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034B1 - 보호성 계전장치 - Google Patents

보호성 계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034B1
KR830000034B1 KR1019790000091A KR790000091A KR830000034B1 KR 830000034 B1 KR830000034 B1 KR 830000034B1 KR 1019790000091 A KR1019790000091 A KR 1019790000091A KR 790000091 A KR790000091 A KR 790000091A KR 830000034 B1 KR830000034 B1 KR 830000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relay
current
circuit break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0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 해그버그 죤
Original Assignee
대비드 엘. 트레자이스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비드 엘. 트레자이스,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대비드 엘. 트레자이스
Priority to KR1019790000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07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et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호성 계전장치
제1도는 계량된 보호 계전장치의 부분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본 비접지 계전기의 동작 특성도.
제3도는 제로시퀸 방향 계전기의 동작 특성도.
제4도는 제1도에서 사용한 새로운 계전기의 상세한 블록도.
제5도는 또다른 새로운 비접지 계전기의 상세한 블록도.
제6도는 제1도의 방향 계전기의 상세한 블록도.
본 발명은 전력 시스템용 보호 계전장치, 보다 구체적으로 다상 배전 회로에 고 임피던스 장애를 검파하고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상 배전회로 상의 저 임피던스 장해는 종래의 과전류 계전기에 의해 검출되는 데 회로 차단기를 트립시킴에 의해 재빨리 그 장애가 분리된다. 그러나 접지고장 상태를 가쳐져오지 않는 파손 전선에 의해 야기 되는 것과 같은 고 임피던스 장애는 과전류 계전기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고 임피던스 장애를 검출하고 제거하는 보다 더 민감하고 계량된 보호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외에도 정상의 불평형부하 전류에 기인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트리핑을 가져오지는 않는다.
이목적을 고러한 것으로, 본발명은 다상 배전회로상의 고 임피던스 장애를 검출하고 제거하기 위한 보호계전기에 있는 것으로서, 다상 교류전원과, 다상 배전회로와, 부하회로와, 전원에 배전회로의 연결제어하기 위한 제1회로 차단기와, 부하회로에 배전회로와, 전원에 배전회로의 연결제어하기 위한 제2회로 차단기와, 설정된 상전류 관계량에 대한 제로 시퀸스 전류의 비가 장애조건을 나타낼때 설정된 지연시간 후에 관련회로 차단기를 트리핑하는 제1, 제2회로 차단기에서의 제1및 제2비접지 계전기와, 제2차단기에서 제로시퀸스량의 유동방향에 응하여 제1회로 차단기의 트립 지연시간에 비례하여 제2회로 차단기의 트립지연 시간을 조절하므로써, 제1, 제2비접지 연결기을 조성하기 위한 제2호로 차단기와 트립지연 시간을 조절하무로써, 제1, 제2비접지 연결기를 조정하기 위한 제2회로 차단기의 트립지연 시간을 조절하므로써 제1, 제2비접지 연결기를 조정하기 위한 제2회로 차단기에 달린 제로 시퀸스 방향계전기 등으로 구성하여 있다.
간단히 말해서 본 발명은 불평형 부하전류에 의한 바람직하지 못한 트립없이 파손된 전선에 기인한 고임피던스 장애를 검출하여 제거하는, 보다 감도가 좋은 접지장해를 제공하는, 다상배전 회로용 개량된 보호 계전기를 나타낸 것이다.
계량된 계전시스템은 각기 제1, 제2회로 차단기에 있는 제1,2비접지 계전기를 이용한다. 비접지 계전기는 개량된 계전 시스템을 위해 특별히 개발된 새로운 보호 걔전기이다.
제1호로 차단기는 배전용 발전소에 있으며 제2호로 차단기느 배전회로내에 위치한다. 불평형 부하전류에 기인한 바람직하지 못한 트리핑은 잔류전류 또는 접지전류가 최소치를 초과할 경우에만 트리핑하는 그러한 비접지 계전길 설치하느 것에 의하여 방지된다. 더욱이, 트립타이밍 개시에 요구되는 잔류 전류으 레벨은, 선전류 또는 상전류와 같이, 설정된 상전류으 크기에 의해서나 선전류의 정의 시퀸스 성분의 크기에 의해 증가된다.
