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614B1 - 도어 개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614B1
KR830001614B1 KR1019800000565A KR800000565A KR830001614B1 KR 830001614 B1 KR830001614 B1 KR 830001614B1 KR 1019800000565 A KR1019800000565 A KR 1019800000565A KR 800000565 A KR800000565 A KR 800000565A KR 830001614 B1 KR830001614 B1 KR 830001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imer
processing
lower limi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271A (ko
Inventor
시게루 마쓰오까
도시오 쓰바끼
다께시 도꾸나가
구라 세이지 요네
겐지 나까무라
미쓰오 스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0000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614B1/ko
Publication of KR83000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 개폐 제어 장치
제1도는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도어 개폐장치 본체의 종단면도.
제3도는 도어 개폐장치의 일부 절결 평면도.
제4도는 레일과 트롤리(Trolly)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V-V단면도.
제6도는 기본동작 플로우차아트.
제7도는 제어부의 기본 블럭도.
제8도는 제어부의 상세한 블럭도.
제9도는 논리처리 회로도.
제10도는 일시 기억회로의 기억패턴도.
제11도는 기동 회수 제어 타임차아트.
제12도는 도어표시기 플로우차아트.
제13도는 송수신 데이터 형식도.
제14도~제27도는 각종 동작 플로우차아트.
제28도는 무선 제어 송신기의 회로도.
제29도는 비트 설정 회로도.
제30도는 비트 설정 패턴도.
제31도~제37도는 각종 동작 플로우 차아트.
본 발명은 도어 개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고 도어의개폐조작장치를 제어하는 데 알맞는 도어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차고 도어를 모우터로 구동하여 개폐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모우터는 지령용의 푸시 스위치나 무선제어스위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릴레이 회로를 통하여 전원에 접속되어 소정 방향으로 도어를 구동한다. 이와 같은 모우터 구동식 도어의 제어장치는 미국특허 제3,178,627호 및 제3,906,348호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도어 개폐제어장치는, 도어 개폐제어조건이 기계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도어개폐조건을 충분히 수용할수 없거나, 또는 다수의 제어조건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릴레이 회로가 필요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어느 특정형상의 도어에 대응하여 설계한 제어장치를 다른 형상의 도어에 적용하고자 할 경우에, 제어장치는 대단히 많은 설계 변경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제어조건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범용성(汎用性)이 풍부한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도어의 제어내용을 명령코우드의 조합에 의하여 프로그램화하여 기억하고 있는 프로그램 기억회로와, 도어 개폐장치의 각종 상태 검지장치와, 도어 조작지령수단과, 연산처리회로등을 구비하여 프로그램 기억회로로 부터 순차적으로 지령 코우드를 독출하여 도어상태검지신호와 도어 조작 지령신호와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상태를 논리 핀단하여 상기 도어 개폐장치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차고 되어 개폐장치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장치를 내장한 본체(1)와, 이 본체(1)와 연결된 레일(2)과, 이 레일(2)에 의하여 안내되고 또 본체(1)의 구동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로울러체인(3)에 고정되어 수평이동하는 트롤리(4)등으로 구성된다.
본체(1)는 현수용 금구(金具)에 의해 차고의 천정에 매달려 있는 한편, 레일(2)의 단부는 헤더 브래킷(5)에 의하여 차고의 일부에 고정된다. 차고 도어(6)는 일반적으로는 복수매로 분할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어 양측에 설치된 도어 레일(7)에 따라 개폐된다. 이 차고도어(6)의 중량은 도어평형 스프링(8)에 의하여 평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사람의 힘에 의하여 개폐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는 차고 도어(6)에 도어 브래킷(9)을 고정하고, 또 이 브래킷(9)과 트롤리(4)사이를 도어 아암(10)에 의해
상기 본체(1)에의 전원 공급은 전원 케이블(11)을 경유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1)에 대한 동작지령은 차거의 벽에 설치된 푸시버튼 스위치(12)를 누르거나 또는 전파등에 의한 신호를 수신기를 내장한 제어장치(13)로 수신하여 본체(1)에 동작지령을 보낸다. 또 만일 정전등에 의하여 차고 도어 개폐장치가 동작불능이 되었을 경우에는, 이탈용(離脫用) 끈(14)에 의하여 로울러 체인(3)과 트롤리(4)와의 연결을 벗겨서 사람의 힘으로 차고 도어(6)를 단독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먼저 제2도, 제3도에 따라 차고 도어 개폐장치의 본체구조를 설명한다. 제2도는 종단면도, 제3도는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본체 프레임(15)의 하측에 고정된 모우터(16)의 회전은모우터축(16-a)에 고정된 모우터 풀리(17), V벨트(18), 대(大) 풀리(19)에 전달된다. 다시, 이 대풀리(19)의 회전은 스프로킷 축(20)을 거쳐서 스프로킷(21)에 전달된다. 이 스프로킷(21)에는 로울러체인(3)이 맞물려진다. 이 로울러 체인(3)의 로울러부는 본체 프레임(1) 내에 있어서 양측면으로 부터 체인 가이드(22), 체인 가이드(23), 체인 가이드(24)에 의하여 안내된다. 레일(2)은 상기 프레임(15)에, 레일고정 금구(25)에 위하여, 이 체인 가이드(22)와 체인 가이드(24)에 의하여 구성되는 홈부와의 사이에 단차(段差) 및 틈(간극)이 없게 고정된다. 로울러 체인(3)의 로울러부는 양측면을 레일(2)에 의하여 가이드 된다.
한편, 상기 스프로킷(21)에 의하여 감겨진 로울러 체인(3)의 수납은, 체인 가이드(22)와 체인 가이드(23)로 구성되는 홈부와의 사이에 단차(段差) 및 틈(간극)이 없게 고정된 체인 수납 케이스(27)의 체인 수납홈(27-a)에 의하여 행해진다. 이상의구성에 의하여 상기 모우터(16)의 회동구동에 의하여 상기 스프로킷(21)이 돌아가게 되고 로울러체인(3)이 레일(2)을 따라 왕복이동된다.
다음에 제1도에서 설명한 차고 도어(6)의 개폐 동작의 상한점, 하한점, 즉 트롤리(4)의 수평이동량을 제한하는 리미트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울러 체인(3)의 이동량을, 스프로킷(21)과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는 대풀리(19)의 외주에 설치한 풀리 래크(pulleyrack)(28)의 이동량으로 변환한다. 풀리 래크(28)에 맞물리는 피니언(29)을 통해 상한 리미트 스위치(30), 하한 리미트 스위치(31)에 상기 풀리 래크(28)의 이동량을 전달한다.
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30), 하한 리미트 스위치(31)의 각각에 상한점 조정 손잡이(32), 하한점 조정손잡이(33)를 설치하여, 이에 의하여 본체 외부로부터 자유롭게 상한점, 하한점을 조정가능케 한다. 상기 차고 도어가 하강중에 장해물에 닿았을 경우는, 안전상 재빨리 검지하여 반전동작, 즉 상승하지 않으면 안되며, 또 상기 차고 도어가 상승중에 장해물에 닿았을 경우에 안전상 재빨리 검지하여 정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상기한 장해물 검지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체인 가이드(22)와 체인 가이드(23)로 형성되는 체인 안내홈의 일부를 곡로(曲路)로 형성하고, 로울러 체인(3)에 도어 하강시에 가해지는 압축력, 도어 상승시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각각에 의하여 발생하는 힘에 의하여 이동되는 장해 검지 금구(34)를 설치한다.
이 장해 검지 금구(34)의 동작을 규제하는 장해스프링(35)의 압축력을 장해동작력 조정나사(36)를 돌림으로써 스프링 앞판(37)을 이동시켜 자유롭게 변화시킬수가 있게 된다.
또 장해 검지금구(34)의 움직임에 따라 ON, OFF하는 장해검지 스위치(52)에 의하여 상술한 장해물을 검지하여 도어 하강시는 상승으로, 도어 상승시는 정지하도록 한다.또 차고내를 조명하는 램프(38)를 설치하여 차고 도어의 동작에 연동하여 점등 또는 소등을 하도록 한다. 또 모우터(16) 및 램프(38)를 조정하는 조정기(39)를 프레임(15) 내에 고정하고, 다시 본체 커버(40), 램프 커버(41)에 의하여 모우터(16), 대풀리(19), 램프(38)를 커버한다. 또한 램프 커버(41)는 반투명으로서 램프(38)의 빛을 투과시켜 차고내를 밝게 비치도록 한다.
이상 차고 도어 개폐장치의본체 구조를 설명했으나 다음에 레일 및 트롤리부에 대하여 제4도 및 제5도에 따라 설명한다. 레일(2)의 단면구조는 얇은 철판 또는 플라스틱판을 성형한 것이며, 레일이 외주부에서 트롤리(4)를 접동안내하도록 한다. 또 레일(2)에 의하여, 로울러 체인(3)의 로울러부를 양측면으로 부터 끼워넣어 로울러 체인(3)의 왕복 운동을 직선적으로 안내하고 있다.
