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577Y1 - 의료용 자석 요부벨트 - Google Patents

의료용 자석 요부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577Y1
KR830000577Y1 KR2019820006657U KR820006657U KR830000577Y1 KR 830000577 Y1 KR830000577 Y1 KR 830000577Y1 KR 2019820006657 U KR2019820006657 U KR 2019820006657U KR 820006657 U KR820006657 U KR 820006657U KR 830000577 Y1 KR830000577 Y1 KR 830000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agnet
sheet
capsul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6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아끼 스미야스
Original Assignee
도교덴기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소노 후꾸지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교덴기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소노 후꾸지로우 filed Critical 도교덴기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6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5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5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의료용 자석 요부벨트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석벨트를 인체에 착용한 사용상태도.
제2(a)도, 제2(b)도, 제2(c)도, 제2(d)도 및 제2(e)도는 각각 본 고안에 의한 벨트 본체의 구조도.
제3(a)도, 제3(b)도 및 제3(c)도는 각각 본 고안에 의한 신축 자재한 시이트의 실시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신축 자재한 시이트의 또 다른 실시 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석캡슐의 구조도.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자석캡슐의 구조도.
제7(a)도, 제7(b)도 및 제7(c)도는 자석시이트에 자석캡슐을 결합한 실시 예시도.
본 고안은 의료용 자석 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의 요부에 자속을 이용하는 자석 요부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자속을 이용함으로써 어깨 부분의 통증이나 경화증, 또는 인체의 등 하위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켜 건강을 증진하고,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는데 유효하다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나, 이러한 효과에 대한 이론적인 분석은 아직도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 있다.
특히, 어깨 부분의 경화증 치료에 자석목거리가 유효하다는 것은 기지의 사실이다.
인체의 등 하위 부분의 통증에 대해서는 일본국 지지(Jichi)의학 학교의 정형외과 및 회복실 센터에서 발간한 "자석 요부벨트의 사용에 의한 등 하위 부위 통증의 처리"라는 보고가 있었다.
이 보고서에서 50명의 환자중 31명이 그 등 하위 부분의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즉, 자석 요부벨트의 사용으로 환자의 60%가 효과를 나타냈다는 것을 말하여 주고 있다.
자석 여부벨트를 착용할때 이와 같은 효과가 약 1주일내에 환자로부터 나타냈다.
이에 또, 환자가 등 하위부에 온기를 느끼는 것은 물론 약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종래의 자석 요부벨트는 천으로 된 탄력성 벨트 본체와 이 벨트 본체에서 이탈할 수 없게 재봉한 여러개의 고형상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 벨트는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갖고 있다.
(가) 종래의 벨트는 인체에 극히 불균일한 압력을 가하여 작용에 불편하였다.
이것은 인체의 요부 상하 부위의 구조가 크게 다르다는데 그 원인이 있다.
요부의 구조적인 차이로 인하여 실로 혼직한 일반 고무제품 벨트의 어느 부분에서는 인체에 적합하게 부착되지 못하였다.
이에 또, 종래의 벨트는 벨트의 총 면적에 균일한 탄성을 주지 못하여 요부의 각 부위에는 균일하게 부착할 수 없게 되어 결과적으로 자속이 적당하게 이동되지 못하였고 또 불편하였다.
