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008B1 - Picture frame with inverter - Google Patents

Picture frame with inve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008B1
KR830000008B1 KR1019780002842A KR780002842A KR830000008B1 KR 830000008 B1 KR830000008 B1 KR 830000008B1 KR 1019780002842 A KR1019780002842 A KR 1019780002842A KR 780002842 A KR780002842 A KR 780002842A KR 830000008 B1 KR830000008 B1 KR 830000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spring
slider member
hous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800028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30000008A (en
Inventor
아커레트 페터
Original Assignee
리친페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아커레트 페터
독토르 페터 헬플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친페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아커레트 페터, 독토르 페터 헬플링 filed Critical 리친페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to KR1019780002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0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008B1/en
Publication of KR830000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0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3/00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 G03B23/02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in which a picture is removed from a stock and returned to the same stock or another one; Magazines therefor
    • G03B23/04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in which a picture is removed from a stock and returned to the same stock or another one; Magazines therefor with linear movement
    • G03B23/048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in which a picture is removed from a stock and returned to the same stock or another one; Magazines therefor with linear movement with horizontally sliding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3/00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 G03B23/02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in which a picture is removed from a stock and returned to the same stock or another one; Magazines therefor
    • G03B23/04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in which a picture is removed from a stock and returned to the same stock or another one; Magazines therefor with linear movement
    • G03B23/042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in which a picture is removed from a stock and returned to the same stock or another one; Magazines therefor with linear movement whereby the picture is not returned to the same stock after projection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변환장치를 갖춘 그림틀Picture frame with inverter

제1도는 닫혀진 장치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of a closed device.

제2도는 제1도와 유사하나 슬라이더(slider) 부재가 열려진 상태의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vice similar to that of FIG. 1 but with the slider member open.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를 각각 3-3 선을 따라서 절취한 단면도(제3도의 상면 및 하면).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3-3 of FIGS. 1 and 2, respectively (top and bottom surfaces of FIG. 3).

제4도는 화살표 방향 즉 제1도의 4-4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at is, lines 4-4 of FIG.

제5도는 제4도 장치와 유사하나, 상이하게 설계된 분리바를 갖춘 장치의 단면도.FIG. 5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device similar to the FIG. 4 device, but with a differently designed separator bar.

제6도는 운반방치의 비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한 개략 세로단면도.6 is a detailed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non-operational state of the conveyance.

제6a도는 제6도의 6A-6A선을 따라서 도시한 단면도.FIG. 6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A-6A of FIG.

제7도는 덮개가 열린 하우징의 덮개에서의 부분단면도.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d of a housing with the lid open;

제7a도는 작동상태 및 비작동상태의 와이어 사이의 연결 교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Fig. 7A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n alternating connection between wires in an active state and in an inactive state;

제8도는 덮개가 열릴때 운반 장치의 비작동화를 나타내는 세로 부분 단면도.8 is a longitudinal section view showing deactivation of the conveying device when the cover is opened.

제8a도는 제8도의 8A-8A선을 따라서 도시한 단면도.FIG. 8A is a cross sectional view along line 8A-8A in FIG. 8; FIG.

제9도는 닫혀진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9 shows another embodiment in the closed state.

제10도는 슬라이더 부재가 열려진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10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lider member is opened.

제11도는 제9도 및 제10도를 각각 11-11를 따라서 도시한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S. 9 and 10 along 11-11, respectively.

제12도는 제9도의 12-12선을 따라서 도시한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12-12 line of FIG.

제13도 및 제14도는 운반장치를 확대한 단면도.13 and 14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onveying device.

제15도에서 제19도까지는 슬라이더 부재가 다른 곳에 위치하는 상이한 실시예의 세로 단면도이며, 15a도는 그것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또 20 내지 23도는 최종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20 내지 22도는 슬라이더가 다른 위치에 있는 장치의 세로 단면도이고, 23도는 20도의 23-23선을 따라서 도시한 단면도.15 to 19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of different embodiments in which the slider member is located elsewhere, and FIG. 15a illustrates it in detail. 20 to 23 degrees show the final embodiment, 20 to 22 degrees are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of the device with the sliders in different positions, and 23 degrees are taken along lines 23-23 of 20 degrees.

본 발명은 변환장치가 달린 그림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ture frame with a conversion device.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예를들면 종이 그림용으로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공고 제2, 212, 135호에서 공지되어 있고 상응하는 사진판의 구조물들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명세서 제179, 675 및 224, 700호에서 나타나며, 이들 공지된 장치들의 원리는 비교적 단순하여, 슬라이드 부재에 접착된 갈고리에 의해 그림파일(pile)의 최상단 그림은 분리판에 떨어지고 그때 슬라이더 부재는 다시 뒤로 밀려져서 하우징에 배열된 분리판 아래로 안내되므로 그 그림은 그 파일의 아래로 가게되며 모든 공지된 구조물들은 스프링을 배열하여 그 스프링은 하우징의 조망 창(窓) 또는 조명구멍에 최상단 그림을 보내기 위하여 아래에서 그 파일에 압력을 가한다.An apparatus of this kind is known, for example, for paper paintings in German Patent Publication Nos. 2, 212 and 135, and the corresponding picture plates have been described in German Patent Publication Nos. 179, 675 and 224, 700. It is shown that the principle of these known devices is relatively simple, with the hook attached to the slide member, that the top picture of the pile falls on the separator plate, and then the slider member is pushed back again and below the separator plate arranged in the housing. As it is guided the figure goes down the pile and all known structures arrange the spring so that the spring presses on the pile from below to send the top image to the viewing window or lighting hole of the housing.

