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180B1 -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 - Google Patents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180B1
KR830000180B1 KR1019790004147A KR790004147A KR830000180B1 KR 830000180 B1 KR830000180 B1 KR 830000180B1 KR 1019790004147 A KR1019790004147 A KR 1019790004147A KR 790004147 A KR790004147 A KR 790004147A KR 830000180 B1 KR830000180 B1 KR 830000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index
signal
color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4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쯔오 이소노
Original Assignee
이와마 가즈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마 가즈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to KR1019790004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2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using the same beam for more than one primary colour information
    • H04N9/24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using the same beam for more than one primary colour information using means, integral with, or external to, the tube, for producing signal indicating instantaneous beam posi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인덱스 신호증폭기의 한가 지실시예의 계통도.
제2도는 제1도에 사용될 수 있는 국부발진기의 한가지 실시예의 계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계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계통도.
제5도는 제3 및 4도내에 도시된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비임 주사속도 변조기의 개략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계통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계통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사용될 수 있는 비임인덱스 방식 텔레비젼 수상기의 일부분의 계통도.
본 발명은 비임 인덱스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하는 인덱스 신호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가지 비임 인덱스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되도록 표준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인덱스 신호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비임 인덱스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는 음극선관(CRT)의 표시 스크린 상에 형성시킨 칼라 형광 화소들에 주사되는 단일 전자 비임을 갖는 음극선관(CRT)으로 구성되며, 이 주사 전자 비임은 비임이 각각의 칼라화소들에 주사될 때 적당한 칼라 정보로 변조된 것이다. 이것은 각 비임이 연관된 칼라 정보로 변조됨으로서 3개의 개별전자 비임들이 동시에 칼라 형광 스트립에 주사되는 종래의 칼라 CRT와 다르다.
비임 인덱스 칼라 텔레비젼 수신기에서, 인덱스 신호는 전자 비임의 주사와 일치하는 동기에 맞게 발생되며, 이 인덱스 신호는 적당한 칼라 정보가 적당한 시간에 단일비임을 변조하도록 스위칭되는 칼라 스위칭회로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즉, 단일비임이 적색화소에 주사될때 적색정보는 비임 밀도를 변조시키도록 스위칭되며, 그 다음 비임 이 녹색화소에 주사될 때 녹색 정보는 비임 밀도를 변조시키도록 스위칭되며, 그 다음 비임이 청색화소에 주사될때 청색정보는 비임 밀도를 변조시키도록 스위칭된다. 칼라 스-칭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인덱스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CRT는, 표시 스크린에 또는 그 근처에 배열된 특수 형광 스트립들과 같은 인덱스 스트립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인덱스 스트립들은 비임이 칼라 형광화소들에 주사될 때 표시된다. 이들 인덱스 스트립들은 균일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각각은 비임이 그위에 주사될 때 광을 발하도록 주사 비임에 의해 여기된다. 광검출기가 주사된 각각의 인덱스 스트립들에 의해 방출된 광을 수신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이 광검출기는 일반적으로 CRT의 관 표면 위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비임이 라-스터를 주사할 때 광검출기는 비임의 주사속도와 인덱스 스트립피치(pitch)의 함수인 인덱스 주파수를 갖는 인덱스 신호를 발생시킨다. 광검출기로부터 유도된 이 인덱스 신호가 칼라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도록 사용되므로써 적당한 칼라 정보는 비임의 각 주사 소인선 기간중 적당한 시간에 비임 밀도를 변조시키도록 스위치 된다.
일반적으로 광검출기에 의해 발생된 인덱스 신호의 진폭은 너무 작아 칼라 스위칭 동작을 적당히 제어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인덱스 신호를 증폭시킬 필요가 있다. 이 증폭은 중심 주파수가 소정의 인덱스 주파수와 동일한 대역통과 증폭기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나 발생된 인덱스 신호를 적당히 증폭시키기 위해서는 약 60dB 정도로 증폭기의 이득이 비교적 높아야만 한다. 인덱스 신호의 비교적 높은 주파수에서 이러한 증폭기의 높은 이득은 증폭된 인덱스 신호가 이증폭기의 입력으로 다시 입력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한 궤환작동을 하게되어 부궤환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것은 증폭기의 바람직하지 못한 발진을 초래한다. 결국, 그러한 발진은 적당한 인덱스 신호를 방해하므로서 CRT의 칼라 스위칭회로에 오차를 일으키게 한다.
광검출기에 의해 발생된 인덱스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간단한 증폭기를 사용할 때의 다른 단점은 인덱스 신호의 주파수가 어느 한 수상관에 일치하는 주파수로부터 다른 수상관에 일치하는 주파수로 변화시키는데 있다. 예를들면, CRT의 크기 즉, CRT의 표시 스크린이 커지게 될 경우 전자비임의 주사속도는 마찬가지로 증가되며, 인덱스 스트립의 피치(pitch)가 동일하게 유지될 경우, 인덱스 신호의 주파수는 증가 된다. 그결과로서, 인덱스 주파수는 대역통과 증폭기의 중심 주파수와 일치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당히 큰 음극선관에는 별도의 대역통과 증폭기가 설치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상이한 대역통과 증폭기들이 비임 인덱스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크기의 CRT에 설치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더우기 동일 크기의 CRT라 할지라도, 하나의 수상관과 다른 수상관간의 물리적 매개변수들의 차는 그 크기에 해당하는 상이한 인덱스 주파수들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상이한 중심 주파수들에 동조되는 통과대역 증폭기들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들 때문에 모든 비임인덱스 CRT에 사용하기 위한 대역통과 증폭기의 바람직한 표준화를 기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만 된다. 결론적으로, 상이한 증폭기들이 상이한 수상관들에 대하여 설계되어야만 되기 때문에, 그러한 비임 인덱스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를 제조 및 조립하는 비용이 비교적 비싸게 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임 인덱스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인덱스 신호 증폭기를 제공하므로서 상기의 문제점 및 단점들을 제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사 어떠한 음극선관의 인덱스 신호 주파수가 다른 음극선관의 것과 다를지라도 각양각색으로 상이한 유형의 비임 인덱스 음극선관에 사용될 수 있는 표준화된 인덱스 신호증폭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증폭된 인덱스 신호가 비임 인덱스 음극선관과 연관된 교정 인덱스 주파수를 가진체로 유도되는 인덱스 신호증폭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덱스 신호를 변동시키는 비임의 주사속도에서의 변동이 검파되고 교정되게한 비임 인덱스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인덱스 신호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덱스 신호로부터 유도되는 신호를 공급받는 대역통과 증폭기로 이루어진 비임 인덱스 칼라 텔레비젼에 사용하기 위한 인덱스 신호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여기서 유도신호는 인덱스 주파수에서의 변화에 무관한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다.
