. This counter is clocked by the 41 nsec clock signal produced by the low level clock and has a period which is terminated during the reset period by another signal resulting from the low level clock. The reset pulse is 648nsec wide and 125μsec in duration.

리셋트 기간의 초기이고, 접속데이타가 접속 메모리속에 기입하기 위해 레지스터 속에 적재되지 않는다고 갖어하면, 리셋트신호 CMRST는 플립-플롭 회로(441)의 D입력에서 나타나도록 반전기(440)에 의해 반전된다. 이 신호는 반전기(442)에 의해 반전된 저레벨 접속메모리 81μsec 클럭 LCM 81*의 제어상태하에 80μsec 후에 플립-플롭 회로속에 클럭된다. 따라서 , 플립-플롭 회로(441)의 Q출력은 저레벨로 구동되고, 이 저레벨 출력은 제2플립-플롭회로(444)의 D입력에서 나타난다. 이 저레벨 출력은 반전기(445)에 의해 반전된 LCM 41*에 의해 41nsec 후에 플립-플롭 회로(444)속에 클럭된다. 플립-플롭 회로(444)의 저레벨 Q출력은 계수기(414)의 부하입력에 제공된다. 다음에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648μsec리셋트 펄스 CMRST의 제2반주기 동안, 3종-상태 구동기(410)은 디스에이블된다. 이 상태에서, 모든 계수기 입력들은 이 게수기에 접속된 플-업(pull-up) 저항기들에 의해 고레벨로 된다. 따라서, 계수기(414)의 클럭입력이 인가된 다음의 41nsec 클럭펄스 LCM 41은 이 계수기 속에 모두 1을 클럭시킨다. 리셋트펄스가 종료될때, 즉 CMRST가 저레벨로 복귀될때, 이 신호는 계수기(414)로부터 부하신호를 제거하기 전에와 같이 플립-플롭회로(441,444)를 통해 클럭된다. 계수기 상태는 모두 1로 유지되기 때문에, 다음의 41μsec 클럭펄스는 계수기를 계수 0으로 전진시키어, 어드레스라인 CMA 0*-CMA 9*를 통해 접속메모린의 제1위치를 어드레싱한다. 각각의 시간 슬롯트는 폭이 132μsec이고, 계수기(414)은 41μsec비로 클럭되므로, 최저비트가 계수기의 제3단으로부터 생기는 접속메모리 어드레스가 162μsec 기간에 변한다. 계수기(414)의 제2비트는, 각각의 162μsec 기간의 81μsec 지점에서 CMDL*신호가 정-대-부 변환을 제공하도록 CDML*신호를 만들도록 반전된다.If it is the beginning of the reset period and the connection data is not loaded into the register for writing into the connection memory, the reset signal CMRST is inverted by the inverter 440 to appear at the D input of the flip-flop circuit 441. do. This signal is clocked into the flip-flop circuit after 80 mu sec under the control state of the low level connection memory 81 mu sec clock LCM 81 * inverted by the inverter 442. Accordingly, the Q output of the flip-flop circuit 441 is driven to a low level, and this low level output appears at the D input of the second flip-flop circuit 444. This low level output is clocked into flip-flop circuit 444 after 41 nsec by LCM 41 * inverted by inverter 445. The low level Q output of flip-flop circuit 444 is provided to the load input of counter 414. As will be seen more clearly below, during the second half period of each 648 μsec reset pulse CMRST, the three-state driver 410 is disabled. In this state, all counter inputs are brought to high level by pull-up resistors connected to this counter. Accordingly, the 41 nsec clock pulse LCM 41 following the clock input of the counter 414 clocks all 1s in this counter. When the reset pulse ends, i.e., when the CMRST returns to low level, this signal is clocked through the flip-flop circuits 441 and 444 as before removing the load signal from the counter 414. Since the counter states are all kept at 1, the next 41 [mu] sec clock pulse advances the counter to coefficient 0, addressing the first position of the connected memoline through the address lines CMA 0 * -CMA 9 * . Each time slot has a width of 132 μsec and the counter 414 is clocked at a 41 μsec ratio, so that the connected memory address whose lowest bit comes from the third stage of the counter changes in a 162 μsec period. The second bit of counter 414 is inverted to produce a CDML * signal such that the CMDL * signal provides a positive-to-subconversion at 81μsec points of each 162μsec period.

이 신호의 기능은 어드레스된 접속메모리 위치로부터 해독되는 데이타를 래치시키는 것이므로, 래치된 데이타는 접속된 부분으로부터 샘플을 해독하기 위해 정보메모리를 어드레스 하는데 사용된다.Since the function of this signal is to latch data to be decoded from the addressed connected memory location, the latched data is used to address the information memory to decode a sample from the connected portion.