더우기, 본계전 시스템은 고 임피던스 장해의 위치를 결정키 위해 제2회로 차단기에 제로 방향계전기를 더 포함한다. 제1차단기를 트립시키는데 필요한 지연 시간은 T1인데, 제로 시퀸스 방향계전기로 제2호로 차단기에서 제로 시퀀스량의 유동 방향에따라 T1보다 더 짧은 T2나 T1보다 더 긴 시간 T3를 선택한다. 만약 유동방향이 제2호로 차단기의 부하측에 대한 개방 전선이나 고 임피던스 장해를 가리킨다면, 제로 시퀸스 방향 계전기은 시간 T2를 선택하며, 제2호로 차단기늘 제1차단기 보다 먼저 트립하게 된다. 만일 개방전선이나 고 임피던스 장해가 제2회로 차단기의 전원 측에서 발생한다면, 제1호로 차단기가 트립하도록 시간 T3가 선택된다.
제1도에서는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서 만들 보호 계전 시스템(10)이 도시되어 있다. 보호 계전시스템(10)은 다수의 전선 a, b, c를 갖는 제1선로부(11)와 전선 a', b', c'를 갖는 제2선로부(13)을 포함하느 다상배전 시스템 또는 회로와 관련되어 있다. 제1선로부(11)는 제1선로 차단기(52)와 전선 a'', b'', c''를 경유하여 다상 교류전원 (12)에 연결되어 있다. 제1선로부(11)는 제2호로 차단기(52')를 경유해 제2선로부(13)에 연결되어 있다. 제2회로 차단기(52')는 재폐로 계전기(도시되어 있지않음)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2선로부(13)는 변압기(16)와 같이, 3상부하와 전선 a', b', c'와의 사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와이- 델타 결선 변압기와 연결되어 있다. 제2선로부(13)상의 전류부하는 (18)로 도시하여졌다.
제1호로 차단기(52)는 변전소에 있으며 제2호로 차단기(52')는 부하에 더 가까운 배전회로상에 설치되어 있다. 보호 계전시스템(10)은 정상 과전류계전기에 의해 검출되기에 충분한 크기의 이상 전류를 가져 오지 않는 파손 전선에 기인한 고 임피던스 장해를 검출하며 선로부(11) 및 (13)을 보호한다.
보호계전 시스템(10)은 각기 제1, 제2회로 차단기(52)와 (52')에 위치한 제1, 제2비 접지 계전기(60)과 (60')를 포함한다. 비접지 계전기(60)은 제1회로 차단기에 흐르는 제로 시퀀스전류(잔류및 접지전류)(3IO)에 반응하며, 전선 a'', b''및 c''에 흐르는 상전류 또는 선전류에 반응한다. 상 전류들에 반응하는 신호들은 다수의 변류기 CT1,
CT2, CT3에 의해 제공되며, 이들은 전선a'', b'' 및 c''의 상전류에 따라 여기된 1차권선을 갖는다. 변류기 CT1, CT2, 및 CT3의 2차 권선은 접지된 중성선(20)과 출력단자(22), (24) 및 (26)사이에 와이-결선되어 있다. 변류기(CT1, CT2, 및 CT3)로 부터의 출력전류는 중성선(28)과 (22, 24, 26)사이에 와이-결선되어 있다. 변류기(CT1, CT2, 및 CT3)로 입력되며 그리하여 더욱 강화되고 전압신호로 변환된다. 중성선(28)은 접지 변압기(T4)의 1차 권선을 지나 중성선(20)에 연결된다. 위상 및 제로 시퀀스전류에 응답하는 신호 Ia,'' Ib,'' Ic'' 및 3IO를 제공하는 변압기 CT1, CT2, CT3및 T4의 2차권선 양단에는 각각 저항에 연결되어 있다.
신호 Ia, Ib, Ic 및 3IO가 제2비 접지계전기(60')를 위해 같은 방법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이들 신호를 공급해주는 변류기는 1차적인 표시로 참고부호로 나타냈으며 자세히 설명은 않기로 한다.
