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221B1 - Chord memory of electronic instruments - Google Patents

Chord memory of electronic instru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221B1
KR830001221B1 KR1019790001788A KR790001788A KR830001221B1 KR 830001221 B1 KR830001221 B1 KR 830001221B1 KR 1019790001788 A KR1019790001788 A KR 1019790001788A KR 790001788 A KR790001788 A KR 790001788A KR 830001221 B1 KR830001221 B1 KR 830001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rd
buffer memory
gate
shor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17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30000958A (en
Inventor
서병인
엄기범
Original Assignee
김용원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원,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용원
Priority to KR1019790001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221B1/en
Publication of KR830000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9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2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전자 악기의 화음 기억장치Chord memory of electronic instruments

제1도는 본 발명 시스템의 블록 다이아 그램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다이아 그램이다.2 is a timing diagram for illustrat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화음의 전군 및 후군을 표시한 악보이다.3 is a sheet music indicating the front and back of the chord.

제4도는 8개의 화음을 예로 표시한 악보이다.4 is a sheet music showing eight chords as an example.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도의 화음이 기억소자에 기억되어진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FIG. 5 shows the order in which the chords of FIG. 2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ored in the memory device.

표1, 표2, 표3, 표4, 표5는 버퍼메모리에 화음과 장단이 각 타이밍에 기억된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Tables 1, 2, 3, 4, and 5 show the chords and chords stored in the buffer memory at each timing.

본 발명은 전자 악기로 연주하는 화음을 녹음기로 녹음하는 대신 음정과 장단으로 분리하여 디지탈 부호화 한후 반도체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덧셈기와 버퍼메모리, 그리고 게이트(Gate)로서 장단을 계산하는 사이클(Cycle)회로를 형성하여 화음의 장단을 계산하여 줌과 동시에 화음이 메모리에 기억되도록 구성하고, 크기 비교기의 출력으로 게이트를 제어하여 하나의 장단 계산이 끝날때마다 순서를 설정하여 화음의 전군(前群)중 길이가 짧은 음부터 순서대로 메모리에 기억시키며, 만일 길이가 같으면 높은 음부터 순서대로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일단 장단의 계산이 종료되어 기억되어진 음부의 자리에는 화음의 전군의 순서에 관계없이 화음의 후군(後群)중에서 순서가 가장 빠른 음정이 싸이클회로에 입력되도록 하여 음의 장단을 길이에 대응하는 5비트의 2진수로 계산하여 주고, 그 결과를 메모리에 음정과 함께 기억토록하여 줌으로써 적은 용량의 기억소자에 장단을 포함한 연주 화음을 기억 가능토록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toring digital chords separated into pitches and chords and storing them in a semiconductor memory instead of recording chords played by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The cycle of calculating the chords as an adder, a buffer memory, and a gate ( The cycle circuit is formed to calculate chord lengths and chords, and the chords are stored in the memory.The gate is controlled by the output of the size comparator, and the order is set at the end of each chord calculation.群) If the length is the shortest, it is stored in memory in order. If the length is the same, it is stored in the memory in order from the highest note. The earliest and shortest pitches in the rear group are input to the cycle circuit. The 5-bit binary number corresponding to the length is calculated, and the result is stored in the memory along with the pitch, so that the performance chords including short and long lengths can be stored in a small memory device.

여기서 화음의 전군, 후군이라함은 제3도에 3개의 화음(본문에는 8개의 화음의 경와를 예로 하였다.)을 예로하여 표시한 바와같이 어떤 임의의 화음을 기준으로하여 임의의 화음을 전군으로 이름짓고, 임의의 화음 바로 다음에 오는 화음을 후군으로 이름지은 것으로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group and the group of chords refer to any chord on the basis of any chord, as indicated by three chords (the text uses eight chords in the example). Named, the chord immediately following the random chords are named as the rear group,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제1도는 본 발명의 시스템 블록 다이아 그램으로서 화음 부호기(11)의 입력에는 건반(26)의 출력이 연결되고, 클락 입력(CK)에는 마스터 클락(MCK) (27)이 나누기 4디바이더(16)를 통한 출력이 연결되어 있다. 화음 부호기(11)의 블랭크(BLANK)출력은 버퍼메모리(12)의 입력(I6) 및 크기 비교기(13)의 입력(a)에 각각 열결되어 있고, 출력(D0-D6)는 버퍼메모리(12)의 입력(I0-I5) 및 크기 비교기(13)의 입력(B)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1 is a system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of the keyboard 26 is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chord encoder 11, the master clock (MCK) 27 divided by the clock input (CK) divided by four dividers (16) The output via is connected. The blank output of the chord encoder 11 is connected to the input I 6 of the buffer memory 12 and the input a of the size comparator 13, respectively, and the outputs D 0 -D 6 are buffered. It is connected to an input I 0 -I 5 of the memory 12 and an input B of the size comparator 13, respectively.

