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136B1 - 수요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수요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136B1
KR830000136B1 KR1019790002306A KR790002306A KR830000136B1 KR 830000136 B1 KR830000136 B1 KR 830000136B1 KR 1019790002306 A KR1019790002306 A KR 1019790002306A KR 790002306 A KR790002306 A KR 790002306A KR 830000136 B1 KR830000136 B1 KR 830000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time
circuit
value
sam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쓰히로 이시가와
이사오 아꾸쓰
요오조 신보
Original Assignee
와다나베 가즈미
오오사끼 뎅끼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다나베 가즈미, 오오사끼 뎅끼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나베 가즈미
Priority to KR101979000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요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의 펄스 계수방식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펄스 계수방식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제4도는 현재치, 예측치 및 목표치 등을 나타내는 시간-전력량 특성곡선도.
본 발명은 수요시한(예를들면 30분)에 있어서 사용전력량이 계약된 최대 수요 전력량을 초과치 않도록 제어하는 수요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요 제어장치는 발신장치부 전력량계로부터 펄스를 수신하여 1~5분정도의 샘플링 시간내의 수신 펄스수로부터 수요 시한종료 시점의 예측치 등을 연산하고 있으나 계기용 변압기 및 변류기의 합성 변성비가 클 경우 1펄스가 그 샘플링 시간에 드는가 다음의 샘플링 시간에 드는가에 따라서 예측치 연산에 큰 오차가 생긴다. 특히 발샌장치부 전력량계의 펄스정수가 2000P/KWH의 것이 다수 사용되어 있는 현황에서는 현저히 이 영향이 나타난다. 예를들면 계기용 변압기 및 변류기의 합성 변성비가 24000이고 발신장치부는 현저히 이 형양이 나타난다. 예를들면 계기용 변압기 및 변류기의 합성 변성비가 24000이고 발신장치부 전력량계의 펄스정수가 2000P/KWH인 경우, 수요 시한개시로부터 1분간의 샘플링 시간으로 30발의 펄스가 들어왔을 경우와 29발의 펄스가 들어왔을 경우의 예측치를 환산하면 예측치=현재치+1분간의 사용전력량X잔여시간(분)으로 표시되므로 30발의 경우의 예측치는(30x24000/2000)+(30x24000/2000)x29=21600KWH이 되고, 29발의 경우의예측치는 (29x24000/2000)+(29x24000/2000)x29=20880KWH가 된다. 수요 시한 T가 30분인 경우 예측치의 단위는 KWH가 아닌 KWT(T=30분)로 나타내므로, KWH(=2KWT)를 KWT의 단위로 고치면 예측치는 43200KWT의 417600KWT가 되어 1440KWT의 오차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측치 연산의 정도를 올려 줄 수 있는 수요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샘플링 시간
Figure kpo00001
내에 입력으로 들어오는 펄스(P)의 수(n)를 계수하는 종래의 펄스 계수방식을 예시한 것이고, 제2도는 샘플링 시간
Figure kpo00002
에 최초로 입력한 펄스와 최후로 입력한 펄스와의 사이의 시간
Figure kpo00003
에서 펄스(P)의 수(n)를 측정하여 입력펄스가 어느정도의 속도로 들어오는가를 연산(n-1)/
Figure kpo00004
하여 예측치를 연산하는 본 발명의 펄스 계수방식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방식은 종래의 방식처럼 1펄스가 그 샘플링 시간에 들어오든지 다음의 샘플링 시간에 들어오든지에 관계없이 예측치를 연산하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서 제기되었던 결점들을 해소할 수가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수요 제어장치(1)는 부하(2)의 사용전력량을 계량해서 계량치에 비례한 펄스를 발신하는 발신장치부 전력량계(3)로부터 펄스를 수신한다. PT는 계기용 변압기, CT는 변류기이다. 현재치 카운터(4)는 발신장치부 전력량계(3)로 부터의 펄스를 계수하여 수요시한(T)에 있어서 사용전력량의 현재치 W1으로 환산해서 출력함과 동시에 현재치 표시기(5)로 표시한다. 수요시한 T가 30분인 경우 현재치 W1은 KWH의 단위가 아닌 KWH의 2배한 KWT(T=30분)의 단위로 한다.