다음에 트롤리(4)와 로울러체인(3)의 연결은, 로울러 체인(3)이 선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2)에 의하여 로울러 체인(3)과동일 하게 안내되는 로울러 체인 부착물(3-a)의 홈부에 연결금구(4-a)를 삽입하여 이루어진다.
연결금구(4-a)는 상기 트롤리(4) 내에 있어서 상하로 접동가능하며 평상시에는 스프링등의 힘으로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 있고, 이에 의해 트롤리(4)와 로울러 체인(3)은 연결상태에 있다. 만일 정전시에 차고 도어 개폐장치와 도어를 분리시켜 사람의 힘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에는, 연결금구(4-a)를 하방으로 잡아 당겨 로울러 체인 부착물(3-a)로 부터 떨어지게 하여 행한다.
다음에 상기 트롤리(4)의 동작을 도어에 전달하기 위한 도어 아암(10)은 "L"자형 도어아암(10-a)과 직선형 도어아암(10-b)으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은 도어와 레일의 위치관계에 따라 자유롭게 길이를 바꾸어 연결된다.
상기 도어아암(10)의 일단은 트롤리(4)에, 타단은 제1도의 도어 브래킷(9)을 거쳐 도어(6)에 연결된다. 상기 도어아암(10)과 트롤리(4)의 결합은, 트롤리(4)에 긴홈(4-b)을 설치하여 이 긴홈(4-b)에 핀(4-c)을 끼워 넣음으로써 행해진다. 핀(4-c)은 평상시에는 스프링등에 의하여 제4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눌려져있다. 이는 도어의 하강중에 장해물에 충돌한경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차고 도어 개폐장치는, 차고 바닥에 눈, 얼음등이 쌓여있을 경우 또는 수도용 호오스등 작은 물건이 있어도 도어 하강시 장해물 검지에 의하여 반전 하지 않도록 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즉, 바닥면으로부터 2인치 이하에서는 장해물을 검지하여도 반전하지 않고 정지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의 트롤리(4)와 도어(6)의 이동량의 차이를 이 긴홈(4-b)으로 흡수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1실시예를 제6도~제3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차고 도어의 기본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상태 천이도이다. 제6도에서, 차고 도어(6)는 전원투입후 정지상태(303)에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지령을 받을 때마다 차고 도어(6)는 상승상태(300)→정지상태(301)→하강상태(302)→정지상태(303)를 반복한다. 이와 같은 조작지령과는 별도로, 상승상태(300)에 있는 차고도어(6)에 응동하여 상한 리미트 스위치(30)로부터의 입력이 있으면, 상태(307)를 경유하여 즉시 정지상태(301)로 이행한다. 또 하강 상태(302)에 있는 차고 도어(6)에 응동하여 하한 리미트 스위치(31)로 부터의 입력이, 있으면, 상태(309)를 경유하여 일정시간 하강 상태(304)로 이행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정지상태(303)로 된다. 이 일정시간 하강하는 이유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차고 도어(6)를 안전하게 조작하기위하여 차고도어(6)의 이동이 저지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고도어(6)가 상승상태에 있고 장해검지 입력이 있었을 경우는, 상태(308)를 경유하여 신속하게 정지상태(301)로 이행한다.
또, 차고도어(6)가 하강상태(302)에 있고 장해검지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는, 상태(310)를 경유하여 일단정지 상태(305)로 이행하고, 일정시간 경과후 1피이트(feet) 상승상태(306)로 된다. 이 1피이트 상승은 시간적으로 관리되어 일정시간 경과후 정지상태(301)로 이행한다. 예컨대, 1피이트 상승상태의 도중에서 상한 리미트 스위치(30)로 부터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상한 리미트 스위치를 우선 처리하여 신속하게 정지상태(301)로 이행한다.
이하, 상기의 일정시간 하강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겨울이 되면 도어하단의 차고 바닥면은 결빙 하거나 또는 적설로 인하여 높이가 변동하기 쉽다. 만일 상기 이유에 의하여 바닥면이 초기설정시보다 변동하여 높아지면, 도어가 하강했을 경우에 항상 장해 검지 스위치(52)가 동작하여 상태(310)가 되어 도어를 닫을수가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강 리미트 스위치(31)를 도어 전폐(全閉)이전의 상태에서 동작시켜 그 후 일정시간 하강에 의해 도어가 전폐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하여 하한 리미트 스위치(31)로 부터의입력이 있었을 경우에는 장해검지 입력을 무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어 하단부의 바닥면이 변동하더라도 도어의 개폐에는 영향이 없게 된다. 또한 하한점 조정이 용이하게 되어(미국 규격 UL325.23.1항 기재내용을 충분히 만족하기 때문에) 도어 조작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닥면으로부터 2인치의 높이에서 하한 리미트 스위치(31)가 동작하도록 조정하여 제6도의 일정시간 하강상태(304)에서 충분히 도어가 닫히도록 한다.
그러나 만일 일정시간 하강상태(304)에서 장해 검지 스위치(52)가 동작했을 경우에는, 장해동작을 우선 처리하여 신속하게 정지 상태(303)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바닥면까지 2인치 이내에 있는 장애물에 대한 누르는 힘을 완화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고 도어 제어에 대한 상성한 것을 후술하는 처리 플로우차아트 제14도~제37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제어부의 기본 블럭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기본적으로는 입력회로(312), 논리처리회로(311), 출력회로(313)로 구성된다. 입력회로(312)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신호레벨 치환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회로인데, 이 회로에는 차고 도어(6)의 각종 상태를 나타내는 상한 리미트스위치(30), 하한리미트스위치(31), 장해 검지 스위치(52)등의 신호외에, 차고 도어(6) 조작용 신호로서 푸시버튼 스위치(12)나 무선제어를 위한 수신기(330)등의 신호가 입력되고 있다. 이러한 신호를 논리처리회로(311)에서 미리 기억되어있는 처리스텝에 따라 가장 적합한 처리를 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 논리처리 회로(311)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출력회로(313)에서는 그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모우터(16)의 정역전(正逆輾)제어나 차고내의 조명 램프(38)의 ON, OFF 제어등을 행한다.
제8도는 상기 기본 블럭도인 제7도를 실시예로서 전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기를 내장한 제어장치(13)는 상기논리 처리회로(311)를 중심으로 하여 신호처리부 모두를 내장한다. 본체(1)에는, 모우터(16) 및 램프(38)로 구성되는 구동부분 및 조명부분과, 이 부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 [구체적으로는 트랜스(314), 릴레이로 구성되는 모우터 구동회로(327)(328), 릴레이로 구성되는 램프구동회로(329)] 등이 내장된다. 제어장치(13)와 본체(1)의 사이는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원코오드(11)에 의
상한 리미트 스위치(30), 하한리미트 스위치(31), 장해검지스위치(52)의 출력은 저항, 콘덴서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회로(317),(318),(319)에 입력되며, 이들 인터페이스 회로 출력은 각각 논리 처리회로(311)에 입력되고 있다.
조작용 푸시버튼 스위치(12)는 저항, 콘덴서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회로(320)에 입력되고, 그 인테페이스 회로(320)에 입력되고, 그 인터페이스 회로 출력이 논리처리회로(311)에 입력되고 있다. 논리처리회로(311)의 출력은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구동회로(322)에 입력되어 모우터(16)를 정(正) 회전시키기 위하여 릴레이로 구성된 구동회로(327)를 구동한다. 또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구동회로(323)는 논리처리회로(311)이 출력을 입력하여 모우터(16)를 역전 시키기 위해 릴레이로 구성된 구동회로(328)를 구
이외는 논리처리회로(311)의 출력회로로서는, 차고도어(6)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도어 표시 회로(325)나 도난방지용 경보회로(326)가 있으나 상세한 것은 뒤에 설명한다. 푸시버튼 스위치(12)는 제어장치(13)의 케이스 상에 장착된 도어 조작용 스위치 이지만, 이것과는 별도로 송수신기능을 응용한 무선제어 조작지령계가 있다. 이것은 차고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도어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며, UHF 대의 전파를 이용하고 있다. 조작으로서는, 송신기(331)에 내장된 비트설정부와 제어장치(13) 내의 비트설정회로(321)를 우선맞춰둔다. 송신기(331)로 부터 보내오는 정보로서, 그안에 설정된 비트 정보가 순차적으로 보내져 온다. 정보의형식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보내져온 정보는, 수신회로(330)에서 2진 신호로 복조되어 논리처리회로(311)에 입력된다. 여기서 사용되고 있는 수신회로의 주된 구성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슈퍼리제로 불리는 초재생회로(超再生回路)를 채용하고 있다. 보내져온 정보는 비트 설정회로(321)의 내용과 순차 비교되며, 모든 비트가 일치하였을 때조각신호로서 처리한다. 당연히 비트의 설정이 틀리는 경우에는 차고 도어의 조작
이외에 램프(38)의 점등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갖는 부가회로(316)가 있다. 다음에 논리처리회로(311)의 구성에 대하여 제9도에 의해 설명한다. 차고 도어(6)를 최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미리처리순서를 프로그램화하여 기억하고 있는 프로그램 기억회로(340)(이 기억회로로서는 일번적으로 ROM이 사용된다)와 이 프로그램기억회로(340)로 부터 독출되는 명령 코우드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명령 레지스터(341)와, 이 명령 에지스터에 기억된 명령 코우드 내용을 히독하기 위한 명령 디코우더(342)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명령 코우드와 회로 전체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회로(351)의 타이밍 펄스에 따라 전회로는 동작한다. 상기 프로그램 기억회로(340)에 있어서의 명령코우드의 어드레스의 지정 및 어드레스를 갱신하기 위하여 프로 그램 카운터(343)가 있다.
