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307Y1 - bicycle - Google Patents

bicy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307Y1
KR830000307Y1 KR2019830000293U KR830000293U KR830000307Y1 KR 830000307 Y1 KR830000307 Y1 KR 830000307Y1 KR 2019830000293 U KR2019830000293 U KR 2019830000293U KR 830000293 U KR830000293 U KR 830000293U KR 830000307 Y1 KR830000307 Y1 KR 830000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handle
frames
hold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029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니요시 가나자와
Original Assignee
구니요시 가나자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니요시 가나자와 filed Critical 구니요시 가나자와
Priority to KR2019830000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30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07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자전거bicycle

제1도는 본 고안의 첫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자전거의 요부사시도이며,1 is a yabu perspective view of a bicycle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의 두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자전거의 측면도이며,2 is a side view of a bicycle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확대횡단면도이며,3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제4도는 세번째 실시예의 자전거의 측면도이며,4 is a side view of the bicycle of the third embodiment,

제5도는 제4도의 회동조지 수단의 확대사시도이며,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eans for the meeting of FIG. 4,

제6도는 네번째 실시예의 자전거의 측면도이며,6 is a side view of the bicycle of the fourth embodiment,

제7도는 제6도의 회동조지수단의 확대사시도이며,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eeting and activating means of FIG.

제8도는 첫번째 내지 네번째 실시예의 자전거의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ercise device of the bicycle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제9도는 다섯번째의 자전거의 측면도이며,9 is a side view of the fifth bike,

제10도는 제9도의 핸들구조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며,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structure of FIG.

제11도는 여섯번째 실시예의 자전거의 핸들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structure of the bicycle of the sixth embodiment,

제12도는 제11도의 ⅩⅡ-ⅩⅡ선 확대단면도이다.FIG. 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long XII-XII of FIG.

본 고안은 안장과 구동크랭크수단(족답크크랭, 크크랭크하우 징 및 체인기어)를 포함하는 안장지주를 전후방차륜을 축지(軸支)하는 상, 하부프래임으로부터 독립시켜서 상부프래임으로부터 탄성현가토록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addle holder including the saddle and the drive crank means (foot crank, crank housing and chain gear) to be elastically suspended from the upper frame by separat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from the front and rear wheels. It's about bicycles.

더욱 본 고안은 이 독립현가된 안장지주와 더불어서 핸들자체도 전륜조작축(前輪操作軸)에 대하여 진동비전달적이면서도 핸들조작가능토록 구성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in which the steering wheel itself is configured to be non-vibrating and handleable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steering shaft in addition to the stand-alone saddle holder.

안장에 대한 전방차륜, 후방차륜으로부터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목적으로 종래 시이트 필터를 안장지주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설치한 것이 알려지고 있으나, 이 타입의 자전거는 구동크랭크수단 그 자체가 하부프래임에 고정적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이 크랭크수단의 회전운동의 중심은 전, 후방차륜의 축심의 변동에 추종하므로, 요철이 심한 저면을 주행할때 탄사람의 안장위치는 스프링작용으로 상대적인 상하동이 적은데 비하여 폐달의 위치가 상하로 심하게 변동되며, 이로 인하여 주행이 힘들게 되고 쉬이 피로를 느끼게 되는 애로가 있었다.It is known that the seat filter is elastical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saddle holder for the purpose of damping vibrations from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gainst the saddle. However, in this type of bicycle, the drive crank means itself has a fixed relationship to the lower frame. Since the center of rotational movement of the crank means follows the fluctuation of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the saddle position of the burnt person is relatively up and down due to the spring action when driving on the rough bottom. The position fluctuates greatly up and down, which makes driving difficult and fatigue.

그러므로 본 고안의 첫번째 목적은 안장 및 크랭크수단을 전방차륜과 후방차륜으로부터 독립시켜서 이들로부터의 진동의 전달을 없애도록한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cycle in which the saddle and the crank means are independent of the front wheels and the rear wheels to eliminate transmission of vibrations from them.

본 고안의 두번째의 목적은 상기한 첫번째의 목적에 부수하여 핸들아체도 전, 후방차륜의 진동을 회피할 수 있도록한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cycle that can avoid the vibration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in addition to the first object described above.

본 고안의 기타의 목적 및 이점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실시예를 표시한 도면에 따른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백하게 상술하기로 한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고안에서 전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실시태양(態樣)은 다음 두가지의 계략적 태양으로 나눌 수가 있다.Specific embodiment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wo schematic aspects.

(A) 안장과 구동크랭크수단을 하나의 안장지주의 상, 하에 설치하고, 이것을 상, 하부프래임으로부터 완전히 독립시켜서 스프링 수단에 의하여 상부프래임에 탄성현가시킴(이상 실시예 1 내지 4)(A) The saddle and the driving crank means are installed above and below one saddle column, and are completely independent from the upper and lower frames to elastically suspend the upper frame by spring means (Examples 1 to 4 above).

(B) 상기(A)의 독립현가된 안장지주에 대하여 주(主)핸들을 결합하고 종래의 전방차륜조작간에 착설된 핸들(이 명세서에서는 이하 부핸들이라함)과는 떨어지게하여 이 주핸들에 대하여 부(副)핸들을 독립하여 상, 하 진동자재되게 결합시킴(이하 실시예 5 내지 6)(B) The main handle is coupled to the independent suspended saddle holder of (A) above and is separated from the hand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ub-handle) mounted between the conventional front wheel operation. The sub-handle is independent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vibrating materials (Examples 5 to 6 below).

이 두가지 계략적인 실시태양에 대하여 순서적으로 더욱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The two schemat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in the following order.

