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322B1 - 내부로 삽입된 광증폭 변환관용 광전음극 하우징 - Google Patents
내부로 삽입된 광증폭 변환관용 광전음극 하우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30000322B1 KR830000322B1 KR7802989A KR780002989A KR830000322B1 KR 830000322 B1 KR830000322 B1 KR 830000322B1 KR 7802989 A KR7802989 A KR 7802989A KR 780002989 A KR780002989 A KR 780002989A KR 830000322 B1 KR830000322 B1 KR 8300003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otocathode
- housing
- tube
- side wall
- optical amplifi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photo-emissive cathodes; of secondary-emission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mage-Pickup Tubes, Image-Amplification Tubes, And Storage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제2 발생형의 내부로 삽입되는 종래 광증폭관의 사시도.
제2도는 절단 측면 아암의 제거전에 광증폭관을 부분적으로 절개한 평면도.
제3도는 광전음극 하우징 및 증기차폐체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안티몬 및 알카리 발생기가 광증폭관의 광전전극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보인 제2도의 4-4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절개한 상부도.
제5도는 절단측면 아암을 조인 광전음극 하우징의 일부 절개 평면도.
제6도는 종래의 내부로 삽입되는 광증폭관에서의 절단측면 아암을 보인 제5도의 6-6선을 절개한 단면도.
제7도는 하우징에 장설된 광증폭관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광전음극 내부로 삽입된 광증폭 변환관(PIP image intensifier inveter tube)에 관한 것이며, 특히 광즉폭 변환관의 광전음극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광증폭관은 낮은 광도 및 스펙트럼의 적외선 근처를 직접 조사하기 위한 여러가지 응용기기에서 사용되어 왔다. 광증폭관은 낮은 광도에서 대상물을 조사할 필요가 있는 여러가지 군사, 과학 및 사업응용기에서 사용되어왔다. 실예를 들면 이 장치는 천체의 망원관찰 또는 어둡게 조사된 목표물을 관찰하는 군사적 응용기기용으로 사용된다.
광증폭관은 낮은 에너지의 가시 또는 비가시 복사선을 광전음극에 의하여 전자선으로 변환시키는 전자-광학장치이다. 이러한 빛은 에너지에서 증가되고 전자장을 형광 스크리인에 집중시키거나 형광스크리인 앞에 위치된 마이크로 채널형 플레이트 (microchannel plate)전자체배기에 집중되므로 재구성된다. 복사선은 비교적 밝은 빛 또는 다양한 크기로 재변환된다.
내부로 삽입된 광증폭기의 개발은 세개의 발생장치에 의하여 진행되어왔다. 소위 제로 발생관은 내부로 삽입되는 통상적인 적외선관이다. 이 적외선관의 작용 및 그 크기는 제한되며 소형의 고이득 장치는 완성되지 못하였다. 제1의 발생 광증폭관에 있어서, 낮은 광도의 빛은 광양자선이 전자선으로 변환되는 광전음극에 빛을 집중시키는 광학섬유면 플레이트에 발생된다. 전자는 형광스크리인을 향하여 가속되고, 동시에 공간정보는 전자광학에 의하여 유지된다. 가속전자는 형광스크리인을 때리면서 증폭광을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세가지의 증폭단은 제1발생형에서 이용된다.
광증폭관의 제1발생이 억제될지라도 세개단의 증폭을 연속적으로 행하게 되면 결점이 나타나게 된다. 이들 결점은 간단에서의 찌그러짐 및 오차를 일으키고, 밝은 빛이 조사될때 스트리킹(streaking)을 일으키는 형광붕괴시간에 대한 효과적인 연장을 하여야 하며, 심한 경우에 전체 빛을 소멸시키도록 각단에서 초점번짐(blooming)을 일으키는 조사영역내에서의 밝은 광원을 포함하게 된다.
수년에 걸친 연구로 제2발생 광증폭변환관이 개발되었다. 이 제2발생장치는 크기에 따라 전자선을 증폭할 수 있는 분리되어 있는 중공의 유리관 또는 채널의 묶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광증폭변환관의 제1발생에서 처럼, 제2발생장치에 전자선은 우발적인 복사선에 응답하는 광전음극에 의하여 발생된다. 그러나 마이크로 채널형 플레이트에 의하여 체배된 전자선은 증폭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감광된 방사선의 증폭표시를 하도록 형광스크리인에 충돌된다.