이 프로그램 카운터(343)에는, 프로그램에서 예컨대 서브루틴 점프와 같은 비월처리를 할 때 그 복귀 어드레스를 기억하기 위한 레지스터인 스택(stack) 레지스터(344)가 접속된다. 또 2진 가산등의 논리연산을 행하는 논리연산회로(345), 이 논리 연산결과 상태를 일시 기억하는 상태표시 레지스터(346), 논리연산시에 사용되는 누산기 등의 레지스터(347), 연산결과의 격납이나 상태표시(예를들면 도어가 현재 어떻게 되어 있는가를 표시하기 위해 동작중은 1로, 정지중은 0으로 표시함)를 위한 일시기억회로(349)(이 일시 기억회로로서는 일반적으로 RAM 이 사용된다)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논리 연산회로(345)에 의하여 버퍼 레지스터(348)는 어드레스 되고, 개개의 주회로는 버스라인(35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이 버스라인(352)에는 입력회로(350)가 연결되어 있고, 이 버스라인(352)을 가쳐 입력되는 입출력상태를, 논리 연산회로(345), 레지스터(347), 상태표시 레지스터(346)로 구성되는 논리판정 수단에서 처리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특히 처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활을 하는 일시 기억회로(349)에 대하여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일시기억회로(349)는 연산결과의 격납이나 상태표시등의 일시기억에 이용된다. 기억하는 단위로서는 4비트 2바이트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2바이트의 맵 에리어(map area)를 갖는다. 상기한 상태표시로서는 0, 1, 2의 3바이트를 할당하고 있고, 개개의 표시(flag)의 의미는 후술하는 플로우차아트에서 설명한다.
또 10~21의 12바이트는 타이머 요소로서 이용한다. 타이머 군에서 기본이 되는 것은 기본타이머(TM1)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15.625mS 이다. 이것은, 하나의 프로그램의 처리스텝 소요시간을 미리 알수 있기 때문에 일정수의 스텝수를 카운트하여 그것에 맞추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외부의 하드웨어로 구성되는 타이머 계는 일체 사용하고 있지 않다. 이들의 상태표시, 타이머군을 그 처리스텝에 따라 순차적으로 갱신해가서 그 내용과 프로그램 기억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명령 코우드에 따라 논리 연산회로(340)에서 논리 판단하여 가장 적합한 프로그램처리를 결정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차고 도어의 동작순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차고 도어의 동작 천이도에 대해서는 이미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여기서 플로우차아트를 설명하기 전에 처리내용에서 특기해야 할 항목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불연속 입력신호 제어
조작용 푸시 버튼 스위치 또는 수신기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새로운 신호인지 또는 이미 앞에서 연속되고 있는 신호인가를 식별한다. 이 식별방법으로서는, 입력신호가 OFF로 되고 나서 타이머(TM4)를 세트하여 이 타임이 종료하기 전에 재차 입력신호가 있었을 경우에는 연결된 것으로 처리하고, 타임 종료 후라면 새로운 입력신호로서 처리한다.
타임 종료 하기전의 입력신호는 그 신호 OFF가 되고 나서 새로이 타이머(TM4)가 세트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작성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가). 도어가 동작하기 시작했을 때 「즉시 도어를 멈추고 싶다」고 하는 상태가 생긴다. 예를들면 도어의 이동방향에 장해물이 있는 경우와 같은 상태이다. 그러므로 도어가 동작중의 불연속 타이머(TM4)의 값으로서 0.25초를 채용했다.
(나). 도어가 정지후 재기동하는 경우는 구동부나 도어에 큰 충격부하가 걸리는 것을 경감하기 위하여 그 정지시간을 충분하게 취할 필요가 있다. 모우터의 회전 관성이 0.15초정도에서 충분히 소멸하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하고, 이 도어의 정지중의 불연속 타이머(TM4)의 값으로서 0.5초를 채용하였다.
2) 기동회수 제어
차고도어에 사용되고 있는 모우터는 일반적으로 단시간(短時間) 정격인 것이 많으며 몇번이고 연속동작 시키면 모우터내의 열스위치(192)가 동작하고 만다.이 결과 모우터의 하우징이 냉각되지 않으면 열 스위치는 복귀하지 않고, 약 20분 동안 정도 차고 도어 조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상태는 보통의 사용상태에서는 발생하기 어렵고, 어린아이들에 의한 장난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어린아이들의 장난으로 계속 열스위치가 동작하고 있으면 모우터의 수명저하로 연결되어 바람직스럽지 못하며, 또 중대사고로 까지 연결될 염려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제11도에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동회수제어 알고리즘(algolithm)을 채용했다.
(가). 도어가 정지후 2분 타이머(TM10)를 세트한다.
(나). 이 TM10의 타임이 종료하기 전에, 재기동 조작지령이 입력된 경우(예를들면 I상태)에는 ED카운터(기동회수 카운터)를 진행시킨다.
(다). TM10의 타임이 종료된후에 재기동 조작지령이 입력된 경우(예를들면 II상태)에는 ED카운터를 그대로 한다.
(라). 도어가 정지후 6분이내에 재기동 조작지령이 입력되지 않을 때(예를들면 III상태)는 ED카운터를 클리어한다. 이 타이머는 TM11이다.
(마). (나), (다), (라)항의 처리를 하여 ED카운터값이 12가 되었으면 그 이후의 조작지령을 6분간 받아들이지 않는다. 도어는 6분후에 재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3) 오픈 도어 표시기(이하 ODi라 칭함)
제1도에 나타낸 차고도어(6)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소자로서 램프나 발광 다이오드를 점멸하는 도어 표시회로 (325)로 구성된다.
점멸의 상태도를 제12도에 나타낸다.
4) 2중 안전 제어
이동영역을 설정하는 상한 리미트 스위치(30)나 하한 리미트 스위치(31)가 고장인 경우에는, 도어가 하강중이면 및바닥과 충돌, 도어가 상승중이면 상단 스톱퍼에 충돌하여 장해 스위치(52)가 동작한다. 그러나 만일 장해 스위치(52)가 고장인 경우에는 모우터가 록크 토오크(lock torque)를 발생하여 열 스위치(192)가 ON될 때까지 장해물을 강력하게 계속누른다. 이 상태는 안전상 바람직스럽지 못하므로 아래 사항을 감안하여 대처한다.
도어의 이동 거리는 한정시킬수 있으므로(예를들면 9피이트=2.7m), 이동 시간도 자연히 한정된다(도어 속도를 10m/분 이라하면 이동 시간 TT=2.7m÷10m/분=16초).
그러므로 도어가 동작한 후 타이머 TM8를 세트하고 이 타이머(TM8)의 타임이 종료할 때 까지 상하, 하한장해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상으로 판정하여 장해물 검지처리를 행한다.
이 기능이 있으면, 예를들면 구동계의 일부가 고장을 일으켜 도어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구체적으로는 벨트가 미끄러져 회전을 전달하지 않고, 이 미끄러짐에 의한 발열로 벨트가 파손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일정시간 후 모우터를 정지시키는 것은 안전성의 향상면에서 효과적이다.
5) 장해무시 제어
일반적으로 마찰은 정마찰, 동마찰로 나누어지며, 정마찰이크다. 차고 도어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차고 도어 가동시에는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도어가 동작중에는 그다지 큰 힘은 필요치않게 된다. 그러므로 도어 기동시에 장해검지스위치(52)가 동작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동작 설정치를 크게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 결과 도어 이동중의 장해검지력도 큰 값이 되고만다. 이렇게 되면 도어의 조작성, 안정성으로서는 작은 장해검지력이 요구되는 것과 상반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동후 일정시간(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초간)은 장해검지를 무시하고 있다. 이 근거는 어떠한 도어에서도 기동 후 1초간은 충분히 정상이동 상태에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 기인한 것이다.
