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752Y1 - 이온 교환탑 - Google Patents

이온 교환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752Y1
KR830001752Y1 KR2019830006496U KR830006496U KR830001752Y1 KR 830001752 Y1 KR830001752 Y1 KR 830001752Y1 KR 2019830006496 U KR2019830006496 U KR 2019830006496U KR 830006496 U KR830006496 U KR 830006496U KR 830001752 Y1 KR830001752 Y1 KR 830001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ion exchange
tower
exchange tower
wate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6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간로꾸 조오난
Original Assignee
에바라 인후이루고 가부시기 가이샤
요시하라 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바라 인후이루고 가부시기 가이샤, 요시하라 이찌로오 filed Critical 에바라 인후이루고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30006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7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7/00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B01J47/02Column or bed processes
    • B01J47/022Column or be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column or contain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온 교환탑
제1(a)도, 제1(b)도는 종래예의 일부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과 종래예와의 수세시간과 폐수수질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비교선도.
본 고안은 오염된 물 기타 폐액의 정화처리에 사용되는 이온교환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온교환탑에서는 이온교환수지를 충전하고, 집수(集水)를 유효하게 하기 위하여 제1(a)도, 제1(b)도로서표시 하는 것같이 탑의 밑바닥부에 다공관(多孔管), 또는 다공판을 설치한 다공관식 혹은 다공판식의 집수기구를 갖춘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전자의 다공관식 집수기구에 있어서는 제작상 주관((a))에 설치한 지관((b))과 지관((b))의 거리(ℓ1)가 110-150mm, 또 지관((b))과 밑바닥판과의 거리(ℓ2)가 최소한 50-60mm는 필요로 하는 것으로서, 이 사이에 존재하는 재생제, 염류가 부착된 수지의 수세(水洗)는 단순히 확산작용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수세효과가 적어서 수지가 오래됨에 따라서 수세시간이 길게되는 한가지 원인으로 되어있다.
또 후자의 다공판식 집수기구에 있어서는 다공판(c)에 설치한 슬릿트로 구분된 노즐(d)과 노즐(d)의 거리(ℓ3) 및 노즐(d)과 탑의 벽과의 거리(ℓ4)가 최소한 100-150mm가 필요하며, 이 사이에 존재하는 수지의수세효과는 전자와 동일하게 적다.
종래의 실제장치에 있어서 양이온탑은 수지가 오래되어도 수세시간은 그다지 길제되지 않으나 음이온탑의 수세시간은 상당히 길게되고 있는 것이 현상태인 것이다. 재생에 사용한 가성소오다가 음이온수지중에 잔류하여 수세할때에 가성소오다가 조금씩 새어나와서 여간해서는 수세가 종료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심한 경우에는 3-4시간의 수세를 필요로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런 종래의 결점을 정확하게 제거하려고 하는 것으로서 이온교환탑의 수세를 유효하게 행하여 수세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온교환탑을 구성이 간단하고 가격이 싼 형태로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온교환수지를 충전하고 집수기구를 갖춘 이온교환탑에 있어서, 그 탑내의 하부에 다공관을 배설하여 비치하고, 전기한 탑의 밑바닥부 바깥쪽에 배수로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그 배수로에 집수장치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교환탑이다.
본 고안의 실시태양을 제2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수지를 충전하는 탑본체(1)의 거울부(2)를 그대로 이용한 탑의 하부에 지관(3')이 있는 다공관식의 집수기구(3)를 설치함과 아울러 거울부(2)의 가장 밑바닥부분에 개구한 배수로(4)내에 집수장치(5)를 설치하고, 배수로(4)에 접속하여 수지배출관(6)을, 또한 전기한 배수로(4)의 개구부(4(a))에 면하게하여 조절판(7)을 설치하는 것이다.
전기한 집수장치(5)는 제어밸브(8)가 있는 다공관을 사용하고, 이것을 거울부(2)내에서가 아니라 배수로(4)의 중심부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탑의 밑바닥부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이 보다 균일하게 되어서 수세효과가 크고, 수지를 잔류하지 않도록 뽑아낼 수 있으며, 또 집수장치(5)를 수리할 때에 탑내에 들어가지 않아도 된다.
또 전기한 수지배출관(6)을 배수로(4)에 접속시키고 있는 것은 배수로(4)의 개구부(4(a))가 거울부(2)의 가장 밑바닥부분, 즉 중앙에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수지를 배출이 될수 없도록 고려하고 있다. 도면중 (9)는 수지배출용 밸브, (10)은 배수용 밸브이다. 또한 각 밸브는 단독으로 조작하여도 좋으나 연개하여 개폐조작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그리고 압출공정때나 또는 수세공정때에 집수기구(3)로부터 뿐만아니라 배수로(4)중의 집수장치(5)로부터도 재생폐액을 배출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탑밑바닥부의 수지에 물의 흐름이 일어나고 수지중 특히 집수기구(3)의 지관(3')의 근처의 수지중에 잔류하고 있는 재생제, 염류의 효과적인 확산이 생긴다.
이경우 조절관(7)은 이물의 흐름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작용하며, 또한 배수로(4)중의 집수장치(5)에서 배출시키는 유속은 탑밑바닥부의 유효하지 않은 수지에 대한 공간속도(SV)를 유효수지에 대한 공간속도(SV)의 0.5-4배정도로 하면 충분하다. 유속을 크게하면 유효부분의 수지에 채널링이 생기는 위험성이 있으며, 또 적게하면 수세효과도 적게되므로 조작상 고려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수세종료후의 채수(採水)는 집수기구(3)에서만 행하기 때문에 탑본체(1)의 밑바닥부의 수지는 유효하지 않는 부분으로 되는바, 이 분량은 전체수지량의 4-6%밖에 안되는 근소한 것이다.
즉 제3도에 표시와 같이 3년간 사용한 (Ⅱ)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를 충전한 탑의 지름 1000mm의 순류식 음이온탑에 대하여 본 고안의 것(Ⅰ)과 종래방식 제1(b)도의 것(Ⅱ)와 비교한 것으로 본 고안의 것이 우수한 것을 알수 있다.
본 고안은 이온교환수지를 충전하고 집수기구를 갖춘 이온교환탑에 있어서 그 탑내 하부에 다공관을 대비하고, 전기한 탑밑바닥부 바깥쪽에 배수로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그 배수로에 집수장치를 배설한 것에 의하여 종래의 이온교환탑보다 월등하게 탑내부에 잔류하는 수지량이 적게되며, 탑의 밑바닥부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이 보다 균일하게 되어서 수세효과가 양호하며, 수세시간의 단축에 크게 공헌하는 것이다.
그뿐아니라 수세조작도 안정하게 행할 수 있고 수지의 배출도 정확하게 능률좋게 될수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하고 운전관리도 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이온교환수지를 충전하고, 집수기구(3)를 갖춘 이온교환탑(1)에 있어서, 그 교환탑내 하부에 다공관(3)을 배설하고, 전기한 교환탑 밑바닥부 바깥쪽에 배수로(4)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그 배수로에 집수장치(5)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교환탑.
KR2019830006496U 1980-04-22 1983-07-23 이온 교환탑 KR830001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6496U KR830001752Y1 (ko) 1980-04-22 1983-07-23 이온 교환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627 1980-04-22
KR2019830006496U KR830001752Y1 (ko) 1980-04-22 1983-07-23 이온 교환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627 Division 1980-04-22 1980-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752Y1 true KR830001752Y1 (ko) 1983-09-16