그림 또는 판을 다시 끼워넣는, 이러한 방법은 하우징의 배열된 스프링과 파일 사이에 밀려져 가야만 하며, 스프링력에 의한 이동의 결과로써, 또 마찰력이 크므로 그림의 표면에 흠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스프링은 창에 대하여 (“파일”이 한장의 그림만으로 구성될 때), 한장의 그림에 충분히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연장할 수 있어야 하며, 파일이 최대한의 두께일때도 그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유연성을 가져야만 하기 때문에 스프링장치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만 하며, 그 장치가 사용되지 않고 있을때에도 불구하고 그림은 언제나 스프링력하에 있게되고, 예를들면 사진이 완전히 건조되어 있지 않을때도 점착할 수 있게되어 스프링력에 의해 그림의 이동 및 삽입이 사용자에게 곤란내지는 복잡성을 주게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공지된 장치들의 특징과 같은 특징을 지닌 장치를 고안하는 것이며, 보는 창에 대한 그림의 스프링력을 없게 하거나 최대한으로 줄임으로서 난점들을 피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의 그 해결책은 아래 설명에 근거를 둔것이다.This method of reinserting the picture or plate must be pushed between the arranged springs and piles of the housing, and as a result of the movement by the spring force, because of the high frictional force, the surface of the picture has a flaw, and The spring must be extensible with respect to the window (when the “pile” consists of only one picture), so as to apply sufficient pressure to one picture, and sufficient flexibility to allow the picture to be inserted even when the file is at its maximum thickness. The spring device must be used with great care, since the picture is always under spring force, even when the device is not in use, for example to be able to stick even when the picture is not completely dry. The spring force gives the user the complexity of moving and inserting the pictu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ise a device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ose of the above known devices, and to avoid difficulties by avoiding or maximally reducing the spring force of the picture for the viewing window,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based on the description.

단순히 스프링을 이동하기 위하여 그것을 약하게 만드는 것은 만족스럽지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 경우에 보여진 그림은 파일의 높이에 의존하고, 그림의 만곡으로 인하여 창으로부터 떨어지거나 또는 다소 크거나 작게 떨어지기 때문이며, 그리하여 지지부재의 모양은 그 장치가 창에 대하여 최상단 그림을 위로 밀착되어 지지하는 지지요소들로 형성되어져야만 한다.It would not be satisfactory to simply weaken it to move the spring. Because the picture shown in that case depends on the height of the pile, and because of the curvature of the picture, it may fall away from the window, or somewhat larger or smaller, so that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is such that the device sticks the top picture up against the window. It must be formed of supporting elements.

그림이 바뀔때 그림이 파일에 떨어질 수 있도록 지지부재는“사라져야”만 하며, 그리고 나서 다시 돌출되어 재삽입되며, 실시예에서 그림은 파일의 밑바닥에 있던 바로 그 그림이 되며 종래 기술과는 반대로 가장 위에 있는 그림이 밑바닥에 운반된 것이 아니라 밑바닥에 있는 그림이 파일위의 지지부재에 운반된 것이다.The support member must be "disappeared" so that the picture falls on the file when the picture changes, and then extrudes and reinserts again, in the embodiment the picture is the very picture that was at the bottom of the file, as opposed to the prior art. The picture on the bottom is not transported to the bottom, but the picture on the bottom is carried on the support member on the pile.

지지부재는 경사져서 늦어도 슬라이더 부재가 완전히 빠졌을 때 열리거나, 선회되거나 또는 기타 방으로 이동되어야 하며, 늦어도 슬라이더 부재의 재삽입이 다시 시작될 때 다시 행해져야만 한다.The support member must be inclined so that it is open, pivoted or moved to the other room at the latest when the slider member is completely displaced, and at the latest it must be done again when the reinsertion of the slider member starts again.

모든 파일을 한꺼번에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종래와 같이 슬라이더 부재로 부터 멀리 떨어진 끝 벽위에 이동 플랩(flap)을 배열하기 위하여 그동안에 이동 작동이 지지부재를 사라지게 하는 것이 불필요해지며 이는 그림이 헐겁게 누워있기 때문이다. 또 파일의 최하단 그림이 하우징에 들어가고 지지부재위의 그림을 포함한 나머지 그림을 수용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 경우에 지지부재(지지하는 요소)는 슬라이더 부재위에 배열되고, 전 파일을 제거하기 위해서 또한 하우징내에 남아있는 그림을 슬라이더 부재로 빼내기 위하여 하우징에 배열된 전달장치가 작동되지 않게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 간단하다. 이것은 전 파일의 제거를 위한 분리 덮개의 필요성을 제거하며, 파일 제거를 위한 전달 장치의 불필요성은 처음에 언급한 구조에서도 또한 이점을 준다. 결국 이것의 반대 구조에서 까지고, 하우징내의 지지부재를 제거하고 하우징의 지저면으로부터 지지부재까지 그림을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 또한 지지부재는 남아 있는 파일과 함께 지지부재 위에 이전에 배열된 그림을 제거해야 한다.It is possible to remove all the files at once and also, in the meantime, in order to arrange the moving flap on the end wall away from the slider member, it is unnecessary for the moving operation to make the supporting member disappear, which causes the picture to be loosened. Because there is.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most figure of the pile enters the housing and accommodates the rest of the figure, including the figure on the support member, in which case the support member (supporting element) is arranged on the slider member and the entire pile is removed. It is also generally simpler to disable the delivery device arranged in the housing in order to also draw out the picture remaining in the housing to the slider member.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a separator cover for the removal of the entire file, and the need for a delivery device for the file removal also benefits from the structure mentioned earlie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support member in the housing and to carry the drawing from the base of the housing to the support member, up to the opposite structure, in which case the support member is also arranged previously on the support member with the remaining piles. You must remove the picture.

