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224B1 -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용 비데오 디스크 지지 및 노선 설정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용 비데오 디스크 지지 및 노선 설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224B1
KR830001224B1 KR1019770002979A KR770002979A KR830001224B1 KR 830001224 B1 KR830001224 B1 KR 830001224B1 KR 1019770002979 A KR1019770002979 A KR 1019770002979A KR 770002979 A KR770002979 A KR 770002979A KR 830001224 B1 KR830001224 B1 KR 830001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er
record
cover
video dis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70002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224A (ko
Inventor
데스테 파니스 랠프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Priority to KR1019770002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224B1/ko
Publication of KR830001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용 비데오 디스크 지지 및 노선 설정장치
제1도는 자켓과 덮개내에 이동할 수 있게끔 위치한 레코오드 포함 부재를 포함하는 보호덮개의 개략도.
제2 내지 3도는 제1도의 레코오드 포함부재와 자켓의 상면도.
제4 내지 5도는 변형된 레코오드 포함부재와 변형된 자켓의 상면도.
제4a도는 제5도의 변형된 자켓과 사용하기에 적절한 레코오드 포함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
제6도는 제1 내지 3도 및 제4,4a,5도의 보호덮개 내에서 사용하기에 적장한 레코오드 포함부재의 해제장치.
제7도는 신규의 레코오드 지지 및 노선 설정장치와 상호 결합된 비데오 디스크 장치의 평면도.
제8내지 9도는 제각기 하강된 위치와 상승된 위치로 도시된 이동이 가능한 평판을 포함하는 제7도의 비데오 디스크 장치의 측면도.
제10내지 11도는 제각기 수축된 상태와 신장된 상태인 레코오드 취출장치.
제12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의거한 신규의 레코오드 지지 및 노선 설정장치와 상호 결합된 비데오 디스크장치의 측면도.
제13,14 및 15도는 제12도의 변형된 비데오 디스크장치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도아 지지조립체(doorbracket)의 단면(端面)도, 정면도 및 평면도.
제16 및 17도는 제13 내지 15도의 도아 지지조립체와 상호 결합하고 제12도의 변형된 비데오 디스크 장치에서 사용하기 적당한 평판 연결조립체 측면도 및 평면도.
제18도는 제12도의 변형된 비데오 디스크 장치 내에서 덮개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며, 또한 덮개 돌출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19도는 제12도의 변형된 비데오 디스크 장치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가동성 평판의 저면도.
제20도 및 21도는 제19도의 평판상에 장착된 좌추-중심상승 대(pad) 조립체의 평면도 및 단면도.
제22 및 22a도는 제19도의 평판상에 장착된 좌측 전면 상승대의 평면도 및 단면도.
제23 및 23a도는 제19도의 평판상에 장착된 후단상승대의 평면도 및 단면도.
제24도는 제7도 및 제12도의 비데오 디스크 장치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변형된 레코오드 취출장치.
제25도는 제24도내에서 선분 25-25를 따라서 변형된 레코오드 취출장치를 절취한 단면도.
제26도는 제25도 내에서 선분 26-26을 따라서 변형된 레로오드 취출장치를 절취한 단면도.
본 발명은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사용자가 비데오 디스크를 직접 취급하지 않고 플레이어 내, 외로 삽입 또는 취출하기 위한 비데오 디스크 취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죤 케이. 클레멘즈씨에게 허여된 비합중국특허 제3,842,194호 내에서 비데오 디스크장치가 언급되어 있는데 여기에 설명된 장치에서 정보트랙은 디스크 레코오드의 표면상에 있는 유연한 나선형 홈의 저부내에있는 기하학적 변화로 구성되었고 이러한 디스크 레코오드는 도전재료의 코팅 위에 절연 재료의 침전물로 이루어져 재생한는 동안에는, 홈상에서 이동하는 바늘 내에 결합된 전극과 디스크 레코오드의 도전성코팅사이에 형성되는 용량 변화는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도록 지지턴테이블이 회전됨으로써 감지되어진다.
클레멘스씨의 형태인 장치에서 적절한 연주시간을 얻기 위하여 연속적인 홈 회선들은 비데오 디스크의표면상에서 서로 근접하여 위치하며 (즉, 홈의 밀도 5.555gpi(홈/인치인 4.5마이크로미터) 홈 저부내에 있어 신호소자들은 상대적으로 작다(즉, 신호 소자길이 0.3 내지 0.8마이크로미터와 신호소자 깊이 0.10 내지 0.15마이크로 비터).