Family

ID=2662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6496U KR830001752Y1 (ko) 1980-04-22 1983-07-23 이온 교환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7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7395A (en) Recirculating sewerage system
CN210597453U (zh) 一种雨水收集再利用系统
US4804465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US4338202A (en) Water treatment process and apparatus and device for the distribution of water to be treated into and for the recovery from washing liquid from a water treatment filter apparatus
US4645604A (en) Process and device for treating liquids with cation exchangers and anion exchanges
KR830001752Y1 (ko) 이온 교환탑
US3380590A (en) Water softener having a main control valve and an auxiliary brine control valve
US3549012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automatic washing of rapid filters
US2355815A (en) Fluid conditioning apparatus
JPS6218271Y2 (ko)
DE2545037A1 (de) Geschirrspuelmaschine
US2902445A (en) Method of regenerating a zeolite bed
US1628541A (en) Water softener
SU87477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епрерывного получени вискозного волокна
JPS5854177Y2 (ja) 連続式「ろ」過機における「ろ」材の洗滌装置
US36730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olutions by solid-ion exchangers
JPS634456B2 (ko)
RU2142317C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SU814395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JPH0244801Y2 (ko)
JPH0254127B2 (ko)
RU2151626C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природной и доочис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SU1137146A1 (ru) Сифонный отстойник
SU1102110A1 (ru) Фильтр дл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JPH0655242B2 (ja) ▲ろ▼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5123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