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605Y1 - 태양열 온수 보일러 - Google Patents

태양열 온수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605Y1
KR830000605Y1 KR2019810005800U KR810005800U KR830000605Y1 KR 830000605 Y1 KR830000605 Y1 KR 830000605Y1 KR 2019810005800 U KR2019810005800 U KR 2019810005800U KR 810005800 U KR810005800 U KR 810005800U KR 830000605 Y1 KR830000605 Y1 KR 830000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hot water
fa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5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국찬
Original Assignee
안국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국찬 filed Critical 안국찬
Priority to KR2019810005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6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605Y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태양열 온수 보일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중 수조통의 절개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작용상태를 나타낸 전체단면도.
본 고안은 태양열 온수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다수개의 칸막이를 격설하여, 이 칸막이에 유통공을 직재그로 천공하여서된 집열함과 수조통을 연결하여 태양열로 수조통의 물을 가열하도록 하여서된 종래의 것에 있어서, 배수관이 삽설되고, 필요시 작동하게되는 히타를 내장한 수조통 내부 상하방에 파형 사각관을 횡설하여 하부파형사각관은 집열함과 연설하고, 상부파형사각관에는 팬을 설치하여서된 구조에 대한 것으로, 이는 집열함의 가열공기를 별도의 환풍팬으로 하부파형사각관에 유통시켜 수조통내의 물을 가열하게하고 상부파형사각관으로는 외부공기를 유통시켜 가열된 온수의 온도로 유통되는 공기온도를 높여 실내에 공급되게 함과 배수관에 의하여 수조통내의 가장 뜨거운물만 따로 뽑아낼 수 있게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종래에는 태양열을 받는 집열함에 직접물을 순환시켜 난방의 효과를 얻게 하였기 때문에 특히 겨울철에는 차거운 물에 의하여 집열함의 집열온도가 높아질 수 없어 고온도의 집열을 기대하기 어렵고 또한 가열된 온수로만 난방하기에는 미흡한점이 있어 비싼 설치비용에 반하여 효과적인 난방의 효력을 얻을 수 없으며, 겨울철 햇볕을 받지 못한 야간에 파이프내의 물이 얼어 동파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그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면이 투명유리(1)로 덮개가 된 집열함(2)을 그라스울과 같은 재질의 단열재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칸막이(2')를 격설하되 유입구(3)와 배출구(4)사이에 열기가 직재그로 환기되게 하기 위하여 유통공(5)(5')을 각 칸막이(2')마다 직재그로 개설하여 집열함(2)과 수조통(6)을 연결사용하게된 것에 있어서, 수조통(6)내부 상하방에 폭이좁은 직사각형 모양의 상하부파형사각관(7)(7')을 횡설하여 상부파형사각관(7)의 양단에 흡입관(8)과 배기관(9)을 연결하여 배기관(9)에 팬(10)을 부설하고, 하부파형 사각관(7')의 양단에 부착된 단관(11)(11')과 집열함(2)의유입구(3)와 배출구(4)를 호오스(12)(12')로 연설하여 호오스(12) 중간에 팬(10a)을 설치하였으며, 수조통(6)일측 하방에연결된 입수관(13)의 끝에 부자밸브(14)을 설치하고, 배수관(15)의 상단(16)은 수조통(6)내부상방에, 하단(17)은 수조통(6)내부 하방에위치되게 만곡 부착하여 배수관(15)의 단부에 콕(18)을 연결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와 같이 수조통(6)에 물이 가득히 담겨진 상태에서 팬(10a)을 가동시키면 바닥에 카본칠이 도포된 집열함(2)에서 가열된 공기가 유입구(3)와 배출구(4)을 통하여 하부파형사각관(7')에 유통하게되는 것이며, 이때 집열함(2)의 집열온도는 일조일이 양호할 때에는 약 55°-65°정도이며 하부파형사각관(7')에 유통되어 수조통(6)의 물에 의하여 집열의 온도가 저온열로되면서 집열함(2)의 유입구(3)로 유입되어 유통공(5)(5')에 따라 직재그로 이동되면서 집열함(2)에서 55°-65°의 열기로 변하여 배출구(4)와 팬(10a) 및 호오스(12)를 거쳐 재차 하부파형사각관(7')에 유입되어 수조통(6)내의 물을 계속적으로 가열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데워진 수조통(6)내의 온수 온도는 약 40°정도가 되고, 팬(10)을 가동시키면 외부 공기가 흡입관(8)으로 유입되어 상부파형사각관(7)을 통과하는 동안 더운물의 온도로 더운 공기고 변하여 배기관(9)으로 배기하게되고, 콕(18)을 연면 대류현상으로 제일 뜨거운 부분의 수조통(6)내부 상방의 물이 배수하게 되고 이때 배수하는 동안 부자밸브(14)의 자동조절로 입수관(13)으로 부터 항상 물이 공급되어 수조통(6)내에 물을 보충하도록 된 것이며, 일조일이 좋지않아 집열함(2)의 작용이 잘안되어 집열온도가 낮거나 매운 추운날에 실내온도를 높일때에는 수조통(6)내에 히타를 설치하여 필요할 때에만 히타를 가동시켜 수조통(6)내의 온수온도를 높여 상부파형 사각관(7)에서 배기되는 열풍의 온도를 높여 실내온도를 높이게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집열함(2)의 열공기를 공급받는 하부파형사각관(7')을 폭이좁게 하여 파형으로 굴설하였기 때문에 수조통(6)내의 물이 하부파형사각관(7')표면에 닿는 면적이 파이프 보다는 넓어 물을 짧은 시간내에 데우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 더운물을 이용한 상부파형사각관(7)의 팬(10)을 기동시켜 실내에 더운공기를 공급하여 난방의 효과를 얻게되어 종래 온수로만 난방한 것 보다는 그 성능이 월등하고 집열 공기를 유통시켜 수조(6)내의 물을 데우게 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많은량의 물을 데우고 배수관(15)의 상단(16)이 수조통(6)내부 상방에 위치되게 만곡 설치하였기 때문에 대류현상에 의한가장 뜨거운물을 뽑아 이용할 수 있게된 장점이 있고, 집열함(2)의 구조가 종래것과 같이 파이프 코일에 물을 공급하게된 것보다 그 구조가 간편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대형화 하여도 가격이 저렴하게 제작하게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내부에 칸막이(2')를 막아 유통공(5)(5')이 직재그로 연통되도록 한 통상의 집열함(2)과 수조통(6)을 연결하여서된 것에 있어서, 폭이 좁은 직사각형 모양의 상하부 파형사각관(7)(7')을 수조통(6)내부 상하방에 횡설하여 상부 파형사각관(7)의 배기관(9)측에 팬(10)을 설치하고, 하부파형 사각관(7')의 단관(11)(11')과 집열함(2)의 유입구(3)와 배출구(4)를 호오스(12)(12')로 연결하여 호오스(12)중간에 팬(10a)을 설치하여서된 태양열 온수 보일러.
KR2019810005800U 1981-08-19 1981-08-19 태양열 온수 보일러 KR830000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5800U KR830000605Y1 (ko) 1981-08-19 1981-08-19 태양열 온수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5800U KR830000605Y1 (ko) 1981-08-19 1981-08-19 태양열 온수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05Y1 true KR830000605Y1 (ko) 1983-04-20

