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140Y1 - 무 단 변 속 풀 리 - Google Patents

무 단 변 속 풀 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140Y1
KR830001140Y1 KR2019790002543U KR790002543U KR830001140Y1 KR 830001140 Y1 KR830001140 Y1 KR 830001140Y1 KR 2019790002543 U KR2019790002543 U KR 2019790002543U KR 790002543 U KR790002543 U KR 790002543U KR 830001140 Y1 KR830001140 Y1 KR 830001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odies
aberration
sides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790002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307U (ko
Inventor
히데오 도구다게
Original Assignee
고야마 다게시
가부시기가이샤 고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야마 다게시, 가부시기가이샤 고야마 filed Critical 고야마 다게시
Priority to KR2019790002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140Y1/ko
Publication of KR830000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1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52Pulleys or friction discs of adjustable construction
    • F16H55/56Pulleys or friction discs of adjustable construction of which the bearing parts are relatively axial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단 변속 풀리
제1도는 종래의 무단 변속풀리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무단 변속풀리의 실시예 1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무단 변속 풀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무단 변속 풀리는 제1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슬리이브(1)의 외주면 양측에 V벨트 수차체(2)의 몸체부(3)를 상호 대향하여 진퇴 자유롭게 끼워 붙이고, 슬리이브(1)의 양단끝면에 볼트(4)로 맞춤제(5)를 각각 고착하고 이 양측의 맞춤체(5)에 형성한 복수개소의 캠 형상의 맞춤 칼부(6)에서 상기 양측의 V벨트 수차체(2)의 캠형상 맞춤칼부(7)를 각각 맞물리게하며, 또한 1축의 V벨트 수차체(2)의 몸체부(3)에서 돌출한 안내핀(8)을 타축 V벨트 수차체(2)의 몸체
이러한 종래의 무단변속 풀리는 양측의 V벨트 수차체(2) 사이에 감겨지는 V벨트(A)의 장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수차체(2) 사이의 간격이 코일스프링(11)에 대향하여 넓어도 지고 또는 코일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하여 좁아도 지고 하여 이와 같은 것에 의하여 V벨트(A)가 V벨트 수차체(2)의 안쪽으로 들어가 감기는 내경이 작게도 되고 또한 바깥쪽으로 압출되어서 감기는 내경이 커지기도 하여서 변속작용을 행하는 것이나, 상기 양측의 수차체(2)의 간격이 변동할때 그 몸체부(3)가 슬리이브(1)에 대하여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의 것에 있어서는 상기 미끄럼 동작부(12)에 공급한 윤활유가 그 미끄럼 동작부(12)의 마모에 의하여 여기에서 스며나오며 그 오일은 원심력등에 의하여 맞춤칼부(6)(7)에 덮어 씌운 커버(15)의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어 오일의 낭비기 있었던 것이다.
또한 캠 상태의 맞춤칼부(6)(7)에서는 부분적인 마모가 생기기 쉽고 또한 그 사이의 콘 백래쉬에 의하여 그의 마모도 커져서 내구성의 점에서 열등한 것이었다.
또한 오일 수용부(13)를 설치한 것이어서 이것에 의하여 풀리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지 아니하였던 것이고, 상기 맞춤칼부(6)(7)에서와 같이 상호이동 방향으로 규제할 수 있는 것이 없는 것에 있어서는, V벨트(A)의 부하의 변동이나 벨트수차체(2)가 1회전 할때 마다 V벨트(A)에서는 받는 개폐의 반복 하중이 모두 미끄럼 동작부(12)에 걸이고 더욱히 이 미끄럼 동작부(12)는 V벨트(A)의 작용부 보다 비교적 안쪽에 있으므로 이 미끄럼 동작부(12)에서 몸체부(3)는 회전축(16)에 대하여 1회전 할때 마다 비틀리
또한 미끄럼 동작부(12)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서는 몸체부(3)를 길게 형성하면 좋은 것이나, 너무 길게 하면 풀리 전체가 대형화 되어 좋은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점을 개량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형화하지 아니하고 미끄럼 동작 부분의 내구성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윤활제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무단변속 풀리를 제공 하고자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 1를 제2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리이브(21)의 외주면 양측의 V벨트수차체(22)의 몸체부(23)를 축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며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 끼워 붙이고 슬리이브(21)의 양단에 볼트(24)로서 측면체(25)를 고착하는 것이다.
