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376Y1 - 트리머 콘덴서 - Google Patents

트리머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376Y1
KR830001376Y1 KR2019800003799U KR800003799U KR830001376Y1 KR 830001376 Y1 KR830001376 Y1 KR 830001376Y1 KR 2019800003799 U KR2019800003799 U KR 2019800003799U KR 800003799 U KR800003799 U KR 800003799U KR 830001376 Y1 KR830001376 Y1 KR 830001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ator plate
insulating substrate
dielectric film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3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554U (ko
Inventor
다까시 시라가와
Original Assignee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00003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376Y1/ko
Publication of KR830000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5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3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리머 콘덴서
제1도는 종래의 트리머 콘덴서의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트리머 콘덴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대한 트리머 콘덴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대한 트리머 콘덴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소형 트리머콘덴서의 구조, 특히 소형트리머 콘덴서의 적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리머 콘덴서는 드라이버 등으로 회전자(rotor)를 회동시켜 용량의 미조정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최근에는 회전자 또는 고정자의 표면에 합성 수지필름으로된 유전체를 첨가하여 접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트리머 콘덴서의 단면도, 제2도는 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1'는 세라믹이나 합성성수지의 절연체의해 형성된 절연기판, 2'는 연기판(1')상에 고정된 접지 고정자판으로서, 일단은 절연기판(1')의 주연(周緣)으로보터 돌출하여 단자(2a')를 형성하고 있다.
3'는 방사고 정자판(hot stator plate)으로, 그 양면에 유전체 필름(4')이 집착되어 절연기판(1')상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일단은 절연기판(1')의 주연(周緣)으로부터 돌출하여 단자(3a')를 형성하고 있다.
또 방사 고정자판(3')의 두께는 필름(4')의 두께를 고러하여 첩지 고정자판(2') 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측의 유전체 필름(4')의 표면과 접지 고정자판(2')의 표면은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5'는 접지 고정자판(2')과 유전체 필름(4')상에 올러져 접지 고정자판(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전자판이다. 6'는 절연기판(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으로서, 회전자판(5')과 결합되어 손잡이(6a')를 돌러 회전축(6')을 회전시키면, 회전자판(5')도 회전하여 회전자판(5')과 방사고 정자판(3')의 중첩량에 의하여 단자(2a'), (3a') 간의 정전(靜電)용량이 변화한다. 또 7'는 프라스틱제의 덮개, 8'는 회전축의 덜거덕거림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와셔이다.
방사 고정자판(3')에 접착되는 유전체 필름(4')으로서 여러 가지의 합성수지가 고러되지만 접착공정이 간단한 열압착 적층(laminate) 공정을 작용할 경우, 고주파 전기특성에 우수하나 금속에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는 것은 극히 적어, 현재 실용화 될 수 있는 것은 방사 조사(照射) 등에 시행되는 폴리에틸렌 필름뿐이다.
폴리에틸렌 필름은 고주파 특성이 대단히 양호하나, 비유전률(εr)이 비교적 작고, 단위 면적당의 용량값을 크게 하고자 할 경우, 폴리에틸렌필름의 두께를 얇게 하여 전극 대향거리를 작게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폴리에틸렌은 기계적, 열적 강도가 낮으므로 두께를 25μm 이하로 했을 경우는 필름 제조상 두께 정밀도의 유지가 곤란하고, 로트(lot)간에서 두께의 불균일이 생긴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같은 트리머콘덴서에서는 폴리에틸렌 필름을 적층한 방사고 정자판(3')의 두께간 불균일하게 되어 접지 고정자판(2')표면과의 사이에서 단차(段差)가 생기는 경향이 있었다.
이 단차는 필름이 얇을수록 현저하고, 필름의 열압착 적층시에 생기는 필름 두께의 불균일도 원인이 되었다. 이와 같이 접지 고정자판과 방사 고정자판과의 사이에 단차(段差)가 생기기 때문에 종래의 트리머 콘덴서는 접지고정자판과 회전자판의 밀착성, 도통성이 불안정하게 되는 결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고 신규한 고안으로서 그 목적을 접지 고정자판과 유전체 필름을 접착한 방사 고정자판을 절연기판상에 나란히 설치하고 이들 판상에 회전자판을 이동 가능하게 밀착시켜 트리머 콘덴서에 있어서, 유전체 항름의 두께를 변화시켜도 두 개의 고정자판 표면에 단차가 생기지 않는 구조를 얻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관한 트리머 콘덴서의 단면도, 제4도는 도면에서, 1은 거의 구형(矩形)인 절연기판으로서, 세라믹 또는 절연성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상면의 네모서리에 돌기(1a)……와, 측면에 절결부(切缺部)(1b, 1b)와 중앙에 관통 구멍(1c)과, 저면측에 凹부(1d)를 형성하고 있다. 2는 접지 고정판으로서, 양호한 도전성의 박판 금속판으로 구성하여 상기 절결부(1b)에 끼워맞춰, 단자부(2a)를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플레이트부(2b)에는, 상기돌기(1a)와 끼워맞춰 지는 절결부(2b-1, 2b-1)가 설치되어 있다.
3은 방사 고정자판으로서 상기 접지 고정자판(2)과 동일 재료, 동일판두께로 선정되어 단자부(3a), 플레이트부(3b), 절결부(3b-1, 3b-1) 등을 갖추고 있다.
4는 상기 두 고정자판(2), (3)을 충분하게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풀리에틸렌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유전체 필름으로서, 중앙구멍(4a), 절결부(4b,……), 절결부(4c, 4c)가 형상되어 있다.
5는 양호한 도전성금속판으로 된 회전자판으로서 부채꼴을 나타내며 후출하는 회전차축(6)이 끼워맞추어지는 절결부(5a)가 설치되어 있다.
6은 회전자축으로서 드라이버 홈을 갖춘 조작부(6a)와 외부(6b)로 구성되어 단면 비원형(非圓形)의 축부(6b)가 상기회전자판(5)의 절결부(5a)에 끼워맞춰짐으로서 회전자판(5), 회전자축(6)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7은 합성수지제의 덮개로서, 중앙에 상기 회전자축(6)의 조작부(6a)를 외부에 나오도록 구멍(7a)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절연기판1(1)과 초음파 용착 등으로 일체화 된다. 조립시에 있어서 우선 유전체 필름의 편측(片側)을 절연기판(1) 상에 올러진 상태에서 접지 고정 판(2)을 절연기판(1)에 취부한다. 이때 접지 고정자판(2)은 절결부(2b-1, 2b-1) 및 단자부(2a)를 절연기판(1)의 돌기(1a, 1a) 및 절결부(1b)에 각각 끼워맞춰, 절연기판(1)에서 회전이 불가능하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유전체 필름(4)을 접지고정 판(2)와 기판(1) 사이에서 협지(挾持)하기 때문에, 유전체 필름(4)의 위치가 결정되고 가고정(假固定)되어 조립의 자동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후 고정되어 있지 않은 유전체 필름(4)의 다른 측과 절연기판(1) 사이에 방사 고정자판(3)을 끼워넣고,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방사고정자판(3)의 절결부(3b-1, 3b-1) 및 단자부(3a)를 절연기판(1)의 돌기(1a, 1a) 및 절결부(1b)에 각각 끼워맞춰 절연기판(1), 방사고정자판(3)을 일체로 조립한다. 그리고 회전자판(5)을 취부한 회전자축(6)을 유전체 필름(4)의 중앙구멍(4a) 및 절연기판(1)의 관통구멍에 삽통하고 회전자축(6)의 축부(6b)의 선단을 빠지지 않게하고, 덜거덕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연해 탄성
이때 회전자판(5)의 기부(基部)는 항상 접지 고정자판(2)과 접저되도록 위치가 정해진다.
그리하여 최후에는 덮개(7)를 씌우고, 덮개(7)와 절연기판(1)을 용착등으로 일체화하면 조립이 끝난다.
또, 방사 고정자판(3) 상의 유전체 필름(4)의 단부(4d)는 덮개(7)에 의해 압착되어 방사 고정자판(3)에 밀착된 상태로 확실하게 유치가 결정되어 유지된다. 또, 절연기판(1)과 접지 고정판(2)에 협지된 유전체 필름(4)도, 이 접지 고정자판(2)을 개재하는 덮개(7)와 회전자판(5)에 압압되므로, 접지 고정자판(2)과 절연기판(1) 사이에 확실하게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방사고정자판(3)상의 유전체 필름(4)의 상면과 접지 고정자판(2)의 상면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여, 종래의 발생하기 쉬운 유전체 필름의 열 압착시 필름 두께의 불균일 또는 각로트(lot)간의 필름두께의 불균일을 완전제거하는 구성으로 된다.
이상 본 고안에 의하면 필름의 일부를 접지고정판과 절연기판간에 또, 잔여의 유전체 필름이 절연기판상의 방사고정자판상에 올러져 있으므로 회전자판 접촉면에 단차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회전자판과 유전체필름간의 밀착성을 모두 안정시키고, 양호하게 유지시켜, 이로 인해 각 트리머콘덴서의 전기특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접지 고정자판(2)과 방사 고정자판(3)과 유전체필름(4)을 절연기판(1)상에 배설하여 이들의 판상에 회전자판(5)을 이동가능하게 밀착시킨 트리머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한 절연 기판(1)상의 일부분에 유전체 필름(4), 접지 고정자판(2)의 순으로 적층 배치하고 절연기판(1)상의 다른 부분에 방사 고정자판(3), 유전체필름(4), 회전자판(5)의 순으로 적층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머 콘덴서.
KR2019800003799U 1980-06-14 1980-06-14 트리머 콘덴서 KR830001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3799U KR830001376Y1 (ko) 1980-06-14 1980-06-14 트리머 콘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3799U KR830001376Y1 (ko) 1980-06-14 1980-06-14 트리머 콘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54U KR830000554U (ko) 1983-06-17
KR830001376Y1 true KR830001376Y1 (ko) 1983-08-06