계수기(28)의 클락 입력(CK)에는 화음 부호기(11) Data Valid신호를 인버터(19)를 거친 신호와 CKB를 낸드 게이트(21)로 결합한 출력(CK1)이 연결되어 있고, 계수기(28)의 출력은 버퍼메모리(12)의 어드레스 입력(A, B, C)에 연결되어 있다.The clock input CK of the counter 28 is connected to the output CK 1 , which combines the chord encoder 11 Data Valid signal through the inverter 19 and the CKB to the NAND gate 21, and the counter 28. ) Is connected to the address inputs A, B, and C of the buffer memory 12.

버퍼메모리(12)의 출력(D7-D11)은 장단 크드 변환기(30)의 입력 및 게이트(14)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게이트(14)의 출력은 덧셈기(15)에 연결되어 있으며, 덧셈기(15)의 출력은 버퍼메모리(12)의 입력(I7-I11)에 연결되어 있다.The outputs D 7 -D 11 of the buffer memory 12 are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short and long converters 30 and the input of the gate 14, and the output of the gate 14 is connected to the adder 15. The output of the adder 15 is connected to the inputs I 7- I 11 of the buffer memory 12.

버퍼 메모리(12)의 WEA단자는 Data Valid를 인버터(19)를 통한 결과와 디코더 (17)출력(5)을 낸드게이트(22)로 결합한 출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버퍼메모리(12)출력(D0-D6)은 크기 비교기(13) 입력(b) (A)및 주메모리(24)dml 입력(D0-D6)에 연결되어 있다.The WEA terminal of the buffer memory 12 is connected to the output obtained by combining the data valid result through the inverter 19 and the decoder 17 output 5 to the NAND gate 22, and the buffer memory 12 output D 0- D 6 is connected to the size comparator 13 input (b) (A) and main memory 24 dml input (D 0 -D 6 ).

크기 비교기(13)의 출력(A)은 인버터(18)의 입력 및 게이트(14)의 제어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디코더(17)의 입력(A, B, C)에는 MCK 및 MCK를 나누기 4디바이더(16)를 통한 결과가 접속되어 있다.The output A of the magnitude comparator 13 is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inverter 18 and the control terminal of the gate 14, respectively, and divides MCK and MCK to the inputs A, B and C of the decoder 17. The results via four dividers 16 are connected.

주메모리의 입력(D7-D9)에는 장단 코드 변환기(30)의 출력이 연결되어 있으며, 어드레스 입력(Ao-An)에는 계수기(25)의 출력(Qo-Qn)이 연결되어 있다.The outputs of the short and long code converters 30 are connected to the inputs (D 7 -D 9 ) of the main memory, and the outputs (Q o -Q n ) of the counter 25 are connected to the address inputs (A o -A n ). It is.