162μsec 기간이 끝날때, 계수기(414)의 제2비트는 다시 스위치되어, 접속메모리 카아드로부터 패리티착오상태를 래치시키도록 작용하는 접속메모리패피티 착오 클럭신호 CMPECLK*의 정-대-부 변환을 야기시키도록 반전기(416, 417)을 통해 작동한다. 이때, 접속메모리 어드레스는 1만큼 증분된다.At the end of the 162 μsec period, the second bit of the counter 414 is switched again to perform positive-to-negative conversion of the connection memory parity error clock signal CMPECLK * , which acts to latch the parity error state from the connection memory card. Actuates through inverters 416 and 417 to cause it. At this time, the connection memory address is incremented by one.

게수 767이 끝날때 진연된 리셋트 펄스는 다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계수기내에 모든 1을 부하시킨다.At the end of the number 767 the extended reset pulse again loads all 1s in the counter as already described.

이때 접속메모리의 768개의위치는 모두 해독되고 주기는 새롭게 되기 시작한다.At this time, all 768 positions of the connected memory are decoded and the cycle starts to be renewed.

새로운 접속부가 가입되는 경우의 대응주기를 설명하기 전이, 데이타 및 어드레스 레지스터가 접속메모리 기입주기전에 부하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겠다. 통과시에 이 부하동작이 취해질 수 있고 계수기(414)는 접속부 메모리의 순차 어드레싱시에 작동된다.Before describing the correspondence period when a new connection is joined,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how the data and address registers are loaded before the connection memory write cycle. This load operation can be taken upon passing and the counter 414 is activated upon sequential addressing of the connection memory.

어드레스 및 데이타 레지스터의 부하는 (450)으로 표시된 해독회로의 제어상태하에 된다. 제6도를 참조해서 기술한 CPVA 어드레스비트 CPVAA,O*CPVAA 1*은,질문시에 4개의 레지스터를 부하시키기 위해서 회로망 블럭호출처리기입 NBCPWR로 해독되어 게이트 된다. 제1기입동작을 하기 위해, CPVAA 0*와 CPVAA 1*은 NBCPWR이 고레벨로 흔들릴 때 AND게이트(451)이고 동급어드레스 레지스터(408) 속에 대이타비트 D0-D5를 클럭시키기 위해 포화상태로 되도록, 고레벨로 된다. 제2기입동작을 하기 위해서, CPVAA 0*은 저레벨로 되고, CPVAA 1*은, NBCPWR이 존재할 때, AND 게이트(452)가 저등급 어드레스 레지스터(407)속에 데이타 비트 D0-D7을 클럭킹하기 위해 포화상태로 되도록, 고레벨로 유지된다.The load of the address and data registers is under the control state of the readout circuit indicated by 450. The CPVA address bits CPVAA, O * CPVAA 1 *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re decoded and gated by the network block call processor NBCPWR in order to load four registers at the time of question. For the first write operation, CPVAA 0 * and CPVAA 1 * are AND gate 451 when NBCPWR is shaken to a high level and saturated to clock bittabits D0-D5 in the class address register 408, It becomes a high level. For the second write operation, CPVAA 0 * goes low and CPVAA 1 * saturates when AND gate 452 clocks data bits D0-D7 into low-grade address register 407 when NBCPWR is present. It is kept at a high level so as to be in a state.

따라서, 이때 저등급 어드레스 레지스터는 접속메모리 어드레스 비트 0-9, ID 0과 ID 1에 대응하는 2개의 비트, 기입하기 위해 접속부 메모리 0 또는 접속부 메모리 1을 선택하는 비트, 및 보수 호출처리 기입주기로부터 호출처리를 식별하는 PNIB2 비트를 포함한다.Thus, at this time, the low-level address register is selected from connection memory address bits 0-9, two bits corresponding to ID 0 and ID 1, bits for selecting connection memory 0 or connection memory 1 to write, and complementary call processing write cycles. Contains the PNIB2 bit that identifies the call processing.

부하주기의 제3부분의 경우에, CPVAA*는 고레벨로 되고 CPVAA 1*은 저레벨로 되므로, NBCPWR이 존재할때, AND 게이트(453)은 포화상태로 된다. 이 게이트의 출력은 고등급 데이타 레지스터의 클럭입력에 접속되므로, 이 레지스터 속에 비트 D0-D6을 클럭킹시키게 된다.In the case of the third part of the load cycle, CPVAA * goes to high level and CPVAA 1 * goes to low level, so when NBCPWR is present, AND gate 453 is saturated. The output of this gate is connected to the clock input of the high-level data register, thereby clocking bits D0-D6 into this register.