이러한 비데오 디스크상에 먼지가 축적되면 문제점이 제기되는데 먼지 축적의 문제는 대기의 먼지가 고온 고습의 조건에서 비데오 디스크상에 존재할 때 심각해지므로 비데오 디스크를 취급 또는 보관시에 방진조건으로 비데오 디스크를 완전히 포함하는 덮개를 이용함으로서 방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형태의 비데오 디스크들은 그들을 직접(수동) 취급하는 동안 다수의 손상 위험성을(즉, 지문이 묻거나, 상처가 나거나 하는 위험등) 갖게 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취급함이 없이 플레이어 내,외로 비데오 디스크를 삽입, 취출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직접 취급함이 없이 플레이어 내외로 비데오 디스크를 삽입 또는 취출하기 위한 장치는 (1) 엠.에이. 리돔씨에 의하여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747,865호 제목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용 비데오 디스크 취급장치"와 (2) 씨. 에프. 콜리맨씨에 의하여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747,729호 제목 “비데오디스크 플레이어용 비데오 디스크 삽입/취출장치”에 기술되어 있다.
리돔씨와 콜리맨씨의 출원서내에서 설명된 장치에서 속이 빈 팩케이지는 플레이어내에 삽입된 디스크레코오드를 취출하기 위하여 플레이어내에 있는 삽입 스로트(Input slot)를 통하여 삽입되는 것인데, 리돔과 클리맨형 장치에 대한 동작 개량점은 팩케이지가 삽입되는 동안 팩케이지에 삽입된 레코오드를 용이하게 회수하기 위하여 플레이어내로 팩케이지를 삽입하기 전에 속이 빈 팩케이지의 연부 개방구 삽입된 레코오드를 일치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며, 플레이어내에 비데오디스크 레코오드가 완전히 삽입된 후에 팩케이지를 취출하여, 플레이어부터 동봉된 레코오드를 취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레코오드 지지와 노선 설정장치는 보호덮개의 사용으로 취출되는 디스크 레코오드로 부터 이미 기록된 신호들을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하며, 이러한 플레이어는 그 속에 덮개를 삽입하거나 그로 부터 덮개를 취출시키기에 알맞은 크기의 입력 스로트가 천설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안내장치는 덮개를 삽입하거나 취출시키기 위하여 입력스로트와 정렬되며, 하우징내에 장착되어 있고 안내장치 아래에 배열한 평판은 상승된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에서 등작하고, 신규의 레코오드 지지와 노선 설정장치는 평판에 고착되어 평판에 대하여 회수된 위치와 신장된 위치 사이를 동작하는데 회수된 위치에서의 레코오드 지지와 노선 설정장치는 플레이어내에 덮개가 완전히 삽입된 위치로 오게 하며 평판이 상승된 위치에서의 삽입된 레코오드는 플레이어 내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 속이 빈 덮개와 정렬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레코오드 지지와 노선 설정장치는 신장된 위치에서 플레이어내에 삽입된 레코오드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레코오드 지지와 노선설겅장치는 플레이어내에 덮개가 삽입되는 것에 응답하여신장된 위치에서 부터 회수된 위치까치 이동하게 되며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레코오드지지와 노선 설정장치가 신장된 위치에 있도록 바이어스된다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동일번호는 동일부품을 도시한다.
제1도는 차후에 설명되는 비데오 디스크 장치에서 사용이 적당한 레코오드 보호덮개(50)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레코오드 덮개는 슬리브(sleeve)형 자켓(54)과 레코오드 함유 트래이(tray)(52)를 포함하고 있다. 제2-3도는 제각기 제1도의 트래이와 자켓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자켓(52)은 비데오 디스크(58)를 포함한 트래이(54)를 삽입 및 취출할 수 있는 종단삽입구(56)를 갖으며 또한 비데오 디스크(58)는 종단 삽입구(56)를 통하여 거침없이 미끄러질 수 있다. 이러한 보호덮개는 엘. 에이. 터링톤씨에 의하여 1977년 5월 31일자로 출원된 비합중국 특허원 제801,603호 제목 “비데오 팩케이지”에 설명되어 있다.