(A) 실시예 1-4에서 공통되고 있는 구조는 상, 하부프래임 1, 2로부터 독립하여 상부에 안장 3을 하부에 구동크랭크수단 4를 각각 착설한 안장지주 5와, 이 안장지주 5를 상기한 상부프래임 1로부터 탄성현가하는 수단 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크랭크수단 4는 족답크크랭크 7, 크랭크하우징 8 및 체인기어 9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현가수단 6은 상기한 안장지주 5를 상기한 상, 하프래임 1, 2에 대하여 승강안내시키는 수단 10과, 이 안장지주 5의 무게에 대항하여 상부프래임 1로부터 걸어내린(懸吊) 복수개의 스프링군 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기의 탄성현가수단의 구체적 태양 또는 더욱 여기에 부가수단을 강구함으로써 실시예 1 내지 4로 나눈다.(A) The structures common in the embodiments 1-4 are the saddle holders 5 having the saddle 3 at the upper part and the driving crank means 4 at the lower part independently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 and 2, and the saddle holder 5 being described above. It consists of a means 6 for elastic suspension from the upper frame 1, the drive crank means 4 comprises a stepping crank 7, crank housing 8 and chain gear 9, the elastic suspension means 6 described above the saddle holder 5 The above structure includes a means for guiding the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half-frames 1 and 2, and a plurality of spring groups 11 that are lowered from the upper frame 1 against the weight of the saddle holder 5, and the elasticity described above. By dividing the specific aspect of the suspending means or further addition means thereinto, it is divided into Examples 1 to 4.

제1도는 실시예 1에서 이 탄성현가수단은, 수평방향으로 두개의 가지(枝)로 분지(分●)된 상부프래임 1, 1과 마찬가지로 2분지된 하부프래임 2, 2와의 사이에 승강가능되게 새로로 삽착한 안장지주 5와 상부프래임 1, 1 및 하부프래임 2, 2의 각각으로부터 상, 하 한쌍의 연결간 12, 13을 포함하는 승강안내수단 10과, 상부프래임 1, 1에 고정된 상단판 14와 안장지주 5의 구동크랭크수단 4의 바로 위에 고정시킨 하단판 15와 이들 상, 하 단판 14, 15사이에 상, 하단을 각각 훅크고리 16에 연결시켜 안장지주 5의 전, 후의 대칭위치에 배치한 복수조(조=Pair, 여기서는 4개조)의 스프링군 11…을 포함하는 스프링수단 6으로 이루어져 있다. 16은 상, 하 단판 14, 15에 착설된 훅크고리, 17은 상단판 14를 상부프래임 1, 1에 대하여 스프링군의 신축방향으로 신축자재하게 스프링 11…의 탄력을 조정할 수 있게한 조정보울트이다.1 show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elastic suspension means is movable up and down between the two lower frames 2 and 2, like the upper frames 1 and 1 branched into two branch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ift guide means 10 including a pair of upper and lower pairs 12 and 13 from each of the newly inserted saddle holders 5 and the upper frames 1, 1 and the lower frames 2 and 2, and the top fixed to the upper frames 1 and 1 Symmetry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saddle post 5 b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hooks to the hook hooks 16 between the lower plate 15 fixed directly above the drive crank means 4 of the plate 14 and the saddle post 5, an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14 and 15, respectively. Spring group 11 of plural tanks (pair = Pair, here four tanks) arrange | positioned at position. It consists of a spring means 6 comprising a. 16 is a hook ring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end plates 14 and 15, and 17 is an upper plate 14 that stretches the upper plate 14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spring group with respect to the upper frames 1 and 1. Adjusting bolt to adjust the elasticity of the.

연결간 12, 13은 2부분으로 분지된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렇게 분지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구동크랭크수단 4의 상하동에 의한 체인 18의 이완(弛緩)은 아이드라기어 19를 설치함으로써 방지할 수가 있도록함이 바람직하다.Connections 12 and 13 are marked as being divided into two parts, but are not necessarily so branched. It is preferable that the loosening of the chain 18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drive crank means 4 can be prevented by providing the idler gear 19.

제2도에 나타낸 실시예 2에서 승강안내수단 10은 상부프래임 1과 하부프래임 2와의 사이에 기교한 외관 20과, 이 외관 20안쪽에 축설된 안장지주 5를 좌우로부터 협지하는 안내로울 21, 21을 내장하고 있는 상, 하 한쌍의 안내로울박스 22, 22를 상부프래임 1과 하부프래임 2에 각각 고정시켜서 구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수단 6은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것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elevating guide means 10 is a guide roller 21, 21 for interposing an external appearance 20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frame 1 and the lower frame 2, and the saddle column 5 built up inside the exterior 20 from left and right. The upper and lower pairs of guide roller boxes 22 and 22 having a built-in structure are fixed to the upper frame 1 and the lower frame 2, respectively, and the spring means 6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의 안장지주 5는 제3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이 6각형의 중공관이며 이것에 대응하는 안내로울 21, 21은 장고형 보빈상(Bobbin狀)의 횡단면의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내로울박스 22, 22를 상, 하부 프래임 1, 2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보울트 23, 23이 설치되어 있다.The saddle column 5 is a hexagonal hollow tube having a cross section as illustrated in FIG. 3, and the guide rollers 21 and 21 corresponding to the saddle column have a cross section of a bobbin shap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t is not. In order to fix the guide roller boxes 22 and 22 to the upper and lower frames 1 and 2, high information bolts 23 and 23 are installed.

실시예 1, 2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안장지주 5는 상, 하프래임 1, 2에 대하여서는 완전히 독립한 탄성현가관계를 유지하며, 탄사람의 전체중과 페달젓기운동의 모우멘트(Moment)를 안장지주 5가 지지하고 있으므로 전방차륜 24, 후방차륜 25의 상하진동에 대하여서도 이 안장지주 5는 스프링군 11…의 탄성변형 범위내에서는 상하로는 거의 움직이지 않으며 안장 3과 페달 7과의 상대관계는 일정하므로 탄사람의 페달젓기조작은 울룩불룩한 길에서도 항상 동일상태가 된다.In Examples 1 and 2, the saddle holder 5 maintains a completely independent elastic suspension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half laminations 1 and 2, and the moment of the whole man's middle and pedaling movements. (Moment) is supported by the saddle holders 5, so that the saddle holders 5 are spring groups 11... Even in the up and down vibrations of the front wheels 24 and the rear wheels 25. In the elastic deformation range of, almost no movement up and down, and the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addle 3 and the pedal 7 is constant, so the pedaling operation of the tanner is always the same even on a bulging road.