마지막으로, 기입주기의 제4부분의 경우에 CPVAA 0*와 CPVAA 1은 모두 고레벨로 되므로, NBCPWR이 존재할때, AND게이트(454)는 저등급 데이타 레지스터(405) 속에 데이타 비트 D0-D6을 클럭시키도록 포화상태로 된다. 이때 이 데이타 레지스터는 접속메모리 속에 기입될 접속부를 나타내는 데이타의 2개의 바이트(각각 패리티를 가짐)를 포함한다. 데이타 비트 D7은 항상 최종 기입주기동안 고레벨로 되고 AND 게이트(454)에 의해 구동된 클럭입력을 갖고 있는 완충기 전체 래치회로(428)의 D입력에 제공된다.따라서, 부하주기의 제4위상동안, 완충기 전체 레지스터(428)은 고완충기 전체 BFL 신호를 만드는 Q출력을 고레벨로 구동시키도록 클럭된다. 이 신호는 비교기(425 또는 426)이 고등급 어드레스 비트 레지스터의 상태에 따라서 고레벨신호를 만들도록 비교기(425, 426)이 고등급 어드레스 비트 레지스터의 상태에 따라서 고레벨신호를 만들도록 비교기(425, 426)을 엔에이블 시킨다. 엔에이블 되는 비교기는 접속메모리가 기입되는 것에 좌우된다. 출력신호는 다음에 기술할 리셋트 기간을 준비할때 플립-플롭 화로(430 또는 431)의 대응 Q입력에 유지된다.Finally, in the case of the fourth part of the write period, both CPVAA 0 * and CPVAA 1 are at high level, so when NBCPWR is present, AND gate 454 clocks data bits D0-D6 into low-grade data register 405. To be saturated. This data register then contains two bytes (each of which has parity) of data representing a connection portion to be written into the connection memory. Data bit D7 is always supplied to the D input of the buffer full latch circuit 428, which has a high level during the last write period and has a clock input driven by AND gate 454. Thus, during the fourth phase of the load period, The buffer full register 428 is clocked to drive the Q output to a high level, creating a high buffer full BFL signal. This signal allows the comparators 425 and 426 to produce a high leve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high grade address bit register so that the comparators 425 and 426 produce a high leve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high grade address bit register. Enable). The comparator that is enabled depends on the connection memory being written. The output signal is held at the corresponding Q input of the flip-flop furnace 430 or 431 in preparation for the reset period to be described next.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CMRST가 증가한지 121μsec 후에, 플립-플롭 회로(441)로부터의 저레벨 신호는 플립-플롭 회로(444) 속에 클럭되어, 이 회로의 Q출력을 저레벨로 구동시키고

Figure kpo00003
출력은 고레벨로 구동시킨다.
Figure kpo00004
출력의 증가연부는 플립-플롭 회로(430, 431)을 클럭시키므로, 한 입력, 즉 플립-플롭 회로(430)의 입력에 나타나는 고레벨 신호는 이것의 Q출력을 고레벨로 구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고레벨
Figure kpo00005
출력은 4개의 비트 계수기(411)에 인가된 부하를 제거시키도록, 이 계수기를 해독하게 되어, 모든 동작동안 이것의 출력들을 모두 1로 유지시킨다. 41μsec 후인 LCM 41의 다음 이송시에, 계수기(433)은 모두 0상태로 클럭된다. 반전기(412)에 의해 반전된 저레벨 QD는 3중-상태구동기(410)의 엔에이블 입력에 인가된다. 계수기(414)의 부하입력은 플립-플롭 회로(444)가 계수기(414)의 클럭-입력에 인가된 다음의 41μsec 클럭펄스의 상태를 변환시킬때 저레벨로 스위치 되었기 때문에 저등급 및 고등급 어드레스 비트레지스터로부터의 데이타는 3중-상태 구동기를 통과하여 계수기(414)에 클럭된다.As already described, 121 μsec after the CMRST is increased, the low level signal from the flip-flop circuit 441 is clocked into the flip-flop circuit 444 to drive the Q output of the circuit to a low level.
Figure kpo00003
The output is driven to a high level.
Figure kpo00004
Since the increasing edge of the output clocks the flip-flop circuits 430 and 431, a high level signal appearing at one input, i.e., the input of the flip-flop circuit 430, drives its Q output to a high level. At the same time, high level
Figure kpo00005
The output is decoded to remove the load applied to the four bit counter 411, keeping its outputs all 1 during all operations. On the next transfer of LCM 41, 41 μsec later, the counter 433 is all clocked to zero. The low level Q D inverted by the inverter 412 is applied to the enable input of the tri-state driver 410. The low and high class address bits are loaded at the counter 414 because the flip-flop circuit 444 was switched to low level when the flip-flop circuit 444 transitioned the state of the next 41 μsec clock pulse applied to the clock-in of the counter 414. Data from the register is clocked into the counter 414 through a three-state driver.

이 결과로, 계수기(414)는 레지스터(407, 408)속에 이미 부하된 어드레스를 이송시키고 구동기(415)의 출력은 접속메모리내의 이 위치를 어드레스한다. 계수기(414)를 부하시킨 클럭펄스는 계수기(411)을 계수1로 전진시킨다.As a result, the counter 414 transfers the address already loaded into the registers 407 and 408 and the output of the driver 415 addresses this position in the connection memory. The clock pulse loaded with the counter 414 advances the counter 411 to the coefficient 1.