6) 상. 하한 리미트 스위치제어
상한 리미트 스위치와 하한 리미트 스위치의 동시입력이라는 상태는 있을 수 없다. 이러한 상태로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생각된다. 도어는 하한 위치에 있고, 하한 리미트 스위치(31)가 ON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한 리미트 스위치(30)이 접점이 용착(溶着)되어 있는 상태 또는 배선의 일부가 단선 되어 샤시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가 생각된다.
또 도어는 상한 위치에 있고, 상한 리미트 스위치(30)가 ON 되고 있을 때에 하한 리미트 스위치(31)의 접점이 용착되어 있는 상태 또는 배선의 일부가 단선되어 샤시에 접촉되고 있는 상태가 생각된다. 또 상기의 단선현상이나 접점 용착이 상, 하한 리미트스위치 모두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의 대책으로서 동시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조작 입력신호를 받아도 도어를 정지상태인 채로 한다.
7) 램프 점등시간 제어
제8도에 나타내는 부가회로(316)는 램프접동시간 2분 또는 6분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가 동작하기 시작하고 나서 램프를 점등하고, 도어가 정지 후 설정된 타이머(TM12)를 세트하여 이 타이머의 타임 종료로 램프를 소등하고 있다.
8) 수신 신호 제어
무선 제어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초 재생회로(13)에서 2진값으로 복조되어 논리처리회로(311)에 입력된다. 이 입력신호의 형식을 제13도에 나타낸다. 이 형식 방식은 통신방식에서의 분류상NRZ(NONR-ETURN ZERO)방식에 속한다. 다음은 형식방식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가). 동기신호(SYNC)는 16비트로 구성하고 동기신호(SYNC) 길이를 카운트하여 그 길이가 일정한 범위에 있음을 확인한 후에 동기신호로서 처리된다. 우선, 동기신호(SYNC)를 1/16로하여 샘플링 동기를 결정한다.
(나). 샘플링은 동기신호(SYNC)의 하강에 의해 개시한다. 단, 개시비트(ST)만은 샘플링 길이를 동기신호(SYCN)의 1/32로 설정한다. 개시 비트는 항상 "0"으로 한다.
(다). 데이터 6비트를 샘플링 체크 후, 스톱비트(sp)가 "1"임을 채크한다. 이 스톱비트(sp)의 하강에 의해 다음의 샘플링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샘플링이 오차 집적은, 8비트단위로 멈추게 할수가 있게 된다.
(다). 프레임 스톱비트(FSP)의 체크 완료 "1110"후 조작신호로서 처리된다.
제14도에 본 발명의 메인 플로우차아트를 나타낸다. 전원 투입 후로 부터 처리는 시작한다. 우선, 일시 기억회로(349)를 초기상태로 하기 위하여 RAM 클리어(360)를 행한다. 다음에 장해처리 및 하한점 검출 후 처리중(361)을 점검한다. 장해물 처리중은 제6도의 상태(310)임을 나타내며, 하한점 검출 후 처리중은 상태(309)임을 나타낸다. 이 처리중은, 푸시 버튼 스위치나 송수신에 의한 도어조작을 불가능하게 한다. 처리중이 아닌때는 ED(기동회수)치 초과 표시의점검을 행하고, 만일 표시(flag)가 "1"이면 푸시버튼 스위치나 송수신기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표시가 "0"이면, 푸시버튼 스위치(이하 WL-SW 라함)의 ON, OFF를 점검한다. WLSW(363)가 ON이면 기동 입력 불연속 타이머 세트(366)를 행한다. OFF이면, 수신(이하 Rx라 칭함) 입력(362)의 점검을 행하여 만일 "1"레벨이면, 다음의 수신처리(365)로 옮긴다. 다음에 운전 처리(367)와 타이머 처리(368)를 경유하여 장해물 처리 하한점 검출후 처리중(361)으로 되돌아가서 1싸이클이 형성된다.
이 메인 플로우 차아트로서 운전처리(367)를 제15도~제23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5도는 운전 처리의 메인 플로우 차아트이다. ED치 초과 표시(370)의 점검을 행한다. 이 ED치 초과표시는 제11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정된 시간에서 다빈도(多頻度)기동이 있었음을 검지했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서, 표시가 ON이면 정지중 계속처리(371)을 행하고, 동작모우드로서는 정지인채로 하고 있다. 표시가 OFF일때는 동작중 표시(372)의 접점을 한다.
동작중 표시가 OFF일 때는 정지를 의미하는 데, 이 때에는 도어상태 표시인 오픈 도어 표시회로(ODi)(325)를 일단 소등한다. 이 ODi 소등(373)후에 도어의 정지상태가 하한리미트 스위치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하여, 하한 리미트 SW(374)를 점검한다. 만일 OFF이면 ODi점등(375)을 행하고, ON이면 ODi(325)는 소등인 채로 한다.
이 처리에서 제12도에 나타낸 정지상태(301) 또는 상태(303)가 표시되게 된다. 동작중 표시(372)가 ON이면, 장해물 무시기간(376)이 어떤지를 점검한다. 장해물 무시기간은 일시 기억회로에서의 타이머(TM6)의 시간에 해당한다. 이 타이머(TM6)의 값을 점검하여 설정치로되어 있지 않다면 도어 기동후 1초 이내 이므로 장해물 입력을 무시한다. 장해물 무시기간(376)의 이유는 상술했으므로 생략한다.
장해물 무시기간이 아니면 도어의 정상이동중임음 나타내고 장해물이 있는지 없는지 장해물 검지(377)를 점검한다. 만일 장해신호가 입력되고 있으면 장해물표시 ON(378), 역전 모우드 OFF 처리후에 장해물처리(379)를 행한다. 상기 장해물 무시기간(376)이었을 때는 장해물 표시(380)가 ON인지 OFF인지를 점검한다. 장해물 처리중이므로 장해물처리(379)를 행한다.
장해물 표시가 OFF인 경우는 기동 입력불연속 타이머(381)가 세트되어 있는지 리세트되어 있는지를 점검한다. 일시 기억회로에서 타이머(TM4)에 상당한다. 이 TM4는 도어가 동작중이면 0.28초, 도어가 정지상태이면 0.4초가 세트되어 있다.
이 TM4가 리세트되어 있다는 것은 조작신호가 입력되고 있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그대로의 도어 상태를 계속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동작중 표시(382)의 점검을 하여 이 표시가 ON일때는 도어가 동작중이므로 동작계속처리(383)를 행하고, OFF일때는 정지중 계속 처리(371)를 행한다.
상기 기동 입력 불연속 타이머(381)가 세트되어 있을 때는, 기동입력처리 완료표시(384)의 점검을 행한다. 즉, 전혀 새로운 조작신호인지 일단 처리완료인지를 식별한다. 이 표시가 ON일때는 그대로 도어상태를 계속 할 필요가 있고, 동작중 표시(382)점검을 하는 처리로 비월한다. 만일 기동 입력처리 완료표시가 OFF인 경우는 기동입력처리 완료표시 ON(385)를 행하고, 다음에 동작중 표시(386)를 점검한다. 이 표시가 ON일때는 도어는 동작중이며 도어를 멈출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동작중→정지처리(387)를 행한다.
또 동작중 표시(386)가 OFF일때는 도어는 정지중이고 도어를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정지중→동작처리(388)를 행한다.
다음에 장해물 처리(379)에 대하여 제16도에 따라 설명한다. 이 처리에서는 제6도에 나타낸 상태(308), 상태(309), 상태(310)를 행한다. 단, 상태(309)에서는 일정시간 하강중에 검지된 장해의 경우이다. 우선 동작방향표시(390)을 점검하고 이 표시가 ON인 경우에는 상승을 의미하며 정지시키기 위한 하한의 정지처리(391)를 행한다. 만일 상기 표시가 OFF인 경우는 하강을 의미하고 있으므로, 하한 리미트 SW(392)의 점검을 행한다. 만약 하한리미트 SW가 ON이면 상태(309)이고, 역전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하한 정지처리(393)를 행한다.
상기 하한 리미트WS(392)가 OFF일때는 역전 상승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음에 장해물 정지중 표시(394)를 점검하여 OFF이면 장해물 처리상태(305)로 할 필요가 있다. 즉, 장해물 정지중 표시 ON(395), 장해물 정지 타이머 세트(396)(이것은 제10도 타이머 TM6에 해당한다). 125ms기준 타이머 세트(397)(이것은 제10도 타이머 TM3에 해당한다) 정지중 계속 처리(398)를 행한다.
