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791B1 - 조립식 가방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791B1
KR830000791B1 KR1019790000197A KR790000197A KR830000791B1 KR 830000791 B1 KR830000791 B1 KR 830000791B1 KR 1019790000197 A KR1019790000197 A KR 1019790000197A KR 790000197 A KR790000197 A KR 790000197A KR 830000791 B1 KR830000791 B1 KR 830000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garment
garment bag
r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0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바츠스타인 마빈
Original Assignee
제롬 루이스 폽킨
요크 러기지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롬 루이스 폽킨, 요크 러기지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제롬 루이스 폽킨
Priority to KR1019790000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가방
제1도는 운반을 위해 조립 준비된 본 발명의 의류 가방 및 가방의 사시도.
제2도는 펴진 상태의 일측부를 나타내는 본 발명 의류 가방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의류 가방의 반대측부를 나타내는 제1도의 유사도.
제4도는 의류 가방 및 손가방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방식을 나타내고 의류 가방이 부본적으로 도시된 사시도.
제5도는 조립된 상태의 손가방의 일측부와 견대(肩帶)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6도는 견대가 생략되고 손가방의 반대측부를 나타내는 제5도에 유사한 정면도.
제7도는 옷장등의 걸이에 걸기 위한 후크를 가지며, 본 발명의 의류 가방에 사용하는데 특히 적합한 옷걸이와, 그 옷걸이에 연결 가능한 제 2 옷걸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8도는 옷걸이가 의류 가방내에 있을 때의 위치로 회전된 후크를 가진 옷걸이의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9-9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가방을 결합하는 타입의 가방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요성 의류 가방을 가지는 타입의 조립식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의류를 주름이 지지 않는 상태로 하여 목적지에 가져가기 위해 의류 가방을 다른 가방과 별도로 하여 운반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하여 양손에 가방을 들게된다. 비행기에 의한 여행의 경우, 동일장소에 가방과 다른 수화물을 놓는 것은 대개 불가능하다. 또한, 목적지의 화물수취구에서 많은 시간을 낭비한다. 여러개의 화물을 차로 운방할때, 손가방 또는 그와 같은 것은 좌석 밑이나 좌석위 선반에 두는데 충분하도록 작아도 좋다. 그러나, 의류 가방은 선반에 걸어두는 것이 보통이다.
의류 및 다른 물건을 운반하기 위한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 제의되어 왔다. 미국특허 제3729038호에, 개인용품을 위한 여분의 보유공간을 제공하는 포켓이 있는 포장식 커버와 그 커버가 부착된 운반 케이스 사이에 의류를 보유하도록 작용할 수 있는 것이 제의되었다. 그러나, 양측부로부터 의류를 보호하기 위한 설비가 되어있지 않고, 그 커버가 제거된때 의류가 떨어져 나온다. 상기 특허의 포장 커버는 보호성 의류 가방이 아니고, 그러한 배치는 제한을 받는다. 더욱이 특정가방에 맞도록 수선되어야한다. 미국 특허 제3291266호의 접첩식 의류 가방은 의류 가방과 운반 케이스의 완전성이 유지되기 위한 케이스에 조립되도록 설계된 판재(板材)를 가지고 있다.
각종의 가방 조합체가 미국 특허 제3122225호, 제3410376호, 제3830348호, 제3837447호 및 제3967708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방은 의류 가방과 손가방을 한 손으로 들수 있거나 어깨에 걸 수 있도록 단일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의류 가방 및 손가방, 즉, 운방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사실, 서로 조립됨에 의해 단일체 효과가 제공되며 의류 가방내 의류의 주름을 최소로 한다. 의류 가방과 손 가방의 전체 용적이 유지되고, 형성된 조립체의 전체는 의류 가방 하나만을 운반하는 것보다 더 편리하고 손가방 하나만을 운반하는 것같이 운반이 편리하다. 더욱이, 의류가방-손가방 조립체는 그에 의해 저장 및 운반될수 있는 의복 및 다른 물건의 양을 고려하여 최소의 공간을 차지한다.
