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139Y1 - 수갑(手匣) - Google Patents

수갑(手匣)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139Y1
KR830001139Y1 KR2019810008017U KR810008017U KR830001139Y1 KR 830001139 Y1 KR830001139 Y1 KR 830001139Y1 KR 2019810008017 U KR2019810008017 U KR 2019810008017U KR 810008017 U KR810008017 U KR 810008017U KR 830001139 Y1 KR830001139 Y1 KR 830001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cuffs
plate
protrusions
button
reli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8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신
Original Assignee
박태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신 filed Critical 박태신
Priority to KR2019810008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1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5/00Handcuffs ; Finger cuffs; Leg irons; Handcuff holsters; Means for locking prisoners in automobiles

Landscapes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갑(手匣)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요부의 일부 절결 작동상태 설명도로써, 제2(a)도는 폐정(閉錠)시의 작동도, 제2(b)도는 개정(開錠)시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기복돌기 8 : 삽탈돌기의 출몰홈
8' : 보조홈 10 : 삽탈돌기
11 : 스톱파 16 : 해제편
본 고안은 보턴 및 다이얼 회동판의 조작으로 범인을 신속 결박함과 아울러 결박된 범인에 의해 쉽게 자물통(錠)을 개개할 수 없게 하기 위한 수갑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갑은 걸고리의 치상(齒狀)감착부와 교감케 되는 톱니형의 구동판에 보통의 자물통(錠)과 같이 스프링 및 볼링이나 절곡간을 개재시켜 열쇠로 개폐하게 되어 있어서 못이나 철사 등으로 쉽게 열쇠 있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버턴의 압압으로 공지의 톱니형 구동판의 기복돌기가 V자형 스톱파에 정지될시 다이얼 회동판을 회동시켜 신속 폐설(開錠)되게 하고, 해제시는 반대측 버턴을 눌러 삽탈 돌기를 다이어홈에 출몰시킴과 동시 V자형 스톱파를 구동판의 기복돌기로부터 해탈개정(開錠)로록 함으로써, 쉽게 개개할 수 없도록 하는대 특징이 있는 것인바,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체(1)상부의 걸고랑 체착간(2)을 톱니형 구동판(3)구 교감케한 통상의 수갑에 있어서, 구동판(3)의 일단을 고정핀(4)에 유착하고, 그 선단에 해탈공(5) 및 기복돌기(6)를 돌설하여 수직으로 상하 기복이 원활토록 판스프링(7)을 개입하고, 그 하단에 돌기 출몰홈(8)과 보조홈(8')이 요설된 다이얼 회동판(9)을 배설하며 양단에 버턴(12)(12')이 축착된 축간(13)을 축공(14)에 관삽하고, 후방의 버턴(12')을 눌러 축(13)간의 V자형 스톱파(11)로 구동판(3)의 기복돌기(6)를 정지시켜 폐정을 성립시키고, 개정시는 전방의 버턴(12)을 눌러 돌기출몰홈(8)에 돌기(10)를 몰입시킴과 아울러 V자형 스톱파(11)를 기복돌기(6)로부터 이탈 해제케 하여서 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15는 버턴(12)(12')의 출몰턱, 16은 해지핀, 17은 회동판의 삽설공, 18은 고리 연결구인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제2(b)도와 같이 개정(開錠)상태일 경우, 버턴(12')을 화살표(A)방향으로 압압하면 다이얼 회동을 정지시키고 있던 돌기(10)들이 회동판(9) 외곽으로 해탈되는 한편, V자형 스톱파(11)는 구동판(3)의 기복돌기(6) 하단부에 정지되며, 이때 회동판(8)의 다이얼 번호판을 신속 회동시켜 즉시 폐정케하고, 또 해제시는 다이얼 번호를 맞우워 돌기(10)를 돌기입홈(8)에 완전 몰입시켜 V자형 스톱파(11)를 다시 제2(b)도와 같이 이탈시킨다. 그리고 결박된 손을 풀을 경우애는 별도 비치한 해제핀(16)으로 해탈공(5)을 가볍게 찔러 구동판(3)을 하향으로 후퇴시킴으로서, 구동판(3)과 고랑(2)의 교감을 분리시켜 걸고랑(2)을 뒤고 빼어 낸다.
이와 같이하여 개폐 반복되며 일단 폐정되며, 1차 다이얼 맞우고 2차 버턴을 작동시켜 해제핀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범인 자신에 의해 용이하게 개정할 수 없으므로 사고재발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축간에 삽탈돌기(10) 및 V자형 스톱파(11)와 양단에 버턴을 축착하여 삽탈돌기(10)가 해돌기의 출몰홈(8)에 출몰되고 스톱파(11)로 구동판의 기복 돌기(6)의 하단을 횡이동시켜 해제핀으로 개정케 하여서 된 수갑(手匣).
KR2019810008017U 1981-11-27 1981-11-27 수갑(手匣) KR830001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017U KR830001139Y1 (ko) 1981-11-27 1981-11-27 수갑(手匣)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017U KR830001139Y1 (ko) 1981-11-27 1981-11-27 수갑(手匣)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139Y1 true KR830001139Y1 (ko) 1983-07-13

Family

ID=1922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8017U KR830001139Y1 (ko) 1981-11-27 1981-11-27 수갑(手匣)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1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4257A (en) Modular public telephone for outside use
DE59710556D1 (de) Verriegelungseinrichtung
KR830001139Y1 (ko) 수갑(手匣)
GB1467341A (en) Coin handling apparatus
GB2005335A (en) New or improved lock
US4964093A (e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cover lid of watch
AU585446B2 (en) Automatic 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5452038A (en) Driver device for opening light shield of film cassette biases light shield closed
GB8323763D0 (en) Door hinge
GB8618669D0 (en) Door & hinge construction
KR102385362B1 (ko) 도어용 래치기구
JPH0337670Y2 (ko)
KR920003519Y1 (ko) 카세트 도어 열림장치
JPH0427983Y2 (ko)
GB2187498A (en) A door chain
CA1085438A (en) Cam operated time delay switch
JPS5784272A (en) Trunk lid opening and closing device
GB1086948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hinges
KR890003395Y1 (ko) 손잡이 겸 자물쇠
KR920004447Y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vcr)용 판넬도어 장치
JP2536631Y2 (ja) 表ぶた付携帯時計
KR970004506Y1 (ko) 커버도어 개폐장치
GB1444555A (en) Catches for doors and the like
JPS6210369Y2 (ko)
JPS54156339A (en) Manhole l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