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684B1 - 관구용 금속구 핀의 용접방법 - Google Patents

관구용 금속구 핀의 용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684B1
KR830000684B1 KR1019790003310A KR790003310A KR830000684B1 KR 830000684 B1 KR830000684 B1 KR 830000684B1 KR 1019790003310 A KR1019790003310 A KR 1019790003310A KR 790003310 A KR790003310 A KR 790003310A KR 830000684 B1 KR830000684 B1 KR 830000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ball
ball pin
welding
colla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마쓰바라
나오미찌 구마가이
Original Assignee
이께사와 시계루
닛뽄덴끼 시루바니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께사와 시계루, 닛뽄덴끼 시루바니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께사와 시계루
Priority to KR1019790003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구용 금속구 핀의 용접방법
제1도는 종래의 금속구핀의 측단면도
제2도 내지 제3도는 용접불량상태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금속구의 중요부분 측단면도
제5도는 본발명에 관한 금속구 핀의 측단면도
제6도는 금속구 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제7도는 용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본 발명은 관구용 금속구 핀, 주로 형광램프용 금속구 핀의 용접방법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램프에서 도출된 리이드선은 형광램프용 금속구에 있어서의 금속구 핀에 삽입한 다음에 선단부분에 아아크 용접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특히 금속구 핀에 있어서의 선단부분의 형상은 양호한 용접마무리 형태를 얻는 점에서 극히 중요하므로 여러가지의 형상의 금속구 핀이 제안되고 있다.
제 1도에 표시하는 금속구 핀(A)은 가장 널리 채용되고 있는 것이며, 그 선단부에는 원추형상부(B)가 형성되어 있고, 그 경사각도(∂)는 30°-60°로 설정되어 있다.
이 금속구 핀(A)을 사용한 경우, 용접조건이 가장 양호한 상태로 보전되어 있으면 양호한 용접마무리 형태를 얻을수가 있으나, 아아크 방전의 발생이 주위조건등에 영향되어서 불안정하므로 용접조건을 항상 일정하게 보전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따라서 금속구 핀(A)과 형광램프에서 도출된 리이드선(C)을 아아크 용접할때에 그 용접조건이 가장 양호한 상태에서 변위하였을 경우에는 예컨대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구핀(A)의 선단부분에 방사상 내지 국부적으로 확대되는 체류된 부분(D)이 형성되거나, 혹은 제 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구 핀(A)의 선단부분에 구멍(E)이 형성되든가 하는 불량부분이 많이 발생한다.
특히 전자의 불량부분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금속구 핀(A)의 원추형 상부(B)가 필요이상으로 용융되는 것에 의하여 그 돌출부의 길이(L)가 짧게 되거나 소켓에 대한 접촉성이 저하되고, 체류된부분(D)에 의하여 소켓의 구멍에 삽입하기 곤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취급할때에 체류된 부분(D)에 의하여 손가락에 부상을 입는등의 문제가 있다.
또 후자의 경우에는 용접할때의 용융재(材)가 불충분하게 되어 구멍(E)이 형성되는 것인바 이 구멍(E)에 의하여 금속구 핀(A)과 리이드선(C)과의 접속강도가 저하되고, 취급할때의 근소한 외부의 힘에 의하여 양자의 용접부가 떨어지거나 혹은 금속구 핀(A)의 용접 불충분에 기인하여 그 돌출부와 길이(L)가 길게되기 때문에 소켓사이에 가설장치할때의 선단부분이 소켓의 단자판에 의하여 강하게 압압되는 관계로서 용접부가 떨어지거나 형광램프를 점등할 수 없게 되어 점등상태가 불안정하게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에 비추어 용접조건에 그다지 좌우되는 일없이 양호한 마무리 상태를 얻을 수가 있는 관구용 금속구 핀의 용접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에 있어서, (1)은 금속부재로서 바닥을 보유하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금속구 본체이며, 그 밑바닥부에는 2개의 요부(凹部) (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요부(2)의 바깥쪽에는 원형상의 절연판(3)이, 안쪽에는 구형상(矩形狀)의 절연판(4)이 각각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요부(2), 절연판(3)(4)의 각각 그 구멍에는 금속구 핀(5)가 삽입되어 있으며, 그 내단(內端)을 대략 십자형상으로 밀어서 확개(擴開)하는 것에 의하여 틈사이를 메꾸어 고정되어 있다.
이 금속구 핀(5)은 제 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원통형상의 본체부(6)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바깥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팽출부(7)가, 선단부분에는 원추형상부(8)를 게재하여 두꺼운 칼라부(collar)(9)가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칼라부(9)에는 리이드선 삽통용의 작은 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6)의 두께(tl)와 칼라부(9)의 두께(t2)는 t1