간단히 말하면, 본 발명의 의류 가방-손가방 조립체는 본 기술에서 공통인 봉합부제가 설치된 종측연장 개구를 가지며, 연부가 서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가요성 물질의 패널(panel)을 가진 의류가방을 포함한다. 손가방은 의류가방의 폭과 실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의류가방은 손가방의 외주보다 작지않은 길이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제가 손가방의 벽에 그리고 의류가방의 제 1 패널에 부착되어 있어 의류가방과 손가방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한다. 종측으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는 협동하는 연결 부재가 서로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 2 패널에 취부되어 있고, 의류가방-손가방 조립체를 지탱할수 있는 부재가 양 가방의 하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 가능한 연결 부재의 연결된 상태에서 손가방은 의류 가방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그 손가방은 의류가방이 감긴 형태로 작용하고, 싸여진 손가방은 의류가방에 넣어진 의류의 주름을 최소로 하도록 큰 곡면반경을 제공한다. 만약 손가방이 완전히 꾸려지고 의류가방이 손가방을 견고히 둘러싸도록 만들어진다면, 손가방의 벽에 취부된 연결부재와 의류가방의 제 1 패널에 취부된 연결부재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술한 목적, 작용 잇점 및 증진된 결과를 제공하도록 손가방과 조립되는 의류가방 구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의류 가방에 배치하는데 특히 적합한 개량된 옷걸이 구조에 있다.
본 발명의 의류가방-손가방 조립체에 의해 부여된 잇점 및 증진된 결과, 본 발명의 의류 가방구조, 본 발명의 옷걸이는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제6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의류가방-손가방 조립체는 의류가방 A와 운반케이스 즉, 손가방 B로 구성된다. 그 의류가방은 가요성물질의 제 1 및 제 2 패널 10, 12로 구성되며, 그 패널들은 그들의 주연부 14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 연부는 서로 제봉되거나 열에 의해 봉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트립(strip) 16으로 보강되어 있다. 가방에 큰 체적을 부여하기 위해 패널 10의 하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의 각 종측측부를 따라 설 부분 18을 설치하여도 좋다. 의류가방은 슬라이드 파스너의 형태가 바람직한 봉합부 제22가 설치된 종측 연장개구 20을 가지고 있다. 그 개구 및 슬라이드 파스너는 패널 10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파스너의 슬라이더 24가 완전히 폐쇄상태에 있을때 슬라이더 24는 의류가방의 상부 25에 위치한다. 필요하다면, 슬라이드 파스너 24는 섶 부분 18의 지역내 의류가방의 측부에 배치되어도 좋다. 패널 10, 12를 형성하는 가요성 물질은 내후성(耐候性) 또는 내수성의 재봉 가능하거나 열봉함 가능한 비닐 시이트와 같은 플라스틱 시이트 물질, 또는 적당한 방수물질로 피복된 캔버스(canvas)와 같은 도포된 직물이다.
예를들어 플리비닐클로라이드, 염화비닐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스틸렌의 공중합체 및 터폴리머(terpolymer), 등의 각종 방수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손가방 B는 의류가방 A의 폭 W(제1도)와 실제로 동일한 길이(제6도)를 가지며, 의류가방 손가방의 의주보다 작지않은 길이(제3도)을 가진다. 손가방의 외주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방의 길이에 횡의 방향인 띠의 크기이다. 의류가방과 손가방의 그러한 칫수관계는 노출된 손가방의 양단부와 함께 손가방을 둘러싸는 의류가방을 나타내는 제1도의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L은 손가방의 외주보다 커서, 의류가방과 손가방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립된 관계에 있을때 의류가방의 양단부가 중첩되게 한다.