(나) 자속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자석의 대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자석은 벨트 본체에 넣고 재봉되어 있어 대치할 수 없게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자석 요부 벨트로는 자석을 대치할 수가 없었다. 또한, 종래의 자석으로는 영구자석의 수나 인체 노출부위를 조절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개량한 신규의 자석 요부벨트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자석 요부벨트의 결점 및 제한 요인을 극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다른 목적은 자속의 균일한 사용과 안정감을 제공하여 벨트의 본체가 인체에 안정성 있게 부착되는 자석 요부벨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또,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벨트에 부착한 영구자석의 수를 용이하게 대치할 수 있고 영구자석이 부착된 위치로 조절 가능하게 하는 자석 요부벨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의 목적은 벨트 중앙부에 포켓과 벨트의 양단에 환상결착부를 가진 신축하는 탄성벨트, 이 포켓에 삽입되는 다수의 플앤지공을 가진 신축 자재한 시이트, 이 시이트의 구멍의 플랜지와 계합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한 여러개의 자석캡슐, 원판상의 영구자석을 가진 자석캡슐 및 자석을 커어버하는 신축 자재한 플라스틱제 캡슐로 구성되어 있는 자석요부벨트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영구자석은 사마륨(samarium)과 코발트의 합금으로 직경 약 15mm, 두께 약 2mm 정도일 때가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a)도 및 제1(b)도는 인체에 착용한 자석 요부벨트(10)을 나타낸 것으로 이 도면에서와 같이, 자석벨트(10)가 인체의 요부에 부착되어 벨트단부(12)가 인체의 요부 앞면부(1)에서 단부(12)가 맞물려 벨크로(Velcro)가 고정된다.
인체의 배면부(2)에서는 자석 시이트(14)에 부착되어 이탈 가능하게 한 다수개의 고형 영구자석(16)이 벨트 본체에 부착되어 이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자석의 자속을 등 하부나 등 요부의 부위에 이용될 수 있게 한다.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 5개의 영구자석(16)이 이용되며, 이들 자석은 서로 대칭되게 척추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자석벨트는 탄력성 섬유직으로 된 벨트 본체, 벨트 본체의 포켓에 삽입하여 이동 가능하게 한 자석 시이트 및 시이트에 착탈 자재하게 한 영구자석을 구성하고 있어 각각 이들의 특징을 도면에 따라 상술한다.
제2(a)도 내지 제2(e)도에서 벨트 본체(18)를 도시한 것으로 제2(a)도는 벨트의 정면도, 제2(b)도는 벨트의 배면도, 제2(c)도는 벨트의 평면도, 제2(d)도는 벨트의 좌측면도 및 제2(e)도는 벨트의 우측면도이다.
벨트 본체(18)는 다수개의 신축 자재한 탄성벨트 본체(18a)(18b)(18c)(18d)(18e)(18f) 및 (18g)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이들은 두께가 엷은 경사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벨트 부재의 너비는 균일하지 않으나 벨트의 측방향 위치에 따라 변화된다.
벨트 부재의 너비는 도면에서와 같이 벨트 본체(18c)(18d)(18e)의 중심부에서 크며 벨트의 주변부(18a)(18b)(18f)(18g)에서 작다.
벨트 본체(18)의 양극 단부에 결착부가 양 당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결착부는 단추, 스냅(snap)이난 벨크로 결착구가 될 수 있다.
제2(a)도 내지 제2(e)도의 실시예는 벨크로 파스너를 나타내며 여기서, 벨크로(20)는 벨트 본체의 양단부에 구성되어 있어 인체의 요부 부위에 벨트가 적당하게 부착되게 한다.
벨트(18)의 중심부에는 커어버 된 천(21)으로 커어버된 포켓이 구비되어 있어 커어버 천(21)의 상단선(21b)이 벨트 본체(18)에 재봉되어 있으나 그 측단선(21c)와 (21d)은 벨트 본체에 재봉되어 있지 않고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여러개의 영구자석(16)을 가진 자석 시이트(14)를 개구부를 통해 벨트 본체와 커어버된 천으로 구성된 포켓에 삽탈할 수가 있다.
각각 벨트 부재(18a) 내지 (18g)는 고무제 실로 혼성되어 수평방향의 탄성을 분배하거나 탄력성 있는 실이어야 한다.
또, 교호적으로 섬유구조 그 자체가 탄력성을 긴 천에 분배하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위사를 뽑아내서 적당하게 설계할 때, 즉 각 벨트 부재(18a) 내지 (18g)의 너비를 적당하게 설계할 때 벨트 본체의 탄성 계수는 달라지게 된다.