이 양측 측면체(25)의 외주연부(26)는 안쪽으로 절고하여 형성하고, 이 외주연부(26)의 선단회 주면에는 한쪽을 끼워 맞추는 것으로서의 외치차(2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측의 V벨트 수차체(22)의 외측면에 상기 몸체부(23)와 동심원상의 통상부(29)를 볼트(31)로 일체로 고착한다.
이 통상부(29)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치차(27)에 축방향으로만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 맞추는 타측의 끼워 맞춤으로 내치차(28)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양측의 측면체(25)를 고착함에 있어 양측의 몸체부(23)의 외주면상에 각각 압축코일 스프링(32)을 설치하고, 이 스프링(32)의 외단을 측면체(25)에 걸어 고정함과 동시에 내단을 V벨트 수차체(22)의 측면요부()(33)에 끼워 붙이고, 이 스프링(32)에 의하여 양측의 V벨트 수차체(22)를 안쪽으로 탄력을 주게 한다.
또한 슬리이브(21)에는 축방향의 윤활제 공급공(34)을 뚫고, 다시 이 공급공(34)에서 양측몸체부(23)와 슬리이브(21)와의 사이의 미끄럼 동작부(35)에 향하여 반경 방향의 윤활제 공급공(36)을 뚫으며, 상기의 공급공(34)에는 좌측 측면체(35)의 나사구멍(37)에 나사 붙이기 위한 그리스 니플(38)을 접속하고, 이 니플(38)에서 공급공(34)(36)을 통하여 공급한 그리스등의 윤활제로서 미끄럼 동작부(35)를 윤활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 미끄럼 동작부(35)와 미끄럼 동작하는 몸체부(23)의 내주면에는 나선상의 윤활홈(39)를 형성한다.
또한 미끄럼 동작부(35)에서 몸체부(23)의 외단부와 0링(41)의 간격을 통하여 그 외측으로 스며나오는 윤활제는 회전원심력에 의하여 측면체(25)의 외주부(26) 내면에 뿌려지며, 다시치차(27)(28)의 치차 맞춤부에 공급되어 여기에서 안정적으로 간직되어 이 치차(27)(28)간의 윤활 및 냉각을 행하는 것이다.
이때에 상기 통상부(29)의 선단부와 측면체(25)의 외주연부(26)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통상부(29)의 선단부에 끼워 붙인 시일부재로서의 0링(42)를 개재 설치하여 두면, 이 0링(42)에 의하여서 치차(27)(28)에 작용하는 윤활제가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게 한 것으로 미설명 부호(43)은 조립, 분해 및 빼내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나사식 설치로 한 나사구멍이며, (44)는 슬리이브(21)의 내부에 끼워 붙인 회전축이고 (45)는 고정용 키이(46)의 그의 고정용 나사, (47)은 C형 고정링 이다.
그리고, 이 풀리 전체의 조립은 슬리이브(21), V벨트 수차체(2), 스프링(32), 측면체(25), 통상부(29)의 순서로 행하는 것이나, 슬리이브(21)의 끝면에 측면체(25)를 고착하는데 있어서는 봉으로 된 부재틀 좌측의 측면체(25)의 나사구멍(43)에서 삽입하여 슬리이브(21)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우측의 측면체(25)의 외부로 인출하고, 이봉으로된 부재의 양측부에 나사 맞춤한 압판등을 이용하여 양측의 측면체(25)를 압축 코일 스프링(32)의 반발력에 대향하게 하여 슬리이브(21)의 양단면에 압착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분해는 봉으로 된 부재 및 압판 등을 사용하여 볼트(24)의 분해에 의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32)의 일순간의 확장을 누르면서 서서히 행하는 것이다.
또한 이 풀리 전체를 회전축(44)에서 빼내는 것은 나사구멍(43)에 볼트 공구를 나사맞춤 하고 이 공구를 강제로 틀어넣어 그의 선단에서 회전축(44)의 좌단면을 누르게 하여 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풀리를 예를들어 종동축에 사용하면 V벨트(A)에서 회전력을 작용받은 양측의 V벨트 수차체(22)는 회전하며 이 회전력은 치차(28)(27)의 치차 맞춤부를 거쳐서 양측의 측면체(25)에 전달되며, 다시 이 측면체(25)에 키이(42)로서 끼워붙인 회전축(44)에서 회전력을 얻는 것이다.