다음의 클럭펄스는 계수기(4110의 QD출력이 3중-상태 구동기를 계속 작동시키기 때문에 계수기(414)의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게 되므로, 계수기(414)의 병렬입력에 특정한 어드레스를 계속 인가하게 된다.The next clock pulse does not change the state of the counter 414 because the Q D output of the counter 4110 continues to operate the triple-state driver, so that a specific address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parallel input of the counter 414. .

그러나 게수기(411)은 계속 41μsec 클럭펄스를 계수한다. 계수 4에 도달하면, 고레벨 Qc출력은 플립-플롭 회로(430)의 고레벨 Q출력에 관련해서, 접속메모리 O기입신호 CMOWR을 만들도록 AND 게이트(432)를 포화상태로 만드는 반전기(460)에 의해서 반전된 QD로 게이트된다. 따라서 래치회로(405, 406)에 유지되는 데이타는 계수기(414)에 유지되는 어드레스에서 접속부 메모리 0 속에 기입된다.However, the multiplier 411 continues to count 41 μsec clock pulses. When the coefficient 4 is reached, the high level Q c output is related to the high level Q output of the flip-flop circuit 430 to invert the AND gate 432 to saturate the AND gate 432 to produce the connection memory O write signal CMOWR. Gated to Q D inverted by. Therefore, data held in the latch circuits 405 and 406 is written into the connection memory 0 at the address held in the counter 414.

기입신호는 게수기(411)이 계수 8로 전진될때까지 유지되기 때문에 16μsec 기간으로 된다. 이것이 발생하면, 게이트(432)는 계수기(411)의 출력 QD상의 고레벨 신호에 의해 3중-상태 구동기(410)과 같이 디스에이블 된다. 다음의 41μsec 클럭 펄스는 계수기(414)를 모두 1로 부하시킨다. CMRST가 저레벨로 복귀된 후, 모든 접속 메모리 어드레스의 주사 주기는 처음에 기술한 바와 같이 완성된다. 이때 CMOWR 신호는 접속 메모리를 기입하기 위해 고레벨로 스위치되고, NOR 게이트(434)는 800μsec의 공칭기간을 가진원 쇼트 멀티바이브레이터(436)을 트리거시키도록 포화상태로 된다. 원 쇼트 멀티바이브레이터(436)의 출력은 NOR 게이트(438,437)을 통해 플립-플롭회로(430, 431)의 클리어 입력뿐만 아니라 완충기 전체 플립-플롭 회로(428)의 클리어 입력에 결합된다. 따라서, 이 신호는 이 플립-플롭 회로들을 리셋트시키도록 작용하여, 이 회로들은 공통제어회로로부터 새로운 접속 데이타를 수신할 준비를 하게된다.Since the write signal is held until the multiplier 411 is advanced by the coefficient 8, it becomes a 16 mu sec period. When this occurs, gate 432 is disabled like tri-state driver 410 by the high level signal on output Q D of counter 411. The next 41 μsec clock pulse loads the counter 414 all to one. After the CMRST returns to the low level, the scan period of all the connected memory addresses is completed as described earlier. The CMOWR signal is then switched to a high level to write the connection memory, and the NOR gate 434 is saturated to trigger the one short multivibrator 436 with a nominal period of 800 μsec. The output of the one short multivibrator 436 is coupled via the NOR gates 438, 437 to the clear input of the flip-flop circuits 430, 431 as well as the clear input of the buffer full flip-flop circuit 428. Thus, this signal acts to reset these flip-flop circuits so that they are ready to receive new connection data from the common control circuit.

리셋트 펄스 CMRST가 끝날때, 래치회로 (441, 444)는 전과같이 클럭되어 궁극적으로 다음의 리세트 주기를 준비할때 계수기(411)이 모두 1을 병렬 부하시키도록 래치회로(444)의 Q를 저레벨로 구동시키게 된다. 회로망 동작은 본 명세서에 기술한 선들을 따라 계속되고, 모든 시간 슬롯트들은 125μsec마다 주사되며, 접속부는 제어컴플렉스는 어러한 접속부가 기입되는 것을 결정할 때마다 125μsec마다 생기는 프레밍 기간에 기입된다.At the end of the reset pulse CMRST, the latch circuits 441 and 444 are clocked as before and ultimately the Q of the latch circuit 444 so that the counter 411 loads all 1 in parallel when preparing for the next reset period. Will be driven to low level. Network operation continues along the lines described herein, all time slots are scanned every 125 microseconds, and the connections are written in a framing period that occurs every 125 microseconds each time the control complex determines that such a connection is to be written.

상술한 접속부들을 기입하기 위한 동작 모우드는 선택적으로 단 한개만이 유용하게 된다. 이 모우드를 사용하면 접속 메모리의 한 워드, 즉 2개의 공동 접속부중의 전반부가 프레밍 기간동안 기입될 수 있다.Optionally only one operation mode for writing the above-mentioned connections is available. Using this mode, one word of the connection memory, i.e., the first half of the two common connections, can be written during the framing period.