제2도는 비접지계전기(60)과 (60')의 동작 특성도이다. 제1도는 종좌표상의 전류 3IO와 횡좌표상의 상 전류 1∮을 그렸다. 비접기 계전기(60)과(60')는 개시 타이밍에 대한 트립 신호를 개시하는데 필요한 레벨이 계전기에 선택된 S에 따라 상전류에 의해 증대되는 것으로 전류3IO의 예정 최소 크기 상에서 동작하도록 세트되어 있다. 선택된 M과 S의 설정은 곡선(30)을 결정하는데, 즉 곡선(30)는 M의 크기에 의해 초기 수평부분(32)을 가지며, S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34)와 같은 부분을 가진다. 비율 S는 상전류를 줄이는데 적용되거나(이경우 S는 1미만이다). 또는 3IO전류를 증대시키는데 적용된다. (이경우 S는 1이상이다.) 만약 주어진 상전류에 대한 3IO크기가 곡선(30)이상이면, 계전기는 트립 시한을 개시하는 트립 신호를 제공해준다.
예를들어, M은 정상위상계전최소 트립 세팅의 2-1/2내지 5%정도가 된다. S의 크기는 선전류의 약25내지 40%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전류3IO의 크기는 각 위상전류와 개별 비교되거나, 3상 전류들은 3IO전류와 비교되는 정의 시퀸스 전류 성분을 만들게끔 처리된다. 임의로 비교하여 제2도에나타낸 동작특성의 범주내에 포함될 경우, 트립신호가 발생한다.
비접지 게전기(60)에 의해 제공되는 트립 신호는, 발간된 I.L. 41-579 IK. 에서의 웨스팅 하우스 일렉트릭코오포레이숀의 TD-5와 같은, 시간지연회로(62)를 여기한다. 만일 비접지 계전기(60)으로 하여금 트립신호르 제공하도록 하는 그 상태가 시간 시연회로(62)의 설정 지연 시간 T1동안 지속한다면, 시간지연회로(62)는 제1호로 차단기(52)로 하여금 그것의 접촉을 트립및 개방하도록 하느 회로 차단기의 트립회로 (36)가 다상 교류전원(12)로 부터 선로부(11) 및 (13)을 분리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제2호로 차단디(51)와 함께 연결된 제2비접지 계전기(60')는 제로 시퀀스 방향 계전기(67)에 의해 제1비접지 계전기(60)과 함께 조정된다. 방향 계전기(67)은 제2호로 차단기에서의 제로 시퀀스 성분의 유동 방향에 응답한다.
비접지 계전기(60')에 의해 검출된 이상이 제2회로 차단기(52')의 전원측인가 부하측에 있는가를 방향계전기(67)가 결정한다. 제1선로부(11)에 이상이 있는가 또는 제2선로부(13)에 있는가를 결정한다. 방향 계전기(67)은 계기용 변압기 PT1, PT2, PT3를 경우해 선전압에 응답하는 신호를 얻는다. 이들 계기용 변압기들은 중심은 접지되어 있고, 제2선로부(13)의 전선 a',b', c'에 와이 - 결선된 1차 권선을 갖는다. 그들의 2차 권선은 단자(38),(40),(42)에 와이-결선되어 있고 중심선은 접지되어 있다, 다른 단의 전압변환은 중심이 접지되어 있고 단자(38),(40),(42)에 와이-결선된 1차 권선을 갖고 있는 변압기들 T5, T6및 T7에 의해 제공된다.
그들의 2차권선은 각각 선전압 a', b' c'에 반응하는 전압신호 Va', Vb', Vc'를 제공 하도록 방향 계전기(67)에 와이-결선되어 있으며, 중심이 접지되어 있다.
또한 방향 계전기(67)는 변압기 T4'로 부터 얻게되는 신호로서 전류 3IO에 응하는 신호전압에 반응한다.
방향계전기(67)는 전압 Va', Vb' 및 Vc'를 합한다. 만약 전압이 평형이되면 그 합은 0이 된다. 만약 불균형이면, 그 합은 제로 시퀀스전압 성분을 지시하며, 이는 전류의 제로 시퀀스 성분에 반응하는 전압 3IO와 대조되는 위상이 된다. 대수적인 위상각 비교의 신호는 계전기 위치로 부터의 장해방향을 가리킨다.