계수기(25)의 클락 입력(CK)에는 인버터(18)와 인버터(19)의 출력을 앤드게이트(20)로 결합한 출력이 접속되어 있으며, 주메모리(24)의 WE입력에는 디코더(17)의 출력(1) 및 앤드게이트(20)의 출력을 낸드게이트(23)로 결합한 출력이 접속되어 있다.The clock input CK of the counter 25 is connected to an output in which the inverter 18 and the output of the inverter 19 are coupled to the AND gate 20. The decoder 17 is connected to the WE input of the main memory 24. The output which combined the output of the output 1 and the AND gate 20 with the NAND gate 23 is connected.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건반(26)을 눌러서 연주되는 화음은 화음 부호기(11)에서 디지탈 부호로 바뀌어져서 WEA신호의 제어에 따라 이 디지탈 부호화된 화음(화음 부호기(11)의 D0-D5)과 블랭크(BLANK)신호가 버퍼메모리(12)에 시분할로 전송되어 계수기(28)가 지정해준 번지에 순차적으로 기억되게 됨과 동시에 각 화음을 이루는 음정은 게이트(14)와 덧셈기(15)로 장단을 계산하여 장단 코드 변환기(30)로 크드 변환되어 상기 화음과 같이 주메모리(24)의 계수기(25)가 지정해준 번지에 최종적으로 기억되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건반(26)이 하나라도 눌러지면 Data Valid신호는 로(L)레벨로 된다.That is, the chord played by pressing the keyboard 26 is changed from the chord encoder 11 to the digital code, an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WEA signal, the digitally encoded chord (D 0 -D 5 of the chord encoder 11) and the blank BLANK.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uffer memory 12 in time division, and is sequentially stored at the address designated by the counter 28, while the pitch of each chord is calculated by using the gate 14 and the adder 15 to calculate the long and short chords. It is code-converted by the converter 30 and finally stored at the address designated by the counter 25 of the main memory 24 as in the chord. In more detail, this Data Valid signal becomes a low level when any key 26 is pressed.

이때 화음 부호기(11)는 동시에 눌러진 건반중 높은 음부터 차례로 음정을 디지탈 부호화 하여 클록신호(CK)에 동기 되도록 시분할로 버퍼메모리(12)에 전송된다.At this time, the chord encoder 11 digitally encodes the pitches in order from the highest notes of the simultaneously pressed keys and transfers them to the buffer memory 12 in time division to be synchronized with the clock signal CK.

건반을 동시에 8개 누르면 8개의 음정으로 구성된 화음이 되며, 본 발명의 장치는 8개의 음정으로 구성된 화음까지만 허용되며, 이하의 설명은 8개 음정으로 구성된 화음을 예로 하였다.When eight keys are pressed simultaneously, a chord consisting of eight notes is provided, and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only a chord consisting of eight note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given as an example of a chord consisting of eight notes.

8개의 음정은 1기준 박자 기간(클록신호(CK)의 8주기에 해당된다.) 중 클록신호(CK)(CKB 와 동일한 파형)에 의해 시분할로 순차적으로 버퍼메모리(12)에 전송되며, 동일한 클록신호(CKB)를 내부낸다. 이 클록신호(CKB)에 의해 계수기(28)가 계수되며 그 출력(A B C)이 버퍼메모리(12)의 어드레스 단자(12)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8개의 화음은 WEA신호에 의해 1기준 박자 기간중 차례로 버퍼메모리(12)의 각 번지에 기억된다.The eight pitches ar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buffer memory 12 in time division by the clock signal CK (the same waveform as the CKB) during one reference time period (corresponding to eight cycles of the clock signal CK). Internal clock signal CKB. The counter 28 is counted by the clock signal CKB, and its output ABC is connected to the address terminal 12 of the buffer memory 12. Therefore, eight chords are sequentially rotated during one reference beat period by the WEA signal. It is stored at each address of the buffer memory 12.

이때 덧셈기(15)의 입력중 일측은 현재 OFF상태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으며, 타측은 +1에 접속되므로 그 합인 2진수 1이 버퍼메모리(12)에 입력되어 장단 신호로써 음정 신호와 동시에 기억된다.At this time, one of the inputs of the adder 15 is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current OFF state,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1, so that the binary number 1, which is the sum, is input to the buffer memory 12 and stored simultaneously with the pitch signal as a short and long signal. .

