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326Y1 -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 - Google Patents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326Y1
KR830000326Y1 KR2019830000166U KR830000166U KR830000326Y1 KR 830000326 Y1 KR830000326 Y1 KR 830000326Y1 KR 2019830000166 U KR2019830000166 U KR 2019830000166U KR 830000166 U KR830000166 U KR 830000166U KR 830000326 Y1 KR830000326 Y1 KR 830000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or
lever
electromagnet
support
magnetic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0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도시 사사끼
Original Assignee
후지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시시도 후꾸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시시도 후꾸시게 filed Critical 후지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30000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3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
제1도는 종래의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의 개략을 표시한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다른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의 개략을 표시한 요부 종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관한 기계유지기구의 비유지시 및 유지시의 상태를 각각 표시한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요부사시도.
본 고안은 케이스에 고착된고 정접촉자와 케이스내를 상하동할 수 있는 연동레버와 이 연동레버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 이탈 가능한 가동접촉자 및 연동레버를 개재해서 가동접촉자를 동작시키는 투입전자석을 구비해서 된 전자접촉기 본체에, 상기 투입전자석의 여자에 의해 닫혀지게 동작한 가동접촉자의 유지를, 연동봉을 억게하므로서 행하는 기계유지기구가 부설되어서 이루어진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접촉기에는 그 닫혀진 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소위 기계유지기구가 부설되는 일이 많다. 이러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는, 기계유지기구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전체가 대형화되지 않을 것, 그 중에도 그 높이가 너무 높아지지 않을 것 및 기계유지기구의 전자 접촉기 본체에 부착이 용이하다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는 반드시 이러한 요망에 보답하는 것은 아니었다.
종래의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로서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중간케이스(1)의 상면에는 고정접촉자(2) 및 (3)가 고착되어 있다. 이들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가동접촉자(4)는 화살표 A,B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하동이 가능하게 배설된 연동레버(5)에 지지되어 있다. 연동레버(5)의 상부는 고정철심(6b)과 가동철심(6a)을 가진 투입전자석(6)의 가동철심(6a)에 연결되고, 하단은 지지레버(7)의 대략 중앙부에 핀(7a)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지지레버(7)는 하부케이스(9)에 지지되어 있는 축(7b)에 일단부가 회동자재케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7c)는 대략 90°구부러지게 해서 후술하는 석방전자석의 클릭부와 결합하는 걸쇠로 되어있다. 연동레버(5)는 개구스프링(6c)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압압되고, 통상시는 가동접촉자(4)가 고정접촉자(2),(3)에서 떨어져 있다. 레버(7)의 타단부(7c)에는 하부케이스(9)에 장착된 석방전자석(8)의 폴런저(8a)의 일단에 착설된 클릭부(8a1)가 대향되어 있다. 석방전자석(8)은 가동접촉자(4)가 닫혀졌을 때 석방전자석(8)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힘에 의해 플런저(8a)가 화살표 E방향으로 진출해서 클릭부(8a1)가 걸쇠(타단부 7c)에 걸려 개국을 방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폐로동작은 투입전자석(6)의 여자에 의해 그 고정철심(6b)에 가동철심(6a)이 흡인되어, 이것에 연결된 연동레버(5)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동접촉자(4)가 고정접촉자(2),(3)에 접한다. 한편, 연동레버(5)에 핀으로 결합되어 있는 지지레버(7)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하여 쇄선으로 표시된 상태에 이른다. 지지레버(7)가 회동하면 플런저(8a)가 석방전자석(8)에 내장된 스프링의 힘에 의해 화살표 E 방향으로 진출하고, 그 클릭부(8a1)가 레버(7)의 타단부(7c)에 걸려서 가동접촉자(4)의 폐로를 유지한다. 그리고 통상시는 절전을 위해서 투입전자석(6)은 소자된다. 개국 동작시에 있어서는 석방전자석(8)의 여자에 의해 플런저(8a)가 석방전자석(8)에 내장된 스프링의 힘을 이겨내는 흡인력에 의해 화살표 F방향으로 되돌려지고, 클릭부(8a1)는 지지레버(7)의 타단부(7c)의 제지를 푼다. 연동레버(5)는 상기 개국스프링(6c)의 부세력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해서 가동접촉자(4)를 고정접촉자(2),(3)에서 떨어지게 한다. 이상의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11)에 있어서는 기계유지기구가 개폐부의 아래쪽에 설치되므로 인하여, 높이 H가 높아져서 취급이 불편하다. 또 기계유지기구의 접촉기 본체에의 부착은 전자석(8) 및 하부케이스(9)등을 하나하나 후자에 부착하는 방법에 의하고 있기 때문에 극히 귀찮은 것이다.