제2(a)도 및 제2(b)도에서와 같이 벨트부재의 너비는 벨트 중심부에서 크고 그 상하 단부에서 작다.
따라서, 벨트를 잡아당길 때 중심부에는 주면부보다 덜 잡아당겨 진다. 그러므로, 벨트 본체는 요부 부위의 각 부분에 안정성 있게 부착되는데 적합하고 착용에 안정감을 주는 요부 부위의 각 부분에 균일하게 밀착된다.
영구자석을 벨트의 중심부에 적당하게 분포시킬 때 요부 부위의 각 부분에 영구자석을 또 밀착시켜 이용할 수 있고 자속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2(a)도 내지 제2(e)도에서와 같이 제2(a)도의 표면은 인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내측면이고, 제2(b)도의 표면은 외측면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벨트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규정지을 수 있다.
포켓의 길이(d1) d1=20cm, 벨크로부(19)의 길이 (d2) d2=15cm, 벨트의 너비(d3) d3=7cm이면 벨트 전장은 인체의 크기에 따라 설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석시이트(14)의 구조를 제3(a)도, 제3(b)도 및 제3(c)도, 제4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3(a)도, 제3(b)도 및 제3(c)도는 본고안에 의한 시이트의 일실시예예로서 제3(a)도는 평면도, 제3(b)도는 수직단면도, 제3(c)도는 횡단면도이다.
시이트(14)는 다수개의 원형공(32)(34)(36)(38) 및 (40)을 가진 신축 자재한 플라스틱판(30)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이트는 한 예로서 ABS 플라스틱제로 되어 있다.
이 시이트(14)는 벨트 본체에 시이트를 고정하는 결착구(42)(44)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결착구(42) 및 (44)는 예컨데 벨트로 파스너, 단추 또는 스냅이다. 원형공(32) 내지 (40)은 자석 캡슐을 수납하여 이 목적으로 각각의 구멍은 원형성 플랜지(32a) 내지 (40a)를 구성하고 있다. 자석캡슐은 그 플랜지와 계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자석캡슐을 구멍내에 장치하여 이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시이트의 크기 d4내지 d10는 다음과 같다.
수평방향으로 2개의 인접구멍 사이의 길이(d4) d4=6cm, 구멍 사이의 수직길이(d5) d5=3cm, 구멍 중심과 시이트 단부 사이의 길이 (d6) d6=1.5cm, 자석 캡슐의 너비(d7) d7=0.4cm, 구멍의 외경(d8) d8=19.3mm, 구멍의 내경 (d9) d9=17.3cm, 시이트의 너비(d10) d10=6cm이다.
제4도는 자석시이트(14)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며, 여기서 6개의 구멍(45a) 내지 (45f)는 자석캡슐을 수용하여 이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벨크로 파스너(46a) 및 (46b)가 벨트 본체에 시이트를 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다음으로, 자석캡슐의 구조를 제5도에 따라 상술하여, 제6(a)도 및 제6(b)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석캡슐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원판상의 영구자석(50) 및 한쌍의 신축 가능한 원형칩(chip) (52A) 및 (52B)가 구성되어 있다.
이들 칩의 직경은 자석(50)의 직경보다 다소 커서 조립한 자석 캡슐이 시이트 구멍에 고정된다.
이들 칩은 예로서 연질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지며 하부 칩(52A)은 평편하고 상부 칩(52B)은 광학렌즈와 같은 칩의 중앙에 두터운 부분을 갖고 있다.
상부 칩(52B)의 곡면이 인체와 접촉되고, 이들 집(50)은 자석에 결합된다.
제6(a)도는 자석 캡슐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며 제6(b)도는 자석 캡슐의 조립체 도면이다.