자켓(52)은 비데오 디스크(58)를 트래이(54) 내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제공된 한 쌍의 리브(64 및 66)를 안착하기 위한 한 쌍의 홈(60 및 62)을 갖는데 이러한 리브들(64 및 66)은 끝부분이 쐐기형으로 날카로와서(68 및 70) 자켓(52)내로 트래이(54)의 삽입을 유도한다.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부드러운 재료(예, 벨벳)로 만들어진 한쌍의 청정 패드들(72 및 74)은 자켓(52)을 형성하는 판(76 및 78)의 내측 입구 표면상에 고착되어 있어서 비데오 디스크가 자켓으로 삽입 또는 취출되는 동안 비데오 디스크를 청정 패드용으로 적당한 다른 재료들로서는 (1) 듀퐁사 제품의 보푸라기가 없는 부직포 폴리에스터 종이 (2) 스코트 페이퍼회사의 포엠부 제품인 기포성 폴리우레탄등이 있다.
트래이(54)의 두께는 비데오 디스크(58)의 구슬형부분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다.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트래이(54)는 비데오 디스크(58)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원형구멍(80)을 갖는다. 트래이(54)는 자켓(52)이나 트래이 내의 비데오 디스크(58)를 어떠한 면상으로도 끼울 수 있다. 트래이(54)및 비데오 디스크(58)들은 판넬(76 및 78)의 내부표면에 의하여 형성된 자켓(52) 내에서 지지된다.
트래이(54)가 자켓(52)내에 충분히 삽입되었을 경우, 트래이의 정면 부분(82)은 삽입구(56)내로 신장하며 또한 자켓내에 삽입된 비데오 디스크상으로 먼지나 혹은 작은 입자들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자켓을 폐쇄한다.
트래이(54)의 정면부분(82)은 자켓 (52)내에서 트래이의 전후 이동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난 레코오드 취출부재 입수구멍(84)을 갖는다.
제2 및 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이(54)는 트래이가 자켓내로 충분히 삽입된 경우에 자켓(52) 내에 있는 쑥 들어간 부분(90 및 92)에 감합되는 한쌍의 멈춤자(86 및 88)를 포함한다. 멈춤자들은 포함되었던 비데오 디스크를 자켓으로 부터 예기되지 않았던 미끄러짐 즉 바라지 않는 이탈을 방지한다.
제4도 및 제5도는 변형된 트래이(94) 및 변형된 쟈켓(96)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제4도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트래이(94)는 활형 플라스틱부분(98)과 와이어형인 환형부분(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형태는 환형 플라스틱 부분내로 형성되어 삽입되었다.
와이어 형태의 사용에 대한 또다른 방법은 돌출된 플라스틱관의 사용이다. 예를들자면 플라스틱관(101)의 종단들은 제4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환형부분을 이루도록 공형부분(98)에 삽입 형성되어 있다.
쟈켓(96)은 공형부분(98)내에 제공된 멈춤자들(106 및 108)을 입수하기 위한 쑥 들어간 부분(102 및 104)을 갖는다. 한쌍의 부드러운 청정 패드들(110)은 레코오드가 쟈켓(96)내로 삽입 또는 취출될 때에 청정하도록 쟈켓(96)을 형성하는 판넬의 내측 표면에 고착되어 있다. 공형부분(98)은 레코오드 취출부재 입수구멍(112)을 갖는다. 쟈켓(96)은 공형부분(94)의 종단부분들(120 및 122)을 수입하기 위한 길다란 입주들(116 및 118)을 갖는다.
제6도에서는 레코오드 함유 트래이(124)를 덮개 (126)에 고착시키는 다른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덮개(126)의 상부판은 밑에 있는 부재들을 노출시키도록 이동된다. 레코오드 함유 트래이(124)는 멈춤자 부재(128)를 갖으며 이러한 부재(128)는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승된 위치와 하강된 위치(도시되지 않음) 사이 이동을 할수 있도록 덮개내에서 활강(滑降)할 수 있도록 장착된 부재(130)와 서로 감합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상승된 위치에 있는 활강부재(130)는 덮개(126)로 부터 트래이(124)의 취출을 방지한다. 하강된 위치에 있는 활강부재(130)는 멈춤자 부재(128)를 쑥 들어가게 하여 덮개(126)로 부터 트래이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할다. 스프링(132)은 활강부재 (130)가 상승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부재(130)를 지지한다. 후에 다시 설명하겠지만 트래이(124)를 풀어주기 위하여 덮개가 플레이어 내로 충분히 삽입된위치에 도달했을 때 활강부재(130)를 하강시키는 장치가 플레이어내에 장착되어 있다.