본 발명의 기타 여러 목적, 장점 및 특징은 앞으로 설명될 상세한 명세서에서 명백히 밝혀질 것이며 특히 신규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명시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덱스 신호 증폭기는 전자비임에 의해 주사되도록 배치된 인덱스 스트립을 갖는 음극선관과 같은 영상 재생기와, 인덱스 주파수를 갖는 인덱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각 인덱스 스트립들이 비임에 의해 주사될때 검파용 광검출기로 이루어진 유형의 비임 인덱스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용으로 제공된다. 국부발진기는 혼합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인덱스 신호와 혼합되는 국부발진 신호를 발생시킨다. 혼합신호는 대역통과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며, 그 다음 이 증폭혼합 신호는 인덱스 주파수를 갖는 증폭된 인덱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국부발진 신호와 혼합된다. 바람직하게는 국부발진기는 그와 함께 사용되는 음극선관의 특성을 “접합”시키기 위하여 국부발진 신호 주파수를 변화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음극선관의 특성 때문에 인덱스 신호의 주파수가 다른 음극선관에서 발생된 주파수와 다른 경우 국부발진 주파수는 대역통과 증폭기에 공급되는 혼합신호가 일정한 소정 주파수를 나타내도록 변화될 수 있다. 이것은 대역통과 필터가 그와 함께 사용되는 특정한 음극선관에 무관한 표준화된 통과 대역과 이득을 가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며 하나의 검출기가 전자비임의 주사속도의 변동으로 인해 있을 수 있는 바와 같이 인덱스 신호와 주파수 변동을 검출하도록 하여 주파수의 이러한 변동을 교정하도록 제공된다. 한실시예에서는, 비임 주사속도가 그의 소정 주파수로 인덱스 신호 주파수를 설정시키도록 교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국부발진 신호의 주파수는 인덱스 주파수가 변화됐을 지라도 대역통과 증폭기에 공급되는 혼합신호의 주파수는 동일하게 남아있도록 변동된다.
지금부터 도면을 참고하면, 동일한 참조번호는 제1도에 도해된 본 발명의 인덱스 신호 증폭기의 한가지 실시예 전체에 걸쳐 사용된다. 비임 인덱스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되는 이러한 증폭기에 대해서는 제8도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비임 인덱스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의 더욱 상세한 설명은 (미국특허원 제78206호)에서 볼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혼합단 10, 대역통과 증폭단(20)과 출력 혼합기(30)으로 구성된다. 혼합단(10)은 동시 계류중인 상기 출원서에서 설명된 비임 인덱스 칼라 음극선관에 제공되는 통상적인 광검출기에 의해 발생된 인덱스 신호를 국부발진 신호와 혼합하거나 또는 헤테로 다인방식으로 신수하도록 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혼합단은 광검출기(11)에 결합된 한 입력과 국부발진기(13)에 결합된 다른 입력을 갖는 혼합기(12)로 구성된다. 광검출기는 인덱스 주파수 fi의 인덱스 신호를 혼합기(12)로 공급한다. 국부 발진기(13)은 그에 의하여 발생된 국부발진 신호의 주파수가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도록 발생기를 바람직하게 조정시킬 수 있다. 이것을 시행하기 위해, 국부발진기(13)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변저항(14)에 연결된다. 국부발진 신호의 주파수는 가변 저항기의 설정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혼합기(12)는 인덱스 주파수 fi의 인덱스신호를 혼합 fI신호로 발생시키도록 국부발진신호 주파수 f1과 혼합한다. 혼합기(12)는 혼합된 신호의 상하 측파대들을 발생시키도록 종래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측파대는 혼합된 신호 주파수의 합과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며 하측파대는 혼합된 신호 주파수들간의 차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다. 상측파대는 혼합된 신호 주파수 fI=fi+f1이 되도록 혼합기(12)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혼합된 신호는 대역통과 증폭단(20)에 공급된다.
대역통과 증폭단의 목적은 혼합기(12)로부터 수신된 혼합된 신호의 적당한 증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대역통과 증폭기는 소정의 혼합신호 주파수 f1를 중심주파수로 한 제한된 통과대역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우기, 대역통과 증폭기의 이득은 실제로 일정한 진폭의 증폭 혼합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비교적 높게 선택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대역통과 증폭단은 대역통과 여파기(21)과 리미터 증폭기(22)로 구성된다. 대역통과 여파기(21)은 통과 대역이 혼합신호 주파수 fI를 중심주파수로 하고 이 통과대역의 외측에 있을 수 있는 소위 방해 주파수를 감쇠시키도록한 종래의 구조일 수 있다. 대역통과 여파기(21)의 통과대역 특성은 비교적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리미터 증폭기(22)는 인덱스 신호에 나타나고 혼합기(12)에 의해 발생된 혼합 신호로 증폭되게한 진폭변조 성분을 억제하도록 한다.
더우기, 광검출기(11)에 의해 발생되는 인덱스신호의 진폭이 전자 비임 전류의 세기 혹은 레벨에 의해 결정되고, 또한 이 비임 전류레벨이 예를들어 약 1마이크로 암페어로부터 1000마이크로 암페어까지 혹은 인수 1000을 갖는 범위이상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인덱스 신호 진폭의 유사범위는 리미터(22)에 의하여 결정되어야만 한다.
혼합기(12)에 의해 발생되는 혼합신호의 진폭은 인덱스 신호의 진폭이 변동하는데 따라 변화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리미터(22)는 비록 인덱스 신호가 상기의 범위이상 넓게 변화할 수 있다 할지라도 일정한 진폭의 증폭신호, 즉 혼합신호를 발생하도록 적당한 이득 또는 증폭레벨을 나타내야만 한다. 상기에 의해, 리미터(22)는 약 60dB의 리미터 특성 혹은 이득을 갖는다. 혼합신호 주파수 fI로서 사용하기 위한 증폭기 리미터 회로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리미터 증폭기의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만일 리미터 증폭기(22)가 약 60dB의 이득을 나타낼 경우, 대역통과 여파기 (21)은 가능한 주파수 방해에 대해 약 60dB의 감쇠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여파 특성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대역통과 증폭기(12)에 의해 생성되고 리미터 증폭기(22)로부터 유도되는 증폭 혼합신호 fI는 국부발진기(13)에 의해 발생된 발진신호 주파수 f1과 함께 출력혼합기 (30)에 공급된다. 출력혼합기는 그에 공급되는 입력신호를 헤테로다인 방식으로 수신하도록 종래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는 헤테로다인 신호의 하측파대를 수신한다. 따라서, 혼합기(30)의 출력은 인덱스 주파수 fi=fI-f1의 증폭 인덱스신호이다. 즉, 상측파대가 혼합기(12)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하측파대는 출력혼합기(30)으로부터 선택되며, 그 반대의 작용도 이루어진다.
제1도에 도시된 인덱스 신호 증폭기의 작용에 대한 대표적인 주파수는 광검출기 (11)에 의해 혼합기(12)에 공급되는 인덱스 신호의 인덱스 주파수 fi가 약 12MHZ정도라고 가정하고 또 한 국부발진기(13)에 의해 발생된 국부발진 신호의 주파수 fi이 약 18MHZ와 동일하도록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혼합기(12)에 의해 발생된 혼합신호의 주파수 fI는 인덱스 및 국부 발진주파수들의 합인 30MHZ와 동일하게된다. 주파수 fI는 국부 발진신호의 주파수 f1에 의해 원하는데로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주파수 fI는 그것이 여러 텔레비젼 회로들에서 보통 발생되는 기타 신호들을 방해하지 않도록 선택되어야만 한다.