제2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의류가방 A는 의류가방과 손가방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수 있도록 연결부제를 가지고 있다. 이를위해, 측방으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는 1조의 스냅-후크 파스너(snap-hook fastener) 26이 패널 10에 취부되어 있고, 그 패널10은 의류가방과 손가방이 조립된 관게에 있을때 내측 패널이 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냅-후크 파스너는 소위 "개 가죽끈 타입"이며, 판스프링 부제 27이 만곡된 강직한 부재의 자유 단부와의 공동 작용을 위해 설치되어 있다. 스냅-후크 파스너는 패널 10에 재봉된 기부 30에 추측적으로 연결된 링 부제 28에 취부될 수 있다. 리벳트(rivet) 32가 패널 10에 기부 30을 취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의류가방 A의 반대측부에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2패널 12에 취부된 종측으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는 연결부제가 설치되어 있다. 의류가방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손가방에 조립된 관계에 있을때 패널 12는 의측 패널이 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측으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는 연결부재는 의류가방의 상부 25로부터 아래 대략 1/3쯤의 36에서 패널 12에 추축적으로 연결된 1조의 측방으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는 D-링 34를 가지고 있다. 1조의 연결기 38은 D-링 34와 협동하기 위해 그와같이 동일 간격으로 측방으로 떨어져 패널 12에 취부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기 38은 각 D-링의 개구를 통과하도록 후크로 형성되어 있고, 각 후크는 소켓 42에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해 체결되는 돌출부 40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타입의 연결기는 본 기술에 잘 알려져 있고, 사용될 수 있는 연결기의 오직 일예이다. 필요하다면, 개 가죽띠 타입의 연결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적당한 타입의 분리가능한 연결기가 손가방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할수 있도록 의류가방의 연결부재로 사용되어도 좋다. 예를들면, 38로 나타낸 바와같은 후크 파스니가 스냅후크스프링 파스니 26대신 사용되어도 좋다.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기 38은 띠 44에 취부되어 있고 부재 46이 그 띠에 설치되어 각띠의 길이를 조정가능케하며 그리하여 연결기 38의 위치를 조정한다. 띠 44는 48에서 패널 12에 재봉되어 있고, 보강 가이드 부재 50이고 띠의 통과를 위해 패널 12에 재봉 및 리벳트 접합되어 있다. 스냅-후크 파스너 38이 D-링 34에 연결 및 이탈되는 방식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의류가방 A에 관하여, 제1도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의류가방은 의류가방-손가방 조립체를 지탱할수 있는 부재를 가지고 있다. 2개의 별개의 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기부보강 띠 52가 재봉에 의해 패널 12에 부착되어 있다. 그 띠는 패널의 폭을 횡단하여 있고, 가죽 또는 합성 가죽과 같은 비교적 무거운 물질로 만들어져 있으며 D-링 34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다. 필요하다면, D-링 34를 위해 굴곡부가 피붓트 36을 제공할수 있도록 둥글게 감겨있는 직물조각 단부가 띠 52아래 배치되어 있고 기부 보강띠를 위한 봉재선 53이 패널에 직물조각으로된 피봇트 36을 연결한다. 손잡이 54가 본 기술에 공지된 방식으로 기부띠에 취부되어 있다. 그 손잡이의 단부는 리벳트 59에 의해 기부 띠 52에 연결된 취부부재 58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손잡이 54는 제1도의 조립체 A-B를 손으로 들게하는 그러한 타입이다