제7도는 클레멘스씨의 미국특허 제3,842,194호내에 기술된 것을 변형시킨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136)의 평면도이다. 제7도는 플레이어의 덮개를 제거한 상태에서 플레이어를 도시한다. 제8 및 9도는 방진덮개 (138)가 제각기 페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를 나타내도록 제7도의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 중심축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플레이어는 레코오드 덮개(50)가 입력 슬로트(142)를 통하여 삽입되는 공간의 청정(淸渟) 실(140)을 갖는다. 입력 슬로트(142)는 아무런 장해없이 레코오드 덮개를 삽입 및 취출할 수 있는 치수이다. 방진 덮개 (138)는 실(140)의 통로를 페쇄하는 폐쇄된 위치(제8도)와 실의 통로를 개방하는 개방된 위치(제9도)간 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플레이어 하우징(144)에 피보트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덮개(138)는 먼지나 다른 이물질로 부터 실(140)을 보호하도록 동작한다.
플레이어 하우징(144)은 플레이어 내로 레코오드 덮개를 삽입 또는 취출을 할 수 있는 한쌍의 통로(146및 148)를 갖는다. 이러한 통로들(145및 148)은 플레이어 하우징(144)에 대하여 각도를 갖제끔 설치가 되므로 이들 통로들은 플레이어의 입구종단에서 입력슬로트(142)와 평행이 된다.
더우기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가 재생하는 동안 비데오 디스크는 회전적으로 지지하는 턴테이블(150)을 포함한다. 이러한 턴테이블(150)은 비데오 디스크의 중심구멍에 결합되는 중심축(152)을 갖는다. 신호 픽업장치를 움직이는 바늘암 운반대는 도면의 간편상 도시하지 않았다. 바늘암 운반대는 디스크 플레이어가 재생하는 동안 비디오 디스크가 장착된 턴테이블 위로 신호픽업을 횡단시킨다.
평판(154)은 하강된 위치(제8도)와 상승된 위치(제9도) 사이의 작동을 할 수 있도록 즉 피보트 운동할수 있도록 봉(156)으로 고착된다. 또한 평판(154)은 플레이어(136)의 후측 종단에서 횡단부재(162)에 의하여 단합된 한쌍의 측상 레일들(158 및 160)을 포함한다.
제7 및 10도 그리고 제1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핀들(170및 172)을 중심으로 피보트 운동하는 한 쌍의 걸쇠들(166 및 168)을 갖는 레코오드 취출장치(164)는 플레이어(136)의 후측 종단에 있는 횡단부재(162)상에 장착되어 있다. 제9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걸쇠들(166 및 168)은 평판(154)이 상승된 위치에있을 경우 통로들(146및 148)의 중심선과 나란히 배열되어진다. 걸쇠들(166및 168)은 레코오드 덮개(50)가 플레이어(136)내로 충분히 삽입되었을 때 트래이(54)에 있는 구공(84)내로 삽입된다.
레코오드 취출장치(164)는 횡단부재(162)상에 장착된 핀(176)에 피보트 운동하는 패들 암(Paddle arm)(174)을 포함한다. 이러한 패들 암(174)은 레코오드 덮개가 플레이어내에 충분히 삽입되었을 때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패들암(174)이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횡단 부재(162)상에 회전적으로 장차된 래칫 톱니바퀴(178)를 시제 회전방향으로 패들암 상에 장착된 돌출핀(180)에 의하여 한 톱지를 회전시킨다. 이려한 래칫 톱니바퀴(178)의 회전은 걸쇠들(166 및 168)간에 위치되었으며, 래칫 톱니바퀴에 고착된 정방형 캠(182)을 시계 회전방향으로 한 톱니를 회전시킨다(즉45°). 정방형 캠(182)의 이러한 회전은걸쇠들(166 및 168)을 신장된 상태(제10도)에서 수축된 상태(제11도)로 바꾸도룩 한다. 스프링(184)는 걸쇠들과 캠(182)간에 상호 맞물리도룩 걸쇠들(166 및 168)의 뒷쪽 종단에 상호 걸려있다.