굽혀진 그림 또는 끝이 손상된 그림의 경우에서 신뢰할 수 없는 갈고리 대신에 운반 장치를 사용하면 그림과 평면 접촉을 할 수 있는 점착성의 덮개는 슬라이더 부재의 귀환행정 동안에 자동적으로 예를들면 기저부 또는 그 유사한 곳에 있는 홈속으로 완전히 들어감으로서 그림 표면을 보호할 목적으로 작동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In the case of a bent picture or a picture with a damaged tip, the use of a conveying device in place of unreliable hooks allows the adhesive cover to come into flat contact with the picture automatically during the return stroke of the slider member, eg at the base or the like. It does not work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painting surface as it enters fully into the groove. The objec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기저부(20)를 지닌 하우징(1)을 도시한 것이며, (22)는 조망창, (24)는 측벽(제3도)(2)는 파일 제거 덮개이며, 제2도에서는 하우징에서 (2)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housing 1 with a base 20, 22 is a viewing window, 24 is a side wall (FIG. 3) 2 is a pile removal cover, and FIG. It shows the state in which (2) is separated.

기저부(26)와 측벽(28) 및 끝단 바(30, end bar)로 구성되는 슬라이더 부재(3 )는 미끄러질 수 있게 하우징에 장착되며, 분리바(4)는 하우징의 꼭대기로부터 아래로 돌출하는 두개의 러그(lug) 사이에 그것을 배열하는 방법으로 하우징에 고정되고 횡단면 형상의 분리바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A slider member 3 consisting of a base 26 and a side wall 28 and an end bar 30 is slidably mounted to the housing, and the separating bars 4 are two protruding downwards from the top of the housing. Separation bars fixed in the housing and cross-sectional shaped in such a way as to arrange them between the lugs of are shown in FIGS. 1 and 2.

판스프링(10)으로 되어 있는 운반장치는 슬라이더 부재를 따라서 중앙에 뻗쳐 있고 그위에 접착성 덧판(32)이 덮개(2) 폭으로 밀접하여 배치되며, 슬라이더 부재의 측면 바(28)는 러그(12)와 하우징의 측벽(24)사이에 위치한다.The conveying device of the leaf spring 10 extends centrally along the slider member, on which the adhesive faceplate 32 is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2 width, and the side bars 28 of the slider member are provided with lugs ( 12) and the side wall 24 of the housing.

측벽(24)과 하우징의 덮개(2)에 접한 2개의 기둥(11)안에 각각에서 아래로 돌출하는 와이어 스프링(6)의 끝부분이 수용되고, 그 스프링은 아아취 모양으로 하우징의 중앙을 향해굽어져 있고 그 다른 단(7)도 똑같이 하방으로 굽혀져서 홈에 헐겁게 수용되며, 그 홈은 슬라이더 부재의 측면바(34)와 하우징의 측벽(28) 사이에 있으며, 측벽( 24)에 대해 위로 돌출하는 받침부(9)는 맨끝에 형성되며, 그 끝은 슬라이더부재 측면 바아의 덮개(2)에 면하는 단을 말한다.In the two pillars 11 abutting the side wall 24 and the cover 2 of the housing, the ends of the wire springs 6 projecting from each down are received, which springs toward the center of the housing in the form of an arch. Bent and the other end 7 is equally bent downwardly and loosely received in the groove,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sidebar 34 of the slider member and the side wall 28 of the housing,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24. A protruding base 9 is formed at the end, the end of which refers to the end facing the cover 2 of the slider member side bar.

덮개(2)는 예를들어 스터드(5)에 의해서 하우징에 고정될 수도 있고, 그것은 한 재의 그림(8)이 창문(22)과 스프링(6)의 아아취부 사이에 배치된다는 가정에서, 그림파일(도시되어 있지 않음)은 하우징 내에서 운반장치(10) 또는 그것의 점착성 덧판(3 2)와 스프링(6)의 아아취부 아래쪽 사이에 배열되며, 만일 슬라이더 부재(3)가 당겨져 있다면 파일은 분리바(4)에 의하여 하우징 내에 걷어들여지지만 최하단 그림이 점착성 덧판(32)에 의해 끌어들여지지는 않으며 이 그림은 분리바에 의해 바깥으로 이동되어 분리바(4)의 아래로 미끄러져 지나간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바는 두 개의 부분내에 있고 그것의 중앙부는 염려있어 항상 운반 장치가 분리바의 두 부분 사이를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 받침부(9)가 자유로히 움직일 수 있는 스프링(6)의 아암(7)을 밀어 이것들이 밖으로 밀려서 스프링의 아아취부가 곧게 펴져서 여태까지 스프링 아아취 위에 있던 그림(8)은 더이상 지지되지 않게되어 보조스프링(7')의 도움으로 아래로 떨어져 최상단 그림과 같이 분리바에 의해서 걷어들여진 파일위에 떨어진다.The cover 2 may be fixed to the housing, for example by means of a stud 5, which assumes that a picture 8 of an ash is placed between the window 22 and the bottom of the spring 6. (Not shown) is arranged in the housing between the conveying device 10 or its sticky top plate 3 2 and the lower part of the spring 6 and if the slider member 3 is pulled the file is separated The bottom picture is drawn by the bar 4 but is not drawn by the sticky top plate 32, which is moved outwards by the separating bar and slides down the separating bar 4. As shown in FIG. 4, the separation bar is in two parts and its center is concerned so that the transport device can always pass between the two parts of the separation bar. The arms (9) of the spring (6), in which the support (9) can move freely, are pushed out, so that the spring's abutment is straightened so that the figure (8) on the spring's arch is no longer supported. With the aid of the auxiliary springs (7 ') they fall down and fall on the piles lifted by the separating bar as shown in the top figure.

제5도는 분리바가 연속적이나 이송장치(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공된 홈(1 4)이 있는 점에서 제4도와 상이한 분리바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다른 홈(14')은 바(20)대신 마련된 슬라이더의 푸쉬 러그를 통과하도록 한다.5 shows an embodiment of a separation bar different from that of FIG. 4 in that the separation bar is continuous but there is a groove 14 provided for the conveying device 10 to pass through, while the other groove 14 ′ is a bar ( 20) Pass the push lug of the slider instead.