혼합기(12)에 의해 발생되는 혼합신호는 혼합된 신호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방해 주파수 성분 또는 신호를 제거 또는 억제시키도록 대역통과 여파기(21)에 의해 여파되며 그 여파된 혼합신호는 그로부터 진폭변조 성분을 제거 또는 억압시키도록 리미터 증폭기(22)에 의해 진폭 제한된다. 따라서 대역통과 증폭기(20)의 출력은 원래 30MHZ의 주파수 fI를 갖는 일정한 진폭의 증폭 혼합신호에 의해 구성된다. 이 30MHZ신호는 출력혼합기(30)에서 12MHZ의 인덱스 주파수로 변환되며, 따라서 다시 변환된 인덱스 신호는 적당한 인덱스 주파수와 또한 일정한 소정진폭을 나타낸다. 이 진폭은 인덱스 신호의 소정 목적인 칼라스위칭 동작을 만족할만하게 제어하는 것이 충분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인덱스 신호증폭기는 칼라 음극선관이 인덱스 신호주파수 fi가 10MHZ와 동일한 크기의 비임 인덱스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된다고 가정해보자, 만일 국부 발진신호의 주파수 f1이 18MHZ로 고정되어 있다면, 대역통과 증폭단(20)에 공급되는 혼합신호의 주파수 fI가 28MHZ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주파수는 대역통과 여파기(21)의 중심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으며 결국 혼합신호는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은 국부 발진기(13)의 주파수 fi을 20MHZ로 증가시키도록 가변 저항기 (14)를 조정하므로서 피할 수 있다. 이러한 감소된 주파수로서, 인덱스 및 국부 발진신호의 혼합은 30MHZ의 혼합신호 주파수 fI즉, 대역통과 증폭단의 중심 주파수가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중요한 장점의 하나는 대역통과 증폭단이 표준화될 수 있다는 것 즉. 그것이 어떠한 크기의 비임 인덱스 음극선관에나 사용될 수 있는 소정의 대역통과 및 소정의 이득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비록 인덱스 신호의 주파수 fI가 하나의 수상관에 일치하는 주파수로부터 다른 수상관에 일치하는 주파수로 바뀐다 할지라도, 이 변동은 국부 발진신호의 주파수 f1을 조정함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므로, 대역통과 증폭단이 사용되는 음극선관의 특정한 특성과 관계없이 이단은 항상 일정한 혼합신호, 즉 소정의 주파수 fI를 수신한다. 이것은 대역통과 증폭단의 설계를 용이하게 하며 더우기 이 설계는 표시 스크린의 크기 즉 인덱스 스트립들의 피치에 관계없이 모든 비임 인덱스 음극선관에 대해 표준화 될 수 있기 때문에 인덱스 스트립을 제공하도록 사용되는 방법, 즉 인덱스 신호증폭기가 사용되는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를 제조하는 총 비용은 감소돌 수 있다. 물론 이것은 대량 생산조립 라인 생산에 유리하다. 대역 통과 증폭단을 표준화함으로서, 각 대역통과 여파기 및 리미터 증폭기회로는 최적특성을 나타내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이 적당한 이득을 나타내는 동안 방해 주파수를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국부발진기(13)의 주파수는 가변저항(14)의 설정으로 조정될 수 있다. 국부발진기는 원하는데로 선택될 수 있는 상이한 프리세트 주파수를 나타낼 수 있다. 국부 발진기의 일예와 그 국부 발진기의 적당한 주파수를 선택하도록 사용되는 회로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국부 발진기는 전압제어발진기(VCO)(131)이다.
VCO(131)의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사용되는 회로는 프로그램 가능 주파수 분주기(132), 위상 비교기(133), 기준 발진기(134) 및 저역 통과 여파기(135)로 구성된다. VCO(131)은 종래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으며 그에 의해 발생되는 발진신호의 주파수 f1을 설정하도록 그에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반응한다. 이 발진 신호는 혼합기 (12) (제1도)에 공급되며, 이 국부발진 신호의 구형파 변환은 위상고정 루우프(PLL)에 공급된다. 프로그램 가능 주파수 분주기(132)는 VCO(131)에 의해 발생되는 국부발진 신호의 주파수 f1를 인수 N으로 분주시키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프로그램 가능 주파수 분주기는(입력 디지탈신호 N으로 표현되는) 입력 디지탈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계수로 설정되기에 적합하며 이 프리세트 신호로부터 소정계수로 계수되므로서 디지탈계수기의 계수가 프리세트계수 N으로 리세트되기에 적합한 종래의 디지탈 카운터일 수도 있다. 이 디지탈 카운터의 계수는 VCO(131)에 의해 공급되는 국부 발진신호에 내포되는 각 구형펄스에 반응하여 증가된다. 디지탈 카운터는 그의 소정계수가 도달되는 매시간 출력펄스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이 디지탈 카운터에 의해 발생되는 출력 펄스들의 주파수는 그것이 프리세트되는 프리세트계수 N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이 프리세트 계수가 변화되고 주 입력 디지탈신호 N이 변화될 때 디지탈 카운터에 의해 발생된 출력 펄스들의 주파수는 그에 따라 변동된다. 따라서, 프리세트 계수가 프로그램 될 수 있으므로, 즉 그것이 디지탈 신호 N에 의해 선택되므로, 디지탈카운터는 프로그램 가능 주파수 분주기로서 작용한다.
위상 비교기(133)은 프로그램 가능 주파수 분주기(132)에 연결되며 또한 그에 의해 발생된 각 발진신호 혹은 펄스들을 수신하도록 기준 발진기 134에 연결된다.
위상 비교기는 종래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주파수 분주된 국부반질 신호의 위상, 즉 주파수 f1/N의 위상과 기준 신호의 위상, 즉 주파수 f0의 위상을 비교하기에 적합하다. 위상 비교기 133은 이 발진신호들간의 위상차의 함수인 오차신호를 발생한다.
이 오차신호는 DC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저역통과 여파기 135에 의해 여파되며, 이 DC 제어신호는 VCO 131로 귀환된다. VCO 131의 국부발진 주파수 f1은 귀환 DC 제어신호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동작시 프로그램 가능 주파수 분주기 132의 프로그램된 주파수 분주비는 음극선관의 표시 스크린의 크기의 함수 또는 인덱스 스트립을 발생시키도록 사용되는 발법으로 프리세트 된다. 이 주파수 분주비 N은 주파수 f1/N의 위상 비교기 133에 공급되는 주파수 분주된 국부 발진 신호로 이루어진다. 만일 이 주파수 f1/N이 기준 주파수 f0와 다를 경우, VCO 131로 궤환되는 DC 제어신호는 f1/N=f0가 되도록 VCO의 발진주파수를 조종하는 역활을 한다. 그러므로, 국부 발진주파수 f1은 도시된 회로가 사용되는 음극선관의 특정한 특성으로 프로그램된 디지탈 신호 N에 의하여 변동된다. 제1도에 대해 상기한 바와같이, 국부 발진 주파수 f1에서의 이러한 변동은 비임 인덱스 음극선관의 특성으로 인한 인덱스 주파수 fi의 변동을 보상해준다. 즉, 그러한 특성이 한 수상관으로부터 다른 수상관에서 변동될지라도, 국부 발진 주파수 f1이 정합되도록 변동된다는 사실은 대역통과 증폭단 20에 공급되는 혼합신호의 주파수 f1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뜻한다. 기준 발진기 134에 의해 발생된 기준 발진신호의 주파수 f1은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칼라 부반송파 발진기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즉, 부반송파 발진기에 의해 발생되는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는 기준 주파수 f0를 발생시키도록 인수 n/m으로 배가될 수 있다(여기서 n과 m은 정수).