2개의 접속부분들이 프레밍 기간동안 기입되도록 부수적인 완충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선택적인 방법으로, 접속부들은 모든 채널의 순차 주사 기간 동안 기입될 수 있다. 이 모우드의 경우에, 비교기는 계수기(414)에 의해 현재의 어드레스 출력을 기입하기 위해 래치된 어드레스를 비교하는데 사용된다. 정합이 검출되면, 접속부가 기입된다.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econdary buffer such that two connections are written during the framing period. Alternatively, the connections can be written during the sequential scan period of all channels. In the case of this mode, the comparator is used to compare the latched address by the counter 414 to write the current address output. If a match is detected, the connection is written.

지금까지 기술한 응력이외에도, 보수회로는 CPVB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회로망 블럭으로 정보를 기입하고 이 블럭으로부터 정보를 해독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제7a도를 참조하면, 고레벨 인터페이스 회로의 카피 0과 카피 1의 데이타 출력 LD 0-LD 7과 패리티 LDP를 갖고 있는 상태 선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 선상에 배치된 정보는 상태 선택기(460)내의 다수의 3비트 멀티플렉서를 어드레스하는 3개의 선택기 비트에 의해 제어된다. 선택기 입력은 CPVA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발생하는 기능 CPVAA 0-CPVAA 2이다.In addition to the stresses described so far, the repair circuit has the ability to write information to and decode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block via the CPVB interface circuit. Referring to FIG. 7A, a state selector having a data output LD 0-LD 7 and a parity LDP of copy 0 and copy 1 of a high level interface circuit is shown. Information placed on this line is controlled by three selector bits that address multiple three-bit multiplexers in state selector 460. The selector input is a function CPVAA 0-CPVAA 2 that occurs in the CPVA interface circuit.

회로망 블럭 보수 해독기능 NBMNTRD가 존재할 때, 이 선택기 선상의 특정한 코오드는 출력선이 선택된 입력의 상태로 되게 한다.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입력들은 제7e도에 도시한 표에 표시되어 있다.When the network block repair decoding function NBMNTRD is present, a specific code on this selector line causes the output line to be in the state of the selected input. For clarity, the inputs are shown in the table shown in FIG. 7E.

효과적으로 이 표에 표시된 데이타는, CPVAA 선상에 표시된 어드레스로, 이 데이타가 출력으로 나가게 되도록, 멀티플렉서의 적당한 입력에 결합된다. 어드레스 0-3은 각각 고등급 어드레스 레지스터, 저등급 어드레스 레지스터, 고등급 데이타 레지스터 및 저등급 데이타 레지스터를 선택한다.Effectively, the data shown in this table is coupled to the appropriate inputs of the multiplexer, to the address shown on the CPVAA line, so that this data is output to the output. Addresses 0-3 select the high rank address register, the low rank address register, the high rank data register and the low rank data register, respectively.

따라서, 보수회로는 이미 기입된 정보가 적당하게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도록 이 레지스터들의 출력에 도달할 수 있다. 어드레스 4는 보수회로에 관련된 기능을 해독하도록 작용한다. 비트 0은 고장난 플립-플롭 회로의 상태를 나타내고, 비트 1은 질문시에 블럭이 1차 블럭으로 있는지 여분블럭으로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비트 1은 일정한 회로망 블럭용의 접지와 여분 블럭용의 정(+)공급원에 이에 관련된 접속부를 스트랩핑(strapping)시킴으로써 프로그램된다. 또한 어드레스 패리티 착오 플립-플롭 회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 2, 데이타 패리티 착오 플립-플롭 회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 3, 및 각각 비교기 인터페이스회로 기판 0 및 1상의 비교기 인터페이스 패리티 착오 플립-플롭 회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 4 및 5가 해독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비트 6 및 7은 각각 접속메모리 0과 1용의 패리티 착오 플립-플롭회로의 상태를 해독한다.Thus, the repair circuit can reach the output of these registers to determine whether the already written information has been properly received. Address 4 serves to decode the functions associated with the repair circuit. Bit 0 indicates the status of the failed flip-flop circuit, and bit 1 indicates whether the block is a primary block or redundant block at the time of interrogation. Bit 1 is programmed by strapping the associated connection to ground for a given network block and a positive supply for a spare block. Also, bit 2 indicating the state of the address parity error flip-flop circuit, bit 3 indicating the state of the data parity error flip-flop circuit, and the state of the comparator interface parity error flip-flop circuit on the comparator interface circuit board 0 and 1 respectively. Bits 4 and 5 representing are decoded. Similarly, bits 6 and 7 decode the states of parity error flip-flop circuits for connection memories 0 and 1, respectively.