레코오드 덮개가 플레이어(136)으로 부터 취출되었을 때 스프링(186)은 패들암(174)을 제7도 및 제10도에서 도시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끔 한다. 또한 레코오드 취출장치(164)는 패들암(174)이 그의 원래위치로 되돌아을때 래칫톱니바퀴(178)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톱니 멈춤쇠 (188)를 포함한다. 또한 톱니 멈춤쇠(188)는 제7도 및 10도 그리고 제1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톱니바퀴(178)을 정방향(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나 역회전은 방지한다. 핀(180)은 패들암(174)이 그의 원위치로 돌아올때 래칫 톱니바퀴(178)를 역회전시킴이 없이 되돌아오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레코오드 덮개가 플레이어(136) 내로 충분히 삽입되었을 때마다 걸쇠들(166 및 168)은 신장된상태 (제11도)와 수축된 상태(제10도)간의 이동을 할 수가 있다. 이러한 이동장치는 씨. 에이. 엘리오트씨등에 의하여 1977년 5월 31일 자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801,602호 제목“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용팩케이지에 작용하는 레코오드 취출장치”에 서술되어 있다. 레코오드 취출장치(164)의 기능은 차추에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더우기 플레이어(136)는 방진 덮개(138)의 입구와 평행한 위치(제9도)와 입구와 어긋나는 위치(제8도)간에 이동에 따라서 평판(154)을 상승위치(제9도) 및 하강위치(제8도)로 이동시키는 평판 연결부재(190)를 포함한다. 평판 연결부재(190)는 방진 덮개(138)에 고착되어 이들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고착된한쌍의 지레들(152 및 194)을 포함한학. 더우기 평판 연결부재(190)는 한쪽 종단이 지레들(192 및 194)의 자유 종단에 연결되고 또 한쪽 종단은 측상 레일들(158및 160)의 종단에 연결된 한쌍의 스프링들(196및198)을 포함한다. 한쌍의 멈춤쇠들(200 및 202)은 플레이어 하우징(144)에 장착되어 있어서 평판(154)을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레이어(136) 내에 레코오드 덮개가 삽입되어서 방진 덮개(138)가 개방될 경우에 정확한 높이로 일어서게 한다. 이러한 스프링들(196 및 188)은 평판(154)이 적당히 일어서도록 레코오드 덮개가 플레이어내로 충분히 삽입되었을 경우 방진덮개(138)가 얻어지도록 한다.
한조의 스프링으로 취해진 받침 패드들(204-210)은 차후에 설명될 목적을 위해서 레일들(158 및 160)에 피보트할 수 있게끔 장착되어 있다. 한조의 와이어 스프링들(즉212-214)은 받침 패들들(즉 209-210)을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승위치로 바이어스한다. 한 조의 핀들(즉 216-218)은 받침패드들(즉 208-210)내에 제공된 구멍들(즉 220-222)을 통하여 레일들(즉 160)에 고착되어 있으며 또한 평판(154)에 대하여 받침패드의 상단 표면이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한다(제8,9도). 부재(224)(제7도)는 후단받침 패드들(206 및 208)과 상호 연결되어 있다.
본 장치의 작동은 제7-11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비데오 디스크를 포함한 레코오드 덮개가 입력 슬로트(142)를 통하여 플레이어(136)내로 삽입될 때, 덮개는 방진 덮개(138)를 밀어 올리며 이러한 결과로 평판(154)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승된다. 플레이어(136)내로 레코오드 덮개를 삽입하면은 평판(154)의 계면까지 받침 패드들(204-210)을 쑥 들어가게 하여서 레코오드 덮개가 플레이어 내로 충분히 삽입되도록 한다. 레코오드 덮개가 플레이어(136) 내의 충분한 삽입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걸쇠들(166 및 168)은 트래이(54)의 구공(84)내로 삽입된다(제10도).
플레이어(136) 내에 레코오드 덮개가 충분히 삽입된 위치에 도달하면 걸쇠들(166 및 168)은 수축상태(제10도)에서 신장된 상태(제11도)로 변환되므로 평판(154)에 고정 트래이(54)를 위치시키게 된다. 덮개(52)를 취출한 후에 (1) 걸쇠들(166 및 168)은 플레이어 내에 있는 비데오 디스크(58)를 포함한 트래이(54)를 유지하며 (2) 와이어 스프링들(즉, 212-214)은 받침 패드들(204-210)을 바람직한 상승 위치로 되돌아오게 한다. 그러므로 트래이(54)와 비데오 디스크(58)는 덮개의 취출이 완전히 끝난 후에 적당한 상태에서 받침 패드들(204-210)상에 놓여져서 플레이어(136)내에 함유된다. (통로들(146 및 148)의 중심선과 이들의 중심선이 나란히 배열되어), 또한, 플레이어(136)로부터 덮개의 취출은 방진덮개(138)를 제8도내에 도시된 통로 방지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방진덮개(138)의 이러한 이동은 평판이 하강하도록 하여서 제8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비데오 디스크(58)를 받침 패드들(204-210)에서 턴테이블(150)로 전달하도록 전이 한다.