의류가방-손가방 조립체를 들수 있게하는 제2부재는 1조의 D-링 60의 형태이며, 그 링은 손잡이 54의 양측부의 각측에 측방으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링 60은 그 링의 직선부를 수용하도록 고리를 제공하는 무거운 물질의 부재 62에 의해 보강띠 52에 추축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부재 62는 리벳 64에 의해 그때에 취부되어 있다. 그러한 링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끈 S와 연결된다. 그 끈은 본 기술에 잘 알려진 타입의 것이고 각 단부가 스냅-후크 파스너 66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특정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짧게 또는 길게 끈을 조정하는 조정부재 68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한 끈은 손가방이 의류 가방으로부터 분리되고 손가방만을 사용하는 것이 요구될때 손가방을 지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운반 케이스 즉, 손가방 B는 어떤 요구되는 구조의 것으로 될수 있고, 본 발병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가방이 의류 가방에 취부된 연결부재 26과 협동하는 손가방의 벽에 취부된 연결부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필수적이다. "손가방"이란 용어는 오직 편의상 사용된 것이다. 그 용어는, 여기서 설명되는 바와같은 의류가방과 칫수관계를 가지며 여기서 설명된 의류가방과 조립에 적합한, 의류가방의 물품을 운반하기 위해 적당한 어떤 가방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조립을 해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손가방이 1조의 D-링 70의 형태인 연결부재를 가지고 있는것이 좋다. 그 링 70은 파스너 26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가방의 길이 방향을 떨어져 있다. 그 D-링은 부재 74에 의해 가방의 측벽 72에 추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부재 74는 링의 직선부가 끼어지고 고리형태로 접힌 짧은 직물끈이며 그 단부가 측벽 72에 재봉되어 있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같이, 손가방 B는 어떤 소망의 구조인 것이어도 좋다. 일예로서, 손가방 B는 측벽72와 반대측벽 76을 가지고 있다. 상부벽 78과 단부벽 80은 단일조각의 가요성 품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부 즉, 저부벽 8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기부는 인접 연부를 따라 서로 재봉되기전 1조의 물질층 사이에 판지를 삽입 베치함에 의해 빳빳하게 되어있다. 그 저부는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는 금속 스터드(stud) 83을 구비하여도 좋다. 가방의 전 측부와 상부를 따라 연장하는 개구를 통해 가방의 내부에 접근할수 있다. 그 개구는 슬라이드 파스너 86(제4도)와 같은 봉합부재를 가지고 있다. 필요하다면 가방의 일 측부에 작을 물건을 위한 주머니를 설치하여도 좋고,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드 파스너 봉합부재 90이 설치되고 측부 76의 길이를 횡단하여 연장하는 개구부 88을 통해 주머니에 접근할 수 있다.
손가방 B를 운반하기 위한 부재가 설치되고 예시된 본 발명의 형태에서 그러한 부재 2가지가 도시되어 있다. 가방을 손으로 운반하기 위해 손잡이끈 92가 가방의 각 측부에 취부되어 있다. 각 손잡이끈은 단순히 강한 직물 끈이어도 좋다. 그 끈의 각 단부는 가방의 일측부에 재봉취부된다. 손으로 잡기위한 중간부는 직물에 강직도를 부여하기 위해 어떤 화학물질로 처리되어도 좋다. 이들 손잡이 끈의 가방에의 연결을 보강하기 위해 종측으로 연장하는 보강 끈 96이 가방의 각 측부에 그리고 손잡이끈의 떨어져 있는 양단부위에 재봉되어도 좋다.
손가방 B를 운반하는 것이 요구될때, 가방의 각 단부벽에는 가방에 운반 끈 S를 취부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가 설치된다. 그 목적을 위해, D-링 98이 가죽 또는 합성 가죽과 같은 무거운 물질로된 기부 부재 100에 추축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기부재는 또한 각 측벽 80에 취부되어1있다. 보강을 위해 연결 리벳트 102가 기부부재와 벽 80을 지나 연장되어 설치되어도 좋다. 제5도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같이, 끈 S의 단부에 있는 연결자 66은 손가방이 어끼위에 끈을 걸쳐 운반될 수 있도록 링 98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의류가방-손가방 조립체 A-B는 그 가방들이 제1도에 도시된 조립된 관계에 있을때 링 98에 연결자 66을 걸어 운반될 수 있다.