예로써 제4도에 표시한 화음(①-⑧)이 버퍼메모리(12)에 전부 기억될 경우 버퍼메모리(12)의 출력부(D0-D6)로부터 4분음표(①) 4분음표(②) 4분음표(③) 8분음표(④) 16분음표(⑤)점 4분음표(⑥) 4분음표(⑦) 4분음표(⑧)순으로 기억되어 진다.For example, when all of the chords (①-⑧) shown in FIG. 4 are stored in the buffer memory 12, the quarter notes (①) and quarter notes from the output portions D 0 -D 6 of the buffer memory 12 are stored. (②) Quarter note (③) Eighth note (④) Sixteenth note (⑤) Point Quarter note (⑥) Quarter note (⑦) It is stored in the order of quarter note (⑧).

크기 비교기(13)의 입력(A)에는 버퍼메모리(12)의 첫번째 번지에 기억되어진 4분음표(①)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B)에는 화음 부호기(11)로부터 나온 4분음표(①)가 입력되어저 크기를 비교하여 크기 비교기(13)의 출력(

Figure kpo00001
)을 만든다.A quarter note (1) stored at the first address of the buffer memory 12 is input to an input A of the size comparator 13, and a quarter note from the chord encoder 11 is input to another input B. ①) is inputted to compare the size of the output of the size comparator 13 (
Figure kpo00001
)

비교기(13)의 입력(A)(b)과 입력(B)(b)이 같을 경우 출력(ⓐ)은 "0"으로 되어 게이트(14)를 열어주어 덧셈기(15)를 농하여 +1을 더함으로써 음의 장단을 계산, 비교기(13)의 출력(ⓐ)이 "1"이 될때까지 계산하여 준다.When the input (A) (b) and the input (B) (b) of the comparator 13 is the same, the output (ⓐ) is "0" to open the gate 14 to concentrate the adder 15 to +1 By adding the negative long and short, it calculates until the output (ⓐ) of the comparator 13 becomes "1".

즉 비교기(13)의 출력(ⓐ)이 "1"이 되어 게이트(14)가 닫힐때까지 버퍼메모리(12)의 출력(D7-D11)에 덧셈기(15)로 +1을 계속하여 해당되는 음정의 장단이 계산되어 장단의 길이에 대응하는 5비트 2진수로 변환되는데 비교기(13)의 입력(A)(b)과 입력(B)(b)이 다르게 되면, 즉 4분음표(①의 길이에 해당되는 시간 만큼 건반(26)을 눌렀다가 떼었을 경우가 된다.That is, the output (ⓐ) of the comparator 13 becomes "1", and +1 is continued with the adder 15 to the outputs D 7 -D 11 of the buffer memory 12 until the gate 14 is closed. The length of the note is calculated and converted into a 5-bit binary number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ength. If the input (A) (b) and the input (B) (b) of the comparator 13 are different, that is, a quarter note (①) This is the case when the keyboard 26 is pressed and released for a tim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이때는 화음 부호기(11)로 부터 나오는 출력이 4분음표의 음정의 길이가 아닌 다른 것이되어비교기(13)의 입력은 A

