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427B1 - 전자 악기의 순간 선곡 기억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악기의 순간 선곡 기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427B1
KR830000427B1 KR1019790002371A KR790002371A KR830000427B1 KR 830000427 B1 KR830000427 B1 KR 830000427B1 KR 1019790002371 A KR1019790002371 A KR 1019790002371A KR 790002371 A KR790002371 A KR 790002371A KR 830000427 B1 KR830000427 B1 KR 830000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stored
counter
output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2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병인
엄기범
Original Assignee
최형규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규,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형규
Priority to KR1019790002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악기의 순간 선곡 기억장치
제1도는 본 장치의 입력장치의 외관을 예로 나타낸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 시스템의 블록 다이아 그램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다이아 그램이다.
제4도는 본 발명 장치의 기억소자에 음악이 기억된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전자악기로 연주되는 음악의 음정, 장단, 강약 및 음색 등의 요소를 따로 분리하여 디지탈 부호화한 후 이를 메모리에 기억시킴에 있어서, 메모리의 기억내용은 제4도와 같이 "악음이 시작되는 번지가 기억되어진(Address of Block)부분", "악음이 실제로 기억되어진 부분(Block)", "악음 연주 종료신호(Eop) 부분"으로 구분 기억시키고, 악음의 재생시에는 먼저 "악음이 시작되는 번지가 기억되어진 부분"을 읽어내고, 이 번지에 의하여 악음이 실제로 기억되어진 번지를 찾아서 재생시키며 악음의 연주가 종료되면 악음 연주 종료신호(End of play ; Eop)에 의하여 연주 음악이 자동적으로 멈추어지게 함으로써 기억된 음악순위와 관계없이 기억된 곡을 선곡즉시 재생가능토록 하는 메모리 기억내용을 만들어 이를
그 구성과 동작원리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음 부호기(6)의 입력은 건반 스위치(5)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으며, 클락입력(CK)은 나누기 4 디바이더(33)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다. 화음부호기(6)의 출력은 버퍼메모리(10)의 입력(I0-I5) 및 크기비교기(11)에 연결되며, CKB 및 데이타 처리(Data Valid)는 낸드게이트(7)를 통하여 계수기(12)의 클락입력(CK)에 연결되며, 데이타 처리는 디코더(50)의 출력(5)과 낸드게이트(29)로 조합하여 버퍼메모리(10)의
Figure kpo00001
입력에 연결된다.
강약부호기(9)의 입력은 가변저항기(8)에 접속되어 있으며, 출력은 버퍼메모리(10)의 입력(I6-I8)에 연결되어 있다. 음색부호기(14)에는 음색선택스위치(13)가 연결되어 있고 출력은 버퍼메모리(10)의 입력(I9)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단자에는 계수기(12)의 출력이 연결되어 있다.
버퍼메모리(10)의 출력(D0-D9)은 데이타 선택기(18)의 입력으로 연결되며, 출력(D11-D16)은 게이트(16), 덧셈기(15)를 통하여 버퍼메모리(10)의 입력(I12)에 연결되어 싸이클을 형성한다. 또 출력(D12-D16)은 장단부호 변환기(17)를 통하여 데이타 선택기(18)에 연결되어지며, 버퍼메모리(10)의 제어단자에는 계수기(12)의 출력이 연결된다. 게이트(16)의 제어단자에는 크기 비교기(11)의 출력(
Figure kpo00002
)이 연결되어
데이타 선택기(18)의 제어단자는 래치(20)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ENB 단자와 래치(20)의 스트로브(ST) 단자 및 계수기(23)의 클락입력(CK) 단자는 S-R래치(27)의
Figure kpo00003
단자 및 스톱스위치(26)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톱스위치(26)의 한쪽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래치(20)의 입력 및 데이타 선택기(21)의 입력은 각각 계수기(22)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타 선택기(21)의 또 하나의 입력은 계수기(23)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다
계수기(22) 및 계수기(23)의 클리어(CL) 입력에는 INIT(24) 신호가 연결되어 있으며, INIT(24)신호는 이니샬라이즈(Initialize) 신호이다.