방향계전기(67)는 전압 Va', Vb' 및 Vc'를 합한다. 만약 전압이 평형이되면 그합은 0이된다. 만약 불균형이면, 그 합은 제로 시퀀스전압 성분을 지시하며, 이는 전류의 제로 시퀀스 성분에 반응하는 전압 3IO와 대조되는 위상이 된다. 대수적인 위상각 비교의 신호는 계전기 위치로 부터의 장해방향을 가리킨다.
방향 계전기(67)의 출력은 비 변환 입력과 변환 입력을 갖는 AND게이트(70)에 안가된다. ADN게이트(70)의 출력은 시간지연회로(62)에 연계된 시간 T1보다 작게 선택된 시간지연 T2를 갖는 시간 지연회로 (62')에 인가된다.
또한 비접지 계전기(60')의 출력은 시간지연 회로(62)와 연게된 시간 T1보다 더 크게 선택된 시간지연 T3를 가진 시간지연 회로(62'')에 인가된다. 시간지연 크기는 퓨즈, 제2회로 차단기, 제1회로 차단기등과 과전류 보호 장치가 조정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즉, 다시말하면, 시간지연은 과전류 보호장치가 동작할 수 있도록 충분히 길어야 한다. 예를들면, 시간 T1은 10초, T2는 8초 T3는 12초가 되어야 한다.
시간 지연회로(62') 및 (62'')의 출력은 OR게이트(72)의 입력에 인가되고 OR게이트(72)의 출력은 트립회로(74)에 인가된다. 트립회로(74)는 OR게이트(72)로 부터 특정신호를 수신할때, 전원(12) 및 제1선로부(11)로 부터 제2선로부(13)를 분리시키도록 제2회로 차단기(52')를 트립시킨다.
제1도에 나타낸 논리 회로와 함께, 방향계전기(67)는 , 화살표 DO에 의해 가리키는 것과 같이, 전원(12)을 항해 뒤돌아 보도록 배열된다. 즉 다시 말해서, 제1선로부 (11)에 이상이 없을때는 출력에서 논리 0신호를 제공한다. 제2선로부(13)에 검출된 장해는 방향 계전기(67)로 하여금 논리 0출력을 보유하게끔 한다. 제1선로부(11)에 검출된 장해는 방향 계전기 (67)로 하여금 논리 1신호를 제공하도록 할 것이며, 그것은 AND게이트(70)의 변환 입력에 인가된다. 양 비접지계전기(60)과(60')는 임피던스 장해를 검출하며, 그것은 AND게이트(70)의 변환 입력에 인가된다. 양 비접지계전기 (60)과 (60')는 그 임피던스 장해를 검출하며, 타이밍회로인 시간 지연회로(62)와 (62'')를 개시킨다.
AND게이트(70)는 비접지 계전기(60')로 부터의 신호가 시간지연 회로(62')에 인가되는 것을 막는다. 시간 T1T3보다 작기때문에 시간지연회로는(62)는 제일 먼전 타임 아웃되며, 제1호로 차단기(52)로 허여금 트립시켜 전원(12)으로 부터 제1선로부 (11)에 있는 이상(장해)를 분리시키게 한다. 만일 제1호로 차단기(52)가, 사실상 제2선로부(13)에 이상이 있으나 방향계전기(67)와 또는 그것과 연관된 논리회로에서의 기능 장해로 인하여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인하는 거와같이, 어떤 이유로 트립되지 않을 경우에, 시간지연 회로(62'')는 타임아웃하고 제2호로로 차단기(52')를 트립시킨다.
만일 고 임피던스 장해가 제2선로부(13)에 있을 경우, 방향 계전기(67)는 AND게이트(70)의 변환 입력에 논리 0을 제공하며, 타이밍을 개시하도록 비 접지 계전기(60')의신호가 3개의 시간지연 회로망의 가장짧은 지연 시간을 갖는 시간 지연회로(62')에 인가된다. 그리하여, 제2회로 차단기(52')는 전원(12)로 부터 제2선로부(13)에 있는 이상을 분리시키도록 트립된다.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낸 비접지 계전기(60)과 (60')에 사용하는 새로운 비접지 계전기(60)의 상세한 블럭다이아그램이다.