비임 인덱스 칼라 음극선관으로 이루어진 음극선관에서, 전자비임은 비직선적으로 주시될 수 있다. 이것은 편향 요크가 비직선성을 가지거나 또는 음극선관 등의 고압부에 드리프트(drift) 때문이다.
결국, 비임의 주사 속도내의 이러한 비직선성 때문에 인덱스 신호의 인덱스 주파수 fi내의 동적변동(dynamic change)이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인덱스 주파수내의 동적 변동은 대역통과 증폭단 20에공급 되는 혼합신호의 주파수 fI내서 그에 해당하는 동적 변동으로 나타날 것이다. 주파수 fI내의 동적 변동을 일으키도록 대역통과 증폭단의 통과대역 및 특히 대역통과 여파기의 통과대역이 충분히 넓어야만 한다. 이것은 대역통과 증폭단의 대역통과 증폭특성을 감쇠시킬 수 있다. 더우기, 인덱스 주파수 fi에서 동시발생하는 동적변동과, 비임의 주사속도변동내의 동적변동 때문에, 칼라 스위칭 동작의 위상 또는 타이밍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표시되는 비데오 영상내의 칼라 순도를 저하시킨다. 즉, 인덱스 주파수 fi내의 동적 변동 때문에 적(녹 또는 청) 정보는 비임이 적(녹 또는 청) 형광화소에 도달하는 시간 이전의 시간에 전자비임을 변조시키도록 스위치될 수 있다.
대역통과 증폭단 20의 중심 주파수에 대한 주파수 fI내의 동작변동의 난점은 제3 내지 7도로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거된다. 제3도를 다시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리미터 증폭기 22에 의해 발생된 증폭혼합신호가 출력혼합기(30)에 공급되는 이외에 주파수 fI의 변동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에 공급되는 것을 제외한 제1도에 대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이 검출기는 종래의 것과 같이 주파수 fI내의 변동 또는 편이를 검출하는 주파수 변조(FM) 검출기 23으로 도시된다. FM 검출기는 리미터 증폭기(22)에 의해 공급되는 증폭혼합신호의 소정 주파수 fI와 동일한 중심 주파수를 나타낸다. 이 중심 주파수로부터 나오는 주파수 fI내의 편차는 그러한 편차를 나타내는 진폭을 가진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의 예로서 FM 검출기(23)은 포스터 슬레이 검출기, 비검출기, 구형 위상 검출기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FM 검출기는 집적회로로서 구성될 수 있다. 진폭이 그의 소정 주파수 값으로부터 주파수 fI내에 편차를 나타내는 FM 검출기(23)의 출력으로 발생되는 검출신호는 저역통과 여파기(24)에 공급된다.
이 여파기는 그의 소정값으로부터 주파수 fI내에 편차를 나타내는 오차전압을 유출하기 위해 FM 검출기 (23)으로부터 검출되는 신호 출력을 적분하는 작동을 한다.
그의 소정치로부터 주파수 fI내의 이러한 편차는 전자비임의 주사속도내의 변동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역통과 여파기(24)에 의해 생성되는 오차전압 혹은 DC 신호는 주사속도내의 변동에 대하여 교정 또는 보상하도록 이용된다. 따라서, 이 오차전압은 그의 바람직하지 못한 변동에 대하여 보상해주는 방향으로 비임의 주사속도를 변동시키도록 오차전압에 응답하는 주사속도 변도편향기 (40)에 공급된다. 즉, 저역통과 여파기(24)로부터 유출되는 오차전압이 비임의 주사속도가 감소되는 것을 나타낼 경우, 주사속도 변조 편향기 (40)은 그에 해당하는 양만큼 주사속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반대로, 만일 저역통과 여파기로부터 유출되는 오차전압이 비임의 주사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낼 경우, 주사속도 변조편향기는 그 주사속도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적당한 주사속도 변조 편향기의 대표적인 예들은 그를 통하여 통과하는 전자비임을 작용시키기 위하여 음극선관의 목부분내에 배치된 독특한 형의 촛점 접속전극, 음극선관의 수평 편향 코일 및 비임의 편향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교정수평계로 장치된 수평편향 코일을 포함한다. 이들 각 장치들은 그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동을 교정하기 위하여 전자비임의 주사(혹은 편향) 속도를 조정하도록 저역통과 여파기(24)로부터 유도되는 오차전압에 반응한다.
주사속도 변조 편향기로서 사용될 수 있는 독특한 유형의 촛점 집속 전극의 개략적인 구성이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전극은 음극선관의 목부분내에 배치되는 전자총 배열내에 포함된다. 이 전자총 배열은 캐소드 2, 제어전극 3, 가속전극 4, 제1 애노드 5, 촛점 집속전극 6 및 제2 전극 7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전극들은 모두 관축 (8)과 동축으로 배열되어 있다. 촛점 집속전극 (6)은 종축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그의 중간부분내의 단일 원통 몸체를 절단함으로 구성될 수 있는 두개의 구획 6A 및 6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으로 일렬로 된 간극(gap)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전극 구획 6A 및 6B는 공지된 바와같이 범위가 0내지 수천 볼트인 적당한 촛점 전압을 공급받는다. 저역과 여파기(24)(제3도)로부터 유출되는 오차전압은 전극구획 6A와 6B양단에 인가된다. 전극 구획양단에 인가되는 이 오차전압은 비임의 수평 주사속도에서 그에 해당하는 변동을 일으키는 전자비임에 안가된 자계를 변동시켜준다. 그러므로, 전극 구획 6A 및 6B는 비임의 편향 속도를 변조시키도록 작용하므로 여기서는 주사속도 변조 편향기로서 호칭된다.