Figure kpo00002
B로 달라지게 되므로 비교기(13)의 출력(
Figure kpo00003
)이 "1"이 되어 비교기(13)의 출력(
Figure kpo00004
)을 인버터(18)와 게이트(20.23)로 결합한 출력WEB는 "0"으로 되고, CK2클락 에 의하여 계수기(25)를 동작시켜 그 타이밍에 해당하는 음정(버퍼메모리(12)의 출력(D0-D6) 및 장단 신호를 주메모리(24)에 최종적으로 기록하게된다. 제3도는 두개의 화음을 비교하여 먼저 연주되어wl는 화음을 전군(前郡) 나중 연주되는화음을 후군(後郡)으로한 것을 예로 보여준 악보이고, 제4도는 임의의 화음을 나타낸 것이며, 제5도는 제4도의 화음(장단 신호제외)이 기억되어진 상태를 보인 것으로 제4도와 같은 음정과 장단의 화음에 해당되는 건반(26)을 눌렀다면 이 화음은 화음 부호기(11)로 디지탈 부호하되어 버퍼메모리(12)에 입력(I0-I5)되어 기억되는데 기억되는 순서는 상기의 기억 규칙에 의해서 메모리의 첫번째 번지(1번지)에는 화음중 가장 짧은 음인 16분음표(⑤)가 기억되고, 두번째 번지(2번지)에는 두번째로 짧은 음인 8분음표(④)가 기억되어 지며, 3,4,5,6,7번지에는 길이가 같은 4분음표(①)(②)(③)(⑦)(⑧)가 높은 음부터 차레로 기억되고, 8번지에는 가장 긴음인 점 4분음표(⑥)가 기억되어 진다.At this time, the output from the chord encoder 11 is different from the length of the pitch of the quarter note, and the input of the comparator 13 is A
Figure kpo00002
Is changed to B, so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13 (
Figure kpo00003
) Becomes "1" and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13 (
Figure kpo00004
), The output WEB combining the inverter 18 and the gate 20.23 becomes "0", and the counter 25 is operated by the CK 2 clock, and the pitch corresponding to the timing (output D of the buffer memory 12) 0- D 6 ) and the short and long signals are finally recorded in the main memory 24. FIG. 3 compares the two chords and plays them first, and wl plays the chords before and after the chords played later. Iii) is the score shown as an example, and FIG. 4 shows an arbitrary chord, and FIG. 5 shows a state where the chord of FIG. 4 (except short and long signal) is stored, which corresponds to the same pitch and chord as in FIG. If the key 26 is pressed, this chord is digitally coded by the chord encoder 11 and input (I 0 -I 5 ) into the buffer memory 12 for storage. The first address (number 1) contains the sixteenth note (⑤), the shortest note in the chord. In the second address (number 2), the second shortest eighth note (④) is memorized, and in addresses 3, 4, 5, 6 and 7, quarter notes (①) (②) (③ ) (⑦) (⑧) are memorized from high to high, and point 8 is the longest note, quarter note (⑥).

이를 표(1-5)를 예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using Table (1-5) as an example.

즉 표(1-5)에 나타낸 바와같이 표 1은 버퍼메모리(12)에 화음과 장단이 각 번지(0-7)에 기억되어진 처음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가로의 숫자(0-7)는 기억되어 지내 번지를 나타내며, 세로의 I0-I11은 입력을 나타는고 ①-⑧의 숫자는 해당 음정의 음의 높이를 임의의 숫자로 표시한 것이며, 여기서 유의할 점은 표 1의 I11이 버퍼메모리(12)에 기억되어짐과 동시에 기준 음표의 길이(여기서는 16분음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이하 같다.)로 디지탈 부호화 되는 것인데, 이것은 제2도의 WEA 및 CK2파형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CK2가 계수기(28)를 계수하여 번지를 지정하여 주는동안 WEA는 "0"과 "1"로 되어 쓰기도 하고 읽기도 하여 싸이클을 형성하기 때문이다.That is, as shown in Table 1-5, Table 1 shows the first state in which chords and chords are stored in each address (0-7) in the buffer memory 12. The horizontal number (0-7) doing stored indicates an address, of the vertical I 0 -I 11 are a number of high-①-⑧ is that the input is a simplified display of the pitch of the tone to a random number, where It is noted that in Table 1 I 11 It is stored in the buffer memory 12 and is digitally encoded with the length of the reference note (here, 16th note is the same as below). This is CK 2 as shown in the WEA and CK 2 waveforms of FIG. This is because the WEA becomes "0" and "1" while the counter 28 counts the counter 28 to write and read to form a cycle.

표 2에서는 제4도의 화음 중 가장 짧은 음인 16분음표(⑤)가 주메모리 (24)에 기억되어지는 순간에 버퍼메모리(12)에 음정 및 장단이 기억되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0-3번지의 장단 부호가"10"인 것은 제4도의 음정①③③④가 기준음인 16분음표 보다 길므로 표 1 상태에서 "1"을 더하여주는 계산중에 있는 것이며, 5-7번지의 장단 부호가 "1"인 것은 아직 음의 길이가 계산되어 지지않고 대기중에 있음을 알수 있다. 즉 표 2의 4번지는 제4도에 나타나 있듯이 기준 장단인 16분음표이므로 계산이 완료되어 장단의 길이에 대응하는 5비트의 2진수 "1"로 변환되어 주메모리(24)에 음정 및 장단 신화가 기억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Table 2 shows the state where notes and notes are stored in the buffer memory 12 at the moment when the sixteenth note (⑤), the shortest note among the chords of FIG. 4, is stored in the main memory 24. The short and long term "10" means that the pitch ①③③④ of FIG. 4 is longer than the sixteenth note, which is the standard sound, and is being calculated by adding "1" in the state of Table 1, and the short and long term "1" of address 5-7 is "1". It can be seen that the negative length is still in the air without being calculated.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fourth address of Table 2 is a sixteenth note, which is a standard long and short, so that the calculation is completed and converted into a 5-bit binary number "1"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ng and short. It shows the state just before myth is remembered.

