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479B1 - 연료용 왕겨 탄화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용 왕겨 탄화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479B1
KR830000479B1 KR1019800001036A KR800001036A KR830000479B1 KR 830000479 B1 KR830000479 B1 KR 830000479B1 KR 1019800001036 A KR1019800001036 A KR 1019800001036A KR 800001036 A KR800001036 A KR 800001036A KR 830000479 B1 KR830000479 B1 KR 830000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haff
rice husk
supply
dist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선
Original Assignee
정훈연료 주식회사
박재빈
정봉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훈연료 주식회사, 박재빈, 정봉선 filed Critical 정훈연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00001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료용 왕겨 탄화분 제조장치
도면은 본 발명의 제조장치의 개략도.
본 발명은 밀폐된 탄화로내에서 왕겨를 건류시켜서 왕겨 탄화분을 제조하여 연료용으로 편리하게 사용가능하도록 가공하는 왕겨 탄화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왕겨 탄화분 제조장치로서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15559호 "왕겨 탄화장치"가 있었으나, 이 장치는 건류로의 구조가 연소실(3)과 버너(6)의 연소실(3) 하부에 마련된 왕겨 공급구의 하부에 팬(4)이 장치되어 팬(4)의 풍압에 의하여 왕겨를 공급하도록 되어있으며, 팬(4)의 흡입측에는 왕겨 공급통이 마련되어 있으나 왕겨 공급통에서 공기가 충분히 들어가지 못함으로서 팬(4)에 의한 왕겨 공급작업이 원할하지 못하며, 또한 충분한 공기량을 부여하여 왕겨를 주입할 경우, 건류로의 연소실(3)내에 이른 공기량의 과다현상이 생기므로서 왕겨가 건류되는 것보다 오히려 완전 연소되는 양이 더 많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실수율이 매우 불량한 현상이 생기게 된다. 즉 공급시의 공기가 건류로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장치가 되어있지 않으며, 또한 건류로 내의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아무런 장치도 마련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효과적인 건류를 진행할 수가 없게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장치의 결점을 제거하므로서, 거의 완전하게 건류되는 양호한 연료용 왕겨탄화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류로는 이를 밀폐하여 공기를 차단하고 외부로부터 열을 가하여 초목동식물류에 있어서 수분이 완전 제거되어 탄화되는 것을 말하며, 산소의 공급에 의해 연소현상이 생기지 못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외부열에만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면 연료비가 고가가 되어 오히려 총생산이 연료비에 미치지 못하는 현상이 생기게 되므로서 전혀 실용적 가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량의 왕겨가 연소되도록 장치하므로서, 자체 연소에 의하여 건류에 필요한 열을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외부에서 공급하는 유류와 같은 연료는 "파이롯드 파이어"로서 극히 소량만이 소요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건류실내는 외기와 완전 밀폐되며, 필요한 산소공급은 산소공급 파이프에 의하여 완전 제어되도록 하므로서 왕겨의 연소에 의한 건류에 필요한 열의 발생량을 조절하도록 장치하였으며, 건류로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산소가 소실되었음으로 불연 가스화한 가스임)가 재순환 되어 건류로내로 유입하므로서 열의 손실을 최대한으로 방지하도록 구성하므로서 기름과 같은 외부 연료 소비가 매우 적은 우수한 연료용 왕겨 탄화분 제조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에어펌프(일종의 팬)(2)의 가동에 의하여 흡입구를 통하여 원료 왕겨(1)가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와 더불어 흡입되어 도관(3)을 통해서 공급통용 싸이크론(4)내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싸이크론 원리에 의하여 왕겨들은 아래로 사뿐히 내려 쌓이며, 공기는 싸이크론 오버헤드튜브(4')를 통해서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공급된 왕겨는 자중에 의하여 공급통(5)내에 쌓이게 된다.
공급통 바닥에는 통과 분리되어 놓여 있으며, 그 아래에 스프링(8)이 부착된 바닥판(7)이 장치되어 있으며, 이 바닥판(7)에 바로 인접된 상부에는 건류로(11)와 연동되는 공급통로(9)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공급통로내에는 샤프트를 가진 바켓트(10)가 왕복운동 하도록 캄장치(또는 크랭크 장치)(6)와 연동되어 공급장치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공급통(5)과 공급통용 싸이크론(4)과 캄장치(6) 및 바켓트(10) 등으로 구성되는 공급시스템을 마련하는 이유는 에어펌프(2)에 의하여 원활하게 연속적으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과다한 공기와 혼송) 건류로(11)내로는 미소량의 공기 이외에는 전혀 들어갈 수 없도록 공기를 차단하는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또한 스프링(8)과 바닥판(7)을 장치하므로서, 캄장치(또는 크랭크장치)(6)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바닥판(7)이 진동운동 할 수 있게 하므로서 바켓트(10)에 의한 공급작업을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왕겨는 건류로(11)내에 공급된다.