어드레스 5는 고장난 플립-플롭 회로의 상태를 해독하는 비트 0과 착오 플립-플롭 회로의 상태를 해독하는 비트 2로 저레벨 클럭을 호출하는데 사용된다. 어드레스 6에 대응하는 워드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 어드레스 7에 의해 선택된 워드는 질문시의 블럭에 대한 회로망 블럭 동일성을 해독하는데, 비트 0은 PNBID0로 되고, 비트 1은 PNBID 1로 되며 비트 2는 PNBID 2로 된다.Address 5 is used to call the low-level clock with bit 0, which reads the status of the failed flip-flop circuit and bit 2, which reads the status of the error flip-flop circuit. The word corresponding to address 6 is not currently used. The word selected by address 7 decrypts the network block identity to the block in question, with bit 0 going to PNBID0, bit 1 to PNBID 1 and bit 2 to PNBID 2.

회로망 블럭의 상태부분을 가입하는 보수회로의 능력은 이미 취급하였다. 요약해서 말하자면, 어드레스 4-7은 보수 기입 동작에 사용되는데, 기입 동작용의 데이타 비트들은 CPVB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지나가게 되고 어드레싱은 CPVA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해독된다. 보수 해독 동작의 경우에서와 같이, 비트 CPVAA 0-CPVAA 2는 특정한 워드를 선택한다. 데이타비트 CPVBD 0-CPVBD 3은 기입동작용 데이타를 제공하는데, 기능 LLCTBFF는 한 어드레스용의 CPVBD 0와 등가로 된다. 어드레스 4는 CPVA 인터페이스 회로를 호출하여, CPVDB 0는 고장난 플립0플롭 회로를 셋팅시키고, CPVDB 1은 이 플립-플롭 회로를 리셋팅시키며, CPVBD 3은 카아드상의 공통 착오 플립-플롭 회로를 리셋팅시킨다. 어드레스 5는 저레벨클럭 카아드를 호출하여 LLCTBFF 는 이 카아드상의 고장난 플립-플롭회로를 셋팅시키고 CPVBD 1은 이 회로를 리셋팅시키며, CPVBD 3은 저레벨 클럭 착오 플립-플롭 회로를 리셋팅시킨다. 보수해독동작의 경우에서와 같이, 어드레스 6은 사용되지 않는다. 어드레스 7은 CPV 인터페이스 회로 A 카아드를 호출한다. 기능 CPVBD 0*와 CPVBD 1*은 각각 PNBID 0와 PNBID 1을 프로그램 하도록 여분회로망 블럭에만 기입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기능 CPVBD 2*는 모든 회로망 블럭들에 대한 NBID 2 기능을 프로그램한다.The ability of the repair circuit to join the state portion of the network block has already been dealt with. In summary, addresses 4-7 are used for the complementary write operation, where the data bits for the write operation pass through the CPVB interface circuitry and the addressing is decoded in the CPVA interface circuitry. As in the case of a complementary decryption operation, bits CPVAA 0-CPVAA 2 select a particular word. Data bits CPVBD 0-CPVBD 3 provide write activity data, with the function LLCTBFF being equivalent to CPVBD 0 for one address. Address 4 calls the CPVA interface circuit, CPVDB 0 sets the failed flip-flop circuit, CPVDB 1 resets the flip-flop circuit, and CPVBD 3 resets the common error flip-flop circuit on the card. Let's do it. Address 5 calls the low level clock card, LLCTBFF sets the failed flip-flop circuit on this card, CPVBD 1 resets the circuit, and CPVBD 3 resets the low level clock error flip-flop circuit. As in the case of the maintenance read operation, address 6 is not used. Address 7 calls the CPV interface circuit A card. Functions CPVBD 0 * and CPVBD 1 * are only written to the spare network block to program PNBID 0 and PNBID 1, respectively. As already described, the function CPVBD 2 * programs the NBID 2 function for all network blocks.

접속부 메모리와 정보 메모리의 상세한 회로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기술하지 않겠다. 이러한 메모리 배열은 예를 들어 피트로다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031,328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기술한 회로를 지나가는 데이타를 교환시키도록 메모리 소자와 이에 관련된 구성부품들을 형성할 수가 있다.The detailed circuit description of the connection memory and the information memory will not be described because it is not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memory arrangement is described, for example, in US Pat. No. 4,031,328 to Petroda.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orm memory elements and associated components to exchange data passing through the circuits described in detail herein.

요약해서 말하면, 본 명세서에는 단일 여분회로망 블럭망의 경비로 여분회로망이 회로망내의 각각의 소자에 제공되는 새롱운 형태의 회로망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단일 여분 블럭으로 모두 써비스된 4개의 1차 블럭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격을 절감하것 된다. 4개 이하의 1차 블럭을 사용하는 소형 시스템에서도, 제어상태가 시스템의 크기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상당한 절약을 하게 된다. 또한, 단일의 1차 블럭만으로 된 소형이든지 동일한 형태로 4개의 1차블럭으로 된 대형이든지, 모든 시스템을 취급하는 능력이 큰 장점이다.In summary, the specification describes a satun-type network in which an extra network is provided to each element in the network at the expense of a single redundant network block network. The exemplary embodiment can be made up of four primary blocks, all serviced by a single redundant block, thus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Even in small systems using less than four primary blocks, significant savings are achieved because the control state remains the same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system. In addition, the ability to handle all systems, whether small with a single primary block or large with four primary blocks in the same form, is a big advantage.