상기 발신장치부 전력량계(3)로부터의 펄스는 동시에 샘플링 시간
Figure kpo00005
마다 리세트(reset)하는 펄스카운터(7), 스타트펄스 검출회로(8), 스톱펄스 검출회로(9), -1 감산회로(10), 시계회로(11), 승산회로(12) 및 계산회로(13)로 구성된 샘플링치 카운터(6)에 입력한다. 상기 펄스카운터(7)는 샘플링 시간
Figure kpo00006
에 입력하는 펄스수 n을 계수하고, 스타트펄스 검출회로(8)는 샘플링 시간
Figure kpo00007
에 최초로 입력하는 펄스를 검출하여 시계회로(11)를 시동시키고, 스톱펄스 검출회로(9)는 샘플링 시간
Figure kpo00008
에 최후로 입력한 펄스를 검출해서 그 필스입력시까지의 시간
Figure kpo00009
를 시계회로(11)로 측정시킨다. 상기 펄스카운터(7)로 계수한 펄스수n은 -1 감산회로(10)에 의해서 1이 감산된 다음 승산회로(12)에 의하여 W(n-1)이 연산된다. 상기 W는 1펄스 간격당의 전력량(KWT)를 나타낸 것으로 펄스중첩 발생회로(14)에서 출력된다. 상기 승산회로(12)의 출력 W(n-1)은 시간
Figure kpo00010
에 있어서의 사용전력량이다. 제산회로(13)는 W(n-1)이 연산하고, 샘플링시간
Figure kpo00011
에 있어서 사용전력량의 단위시간(1분)당의 샘플링치로써 출력한다.
스타트펄스 검출회로(8) 및 스톱펄스 검출회로(9)는 펄스카운터(7)와 동기해서 샘플링 시간 (
Figure kpo00012
)마다 리세트된다.
잔여시간 시계히로(15)는 수요시한(T)의 잔여시간(T-t)(t는 현시각)을 발생시켜 잔여시간 표시기(16)로 표시한다. 승산회로(17)는 샘플링치 W(n-1)/
Figure kpo00013
'와 잔여시간 (T-t)을 승산해서 잔여시간(T-t)동안 현재의 사용전력이 계속했을 경우의 전력량 W(n-1)/
Figure kpo00014
' x(T-t)를 산출한다. 가산회로(18)는 현재치 W1과 상기 승산회로(17)의 출력 W(n-1)/
Figure kpo00015
'x(T-t)를 가산해서 수요시한 T의 종료시점에 있어서의 사용전력량의 예측시 Wx를 산출한다. 상기 예측치 Wx는 예측치 표시기(19)에 의해서 표시된다.
목표치 설정기(20)는 수요시한 T의 종료시점에 있어서의 사용전력량의 목표치 Wb를 설정한다. 감산회로(21)는 예측치 Wx로부터 목포치 Wb를 감산하여 그 차가 플러스가 되면(즉, 제4도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예측치 Wx가 목포치 Wb를 상회하면) 경보표시회로(22)를 동작시켜 부자등을 울림과 동시에 경보등이나 기타의 표시기를 점등 또는 점멸시킨다. 승제산회로(23)는 수정치 Px=T(Wx-Wb)/(T-t)를 연산한다. 수정치 Px는 수요시한 T의 종료시점에서의 사용전력량과 목표치 Wb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잔여시간(T-t)내에 차단 또는 투입해야할 부하용량을 의미하는 거으로 수정치 표시기(24)에 의해서 표시된다.