이러한 상태의 타이밍에서 화음 부호기(11)의 출력(D0-D5)은 없거나 제4도의 음정(⑨)이 입력되므로 크기 비교기(13)에서는 A

Figure kpo00005
B를 검출하여 크기 비교기(13)의 출력(
Figure kpo00006
)이 "1"로 되어 상술한 바와같이 제일 짧은 음(제4도의 (⑤)을 장단 신호와 함께 메모리(24)에 기억 시킨다. 표3은 표 2의 4번지 음정(⑤) 및 장단 신호가 주메모리(24)에 기억된 직후의 버퍼메모리(12)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At the timing of such a state, since the outputs D 0 -D 5 of the chord encoder 11 are absent or the pitch ⑨ of FIG.
Figure kpo00005
Detects B and outputs the size comparator 13 (
Figure kpo00006
) Becomes " 1 " and the shortest note (5 in Fig. 4) is stored in the memory 24 together with the short and long signals. Table 3 shows the pitches (5) and long and short signals in Table 2, respectively. The state of the buffer memory 12 immediately after being stored in the main memory 24 is shown.

4번지의 자리에는 후군(後郡)의 첫번째 음(⑨)의 장단이 계산되어 지면서 기억되어 진다.In place of address 4, the length and length of the first note (⑨) of the rear group (後 郡) is calculated and memorized.

표4는 제4도의 화음중 두번째 짧은 음인 8분음표(④)가 주메모리(24)에 기억되기 직전의 버퍼메모리(12)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표 4의 0,1,2번지의 I10I11은 버퍼메모리(12) 게이트(14), 덧셈기(15)의 싸이클(Cycle)을 세번돌아 장단을 계산중에 있는 "11"로 되어 있으며, 5,6,7번지는 싸이클(Cycle)을 두번돌아 장단을 계산중에 있는, 장단 부호"10"으로 되어 있고, 4번지는 싸이클을 한번 회전한 상태인 "1"로 되어 있다.Table 4 shows the address 0, 1, 2 shown in Table 4 illustrates a state in the second 48 minutes of short negative-degree chord notes (④), the main memory 24 immediately before the buffer memory of the memory (12) I 10 I 11 is the cycle 11 of the buffer memory 12 gate 14 and the adder 15 three times, and 11 is calculated in the short and long term, and 5, 6, and 7 cycles the cycle twice. The long and short symbols "10" are used for calculating the long and short, and the number 4 is set to "1" in which the cycle is rotated once.

표 5는 표 4의 3번지의 음정(④)이 완전히 주메모리(24)에 기억되어지고, 음정(④)이 기억되어 있더 표4의 3번지에 제4도의 음정(⑩)이 기억되어진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Table 5 shows that the note 4 in Fig. 4 is completely stored in the main memory 24, and the note 4 is stored in address 3 of Table 4. It is displayed.

이 상태에서 버퍼메모리(12)의 0,1,2번지의 음정(①②③의 장단은 아직 계산중에 있다.In this state, the long and short pitches (①②③) of addresses 0, 1, and 2 of the buffer memory 12 are still being calculated.

이 장단의 계산은 싸이클 회로를 4회 돌때에 완료된다.This long and short calculation is completed four rounds of the cycle circuit.

계수기(28)의 클락 입력(CK) 파형(CK1)은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Data Valid를 인버트하여 CKB와 낸드게이트(21)로 결합한 펄스로서 계수기(28)를 계수하여 버퍼메모리(28)의 읽고 쓰는 번지를 정하여 주게된다.The clock input CK waveform CK 1 of the counter 28 is a pulse obtained by inverting Data Valid and combining the CKB and the NAND gate 21 as shown in FIG. 28) read and write address is assigned.