제6(a)도 및 제6(b)도의 자석 캡슐은 영구자석(50),, 자석 차폐판(60), 코오팅부(62), 자석(50)을 차폐판(60) 및 코오팅부(62)로 포위한 실린더(56) 및 한쌍의 칩(54) 및 (58)로 구성되어 있다.
이 차폐판(60)은 자석 벨트의 외측으로 자속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차폐판(60)은 철과 같은 철자성 물질로 제조된다.
코오팅부(62)는 자석에 장식하는 것으로 황색이다. 물론, 코오팅부(62)는 적절한 장식치로 대치할 수 있다.
상부 칩(58)면은 도면에서와 같이 굴곡되어 있고, 상 하부 칩(58)(54) 및 원통 튜우브는 연질 폴리에틸렌과 같은 신축 자재한 플라스틱제이다.
제6(a)도 및 제6(b)도에서 자석 캡슐을 조립할 때에는 자석 캡슐의 중심부에 원통상 튜유브를 가진 평면칩(54)을 우선 준비한 다음 자석 차폐원판(60)과 코오팅부(62)를 가진 영구자석(50)을 위 원통상 튜우브에 삽입한다.
그 다음, 상부 칩(58)을 초음파 결합으로 튜우브(56)의 상단부에 부착하며, 여기서 초음파 에너지로 상부 칩(58)과 튜우브(56)의 상단부 사이에서 열을 발생시켜 이와 같이 용융된 가열부로 상부 칩(58)이 튜우브(56)과 열 결합된다. 물론, 곡면칩(58)은 인체에 접촉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자석 캡슐의 각 부분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칩(54)(58)의 직경 (d8) d8=19.3mm이고, 제3(c)도의 d8과 같다.
원통 튜우브(56)의 외경(d9) d9=17.3mm이고 제3(c)도의 d9와 같다.
튜우브(56)의 내경(d11)은 영구자석(50)의 직경과 같으며, 15mm이다.
영구자석(50)의 두께(d12)는 2mm이고 캡슐 그 자체의 두께(d7)는 4mm이며 제3(c)도의 d7과 같다.
영구자석(50)은 축방향으로 자화되며 자석의 구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즉, 인체와 대면하고 있는 자석의 상부면은 N극이나 S극으로 할 수 있고, 자석에 의한 자속의 강도는 자석의 표면에 약 1200가우스 정도가 된다.
그러나, 자석 차폐판(60)이 존재하므로 하부 칩(54)의 자속의 강도는 약 400~500가우스까지 저하된다.
예컨데, 본 고안에 의한 자석 벨트의 영구자석은 사마륨과 코발트의 합금으로 사마륨 36중량%와 코발트 64중량%로 구성되어 있다.
이 SmCo 자석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원료를 혼합하여 분말화한 다음 자속을 가진 대기압에서 소요의 형상으로 성형한다.
그 다음 성형을 약 1150℃에서 한 시간 알콘가스 압으로 소결한다.
그 다음 단계적으로 온도를 조절하여 생성물을 냉각하는 단계적 냉각처리를 한 시간 한다.
성형물이 완전히 냉각된 다음 자화처리를 하여 SmCo의 영구자석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고 위에서 언급한 크기(직경 15cm, 두께 2mm)를 가진 영구자석의 중량은 약 14.8g이다.
제7(a)도, 제7(b)도 및 제7도는 시이트(c)에 시이트에 자석캡슐을 삽입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7(a)도는 자석 캡슐의 하단부가 시이트(14)와 같이 평편하여 자석 캡슐의 상단부가 시이트에서 굴록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제7(b)도는 자석 캡슐의 상하 양단부가 시이트로부터 굴곡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7(c)도는 자석 캡슐의 상하 양단부가 시이트와 같이 평면으로 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실제 사용상에 있어서, 인체와 접촉하고 있는 표면이 굴곡되어 자석이 어느 압력으로 인체를 부착하는데 적합하도록 한 고안도 있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제7(a)도 및 제7(b)도의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반면에, 자석벨트가 천일때 평면 배치는 굵은 선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a)도 내지 제7(c)도의 자석 캡슐은 시이트와 캡슐이 모두 신축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시이트에서 이탈할 수 있다.