상기 장해물 정지중 표시 ON일때는 장해물 정지 타이머(399)를 점검하여 리세트 될때까지 도어를 정지시켜 둔다. 이 설정시간은 본 발명의이 실시예에서는 0.5초로 하고 있다. 상기 정지타이머(399)가 리세트되었을 경우는 제6도의 상태(306)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장해물 표시, 장해물 정지중 표시 ,OFF(400), 역전 모우드 ,ON(401), 동작중표시, 동작방향표시 ON(402), 모우터 하강 리세트 모우터상승 출력(403), 역전 타이머세트(404)(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6에 해당한다), 125ms 기준타이머 세트(405)(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3에 해당한다),를 행한다.
다음에 동작중→정지처리(387)에 대하여 제17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정지 처리로서, 동작중 표시 OFF(410), 도어상승리세트(411), 도어 하강리세트(412), 하한외정지처리(413)를 행한다. 다음에 정지중→동작처리(388)에 대하여 제18도로 설명한다. 먼저 ED카운트 타이머(420)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TM10)에 해당한다. 세트이면, 제11도에 나타낸 I상태에 있고 ED카운터갱신(+1)(421)을 행한다. 만일 리세트이면, II상태임을 의미한다.
다음에 ED치 초과(422)를 점검한다. 만일 ED치가 초과한 경우에는 ED치 초과 표시 ON(423), ED치 초과 타이머 세트(424), 30sec기준 타이머세트(425)(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9에 해당한다)를 행한다. 만일 ED치를 초과하지 않고 있을때는 ED카운터를 초기 클리어 하기위하여 ED카운트 타이머 리세트(426)를 행한다.
다음에 상, 하한 리미트 SWON(427)을 점검한다. 이것은 상, 하한 리미트 SW의 상태로서, 어느 일방이 되어있을 경우는 있지만, 동시에 ON이 되어있는 경우에는 고장임을 판정하는 것으로서 정지중 계속처리(428)를 행하여 도어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다음에 리미트 SW(429)를 점검하여 상한 리미트 SW가 ON일때는 하강출력, 하한 리미트 SW가 ON일때는 상승출력, 어느 리미트 SW도 ON이 되어 있지 않을 때는 동작방향표시(430)에서 모우드를 결정한다.
내력(來歷)모우드로서의 동작방향보다 리미트 SW의 입력신호를 우선 시키고 있다. 또 상기 동작방향표시는 제9도의 일시기억회로(349)에 기억되나 전원 투입시는 모두 클리어되기 때문에 표시는 OFF이다. 즉. 표시의 의미로서는 역방향인 의미를 부가하고 있으며, 표시 OFF는 상승, 표시 ON은 하강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표시 OFF인 경우는 도어 하강 리세트, 도어 상승 출력(431)을 행하여 다음의 동작 방향인 하강을 나타내기 위하여 동작방향표시 ON(432)을 행한다. 즉 상기 처리에 의하여 전원 투입후의 도어의 동작 방향은 상승으로 고정된다.
또, 동작방향표시(430)가 ON일때는 도어상승 리세트, 도어 하강 출력(433), 동작방향표시 OFF(434)로 하여 다음의 동작방향을 상승으로 하는 처리(435)를 행한다. 동작방향표시 설정후에 동작개시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동작개시처리(435)에 관하여 제19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에서는 동작을 개시함에 있어 모든 관련된 표시, 타이머를 설정하여 라이트(light)점등을 출력한다. 그리고 ODi 점등표시 ON(440), 도어 이동개시 표시 ON(441), 동작중 표시 ON(442), 기동입력처리 완료 표시 ON(443), 램프소등 타이머 리세트(444)(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12에 해당한다), ED클리어 타이머 리세트(445)(이것은 제10도-타이머TM11에 해당한다), ODi점멸 타이머 세트(446)(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5에 해당한다), 라이트점등(448), 장해물 무시타이머세트(449)(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6에 해당한다), 125ms기준 타이머 세트(450)(이것은 제10도 타이머 TM3에 해당한다)를 순차적으로 행한다.
다음에 동작중 계속처리(383)에 관하여 제20도, 제21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에서는 제6도에 나타낸 상태(304), 상태(306)를 주로 실행한다. 먼저, 동작방향 표시(451)를 점검하여 ON이면 다시 도어하강 리세트, 도어상승 출력(452)을 반드시 행한다. 그 후 상한 리미트 SW점검(453)을 행하여 ON이면, 하한의 정지처리(456)를 행한다.
만일, 상한 리미트 SW가 OFF이면, 역전 모우드(454)점검을 행하여 그 모우드가 ON인 경우에는 역전타이머를 점검(455)한다. 타이머는 제10도의 타이머 TM6이고, 리세트 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제6도의 상태(306)의 1피이트 상승한 것에 해당하기 때문에 다음은 하한 정지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세트이면 속행한다.
상기 동작방향표시(451)를 점검하여 OFF이면, 다시 도어상승 리세트, 도어하강 출력(457)을 반드시 행한다. 그 후 하한 리미트 SW(458)점검을 행하여 ON이면, 하한 점검지 표시(459)를 점검한다. 이 표시가 OFF이면 지금 하한점 입력이 된 직후 이므로 하한점 검지 표시 ON(460)를 함과 동시에 모우터 정지지연 타이머 세트(461)를 행한다. 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2에 해당한다. 다음에 도어 이동시간 감시타이머 리세트(462)를 행한다. 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8에 해당한다.
상기 하한점 검지표시(459)가 ON이면 모우터 정지지연 타이머를 점검(463)하여 리세트되어 있으면 제6도의 상태(304)의 일정시간 하강했음을 확인한 것이 되므로 다음은 하한 정지처리(464)를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타이머 TM2를 125ms으로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하한 정지처리 하한 외 정지처리에 관하여 제22도, 제23도, 정지계속처리에 관하여 제23도로 설명한다.
기동 입력불연속 타이머 세트(470), 장해물처리, 하한점 검출 후 처리용 표시 OFF(471), 기동 입력처리 완료표시(472)를 행한다. 이것은 조작용지령 입력으로 정지한 경우에도 상·하한 리미트 SW입력으로 정지한 경우도 동일하게 처리한다.
다음에 ED카운트 타이머 세트(473)를 행한다. 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TM10)에 해당한다.
라이트 점등시간은 제8도의 부가회로(316)에서 설정되는 2분 또는 6분 선택신호를 라이트 점등시간(474)에서 점검하여 라이트 소등타이머 2분 세트(475)라이트 소등, 타이머 6분 세트(476)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다음에 ODi 점멸 타이며 리세트(477), ODi 점멸표시 OFF(478), 클리어타이머세트(479)를 행한다. 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TM11)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6분으로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30sec 기준타이머 세트(480)를 행한다. 다음의 처리로서는 동작중 표시 OFF(481), 도어 하강 리세트, 도어 상승 리세트(482), 도어 이동시간 감시 타이머 리세트(483)를 행한다.
다음에 제14도의 메인 플로우차아트에서의 타이머 처리(368)를 제24도~제27도로 설명한다.
이 플로우차아트 처리부에서는 자체의 스텝수를 계수하여 타이머에 바꿔놓고 있으며 개개의 타임 카운터에 대하여서는 제10도와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는 기호를 붙혀 맵(map)과의 대응됨을 명확하게 한다. 15.625ms 타이머 카운터 갱신(490)을 하여 이 타이머(TM1)의 타임종료를 타임 오버(491)에서 점검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플로우차아트의 1사이클은 97스텝이며 그것을 4비트로 카운트하면, 16회째에 타임 종료가 되므로 오버플로우(over flow)가 나온다.
1스텝이 10μs이고, 16×97 스텝×10μs=15.52ms가 된다. 그러므로 15.625ms를 생각한 것은 그 상위 카운터 125ms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며, 기본부에서 이미 1% 정도의 오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타임 오버(491)의 출력은 15.625ms마다 나오기 때문에, 이것을 모우터 정지지연 타이머 카운터갱신(492)(타이머 TM2), 125ms기준 타임 갱신(493)(타이머 TM3, 타이머 TM3는+2씩 카운트하기 때문), 타임오버(494)등을 통해 오버 플로우할 때는 125ms가 보증(保證)된다.
다음 처리인 수신 성립시의 타이머 보정(495)의 내용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겠으나, 이 처리에서 보정인때는 불연속 타이머 갱신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수신성립시 타이머 보정이 아닌 때는 기동 입력불연속 타이머 카운터(496)을 점검한다. 카운터값이 영(0)이 아닌 때는 타이머 카운터 갱신(497)(타이머 TM4)을 하고, 타임 오버(498)에서 점검한다. 만일 타임 오버가 있으면 기동입력처리 완료표시 OFF(499)를 행한다.