속이빈 쟈켓이 입력 슬로트(142)를 통하여 플레이어(136)내에 삽입된 경우(제9도), 방진덮개(138)는 개방되어서 평판(154)을 상승된 위치 (제7도)로 상승되게끔 한다. 평판(154)이 상승될 때 받침 패드들(204- 210)은 트래이(54)와 비데오 디스크(58)를 들어올린다.
평판(154)이 상승된 위치(제9도)에 도달하였을 때, 받침 패드들(204-210)은 트래이(54)와 비데오 디스크(58)를 지지하여서 그들의 중심선을 속이 빈 쟈켓(52)의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하여서 재삽입 동안에 트래이와 비데오 디스크를 쟈켓으로 복귀되도록 한다.
쟈켓(52)이 플레이어(136)내로 충분히 삽입된 경우에는 걸쇠들(166 및 168)이 트래이(54)를 풀어주도록 신장된 상태(제11도)에서 수축된 상태(제10도)로 변환된다. 쟈켓(52)이 플레이어(136)로 부터 취출될 경우에, 멈춤자들(86 및 88) (제2도)은 포함된 트래이(54)와 비데오 디스트(58)가 플레이어에서 취출되도록 작동한다.
그러므로 상술한 장치가 비데오디스크를 사용자가 직접 취급하지 않고도 플레이어내로 삽입 또는 취출을 할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스템의 또다른 장점은, 레코오드가 이미 플레이어내에 있으면 레코오드함유덮개가 플레이어 속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삽입을 방지해주지 못할 경우 레코오드 함유 덮개내에 있는 레코오드 함유 부재가 플레이어내측에 있는 레코오드와 충돌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실시한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제2실시예는 제12-26도를 대조하면서 설명하겠다.
제12도는 변형된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230)의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방진 덮개(232)는 핀(264)의 장치에 의하여 플레이어 하우징(236)에 피보트 운동이 가능하게끔 장착된 블라켓 조립체(234)에 고착되어 있다.
제13,14 및 15도는 플레이어(230)의 좌측에 장착된 피보트 블라켓 조립체(234)의 단면도,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동일한 블라켓조립체는 플레이어(230)의 우측에 피보트 운동이 가능하게 장차되어 있다. 블라켓 조립체(234)는 도아 블라켓(242)에 고착된 한쌍의 평판 부재들(238및 240)을 포함한다.
제1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연결조립체(244)는 지지 블라켓(246)의 장치에 의하여 플레이어 하우징(236)에 피보트운동을 할수 있게끔 장착되어 있다.
제16 및 17도는 플레이어(230)의 좌측면에 장착된 평판연결조립체의 단면도 및 상면도이다. 동일한 연결부재는 플레이어(230)의 우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평판 연결조립체(244)는 리벳(rivet)(252)에 의하여 서로 회전적으로 고착된 지레들(248 및 250)을 포함한다. 지레들(248 및 250)의 종단은 스프링(254)에 의하여 상호결합되어 있다. 지레들(248 및 250)은 제13-15도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부재들(238 및 240)에 고착된 핀(258)이 미끄러짐 운동으로 입수되는 가늘고 긴 슬로트(258)을 한정짓는다.
레코오드 덮개(260)가 입력 슬로트(262)를 통하여 (264)을 중심으로 피보트됨으로서 지레(248)의 최종단이 상승되도록 한다. 플레이어 (230)는 덮개가 용이하게 삽입 또는 취출될 수 있도록 입력 슬로트(262)와 나란히 배열된 한쌍의 레일들을 포함한다. 제18도는 플레이어(230)의 우측면에 장착된 안내레일(266)을 도시한다. 동일한 안내레일은 플레이어 (230)의 좌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레코오드 인하(引下)용 스프링(268)은 레일(266)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제18도에는 덮개 돌출장치(270)를 도시한다. 덮개 돌출장치(270)는 포함된 트래이가 레코오드취출 장치에 의하여 풀어진 후에 덮개를 취출하며, 또한 포함된 트래이가 레코오드 취출 장치에 의하여 파지되어진 후에 쟈켓을 돌출한다.
제19도에서 도시된 저면도에서 평판(272)은 상승위치와 하강위치간의 이동을 할 수 있게끔 변형된 플레이어(230)내에 장착된다. 평판(272)은 연결조립체 지레(예를들어 제17도의 지레(248))에 고착된 핀들(즉,제17도의 핀(278))을 입수하기 위한 구공들(274 및 276)을 갖는다.