버퍼메모리(12)의 라이트 인에이블 입력단자(WE)의 신호 (WEA)는 Data Valid가 "0"으로 되는 점으로부터 마스터 클락(MCK)을 기준으로 하여 6번째 타이밍에서 한개의 펄스를 만들어 주게하기 위하여 디코더(17)의 출력(5)를 사용하였으며, 타이밍 관계는 제2도의 WEA에 표시되어 있다.The signal WEA of the write enable input terminal WE of the buffer memory 12 generates one pulse at the sixth timing based on the master clock MCK from the point that Data Valid becomes "0". The output 5 of the decoder 17 is used for this purpose, and the timing relationship is shown in the WEA of FIG.

주메모리(24)의 라이트 인에이블 단자(WE)의 파형 (EWB)은 제2도의 WEB와 같고 비교기(13)출력(

Figure kpo00007
)이 "0"이고 Data Valid가 "0"으로 되는 점으로 부터 마스터 클락(MCK)를 기준으로 하여 2번째 타이밍에서 한개의 펄스를 만들어 주도록되어 있으며, 계수기(25)의 입력 클락(CK)의 파형 (CK2)은 제2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Data Valid와
Figure kpo00008
앤드게이트(20)로 연결조합한 파형으로 주메모리(25)의 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클락 펄스이다.The waveform EWB of the write enable terminal WE of the main memory 24 is the same as WEB of FIG. 2 and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13 (
Figure kpo00007
) Is set to "0" and Data Valid becomes "0" so that one pulse is generated at the second timing with respect to the master clock (MCK), and the input clock (CK) of the counter 25 is Waveform CK 2 is plotted with Data Valid and
Figure kpo00008
It is a clock pulse that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main memory 25 by the waveform combined by the AND gate 20.

이렇게하여 만들어진 5비트의 장단 신호(버퍼메모리의 D7-D11)는 길이에 대응하는 2진수로 되어 있으므로 주메모리(24)의 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장단 코드 변환기(30)를 통하여 3비트로 만들어져 음정과 동시에 주메모리(24)에 기억된다. (장단 코드 변환 원리는 특허출원 제79-1575호로 제안된 바 있다.)Since the 5-bit long and short signals (D 7 -D 11 of the buffer memory) made in this way are binary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they are made of 3 bits through the short and long code converter 30 to reduce the capacity of the main memory 24. Are stored in main memory 24 at the same time. (The short and long term code conversion principle was prop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79-1575.)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크기 비교기(13)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의해 게이트(14)를 제어하여 주고, 또 덧셈기(15)의 싸이클(Cycle)에 의하여 소정의 장단 신호를 하나의 장단의 계산이 끝날때 마다 계산이 끝난 음정에 대하여 음의 고저에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음부의 길이에 따라 짧은 음부를 우선으로 하여 그때의 어드레스(Address)와 일치되게 주메모리에 기억시켜 주므로써 장단을 포함한 화음을 적은 용량의 메모리에 기억시키도록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te 14 is controlled by the signal detected by the size comparator 13, and a predetermined long and short signal is calculated by a cycle of the adder 15. Whenever it is finished, the note that has been calculated is stored in the main memory in accordance with the address at that time. It is to be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apacity.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3

Claims (1)