ODi점멸 카운터(500)을 점검한다. 카운터 값이 영(0)이 아닌 때 타이머 카운터 갱신(501)(타이머 TM5)를 행하여 타임오버(502)에서 점검한다. 만일 타임 오버가 있으면 ODi 점멸처리(503)를 행한다. 즉 ODi점멸표시에 의하여 ODi를 점멸시켜 제12도의 상태(300), 상태(302)를 행한다.
다음에 장해물 무시 카운터를 점검(504)한다. 영(0)이 아닐때 타이머 카운터 갱신(505)(타이머 TM6)을 행하여 타임 오버(506)에서 점검한다. 만일 타임오버가 있으면 이동시간 감시 타이머 처리(507)를 행한다. 여기서의 처리는 도어 이동개시 표시를 OFF로 하여 이동시간 감시 타이머를 세트한다.
다음에 여기까지의 처리에서 2sec기준 타이머 카운터갱신(508)(타이머 TM7)을 행하고 타임 오버(509)를 점검한다. 타임 오버가 있으면 2sec경과로 된다. 다음에 이동 시간 감시 타이머 카운터(510)를 점검한다. 영(0)이 아닐때 타이머 카운터 갱신(511)(타이머 TM8)을 행하고 타임 오버(512)에서 점검한다. 만일 타임오버가 있으면 이동시간 오버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장해물 표시 ON, 역전 모우드 OFF로 하고 있다. 즉 타임 오버는 도어기동후, 상한 리미트 SW, 하한 리미트 SW, 장해리미트 SW로 부터 아무런 입력이 없을 때 25초후에 생긴다. 그 출력은 장해검지처리와 마찬가지가 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30sec기준 타이머 카운터 갱신(514)(타이머 TM9)을 행하여 타임 오버(515)에서 점검한다. 타임 오버가 있으면 30초 경과가 된다. 다음에 30sec에 기준타이머 세트(516)를 행한다. 이것은 30sec기준 타이머(TM9)는 타이머(TM7)가 기준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며 15카운트에서 오버플로우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타이머(TM9) 카운터에 "1"을 세트하고 있다.
다음에 ED카운트 타이머 카운터(517)를 점검한다. 영(0)이 아니면 타이머 카운터 갱신(518)(타이머 TM10)을 행한다. 다음에 ED클리어 타이머 카운터 갱신(519)(타이머 TM11)를 행하여, 타임 오버(20)에서 점검한다. 만일 타임 오버가 있으면 EC클리어처리(521)를 행한다. 여기서의 처리는 ED카운터클리어, ED치오버 표시 OFF로 하여 제11도의 상태 III에 해당한다.
다음에 라이트 소동타이머 카운터 갱신(522)(타이머 TM12)를 행하고 타임 오버(523)에서 점검한다. 만일 타임 오버가 있으면 라이트 소등처리(524)를 행한다. 다음에 제14도의 메인 플로우차아트 수신처리(365)를 설명하기에 앞서, 다시한번 송수신 방식에 대해서 말하기로 한다.
송신기(331)의 회로예로서 제28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인버어터(530),(531), 저항(R1),(R2), 콘덴서(C1)에 의하여 클록 발진회로를 형성하고, 인버어더(532)를 통하여 카운터(543)에 입력한다. 카운터(543)의 하위 3비트는 디코우더(545),(546),(547)에 입력하고, 상위 3비트를 부호해독기(544)에 입력한다. 여기서 상위 3비트를 해독한 Q1~Q5출력은 각각 카운터(543)의 하위 QA비트의 8배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부호 해독기(디코우더((544)의 출력 Q1~Q5에 의하여 40비트가 형성된다. 여기서, Q1,Q2의 출력은 3입력 NAND(552)에 입력되고 이것으로 동기신호 16비트분이 된다.
그리고 Q3에서는 인버이터(533)에 의하여 디코우더(545)가 선택되어 카운터(543)의 하위 3비트를 해독하고, 상기 디코오더(545)의 출력을 오픈드레인형의 인버어터(537)(인버어터 6개분)에 출력하여 이 출력이 비트 설정부인 비트스위치(548)(6접점)를 순차적으로 주사하여 ON-OFF 정보를 인버어터(536)를 거쳐 입력 NAND(552)에 입력한다. 마찬가지로 디코우더(544)의 Q4출력은 인버어터(534)를 거쳐 디코우더(546)가 선택되어 오픈드레인 형의 인버어터(539) 인버어터 6개분)비트 스위치(549)(6접점), 마찬가지로 디코우더(544)의 Q5출력은 인버어터(535)를 거쳐 디코우더(547)가 선택되어, 오픈드레인형 인버어터(541)(인버어터 3개분), 비트 스위치(550)(3접점)를 순차 주사한다. 여기서 오픈 드레인형 인버어터(538),(540)는 1개이고 스톱비트 SP에 대응하고, 오픈 드레인 형 인버어터(542)(인버어터 3개분)는 그 프레임 인 스톱비트 FSP에 대응한다.
이상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UHF 발진부인 RF발진기(551)를 3입력 NAND(552)로 ON,OFF 제어하면 송신기(331)의 전파출력으로서 제13도와 같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송신되어온 정보를 초재생회로인 수신회로(330)으로 수신하여 논리처리회로(311)로 입력된다. 이 논리처리 회로(311)에는 비트설정회로(3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비트 설정회로(321)의 실시예를 제29도에 나타낸다. 이 회로는 비트스위치(560),(561),(562)와 다이오드(Di1~Di10)으로 구성되고 논리처리회로출력(R0~R3),(R10~R13),(D1~D2)의 10비트의 출력을 순차 제어하여, 항상 1비트만 "1"로 하고 나머지 9비트는 "0"(오픈드레인 이지만 고임피이던스 상태이다)으로 함으로써 비트스위치의 ON,OFF정보를 입력단인 I1, I2로 보내고 있다.
제30도는 상기 비트스위치의 정보를 넣을 때의 설정패턴이다. 여기서 프레임 NO.라 함은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데이터(D1~D5)는 프레임 No.O, 데이터(D6~D10)은 프레임 No.1, 데이터(D11~D15)는 프레임 No.2, 프레임 스톱비트는 프레임 No.3으로 한다. 또 비트 카운터로서 개시 비트(ST)로 부터 스톱비트(SP)까지 우수치(偶數値)로 할당한다. 또 비트스위치의 정보를 넣을 때의 출력패턴 및 입력단은 도면과 같이 된다.
다음에 수신처리(365)에 대하여 제31도~제37도로 설명한다. 제31도를 설명한다. 장해물 리미트 SW점검(570)은 도어가 동작중일 때, 장해물 동작 방향의 리미트 SW를 점검한다. 동작중이 아닐 때는 처리단 수를 일치시킨다.
상세한 것은 제37도에 나타낸다. 이 처리에서 장해물이 있을 경우 또는 동작방향의 리미트 SW가 ON되어있지 않을 경우는 상태(status) 표시(이것은 제9도의 상태표시 레지스터내에 있다)를 세트한다. 다음 처리인 장해물 리미트 SW입력(571)의 점검은 상기 상태표시 점검만으로도 좋다. 상태표시 ON일때는 GFC1에 비월한다. 상태표시 OFF일때는 동기신호 카운터 갱신(572)을 행한다.
동기신호 카운터로서는 제9도에 나타내는 일시 기억회로(349)의 내부에 제10도와 같이, 비트를 준비하고 있다. 다음에 이 카운터의 값이 일정시간이상 계속되고 있지 않은지 여부를 점검한다. 즉, 본래의 동기신호로서 입력되는 파형의 최대차를 설정해두고, 그것보다 카운터값이 크면 이상(異常)으로 판단하여 GFC1로 비월한다.
이 동기신호 카운터 1상한치(573)에서 결과가 N이라고 나왔을 경우에는 수신 데이터=0(574)를 행하여 데이터가 0, 즉 동기신호가 끝났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만일 데이터가 0이 아니면 처리는 장해물 리미트 SW 점검(570)으로 되돌아 간다.
도면에 나타낸 L1의 루우프를 수신 데이터가 0이 될때까지 반복한다. 수신 데이터=0(574)에서 데이터가 0으로 되었을 경우는 동기신호 카운터 2하한치(575)를 점검한다. 즉 본래의 동기신호로서 입력되는 파형이 최소치를 설정해두고, 그것보다도 카운트치가 작으면 이상(異常)으로 판단하여 GFC1으로 비월한다.
이 동기신호 카운터 2하한치(575)에서 결과가 "Y"로 나왔을 경우에는 DiPSW독입용 출력패턴을 초기치세트(576), 프레임 No. 초기치 세트(577)를 제30도와 같이 행한다.
다음에 제32도를 설명한다.