따라서 탄사람에게 안장 3을 사이에 두고 전달되는 진동은 충분히 차단됨은 물론 페달조작이 항시 일정하므로 요철이 심한 긴 길에서도 페달젓기의 리듬에는 빗나가는 일이 없게되어 피로를 거의 느끼지 않게되는 큰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person who rides between the saddle 3 is sufficiently blocked, and the pedal operation is always constant. Therefore, even in a long road with severe unevenness, the rhythm of pedaling is hardly missed and there is a big advantage that little fatigue is felt. .

이와 동시에 안장지주 5의 중량의 스프링군 11…을 사이에 두고 항상 전방차륜 24와 후방차륜 25를 노면에 누르고 있으므로 양차륜 24, 25와 요철노면과의 밀접성도 좋고 부상(浮上)됨이 없으므로 주행이 경쾌하게 되고 운동에너지의 손실도 적다.At the same time, the spring group 11... Of the weight of the saddle column 5. Since the front wheel 24 and the rear wheel 25 are always pushed on the road, the closeness between the two wheels 24 and 25 and the uneven road surface is good and there is no injury, so the driving is light and the kinetic energy loss is small.

제8도의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방차륜 24, 후방차륜 25가 상하동하고 이에 따라서 상, 하프래임 1, 2가 상하 진동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안장지주 5는 상, 하프래임 스프링수단 6에 의하여 탄성현가되어 있으므로 전기한 프래임 1, 2의 상하진동은 안장지주 5와는 독립하여 행하여지고 지주 5에는 진동을 전달하지 않게 된다.As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n FIG. 8, even when the front wheels 24 and the rear wheels 25 move up and down, and thus the upper and the half rims 1 and 2 oscillate up and down, the saddle holder 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 by the upper and the half rim spring means 6. Because of the suspension, the upper and lower vibrations of the frames 1 and 2 described above are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saddle holder 5 and do not transmit vibration to the prop 5.

다시 말하자면 상기의 진동은 안장지주 5의 위치를 본질적으로 변화시키지 않고 스프링수단 6을 압축시키거나 신장시킴으로써 실시된다. 따라서 지면에 대한 승자(乘者)의 상대위치는 도로의 요철면에 대하여서도 거의 일정하다.In other words, the vibration is effected by compressing or stretching the spring means 6 without essentiall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addle post 5. Therefore, the winner's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is almost constant with respect to the uneven surface of the road.

그리고 실시예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군 11…의 장력을 보울트 17…로 조정할 수 있게하면 체중의 차이가 있을때에 알맞은 스프링작용을 선택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체중이 가벼운 사람의 경우에는 스프링군 11…중의 일부를 훅크고리 16으로부터 미리 이탈시켜 두면 된다. 스프링 11은 가늘고 긴 유연한 탄력을 가진 탄력성강선이 적당하다.And spring group 11... Tension of bolt 17... This allows you to choose the right spring action for any weight difference. For example, if you are a light weight person, Some of these may be separated from hook ring 16 in advance. Spring 11 is suitable for elastic steel wire with long and flexible elasticity.

사람을 태운 안장지주 5가 받는 무게에 때라서 스프링군 11이 신장된 위치를 중립위치라고 한다면, 이 스프링군 11은 중립위치보다 상반 및 하방으로 거의 동일한 길이만큼 신축하면서 선, 후방차륜 24, 25의 상하진동을 흡수한다.If the position where the spring group 11 is extended is called the neutral position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saddle holder 5 carrying the person, the spring group 11 is stretched about the same length up and down than the neutral position, and the line, rear wheel 24, 25 Absorbs up and down vibrations.

실시예 1에 비하여 실시예 2의 경우는 안내로울 21, 22의 협지에 의하여 안장지주 5의 승강이 한층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compared with Example 1, it can be easily understood that in the case of Example 2,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saddle holder 5 can be made easier by the narrowing of the guide rollers 21 and 22.

실시예 3, 4에서는 앞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장지주 5의 축심의 둘레에서 일어나는 회동을 적극적으로 저지시키는 수단이 채택되어 특히 구동크랭크수단 4에 급격한 힘을 부여하여 회전시킬때 일어날 수 있는 상기의 회동을 방지하는 배려가 있다.In Embodiments 3 and 4, in the above embodiment, a means for actively preventing rotation occurring around the shaft center of the saddle holder 5 is adopted, and in particular, the above-mentioned force that can occur when rotating by applying a sudden force to the drive crank means 4 is described above. There is care to prevent rotation.