이송장치(10)은 점착성 덧판(32)의 지지체로서 상방향으로 약간 경사진 스프링(36)을 갖추고 있고 그 접촉력은 한장의 그림을 지지하기에 충분하다. 슬라이더 부재가 완전히 열려진 위치에서 (제2도) 스프링 중앙에 점착성 덧판 사이에 제공된 작은 보조 스프링(도시되어 있지 않음)은 약간 위로 분리바에 인접하여 접힌 그림의 끝에 힘을 가하여 슬라이더 부재가 닫혀질때 이 끝이 분리바의 바깥으로 면하는 경사진면을 따라서 위로 미끄러지도록 하여 슬라이더 부재가 복귀됐을때 스프링(6)의 고유탄성력으로 인하여 다시굽어진 스프링 아아취위에 자리잡도록 한다.The conveying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spring 36 which is slightly inclined upward as a support of the sticky plate 32 and its contact force is sufficient to support a single picture. A small auxiliary spring (not shown) provided between the adhesive pads in the center of the spring (figure 2) in the fully open position of the slider member (not shown) is applied to the end of the folded figure slightly upwards, adjacent to the separation bar, when the slider member is closed. The sliding bar slides up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facing outwardly so that the slider member is positioned on the spring bent again due to the high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 when the slider member is returned.

슬라이더 부재의 귀환 행정 동안 운반장치는, 비록 스프링(36)의 압축응력이 매우 약하다 할지라도, 하우징에 배치된 파일 아래로 미끄러져야만하며, 이 귀환 운동은 만일 점착성 덧판(32)가 최하단 그림을 따라서 미끄러진다면 이러한 귀환운동은 매우 어렵게 되므로 스프링이 귀환 행정동안 밀어내리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36)의 가장 끝부분(38; 제6도은 홈(39') 또는 그밖의 같은 종류의 형식에 의해 세로 단면 또는 그밖의 같은 종류를 축소시킴으로서 스프링의 나머지 부분보다 조금 더 유연하게 만들어지고, 약화된 횡단면의 이 부분은 전단 부근에서 옆으로 돌출하는 안내부재(40; 또한 제6a도)을 갖추고 하우징의 기저부(20)로부터 안으로 면하는 안내단(42)을 지닌 두개의 캠바(13)는 위로 돌출한다.During the return stroke of the slider member, the conveying device must slide under the pile arranged in the housing, even if the compressive stress of the spring 36 is very weak, and this return movement is carried out if the sticky plate 32 follows the lowest figure. If it slips, this feedback becomes very difficult and the spring must be designed to push down during the feedback stroke. As shown in FIG. 3, the most end 38 of the leaf spring 36 (FIG. 6) is reduced in length by means of a groove 39 'or other similar type of spring to reduce the length of the spring. Made a little more flexible than the rest, this portion of the weakened cross section has a guide member 40 (see also FIG. 6A) that protrudes laterally near the front end and faces inward from the base 20 of the housing. The two cambars 13 with) protrude upwards.

슬라이더 부재가 열렸을때 단부(38)은 분리바(4)의 아래를 지나고 후자에 의해서 아래로 압력을 받아서 뒤로 밀어넣는 슬라이더 부재위의 안내부재(40)가 안내단(4 2)의 아래로 지나가도록 하므로서 캠바(13)의 상측(44)의 밑에 점착성 덧판(32)에 압력을 가하게 하며, 캠바(13)는 스프링(36)이 슬라이더 부재의 내면 끝 위치에 밀착할 때까지 풀어지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하고 점착성 덧판(32)은 아래로 부터 파일의 가장아래 그림을 마주보고 위치되며, 다시 당기면 안내부재(40)은 캠바(13)의 둥근홈끝(4 5) 위로 미끄러진다.When the slider member is opened, the end 38 passes under the separation bar 4 and the guide member 40 over the slider member, which is pushed back under pressure by the latter, passes under the guide end 4 2.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adhesive plate 32 under the upper side 44 of the cam bar 13, so that the cam bar 13 is not released until the spring 36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end of the slider member. The length of the adhesive plate 32 is located facing the bottom of the file from the bottom, and when pulled again, the guide member 40 slides over the round groove end 45 of the cam bar 13.

파일을 제거하기 위해, 덮개(2)가 열려져 파일이 떨어지며 또한 꼭대기에 있는 그림(8)도 떨어지나, 파일의 최하단 그림이 점착성 덮판으로 인해 빨라 접혀지지 않거나 큰 힘으로 빼내어 져서는 안된다면, 점착성 덧판은 예를 들어 캠바아의 수평한 꼭대기(44) 아래에 당겨지는 스프링(36)에 의하여 덮개(2)를 열으므로써 작동되지 않게 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7도 참조) 안내부재(46)가 아래로 돌출하는 스프링의 안내 스프링 아암(36)에 속박하는 하우징 끝부분에 있는 덮개에 추진 와이어(15)가 마련되어 스프링이 아래로 당겨지게 되며 제7a도에서 와이어(15)는 덮개(2)에 선회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것과 함께 전체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하우징에 관한 제7도에서 운반장치(10)는 우측에 당겨지기 때문에 안내부재(46)는 그림의 정상적인 교환 운동을 방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우징 기저부(20)에서 캠홈이 제공되어(도시되지 않았음) 안내부재(46)의 기저부 측면에서 스터드 또는 그밖의 유사한 종류의 것에 의해 체결되어 덮개(2)의 밀착된 위치에서 안내부재가(46) 스프링 아암(16)을 오프셋 하도록 하는 목적에 일치하며 자유로운 캠의 운동을 하게하는 반면 반대로 덮개(2)가 당겨지자 곧 안내부재(46)는 스프링 아암(16)의 자유단에 미끄러지며, 제7a도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생각이 적용된다.To remove the file, if the cover (2) is opened to drop the file and also the top picture (8), but the bottom picture of the file is not to be quickly folded due to the adhesive cover or to be pulled out with great force, the adhesive plate is an example. For example, it is disabled by opening the cover 2 by a spring 36 which is pulled under the horizontal top 44 of the cambar. For this purpose (see FIG. 7), a propulsion wire 15 is provided in the cover at the end of the housing which is bound to the guide spring arm 36 of the spring from which the guide member 46 protrudes downwards so that the spring is pulled down. And in FIG. 7a the wire 15 can be pivotally connected to the cover 2 or can be molded together with it as shown in FIG. Since the conveying device 10 is pulled to the right in FIG. 7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e guide member 46 may interfere with the normal exchange movement of the figure. Thus, a cam groove is provided at the housing base 20 (not shown) and fastened by a stud or other similar kind at the base side of the guide member 46 so that the guide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id 2 ( 46)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offsetting the spring arm 16 and free movement of the cam while on the contrary the guide member 46 slides on the free end of the spring arm 16 as soon as the cover 2 is pulled, This idea applies in the embodiment of FIG. 7A.