샘플링 타이밍 카운터 초기치 세트(578)를 행한다. 이것은 다음의 비트 카운터 초기치 세트(579)를 합쳐서, 제31도의 동기신호 카운터 2하한치(575), DiPSW독입용 출력패턴 초기치 세트 및 프레임 No, 초기치 세트에 필요한 처리시간 길이를 그 다음부터 시작하는 샘플링 개시까지의 오차로서 수정하는 의미를 갖는다.
장해물 리미트 SW점검(580)은 도어가 동작중일 때, 장해물, 동작방향의 리미트 SW를 점검한다. 동작중이 아닌 때는 처리 스텝수를 일치시킨다. 상세한 것은 제37도에 나타낸다. 이 처리에서 장해물이 있었을 경우 또는 동작방향의 리미트 SW가 ON되어 있었을 경우는 상태표시(이것은 제9도의 상태표시 레지스터내에 있다)를 세트한다.
다음 처리인 장해물 리미트 SW입력(581)의 점검은 상기 상태표시만을 점검하면 된다. 상태표시 ON인때는 GFC1으로 비월한다. 다음에 스타트비트의 샘플링(582)의 점검을 한다. 상술과 같이 샘플링 주기로서 스타트비트 일때는 1/32, 그 외는 1/16로 한다. Y일때 샘플링 카운터 갱신(583)은 +2씩 갱신하고, 1/32로 하여 샘플링 카운터(584)는 +1씩 갱신한다.
다음에 샘플링 타임 오버(585)를 점검하고 결과가 아직 없으면 처리는 장해물리미트 SW점검(580)으로 되돌아 간다. 도면에 나타낸 L2의 루우프를 샘플링 타임오버가 될때까기 반복한다. 제31도의 L1루우프의 처리스텝수와 제32도 L2루우프의 처리스텝수는 동일하게 한다. 샘플링 타임 오버(585)가 "Y"가 되었으면 샘플링 오차보정(586)을 행한다. 상술한 L1루우프에서의 처리 스텝수는 32이다. 그러므로, 32처리 스텝루우프×1/16=2처리 스텝루우프가 되어 1카운트 2처리 스텝으로서 동기 카운터 하위 디지트의 값만큼 카운트하여 오차를 보정한다.
다음에 제33도를 설명한다.
수신 데이터를 캐리어에 취입하는 처리(578)를 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캐리어는 제9도에 나타내는 상태표시 레지스터(346)에 있다. 다음에 프레임 No.3인지의 여부, 즉 프레임 스톱비트(FSP)인지의 여부를 프레임 No.3(579)에서 점검한다. 만일 그렇다면 GFC3으로 비월한다.
프레임 No.3이 아니면 다음의 처리로 옮겨 스타트비트(580)의 점검을 행한다. 스타트비트인지 아닌지는 비트 카운터치로 판정한다. 비트 카운트치가 0이면 GFC4로 비월한다. 비트 커운트치가 0이 아니라면 다음의 처리로 옮겨 스톱비트(581)의 점검을 행한다. 스톱비트인지 아닌지는 비트카운터치로 판정한다. 비트카운트치가 14이면 GFC5로 비월한다.
만일 스톱비트가 아니면 DiTSW출력(D1),(D2)이 리세트(582), DiPSW 독입용 패턴로드(583)를 처리한다. 그 다음에 프레임No.1(584)의 점검을 한다. 프레임 No.1이 아니면 DiPSW출력(0~3)의 출력(585)를 처리한다. 다음에 출력패턴(586)의 점검을 하여, 0이면 DiPSW출력(D1)출력(587)을, 또 상기 출력패턴이 0이 아니면 DiPSW출력(D1) 리세트(588)를 행한다.
즉 출력패턴을 보아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0~R3은 4비트래치(latch)이며, D1은 1비트 래치이다. 이와 같은 구성상의 이유에서 상기 출력패턴설정방법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프레임 No.1 인때의 DiPSW출력(4~7) 출력(589), 출력패턴(590)의 점검 DiPSW 출력(D2) 출력(591), DiPSW 출력(D2)의 리세트(592)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제34도를 설명한다.
제33도의 스톱비트(581)의 점검에서 트톱비트의 입력임이 판정된 후 그 신호가 스톱비트, 즉 "1"임을 스톱비트 정상(正常)(593)에서 점검한다. 만일 "0"입력이면 스톱비트가 아니므로 정상적인 수신상태가 아니므로 그후의 샘플링은 행하지 않는다. GFC1로 비월한다. 만일 스톱비트 정상(正常)(593)에서 점검되어 정상인 스톱비트였다면 다음의 처리를 한다.
수신 데이터(594)의 점검 장애물 리미트 SW점검(594), 장애물 리미트 SW입력점검(596)을 반복하여 도중 수신데이터(594)에서 수신데이터가 "0"인 것을 확인 한 후, 이 루우프로 부터 벗어나 다음의 샘플링 카운터 초기세트(598)를 행한다. 그 후 GFC10으로 비월한다. 여기서 수신데이터(594)에서 레벨점검을 하고 그 신호가 하강한 시점부터 새로운 샘플링을 개시하기 위하여 샘플링의 그 시점까지의 오차는 해소 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출력패턴=0(607)의 점검에 의하여 출력패턴이 "0"이 아닌때는 아직 동일프레임내 처리중이고, 출력 패턴 갱신(2배)(610)을 행한다. 다음 처리로서 샘플링카운터 초기치 세트(610)를 행하여 비트 카운터 갱신(+2)(611)을 행한다.
제32도에 나타내는 GFC9로 비월한다.
제35도에서 GFC8로 비월할 때는 데이터가 일치했을 때이고, 수신처리 플로우차아트에서 평균처리시간으로 80mS를 요하고 있다(이것은 1비트가 2mS, 1프레임 40비트로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제14도에서 수신처리(365)를 하기 위하여 타이머 처리(368)가 대단히 큰 영향을 받고 만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타이머 처리(368)에서의 15.625mS 타이머를 타이머 카운터 보정(612)에서 5회 호출(call)하고 있다. 근사처리를 하여 메인 타이머를 보정한다.
다음에 기동 입력불연속 타이머 세트(613)을 행하여 수신처리용 카운터영(0) 클리어, 수신처리용 i/0단자(port) 리세트(614)를 행한다. 제33도에서 스타트비트(580) 점검에서 스타트비트의 입력으로 판정된 후 그 신호가 스타트비트 즉, "0"인 것은 스타트비트 정상(597)에서 점검한다. 만일 "1" 입력이면 스타트비트가 아니므로 정상인 수신 상태가 아니며 그 후의 샘플링을 행하지 않는다. GFC1으로 비월한다. 만일 스타트비트 정상(597)에서 점검되어 정상인 스타트비트 였다면 다음의 처리인 샘플링 카운터 초기치 세트(598)를 행한다.
제35도는 제33도 프레임 No.3(579)점검에서 프레임 No.3으로 판정된 경우의 처리이다. 스톱비트(599)에서 스톱비트인지 아닌지를 비트카운터에서 점검한다. 비트카운터가 8,10,12인때는 수신 데이터=1(600)을 점검한다.
이 비트카운터치 일때는 수신 데이터는 "1"이 아니면 않되며 GFC7로의 비월은 정상인 경우를 나타낸다. 만일 수신 데이터가 "0"이면 수신 상태는 이상(異常)이며 GFC1로 비월한다. 또 스톱비트(599) 점검에서 비트카운터가 14인 경우는 수신 데이터=0(601)을 점검한다. 이 비트카운터치 일때는 수신 데이터는 "0"이 아니면 않되며 GFC8로의 비월은 정상인 경우를 나타낸다. 만일 수신 데이터가 "1"이면, 수신 상태는 이상(異常)이고 GFC1로 비월한다.
제36도는 제33도로부터의 계속이다.
프레임 No.=2(602)의 점검에 의해 설정된 DiPSW의 입력단을 구별하고 있다. 제3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No.=2이면 입력단은 I2이고, DiPSW 입력(11~15)에 대응한다. 여기서 DiPSW 입력(11~15)(605)를 점검하여, "1"이면 수신 데이터=1(604)을 점검한다. 또 "0"이면 수신데이터=0(606)을 점검한다. 점검한 결과일치하고 있으면 출력패턴=0(607)점검을 행한다. 만일 불일치인 경우는 수신 처리용 카운터영(0), 클리어 수신 처리용 i/0단 리세트(614)를 행한다.
상기한 경우에서 만일 프레임 No.=2가 아닌 때는 입력단은 I1이어서 DiPSW입력(1~10)에 대응한다. 여기서 DiPSW입력(1~10)(603)을 점검하여 "1"이면 수신데이터=1(604)을 점검한다. 또 "0"이면 수신데이터=1(606)을 점검한다. 점검한 결과 일치되고 있으면 출력패턴=0(607) 점검을 행한다. 만일 불일치인 경우는 수신 처리용 카운터 영(0) 클리어, 수신 처리용 i/0단 리세트(614)를 행한다.