즉, 제4도에 도시된 탄성현가수단은 실시예 2의 것과 같으나 지주 5의 회동지지수단 26은 하단판 15와 하부프래임 2와의 사이에 연결한 요동레버 27로서 표시되어 있는바, 더욱 상술하면 제5도에서 하단판 15의 전단부에 축받이부 150, 150을 설치하고 평면 T형의 요동레버 27의 익편(翼片) 280의 중공부와의 축받이부 150, 150의 중공부 사이를 통하여 축핀 29를 삽통시키고 나사못 290, 290으로 축핀 29를 회동불능되게 고정시키고, 하단에 종장공(縱長孔) 300을 천설한 종(縱)레버 30을 하부프래임 2로부터 연출(延出)켜서 요동레버 27의 횡간 28의 일단을 이 종장공 300에 삽통 지지되게 한다.That is, the elastic suspension means shown in FIG. 4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but the pivot support means 26 of the strut 5 is marked as the swing lever 27 connected between the lower plate 15 and the lower frame 2. In Fig. 5, the bearing pins 150 and 150 ar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plate 15, and the shaft pins are interposed between the hollow parts of the bearing parts 150 and 150 with the hollow parts of the blade piece 280 of the flat T swing lever 27. Insert the 29 and fix the shaft pin 29 with screw 290, 290 so that it cannot be rotated, and the longitudinal lever 30 with the longitudinal hole 300 installed at the bottom is directed from the lower frame 2. One end of the interstitial 28 of 27 is inserted into this longitudinal hole 300.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안장지주 5의 승강에 대응하여 요동레버 27은 그 일단이 축핀 29로 피봇트되어 상하로 요동되고 한편으로 요동레버 27의 타단은 종장공 300의 공벽(孔璧)에 의하여 좌우가 협지될 수가 있다. 제6도에 표시된 실시예 4에서는 회동저지수단 26이 안장지주 5의 상부와 상부프래임 1 및 하단판 15와 하부프레임 2와의 각각에 연결한 상, 하 한쌍의 연결간 31, 32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더욱 상술하면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안장지주 5의 안장 3 바로 아래 부위를 죄고 있는 크램퍼(clamper) 33에 상부연결간 31의 후단분지부(分部) 310을 비봇트 34로 추착(樞着)시키고, 타측에서는 상부프래임 1, 1로부터 분지(分)스탠드 311, 311을 연출(延出)시켜 상기한 상부연결간 31의 전단과 스탠드 311, 311과를 피봇트 35에 의하여 추착하여 구성한다.In this way, the swing lever 27 pivots up and down with one end pivoted to the shaft pin 29 in response to the ascent of the saddle holder 5, while the other end of the swing lever 27 is pinched by a hollow wall of the longitudinal hole 300. Can be. In Example 4 shown in FIG. 6, the rotation stopping means 26 is configured using a pair of upper and lower pairs 31 and 32 connected to the upper and upper frames 1 and the lower plate 15 and the lower frame 2 of the saddle column 5, respectively. It is.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the rear end branch 31 of the upper connection to the clamper 33, which is clamped just below the saddle 3 of the saddle holder 5, Section 310 is extracted with a pivot 34 and branches from the upper frames 1 and 1 on the other side. ) The stand 311, 311 is directed to the front end 31 of the upper connection and the stand 311, 311 and the pivot by the pivot 35.

도면중 36은 크램퍼 33의 조작핀이며, 37은 피봇트 34의 고정나사못이다. 하부연결간 32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결간 31과 같은 구조를 하단판 15와 하부프래임 2, 2와의 사이에서 가지고 있다. 즉 하부프래임 2, 2로부터 분지스탠드 38, 38을 연설(延設)하고, 이 스탠드 38, 38에 다시 축보스(軸 boss) 39, 39를 설치하고 상부연결간 31의 전단에 설치한 축보스 40과 축보스 39, 39를 피봇트 41로 추착하며, 하부 연결간 32의 후단에 설치한 분지부 42와 하단판 15의 전단에 형성된 축받이부 43, 43과의 사이에 피봇트 44를 축가(軸架)하고, 하부연결간 32의 후단과 하단판 15를 추착토록하여 구성되어 있다. 45는 피봇트 44의 고정못나사이다.36 is a control pin of the clamper 33, 37 is a fixing screw of the pivot 34. The lower connecting rod 32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upper connecting rod 31 between the lower plate 15 and the lower frames 2 and 2,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basin stands 38 and 38 are protruded from the lower frames 2 and 2, and the shaft bosses 39 and 39 are again installed on the stands 38 and 38, and the shaft bosses are installed at the front end 31 of the upper connection. 40 and the shaft bosses 39 and 39 are extracted with the pivot 41, and the pivot 44 is placed between the bearings 43 and 43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plate 15 and the branch 42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32.軸 架), and the rea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32 and the lower plate 15 are crushed. 45 is the fixing screw of the pivot 44.

이 실시예에서는 안장지주 5의 상부와 하단판 15의 각각과, 상부프래임 1과 하부프래임 2를 양연결간 31, 32로 연결하고 있으므로 실시예 4의 경우에 비하여 안장지주 5의 회동저지기능은 더욱 배가하게 된다. 회동저지수단 26를 갖춘 이둘 두가지의 실시예의 의하면 페달을 밟고 역주할때의 회동이 저지되므로 안장 3은 원활하게 상하동하여 쾌적한 구동감을 얻을 수가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upper and lower plates 15 of the saddle column 5 and the upper frame 1 and the lower frame 2 are connected 31 and 32 between the two connections, the rotation stop function of the saddle column 5 is lower than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You will be more hungry. According to these two embodiments with the rotation stopping means 26, since the rotation when the pedal is sprinted is prevented, the saddle 3 can be smoothly moved up and down to obtain a comfortable driving feeling.

이상 실시예 1 내지 4는 안장지주의 "독립탄성현가기구"만을 채택한 자전거이나. 다음의 두가지 실시예는 이 안장지주에 조립시켜서 핸들을 전방차륜의 진동에 관하여서만(다만 선회성은 종전과 같음)독립시키도록 구성한 자전거에 관한 예들인바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Embodiments 1 to 4 are bicycles adopting only the "independent elastic suspension mechanism" of the saddle holder. The following two embodiments are examples of bicycles which are assembled to this saddle support so that the handle is independent only with respect to the vibration of the front wheels (but the turnability is the same as before).

(B) 실시예 5 및 6에서는 안장지주 5, 탄성현가수단은 지금까지의 실시예 1 내지 4(도면에서는 실시예2)의 것과 공통된 것이다. "핸들기구"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B) In Examples 5 and 6, the saddle holder 5 and the elastic suspension means are common to those of Examples 1 to 4 (Example 2 in the drawings). The "handle mechanism" is constructed as follows.

제9도, 제10도의 실시예 5에서는 이 핸들기구는 전방차륜 조작샤프트(헤드샤프트) 46으로부터 독립하여 전기한 안장지주 5에 후단을 연결하고 또한 헤드샤프트 46에 대하여 상하접동(摺動) 및 선회자재되게 연결된 주(主)핸들 47과 헤드샤프트 46에 결합된 좌우방향의 부(副)핸들레버 48과, 이 부핸들레버 48과 주핸들 47를 상하접동 및 선회자재되게 연결하는 핀결합수단 49로 구성된다.9 and 10, the handle mechanism connects the rear end to the saddle holder 5, which has been posted independently from the front wheel operation shaft 46, and is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head shaft 46. Left and right sub-handle levers 48 coupled to the swinging main handle 47 and the head shaft 46, and pin coupling means for connecting the sub-handle lever 48 and the main handle 47 up and down and swinging freely. Consists of 49.