제2발생광증폭관은 단일의 단에서 충분한 이득을 갖기 때문에 스트리킹, 찌그러짐 및 오차가 실질적으로 감소되게 한다. 또한 밝은 광원으로 인한 고전류영역을 집중시키는 마이크로 채널형 플레이트의 작용은 초점 번짐과 “소멸”를 감소시키는 장치로 구성되며, 이 장치에 의하여 비교적 나은 콘트라스트 렌디션(contrast rendition : 조사 대상물을 보다 잘 보이게 함을 의미함)을 좋게 한다. 더우기, 단일 구조체는 제1발생 광증폭관에 의하여 소요되는 것보다 다소 적은 전력을 소요한다.
내부로 삽입되는 유형의 제1및 제2광증폭관에 있어서, 광전음극은 적당한 금속성 안티몬과 금속성 알카리증기를 하우징에 착설된 측면아암을 통하여 광전음극부위의 배출하우징으로 유입하므로 형성된다.
상기와 유사한 측면아암은 가스흡수를 위한 물질의 침전을 일으키도록 게터 와이어(getter wire)에 연결된다. 이들 측면 아암의 부품은 광전음극의 성형후에 “절단”(pinched off)되거나 제거된다. 절단 측면아암의 돌출부는 광증폭관을 둘러싸는 최소의 직경을 표시한다.
제로발생 광증폭기는 제1 및 제2발생광증폭관의 원주부다 다소 작은 원주로 형성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제2발생증폭관은 제로발생관은 집수하도록 설계된 장치로 대체될 수 없다. 따라서 제로발생관을 접수하도록 설계된 장치상에 새로운 제1 및 제2발생광증폭관사용시 다소 큰 직경의 제1 및 제2발생관을 집수하는 장치의 완전한 재조립을 필요로 한다.
통상 EPIC라 알려진 광증폭기 같은 다른 광증폭기는 제로발생 광증폭관용으로 설계된 장치에서 즉시 사용케하는 크기로 제조되어왔다. 그러나, 이장치는 EPIC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므로 비용이 매우 많이 들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발생관의 축조방법이 광증폭기관의 광학적 구조의 완전한 재조립 또는 그들이 사용되는 장치의 재조립을 하지 않고도 제로발생관을 집수하도록 설계된 장치에서 사용되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제1 및 제2발생 증폭관보다 다소 작은 돌출부의 잔류측면아암을 가진 내부로 삽입되는 광증폭 변환관용 광전음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광증폭기는 그가 제조발생 광증폭관을 집수하도록 처음부터 설계된 장치내로 역삽입 되도록 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는 광전자를 방해하지 않거나 본 발명의 제1및 제2발생 광증폭관의 주요부품 크기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실예에 따르면 광전음극 내부로 삽입되는 광증폭 변환관은 그의 광전음극에 대한 연결을 위하여 원통형 형성하는 외측면을 가진 광전음극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면벽은 광전음극이 집수되는 원통형 공동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평탄부가 측벽에 형성된다. 평탄부는 그로부터 원통형 개방구의 중심까지 거리가 원통형 개방구의 반경보다 다소 작은 정도로 방사상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형성된다.
관상 측면아암은 평탄부에 고정되며 안티몬 및 금속성 알카리 증기를 진공하에서 광전음극기판상에 감광피막을 위하여 광전음극 하우징으로 유입되게 한다. 감광면을 형성시킨후 측면아암은 변환관 내츠글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도록 그의 일단부가 밀봉절단된다.