Figure kpo00001
t2의 관계로, 원추형상부(8)의 각도(θ)는 45°-120°로, 칼라부(9)의 길이(ι)는 0.2-0.6mm에 각각 설정되어 있다.
이 금속구 핀(5)은 예컨대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작된다.
먼저 제6도(a) 표시하는 바와같이, 금속판재를 교가공(絞加工)에 의하여 원통형상으로 구성하고, 본체부(6)를 형성함과 아울러 본체부(6)의 선단부에 작은구멍(10)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 6도(b)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본체부(6)의 선단부분의 지름을 줄여서 가공하여 원추형상부(8) 및 칼라부(9)를 형성한다.
이 원추형상부(8)의 각도 θ는 45-120°바람직하게는 60°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게6도(c) 표시하는 바와같이, 본체부(6)의 외주부를 금형에 의하여 강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본체부(6) 및 작은구멍(10)에 금속심(芯)(M)을 삽입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압압체(p)로서 본체부(6)를 강하게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팽출부(7)를 형성함과 아울러 칼라부(9)를 압축하여 두께를 두껍게 한다.
또한 이때 칼라부(9)는 그 두께가 본체부(6)의 두께보다 두껍고, 또한 길이가 0.2-0.6mm로 되도록 배려되어 있다.
다음에 이 금속구 핀과 리이드선과의 용접방법에 대하여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7도(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구 본체(1)이 틈을 메꾸어서 고정된 금속구 핀(5)에 형광램프에서 도출된 리이드선(11)을 삽입함과 아울러 작은구멍(10)에서 돌출하는 리이드선(11)을 칼라부(9)의 하단과 대략 동일한 면으로 되도록 절단한다.
그리고 금속구 핀(5)과 접하여 용접전극(Q1) 및 칼라부(9)의 단면측에 용접전극(Q2)를 배치한다.
다음에 제7도(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구 핀(5) 및 용접전극(Q2)의 주변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함과 동시에 용접용 전압을 인가하면 금속구 핀(5)의 칼라부(9)와 용접전극(Q2)과의 사이에는 아아크 방전이 생기게 된다.
이 아아크에 의하여 칼라부(9) 및 리이드선(11)의 선단부분은 용융하여 둥근모양을 띄우면서 용착되어 용접을 완료한다.
이와같이 금속구 핀(5)에 있어서의 칼라부(9)는 그 두께가 본체부(6)보다 두껍고 또한 돌출된 길이가 0.2-0.6mm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아아크 용접할때의 조건이 다소 변동하여도 칼라부(9)만이 용융되는 관계로서 항상 양호한 마무리 형태를 얻을수가 있다.
특히 칼라부(9)의 두께(t2)는 본체부(6)의 두께(tl)의 120-150%정도가 바람직하며, 예컨대 t1이 0.3mm의 경우, t2를 0.4mm로 하는 것에 의하여 양호한 마무리 형태를 얻을수가 있다.
그러나 칼라부(9)의 두께(t2)가 본체부(6)의 두께(tl)보다 적게되거나 그것의 길이(l)가 0.2mm미만으로 되거나하면 아아크 방전할때에 칼라부(9)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게되어 용융부가 원추형상부(8)에 까지 미치도록 되기 때문에 마무리 형태가 나쁘게 될 뿐만 아니라 금속구 핀의 돌출된 길이(L)도 짧게 된다.
또 용융용적이 줄어서 구멍틈새의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용접불량이라고 하는 큰 결함을 일으키게 된다.
또 칼라부(9)의 길이(l)가 0.6mm를 초과하면 아아크 방전할때의 용융이 칼라부 전체에 걸쳐서 일어나고, 용융용적이 크게되어 체류된부분(burr)이 많이 발생한다.
또는 각도(θ)는 45°미만이 되면 칼라부(9)의 형성이 곤란하게 되며 또 120°를 초과하면 리이드선(11)의 삽입성이 나쁘게 된다.
이점에서 본발명자등은 황동으로 이루어지며, 본체부의 외경을 24mm
Figure kpo00002
두께(tl)을 0.3mm, 경사각도(θ)를 60°, 칼라부의 두께(t2)를 0.4mm, 칼라부의 길이(ι)를 0.4mm로 한 금속구핀을 사용하여 리이드선과의 용접상태를 검토하였든바 아래표에 표시한 결과가 얻어졌다.
Figure kpo00003
위표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방법에서는 용접조건에 다소의 변동이 있어도 체류된 부분이나 구멍 틈새등의 불량 발생률을 0.1%정도로 감소 시킬수가 있었다.
이것에 의하여 용접 마무리 형태도 제7도(b)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양호하며 또한 균일화 될수 있었다.
또 소켓에의 장착성도 현저하게 감소할수 있으며 취급에 의한 부상도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등 상기한 실시예에만 제약되는 일없이 예컨대 금속구 핀은 교가공에 의한 핀이외에 말아감은 핀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금속구핀의 금속구 본체에의 고정구조는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리이드선은 금속구 핀에 용접함에 앞서서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여 놓는 것외에 아아크용접과 동시에 절단시키는 것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에 의하면 용접조건에 그다지 좌우되는 일없이 양호한 마무리 상태를 얻을수가 있다.