더욱 상술하면 주핸들 47이 안장지주 5에 대하여 후단이 결합된 전후방향에 걸친 하나의 횡축50과 이 횡축 50의 전단에서 분지된 분지부 501과, 이 분지부 501에 수직으로 연출(延出)된 종설레버 502, 502에 회동자제되게 끼워진 한쌍의 종(縱)스리이브 51, 51과 이 스리이브 51, 51에 연결되어 좌, 우상방으로 각각 곡성(曲成)된 한쌍의 주핸들레버 471, 471과, 이 주핸들레버 471, 471의 손잡이 472.472가까이에 상방향으로 종설된 결합핀 473, 473과 상기 해드샤프트 46에 상하로 접동자재되게 끼워지고 또한 전기한 상방향으로 종스리이브 51, 51과 가교(架橋)된 연결구 52들에 의하여 구성되며 부핸들레버 48은 T형의 레버로서 그 양측단에 결합된 473, 473을 유동적으로 끼울 수 있는 긴 타원형의 핀공 481, 481이 천설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in handle 47 extends perpendicularly to one branch axis 501 branched at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axis 50 along one horizontal axis 5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re the rear end is coupled with respect to the saddle column 5, and the branch part 501 perpendicularly. A pair of longitudinal saves 51, 51 fitted to the vertical closing levers 502, 502, and a pair of main handle levers 471, respectively, b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be connected to the save 51, 51, respectively. And 471, and the engagement pins 473, 473 vertically extended close to the handle 472.472 of the main handle levers 471, 471 and vertically sliding on the head shaft 46, and also the longitudinal sleeve 51, It is composed of 51 connecting bridges 52. The subhandle lever 48 is a T-shaped lever with long elliptical pinholes 481 and 481 that can flexibly fit 473 and 473 coupled to both ends. .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해드샤프트 46의 상하진동은 일단 부핸들레버 48에 전달되나, 이 부핸들레버 48과 주핸들 47은 결합핀 473, 473과 핀공 481, 481과의 상하접동자재한 감합에 의하여 또한 동시에 해드샤프트 46과 연결구 52와의 접동자재한 감합때문에 상기의 부핸들레버 48의 진동은 결국 주핸들 47에는 전달되지 않게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pper and lower vibrations of the head shaft 46 are first transmitted to the subhandle lever 48. However, the subhandle lever 48 and the main handle 47 are connected by the up-and-down movement of the coupling pins 473, 473 and the pinholes 481, 481. At the same time, due to the sliding fit between the head shaft 46 and the connector 52, the vibration of the sub handle lever 48 is not transmitted to the main handle 47.

그러나 주핸들 47이 종설샤프트 502, 502의 주위를 선회하게 되면 이 선회력은 핀결합수단 49를 통하여 부핸들레버 48로부터 해드샤프트 46에 전달되어 전방차륜 24의 핸들조작을 가능하게 한다.However, when the main handle 47 pivots around the vertical shafts 502, 502, this turning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sub-handle lever 48 to the head shaft 46 through the pin coupling means 49 to enable the steering operation of the front wheel 24.

이와 같은 기능에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운전자는 자신의 몸과 손이 일체적으로 스프링수단 6에 의하여 프레임 1, 2에 대하여 현가된 상태가 되므로, 노면의 요철에 의한 상하진동은 운전자의 몸뿐만 아니라 손까지에도 전달되는 일이 없게되어 극히 쾌적한 기분을 느낄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has his body and hands integrally suspended with respect to the frames 1 and 2 by the spring means 6, so that the up and down vibration due to the unevenness of the road surface is not only the body of the driver. You won't be delivered to your hands, so you can feel extremely comfortable.

실시예 6에서는 이와 같은 핸들기구에 대하여 다시 핸들의 회전진동이 없도록 도모한 것이다. 제11도 및 제12도는 핸들진동방지수단 53을 나타내고 있다(여기서 진동이라함은 주로 흔들림을 말하는 것임). 이 수단 53은 전기한 횡축 50과 분지부 501, 501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횡축 50 및 분지부의 기간(基幹) 5010위에 접설된 볼베어링 캐이스 54와 이 볼베어링캐이스 54를 내측에 전접(轉接)시키기 위하여 상, 하프래임 1, 2사이에 안장지주 5와 같은 각도로 종설한 좌우 한쌍의 안내간 55, 56을 포함한다.In the sixth embodiment, the handle mechanism is prevented from rotating again. 11 and 12 show the handle vibration preventing means 53 (where vibration refers mainly to shaking). This means 53 is provided between the aforementioned horizontal axis 50 and the branch portions 501 and 501, and indirectly inverts the ball bearing casing 54 and the ball bearing casing 54 which are placed on the period 5010 above the horizontal axis 50 and the branch portion. (轉接) includes a pair of guide bars 55 and 56 arranged at an angle equal to the saddle post 5 between the upper and the half laminations 1 and 2.

제12도에 의하여 더욱 상술하면 횡축 50의 일단은 내면에 암나사 504가 형성된 중공판 50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기간 5010의 외주에는 숫나사 5011이 형성되어 있다.12, the one end of the horizontal axis 50 is comprised by the hollow plate 503 with the internal thread 504 formed in the inner surface, and the male thread 5011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eriod 5010 mentioned above.

이 숫나사 5011에 대응하는 암나사 571을 가진 봇싱 57이 볼베어링캐이스 54의 안쪽레이스 541속에 끼워지고 이 봇싱 57의 암나사 571이 상기의 기간 5010의 숫나사 5011과 나합되고 그 기간 5010의 타단이 이 봇싱 57밖으로 돌출되어 있다.A botcing 57 with a female thread 571 corresponding to this male thread 5011 is inserted into the inner race 541 of the ball bearing casing 54 and the female thread 571 of the botcing 57 is combined with the male thread 5011 of the above period 5010 and the other end of the 5010 period out of the botcing 57 It protrudes.

이 숫나사 5011에 의하여 상기한 중공판 503 및 봇싱 57이 고정된다. 58은 볼베어링이다.The hollow plate 503 and the botsing 57 are fixed by this male screw 5011. 58 is a ball bearing.