계수기(22)의 클락입력(CK)에는 S-R래치의 출력(Q)와 앤드게이트(32)의 출력이 앤드 게이트(28)로 결합되어 연결되어 있고, 낸드게이트(30)의 입력에는 앤드 게이트(32)의 출력 및 디코더(50)의 출력(1)이 연결되어 있다. 앤드 게이트(32)의 입력에는 Data-Valid 및 크기 비교기(11)의 출력(
Figure kpo00004
)이 인버터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디코더(50)의 입력에는 MCK 및 나누기 4디바이더(33)의 출력이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입력장치의 외관상 일례를 보인 것으로 전자 악기의 건반(53)은 음악을 연주하기 위한 것이며, 역할은 일반 전자악기에서 연주하는 건반과 같으며, 스타트 스위치(52)는 연주를 시작하기 바로 직전에 누르고, 이 스위치(52)를 누른 순간부터 연주하는 음악이 디지탈 기억소자로된 주메모리(19)에 기억되게 된다. 스톱 스위치(54)는 연주가 끝난 직후에 눌러주어 연주가 끝났음을 알려주는 Eop 신호를 만들고, 이 Eop 신호가 주메모리(19)의 연주 음악이 기억된 다음 번지에 기억되게 한다.
다음에 연속해서 다른 음악의 연주를 기억시키고 싶을 때는 다시 스타트스위치(53)를 누르고 연주를 시작하면 된다. 음색 선택스위치(51)는 여러개의 멜로디에 각각 다른 악기를 지정하여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도에 보인 것은 특별히 8개의 음정으로 구성된 화음에 4종류의 악기를 지정하여 연주할 수 있도록 했을 때의 스위치 배열의 예이며 이하 8개의 음정으로 구성된 화음 및 4개의 음색을 갖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다. 제1도에 보인바와 같이 각 멜로디 별로 선택 스위치가 달려 있으며, 각 스위치(51)는 희망하는 음색으로 전환할 수 있는 슬라이드 구조로 되어 있다.
제2도는 본 발명 장치의 블록 다이아 그램이다.
건반 스위치(5)는 화음 부호화기(6)에 연결되어 건반을 누르는 동작이 그 누른 건반에 해당하는 음정의 다지탈 부호로 변환된다. 강약 부호기(9)에 달려있는 가변 저항(8)은 전자악기의 강약 페달에 연동 동작되어 강약신호를 신호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주며, 강약 부호기(9)는 이 전압을 디지탈부호로 변환하여 준다. 따라서 이 강
음색 선택스위치(13)는 제1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음색을 각 멜로디별로 지정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이 출력은 음색 부호기(14)의 입력으로 들어가서 디지탈 부호화된 음색신호의 출력으로 나타나게 된다.
마스터클락(MCK)은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하여 나누기 4계수기(33)와 디코더(34)에 의해 더욱 세분화된 타이밍을 얻고, 기본 클락으로는 마스터 클락을 4로 나눈 것을 사용한다. 즉 이 기본 클락으로서 건반 스위치(5)중 어느 것을 눌렀는가를 주사(Scanning) 방식에 의해 찾아내서, 부호화된 화음을 버퍼메모리(10)로 내어 보내게한다. 버퍼메모리(10)는 8개 깊이의 메모리로써 한개의 워드(WORD)에는 화음부호기(8)로부터 나온 음정, 강약 부호기(9)에서 나온 강약, 음색변환기(14)에서 나온 음색 및 연주되는 음표의 종류에 따라 계산된 음의 장단 신호등이 모두 복합되어 있으며, 버퍼메모리(10)는 8개의 워드가 기억되므로 동시에 8가지 화음의 순차적 일시기억이 가능하다.
계수기(12)의 출력에 의해 이 버퍼메모리(10)의 어드레스가 정해지며, 버퍼메모리(10)에 입력 신호를 기억시킬 때는
Figure kpo00005
가 "0"으로 되고, 기억된 신호를 출력단자로 내보낼 때는
Figure kpo00006
신호가 "1"로 된다.
화음 부호기(6)에서는 연속적으로 연주하는 건반(5)를 주사하여 부호화된 화음으로 만들어 주며, 이 기간에 데이타 처리신호를 "1"로 만들어준다. 따라서 데이타 처리신호가 "1"인 동안 버퍼메모리(10)에 기억된 음정과 새로 들어온 음정을 비교하면서 ""
화음부호기(6)에서 데이타 처리단자가 "1"인 동안 CKB는 8개의 펄스로 되며, 이 CKB는 계수기(12)를 계수하여 주어 음색부호기(14)를 제어하는 한편 버퍼메모리(10)의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주게한다.
이 CKB 1개의 펄스의 기간 동안을 나누기 4계수기(33)와 디코더(34)를 사용하여 다시 8개의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여 디코더(34)출력을 만들어 주며, 버퍼메모리(10)의 출력은 크기 비교기(11)에 의해 비교된 결과가 같은 음정일 경우 게이트(16)을 열고 덧셈기(15)에 의해 장단신호에 1음 더하여 다시 버퍼메모리(11)에 기억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크기 비교기(11)에 의하여 비교된 결과가 다를때까지 반복되며, 이때 게이트(16)를 닫아줌으로써 계산 완료된 장단신호는 장단부호 변환기(17)로 보내어지고, 다른 해당음정이 버퍼메모리(10)로 들어오게 된다.