제3도를 다시 참조하여, 본실시예의 동작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 비임의 주사속도내의 동작변동 때문에, 인덱스 주파수 fi는 그에 해당하는 변동이 된다고 가정하자. 인덱덱 주파수fi에 이러한 변동은 혼합기 12에 의해 대역통과 증폭단 20에 공극되는 혼합신호의 주파수 fI내의 변동으로서 나타난다. 만일 주파수 fI내의 이 변동이 교정되지 않으면, 출력혼합기 (30)은 비임 주사속도내의 변동으로 인한 바람직하지 않은 변동을 나타내는 주파수 fi의 증폭된 인덱스신호를 발생시킴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적당한 위상칼라 정보로 전자비임을 변조시켜주는 칼라 스위칭 동작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표시되는 비데오 영상의 칼라 순도가 왜곡된다. 더우기, 주파수 fi내의 변동은 대역통과 증폭단의 중심주파수에 대하여 혼합신호의 주파수의 변이를 초래할 것이다. 이것은 대역통과 증폭단의 최적 특성이 이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리미터 증폭기 (22)에 의해 발생되는 바와 같이 증폭혼합신호의 주파수 fI가 그의 소정장치에 의하여 변동되기 때문에, 이 변동은 FM검출기(23)에 의해 검출된다. FM검출기에 의해 생성되는 검출신호 진폭은 오차전압을 주사속도 변조편향기 (40)으로 공급하도록 저역통과 여파기 (24)에 의해 여파된다. 특히, 이 오차 전압은 비임의 편향속도가 변동되는 바람직한 결과로서, 주사전자 비임에 인가되는 자게를 변동시키도록 한 유형의 촛점 접두 전극의 전극구획 6A 및 6B(제5도) 양단에 인가된다. 저역통과 여파기 (24)에 의해 생성되는 오차 전압의 함수인이 변동은 인덱스 주파수 fi내의 동작 변동을 초래한 주사속도내의 동적변동을 교정 또는 보상한다. 따라서, 주사속도변조 편향기 (40)은 그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동을 교정 하도록 전자비임을 편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자비임의 주사속도내의 이러한 교정의 결과로서, 광검검출기(11)에 의해 발생되는 인덱스신호의 인덱스주파수 fi는 소정주파수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혼합기 (12)에 의해 생성되는 혼합신호의 주파수 fI는 또한 대역통과 증폭단(20)의 중심 주파수와 동일한 소정 주파수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광검출기 11, 혼합기 12, 대역통과 여과기 21, 티미터증폭기 22, FM 검출기 (23), 저역통과 여파기(24) 및 주사속도 변조평향기 (40)으로 구성되는 페루프는 일정한 소정값에서 전자비임의 주사속도를 유지하도록 작동한다. 그 결과로서, 인덱스 주파수 fi는 소정주파수로 유지된다.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국부발진기 (13)의 국부발진주파수 f1는 제1도에 대해 기술한 바와 같이 가변저항 (14)의 조정에 의해 설정된다. 따라서, 제3도의 본 실시예에서, 광검출기 (11)에 의해 발생되는 인덱스 신호의 인덱스주파수 fi와 특히, 출력혼합기 (30)에 의해 발생되는 증폭인덱스 신호의 인덱스 주파수 fi는 본 장치가 사용되는 음극선관의 독특한 특성에 정합되는 적당한 주파수 값으로 유지된다. 특히, 국부 발전주파수 f1은 음극선관 표시스크린의 크기, 또는 인덱스 스트립을 제공하도록 사용되는 방법과 관련된 주파수로 설정되며 주사속도 변조 편향기 (40)은 적당한 평향비로 비임을 유지하도록 전자비임의 주사속도내의 동적변동을 고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혼합기 (30)에 의해 발생되는 바와 같은 증폭 인덱스 신호의 주파수 fi는 실제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그것이 유도되는 음극선관의 특성에 정합된다. 더우기, 혼합기 (12)에 의해 발생되는 혼합신호의 주파수 fI가 도시된 장치를 사용하는 음극선관의 특성에 무관하고 (변동이 주사속도 변조 편향기 40에 의해 고정되는) 전자비임의 주사속도내의 동적변동에 무관하게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대역통과 여파기 (21)과 리미터 증폭기 (22)는 최적 특성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모든 비임인덱스 칼라음극선관에 대해 표준화될 수 있다. 즉, 대역통과 여파기는 그것이 정확히 역압 또는 감쇠기키는 높은 Q를 갖는 협대역통과 특성의 방해신호성분을 나타내도록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티미터증폭기 22는 약 60dB 정도의 바람직한 이득을 나타내도록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혼합기 (12)에 의해 발생되는 혼합신호에서 일정한 주파수 fI를 유지하고 전자비임의 주 사속도에서의 동작변동을 교정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혼합신호 주파수 fI를 발생시키도록 종래의 혼합단 (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혼합신호는 대역통과 여파기 (21)과 리미터증폭기 (22)로 구성된 대역통과 증폭단(20)A에 공급되며, 이 성분은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리미터증폭기 (22)에 의해 생성되는 증폭 혼합신호는 소정주파수 값으로부터 주파수 fI내의 변동을 검출할 목적으로 위상 비교기 (25)와 기준 발진기(26)으로 구성되는 검출기에 공급된다. 기준 발진기 (26)은 기준신호 주파수 f0를 발생시키며 이 주파수는 혼합신호의 소정주파수 fI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위상비교기(25)는 종래구성이며 리미터증폭기(22)로 부터 기준 발진기(26)에 의해 그에 공급되는 기준신호의 위상으로 공급되는 증폭혼합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기에 적합하다.
리미터 증폭기(22)에 의해 발생되는 증폭혼합신호의 주파수내의 변화 또는 변동에 위한 원인이 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만일 그들간의 위상차가 있을 경우에 위상비교기 (25)는 오차전압으로서 역할하는 검출신호를 발생시킨다. 제3도 실시예에서 FM 검출기(23)에 의해 발생되는 것과 동일한 이 오차전압은 DC 신호로서 저역통과 여파기(24)를 통하여 공급되며 이 DC 신호는 주사속도 변조편향기(40)에 인가된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 주사속도변조 편향기들과 동일할 수 있으며, 특히 이 편향기는 제5도에 도시된 유형일 수 있다.
제3 및 4도의 실시예들간의 중요한 차이는 제3도 실시예의 FM 검출기(23)이 제4도 실시예의 위상비교기(25)와 기준 발전기(26)으로 교체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4도 실시예에서, 광검출기(11), 혼합기(12), 대역통과여퍄기(21), 리미터 (22), 위상비교기(25), 기준발진기(26), 저역통과여파기(24)와 주사속도 변조편향기 (40)의 조합은 전자 비임의 주사속도내의 변동을 교정하도록 페루프로서 작용한다. 극부 발진기(13)은 교정주파수 fi의 국부 발진신호를 발생하기 때문에, 비임의 주사속도의 변동은 인덱스 주파수 fi에서 그에 해당하는 변화 또는 변동을 발생시킨다. 결국, 혼합기 (12)에 의해 발생되는 혼합신호의 주파수 fI와 리미터, 증폭기(22)에 의해 발생되는 증폭 혼합신호의 주파수 fI는 동일한 주파수 변동을 일으킨다. 위상비교기(25), 기준발진기(26) 및 저역통과 여파기(24)로 형성된 주파수 변동 검출기는 이 주파수 변동을 교정 또는 보상(즉, 제거)하기위해 DC 제어신호를 주사속도 변조 편형기(40)에 공급하도록 인덱스 주파수에서 이 변동을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비록 인덱스 주파수 fi가 동적 변동하에 있을 지라도, 제4도에 도시된 장치는 인덱스 주파수를 원하는 소정주파수로 설정하도록 동작한다.