좌우 한쌍의 안내간 55, 56은 상부프레임 1, 1 및 하부프레임 2, 2사이에 가교된 형판으로 되어있으며, 그 내면과 상기한 볼베어링캐이스 54의 바깥레이스 542와의 사이에는 근소한 간극을 남기고 있다.The left and right pairs of guide sections 55 and 56 are cross-linked templates between the upper frames 1 and 1 and the lower frames 2 and 2, leaving a slight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race 542 of the ball bearing casing 54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심한 요철노면 때문에 또는 구동크랭크수단 4에 급격한 구동력을 주었기 때문에 만일 안장지주 5가 상하동할때에도 볼베어링캐이스 54가 안내간 55, 56중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찰되어 회전하여 상하동이 원활하게 행하여지게 되므로 핸들특성과 구동특성이 좋아지는 이점을 나타낼수가 있다.Because of this configuration, because of the uneven road surface or sudden driving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crank means 4, even when the saddle holder 5 moves up and down, the ball bearing casing 54 is engaged with one or both of the guides 55 and 56 and rotates smoothly. Since this is done, the handle characteristics and driving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이상 본 고안에 관하여 여러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상에서 예시한 구조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며,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의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의 각종 대체, 부가, 변경 및 삭제등이 그 구조상 채용될 수가 있는 것이다.Although various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exemplified above, and various substitutions, additions, changes, deletions, etc.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This structure can be employed.

본 고안의 10가지 특징을 요약하여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te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1) 상, 하부프래임 1, 2로부터 독립하여 상단에 안장 3을 하단에 구동크랭크수단 4를 각각 착설한 안장지주 5와, 이 안장지주 5를 상부프래임 1로부터 탄성현가하는 기구(機構)로 구성되며, 구동크랭크수단 4는 공지의 족답크랭크 7, 크랭크하우징 8 및 체인기어 9를 포함하며, 탄성현가수단은 안장지주 5를 상, 하 프래임 1, 2에 대하여 걸어내린(懸吊) 복수개의 스프링군 11로된 스프링수단 6을 포함한다.(1) The saddle holders 5, each having a saddle 3 at the upper end and a driving crank means 4 at the lower end independently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 and 2, and a mechanism for elastically suspending the saddle holder 5 from the upper frame 1 as a mechanism. The driving crank means 4 includes a known stepping crank 7, a crank housing 8 and a chain gear 9, and the elastic suspension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saddle posts 5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frames 1 and 2. A spring means 6 of spring group 11;

(2) 상기 승강수단 10은 수평방향으로 둘로 분지된 상부프래임 1과 하부프래임 2와의 사이에 종설된 상기한 안장지주 5에 대하여 상부프래임 1, 1과 하부프래임 2, 2가 각각으로부터 연결된 한쌍의 연결간 31, 32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스프링수단 6은 상부프래임 1, 1에 고정된 상단판 14와 안장지주 5의 구동크랭크수단 4의 바로 위에 고정한 하단판 15와 이들 상, 하 양단판 14, 15사이에 상, 하단을 각각 훅크고리 16에 연결시켜서 적어도 안장지주의 좌우의 대칭위치에 배치한 복수조의 스프링군 11로 구성한다.(2) The elevating means 10 is a pair of upper frames 1, 1 and lower frames 2, 2 connected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addle column 5 described above between the upper frame 1 and the lower frame 2 divided in two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pring means 6 comprises the upper plate 14 fixed to the upper frames 1 and 1, and the lower plate 15 fixed directly above the drive crank means 4 of the saddle holder 5, and the upper and lower end plates 14.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ts of spring groups 11 which are connected to hook hooks 16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and are arranged at least in symmetrical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addle column.

(3) 상단판 14가 상부프래임 1, 1에 대하여 스프링군 11의 신축방향으로 진퇴자재될 수 있게 한다.(3) Allow the top plate 14 to retract in the stretch direction of spring group 11 with respect to upper frames 1 and 1.

(4) 승강안내수단 10은 상부프래임 1, 1과 하부프래임 2, 2와의 사이에 기교된 외관 20과 이의관 20속에 삽입된 안장지주 5를 좌우에서 협지하는 안내로울 21, 21을 내장하여 상부프래임 1, 1과 하부프래임 2, 2에 고정된 상, 하 한쌍의 안내로울박스 22, 22로 구성되며, 스프링수단 6은 상부프래임 1, 1에 고정된 상단판14와 안장지주 5의 구동크랭크수단 4의 바로 위에 고정한 하단판 15와, 이들 상, 하 양단판 14, 15사이에 상, 하단을 각각 훅크고리 16으로 연결시켜서 적어도 안장지주 5의 전후의 대상위치에 배치된 복수조의 스프링군으로 구성한다.(4) The elevating guide means 10 includes an upper frame 1, 1 and a lower frame 2, 2, the upper frame having built-in guide rollers 21 and 21 which sandwich the left and right saddle posts 5 inserted into the object tube 20 from left and right. 1, 1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guide roller boxes 22, 22 fixed to the lower frames 2, 2, the spring means 6 is a drive crank means of the upper plate 14 and the saddle holder 5 fixed to the upper frames 1, 1 The upper and lower end plates 15 fixed immediately above 4 and the upper and lower end plates 14 and 1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hook hooks 16, and a plurality of sets of springs arranged at the target positions before and after the saddle column 5, respectively. Configure.