평탄부는 외측 측벽에 대하여 위치되며 측면아암은 그가 원통형 개방구를 형성한 측벽의 직경이상 연장되지 않도록 평탄부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연장되어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수행하는 평탄부는 광전음극 하우징의 외측벽 양측면에 위치된다. 다른실시예에서, 평탄부가 광전음극하우징 둘레로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위치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예를 수해아는 내측차폐체는 금속성알카리증기가 유입되는 측면아암과 일치하여 측벽에 요면을 형성시킨 원형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요면은 알카리 증기가 외측측면벽으로 유입되게 하는 충분한 크기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으며 그 내부로 유입된 증기를 분산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구멍은 다른 측면 아암과 일치한 내측차폐체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이는 광전음극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타측 측면아암으로부터 안티몬을 광전음극하우징으로 유입되게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예를 수행하기 위하여 차폐체는 환상형의 저부벽외측벽의 하단변부에 고정되고 외측벽으로부터 방사상 내부로 연장된다. 또한 차폐체가 광전음극하우징의 외측벽내에 장설될때 환상형 저부벽위로 내측 차폐체에 요면의 하단변부를 위치시키는 구조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요면의 하단부와 저부벽 사이에 간극을 형성시켜 그들사이로 증기의 유동이 있게한다.
내측차폐체에 요면은 외측벽 상단아래에 위치된 구상의 상단부로 형성된다. 하측의 반구부는 상단 구상면과 내측차페체 측벽의 하측변부사이를 연통되게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예를 수행하는 환상의 저부벽위로 요면의 저부를 지지케 하는 구조체는 환상형 저부벽위로 차폐체의 하단변부를 상승시키는 내측차폐 측벽의 하단변부에 고정된 하단연장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예를 수행하는 횡형계단은 평탄부의 상단부와 외측벽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환상형 플랜지는 내측 차폐체의 측벽으로부터 횡방향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내측 차폐체가 외측측벽내에서 축조될때 내측차폐체의 환상형 플랜지는 평탄부위에 형성된환상형 계단과 계합된다.
본 발명의 광전음극 내부로 삽입되는 광증폭용 광전음극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광전음극 하우징은 광전음극이 집수되게 원통형 공동을 형성하는 원통형 측벽으로 축조된다. 한쌍의 평탄부는 외측벽의 원주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평탄부는 광전음극하우징의 중심으로부터 그들의 방사상거리가 하우징 외측벽의 반경보다 다소 적은 정도로 방사상 내측으로 위치되어 있다.
구멍은 외측벽 하우징에 각 평탄부를 관통하도록 천공되어 있다. 원형의 증기차폐체가 제공되며, 그의 일측면에는 요면이 형성되어 있다. 원형의 차폐체는 요면이 외측벽의 평탄면에 천공된 어느 한 구멍에 인접하여 있도록 광전음극의 외측면에 삽입된다. 알카리증기 발생기는 증기차폐체에 요면에 인접하여있는 구멍에 고정된 관상의 측면아암에 의하여 광전음극하우징에 고정된다. 금속선 안티몬 증기발생기는 하우징 외측벽에 또 다른 구멍에 고정된 관상의 측면아암에 의하여 광전전극 하우징에 고정된다. 진공하에서, 금속성 안티몬과 금속성 알카리 증기는 광전음극을 피막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광전음극 하우징에 유입된다. 피막처리를 완료시키자마자, 금속성 알카리 및 안티몬 증가가 하우징내로 주입되게 하는 측면 아암은 그가 광전음극 하우징의 외측벽의 직경이상 연장되지 않는 한 지점에서 조여지고 밀봉된다.
이러한 식으로 요면은 전자광학에 대한 재설계를 하지 않게 하고도 비교적 짧은 방사상 돌출부의 진류측면 아암으로 이루어진 광증폭관을 제공케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2발생형의 광전음극내로 삽입되는 광증폭관을 제공하며, 이광증폭관은 직경이 다소 작은 제로발생 광증폭관을 집수하도록 축조된 장치내로 역삽입될 수 있다. 이는 제2발생 광증폭관의 광전자를 발행하거나 또는 광전음극처리에서의 변환을 하지 않고도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도에는 종래의 제2발생광증폭관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제2발생광증폭관 (20)은 광전음극(24)이 하우징(22)의 상단부로부터 돌출한 외측하우징(22)로 구성되며, 또한 하우징 모든 부위의 가장 큰 반경이상 연장한 여러개의 측면아암(26),(28) 및 (30)이 형성되어 있다. 조여지기 전에 측면아암(26) 및 (30)은 이후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같이 알카리증기 및 어느 적당한 금속제안티몬이 그를 통과하여 광전영역까지 주입되는 관으로 형성된다. 측면아암(28)은 이장치의 초기축조시에 사용된 조여진 상태의 게터 와이어관(getter wire tube)이다. 잔류측면 아암(26)(28) 및 (30)은 광전음극에 대한 금속제 안티몬 및 알카리 증기를 유입시키도록 사용된 관으로써 조여지고 밀봉될때 하우징(22)로부터 돌출한 돌출부로써 형성된다.