즉, 이 장치는 인덱스 주파수 fi의 동작변동에도 불구하고 혼합신호 주파수 fI가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을 보장해 준다. 리미터 증폭기(22)에 의해 생성되는 증폭 혼합신호의 인덱스 주파수 fi는 상항일정하게 유지되고 기준주파수 f0=f1이기 때문에, 출력혼합기(30)는 증폭 혼합신호의 위치에 기준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것은 제4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실시예와 제3도의 실시예간의 다른 차를 설정해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실시예들내의 출력혼합기는 일정한 주파수 fI의 증폭신호를 공급받음으로서, 출력혼합기는 국부발진신호 주파수 f1과 증폭신호를 혼합함으로서 인덱스 주파수 fi로 이 주파수를 다시 변환시킨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 기준발진기(26)에 의해 발생된 기준신호는 증폭혼합신호와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것은 기준 주파수 f0가 fI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더우기, 기준신호의 진폭은 리미터 증폭기(22)에 의해 발생되는 증폭 혼합신호의 진폭과 동일할 수 있다. 결국, 모든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 제4도의 실시예의 출력혼합기(30)에 공급되는 기준신호는 증폭혼합 신호와 동일하다. 이 이유와 또한 본 발명의 설명 목적 때문에, 저역통과 여파기(24)와 함께 기준 발진기(26)과 위상비교기(25) 모두는 대역통과 증폭단(20A)내에 구성시킨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주파수 f0의 기준신호는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에 제공되는 통상의 칼라부반송파 발진기에 의해 발생되는 국부칼라 부반송파신호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이 국부칼라 부반송파는 기준 주파수 f0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인수 n/m에 의해 배가될 수 있다(여기서, n과 m은 정수 임).
제4도의 실시예에 도시된 페루프는 제3도의 전술한 페루프와 실제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며, 일정값으로 혼합기(12)에 의해 발생되는 주파수 fI를 유지시키도록 작동된다. 인덱스 주파수 fi의 그에 해당하는 변동을 일으키는 전자비임의 주사속도의 동작변동은 보상된다. 주파수 fI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기준 주파수 f0와 동일하도록 제어되고 국부발진 주파수 f1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출력혼합기(30)은 일정한 인덱스 주파수 fi의 증폭인덱스 신호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증폭 인덱스 신호는 안정되며 일정한 진폭이 된다.
제3 및 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비록 페루프를 사용하여 인덱수 주파수 fi의 동적변동에 대한 교정 또는 보상을 한다할지라도, 제5도에 도시된 편향장치와 같은 주사속도 변조편향기는 시간 지연을 나타낸다.
즉, 인덱스 주파수 fi이 동적변동이 검출되는 시간과 주사속도 변조편향기(40)이 상기 변동을 보상하도록 검출된 변동에 응답하는 시간간에는 한정된 지연이 있다. 이러한 시간 지연의 결과로서, 혼합기(12)에 의해 발생되는 바와 같은 혼합신호의 주파수 fI는 그에 해당하는 변동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대역통과 증폭단(20)(또는 20A)는 주파수 fI내의 이러한 변동을 수반하도록 충분한 대역폭 또는 통과대역을 갖춰야만 한다.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주파수의 변동에 대하여 신속한 교정 또는 보상을 하도록 페루프 궤환 제어설비를 갖고있다. 제6도 실시예는 광검출기(11)에 의해 발생되는 인덱스 신호가 전압제어여파기(16)를 통하여 혼합기(12)에 공급되며, 이 전압제어 여파기가 공지의 구성으로서 가변 가능하며 DC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중심주파수를 갖는다는 점에서 제3도에 대해 기술한 것과 다르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제어 여파기(16)에 공급되는 여파기 제어신호는 FM 검출기 (23)으로부터 검출되는 주파수 변동신호에 반응하여 저역통과 여파기(24)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이다. 더우기, 제6도 실시예에서, 국부발진기(13)은 발진 주파수가 저역통과 여파기(24)에 의해 발생되는 DC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제어 발진기이다.
동작시 광검출기(11)에 의해 발생되는 인덱스 주파수 fi가 전자비임의 주사중 동적변동을 수행하는 경우, 그에 해당하는 변동은 혼합기(12)에 의해 발생되는 혼합신호의 주파수 fI를 발생시킨다. 이때 주파수fI는 소정 주파수와 다르기 때문에, 중심 주파수가 소정주파수 fI와 동일한 FM 검출기 (23)은 fI주파수를 발생되게한 주파수 변동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검출신호는 저역통과 여파기(324)에 의해 여파되며 국부발진기(13)과 전압제어 여파기(16) 모두에 DC제어신호로서 공급된다.
이러한 소정 주파수로부터 주파수 fI의 편차를 나타내는 오차신호인 DC제어신호의 결과로서, 전압제어여파기의 중심주파수로 변이된 인덱스 주파수에 일치하도록 변이된다. 따라서, 전압제어 여파기는 인덱스신호의 주파수가 동적으로 변동할때 조차, 적당히 여파된 인덱스 신호를 혼합기(12)에 제공하도록 저역통과 여파기(24)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전압을 교정한다. 그 밖에, 국부발진기(13)에 의해 발생되는 국부발진신호의 주파수 f1은 반대방향으로 변이하도록 저역통과 여파기에 의해 그에 공급되는 DC 제어신호에 응답한다. 국부발진 주파수 f1의 반대방향으로의 전이로 인하여 혼합기(20)은 그의 소정 주파수와 동일한 혼합신호 주파수 fI를 발생시킨다.
상기의 주파수에 대한 숫자예와 같이, 만일 소정 주파수 fI가 30MHz일 경우, 또한 정상 인덱스 주파수 fi가 12MHz인 경우, 정상 국부발진 주파수 fI은 18MHz 라는 것을 알수 있다. 그러나, 만일 인덱스 신호가 국부발진 주파수에 대한 교정을 하지않아 fi을 11.5 MHz로 감소시키도록 주파수에서 동적 변동을 일으킬 경우, 혼합신호의 주파수 fI는 29.5 MHz와 동일하게 될 것이다. 주파수 fI의 이러한 변이는 FM 검출기(23)에 의해 검출되며, 이 검출된 전이를 나타내는 DC 제어신호는 18.5 MHz의 국부발진 주파수 f1를 발생시키도록 국부발진기(13)을 구동시킨다. 또한 전압제어 여파기(16)의 중심 주파수는 인덱스 주파수 fi의 동적변동을 트랙하도록 12 MHz로부터 11.5 MHz로 변이된다. 이제, 국부발진 주파수 f1에서의 이러한 교정때문에, 혼합기(12)에 의해 발생된 혼합신호의 주파수 fI는 다시 30 MHz의 소정의 주파수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6도에 대해 설명된 실시예에서, 주파수 fI는 인덱스 주파수 fi가 동적변동을 받는다 할지라도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알수 있다. 국부발진 주파수 f1은 출력혼합기(30)에 의해 발생되는 증폭 인덱스 신호가 적당한 인덱스 주파수 fI를 나타내는 인덱스 주파수에서의 동적변동을 일으킨다. 즉, 증폭인덱스 신호의 주파수는 동적변동에도 불구하고 광검출기(11)에 의해 발생되는 인덱스 신호 주파수와 동일한 것이다.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주파수 변동 검출기가 위상비교기(25)와 기준 발진기 (50)으로 구성되는 이외에는 제6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위상비교기(25)는 제4도에서 이미 설명되었으며 기준발진기(50)은 상기기준 발진기(26)(동일하지는 않지만)과 동일할 수도 있다.