차단복귀치 설정기(25) 부하를 차단 또는 투입할때 수정치 Px의 폭을 설정하는 것으로, 이 수정치 Px는 차단복귀치와 비교회로(26)에서 비교되어 만약 플러스치 Px가 차단복귀치를 넘으면 부하제어회로(27)가 동작해서 부하(2)의 일부를 차단하고 마이너스의 수정치 Px가 차단복귀치를 넘으면 부하제어회로(27)는 차단되고 있는 부하(2)의 일부를 투입한다.
본 발명의 샘플링치 카운터는 샘플링 시간내에 발신장치부 전력량계에서 입력한 펄스수에서 1을 감한치를 샘플링 시간에 최초로 입력한 펄스와 최초로 입력한 펄스와의 사이의 시간으로 제산을 하고 1펄스 간격당의 전력량을 승산해서 샘플링 시간에 있어서 사용전력량의 단위시간당의 샘플링치를 계산하는 것이기때문에 입력하는 펄스가 그 샘플링 시간에 드는가 다음의 샘플링 시간에 드는가에 의해서 샘플링치가 달라진다고 하는 일이 없게되어 예측치 연산의 정도를 올릴 수가 잇다.

Claims (1)

  1. 현재치 카운터(4)와, 잔여시간 시계회로(15)와 목표치 설정기(20)와, 연산회로(17)(18)(21) 등으로 구성된 수요제어장치(1)에 있어서, 샘플링시간
    Figure kpo00016
    마다 입력하는 펄스수(n)를 계수하는 펄스카운터(7)와, 샘플링 시간
    Figure kpo00017
    에 최초로 입력하는 펄스를 검출하여 시계회로(11)를 구동시키는 스타트펄스 검출회로(8)와, 샘플링 시간
    Figure kpo00018
    에 최후로 입력한 펄스를 검출해서 그 펄스입력시까지의 시간(
    Figure kpo00019
    )을 시계회로(11)로 측정시키는 스톱펄스 검출회로(9)와, 상기 펄스카운터(7)로 계수한 펄스수(n)는 -1 감산하는 -1 감산회로(10)와, 상술한 시계회로(11)와, 상기 -1 감산회로(10)의 출력을 펄스중첩 발생회로(14)로 부터의 1펄스당의 전력량(W)에 의해 승산 및 제산하는 승산 및 제산회로(12)(13)로 구성된 샘플링치 카운터(6)를 특징으로 하는 수요제어장치.
KR1019790002306A 1979-07-12 1979-07-12 수요 제어장치 KR830000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2306A KR830000136B1 (ko) 1979-07-12 1979-07-12 수요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2306A KR830000136B1 (ko) 1979-07-12 1979-07-12 수요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36B1 true KR830000136B1 (ko) 1983-02-14

Family

ID=1921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2306A KR830000136B1 (ko) 1979-07-12 1979-07-12 수요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13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9747A (en) Demand controller
US4404638A (en) Flow rate measuring device
KR830000136B1 (ko) 수요 제어장치
JP3750924B2 (ja) 放射線モニタ
US4056717A (en) Temperature correction systems for a fluid flow meter
JP3517329B2 (ja) ディジタル計数率計
KR830000688Y1 (ko) 수요 제어장치
KR830000159B1 (ko) 수요 제어장치
SU91145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временных интервалов
SU51607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производительности печей
KR830000139Y1 (ko) 수요 제어장치
RU2784409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пределения установившегося периода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SU166342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неэлектрических величин
RU1778717C (ru) Измеритель мощности дозы
SU892335A1 (ru) Цифровой след щий частотомер
SU164395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скорости изменени температуры
JPS6319831B2 (ko)
SU1053113A1 (ru) Прогнозатор постепенных отказов
SU99316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отношени сигнал/шум канала св зи
EP0204873A1 (en) Circuit breaker monitor
SU128187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массы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обрези на ножницах обжимных станов
SU119693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наружени опасной загазованности объекта
UA141471U (uk) Пристрій для вимірювання спрацювання обмоток силового масляного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JPS57151866A (en) Reactive power meter
JPS57161627A (en) Digital clinical thermome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