다음 제2도에 표시한 기계유지기구에 있어서는 연동레버(15)의 단부(15a)를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서 걸쇠로 하고 있으며, 이 단부(15a)의 측면에는 하부케이스(9)에 장착된 석방전자석(18)의 플런저(18a)의 일단에 착설된 클릭부(18a1)가 마주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투입전자석(6)의 여자에 의해 단부(15a)가 화살표 B방향에 쇄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이동하면 석방전자석(18)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플런저(18a)가 화살표 E방향에 진출해서 클릭부(18a1)가 단부(15a)에 걸려 폐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에 있엇는 클릭부(8a1)에 걸리는 전자접촉기 본체의 개국스프링(6c)의 되돌림 하중을, 지지판(7)을 별도로 착설해서 레버의 비 L1/ L2로 감소시키고 있으나, 제2도의 경우는 클릭부(18a1)가 직접 되돌림 하중을 받고 있으므로 플런저(18a)를 되돌리기 위해서는 석방전자석(18)의 흡인력을 상당히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만큼 석방전자석(18)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개폐동작에 대해서는 제1도에 표시한 종래예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21)는 제1도의 것에 비해 부품수가 감소되어 있으나, 석방전자석(18)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결점이 있으며 생산가면에서는 거의 상쇄된다. 또 제1도의 것과 마찬가지인 결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결점을 제거해서 전자접촉기 본체의 높이를 높게 하지 않고 또 본체에의 부착이 용이한 기계유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관한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의 기계유지기구부의 비유지시 및 유지시의 상태를 각각 표시한 개략 종단면도이고, 제5도는 기계유지기구의 요부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대략 제1도의 것과 마찬가지인 구성을 가지고 있는 전자접촉기 본체(31)는 일반적으로 양측면(도면에서 전후)에 유닛화된 보조접촉자를 구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된 보조접촉자의 구동은 보조접촉자의 가동접점부에 연결된 돌기부를 전자접촉기 본체(31)의 측면에 형성된 사각형구멍(31a)을 개재해서 본체내 가동접촉자 구동부(예를들면 제1도의 연동레버(5))에 형성된 연결구멍에 감삽하므로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접촉기의 한쪽의 보조접촉자 장착부를 이용해서 일체화된 기계유지기구(32)가 상기 가동접촉자 구동부의 연결구멍에 감착된 중간에 직경이 큰 플랜지(33a)(제5도참조)를 가진 조작봉(33)을 개재해서 동작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기계유지기구(32)는, 양 다리부(34a) 및 (34b)에 직경이 다른 관통구멍(34a1), (34b1)을 같은 축에 형성함과 동시에 양다리 단부에 홈(34a2), (34b2)을 형성하고 저부에는 한쪽에서 내측으로 대략 90°절곡해서 부착부(34c)를 설치한 대략 "ㄷ"자형의 지지틀(34)과 부착부(34c)에 형성한 축구멍(34c1)에 감삽한 축(35)을 개재해서 회동자재케축으로 지지된 지지레버(36)(제5도 참조)와, 석방전자석(42)을 주된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지지레버(36)는 스프링(37)에 의해 조작봉(33)의 측면에 화살표 J방향으로 압압되어 있다. 또 지지레버(36)는 축구멍(36b)의 중심으로부터 제4도에서와 같이 지지레버(36)의 클릭부(36a)의 아래로 온 조작봉(33)의 중심으로 연장된 직선이 클릭부를 포함한 판의 두께의 중심을 지나도록 되어있다. 클릭부(36a)의 배면에는 후술하는 석방전자석(42)과 결합하는 U자형 홈(36c)을 가짐과 동시에 후술하는 보조접촉자를 구동하는 L자형의 레버(36d)가 연결되어 있다. 또 양 다리부(34a),(34b)에 형성된 직경이 다른 구멍(34a1),(34a1)에는 석방전자석(42)의 한쪽을 가동철심(41a)으로 하고, 중간에 소경부(41b)를 형성하고 다른쪽을 안내부(41c)로하는 플런저(41)가 축방향으로 이등자재케 삽통되어 중간의 소경부(41b)는 지지레버(36)의 홈(36c)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양다리 단부의 홈(34a2),(34b2)을 연결하여 걸리게 하고, 다리부(34b)의 외측면에 고착된 석방전자석(42)이 있다. 석방전자석(42)은 여자코일(38), 이 코일(38)의 감긴틀(39)과 ㄷ자형 요우크부(40)와 구멍(40b1)을 가진 연장부(40b)와 직각으로 구부러진 다리부(40c)로 되어 있는 요우크부(40) 및 플런저(41)로 구성되고, 한쪽 연장부(40b)에는 상시 폐접점을 가진 유닛화된 보조접촉자부(43)가 설치되어, 구등봉(43a)이 구멍(40b1)을 통해 레버(36d)에 대접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기계유지기구(32)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유지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보조접촉자부(43)를 직렬로 가지고 있는 전자접촉기 본체(31)가 투입전자석(도시하지 않음)의 여자에 의해 흡인되는 가동철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가동접촉자 구동부에 감착된 조작봉(33)이 화살표 H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조작봉(33)이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스프링(37)에 의해 화살표 J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던 지지레버(36)는 같은 방향으로 회동한다. 지지레버(36)의 회동에 의해 클릭부(36a)는 조작봉(33)의 상면(33b)을 붙잡음과 동시에 홈(36c)은 플런저(41)를 화살표 L방향와로 민다. 