Family

ID=1922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5800U KR830000605Y1 (ko) 1981-08-19 1981-08-19 태양열 온수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6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831B1 (ko) * 2007-07-11 2008-04-21 김용옥 전기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831B1 (ko) * 2007-07-11 2008-04-21 김용옥 전기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7109A (en) Solar collector -- heat exchanger
US3236294A (en) Basementless solar home
US4281639A (en) Solar heating system
US4271826A (en) Device for collecting solar energy
US4936110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withdrawing heat from a space which is exposed to a natural heat influence
CA1147224A (en) Solar heated building and roof
JPS6146089B2 (ko)
US4307708A (en) Solar heated building
KR830000605Y1 (ko) 태양열 온수 보일러
US4257399A (en) Hydro-solar system for heating and cooling
EP0054549A1 (en) SOLAR HEATING SYSTEM FOR BUILDINGS.
EP0013669A1 (en) Heating device
KR790001612Y1 (ko) 실내공기 난방장치
KR100298550B1 (ko) 축열용량의조절및온도성층화촉진을위한모듈라방식의태양열온수기축열조
RU2082922C1 (ru) Солнечный коллектор-аккумулятор
JP7358705B2 (ja) 太陽熱利用システムの設置構造
JPS6341525B2 (ko)
JPH0218439Y2 (ko)
EP0118028B1 (en) Solar heat accumulating greenhouses
KR960003119Y1 (ko) 태양열 및 전기 겸용 온수보일러
JPS5811547B2 (ja) 自然循環型太陽熱温水器
JPS6349646Y2 (ko)
SU1260646A1 (ru) Солнечны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RU2082921C1 (ru) Солнечный коллектор-аккумулятор
JPH0351450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