제4도 실시예의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위상 비교기(25)는 그의 소정치로부터 주파수 fI의 변동을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알수 있다. 이 검출신호는 제6도의 실시예에서 발생되는 DC제어신호와 동일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저역통과 여파기(24)에 의하여 여파된다. 이 DC제어신호는 전압제어여파기(16)의 중심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공급되며 또한 국부발진기(13)의 발진주파수 f1를 제어하도록 공급된다. 이것은 제6도에서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더이상 중복설명은 하지않는다.
제4도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준 발진기(50)은 혼합기(12)에 의해 발생되는 혼합신호의 소정주파수 fI와 동일한 기준신호 주파수 f0를 발생시킨다. 이 기준신호는 출력혼합기(30)에서 인덱스 주파수 fi를 재생시키도록 국부발진 신호와 혼합된다. 광검출기 11에 의해 발생된 인덱스 신호의 인덱스 주파수 fi가 동적변동을 받는다 할지라도, 전압제어 여파기(16), 혼합기(12), 대역통과 여파기(21), 리미터 증폭기(22), 위상 비교기(25), 저역통과 여파기(24)와 국부발진기(13)으로 구성된 페루프는 인덱스 주파수의 그러한 동적변동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소정치로 그 주파수 fI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주파수 fI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적당한 인덱스 주파수 fi의 증폭 인덱스신호를 재생시키도록 국부발진신호와 혼합될 기준 주파수 f0(여기서 f0=fI)를 사용하는데에는 아무 잘못이 없다. 물론 재생 증폭 인덱스 신호의 인덱스 주파수는 광검출기 변동에 의해 발생되는 인덱스신호의 인덱스 주파수로서 변동할 것이다.
제6 및 7도의 실시예는 제3 및 4도의 실시예와 관련된 상기의 시간 지연을 극복한다. 따라서 인덱스주파수가 동적변동할지라도, 제6 및 7도의 실시예는 일정, 즉 소정치에서 주파수 fI를 유지하도록 신속한교정을 제공한다. 그러나, 제6 및 7도의 실시예는 주사속도 변조 편향기들을 갖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전자비임의 주사속도의 동적변동에 대한 교정 또는 보상을 해주지 못한다. 필요에 따라 제6도의 저역통과 여파기(24)에 의해 생성되는 DC제어신호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사속도 변조 편향기에 공급될 수 있다. 동일하게, 베7도의 저역통과 여파기에 의해 생성되는 DC제어신호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사속도 변조 편향기에 공급될 수 있다. 즉, 제3 및 6도의 실시예는 제4 및 7도의 실시예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이 결합될때, 전자비임의 주사속도는 동적변동이 보상되도록 제어될 것이며, 혼합기(12)에 의해 발생되는 혼합신호의 주파수 fI가 비교적 높아지게 되어 소정치의 주파수로 설정된다.
제8도를 참조하면, 비임 인덱스 칼라 음극선관에 본 발명을 이용하는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음극선관은 통상적인 유리관이며 광검출기(11)은 스트립프들의 주사전자비임에 의해 여기될 때, CRT의 표시스크린상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되는 각 인덱스 스트립프들(도시안됨)로 부터 방출되는 광을 수신하도록 그관상에 장치된다.
제8도에서, 음극선관(60)내에 도시된 실선은 주사전자비임을 나타내며, 점선은 여기된 인덱스 스트립에 의해 방출되고 광검출기(11)에 의해 검출된 광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덱스신호는 주사전자비임의 밀도를 변조시켜 칼라 정보신호의 스위칭을 제어하도록 비임인덱스 칼라음극선관에 이용된다. 특히, 전자비임을 칼라 음극선관의 제1그리드와같은 그리드(61)을 관통하며, 칼라 정보 신호는 관통전자 비임의 밀도를 변조시키도 록그리드에 공급된다. 예를들면, 칼라 정보 신호는 종래의 텔레비젼 방송으로부터 수신되며, 통상적인 텔레비젼 수상기 처리회로(도시안됨)는 수신된 칼라텔레비젼신호로부터 각각 ER,EG및 EB를 나타내는 적, 녹 및 청신호를 재생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호칭되는 이적, 녹 및 청칼라 신호는 각각 게이트 100R,100G및 100B에 공급된다. 이 게이트들중 단하나만 소정시간에 턴온되며, 이렇게 여기화된 특정한 게이트는 비데오 증폭기 110에 공급되는 초기의 칼라신호를 게이트하며, 그다음 증폭기는 게이트된 칼라신호를 증폭시켜 그리드 61에 인가한다. 전자비임이 CRT60의 표시스크린상에 적색형광요소를 주사할 때, 게이트 100R은 적신호 ER이 단일주사비임을 적색정보로 변조시키도록 비데오증폭기 110을 통하여 그리드 61로 게이트 된다. 마찬가지로, 그 비임이 녹색형광요소에 대해 주사될 때, 게이트 100G는 그 비임을 녹색정보로 변환시키도록 녹신호 EG를 비데오 증폭기 110을 통하여 그리드 61로게이트 시키도록 턴 온된다. 따라서, 전자비임이 청색형광요소에 대해 주사될 때, 게이트 100B는 그를 통하여 비데오 증폭기 110으로 청신호 EB를 게이트시키기 위해 턴온되며, 그로부터 증폭된 청신호는 청색정보로 그 비임의 밀도를 변조시키도록 그리드(61)에 인가됨을 알 수 있다.
게이트들 100R,100G 및 100B의 각각은 게이트필스 발생기(90)에 의해 인가되는 게이팅신호를 수신하도록 게이팅신호 압력단들로 구성된다. 게이트필스 발생기의 목적은 적색, 녹색 및 청색 형광화소들과 관련되는 주사에 의한 전자비임의 운동을 동기화하여 적색 녹색및 청색 게이팅 펄스들로서 호칭되는 각게이팅 펄스들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예를들면, 형광화소들이 적색, 녹색 및 청색스트립들의 트리아드로 구성될 경우, 비임을 각삼각형의 칼라 스트립들에 주사시킴에 따라 게이트 펄스신호는 트리아드로 구성된 적, 녹 및 청스트립들 각각에 대하여 발생된다. 더우기, 인덱스 스트립들이 이들 칼라형광 스트립들과 일렬로 정렬되고 또한 인덱스 스트립들의 피치와 칼라형광 스트립들의 피치들간에 소정비율이 존재할 경우, 인덱스 신호의 주파수는 fi칼라형광스트립들의 주사에 대하여 예정된 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인덱스 스트립이 각각의 칼라 스트립 전면에 형성될 경우. 단 인덱스 스트립 위 피치가 특정한 칼라 스트립의 피치의 2/3가 되고) 즉 3개의 인덱스 스트립들이 단 2개의 특정한 칼라스트립(적색스트립들과 같음) 만을 주사하는 기간이상 주사될 경우, 인덱스 신호의 주파수 fi는 특정한 칼라 스트립에 주사되는 주파수의 1.5 (또는 3/2)배가될 것이다. 이때 인덱스 주파수 fi가 2배가 될 경우, 최종주파수(2fI)는 특정한 칼라스트립이 주사되는 비의 3배와 동일하다.