건류로는 2중벽으로 되어 있으며, 양금속판 벽사이에 단열재가 충전되어 구성되어 있어 건류로 내의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건류로의 하부에는 공급통로(9)의 하부에 인접하여 금망 또는 다수의 소공이 천공된 철판으로 구성되는 가열판(16)이 고착되어 있으며 가열판 하부에는 파이롯드 연소실(15)이 구성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오일 파이프(13)를 통해 파이롯드 버너(15')에 오일이 공급되어 가열판(16)을 가열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파이롯드 연소실의 하부에는 순환 파이프(24)와 공기 공급 파이프(14)가 연결되어 있어서 공기 공급 파이프에서 공급되는 산소에 의하여 파이롯드 버너의 연료가 연소됨과 동시에 건류로(11)내에 공급된 왕겨의 일부를 자체 연소시키므로서 왕겨의 건류에 필요로 하는 열을 얻도록 장치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되어 있지 않은 감시창을 통해 건류상태를 수시로 감시하면서 공기 조정밸브(14')를 조정할 수 있어 실수율이 좋은 건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파이롯드 버너는 발열목적도 있지만 근본적인 목적은 건류를 위한 왕겨의 자체 연소를 돕는 보조적 역할이 보다 중요하다. 즉 이와같이 유류의 열량 단가는 왕겨의 열량 단가에 비하여 월등하게 고가이므로 가급적 최소한의 연료소비를 가능케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순환 파이프(24)에는 재순환 송풍기(25)가 설치되어 있어 건류를 완료하고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는 화살표 방향으로 재순환시켜서 건류로(11)내의 파이롯드 연소실(15)을 경유하여 가열판(16)의 적은 구멍을 통해서 순환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순환되는 고온의 폐가스는 산소 함량이 거의 없을 것이므로 건류 왕겨의 연소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않는다.
건류된 탄화물은 송풍기(25)에 의한 순환 폐가스의 송풍력에 의하여 건류로(11)의 상부로 상승하여 싸이크론(17)내에 유입하며 이 싸이크론(17)내에서 싸이크론의 원리에 의하여 탄화물이 하부에 집적되어 수집탱크(21)내에 수집되며, 폐가스는 오버 헤드튜브(18)를 통해 다시 싸이크론(17)에 의해 2차 또는 표시가 없으나 3차로 같은 원리에 의해 수집된다. 또한 오버헤드튜브(18)를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중 일부분은 배출기(26)의 작용에 의하여 공해처리기(재처리)(28)를 거쳐서 굴뚝(27)를 통해서 대기에 배출되고 대부분의 고온 폐가스는 순환용 송풍기(25)의 작용에 의하여 다시 건류로내에 순환되므로서 폐열은 다시 건류에 활용하게 된다.
이때 수집탱크(21)의 상부 싸이크론(17)의 바로 아래에는 냉수 분사장치(20)가 마련되어 있어 수집된 탄화물을 냉각시키도록 되어있으며, 수집탱크(21)의 배출구 하부에는 감속기가 부착된 스크류식 이송장치(22)에 의해 냉각된 탄화물이 소정의 장소에 저장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연료용 왕겨 탄화물 제조장치를 사용하므로서 별도 공급하는 연료를 최소화하고 자체 발생열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건류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경제적이며 높은 실수율을 가진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장입장치와 건류장치와 수집장치와 배기장치로 구성되는 연료 왕겨 탄화분 제조장치에 있어서, 건류실내에 산소공급이 통제되도록 구성되는 건류실 출구파이프, 싸이크론(17), 사이크론 오버헤드튜브(18), 재순환 송풍기를 가진 재순환 파이프(24)로 구성되는 폐기 가스 재순환 회로와 공기도관(14), 조정밸브(14')로 구성되는 산소보충장치를 가지므로서 건류용 왕겨의 연소를 억제하도록 구성케함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 탄화분 조제장치.
KR1019800001036A 1980-03-13 1980-03-13 연료용 왕겨 탄화분 제조장치 KR830000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036A KR830000479B1 (ko) 1980-03-13 1980-03-13 연료용 왕겨 탄화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036A KR830000479B1 (ko) 1980-03-13 1980-03-13 연료용 왕겨 탄화분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79B1 true KR830000479B1 (ko) 1983-03-10

Family

ID=19215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036A KR830000479B1 (ko) 1980-03-13 1980-03-13 연료용 왕겨 탄화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355A1 (ko) * 2015-06-15 2016-12-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의 반탄화 및 이물질 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355A1 (ko) * 2015-06-15 2016-12-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의 반탄화 및 이물질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0857B1 (ko) 순환 유동층 반응기 및 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5001993A (en) Stove for burning bio-mass pellets and grain
US4541572A (en) Pulverizing, drying and transporting system for injecting a pulverized fuel into a blast furnace
KR830000479B1 (ko) 연료용 왕겨 탄화분 제조장치
CN206514308U (zh) 垃圾焚烧炉
CN102679371A (zh) 一种污泥干化焚烧装置及其方法
CN202501481U (zh) 生活垃圾焚烧炉
SU932999A3 (ru) Печь дл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кускового или мелкозерн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CN207146448U (zh) 节能减排智能炉
CN1138676A (zh) 一种垃圾燃烧炉及燃烧方法
CN107388285A (zh) 节能减排智能炉
JPH07198111A (ja) 循環流動層ボイラにおけるコンバスタ内温度制御方式
AT407082B (de) Feuerungsvorrichtung für biomasse, insbesondere holzpellets
US2567058A (en) Apparatus for sequentially degassing and combusting solid fuel having a low sintering temperature
JPH01203801A (ja) 垂直伝熱管を有した流動床ボイラおよび該ボイラを用いた流動床温水ボイラ
CN217442242U (zh) 一种基于窑炉工业粉料生产用挥发份处理设备系统
CN106838861B (zh) 一种煤的燃烧工艺及其燃烧炉
CN204535080U (zh) 一种节能减排加热炉
JP2001235133A (ja) 有機系廃棄物の縦型自燃式炭化炉の操業方法
CN206280937U (zh) 一种生物颗粒蒸汽发生器
CN107676972A (zh) 一种生物质燃料热风设备
CN112984781B (zh) 有温控功能的环保型生物质燃烧装置的操作方法及其装置
CN218119758U (zh) 湿污泥处理装备
CN202613456U (zh) 一种污泥干化焚烧装置
JPS62190380A (ja) 穀粒乾燥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