장단 부호변환기(17)에 입력된 장단신호는 미리 설정한 장단부호로 변하여져서 데이타 선택기(18)로 보내어진다.
데이타 선택기(18)의 입력에는 음의 고저, 장단, 강약, 음색 등의 부호화한 신호가 인가되어 있으며, 선택 입력(SEL)이 "0"이면 같은 타이밍의 WEB가 "0"이 되고 계수기(22)가 번지를 정하여주어 버퍼메모리(10) 및 장단부호 변환기(17)의 내용을 주메모리(19)에 기억되게 한다.
한편 그림 4에서 볼 수 있듯이 주메모리(19)에는 맨처음의 n-1개는 각각의 음악이 시작하는 번지를 기억하며, n개째부터는 악음이 기억되게 되는데, 한개의 연주가 끝난 다음에는 Eop 신호가 기억되게 되며, 여러개의 악음을 기억시킬 경우 이러한 기억 동작이 반복되게 된다.
제4도와 같은 순서로 주메모리(19)에 악음을 기억시키기 위하여 처음에 전원스위치를 켜면 INIT(24) 신호에 의하여 계수기(23)은 "0"으로 리세트되고, 계수기(22)는 n번지로 리세트되도록 하여준다.
다음 스타트 스위치(25)를 누르면 데이타 선택기(18)(21)는 각각 래치(20)와 계수기(23)의 내용을 선택하여 주메모리(19)의 "0" 번지에 첫번째 곡이 시작하는 주소 n을 기억시킨다. 스타트 스위치(25)를 떼면 S-R래치(27) 및 게이트(28)에 의하여 계수기(22)에 클락이 연결되어 지고, SEL 단자는 "0"이 되어 계수기(22)의 출력을 주메모리(19)의 어드레스에 입력시키며 버퍼메모리(10)의 출력 및 장단부호변환기(17)의 출력을 주메모리(19)의 입력에 인가하여 연주음악이 주메모리(19)의 n번지로부터 차례로 기억토록한다.
음악 연주가 끝난 직후 스톱스위치(26)를 누르면 S-R래치(27)가 리세트되고 게이트(28)가 닫혀서 클락이 계수기(22)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여, 이 순간 데이타 선택기(18)의 ENB단자에 "0"이 인가되어 주메모리(19)에는 Eop신호가 기억되게 된다.
이 스톱신호에 의해 계수기(23)의 클락 입력에 한 개의 펄스가 들어가므로 계수기(23)는 다음 블록(즉 지금의 경우는 블록 2)의 번지를 기억하게 되어 다음 연주 음악의 기억을 준비하게 된다. 또한 래치(20)의 입력도 스톱신호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0"
제3도는 제2도의 블록다이아 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다이아 그램이다.
MCK는 기본 발진기에서 나오는 마스터 클락으로 이것을 나누기 4분주(33)하여 CKB를 얻는다.
Figure kpo00007
신호는 화음부호화기(6)의 출력단자에 나타나는 신호로써 이 신호가 "0"인 동안 모든 데이타 출력은 옳은 것이 되며 이 신호가 "0"인 동안 CKB는 8주기가 되게 된다.
Ckl은 계수기(12)를 계수하여 버퍼메모리(10)의 번지를 정하여 주는 것으로,
Figure kpo00008
"0"인 동안과 같은 주파수 클락이 180
Figure kpo00009
위상차이로 나타나는 클락으로 다음(가) 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10
즉 이것은 CKB와 데이타 처리신호를 낸드게이트(7)로 결합한 것이다.
Figure kpo00011
신호는 크기비교기(11)의 출력으로 이 신호가 "0"이면 먼저 연주되던 음정이 끝난 것을 의미하며 "1"이면 앞의 연주되던 음정이 계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kpo00012
는 디코더(50)의 출력(5)과 데이타 처리신호를 낸드 게이트(29)로 결합한 것으로 버퍼 메모리(10)의 기억 조절신호 역할을 하며, "0"일 때 데이타 입력이 버퍼메모리(10)에 기억되며 "1"일 때 기억된 내용이 출력에 나타난다.
Figure kpo00013
는 주메모리(19)의 기억조절 신호로서 디코더(50)의 출력(1)과 앤드 게이트(32)의 출력을 낸드 게이트(30)로 결합한 것이며, "0"일 때 주메모리(19)의 데이""""
Figure kpo00014
출력이 "0"이면 한개의 펄스가 나와야하며 이것을 논리적으로 표시하면 식 (나)와 같다.