제8도는 운반 장치가 덮개를 열음으로서 비작동화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의 가능성을 도시한 것이다. 두개의 작은 쐐기(18)를 덮개(2)에 설치하며 기저부단에 안내부로서 형상되며 다시 미끄러지게 설치된 바작동화 부재(46)이 마련되며, 로드(17)에 의하여 덮개가 열릴때 그 덮개는 부재(46)를 좌측(제8도)으로 가게하며 다시 덮개가 들어올 때 쐐기(18)는 로드를 풀어준다. 그래서 부재(46)는 정화히 출발 위치에 되돌아오게 되거나 또는 스프링링 력하에 있게 되어 덮개에 의한 작동이 좀더 이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분명히 부재(46)는 예를들어 하우징의 기저부(20)에 설치된 기저부단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므로 양자택일로 운반 장치는 정상적으로 비작동될 수 있고 후퇴가 시작된 후에만이 유용화될 수 있다.(그림 참조)8 shows the possibility of another method in which the conveying device can be deactivated by opening the lid. Two small wedges (18) are installed on the cover (2) and provided with a bar actuating member (46) which is formed as a guide at the base end and slides again, and the cover is opened by the rod (17). The member 46 is moved to the left side (Fig. 8) and the wedge 18 releases the rod when the cover is retracted. Thus, although the member 46 is cleanly returned to its starting position or is under springing force so that the operation by the lid is more advantageous, the member 46 is obviously at the base end installed in the base 20 of the housing, for example. Alternatively, the transport device can be deactivated normally and only available after the retraction has started (see figure).

여기까지는 상기 구조에서 그림은 우선 슬라이더 부재를 따라서 잡혀나온 파일의 최하단 그림에 의해 바뀌어졌으며 뽑아내는 작동의 끝에서만 최상단 그림 스프링 아아치(6)와 하우징의 보는 판(22)사이에 있는 플랫 전람부 아래로 떨어진다. 그러므로 만일 그 장치에 그림이 한장만 있다면 그 그림은 슬라이더 부재가 두번 작동함으로서 만이 전람부에 되돌아온다. 즉 사이클의 첫운동에서 그림(8)이 아래로 떨어지고 사이클의 두번째 운동에서는 그것은 다시 안내되어 꼭대기의 전란부를 들어오게 된다. 만일 한장의 그림에서 까지도 그림 변환이 직접 이루워지도록 되어야 한다면 지지부재는 슬라이더 부재의 후퇴 시작때에 제거되어야만 하므로 문제의 그 그림을 슬라이더 부재에 의하여 바깥으로 인출된다.So far the picture in the above structure has been changed by the bottom picture of the pile first taken along the slider member and only at the end of the extraction operation the flat exhibition section between the spring arch 6 and the viewing plate 22 of the housing. Falls down. Therefore, if there is only one picture on the device, the picture is returned to the exhibition only by operating the slider member twice. That is, in the first movement of the cycle, the figure (8) falls down and in the second movement of the cycle it is guided back into the top of the egg. If even a picture is to be transformed directly, the support member must be removed at the start of the retraction of the slider member, and the picture in question is drawn out by the slider member.

제5도에 따른 실시에에서는 홈(14)이 너무 크기 때문에 점착성 덧판(32)이 분리바(4)에 마찰되도록 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it is impossible to make the adhesive plate 32 rub against the separation bar 4 because the groove 14 is too large.

전술한 장치로부터 설계자는 쉽사리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장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분리바가 슬라이더 부재위에, 운반장치가 하우징에 설치된다면 슬라이더 부재가 전람부에 있는 그림을 포함한 전파일을 끌어 낼때마다 하우징에 있는 마지막 한장의 그림까지 제거된다.From 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the designer can easily change the apparatu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a separation bar is placed on the slider member and the carrier is installed in the housing, each time the slider member pulls out the radio wave, including the picture on the exhibition, the last one picture in the housing is removed.

그리하여 예를들면 측면으로 고정되고 하우징으로부터 구부러진 가로바를 만들어 창문과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로바는 가로 바 중앙의 너머지 위치에서 위에 있는 그림을 잡는 슬라이더 부재를 제어하나 그때에 첫번째 이동에서 슬라이더 부재가 측면까지 당겨져 그림이 한쪽으로 떨어지고 다른 방향의 측면까지 당겨져서 그림은 또한 다른쪽에 있는 가로 지지바에 의하여 눌려진다. 슬라이더 부재의 귀한 직후에 이들 지지제어 부재들은 다시 중앙의 중립위치에 있게 된다.Thus it is possible, for example, to make a horizontal bar which is fixed to the side and bent from the housing and placed between the window and the support member, which controls the slider member that holds the upper figure at a position beyond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bar, In movement, the slider member is pulled to the side so that the picture falls to one side and to the side in the other direction, the picture is also pressed by the horizontal support bar on the other side. Immediately after the return of the slider member, these support control members are again in the central neutral position.