(5) 상, 하부프래임 1, 2로부터 독립하여 상단에 안장 3을 하단에 구동크랭크수단 4를 각각 착설한 안장지주 5와, 이 안장지주 5를 상부프래임 1, 1로부터 탄성현가하는 수단과, 현가상태의 안장지주 5를 상기한 프래임에 대하여 비회동적으로 유지시키는 회동지지수단 26으로 이루어지며, 구동크랭크수단 4는 공지의 족답크랭크 7, 크랭크하우징 8 및 체인기어 9를 포함하며, 탄성현가수단은 안장지주 5로 상, 하 프래임 1, 2에 대하여 승강안내하는 수단 10과, 이 안장지주 5의 무게에 대항하여 이것을 상부프래임 1, 1로부터 탄성현조(懸吊)하는 복수개의 스프링수단 6을 포함하며, 회동저지수단 26은 안장지주 5의 승강은 허용하나 안장지주의 축의 둘레에 회동을 저지시킬 수 있도록 안장지주 5와 상, 하부르래임 1, 1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연결한 요동레버 27 내지 한쌍의 연결간 31, 32를 포함한다.(5) a saddle holder 5 having a saddle 3 at the top and a driving crank means 4 at the lower end independently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 and 2, and a means for elastically suspending the saddle holder 5 from the upper frames 1 and 1; It consists of a rotating support means 26 for holding the saddle holder 5 in suspension state with respect to the above frame, the drive crank means 4 including a known stepping crank 7, a crank housing 8 and a chain gear 9, and an elastic suspension means. Is a means for guiding the lower and upper frames 1 and 2 to the saddle holder 5, and a plurality of spring means 6 elastically suspended from the upper frames 1 and 1 against the weight of the saddle holder 5. Rotating stop means 26 includes a swing lever connected to the saddle holder 5 and one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1, 1, or both, to allow lifting of the saddle holder 5, but to prevent rotation around the axis of the saddle holder.27 to 31, 32 between a pair of connections.

(6) 승강안내수단 10은 상부프래임 1, 1과 하부프래임 2, 2와의 사이에 가교한 외관 20과, 이 외관 20내에 삽입된 안장지주 5를 좌우에서 협지하는 안내로울 21, 21를 내장하며, 상부프래임 1, 1과 하부프래임 2, 2에 고정된 한쌍의 안내로울박스 22, 22로 구성되며, 스프링수단 6은 상부프래임 1, 1에 고정된 상단판 14와 안장지주 5의 구동크랭크수단 4의 바로위에 고정한 하단판 15와 이들 상, 하 양단판 14, 15사이에 상, 하단을 각각 훅크고리 16으로 연결하여 적어도 안장지주 5의 좌우의 대칭위치에 배치된 복수조의 스프링군 11으로 구성되며, 회동저지수단 26이 하단판 15의 일단을 추착(樞着)시켜서 상하요동이 자재되게하고,타단이 하부프래임 2, 2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출(延出)된 레버 30의 종장공(縱長孔) 300속을 유동성있게 삽통되고 있는 요동레버 27로 이루어진다.(6) The elevating guide means 10 includes an exterior 20 bridged between the upper frames 1 and 1 and the lower frames 2 and 2, and guide rollers 21 and 21 which sandwich the saddle column 5 inserted in the exterior 20 from right and left. And a pair of guide roller boxes 22 and 22 fixed to the upper frames 1 and 1 and the lower frames 2 and 2, and the spring means 6 comprises the driving crank means of the upper plate 14 and the saddle holder 5 fixed to the upper frames 1 and 1. The upper and lower end plates 15 fixed directly above 4 and the upper and lower end plates 14 and 1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hook hooks 16, and a plurality of sets of spring groups 11 arranged at symmetrical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addle column 5, respectively. The rotation stopping means 26 is configured to chuck one end of the lower plate 15 so that the up and down fluctuations are free, and the other end of the lever 30 with the other end directed downward from the lower frames 2 and 2.長 孔) A rocking lever 27 that is flexibly inserted through 300 speeds. .

(7) 회동저지수단 26은 안장지주 5의 안장 3 바로 아래로부터 상부프래임 1, 1에 연결한 연결관 31과 하단판 15로부터 하부프래임 2, 2에 연결한 하부연결관 32로 이루어진다.(7) The pivot stopping means 26 consists of a connector 31 connected to the upper frames 1, 1 directly below the saddle 3 of the saddle holder 5 and a lower connector 32 connected to the lower frames 2, 2 from the bottom plate 15.

(8) 상, 하부프래임 1, 2로부터 독립하여 상단에 안장 3을 하단에 구동크랭크수단 4를 각각 천설한 안장지주 5와, 이 안장지주 5를 상부프래임 1, 1로부터 탄성현가하는 기구와, 전방차륜 조작샤프트 즉 해드샤프트 46으로부터 독립하여 안장지주 5에 후단을 연결시키고 또한 해드샤프트 46에 대하여 상하접동 및 선회자재되게 연계된 주핸들 47과, 해드샤프트 46에 결합된 좌우방향의 부핸들레버 48과 이부핸들레버 48과 주핸들 47을 상하접동 및 선회자재되게 연계하는 핀결합수단 49로 이루어지며, 구동코랭크수단 4는 공지의 족답크랭크 7, 크랭크하우징 8 및 체인기어 9를 포함하며, 탄성현가기구는 안장지주 5를 상, 하부프래임 1, 2에 대하여 승강안내시키는 수단 10과, 이 안장지주 5의 무게에 대항하여 이것을 상부프래임 1, 1로부터 탄성현조하는 복수개의 스프링수단 6을 포함하여 구성한다.(8) a saddle column 5 having a saddle 3 at the top and a drive crank means 4 at the lower end independently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 and 2, and a mechanism for elastically suspending the saddle column 5 from the upper frames 1 and 1; Main handle 47 connected to the rear end to the saddle holder 5 independently of the front wheel operation shaft, that is, the head shaft 46, and connected up and down and pivotally with respect to the head shaft 46,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heel levers coupled to the head shaft 46. It consists of a pin coupling means 49 for connecting the 48 and the second handle lever 48 and the main handle 47 up and down and swinging material, the drive corank means 4 includes a known step crank 7, crank housing 8 and chain gear 9, The elastic suspension mechanism includes a means 10 for guiding the saddle column 5 up and down relative to the upper and lower frames 1 and 2, and a plurality of slams which elastically suspe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1 and 1 against the weight of the saddle column 5. And comprising: a ring means 6.