그리고 V벨트(A)의 장력이 증가하면 양측의 수차체(22)는 압축 코일 스프링(32)의 세력에 대향하여 간격이 벌어지고 V벨트(A)는 안쪽으로 들어가서, 그 감기는 내경은 실질적으로 적어 지므로 회전축(44)의 회전속도는 크게 변화한다.
또한 역으로 V벨트(A)의 장력이 감소하면 회전축(44)의 회전속도는 작게 변화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회전속도의 조정시에 있어서 통상부(29)의 내치차(28)는 정위치의 외치차(27)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만 미끄럼 동작을 하면서 일체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치차(27)(28)의 치차 맞춤에 의하여서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만 상대적인 차이를 있게한 것이므로 종래의 캠형상의 맞춤칼부(6)(7)에 의하는 것에 비하여 큰 백래쉬가 없고 또한 부분적인 마모도 없어 내구성에 뛰어난 것이다.
특히 내측의 외치차(27)를 외측의 내치차(28)보다도 비교적 부드러운 금속으로 형성하면 내치차(28)가 부분적으로 일부 마모할 염려가 완전히 해소되는 것이다.
또한 치차(27)와 치차(28)는 V벨트(A)의 작용부와 대략 같은 높이의 위치에서 치차 맞춤하고 있으므로 이 치차(27)(28)의 치차맞춤부에서 클러치 작용과 슬라이드 작용이 이루어져, V벨트(A)의 부하의 변동이나, V벨트 수차체(22)가 1회전할 때마다 V벨트(A)에서 받는 개폐의 반복 하중은 치차(27)(28)의 치차 맞춤부에서 정확하게 지지되므로, V벨트(A)의 작용력이 슬리이브(21)와 몸체부(23)사이의 미끄럼 동작부(35)에 비틀리는 힘등으로 작용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이 미끄럼 동작부(35)의 마모도를 감소시
또한 윤활제가 공급되는 미끄럼 동작부(35)의 반경방향 외측에 치차(27)(28)의 치차 맞춤부를 설치하고 그 치차 맞춤부는 통상부(29)의 외측단부에 설치한 0링(42)에 의하여 밀폐 되었으므로 통상부(29)는 그리스 포트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미끄럼 동작부(35)에서 스며 나와서 회전 원심력에 의하여 치차 맞춤부에 뿌려진 윤활제는 이 통상부(29)의 내면에서 간직되어 치차 맞춤부의 윤활 및 냉각을 계속 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윤활제는 내주와 외주부에 있어서 유효하게 이용되는 것이다.
또한 슬리이브(21)의 중공부는 회전축(44)을 끼워 붙인는 곳으로서 사용하는 것뿐인 동시에 나사구멍(43)을 설치하였으므로 이 중공부 및 나사구멍(43)에 공구를 삽입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축(44)에 설치되어 있는 이 슬리이브를 빼내는 것도 나사구멍(43)에 나사공구를 틀어 넣어서 비교적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의 조립, 분해 및 빼내는 것의 용이성에 의하여 부품 교환도 용이하여 종래의 이런 종류의 풀리에 비하여 그의 관리 및 보수면에서도 우수한 것이다.