다른 가능성은 유사하게 설계된 지지부재를 하우징 대신에 슬라이더 부재위의 곡선형 스프링(6)에 설치하는데 있으며, 그 스프링은 러그(12)에 부딪치므로서 밀려지게 되며, 이러한 방안은 슬라이더 부재가 완전히 당겨질 때 지지부재가 그때에 다시 안으로 굽어지고 있는 스프링 아아치에 의해서 재형성되는 추가적인 이점을 가지게 될 것이며, 그래서 그 장치가 약간 수긱위치에서 잡혀진다 하더라도 당겨진 그림을 떨어질 수 없도록하며, 다시 들어오게 되면 스프링은 먼저 변형되어 그때 다시 굽어진다.Another possibility is to install a similarly designed support member in place of the housing on the curved spring 6 on the slider member, which spring is pushed against the lug 12 and this solution is pushed completely. When pulled, the support member will have the additional advantage of being reshaped by the spring arch being then bent back in, so that even if the device is held in a slightly male position, the pulled picture will not fall off, The spring is deformed first and then bent again.

첫번째 실시예의 설계 및 작동 방법에 대해서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왔기 때문에 제9도 내지 제14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방법에 대해서는 간단치 요점만을 말해도 충부하다.Since the design and operating method of the first embodiment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imple method points are sufficient for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9 to 14.

이 실시예에서, 운반 장치는 하우징에, 분리판은 슬라이더 부재위에 배치되고, 위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같이, 지지부재는 또한 슬라이더 부재위에 설치되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veying device is arranged in the housing, the separator plate is arranged on the slider member, and as already mentioned above, the support member is also arranged to be mounted on the slider member.

하우징(51)에 배치된 운반 장치는 활주 슬라이더 부재(52)와 회전부분을 지닌 탄력성 설부(舌部)를 말하며, 회전부분은 그 측에 대해 선회할 수 있고 그 표면의 한 부분에 점착성 덧판(55)이 있다.The conveying device disposed in the housing 51 refers to an elastic tongue having a slide slider member 52 and a rotating part, the rotating part being able to pivot about its side and having a sticky plate on one part of the surface thereof. 55).

슬라이더 부재위에 설치된 분리바는, 첫번째 실시예와 같이, 두개의 부분으로 되어 있거나 또는 연속적인 분리바(56)을 말하며, 본 실시예에서 곡형의 지지부재(57)는 둥근 와이어로 되어 있다.The separation bar provided on the slider member, like the first embodiment, refers to a two-part or continuous separation bar 56, in which the curved support member 57 is a round wire.

제9도에서, 평면 전람부는 한쪽에는 보는 판(60), 또한 쪽에는 탄력성 설부로 구성된 지지요소(57)로 되어 있고, 그 전람부에서 한장의 그림(58)은 보게되며 이는 그 중간 공간이 비교적 작아서, 그림이 아아치 또는 곡형으로 되어 있다. 하더라도 판(60)에 대해 잘 놓여지므로 나머지 그림들은 지지부재(58)의 아래 공간에 파일되어 언급된 상기 첫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은 압력의 탄력성 설부(53)에 의해 지지된다.In FIG. 9, the planar exhibition part consists of a support element 57 consisting of a viewing plate 60 on one side and an elastic tongue on the side, on which one piece of figure 58 is seen, which is the intermediate space. Relatively small, the picture is arched or curved. Even if it is laid well against the plate 60, the remaining figures are supported by a low pressure resilient tongue 53 as in the fir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piled up in the space below the support member 58.

슬라이더 부재(52)가 이동되면 곧, 회전부분(54)위에 설치된 점착성 덧판(55)은 최하단 그림을 끌어당기는 반면 전람부에 있던 그림을 포함한 파일의 나머지 그림들은 슬라이더 부재와 함께 밖으로 이동된다.As soon as the slider member 52 is moved, the sticky top plate 55 installed on the rotating portion 54 attracts the lowermost picture while the remaining pictures of the file including the picture in the exhibition are moved out together with the slider member.

지지요소(57)는 슬라이더 부재가 하우징 내에 있을때는 안으로 압력을 받고, 슬라이더 부재가 후퇴될때는 밖으로 비껴져서 삼각형의 돌기부를 형성하도록 굽혀지며 이러한 목적으로 슬라이더 부재는 그 상부 측면 가로바(62)에 측면홈을 지니며, 슬라이더 부재가 완전히 후퇴됐을때(제11도), 모든 삼각형의 돌기부가 그 홈을 통해 밖으로 돌기하며 이제까지 전람부에 있던 그림(58)이 아래로 떨어지게 되며, 만일 그 장치가 수평한 위치에서 사용되지 않을 때는 축방향의 스프링 또는 그밖의 같은 종류의 장치에 의해 그림(58)은 파일의 방향에서 압축응력을 받게 된다.The support element 57 is pressurized in when the slider member is in the housing and bent outwards when the slider member is retracted to form a triangular protrusion, for which purpose the slider member is attached to its upper side horizontal bar 62. With a side groove, when the slider member is fully retracted (fig. 11), all the triangular protrusions protrude out through the groove and the figure 58, which has been in the exhibition, falls down, if the device When not in a horizontal position, the figure 58 is subjected to compressive stress in the direction of the pile by means of an axial spring or other such device.

후퇴 또는 슬라이더 부재의 귀환 행정동안, 이제까지 운반장치(54)에 의해 단단히 지지되어 있던 하우징내의 그림은 그것에 면하고 있는 분리바(56)의 경사면에 미끄러지고, 그 분리판의 상단은 지지요소(57)의 상부측면 보다 더 높아서 전람부가 슬라이더 부재의 귀환 행정 동안에 복귀될때 그림이 전람부로 미끄러져 들어가고 파일위로 물러 나지는 않는다. 이는 운반 장치를 형성하는 회전부분(54)이 탄력성설부(53)을 약간 지나 돌출되기 때문에 이제까지 단단히 지지되어 있던 그림은 차례로 분리바(56)위로 이동되며,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분리바(56)은 전 높이에 걸쳐서 연장하는 틈 또는 단지 운반장치(54)의 최하단에 있는 틈단을 지닌다.During the retraction or the return stroke of the slider member, the picture in the housing which has been firmly supported by the conveying device 54 slides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parating bar 56 facing it, and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ng plate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element 57. Higher than the upper side of the figure, the picture slides into the exhibition and does not retract over the pile when the exhibition is returned during the return stroke of the slider member. This is because the rotatable portion 54 forming the conveying device projects slightly past the resilient snow portion 53, so that the figure that has been firmly supported so far is moved onto the separating bar 56 in turn, as shown in FIG. The bar 56 has a gap extending over the entire height or only the gap at the bottom of the conveying device 54.