1차 블럭에서 여분 블럭으로 또는 여분 블럭에서 1차 블럭으로 교환하는 것은 매우 간단한 동작이다.Switching from the primary block to the spare block or from the spare block to the primary block is a very simple operation.

이러한 교환은 CPVA 인터페이스 회로에 래치회로를 기입하는 능력을 갖고 있어서, 여분 블럭에 동일성을 배당하는 보수회로에 의해서나, 기술자가 이 래치회로들을 제어하는 수동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This exchange has the ability to write a latch circuit to the CPVA interface circuit, so that it can be done by a repair circuit that assigns equality to redundant blocks, or by a technician operating a manual switch that controls these latch circuits.

교환이 이루어지면, 호출처리는 1차 블럭의 위치에 여분 블럭에 의해(또는 반대교환의 경우에 여분블럭의 위치에 1차 블럭에 의해) 써비스된 특정한 어드레스에 접속부를 기입하기 위한 명령을 간단하게 유도하기 때문에, 이 호출처리는 변화되는 것을 모르게 된다.If an exchange is made, the call process simply writes a command to write the connection to the particular address served by the spare block at the location of the primary block (or by the primary block at the location of the spare block in the case of a reverse exchange). Because of derivation, this call handling does not know to change.

보수회로는 온 라인 블럭과 오프라인 블럭을 분배하는데 상당한 유연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교환동작시에, 보수회로는 호출처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작동될 블럭 주위에 대한 보수호출처리기입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장난 것으로 알게 되는 블럭에 대한 상태 처리기에 의해 기억된 메모리 맴(map)이 선상에 접속부를 넣기 전에 여분블럭 속에 동일한 접속부를 기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repair circuit has considerable flexibility in distributing on-line blocks and off-line blocks. For example, in an exchange operation, the repair circuit can perform a repair call processing write around the block to be operated without affecting the call processing. Thus, a memory map stored by the state processor for the block that is found to be broken can be used to write the same connection into the redundant block before putting the connection on the line.

보수 호출처리 기입주기는 PNIB2 비트를 1로 셋트시키어 특정한 블럭에 기입명령을 실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비트가 후에 0으로 스위치되고 1차 블럭이 0으로 유지되면, 2개의 블럭들이 모두 병렬로 기입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오프라인 블럭이 저레벨 멀티플렉서에 데이타를 귀환시키는 구동기에서만 디스에이블되는 사실로 인해, 오프라인 블럭이 작동되어 검사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블럭이 오프라인일지라도, 디스에이블 기능이 이 블럭이 귀환버스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하더라도, ID 비트 0 및 1에 의해 계속 동일성을 갖게 된다.The maintenance call processing write cycle is performed by setting the PNIB2 bit to 1 and executing a write command in a specific block. If this bit is later switched to zero and the primary block remains zero, both blocks can be written in parallel. Finally, due to the fact that the offline block is disabled only in the driver which returns data to the low level multiplexer, the offline block can be activated and checked. More specifically, even if a block is offline, the disable function continues to be identical by ID bits 0 and 1, even if the disable function does not affect the feedback bus.

따라서, 여분블럭과 동일한 동일성을 가진 1차 블럭으로 들어오는 음성데이타는 오프라인일지라도 여분블럭을 통해 흐르게 된다. 적당한 패리티 검사는 블럭이 건전한지를 확인하고, 선택적으로 고장을 분리시키도록 행해진다. PNIB 2를 고레벨로 간단하게 스위칭함으로써, 제어컴플렉스는 고장 분리시에 더욱 도움이 되는 보수중에 오프라인 블럭에 접속부를 기입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간단히 말하자면, 단일 여분블럭만을 제공하는 것이 유연성을 제한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상당한 유연성을 제공한다.Therefore, voice data entering the primary block having the same identity as the spare block flows through the spare block even when offline. Proper parity checks are made to ensure that the block is healthy and to selectively isolate faults. By simply switching PNIB 2 to a high level, the control complex has the ability to write connections to offline blocks during maintenance, which is more helpful in fault isolation. In short, it can be thought that providing only a single spare block limits flexibility, but in practice it provides considerable flexibility.