그리고 이 상태가 될 때는 이미 레버(36d)의 이동에 따라 보조접촉자부(43)의 상시 폐접점은 열려 있으므로, 상기 투입전자석은 소자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상기 가동접촉자의 개국스프링에 의한 화살표 G방향의 힘이 조작봉(33)에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면(33b)과 클릭부(36a)와의 닿는 면에 있어서 이 화살표 G방향이 닿는 면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G1방향의 힘과 수평으로 작용하는 G2방향으로 나누어져, G2방향의 힘은 지지레버(36)에, 스프링(37)에 의해서 부여되어 있는 화살표 J 방향의 힘과 합치하므로 조작봉(33)의 포촉을 더욱 확실하게 한 기계유지가 얻어진다. 유지해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석방 전자석(42)이 여자되면 스프링(37)의 힘을 이겨내는 흡인력에 의해 플런지(41)가 화살표 M방향으로 흡인된다. 이 때 소경부(41b)에 결합되어 있던 홈(36c)은 안내부(41c)의 단부에 걸려 지지레버(36)를 화살표 K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에 의해 조작봉(33)은 클릭부(33a)에서 석방되므로 전자접촉기(31)의 상기 개국스프링은 가동 접촉자를 고정접촉자에서 열리게 한다. 기계유지형전자접촉기는 제어전원의 고장 등을 고려해서 수동석방이 행하여지도록 되어있지 않으면 안되지만, 본 고안에 의한 기계유지기구(32)에 있어서는 플런저(41)의 안내부(41c)를 화살표 M방향으로 밀어내므로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계유지기구는 전자 접촉기 본체의 측면에 배설되므로 전자접촉기 전체의 높이가 높아지지 않는다. 또 기계유지기구는 지지틀에 일체로 구성되어 전자접촉기 본체에의 부착에 있어서 측면에 한꺼번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본체에의 부착이 극히 용이하다.

Claims (1)

  1. 케이스에 고착된 고정접촉자와 케이스내를 상하동 할 수 있는 연동레버와 이 연동레버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이탈 가능한 가동접촉자 및 연동레버를 개재해서 가동접촉자를 동작시키는 투입전자석을 구비하여서 된 전자접촉기 본체에 상기 투입전자석의 여자에 의해 폐성 동작한 가동접촉자의 유지를 연동레버를 제거하므로서 행하는 기계유지기구가 부설되어 이루어진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기계유지기구(32)가 아래쪽에 배설된 1본의 축(35)을 가진 지지틀(34)과 이 지지틀(34)의 상기 축(35)에 회동자재케 지지되어 상기 연동레버(5)에 결합되어 있는 조작봉(33)을 제지할 수 있는 지지레버(36)와 이 지지레버(36)를 항상 상기 조작봉(33)측에 부세하는 스프링(37)과 상기 지지레버(36)의 위쪽에 결합되어 있는 플런저(41)를 가지고 상기 지지틀(34)의 적소에 부착되어 있는 석방전자석(42)과 상기 지지틀(34)의 위쪽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레버(36)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투입전자석의 소자를 담당하는 보조접촉자(43)로 되어 있고, 더우기 전자접촉기 본체(31)의 측방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
KR2019830000166U 1979-11-20 1983-01-11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 KR830000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0166U KR830000326Y1 (ko) 1979-11-20 1983-01-11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4054 1979-11-20
KR2019830000166U KR830000326Y1 (ko) 1979-11-20 1983-01-11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4054 Division 1979-11-20 1979-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26Y1 true KR830000326Y1 (ko) 1983-03-10

Family

ID=2662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0166U KR830000326Y1 (ko) 1979-11-20 1983-01-11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3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4719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6933815B2 (en) Electromagnetic relay
KR830000326Y1 (ko) 기계유지형 전자접촉기
US5945900A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4922216A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KR0156046B1 (ko) 자기복귀기능을 가지는 스위치장치
EP1050893B1 (en) Push-button switch incorporating self-restoring function
JPH01248410A (ja) 磁気操作機構
JPS5846816B2 (ja) 機械保持形電磁接触器
JPS647454B2 (ko)
CN109545590B (zh) 一种双电源转换开关的操作机构
JP2007177409A (ja) 電磁ソレノイド式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家具又は建物
JPS628894B2 (ko)
US2370038A (en) Latched-in magnetic switch
JPS6240522Y2 (ko)
KR100308165B1 (ko) 복합형전자접촉기의래치기구
US2848663A (en) Support assembly for electromagnet armatures
CN109887796B (zh) 一种带磁保持功能的扳动开关及使用方法
JPS6226129B2 (ko)
EP0336445A3 (en) Electromagnetic relay
JP2532918Y2 (ja) 電磁接触器
JPH0452965Y2 (ko)
JP3765935B2 (ja) スイッチ装置
JPH0631692Y2 (ja) 回路遮断器の電磁装置
JP2685907B2 (ja) ラッチ付電磁接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22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