슬라이더 부재의 귀환 행정 동안에, 돌아온 파일은 운반 장치(54)에 활주할 것이나 동시에 점착성 덧판(55)과 접촉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회전부분(54)는 그것이 작동되지 않고 파일의 최하단 그림이 요소(54)의 나머지 매끄러운 면에 쉽게 활주할 수 있을 때까지 회전되기 때문이다.During the return stroke of the slider member, the returned pile will slide on the conveying device 54 but at the same time it is not in contact with the tacky plate 55. Because the rotating part 54 is not operated and is rotated until the bottom picture of the pile can easily slide on the remaining smooth side of the element 54.

회전 부분의 매끄러운 면에서 까지도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점착성 마찰의 결과로서 회전 부분은 후퇴가 다시 시작되는 동안 자동적으로 회전되어 점착성 덧판이 꼭대기에 오도록 한다.As a result of naturally occurring cohesive friction even on the smooth side of the rotatable portion, the rotatable portion is automatically rotated while the retraction is restarted so that the tacky plate is on top.

제13도는 운반 장치의 약간 다른 모양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 경우에서 운반 장치는 탄성활부(53)에 상응하는 원통형의 부푼 돌기(59)위를 아아치형 운동으로 전후로 활주할 수 있는 원통의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축방향으로 평행한 종단부를 가지고 있고 또한 제9도에서 12도까지의 운반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제14도에서도 유사한 종단부(49)가 도시되어 있다.FIG. 13 shows a slightly different embodiment of the conveying device, in which case the conveying device is a part of the cylinder which can slide back and forth in an arched motion over the cylindrical swollen protrusion 59 corresponding to the resilient bow 53. A similar end 49 is also shown in FIG. 14, which has an axially parallel end and which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veying device of FIGS.

슬라이더 부재가 당겨질 때 구동기능을 멈추기 위한 방법은 제1도 및 8a도에 관하여 기술되었으면 유사하게 이 실시예에서도 역시 사용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 있어서는 덮개(2)와 같은 추가적인 덮개가 필요치 않기 때문에 슬라이더 부재는 최하단의 그림을 포함한 전파일을 이동한다. 예를들어 탄성 설부(53)는 슬라이더 부재(54)에 의한 지지 리브에서 압력을 받을 수 있고 또는 부분(54)는 외부로 부터 또는 그 유사한 것으로 부터 움직일 수 있는 서랍에 의하여 비작동화된 위치에서 단단히 지지될 수 있다.The method for stopping the drive function when the slider member is pulled may similarly be used 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8a, but in this case the slider member is not necessary since no additional lid such as lid 2 is needed. Moves the propagation date, including the lowest figure. For example, the resilient tongue 53 may be pressurized by a support rib by the slider member 54 or the portion 54 may be in a deactivated position by a drawer that may be moved from the outside or the like. Can be firmly supported.

점착성 덧판을 씌운 회전부분(54)대신에 단순한 걸쇠 고리가 사용될 수 있고, 그것은 그림이 평탄하고 적당한 두께로 쌓이도록 하여, 단부에서 지지하는 대신 분리바는 마찰에 의하여 측면에서 파일을 단단히 지지할 수 있다.Instead of a tack-covered rotating part 54, a simple clasp ring may be used, which allows the figure to be flat and stacked to a suitable thickness, so that the separation bar firmly supports the pile from the side by friction instead of supporting it at the end. have.

다른 실시예가 제15 내지 19도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개략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may be schematically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9.

제15도는 하우징(70), 슬라이더 부재(72), 파일(74), 분리바(76) 및 여기서는 바 로써 표시된 지지요소(78)를 도시하며 그들의 설계는 제9 내지 14도의 그것에 상당하며 그림(80)이 바(78)에 걸려있다고 생각하여 슬라이더 부재(72, 제16도)가 당겨져 나올때 슬라이더 부재에 설치된 지지요소(78)는 최상단 그림(80)을 운반하고 운반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지지요소(80) 아래에 놓에 있는 파일의 최상단 그림(82)은 조금 이동되며 슬라이더 부재(72)가 완전히 당겨졌을 때 지지요소(78)은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생략함으로서 작동을 하지 않게 된다. 그때 슬라이더 부재가 다시약간 밀려지면(제18도) 지지장치는 출발위치로 되돌아와서 그림(82)의 상승단부(84)의 아래로 들어가서 그림이 지지요소(78)와 보는 구멍(86) 사이에 형성된 전람부로 이동된다.FIG. 15 shows the housing 70, the slider member 72, the pile 74, the separating bar 76 and the support element 78 indicated here as a bar and their design is equivalent to that of FIGS. The support element 78 installed on the slider member carries the uppermost figure 80 and carries a conveying device (not shown) when the slider member 72 (FIG. 16) is pulled out, thinking that 80 is hanging on the bar 78. The top picture 82 of the pile underneath the support element 80 is moved slightly and the support element 78 is simply omitted as shown in FIG. 17 when the slider member 72 is fully pulled out. It will not work. At that time, if the slider member is slightly pushed back (Fig. 18), the supporting device returns to the starting position and enters below the rising end 84 of the figure 82 so that the figure lies between the support element 78 and the viewing hole 86. It is moved to the formed exhibition part.