Claims (1)

  1. 원통형상의 본체부(6)의 선단부분에 경사각도(θ)가 45°-120°의 원추형상부를 개재하여 칼라부(9)를 형성함과 아울러 칼라부의 두께(t2)를 본체부보다 두껍게하고, 또한 그 길이(ι)를 0.2-0.6mm로 설정한 금속구 핀(5)에 리이드선(11)을 삽입하여 아아크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구용 금속구 핀의 용접방법.
KR1019790003310A 1979-09-25 1979-09-25 관구용 금속구 핀의 용접방법 KR830000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310A KR830000684B1 (ko) 1979-09-25 1979-09-25 관구용 금속구 핀의 용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310A KR830000684B1 (ko) 1979-09-25 1979-09-25 관구용 금속구 핀의 용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84B1 true KR830000684B1 (ko) 1983-03-28

Family

ID=1921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310A KR830000684B1 (ko) 1979-09-25 1979-09-25 관구용 금속구 핀의 용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68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3005B2 (ja) スパークプラグの製造方法
US4646053A (en) Electric fuse having welded fusible elements
US2438075A (en) Contact pi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0744783B1 (en) Device for producing battery electrod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30061185A (ko) 스파크 플러그 및 그 제조방법
KR830000684B1 (ko) 관구용 금속구 핀의 용접방법
GB1213922A (en) Terminals for welding connection
US4849670A (en) Electric lamp having a pinch supported in a sleeve-shared cap
US6554670B1 (en) Method for capping lamps
CN107453208B (zh) 火花塞
EP1727179B1 (en) Method for producing lamps
KR20220006173A (ko) 멀티탭의 단자 접속 구조
JP2530992B2 (ja) ピン端子とリ―ド線との接続方法
JP2611998B2 (ja) 口金ピンとリード線の接続方法
US11862943B2 (en) Spark plug
US4720695A (en) Cartridge fuse construction and assembly
US12095236B2 (en) Spark plug electrode and spark plug having the spark plug electrode, and production method for the spark plug electrode
US20180351332A1 (en) Spark plug
JP3774241B2 (ja) 電子部品用セラミック体の製造方法
KR20000049293A (ko) 마그네트론용 음극부 및 그것을 사용한 마그네트론장치
JPH08162000A (ja) ヒュー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343159A (ja) スパークプラグの放電電極の製作方法
US6917152B2 (en) 2nd anode button for cathode ray tube
JPS59226442A (ja) 管球用口金ピンとリ−ド線との接続方法
JPH07300602A (ja) 粉末冶金用金型のコアロ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790925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2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30224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3061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3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3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6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61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8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03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3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3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