제12도로부터 플레이어(230)의 입력 슬로트(262)에 레코오드 덮개(260)의 삽입은 방진 덮개(232)가 개방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차례로 평판(272)이 상승된 위치에 오게금 상승시킨다. 동일한 방법으로 플레이어(230)로 부터 레코오드 덮개(260)의 취출은 평판을 하강된 위치로 이동되게 한다. 다시 말하면 차례로 방진 덮개(232)가 폐쇄되도록 한다.
제12도의 평판 상승/하강 장치의 구조는 평판을 하강위치로부터 상승된위치로 이동시키는 두가지 단계가 있다. 제1단계는 평판이 그의 최종단을 축으로 피보트되며 제2단계는 평판의 그의 근접한 위치를 축으로 피보트하며, 즉 연결조립체 핀들(즉 핀(278)은 덮개 삽입에 응답하여 상승된다. 동일한 형태로 또한 평판의 하강 이동은 두가지 단계안에서 일어난다.
평판의 왕복 요동을 할 수 있게끔 하는 제12도에 도시된 평판 상승/하강장치의 장점은 주어진 턴테이블직경에 관하여 그리고 평판이 완전히 상승해 있는 그 구멍을 통한 주어진 높이에 관하여 평판의 앞뒤 크기는 예를들어 제7-9도어 평판 상승/하강 장치와 비교하여 비교적 작다는 것이다.
한조의 다섯 받침 패드들(즉 전좌패드, 전우패드, 좌중심 패드, 우중심 패드 그리고 후단 패드)은 제각기 평판상에 신축 할 수 있게끔(280, 282, 284, 286 및 288)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제20 및 21도는 좌중심 패드(290)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제22 및 22a도는 전좌 패드(292)를 도시하며 제23 및 23a도는 후단패드를 도시한다.
축소된 상태의 받침 패드들은 덮개가 플레이어내의 충분한 삽입 위치에 도달하게끔 한다. 신장된 상태의 받침 패드들은 함유된 레코오드를 지지하므로서 평판이 상승된 위치에 머무를 동안 레코오드가 덮개내로 함유된 레코오드의 수월한 반환을 할수 있도록 입력 슬로트를 통하여 플레이어 내로 삽입되는 속이빈 덮개와 나라히 배열된다.
이러한 받침 패드들은 덮개가 플레이어내의 충분히 삽입된 위치에 도달해 있는동안 축소상태로 된다. 바이어스 장치들(즉 제20도의 와이어 스프링(296))은 받침패드들을 신장된 상태로 되돌려준다.
변형된 레코오드 취출장치(298)는 제24-26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겠다. 제24도는 변형된 레코오드 취출장치(289)의 평면도이다. 제25도는 제24도에서 선(25-25)을 따라서 레코오드 취출장치(298)를 절취한 단면도이다. 제26도는 제25도의 선(26-26)을 따라서 레코오드 취출장치 (298)를 절취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변형된 레코오드 취출장치(298)는 제12도에서(도시된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230)의 평판(272)에 장착되어있다. 변형된 레코오드 취출장치의 사용은 제12도의 비데와 디스크 플레이어(230)와 연결해서 설명되어지는데 이것은 제7-9도의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136)에도 역시 적용됨을 명기한다.
제2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레코오드 취출장치(298)는 핀들(304 및 306)을 중심으로 피보트된 한쌍의 걸쇠들(300 및 302)을 포함한다. 걸쇠들(300 및 302)은 평판(272)이 상승된 위치에 있을 경우 안내 레일들(즉 안내레일(18))의 중심선과 나란히 배열된다.
패들암(308)은 핀(310) (제25도)에 의하여 평판(272)에 피보트 운동이 가능하게끔 장착되어 있다. 패들암(30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핀(318)에 의하여 패들암에 피보트 운동할 수 있게끔 고착된 구동자(316)의 돌출부(342)를 통해서, 핀(314)에 의하여 평판(272)에 회전할 수 있게끔 장착된 원동차(312)를 한 톱니 만큼씩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원동차(312)의 이러한 회전은 걸쇠들(300 및 302)사이에 위치하며 원동차에 고착된 정방형 캠(320)을 시계 방향으로 한 톱니만큼씩 회전한다. (즉 45°). 정방형 캠(320)의 이러한 회전은 걸쇠를 벌린 상태와 오무린 상태간의 상태 이동을 반복시킨다.