또한 치차(27)(28)의 치차 맞춤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양축의 벨트 수차체(22)의 사이의 상대적 엇갈림을 없이 하였으므로 종래의 안내핀(8)이나, 커버(15)와 같은 것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 에서는 한쪽의 끼워 맞추는 곳으로서 외치차(27)를 설치 하였으나, 이들 치차(27)(28)를 끼워 맞추는 것에 대신하여 스플라인의 끼워 맞추는 구조로 하여도 완전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어서 이 스플라인 구조를 한쪽 및 타측의 끼워 맞추는 곳으로 할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통상부(29)를 측면체(25)의 외주연부(26)의 외측에 설치한 것이나, 이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통상부(29)의 외측에 외주연부(26)를 덮어 씌우고 통상부(29) 외면에 외치차를 형성함과 동시에 외주연부(26) 내면에 내치차를 형성하여 그 외주연부(26)의 선단부를에 통상부(29)에 접촉하는 0링을 끼워 붙이는 구조로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슬리이브 측면체 외주연부측의 한쪽의 끼워 맞추는 곳과, V벨트 수차체측의 타측의 끼워 맞추는 곳을 축방향으로만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고, 그 끼워 맞추는 곳에서 V벨트의 작용력을 정확히 지지하도록 하며, 이것에 의하여 V벨트 수차체의 몸체부와 슬리이브간의 미끄럼 동작부에 비틀리는 힘들의 작용이 없도록 하였으므로 끼워 맞춘 곳에 있어서 마모에 대한 내구성이나 V벨트 수차체의 몸체부에 있어서의 마도에 대한 내구성을 대형화 함이 없이 유효하게 높일 수가
또한 한쪽 및 타측의 끼워 맞추는 곳을 시일부재로 밀폐하였으므로 슬리이브와 몸체부와의 사이의 미끄럼 동작부를 윤활하게 하는 윤활제를 한쪽 및 타측의 끼워맞춘곳을 윤활하게 할 수가 있어 윤활제의 유효한 이용과 한쪽 및 타측의 끼워 맞춘곳의 마모 방지를 도모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축(44)이 끼워 붙여지는 슬리이브(21)의 양단에 측면체(25)를 고착하고, 이 양측의 측면체(25)의 외주연부(26)에 외치차(27)를 일체로 형성하고, 슬리이브(21)의 외주면에 양측의 V벨트 수차체(22)의 몸체부(23)를 축방향으로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 끼워 붙이고, 이 양측의 V벨트 수차체(22)의 외측에 몸체부(23)와 동심원상의 통상부(29)를 형성하여, 이 통상부(29)에 상기 외치차(27)를 축방향으로만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 접속하는 내치차(28)을 일체로 형성하며, 양측의 측면체(25)와 양측의 V벨트 수차체(22)와의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32)을 설치하며, 슬리이브(21)의 몸체부(23)와의 사이의 미끄럼 동작부(35)에 윤활제 공급공(34)(36)을 뚫음과 동시에 V벨트 수차체(22)의 통상부(29)와 측면체(25)의 외주연부(26)와의 사이에 한쪽 및 타측의 끼워 맞춤부를 밀폐하는 시일부재(42)를 개재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풀리.
KR2019790002543U 1979-05-04 1979-05-04 무 단 변 속 풀 리 KR830001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2543U KR830001140Y1 (ko) 1979-05-04 1979-05-04 무 단 변 속 풀 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2543U KR830001140Y1 (ko) 1979-05-04 1979-05-04 무 단 변 속 풀 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07U KR830000307U (ko) 1983-04-30
KR830001140Y1 true KR830001140Y1 (ko) 1983-07-13

Family

ID=1921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790002543U KR830001140Y1 (ko) 1979-05-04 1979-05-04 무 단 변 속 풀 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1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346A (ko) * 2000-03-24 2001-10-18 김우재 땀의 흡수, 증발, 보온기능을 극대화시킨 운동용 내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346A (ko) * 2000-03-24 2001-10-18 김우재 땀의 흡수, 증발, 보온기능을 극대화시킨 운동용 내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07U (ko)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6676A (en) Friction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GB2208241A (en) Pump and drive assembly therefor
CA2576121A1 (en) Positive lubrication of a meshing gear
KR830001140Y1 (ko) 무 단 변 속 풀 리
CN108561521B (zh) 丝杆装置的润滑结构
JPS5817226A (ja) 自動断ち接ぎ可能なかみ合いクラツチ
CN101749377A (zh) 具有齿轮和油通道的变速器
DE69626291T2 (de)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e kupplungsverbindung
US3521463A (en) Gear coupling
JPS5810034Y2 (ja) 無段変速プ−リ
JPH0821223A (ja) アイドルギヤ歯面潤滑油量可変機構
US7018296B2 (en) Gear drive with integrated torque limiting coupling
US4998600A (en) Oil lubrication system for the bearing of a shaft journal
KR0159115B1 (ko) 변속중간축 회전베어링 쉼
CN109737193A (zh) 圆锥滚子丝杠副及密封结构
JPH0763250A (ja) 歯車変速機における同期装置の潤滑機構
CN210265753U (zh) 一种谐波减速器
CN108895155B (zh) 一种机械式汽车变速器中间轴组件机构
US2359654A (en) Lubricating arrangement
GB2166813A (en) Tapered roller bearing assembly
US3343376A (en) Lubricant seal for couplings
US787654A (en) Lubricator.
CN217977285U (zh) 一种新型减速机
RU166070U1 (ru) Узел вала первичного делителя передач
US2611665A (en) Bearing co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