이후 기술되듯이, 제로발생 광증폭관은 작동이 훨씬 우수하며, 그반면에 제로발생 증폭관을 집수하도록 설계된 장치와 대체되어 사용되고 그 장치에 역삽입될 수 있도록 제2발생증폭관의 크기를 감소시킨 것으로 실용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이 장치에서는 제2발생광 변환관의 광학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제2발생증폭관의 부품이 장설되고 또한 제로발생광증폭관을 집수하도록 설계된 최초의 장치에 역삽입되게 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광전음극하우징을 형성시킴으로 잔류측면 아암이 방사상 내부로 이동되게하여 최종의 조여진 상태에서 측면아암이 광전음극하우징 또는 다른 하우징부품의 외측직경이상 동출되지 않게한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광증폭관은 제2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2도 및 제4도는 광증폭관의 관전음극에 감광피막을 하는 과정중에 있는 광증폭관을 나타내고 있다.
제2도, 제3도 및 제4도를 참고하면, 광증폭관은 관전음극하우징(42)로 이루어 진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전음극하우징(42)은 그 내부로 구멍(50)이 천공되어 있으며 평탄부(46) 및 (48)이 그의 양측면에 형성되게 한다. 평탄부(48) 및 측벽 (44)사이에 절면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전음극하우징9(42)은 환상의 저부벽으로 구성되며, 그의 상향으로 연장한 환상의 플랜저(62)가 광전음극하우징(42)에 하측구멍 (66)을 형성케 한다.
외부에 만곡된 환상형 플랜지(68)은 측벽(44)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본 발명의 광증폭변환관의 최외측직경을 이룬다. 게더링구멍(gettering aperture)(제3도)은 광전음극하우징의 측벽(44)에 천공되어 있다.
게더링구멍(70)은 하우징의 플랜지(68) 및 저부벽(60)의 중단에 위치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증기차폐체(80)는 관전음극 하우징(42)내로 삽입된다. 증기차폐체(80)는 원형의 측벽(82)으로 구성되며, 협소한 하단돌출부(48)와 비교적 넓은 하단돌출부(86)는 측벽(82)의 하측변부(88)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횡방향 환상의 계단플랜지(90)은 측벽(82)의 상단 원주부에 고정되며, 측벽(92)보다 더큰 직경의 상향만곡된 플랜지(92)는 플랜지(90)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92)는 증기차폐체(80)을 광전전극하우징(42)으로 용이하게 장설하기 위하여 그의 주변부 둘레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개의 노치(94)가 형성되어 있다.
요면(100)은 하단돌출부(86)에 걸쳐 측벽(82)에 형성된다. 요면은 하단면 (101)로부터 측벽(82)의 상단 부위근처에 한지점까지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92)는 증기차폐체(80)을 광전전극하우징(42)으로 용이하게 장설하기 위하여 그의 주변부 둘레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개의 노치(94)가 형서오디어 있다.
요면(100)은 하단돌출부(86)에 걸쳐 측벽(82)에 형성된다. 요면은 하단면 (101)로부터 측벽(82)이 상단 부위근처에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바와같이, 요면(100)의 하단면(101)은 하단돌출부(86)의 최저판변부로부터 상향으로 다소간의 경사를 이루어 증기차폐체(80)의 하단 돌출부(84)및 (86)이 광정음극하우징 (42)이 저부벽(60)에 대하여 계합될때 하우징(42)의 횡형계단(54)및 (56)과 결합하도록 위치된다. 하단돌출부(84) 및 (86)은 변부(88) 및 하부벽(60)사이에 간격(104)를 형성시키도록 광전전극 하우징(42)의 저부벽(60)위로 차폐체(80)의 하단면부 (80)을 적소에 위치되게 한다.