(9) 주핸들 47이 안장지주 5에 대하여 후단이 결합된 전후방향에 걸친 하나의 횡축 50과, 이 횡축 50의 전단에서 분지된 분지부 501과, 이 분지부 501에 수직으로 연출된 종설레버 502, 5502에 회전자재되게 끼워진 한쌍의 종스리이브 51, 51과 이 종스리이브 51, 51에 연결되어 좌, 우 상방으로 각각 곡성된 한쌍의 주핸들레버 471, 471과 주핸들레버 471, 471의 손잡이 472, 472 가까이에 상방향으로 종설된 결합핀 473, 473과 또한 전기한 한쌍의 종스리이브 51, 51에 가교시킨 연결구 52로 구성되며, 부핸들레버 48은 T형의 레버이며 그 양측단에 결합핀 473, 473을 유동적으로 끼울 수 있는 긴 타원형의 핀공 481, 481을 천설하여 상기의 핀과 결합시킨다.(9) A horizontal axis 5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which the main handle 47 is coupled to the saddle column 5, a branch portion 501 branched at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axis 50, and a vertical lever perpendicular to the branch portion 501. A pair of longitudinal stems 51 and 51 rotatably fitted to the 502 and 5502, and a pair of primary handle levers 471 and 471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sleeves 51 and 51, respectively, curved left and right, and the primary handle levers 471 and 471. The handles 472, 472 of the coupling pins 473, 473 extending upwards, and also a coupler 52 bridged to the pair of longitudinal stems 51, 51 described above. The subhandle lever 48 is a T-shaped lever and both sides thereof. At the end, a long oval pin hole 481, 481,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ins 473, 473 fluidly, is laid and coupled with the pin.

(10) 상기 횡축 50과 분지부 501의 사이에 핸들회전진동 방지수단 53을 다시 구비토록하며, 이 핸들진동방지수단 53을, 상기 횡축 50과 분지부기간 5010의 연결부위 외측을 볼베어링캐이스 54로 둘러싸고 이볼베어링케이스 54를 내측에 전접(轉接)시키기 위하여 상, 하부레임 1, 2사이에 수직으로 가교시킨 좌우 한쌍의 안내간 55, 56을 설치한다.(10) A handle rotation vibration preventing means 53 is provided again between the horizontal axis 50 and the branch portion 501, and the handle vibration preventing means 53 is connected to the ball bearing casing 54 with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horizontal axis 50 and the branch portion period 5010. In order to enclose the e-ball bearing case 54 inside, a pair of guide bars 55 and 56 between right and left are vertically cross-link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ails 1 and 2.

Claims (1)

상, 하부프레임(1), (2)으로부터 독립하여 상단에 안장(3)을 그리고 하단에 구동크랭크수단(4)을 각각 착설한 안장지주(5)와, 이 안장지주(5)를 상기한 상부프레임(1)(1)으로부터 탄성적으로 현가(懸吊)하는 스프링수단(6)과 승강안내수단(10) 및 상기한 안장지주(5)의 축심둘레의 회동을 저지하는 수단(26)으로 구성된 탄성현가기구와, 헤드샤프트(46)으로부터 독립하여 안장지주(5)에 후단을 연결하고 또한 헤드샤프트(46)에 대하여 상하접동(摺動) 및 선회자재되게 연결한 주(주)핸들(47)과, 헤드샤프트(46)에 결합된 좌우 방향의 부(副)핸들레버(48)와 주핸들(47)을 상하접동 및 선회자재되게 연결하는 핀결합수단(49)과 그리고 횡축(50)과 분지부(501), (502)사이에 핸들진동 방지장치(53)를 설치하여 구성된 핸들기구의 2개 기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The saddle support 5 and the saddle support 5 having the saddle 3 at the top and the driving crank means 4 at the bottom, respectively, independent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 and 2, are described. Spring means (6) elastically suspended from the upper frame (1) (1) and lifting means (10) and means (26)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axial circumference of the saddle column (5). An elastic suspension mechanism composed of a main body and a main handle which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addle support 5 independently of the head shaft 46 and connected to the head shaft 46 vertically and pivotally. (47), pin coupling means (49) fo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sub-handle lever (48) and the main handle (47) coupled to the head shaft (46) up and down and pivotally, and the horizontal axis ( A bicycle, comprising: two mechanisms of a handle mechanism formed by installing a handle vibration preventing device 53 between 50 and a branch part 501, 502.
KR2019830000293U 1977-05-24 1983-01-14 bicycle KR83000030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0293U KR830000307Y1 (en) 1977-05-24 1983-01-14 bicy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70001233 1977-05-24
KR2019830000293U KR830000307Y1 (en) 1977-05-24 1983-01-14 bicyc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70001233 Division 1977-05-24 1977-05-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07Y1 true KR830000307Y1 (en) 1983-03-10

Family

ID=2662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0293U KR830000307Y1 (en) 1977-05-24 1983-01-14 bicy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30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0820A (en) Pedal drive
US4712790A (en) Cycle exerciser
US3940128A (en) Exercising apparatus
JP3717180B2 (en) Bicycle hand drive device
US5403027A (en) Bicycle with folding frame
CA1207352A (en) Tricycle
US4118045A (en) Bicycle
KR20160012119A (en) Improvements made to elliptical drive mechanisms and steering mechanisms applied to velocipedes in general
US3921467A (en) Drive system for cycle
JP6872831B2 (en) Squat exercise bike
KR830000307Y1 (en) bicycle
RU2769844C1 (en) Bicycle saddle with several degrees of freedom
CN107878608B (en) Riding seat with labor-saving and riding comfort level improving functions
CN110979538A (en) Self-balancing pedal for bicycle
FR1271191A (en) Improvements to rehabilitation devices
KR20090021633A (en) Saddle structure and bicycle adopting the same
KR101106760B1 (en) Support wheel of bicycle
ITUB20154760A1 (en) Split saddle for bicycle.
CN2160601Y (en) Chain gear type bicycle driven by hands and feet at same time
CN212267746U (en) Self-balancing pedal for bicycle
CN204623741U (en) A kind of driving device for bicycle
ITMI970128A1 (en) BICYCLE WITH MEANS TO ALSO DRIVE THE FRONT WHEEL
CN212313756U (en) Motorcycle pedal connecting rod opening structure
CN219029650U (en) Single-wheel bicycle
CN114210026B (en) Recovery branch of academic or vocational study is with tensile recovery equipment of multi-functional a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