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613Y1 - 에어 폿트 - Google Patents

에어 폿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613Y1
KR830001613Y1 KR2019810005457U KR810005457U KR830001613Y1 KR 830001613 Y1 KR830001613 Y1 KR 830001613Y1 KR 2019810005457 U KR2019810005457 U KR 2019810005457U KR 810005457 U KR810005457 U KR 810005457U KR 830001613 Y1 KR830001613 Y1 KR 830001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t
guide
water
cup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5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구
한국후지카공업주식회사
Original Assignee
한국후지카공업주식회사
김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후지카공업주식회사, 김동구 filed Critical 한국후지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10005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 A47J41/0027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the stopper incorporating a dispensing device, i.e. the fluid being dispensed through the stopper
    • A47J41/0033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the stopper incorporating a dispensing device, i.e. the fluid being dispensed through the stopper comprising a pumping syst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에어 폿트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배면에서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5도는 탄지스프링이 요철부에 탄지된 상태도.
제6도는 안내홈이 안내레일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본 고안은 에어폿트의 물 배출구의 직하방에 연결관을 승강자재하게 설치하여 컵의 높이에 따라 물 배출구의 높이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종래의 에어폿트는 물 배출구가 몸체 상부 외주벽에 고정설치되어 있어 물을 따르고저 할때 한손으로 물컵을 들어 물배출구에 근접시킨 후 다른 한손으로 가압간을 가압하여야 하므로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부주의로 인해 물이 비산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물배출구 직하방 몸체 외주벽에 컵 걸이구를 부착하여 컵 걸이구에 물컵을 걸어 놓은 다음 물을 따르도록 된 에어폿트가 사용되었으나 이는 컵걸이구의 높이와 직경에 맞는 한정된 컵만을 사용할수 있어 여러종류의 컵을 보편적으로 상요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의 에어폿트의 물배출관을 길게 연장하고 그 하방에 승강자재한 연결관을 접설하여 이 연결관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컵의 직경이나 높이에 구애됨이 없이 한손으로 간편하게 물을 따를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에 서로 대향된 요철부(5)(5')와 하부에 안내레일(6)이 형성된 안내체(3)의 내공간부(7)에 연결관(8)이 내장되고 탄지스프링(9)이 탄설된 승강체(4)를 내삽함에 있어 승강체(4)의 탄지스프링(9)이 안내체(3)의 요철부(5)(5')에 감수되고 안내홈(10)이 안내레일(6)에 감합되게하여 승강체(4)가 안내체(3)에서 승강자재토록한다.
승강체(4)가 내삽된 안내체(3)상부의 구멍(11)을 통상의 에어폿트 몸체(1) 주벽에 설치된 물배출관(2)으로 끼워 물 배출관(2)이 승강체(4)에 내장된 연결관(8)속에 내삽되도록 한 후 안내레일(6)의 직하방 괘지편(12)과 에어폿트 몸체(1)를 볼트(13)로 고정하여서 된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배출관(2)이 승강체(4)이 내장된 연결관(8)에 내삽되어 있어 승강관(4)을 올리거나 내려도 에어폿트에서 배출되는 물이 물배출관(2)과 연결관(8)을 통하여 배출되므로 컵의 높이에 따라 승강관(4)을 적절히 조절하여 안전하게 물을 따를수 있고, 승강관(4)의 탄지스프링(9)이 안내체(3)의 요철부(5)(5')에 탄지되어 있어 적절한 힘을 가해야 승강관(4)이 안내체(3)에서 승강되므로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에어폿트의 물배출구(2)에 승강자재한 연결관(8)을 연결하여 컵이나 용기의 높이에 따라 물이 배출되는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상부에 요철부(5)(5')와 하부에 안내레일(6)이 형성된 안내체(3)에 연결관(8)이 내장되고 탄지스프링(9)이 탄설된 승강체(4)를 내삽한후 안내체(3)의 상부구멍(11)을 물배출관(2)에 끼워 물배출관(2)이 연결관(8)속에 내삽되도록 하여서된 에어폿트.
KR2019810005457U 1981-08-04 1981-08-04 에어 폿트 KR830001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5457U KR830001613Y1 (ko) 1981-08-04 1981-08-04 에어 폿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5457U KR830001613Y1 (ko) 1981-08-04 1981-08-04 에어 폿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613Y1 true KR830001613Y1 (ko) 1983-08-26

Family

ID=1922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5457U KR830001613Y1 (ko) 1981-08-04 1981-08-04 에어 폿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6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3026529T3 (en) Improved scaffold connection.
KR830001613Y1 (ko) 에어 폿트
GB2108236A (en) A vibration-absorbing height-adjustable supporting element
JPS589546Y2 (ja) エア−ポツト
JPH03129256U (ko)
JPS6153464U (ko)
JPH0510660Y2 (ko)
JPS6341672U (ko)
JPH0240357Y2 (ko)
JPS6153463U (ko)
JPH049967Y2 (ko)
JPH02120356U (ko)
JPS63153941U (ko)
JPH0365780U (ko)
JPH03118400U (ko)
JPS645967U (ko)
JPH02112323U (ko)
JPH0445244U (ko)
JPS5895789U (ja) 止水栓
JPH03120449U (ko)
JPS6448511U (ko)
JPH0362174U (ko)
JPH02136162U (ko)
JPS63169079U (ko)
JPS63121034U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