제2도를 참고하면, 섬유광학 광전음극(11)은 광전음극하우징(42)로부터 연장된 광전음극지지판(112)에 이하여 지지된다. 지지판(112)는 강전전극하우징(42)의 플랜지(68)의 직경과 동일한 외측직경으로 이루어진 환상형 플랜지(114)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14)는 광전전극하우징(42)의 플랜지(68)와 계합된다.
플랜지(114)는 광전음극 하우징(42)의 플랜지(68)와 계합하여 용접 또는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그에 고정된다. 직경이 다소 작은 플랜지(116)은 계단형 플랜지(18)에 의하여 지지판(112)의 플랜지(114)에 고정된다.
광전음극(110)은 그의 저면상에 플릿(frit)밀봉되게한 플랜지(116)에 착설된다. 광전음극(110)은 구상면(122)과 그에 대향한 상단평면(124)으로 형서오디어 있다.
광전음극하우징(42)은 전기절연스페이서(spacer)(130)에 대하여 밀봉되며, 절연스페이서(130)는 세라믹 또는 유리같은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원추체(132)는 절연 스페이서(130)내에서 그에 고정된 원추체 고정플랜지(134)에 의하여 지지되고 납땜에 의하여 절연스페이서(130)에 결합된다. 마이크로 채채형 플레이트(140)는 그둘레의 적당한 구조체에 의하여 원추체(132)로부터 일장한 간격을 두고 착설되고, 섬유광학형광 스크리인(142)은 마이크로 채널형 플레이트(140) 아래에 착설된다.
원추체(132), 마이크로채널형 플레이트(140) 및 광학섬유의 형광스크리인 (142)의 설명은 광전음극 하우징(42)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마이크로 채널형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다른유형의 광증폭관에 의해 적용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제4도를 참고하면, 게더링 장치는 구멍(70)에서 광전음극하우징(42)에 연결된다. 게더링 장치는 티타늄 피복타이어 또는 광전음극 하우징(42)의 측벽 및 광전음극하우징(42)의 구멍(70)을 밀봉하는 캡(146) 사이에 고정된 다른 가스 흡수물질(144)를 포함하고 있다. 캡(146)을 광전음극하우징(42)에 고정시키는 것은 납땜등과 같은 적당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서는 내부에 게더링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한 광전음극하우징에 고정된 게터와이어관을 사용하는 게터링장치 대신에 제4도에 도시된 게더링장치를 사용한다.
게더링관이 광전음극하우징에 연결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조여진 경우 평탄부 (46) 및 (48)과 유사한 제3의 평탄부는 게더링관을 조이므로 형성된 잔여아암ㅇ 광전극하우징의 외측주연부 이상 연장되지 않도록 구멍(7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서, 광전음극하우징이 외측직경이상 연장되어 있지 않은 캡 (146)을 사용하므로 추가의 평탄부가 사용되지 않게 한다.
알카리 금속제 증기관(150)은 구멍(50)에서 측벽(44)의 평탄부(46)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은 납땜등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금속제 안티몬의 증기관(152)도 납땜과 같은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구멍(52)에서 측벽(44)의 평탄부 (48)에 고정된다.
광전음극 내부에서 작동되는 증폭관의 제작에 있어서, 감광피막은 광전음극기판의 구상면(122)에 입혀지며 이어서 지지체(112)와 광전음극하우징(42)에 대한 광전음극기판의 마운팅에 입혀진다. 이는 세슘, 나트륨 및 칼륨과 같은 적당한 금속성 알카리증기를 알카리 발생기(160)로부터 증기관(150)을 경유하여 봉입부(162)내로 유입시키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증기는 요면(100)에 대향한 구멍(50)으로부터 제2도에 화살표 방향으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하단면(101)과 저부벽(60) 사이에 간극(101a)을 통하여 하향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알카리 증기는 봉입부(162)내로 간접주입된다. 또한 알카리 증기는 차폐체(80)의 측벽과 화살표(165)의 경로를 따른 광전음극 하우징(42)의 측벽 (44) 사이에 증기차폐부위로 형성되는 통로에 의하여 봉입부(162)로 유입된다. 그 다음 알카리증기는 차폐체(80)의 하단변부(88) 아래에 광전음극부위로 유동한다.