접지전류에 응답하는 신호 3IO는도현상(전류)을 제거하기 위해 60Hz의 중심 주파수를 갖는 대역통과 필터(100)를 통과한다. 그리고 그 결과의 신호는 증폭기 (102)에서 증폭되어, 접지나 제로 시퀀스 전류의 레벨에 응답하는 직류 전압을 얻기위해 전파정류기(104)내에서 정류된다. 정류된 신호는 파형을 평활하게하도록 적분기 (106)를 통하게 된다. 대역통과필터, 증폭기, 정류기 및 적분기의 기능은 연산 증폭기에 의해 모두 제공된다. 그 결과의 시호는 비교기로 사용되는 레벨검파기(108)에 인가된다.
3IO신호는 레벨 검파기(108)에서 기준 전압과 비교되고, 비접지 계전기(60)로 하여금 타이밍을 개시하도록 하는 제로 시퀀스 전류의 최소치인 제2도의 M에 상당하도록 선택된다. 또한 레벨 검파기(108)는 적분기(106)의 출력이 그곳의 한 입력에 인가되는 것으로 연산 증폭기 일수도 있으며, 전원 전압은 조정 가능한 저항기를 통하여 다른 입력에 가해진다.
그 저항기는 바람직한 M의 값을 선택하도록 조정된다. 만약 신호 3IO가 신호 M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연산 증폭기 출력은 논리 0이며, 초과할 경우엔 출력이논리 1이 된다. 레벨 검파기(108)의 출력은 이중입력 AND게이트(110)는 가능해진다. 만일 3IO전류가 M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AND게이트(110)은차단되며 비접지 계전기(60)는 트립 타이밍을 개시하는 신호를 공급할 수 없다.
위상 또는 선전류 신호 Ia, Ib 및 Ic는 적분기(106)을 포함하여 거기에 이르기까지, 신호 3IO에 관해 설명된 처리과정과 비슷한 방법으로, 각개별로 처리된다. 그리하여 위상전류 신호를 처리하는 이들 기능은 동일한 참고 번호로 표시했으며 자세한 설명으니 하지 않기로 한다.
처리된 3IO전류 신호는 비선택기(112)에 설정된 체배기 S(S
Figure kpo00001
1)에 의해 증가된다.
비선택기(112)의 출력은 비교기(114)내에서, 적분기(106)의 출력들에서 무터 유도된 것과 같은, 각 위상전류의 레벨과 비교된다. 만일 S배로 증가된 3IO전류에 응답하는 신호가 위상전류 응답신호 이하일 경우 비교기(114)는 출력이 논리 1신호가 된다. 만일 3IOS신호가 위상 전류 응답신호 이하일 경우 비교기(114)는 출력이 논리 0신호가 된다. 비교기 (114)위 출력은 OR게이트(116)에 가해지며, OR게이트(116)의 출력으 AND게이트(110)의 잔류입력에 가해진다. 그리하여 만약 3IO전류가 최소치 M의 레벨을 넘을 경우, AND게이트(110)출력은 논리 1신혹 되어 타이밍을 개시한다.
3IO가 최소치 M을 초과한다고 가정하면, 3IOS 임의의 상전류 I 와 같거나 초과했을때(3IOS>I)트립이 발생한다. 또한 이 관계는
Figure kpo00002
로 쓸수있으며, 이것은 3IO를 S배로 증가시키는 대신에 , 각 상전류가 3IO와 비교하여 1/S배로 감소될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제5도는 비접지 계전기(60)에 대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상세한 블록 다이아 그램이다. 3IO전류를 각 위상 전류와 비교하는 대신에, 이 또 다른 실시예는 Ia, Ib, Ic 에 응답하는 정의 시퀸스 전류 성분 Ia'를 발생한다. 정의 순차 전류성분 Ia'는 3IO전류와 비교되며 3개의 대신 단지 하나의 비교만을 요하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설비를 대체로 줄일 수 있다. 3IO전류는 비S'(S'1)배로 증가하거나, 정의 시퀸스 전류성분이
Figure kpo00003
배로 감소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비교기가 이루어진다. 이상이 없는 각상에 대하여 대체로 균형된 부하전류를 가정하여 대응 최소 트립 감도에 대해 최초의 실시예에 사용된 비 S와 다르기 때문에 그 비는 S1으로 표기 하였다.