의류가방내에 남자용 신사복 또는 여자용 드레스를 걸기위한 옷걸이는 제1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손가방과의 의류가방의 조립에 방해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즉, 옷걸이는 의류가방의 연속성이니 굽힘을 방해하는 어떤 돌출부를 갖지 않아야 한다. 제7도,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옷걸이는 그러한 조건을 충족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다. 그 옷걸이는 적당한 강직성을 가진 지지부재 즉, 프레임(frame) 104와 회전 고리부재 108에 의해 프레임에 연결된 강직한 고리 106으로 구성된다. 회전고리 부재 108은 일단부에 지탱부 110을 가지고 있어 고리 106이 제7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8도에 도시된 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회동하도록 고리 106의 일부 112를 수용한다. 회전고리부재의 반대단부에는 직립하는 머리가 형성된 스터드 114가 옷걸이 C에 다른 옷걸이 D를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전고리 부재 108은 핀 116에 의해 의류 지지프레임 104에 추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회전고리부재를 고리 106의 부분 112의 지탱부 110을 제공하도록 구부러진 금속판일 수 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의류 지지 프레임 104는 상부 중앙부 120의 각 측부로 부터 측방하향적으로 갈라져 있는 1조의 아암(arm) 118을 가지고 있다. 횡봉 122는 갈라져 있는 아암 118의 양 하단부 상이에 연장하여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프레임 104는 요구되는 강직도를 제공하도록 적당한 합성수지 주형물을 주조하여 만들어진다. 상부 중앙부 120은 피못트 핀 116에 의해 그에 추축적으로 연결된 회전고리부 제108을 가지고 있다. 옷걸이 C가 의류가방내에 있을때 고리 106은 제8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게된다. 의류가방이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퍼진 상태에 있을때 그리고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 프레임의 주위내로부터 제2도 제3도 및 제7도의 위치로 외측으로 고리 106이 이동되는 것이 요구될때 고리는 핀 116주위에서 회전되고 회존고리부재 108의 지탱부 110 주위에서 추축된다.
옷걸이 C는 의류가방 A에 사용될 수 있고, 옷걸이가 가방의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류가방의 개구 20에 대하여 긴 아암 118에 의해 의지된다. 다수의 옷걸이가 사용될 수도 있고, 그들중 하나가 의류 가방에 춰부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옷걸이를 의류가방에 춰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피봇트 핀 116을 패널 12를 통해 연장하는 길이로 만들어질 수 있고, 그 핀의 단부는 제3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124에서 머리가 형성되어 있다. 그 연결은 패널 12에 128에서 리벳트 결합된 지역에서 보강재 126을 배치하여 보강될 수 있다.
제2옷걸이 D를 수요하도록 하기위해서, 스터드 114에의 제2 옷걸이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한 부재가 제공되어 있다. 제7도에서, 옷걸이 D역시 상부 중앙부 134의 각 측부로부터 축방하향적으로 갈라져 있는 1조의 아암 132를 가지고 있다. 횡봉 136은 갈라져 있는 아암 132의 양 하단부 사이에 연장하여 있다 그 옷걸이 또한 그 부재에 적당한 강직성의 지지성을 부여하돌고 적당한 합성수지를 주조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중앙부 134는 그의 머리뒤 스터드 114위에 얹히는 칫수를 가진 슬로트 138를 가지고 있다. 142에서 중앙부 134에 추축적으로 연결된 고리부재 140은 스터드 114가 고리부재의 슬로트 144에 수용되도록 회전되며, 그결과 고리부재의 일부 146이 옷걸이 C에 옷걸이 D가 매달리도록 스터드 위에 배치된다.