차폐체(80)는 증기의 봉입부(162)로 유입되기전에 증기를 분산시키므로 광전음극의 표면(122)에 대한 불균일 피막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광전음극상에 고농축 금속성 알칼리의 “과열검”이 제거될 수 있다.
금속성 알카리 증기를 광전전극부위로 주입하기전 및 주입하는동안 안티몬은 안티몬 발생기(166)으로부터 증기관(152)와 차폐체(80)의 구멍(102)를 통하여 광전음극의 부위에 유입된다. 금속성의 안티몬 증기가 점광원으로부터 광전음극하우징(42)에서 배출됨에 따라 승화되기 때문에 광전전극의 균일한 피막을 하기 위하여서는 어떠한 차폐도 필요치 않게 된다.
증발에 의하여 금속성 안티몬 및 금속성 알카리는 광전전극(110)의 구상면 (122) 위에 피복된다. 이러한 과정에 걸쳐 안티몬 발생기(166)의 라인(172)에 의하여 진공이 형성되며 봉입부(162)는 비워진다. 진공상태가 유지되는동안 증기관(150) 및 (152)는 기계적으로 절단되고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여져 봉입부(162)를 밀봉되게 하고 그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증기관(150) 및 (152)를 절단하려면 광증폭관에서의 소정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매우 완벽하게 밀봉을 하기 위하여 증기관의 직경보다 광전음극하우징에 대하여 더욱 밀접해지지 않게 절단이 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알카리 증기관(150) 및 안티몬 증기관 (152)가 고정되는 평탄부(46) 및 (48)의 배열때문에 증기관(150) 및 (152)의 절단후 형성되는 잔여아암(180) 및 (182)는 광전음극하우징(42)의 직경이상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제6도를 참고하면, 잔여아암(180) 및 (182)의 위치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 광증폭관의 잔여아암(26) 및 (30)과 점선으로 비교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시와 같이 잔여측면아암의 잔여돌출부는 평탄부(46) 및 (48)의 깊이만큼 감소되어 있다. 동시에 잔여측면아암의 방사상 돌출부가 실제로 축소되며, 광전음극부위내로 알카리 증기의 적당한 유입은 알카리 증기 유입관앞에 느슨하게 억제되어 있는 증기폐관에 의하여 유지된다. 요면(100)의 깊이는 매우 작으며 그에 따라 광전음극부위에 광전자는 방해받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제7도에는 하우징(200)내에 장설된 본 발명의 광증폭관이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은 그 일단부에 개방구(204)가 천설된 원통형 측벽(202)으로 이루어져 있다. 환상형 플랜지(206)은 양측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그 내부로 광전음극(110)을 접수하는 구멍(208)이 천공되어 있다.
전원하우징(210)은 측벽(202)에 고정되고 전원을 접수하는 개방구(212)(도시안됨)가 천설되어 있다. 영상증폭관이 하우징(200)내로 삽입된후 이는 통상광증폭관 및 하우징(200) 측벽(202)의 내측 직경사이에 장전되는 RTV 고무 캡슈울(214)의 사용에 의하여 그 내부에서 지지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 측벽(202)의 내측크기는 광증폭관 하우징의 최외측크기를 포괄하는 충분한 크기로 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광증폭관 하우징의 직경보다 작은 방사상 돌출부로 이루어진 잔여측면아암(180) 및 (182)을 형성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수행하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제1발생광증폭관으로 대체될 수 있는 내부로 삽입된 광증폭 변환관을 제공한다. 이는 안티몬 발생기 및 알카리 발생기로부터 이어진 증기관이 고정되는 부위가 압압평탄부로 형성된 광전음극하우징을 사용하므로 축조될 수 있다. 광전음극을 안티몬 및 금속성 알카리로 피복하기 위한 증발처리 후 조여진 증기관의 방사상 돌출부는 평탄부 깊이만큼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잔여측면아암관의 방사상 돌출부는 광전음극하우징 이상 연장되지 않으며, 광증폭관은 비교적 작은 제1발생광증폭관을 집수하도록 설계된 장치내에 장설될 수 있다.