보다 구체화에서, 3전류 Ia, Ib 및 Ic는 정의 순차 전류성분 Ia'를 만드는, 연산 증폭기의 한 형태와 같은, 정의 시퀸스 필터(118)에 연결되어 있다. 이 신호는 과도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대역통과 필터(100')를 통과하며, 증폭기(102')에서 증폭되어 정류기(104')내에서 정류되고, 그 파형은 적분기(106')에서 평활되며, 그 결과의 신호는 다시 비교기(114')의 한 입력에 가해진다.
3IO전류는 S대신에 S1배로 그 크기를 증가시키는 비 선택기(112')로 제4도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된다. 만일 3IO전류가, 레벨검파기(108')내에 결정된, 최소치 M을 초가할 경우 레벨검파기는 두 입력중 하나에 논리 1을 인가하므로써 AND게이트가 (110')을 가능케한다.
만일 3IOS'의 크기가 비교기(114')에 의해 결정된 Ia'와 같거나 초과할 경우 비교기(114')출력은 AND게이트의 잔여입력에 논리 1을 인가한다.
양 레벨검파기(108')와 비교기(114')출력이 논리 1일때, AND게이트(110')은 제1도 설명에 기술한 트립 타이밍을 개시하도록 논리 1의 출력을 나타낸다.
제6도는 제1도의 제로 시퀀스 방향 계전기967)에 사용되는 방향계전기(67)이 상세한 블록 다이아 그램이다. 선 진압을 나타내는 Va, Vb및 Vc와 재로 시퀀스 전류를 표시하는 3IO전압은 각각 대역통과 필터(120)를 통과하고, 증폭기(122)에서 증폭된다. 선전압에 대한 증폭된 신호는, 연산 증폭기나 저항가산화로 같은, 가산기(12)내에서 가산된다. 만약 전압이 평형이면, 합은 0은 된다. 만약 개방전선이나 고임피던스 장해 있을 경우, 합은 다상전압의 제로 시퀀스 성분을 나타내게 된다. 가산기(124)이 출력에나타나는 제로 시퀀스전압의 파형은 파형자승회로(126)에서 자승되며, 파형자승회로(126)의 출력은 위상각변별기(128)에 가해진다.
제로 시퀀스 전류에 반응하는 증폭된 신호3IO는 제3도에서 본 특성곡선을 기울기에 따라 선택된 위상변이량과 함께 이상(移相)기 (130)에 인가된다.
위상변이 신호는 위상각 변별기(128)에 인가 된다. 이상기(130)는 연산 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동일 양수자에게 양수된 미합중국 특허제3,295,019호의 제2도에 도시한 이상 회로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동일 미국특허는 파형자승 회로를 도시하고 있으나, 연산 증폭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위상각 변별기(128)는 선전압 신호의 위상이 두 회로(하나는 부의 출력을 제공하고, 다른 하나는 정의 출력을 제공한다)중의 하나를 통하여 제로 시퀀스 전류에 응답하는 신호를 게이트 하는 위상 감응 정류기 일 수 있다. 그 결과의 신호는 저역 필털 ㄹ통과하여, 입력이 부일때 논리 0신호를 , 그리고 입력 신호가 정일 때 논리 1신호를 공급하도록 레벨 검파기에 차례로 가해지는 정 또는 부의 단일 방항 전압을 공급한다.
제로 시퀸스 전류의 유동 방항에의 응답대신에, 위상각 변별기(128)는 제로 시퀀스 전력의 유동 방항에 기초한 출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파형자승회로(126)는 가산기(124)와 위상각 변별기(128)내에서 체배된 이상기(130)의 출력과 함께 제거될 수 있다. 그 결과는 위상각이 제1및 제4상한이면 정이고 제2및 제3상한이면 부가된다.
극성에 의해 전력이 유동 방향을 가리키는 직류 출력은 가지는 위상각 변별기의 다른 형태가 본 출원과 동일 양수인에게 양수된 미합중국 특허 제3,312,864호의 제2도에 나와 있다.