Claims (1)

바람직한 포오트를 사이에 호출통로를 설정하도록 다수의 억세스포오트(32, 30, 31, 39, 40, 41)를 선택적으로 상호 접속시키기 위해, 기억된 프로그램 공통제어회로(51)와 접속부를 설정하기 위해 제어회로에 응답하는 회로망(50)을 갖고 있고, 샘플된 정보를 나타내는 회로망에 대한 입력 버스(46, 47)상의 디지탈 데이타워드를 만들도록 억세스 포오트를 주기적으로 샘플하고, 이렇게 표시된 정보를 분할하기 위해 회로망으로부터의 출력 버스상의 디지탈 데이타워드를 억세스 포로트로 귀환시키는 형태로 되는 원거리 통신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특유의 동일성 코오드를 배당하기 위한 장치와, 기입 접속부에 특정한 회로망 블럭을 배당하도록 이 회로망의 동일성 코오드를 발생시키기 우해 공통 제어 회로(51)에 응답하는 어드레싱 장치(351)를 각각 포함하고, 각각의 배당된 억세스 포오트(32, 30, 31, 39, 40, 41) 그룹(35, 33, 34, 38, 40, 41)에 접속부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다수의 1차 회로망 블럭(60, 61, 62, 63)과; 모든 억세스 포오트와 1차 블럭(60, 61, 62, 63)의 동일성 코오드를 정합시키도록 선택적으로 셋트시킬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동일성 코오드(372, 371, 370)와 고장난 회로망 블럭의 동일성 코오드를 정합시키도록 여분 회로망 블럭의 동일성 코오드를 셋팅시키기 위한 프로그래머블 장치(351, 370, 371, 372)와, 여분 회로망 블럭이 고장난 블럭에 배당된 억세스포오트 그룹을 써비스하기 위해 이 고정난 블럭으로 유도된 신호에 응답하도록 고장난 회로망블럭을 디스에이블링시키고 여분 회로망 블럭(64)을 엔에이블링시키기 위한 프로그래머블 장치(351)를 갖고있는 단일 여분회로망 블럭(6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통신 스위칭 장치.The stored program common control circuit 51 and the connection section are set up to selectively interconnect the multiple access ports 32, 30, 31, 39, 40, and 41 so as to establish a call path between the desired ports. Sample the access port periodically to produce a digital dataword on the input buses 46, 47 for the network representing the sampled information, and having the network 50 responsive to the control circuit for A telecommunication switching device in the form of returning a digital dataword on an output bus from a network to an access port for partitioning, comprising: a device for assigning a unique identity code and a network block for allocating a specific network block to a write connection. Each comprising an addressing device 351 responsive to the common control circuit 51 for generating an identity code of Multiple primary network blocks 60, suitable for providing a connection to each of the assigned access port 32, 30, 31, 39, 40, 41 groups 35, 33, 34, 38, 40, 41 61, 62, 63); Match the identity code of the failed network block with the programmable identity code 372, 371, 370, which can be optionally set to match all access ports and the identity code of the primary blocks 60, 61, 62, 63. Programmable devices (351, 370, 371, 372) for setting the identity code of the redundant network block and the access point group assigned to the block in which the redundant network block has failed. A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 single redundant network block (64) having a programmable device (351) for disabling the failed network block to respond and for enabling the redundant network block (64).
KR1019780002828A 1978-09-16 1978-09-16 Telecommunication switching device KR8300017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2828A KR830001773B1 (en) 1978-09-16 1978-09-16 Telecommunication switc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2828A KR830001773B1 (en) 1978-09-16 1978-09-16 Telecommunication switch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86A KR830000486A (en) 1983-03-30
KR830001773B1 true KR830001773B1 (en) 1983-09-03

Family

ID=7289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2828A KR830001773B1 (en) 1978-09-16 1978-09-16 Telecommunication switch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77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86A (en) 198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6749A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having multi-function spare network block
US4791639A (en) 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US4213201A (en) Modular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US5113410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S4154988A (en) Method and means for accessing program memory of a common control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JP3605121B2 (en) Distributed control switching network for multi-line telephony.
US3805038A (en) Data handling system maintenance arrangement for processing system fault conditions
CA1217262A (en) Data conference arrangement
CA2051910C (en) Circuit for testing digital lines
US4306303A (en) Switching of digital signals
US4160131A (en) Electronic key telephone system
JP3569294B2 (e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for distributed switching networks.
JPS61503068A (en) Time division switch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US4035584A (en) Space division network for time-division switching systems
US4616360A (en) Peripheral control for a digital telephone system
GB1081812A (en) Data handling system
US4127742A (en) Time division telecommunication system
US5224124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KR830001773B1 (en) Telecommunication switching device
US3495220A (en) Pro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hardware element status map in memory
US4045617A (en) Telecommunication switching network having a multistage reversed trunking arrangement
JPH04287494A (en) Time-division switch and connection module composing such switch
JP3221922B2 (en) Flexible interface system for connecting various port circuit complementary devices to a PCM telephone switching system
US4597075A (en) Modular switching network for telecommunication system
US3783256A (en) Data handling system maintenance arrangement for rechecking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824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