즉, 이 주파수는 각 적색스트립에 주사되는 비의 3배이며, 또한 각 청색 칼라 스트립에 주사되는 주파수의 3배이며 또한 각 청색칼라스트립에 주사되는 주파수의 3배이다. 게이트펄스발생기(90)의 목적은 이중 인덱스 주파수(2fi)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의 각 출력에서 각 적색, 녹색 및 청색 게이팅 펄스는 서로 120°씩 이동된 위상이다. 그 결과, 적색 게이팅 펄스들을 적색 칼라 스트립의 주사로 동기되며, 적색 게이팅 펄스들은 녹색칼라 스트립의 주사로 등기되고, 청색게이팅 펄스들은 청색칼라 스트립들의 주사로 동기된다.
위상 고정 루프(PLL)80은 (제1내지 4,6 및 7도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술한) 출력혼 합기(30)에 의해 발생되는 증폭인덱스신호를 수신하도록 그의 입력에 연결되며 게이트 펄스발생기(90)에 이중 인덱스 주파수(2fi)의 신호를 공급하도록 그의 출력에 연결된다.
위상 고정 루프(80)은 종래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출력 혼합기(30)에 의해 발생되는 증폭인덱스신호의 위상과 전압제어 발진기(82)와 주파수 분부 인수가 1/N인 분출기(83)에 의해 발생되는 주파수 부분발진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기 위한 위상비교기 (81)로 구성된다.
이 위상 비교신호들간의 위상차는 그에 의해 발생되는 발진신호주파수를 조정하도록 저역통과 여파기(84)를 통하여 전압제어 발진기에 대한 제어신호로서 공급되는 오차신호를 발생시킨다. 종래와 같이, 전압제어발진기의 출력은 증폭인덱스 신호에 의하여 위상 동기된다. 제3,4,6 및 7도의 실시예에 대해상기된 증폭인덱스신호주파수의 변동은 전압제어발진기(82)에 의해 발생된 발진신호 주파수의 해당하는 변동을 초래한다.
만일 인수 N이 2(N=2)라면, 전압 제어 발진기(82)에 의해 발생되는 발진 신호 주파수는 인덱스 주파수(2fi)의 두배가 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인덱스 스트립의 피치가 특정한 칼라의 형광스트라이프들의 피치의 2/3인 실시예에 대한 적당한 주파수이다.
인덱스 스트립의 피치와 특정한 칼라의 형광스트립들의 피치간의 비가 상기의 2/3와 다를 경우 주파수 부무기(83)의 분부비 N이 2가 아닌 다른 것일 수도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인수 N을 전압제어 발진기(82)에 의해 발생되는 발진신호주파수가 N에 의해 분주 될때 분수 주파수가 인덱스 주파수 fi와 동일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예를들면, 하나의 인덱스 스트립이 4개의 칼라 스트립들 각각에 대해 제공될 경우, N은 4일 수 있다. 하나의 인덱스 스트립이 5개의 칼라 스트립들 각각에 대해 제공될 경우, N은 5일 수있다. 기타 예도 마찬가지이므로 추가 설명은 하지 않는다.
따라서, 칼라 텔레비젼 음극선관의 실시예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관련된 제어회로는 게이트펄스발생기(90)을 제어하여 인덱스신호의 주파수 fi에 비례하는 발진신호를 유도하기 위해 본 발명이 어떻게 이용되며 그에 의해 게이트 100R, 100G 및 100B가 단일 주사 비임의 밀도를 동시에 순차로 변조시키도록 최초의 칼라 신호를 ER,EG및 EB를 그리드(61)로 순차로 공급하기 위해 동시에 턴온됨을 설명해 준다. 게이트펄스 발생기(90)은 또한 상기의 동시출원중인 출원서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는 소위 모우드 설정펄스 PMS를 공급받는다. 간단히 말해서, 이모우드 설정펄스의 목적은 전자 비임이 CRT60의 표시 스크린의 리이드 인(lead-in)부분 (턴-인 영역 : run-in area으로서 알려져 있음)을 주사한 후와 스크린의 영상영역(시청가능 부분으로서 알려져 있음)에 도달된 후에만 게이트 펄스 발생기(90)이 게이팅 신호를 각 게이트들에 공급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례로서, 게이트 펄스 발생기(90)은 상기의 동시 출원중인 출원서에 기술된 바와같은 링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

  1. 영상재생기가 주사 전자비임에 의하여 여기된 인덱스 스트립을 가지며, 광검출기가 여기된 인덱스 스트립에 의하여 방출된 광을 검출되게 하여 그에 응답하는 인덱스 주파수를 가진 인덱스 신호를 발생시키게한 칼라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국부발진기 (13)가 국부발진 신호를 발생케 구성되게 하고, 제1혼합기(12)를 상기 광검출기와 인덱스 및 국부발진신호를 혼합하는 국부발진수단에 연결하여 혼합된 신호를 발생시키게 구성하여 대역통과 증폭기(20)를 상기 혼합된 신호를 증폭케 구성하며, 제2혼합기 (30)가 상기대역통과 증폭기와 혼합된 신호를 상기 국부발진신호와 혼합하는 국부발진기에 연결되게하여 상기 인덱스 주파수를 가진 증폭된 인덱스 신호를 발생케 구성한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
KR1019790004147A 1979-11-26 1979-11-26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 KR830000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4147A KR830000180B1 (ko) 1979-11-26 1979-11-26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4147A KR830000180B1 (ko) 1979-11-26 1979-11-26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80B1 true KR830000180B1 (ko) 1983-02-17

Family

ID=1921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4147A KR830000180B1 (ko) 1979-11-26 1979-11-26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18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87074A (en) Color television image reproducing system
KR820002355B1 (ko) Aft 회로
US2679614A (en) Beam-controlling system for tricolor kinescopes
GB753451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athode ray tube systems
US4620221A (en) Color imaging apparatus with compensation for beam deflection nonlinearity
US5072298A (en) Auto-tuning circuit for an active filter used in video signal processing
US4636843A (en) Deflection control apparatus for a beam index color television receiver
US4287531A (en) Deflection control apparatus for a beam index color cathode ray tube
KR830000180B1 (ko)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
US4251832A (en) Index signal amplifier for use in a beam index television receiver
US3329862A (en)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having saturable reactor with asymmetrical parabolic waveform applied to the control winding
US4814671A (en) Convergence circuit
CA1149888A (en) Differential amplifier current repeater
US2751430A (en) Television color synchronization
US4364083A (en) Beam index type color television receiver
US4263614A (en) Phase tracking loop circuit
US3408535A (en) Raster correction circuit
US4268857A (en) Beam index color television receiver apparatus
US3501583A (en) Apparatus for correcting vertical drift in color television index tube
US4691227A (en) Color imaging apparatus having a 1:2 frequency ratio between video and reference signals for high S/N color demodulation
US3578900A (en) Video amplifier circuit
KR100326994B1 (ko) 샘플홀드커패시터용의전압변화보상장치
US4261010A (en) Beam index color television receiver apparatus
US4231060A (en) Color-pulling compensation in a beam-index display tube
US2706217A (en) Color television control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