사용된 위상각 감지기술에 관계없이, 위상각 변별기(128)는 만일 제로 시퀀스 량의 유동 방향이 제1선로부(11)의 이상을 지시할 경우, 논리 1신호를 제공하도록 설비되고, 그 반대의 경우에 논리 0신호를 제공한다. 논리1신호는 타이머회로(132)에 가해진다. 만일 논리 1신호가, 예를 들어 4.16밀리초의, 설정시간 동안 지속한다면, 그것은 출력신호를 단조 다증 발진기(단조 멀티비이블어터)나 원쇼트와 같은 펄스 스트레칭 회로(134)에 제공하는데, 펄스 스트레칭회로는 시간 시연회로(62) 및 (62')가 동작하기에 충분히 오래 AND게이트(70)에 충분한 지속기간의 논리 1출력이 신호를 제공한다.
요약해서, 정상적인 불평형 부하전류에 기인한 성가신 트리핑 없이 보다 감도가 좋은 접지 이상 예방을 제공하는 새롭고 개량된 보호성 계전장치를 밝힌 것이다. 이상없는 상의 부하전류는 접지 장해 전류에 아무런 하자가 없는 경우에도 장해위상내의 개방을 검출하기 위한 비접지 계전기용 동작량을 공급해준다.
특별한 배전 회로용 부하연구에 따라 설정된 M과 S의 값을 적당히 선정하므로써, 밝혀진바의 보호성 계전장치는 떨어지거나 파손된 전선및 정상적 불평형 부하전류에 의해 야기되는 고임피던스 장해를 식별해 내게 된다.

Claims (1)

  1. 다상교류 전원(12)과, 다상 배전 장치인 제1선로부(11)와, 부하회로인 제2선로부(13)로 구성하고 있는 다상 배전회로상의 고 임피던스 장해를 검출하고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에 배전회로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제1회로 차단기(52)와, 부하회로에 부하 회로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제2회로 차단기(52')로 구성하고 있는 보호계전장치에 있어서,
    각각 제1및 제2회로 차단기에 있고 설정된 상전류 관계량에 대한 제로 시퀀스 전류의 비가 장해상태를 가르킬때 설정된 지연 시간후에 회로차단기르 트립시키는 제 1및 제2비접지 계전기(60,60')와, 제2회로 차단기에 있고 제2회로 차단기에서의 제로 시퀀스량의 유동 방향에 응하여 제1회로 차단기의 트립지연 시간에 대해 제2회로 차단기의 트립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제1및 제2비접지 계전기를 조정하는 제로 시퀀스 방향 계전기(67)로 구성하고 있는 특징이 있는 보호 계전 장치.
KR1019790000091A 1979-01-12 1979-01-12 보호성 계전장치 KR830000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091A KR830000034B1 (ko) 1979-01-12 1979-01-12 보호성 계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091A KR830000034B1 (ko) 1979-01-12 1979-01-12 보호성 계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034B1 true KR830000034B1 (ko) 1983-01-29

Family

ID=19210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0091A KR830000034B1 (ko) 1979-01-12 1979-01-12 보호성 계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03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7740A (en) Protective relaying apparatus
US5164876A (en) Static trip device comprising an earth protection desensitization system
US4825327A (en) Negative and zero sequence directional overcurrent unit for AC power transmission line protection
US4161011A (en) Ground distance relay employing phase comparator measurement
US42109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line voltage in a polyphase source
US4502086A (en) Differential protective relay
EP0316204B1 (en) Protective relay
US4091433A (en) Protective relay circuit for interphase faults
EP0151565B1 (en) Phase relay for ac power transmission line protection
CA1131312A (en) Voltage-unbalance detector for polyphase electrical systems
US5627712A (en) Transformer differential relay
US4951170A (en) Method for protecting an electric object to be protected
EP0319151B1 (en) Circuit to prevent uncontrolled tripping of a protective relay
US4819119A (en) Faulted phase selector for single pole tripping and reclosing schemes
US2295398A (en) Electrical protective device
KR830000034B1 (ko) 보호성 계전장치
US4296451A (en) Ultra high speed protective relay circuit
SE436237B (sv) Skyddsreleapparat
EP1435127B1 (en) Residual current operated circuit breaker
US1953108A (en) Differential relaying system
US2162516A (en) Automatic network protector
US3512046A (en) Polyphase protective relays employing a phase sequence discriminator to detect fault conditions
CA1144272A (en) Protective relaying apparatus
GB2124391A (en) Electricity supply fault detection
US2459639A (en) High-speed sequential relay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