평판 부재(322)는 볼트(323)에 의하여 평판(272)에 단단히 고착되어 있다. 평판 부재(322)는 패들암(308)의 궁(弓)형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신장부들(324 및 326)을 갖는다. 스프링(328)은 구동자(316)의 돌출부(330)와 평판 부재(332)의 돌출부(332)간에 상호 연결되어 있어서 구동자와 패들암(308)을 바이어스함으로서 그들의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끔 한다. 레코오드 취출장치(298)는 패들암(308)의 복귀동작동안 원동차(312)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톱니 멈춤쇠(334)(제24도)를 포함한다. 와이어스프링들(336 및 338)은 (제26도) 캠(320)을 연속적으로 속박하는 걸쇠들(300 및 302)을 바이어스 하도록 되어 있다.
패들암(308)은 신장부(340) (제24도)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신장부(340)는 플레이어내에 레코오드 덮개가 충분한 삽입 위치에 도달하였을때 레코오드 덮개의 전면부분에 의하여 속박당하므로서 패들암을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12-26도와 참조하면서 설명된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작동은 제7-9도의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작동과 동일하다.

Claims (1)

  1. 하우징(144)에는 이동 가능한 방진덮개(138)에 의해 폐쇄되는 스로트(142)를 형성시키되 플레이어(136)내, 외로 보호덮개(50)가 삽입되고 취출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상기 스로트(142)를 축조시키고, 레일(266)을 상기 입력 스로트(142)와 일렬로 배열하여 상기 보호덮개(50)의 삽입 및 취출을 안내해주며 평판(154)을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승된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를 동작하는 상기 안내장치(266)아래에 설치하여서 보호덮개(50)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디스크 레코오드로 부터 미리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플레이어에 있어서, 한쌍의 지레(192,194)들을 하우징 덮개에 연결 그와함께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고, 한쌍의 스프링(196,198)들을 상기 지레(192,194)들의 자유단부에 연결시키며, 한쌍의 멈춤쇠(200,202)들을 플레이어 하우징(144)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레코오드 지지 장치(204,206,208,210)들을 상기 평판(154)에 고정시켜 회수된 위치와 전개된 위치사이를 이동하게 하면서 핀(216,218)이 레일(160)에 고정되게 하여 상기 지지장치(208,210)에 형성된 구멍(220,222)내로 삽입되게한 비데오 디스크플레이용 레코오드 지지 및 노선 설정장치.
KR1019770002979A 1977-12-20 1977-12-20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용 비데오 디스크 지지 및 노선 설정장치 KR830001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70002979A KR830001224B1 (ko) 1977-12-20 1977-12-20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용 비데오 디스크 지지 및 노선 설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70002979A KR830001224B1 (ko) 1977-12-20 1977-12-20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용 비데오 디스크 지지 및 노선 설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224A KR830001224A (ko) 1983-04-29
KR830001224B1 true KR830001224B1 (ko) 1983-06-24

Family

ID=1920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70002979A KR830001224B1 (ko) 1977-12-20 1977-12-20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용 비데오 디스크 지지 및 노선 설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2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224A (ko) 198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3540A (en) Record handling system for a video disc player
US4734898A (en) Autochanger type disc player
US4722078A (en) Disc player
US4736356A (en) Optical disk drive
JPH0346905B2 (ko)
JPS6222192B2 (ko)
US4109919A (en) Package actuated record extracting mechanism for a video disc player
JPH0550066B2 (ko)
US4326284A (en) Video disc player having turntable assist apparatus
US4113262A (en) Record support and alignment apparatus for a video disc player
US4239238A (en) Record extracting mechanism for caddy type video disc player
JPS627626B2 (ko)
JPS6142332B2 (ko)
EP0249389B1 (en) Disk reading/writing apparatus
KR830001224B1 (ko)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용 비데오 디스크 지지 및 노선 설정장치
JP2749703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KR20040086799A (ko) 셔터 개폐 기구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CA1114947A (en) Record support and alignment apparatus for a video disc player
KR830000806B1 (ko)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용 레코오드 취급장치
US4321702A (en) Carriage reset apparatus for disc record player
GB2047942A (en) Record Handling Mechanism for Caddy Type Record Disc Player
JP3718438B2 (ja) ディスク誤挿入防止装置
US5978179A (en) Removable cartridge hard disk drive with an inner crash stop
US6125006A (en) Voice coil motor actuated video data cartridge release
KR850000767Y1 (ko) 디스크 레코드 플레이어용 캐리지 리셋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