안티몬 및 알카리증기를 광증폭관으로 주입시키는 부위가 종래 종기관보다 더 내부에 위치되지만, 알카리 증기관을 통한 적당한 유입은 알카리 증기관 앞에 놓인 느슨히 억제되어 있는 특정 음극하우징 차폐체에 의하여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차폐체의 깊이는 광전음극부위에 광전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최소로 지지된다.
이러한 억제상태는 하우징 차폐체와 광전음극 하우징의 측벽사이로 알카리 증기를 향하게 하고 그다음 광전음극에 인접한 부위로 향하게 한다. 따라서 광전음극상에 금속성 알카리의 불균일한 피막이 되지 않게 한다.
Claims (1)
- 내부로 삽입되는 광증폭 변환관용 광전음극 하우징에 있어서, 외측벽(44)을 그 양단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변환관의 광전음극(110)을 집수하는 원통형 공동으로 형성시키고, 한쌍의 평탄부(46,48)를 상기 측벽(44)에 형성하되 원통형 개방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평탄부(46,48)의 방사상거리가 원통형 개방구의 반경보다 다소 작게하여, 한쌍의 측면 아암(150,72)이 상기 평탄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게 하되 그의 단부가 밀봉 절단되게 하여 변환관의 광전전극 하우징(42) 내측을 진공상태로 유지케하고, 상기 측면 아암단부의 돌출부가 원통형 개방구를 형성하는 상기 측벽의 반경보다 크지 않게한 내부로 삽입되는 광증폭 변환관용 광전음극 하우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802989A KR830000322B1 (ko) | 1978-09-30 | 1978-09-30 | 내부로 삽입된 광증폭 변환관용 광전음극 하우징 |
KR8204523A KR830000324B1 (ko) | 1978-09-30 | 1982-10-07 | 광증폭관용 광전음극을 제조하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802989A KR830000322B1 (ko) | 1978-09-30 | 1978-09-30 | 내부로 삽입된 광증폭 변환관용 광전음극 하우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8204523A Division KR830000324B1 (ko) | 1978-09-30 | 1982-10-07 | 광증폭관용 광전음극을 제조하는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322B1 true KR830000322B1 (ko) | 1983-03-02 |
Family
ID=19208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802989A KR830000322B1 (ko) | 1978-09-30 | 1978-09-30 | 내부로 삽입된 광증폭 변환관용 광전음극 하우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30000322B1 (ko) |
-
1978
- 1978-09-30 KR KR7802989A patent/KR830000322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04386A (en) | Photomultiplier tube having a metal-made sidewall | |
US5376791A (en) | Secondary ion mass spectometry system | |
US4431943A (en) | Electron discharge device having a high speed cage | |
US3660668A (en) | Image intensifier employing channel multiplier plate | |
EP1089320B1 (en) | Electron tube | |
US6650049B1 (en) | Photomultiplier tube | |
US5768337A (en) | Photoelectric X-ray tube with gain | |
KR19980024933A (ko) | 자외선 검출관 | |
KR830000322B1 (ko) | 내부로 삽입된 광증폭 변환관용 광전음극 하우징 | |
KR830000324B1 (ko) | 광증폭관용 광전음극을 제조하는 방법 | |
US3304455A (en) | Image-converter tube with output fluorescent screen assembly resiliently mounted | |
US4198106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cathode for an image intensifier tube | |
US4157484A (en) | Pip inverter tube cathode housing | |
CA1093626A (en) | Image tube with conditioned input screen | |
EP0044239B1 (fr) | Tube intensificateur d'images à micro-canaux et ensemble de prise de vues comprenant un tel tube | |
US2851625A (en) | Image tube | |
US2946910A (en) | Infrared image converter tubes | |
US4383169A (en) | Luminescent screen devices | |
US4001618A (en) | Electron discharge image tube with electrostatic field shaping electrode | |
US4079282A (en) | Phototube having apertured electrode recessed in cup-shaped electrode | |
US3515924A (en) | Support structure for photocathode subassembly of image intensifier | |
USRE30249E (en) | Electron discharge device including an electron emissive electrode having an undulating cross-sectional contour | |
JP2008171777A (ja) | X線イメージ管 | |
US7064486B1 (en) | Locking device for microchannel plate in image amplifier tube | |
JP3352491B2 (ja) | 放射線検出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