다음 처리로서 출력패턴=0(607)점검을 한다. 출력패턴이 "0"이면 데이터 5비트의 점검이 완료한 것을 의미하고, 다음의 프레임에서의 새로운 데이터취입 패턴을 설정한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출력패턴 초기치 세트(608)를 향하여 출력패턴으로서 "1"을 세트한다. 또 프레임 No. 갱신(+1))(609)을 행한다. 다음 처리로서 샘플링 카운트 초기치세트(610)를 행하여 비트 카운터갱신(+2)(611)을 행한다.
제32도에 나타내는 GFC9의 위치로 비월한다. 제37도는 장해물 리미트 SW점검 처리내용을 나타낸다. 먼저 동작중 표시(615)를 점검하여 ON하고 있다. 즉 동작중인 경우는 장해물 SW(616)점검을 한다. 장해물 SWON이면 상태(status)세트(620)를 행한다.
장해물 SWOFF일 때는 동작방향의 리미트 SW를 점검(617)을 한다. ON이면 상태 세트(620)을 행한다. OFF이면 상태 리세트(618)를 행한다. 또 상기 동작중 표시(615)가 OFF, 즉 정지중이면 동작중에 필요한 처리 스텝수와 맞추지 않으면 정지와 동작중에서 타이머가 변동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스텝 맞추기(619)를 행하고 있다.
발명의 응용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시간의 관리를 상기 일시기억회로의 일부를 계시(計時)수단으로 이용하여 일정처리스텝마다 계시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값싸게 구성할 수는 있으나 시간 정확도는 그리 좋지 않다.
이 시간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다시 시간만을 계시하는 수단을 별도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정치가 설정될 수 있는 회로시간 계시회로가 있다. 또는 이와는 별도로 일정주기로 타이밍 펄스를 발생시키는 회로를 상기 입출력회로에 접속하여 그 타이밍 펄스의 입력을 실행중인 프로그램처리보다 우선시켜 처리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타이밍 펄스 수를 카운트하거나, 또는 특정 타이밍 길이라면 그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계시처리를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일반적으로 개입중지 제어라고 불리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 개폐장치의 기본상태 천이예로서 상승-정지-하강-정지인 주기동작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응용예로서 다음과 같은 기분상태 천이예도 생각된다.
조작 입력신호를 받을 때마다 동작-정지를 반복하여 상한 위치 또는 하한위치로 상기 도어 계폐장치가 도달했을 경우는 상기 도어 개폐장치를 정지시킨다. 그 다음의 조작 입력신호를 받으면 동작방향을 반전하고 그 동작방향지시에 따라 도어를 이동시킨다(상승-정지의 반복, 하강-정지의 반복).
다시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입력신호로서 도어의 이동 방향을 직접 지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는 하고있지 않으나 상기 부가회로에 상승지시용 스위치, 하강 지시용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그 스위치가 입력되어 있을 때는 그 스위치에서 지시되는 방향으로 도어를 이동시키는 것은 처리프로 그램에 상기 처리를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되며 용이하게 실현화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을 직접 지시하는 수단은 있다. 상한 리미트 스위치, 하한 리미트스위치가 입력되는 회로상에서 이 스위치와 병열로 스위치를 부가하면 되며 처리프로그램으로서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ON되어 있으면 하강지령,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ON되어 있으면 상승지령이 출력되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해검지후의 처리로서 상승중은 정지, 하강중은 일정시간 정지후, 일정시간 상승하는 상태천이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장해검지후의 처리로서 동작중의 도어상태에 따른 제어를 하는 것이 있고 도어를 반전 동작시키거나 또는 일정시간 정지처리를 제어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상승이 아니고 상한 위치까지 상승하는 처리로 하는 등 상기 상태천이 처리제어의 자유스러운 확장도(擴張度)를 갖는다.
또한 상기 장해검지후의 처리로서 이 처리중에는 새로운 조작입력신호를 받지 않고 처리하고 상기 처리가 끝난 후에 새로운 조작입력신호를 받아 들이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장해검지후의 처리로서 이 처리중의 여하에 관계없이 새로운 조작입력을 받아들여 처리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어 개폐장치의 동작시간 관리를 행하여 동작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 개폐장치의 각종 상태 검지신호가 입력되지 않고있는 경우는 이상(異常)으로 판단처리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동작시간 관리를 행함으로써 동작중의 도어 상태와는 다른 상태로 하는 것만으로도 좋고 다음과 같은 처리도 생각할 수가 있다.
1. 상기 도어 개폐장치를 정지시킨다.
2. 상기 도어 개폐장치를 반전시킨다.
3. 상기 도어 개폐장치가 열리는 동작중이면 정지, 닫히는 동작이면 일정시간 열리는 동작을 시킨다.
4. 상기 도어 개폐장치가 열리는 동작중이면 정지, 닫히는 동작이면 열리는 동작을 시킨다.
상기 2,3,4항에서 도어의 동작방향이 반전하는 경우는 일정시간 정지시켜도 좋다.
또 상기 처리중에는 그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 새로운 조작입력신호를 받아 들이지 않도록해도 좋다. 또 상기 처리중에 새로운 조작입력신호를 받아 들이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실행처리 순서에 있어서 상태검지 장치로 부터의 검지 입력신호로서 특별히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있지는 않다. 단 일반적으로 개입중단 제어라고 불리는 실행프로그램보다 우선 하여 처리하도록 상기 상태검지 장치에 우선 순위를 주어 처리해도 좋다.
다시 안정 장치의 부가나 특정한 신호입력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우선 순위처리를 함으로써 도어 개폐장치를 시스템 성능이 향상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개폐장치의 처리프로 그램인 프로그램 기억회로의 내용에 따라 제어 내용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기억내용을 변경만으로 별도의 기능을 갖는 제어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어 범용성(汎用性)이 풍부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Claims (1)

  1. 도어를 상한 위치와 하한위치사이에서 구동하는 구동장치와, 이 구동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구동장치를 전원에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제어 장치와, 이 제어 장치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수동입력 장치와, 도어가 상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한 위치신호를 발생하는 상한 위치검지장치와, 도어가 하한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하한위치신호를 발생하는 하한위치 검지 장치와, 상한위치와, 하한위치사이의 장해물에 의한 도어동작의 방해를 검지하여 장해신호를 발생하는 장해물 검지 장치와, 상기한 수동입력신호, 하한위치신호, 상한위치신호, 장해신호등이 없을때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개시에 응동하여 이 동작개시에 이어 소정의 주기가 경과된 후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 장치등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도어가 상한위치에서 하한위치로 하강하는 도중에 상기한 장해신호 및 타이밍 신호중의 어느하나기 발생하면 도어가 하한 위치에서 상한 위치로 상승되고, 도어가 하한위치에서 상한위치로 상승하는도중에 상기한 장해신호 및 타이밍 신호중의 어느 하나가 발생하면 도어의 동작이 정지하도록 상기한 게어장치가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
KR1019800000565A 1980-02-13 1980-02-13 도어 개폐 제어 장치 KR830001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565A KR830001614B1 (ko) 1980-02-13 1980-02-13 도어 개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565A KR830001614B1 (ko) 1980-02-13 1980-02-13 도어 개폐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271A KR830002271A (ko) 1983-05-23
KR830001614B1 true KR830001614B1 (ko) 1983-08-18

Family

ID=1921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565A KR830001614B1 (ko) 1980-02-13 1980-02-13 도어 개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6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271A (ko) 198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573B1 (ko) 도어 개폐제어장치
JPS6317996B2 (ko)
US7708048B2 (en) Automatic barrier operator system
US4328540A (en) Do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KR100466994B1 (ko) 에스컬레이터나이동도로용무선검출또는제어장치
US85369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rolling code learning transmitter
EP0579727B1 (en) Garage door operator safety apparatus
US4922168A (en) Universal door safety system
CA2449805A1 (en) Improve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opening doors
EP1725994A1 (en) 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seeding a random serial number for radio frequency control of a barrier operator's accessories
CA1167551A (en) Do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KR880002712B1 (ko) 도어개폐제어장치
KR830001614B1 (ko) 도어 개폐 제어 장치
JP6959216B2 (ja) 開閉体制御装置、開閉体制御システム、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パワーウインドウシステム
JPH0224986B2 (ko)
JPS6316554B2 (ko)
JPS6316553B2 (ko)
KR850001687B1 (ko) 차고문 개폐 제어 장치
JPS6317995B2 (ko)
JPS6316552B2 (ko)
JPH0224984B2 (ko)
JPS6317994B2 (ko)
JPS6317993B2 (ko)
KR860001585B1 (ko) 자동 도어 개폐제어장치
JP3500222B2 (ja) リモコン操作機能を有する電動シャッターの安全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