이탈 가능한 자석 캡슐은 본 고안의 중요한 특징이며, 자석 캡슐을 교환함으로써 인체에 사용하는 자속의 강도를 소용의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자석 시이트가 벨트 본체의 포켓내에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자속을 사용하는 부분을 조절할 수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석 요부벨트는 인체의 구조에 따라 자석의 위치와 자석의 수를 조절할 수도 있고, 또 자석의 강도 역시 조절할 수 있도록 안정성 있게 작용하는데 적합하다.
따라서,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얻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량한 신규의 자석 요부벨트를 고안해낸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물론, 본 고안의 실시예는 하나의 예시이며 본 고안의 한계를 극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에 나타낸 명세서에서 청구범위에 따라 여러가지의 변형으로 할 수 있다.

Claims (1)

  1. 벨트의 중심부에 포켓과 벨트의 양단에 결착부를 형성한 여러개의 탄성벨트 부재로 구성된 자기 요부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18)의 중심부가 폭이 넓고, 주변부에서 좁아지게 축방향으로 신축율이 서로 다른 탄성벨트(18a)~(18g)와, 위 포켓내에 플랜지(32a)~(40a)를 삽입할 수 있는 복수개의 구멍(32)~(40)이 형성된 가요성 재료로 된 시이트(14)와, 위 시이트(14)의 구멍(32)~(40)에 착탈 자재하게 플랜지(32a)~(40a)와 결합되게 구성된 영구자석(16)을 연질 폴리에틸렌으로 피복된 캡슐을 형성하고 이 캡슐이 영구 자석(16)의 외측면에서 자석 차폐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자석 요부벨트.
KR2019820006657U 1982-08-23 1982-08-23 의료용 자석 요부벨트 KR830000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6657U KR830000577Y1 (ko) 1982-08-23 1982-08-23 의료용 자석 요부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6657U KR830000577Y1 (ko) 1982-08-23 1982-08-23 의료용 자석 요부벨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239 Division 1979-04-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77Y1 true KR830000577Y1 (ko) 1983-04-20

Family

ID=1922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6657U KR830000577Y1 (ko) 1982-08-23 1982-08-23 의료용 자석 요부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5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0596A (en) Magnetic elastic lumbar belt
FI63172B (fi) Magnetisk laendgoerdel foer medicinska aendamaol
US5707333A (en) Method for reducing sensation in a human body part using magnetism
US3565073A (en) Method and means for attaching a body appendage
US5234420A (en) Collection chamber support device
US6007501A (en) Therapeutic massaging apparatus
US3598114A (en) Adjustable rib belt
US20080051621A1 (en) Magnetic Device
DK241685D0 (da) Klaedning til positionering af laegeinstrumenter omkring en menneske- eller dyrekrop
CA2103117A1 (en) Garment with tactile position indicators
US20020104151A1 (en) Magnetic therapy belt
US6484322B2 (en) Therapeutic magnet support
KR830000577Y1 (ko) 의료용 자석 요부벨트
US4272848A (en) Moisture-relieving garment
CN106377386B (zh) 一种针对中风下肢垂足内外翻的矫正助力器
CN215960556U (zh) 一种便携式可拼接理疗袋
KR20190002470U (ko) 자기 밴드
KR200304379Y1 (ko) 다기능 재킷
WO1997015252A1 (en) Retaining belt for medical appliances
CN214909029U (zh) 一种医用加热装置
CN219230314U (zh) 透气可调节胸部固定器
CN220385255U (zh) 腹股沟疝气带
KR200271169Y1 (ko) 밴드형 써포터
CN210843790U (zh) 一种眼罩
KR200248731Y1 (ko) 여성용 파운데이션 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