Figure kpo00015
또한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출력에 무관하게
Figure kpo00018
가 "0"인 동안
Figure kpo00019
의 위치 이후에 Ckl 클락 한주기에 한개의 펄스씩 나와야 한다.
이를 논리식으로 표시하면 식 (다)와 같다.
Figure kpo00020
Ck2는 주메모리(19)의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계수기(22)의 입력클락으로서 S-R래치(27)의 출력(Q)과 앤드게이트(32)의 출력을 앤드게이트(28)로 결합한 것이며,
Figure kpo00021
펄스 발생이후에 "1"에서 "0"으로의 전이가 있어야 하고, 이것을 논리식으로 표시하면 식(라)와 같다.
Figure kpo00022
제4도는 본 발명 장치의 기억소자에 음악이 기억된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0-n-1번지까지는 악음이 기억되는 "번지"를 기억시키며, n번지부터는 악음이 기억되며, 악음이 끝난 다음 번지에는 악음이 끝남을 알려주는 Eop 신호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예로써 "0"번지에 기억되어 있는 "0"의 내용은 "n"이 되며, "1"번지에 기억되어 있는 "1"의 내용은 "n+x"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 악기에서 연주되는 다수의 음악을 메모""""""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같이 전원 스위치를 켤때 검출한 이니샬라이즈(Initialize)(24) 신호로 "악음이 기억되어지는 번지(Address of Block)부분"의 번지를 정하여 주는 계수기(23)를 "0"으로 리세트(Re-Set)하고, "악음이 기억되어지는 부분(Block)"의 번지를 정하여 주는 계수기(22)는 "n"으로 리세트하여주는 악음 기억장치에 있어서, 계수기(23)의 출력은 데이타 선택기(21)를 통하여 주메모리(19)의 어드레스(Address)에 인가되고, 계수기(22)의 출력은 래치(20) 및 데이타 선택기(18)를 통하여 주메모리(19)이 입력에 인가되어 계수기(23)가 지정한 번지에 악음이 기억되어지는 처음 번지(Address of Block)로 되어 기억되고, 계수기(22)는 데이타 선택기(21)를 통하여 주메모리(19)의 악음이 기억되는 처음 번지(Address of Block)를 지정하고 데이타 선택기(18)를 통하여 주메모리(19)에 인가되어 부호화된 악음이 순차적으로 기억되게하며, 스톱스위치(26)을 통하여 순간적으로 데이타 선택기(18)의 ENB단자를 제어하여 데이타 선택기(18)의 출력을 "0"으로 하고 주메모리(19)에 기억시켜서 Eop(end of play) 신호를 만들어 주어 기억소자의 기억 내용을 악음이 기억되어지는 번지(Address of Block) 부분과 악음이 기억되어진 (Block) 부분 및 악음 연주 종료신호(end of play)부분으로 구분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의 순간선곡 기억장치.
KR1019790002371A 1979-07-16 1979-07-16 전자 악기의 순간 선곡 기억장치 KR830000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2371A KR830000427B1 (ko) 1979-07-16 1979-07-16 전자 악기의 순간 선곡 기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2371A KR830000427B1 (ko) 1979-07-16 1979-07-16 전자 악기의 순간 선곡 기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27B1 true KR830000427B1 (ko) 1983-03-08

Family

ID=1921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2371A KR830000427B1 (ko) 1979-07-16 1979-07-16 전자 악기의 순간 선곡 기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42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7294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transient musical effects
US3929051A (en) Multiplex harmony generator
US4022098A (en) Keyboard switch detect and assignor
US4539884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of waveshape memory type with expression control
US5094136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plural different tone generators employing different tone generation techniques
GB2050669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080862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octave slide effect
US4114497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a coupler effect
US3760088A (en) Automatic rhythm playing apparatus
US4026180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267762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automatic arpeggio performance device
US3875842A (en) Multiplexing system for selection of notes in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134321A (en) Demultiplexing audio waveshape generator
JPH0693189B2 (ja) 電子楽器
US4166405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H0230033B2 (ko)
US4186637A (en) Tone generating system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3954038A (en) Electrical musical instrument with automatic sequential tone generation
KR830000427B1 (ko) 전자 악기의 순간 선곡 기억장치
US5239123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103581A (en) Constant speed portamento
JPS6031189A (ja) 楽音発生装置
US4240318A (en) Portamento and glide tone generator having multimode clock circuit
US4205580A (en) Ensemble effect in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611323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22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