화음 부호기(11)의 출력(D0-D6)은, 화음 부호기(11)의 출력(D0-D6)과 버퍼메모리(12)의 출력(D0-D6)을 비교하여 게이트(14)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크기 비교기(13)와, 버퍼메모리(12)의 입력(I0-I6)에 각각 연결되고, 데이타 밸리드 (DaTA VALID)신호는 dls버터(19)와 낸드게이트(21)를 거쳐 버퍼메모리(12)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계수기(28)의 클록입력(CK)에 연결되며, 버퍼메모리(12)의 출력(D7-D11)은 게이트(14) 및 덧셈기(15)를 통해 입력(I7-I11)에 접속하여 크기 비교기(13)의 출력(A)이 하이(H)가 되서 게이트(14)가 닫힐때까지 화음의 장단을 계산하는 사이클 회로를 구성하고, 또한 계산된 장단과 화음을 최종 기억하는 주메모리(24)의 입력(D0-D6)에는 버퍼메모리(12)의 화음 출력(D0-D6)이, 입력(D7-D9)에는 게이트(14)가 닫힐때까지 계산된 버퍼메모리(12)의 장단 신호출력(D7-D11)이 장단 코드 변환기(30)를 통해 각각 접속되며, 인버터(18)와 앤드게이트(20) 및 낸드게이트(23)로 조합 형성된 신호 (WEB, CK2)는 각각 주메모리(24)의 라이트인에이블(WE) 및 주메모리(24)의 어드레스(A0-An)를 지정하는 계수기(25)의 클록 입력(CK)에 접속하여 장단을 포함한 음정 신호가 주메모리(24)에 기억되도록 버퍼메모리(12)와 게이트(14) 및 덧셈기(15)로 음의 장단을 계산하여 주는 싸이클 회로를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전자 악기의 화음 기억장치.The output of the encoder chord 11 (D 0 -D 6) is compared to the output (D 0 -D 6) and the output of the buffer memory (12) (D 0 -D 6 ) of the chord, the encoder 11, the gate ( 14 and a size comparator 13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signal 14, and inputs I 0 -I 6 of the buffer memory 12, respectively, and the data valid (DaTA VALID) signal is connected to the dls butter 19. It is connected to the clock input CK of the counter 28 which addresses the buffer memory 12 via the NAND gate 21, and the outputs D 7 -D 11 of the buffer memory 12 are connected to the gate 14. and the cycle of calculating the long and short chord until the output (a) of the magnitude comparator 13 is connected to the inputs (I 7 -I 11) through the adder 15. the'm the high (H) closed, the gate 14 The chord outputs D 0- D 6 of the buffer memory 12 are input to the inputs D 0- D 6 of the main memory 24 which constitute a circuit and finally store the calculated long and short chords. 7 -D 9 contains the buffer memory 12 calculated until the gate 14 is closed. The short and long signal outputs D 7 -D 11 are connected to the short and long code converters 30, respectively, and are formed by combining the inverter 18, the end gate 20, and the NAND gate 23 (WEB, CK 2). ) Is connected to the clock input CK of the counter 25 which specifies the write enable WE of the main memory 24 and the address A 0 -A n of the main memory 24, respectively, 7. A chord memory device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omprising a cycle circuit for calculating the long and short periods of sound by a buffer memory 12, a gate 14, and an adder 15 so that a signal is stored in the main memory 24.
KR1019790001788A 1979-06-01 1979-06-01 Chord memory of electronic instruments KR8300012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788A KR830001221B1 (en) 1979-06-01 1979-06-01 Chord memory of electronic instru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788A KR830001221B1 (en) 1979-06-01 1979-06-01 Chord memory of electronic instru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958A KR830000958A (en) 1983-04-28
KR830001221B1 true KR830001221B1 (en) 1983-06-24

Family

ID=1921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788A KR830001221B1 (en) 1979-06-01 1979-06-01 Chord memory of electronic instru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22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958A (en) 198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10800A (en) Digital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with automatic transposition
EP01498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reproduction of transient and steady state voices in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5832391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JP2571911B2 (en) Music signal generator
US4083283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legato effect
JPS58211192A (en) Performance data processor
US5321198A (en) Tone signal generator utilizing ancillary memorie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6252314B2 (en)
KR830001221B1 (en) Chord memory of electronic instruments
US4103581A (en) Constant speed portamento
JPS5895790A (en) Musical sound generator
JPS5840199B2 (en) Denshigatsuki
JPS63100495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dapted to perform automatic semitone glissando
JPS6314358B2 (en)
JPS59116696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H0631977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6153696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5882298A (en) Envelope control circuit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699886B2 (en) Music control information generator
KR830000426B1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JPS6278599A (en) Musical tone signal generator
JPH0617194Y2 (en) Envelope generator
JPS6325697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61134798A (en) Musical sound signal generator
JPS5897179A (en) Automatic pla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602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