7도-제9도에 도시되고 상술한 바와같은 옷걸이가 바람직하나, 미국특허제3870 206호에 기술된 구조를 갖는 다른 옷걸이 또는 다수의 옷걸이가 본 발명의 조립체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잇점들이 운반 케이스 즉, 손가방의 외주와 최소한 거의 동일한길이를 갖는 의류가방을 사용하여 실현될수 있으나, 의류가방이 손가방의 외주보다 큰 길이를 가져서 손가방과 조립된 관계에 있는 의류가방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의류가방의 양 단부가 중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후술하는 바와같은 칫수를 갖는 의류가방 및 손가방은 본 발명의 모든 잇점 및 증진된 결과를 제공한다.
의류가방 : 길이 41인치, 폭 21인치
손가방 : 길이 20인치, 기부폭 7인치, 상 품 5인치, 높이 11인치, 외주 33인치,
상기 칫수와 의류가방네 신사복과의 칫수관계를 갖는 의류가방-손가방 조립체는 비행기 좌석아래 놓여질수 있다. 비행기 좌석아래 공간은폭 13인치, 길이 23인치, 높이 9인치이다. 의류가방은 여러가지 여성드레스를 수용할 수 있다. 한벌 이상의 의복이 의류가방에 있을 때, 손가방으로부터 의류가방의 분리하고 좌석아래 손가방을 두고 의류가방을 걸어두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의류가방-손가방 조립체를 비행기로 운반할 수 있는 많은 잇점이 있고, 상륙시, 그들 가방의 제조립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예시 및 기술되었지만, 청구범위에 기술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개조 및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

Claims (1)

  1. 의류가방-손가방 조립체에 있어서, 의류가방(A)이 연부에서 서로 연결된 가요성 물질의 제1 및 제2패널(10, 12)로 구성되고, 봉합무재(22)가 설치된 종측연장 개구부(20)를 가지며 손가방(B)이 의류 가방의 폭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의류가방의 길이보다 그의 외부가 크지않으며, 손가방 연결부재(70)가 손가방의 벽에 취부되어 있고, 의류가방 연결부재(26)가 의류가방과 손가방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해 상기 제1패널(10)에 취부되어 있으며, 종측으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는 협동가능한 연결부재(34, 38)가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해 상기 제2패널(12)에 취부되어 있으며, 의류가방-손가방 조립체를 운반할수 있게하는 부재(54)가 양 가방중 하나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KR1019790000197A 1979-01-24 1979-01-24 조립식 가방 KR830000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197A KR830000791B1 (ko) 1979-01-24 1979-01-24 조립식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197A KR830000791B1 (ko) 1979-01-24 1979-01-24 조립식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791B1 true KR830000791B1 (ko) 1983-04-15

Family

ID=1921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0197A KR830000791B1 (ko) 1979-01-24 1979-01-24 조립식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79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0282A (en) Luggage
US4887700A (en) Luggage to carry suits/dresses
US4854431A (en) Suitcase with compartment for a foldable garment bag
US6109402A (en) Soft sided luggage with separable pouches
KR890005258B1 (ko) 의류백과 팩킹케이스가 결합된 여행가방
US5054589A (en) Luggage with movable partition
US4925021A (en) Three-section suitcase
US4887751A (en) Traveler's organizer bag luggage
US4598803A (en) Convenient and compact carry-on, garment bag luggage assembly
US5407112A (en) Convertible backpack
US3958675A (en) Garment carrier
US4206835A (en) Luggage
US4817791A (en) Combination suitcase-garment bag
US4436189A (en) Multi-purpose traveling bag
US4236657A (en) Backpack
US3933229A (en) Multi-functional foldable suitcase
US3613843A (en) Center folded travel bag
US4976352A (en) Camera bag
KR910700012A (ko) 착탈식 보조가방과 바퀴를 갖춘 휴대용 의류가방
US4736839A (en) Garment bag
US4613039A (en) Drop bottom garment bag
US3139165A (en) Multi-purpose container for clothing
US5103975A (en) Luggage with shoulder strap assembly and shoulder strap storage pocket
JPH06296513A (ja) スーツケース
US4593812A (en) Necktie travel c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