Family

ID=1921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3799U KR830001376Y1 (ko) 1980-06-14 1980-06-14 트리머 콘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3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54U (ko) 198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1376Y1 (ko) 트리머 콘덴서
JPS6011451B2 (ja) 可変磁器コンデンサ
JPS5936906Y2 (ja) トリマ−コンデンサ
US4353106A (en) Trimmer capacitor
KR0115054Y1 (ko) 트리머 콘덴서
KR840002856Y1 (ko) 세라믹 트리머 콘덴서
JP3092518B2 (ja) 可変コンデ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lc複合部品
JPH0410683Y2 (ko)
JP3261923B2 (ja) 容量内蔵型圧電振動子の製造方法
JPH0134325Y2 (ko)
JPS638117Y2 (ko)
JPS6342519Y2 (ko)
JPH0132736Y2 (ko)
JPS6311710Y2 (ko)
JPS638115Y2 (ko)
JPS6130266Y2 (ko)
JPH039318Y2 (ko)
JPS635222Y2 (ko)
JPS5938039Y2 (ja) 可変磁器コンデンサ
JPH069481Y2 (ja) 可変コンデンサのトリマ構造
JPS6311713Y2 (ko)
JPS6325724Y2 (ko)
KR830001770Y1 (ko) 트리머 콘덴서
JPS6328592Y2 (ko)
JPH0452982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