제15 내지 19도에서 최상단 그림(80)에 운반장치에 의하여 약간 이동되는 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지 않았으며 최상단 그림을 약간 이동시키는 이러한 가능성에 추가해서 그 그림은 회전될 수 있고 부풀어질 수 있거나 또는 슬라이더에 인접한 그 단부에 파일로 부터 간단히 들려질 수 있으며, 그 목적은 이 그림과 나머지 파일 사이의 지지부재의 재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림을 올리고, 회전시키고, 부풀게 하고 또 이동시키는 것은 파일과 떨어져서 면하고 있는 그림의 측면을 수용하는 분리요소에 의하여 야기되며, 분리요소는 흡인력, 정전력 또는 자석 인력에 의하거나, 접착제, 아교제 또는 소위 버도크(burdock)시스템에 의해서 작동할 수 있고, 결국 상기 분리 요소에 의하여 그림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분리요소와 면하는 그림의 측면에서 그림은 사전 처리된다.In Figures 15 to 19, the method of slightly moving by the conveying device in the top picture 80 is not described and in addition to this possibility of moving the top picture slightly, the picture can be rotated and inflated or It can simply be lifted from the pile at its end adjacent to the slider, the purpose of which is to facilitate the reinsertion of the support member between this figure and the rest of the pile. Raising, rotating, swelling and moving the picture is caused by a separating element that receives the sides of the picture facing away from the pile, which may be caused by suction, electrostatic or magnetic attraction, adhesives, glue Or by a so-called burdock system, in which the picture is pre-processed in terms of the picture facing the separating element in order to facilitate drawing movement by the separating element.

상기 언급된 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간단한 장치가 제15a도에 예시되어 있다. 하우징의 측벽에 캠(500)이 슬라이더 운동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파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확장된 부분(501)을 지니며, 이 측벽에 인접한 서랍의 측면 바(505)는 상기 캠 홈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는 연장된 구멍이 있으며, 비원형 단면형의 축(502)은 슬라이더에 가로로 연장하여 대칭으로 배치된 연장된 구멍(503)를 관통하여 홈(500)으로 들어가서 슬라이더가 당겨지면 축(503)은 바깥방향으로 슬라이더 아 함께 이동하며 홈(500)에 따라서 안내된다. 또 축(503)의 자유부분을 따라서 운반 매개체로서 점착성 피복부(504)가 설치되며, 최외단 위치에서 축은 확장된 부분(501)내에 있게 되어 연장된 구멍(502)등에 설치된 압력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밀쳐져서 파일의 최상단 그림을 수용하는 접착성 피복부(504)는 그림을 들어서 하우징에 설치된 분리바로 이동시킨다.One simple device of the above-mentioned devices is illustrated in FIG. 15A. O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the cam 500 extends parallel to the slider movement and has an extended portion 501 extending in the pile direction, the side bar 505 of the drawer adjacent to the side wall being perpendicular to the cam groove. And the non-circular cross-sectional axis 502 extends laterally through the slider and enters the groove 500 through the symmetrically arranged elongated hole 503, and when the slider is pulled, 503 moves outwardly with the slider and is guided along the groove 500. An adhesive coating 504 is provided as a carrier medium along the free portion of the shaft 503, and in the outermost position, the shaft is in the expanded portion 501 and downwards by a pressure spring installed in the elongated hole 502 or the like. The adhesive sheath 504, which is pushed in to receive the top picture of the pile, is lifted and moved to a separation bar installed in the housing.

이러한 방법으로 제15 내지 19도에서 간단히 언급된 바 있는 남아있는 파일로 부터 상기한 장의 그림을 분리하는 운동이 얻어질 수 있다.In this way a motion to separate the picture of the above chapter from the remaining pile, which has been briefly mentioned in FIGS. 15 to 19 can be obtained.

마지막 실시예를 도시한 제20 내지 23도에서, 지지요소(401)는 한상의 L형 곡선 요우크(yoke)이며 이것은 슬라이더의 한단에 설치되어 선회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 부재가 당겨져서 그 측면돌기(402)가 하우징의 단부를 지나게 되면 스프링(410)에 의해 하방으로 힘을 받으며 그때 지지요소위의 그림은 슬라이더 부재에 의치하는 파일위에 떨어지고 이에 반하여 다른 한장의 그림이 도시되지 않은 점착성 요소 또는 다른 운반장치에 의하여 하우징 바닥에 남겨져서 슬라이더 부재가 재삽입되면 분리바(403)은 다시 안으로 선회된 요우크(401)위에 올려진 그림(405)의 단부밑에 위치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보는 창으로 부터의 거리를 최소한으로 할 수있으며 제23도에서는 오프셋 이음쇠(402)가 서랍(409)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창문(408)의 형상을 알 수 있다.In the twenty to twenty-third degrees of the last embodiment, the support element 401 is an L-shaped curved yoke of one phase, which can be installed and pivoted at one end of the slider, and the slider member being pulled so that its side protrusion ( When 402 passes through the end of the housing, it is forced downward by spring 410, where the picture on the support element falls on the pile that is oriented on the slider member, whereas the other piece of cohesive element or other conveying device is not shown. When left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the slider member is reinserted, the separation bar 403 is positioned below the end of the figure 405 which is raised over the yoke 401 pivoted back in.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from the viewing window can be minimized and in FIG. 23 the shape of the window 408 in which the offset fitting 402 extends through the drawer 409 can be seen.

장치의 효용을 개선하기 위하여 장치에 양자택일로 또는 복합적으로 다른 부분적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적요소는 뒷면에 유연성 지지체와, 프레임 같은 장치를 기는 장치와, 전면에서 모든 장치에 의하여 체결되고 다른 형상 및 표면철된 교체할 수 있는 부가 프레임과, 스프링에 의해서 완전히 열린 위치나 닫힌 위치로 되는 슬라이더의 경사부와 창문이 하나는 그림 파일에 관계되고 다른 하나는 텍스트카드에 관계되는 다수의 창문을 지니는 하우징 벽의 칸막이 및 안내운반 장치에 위치된 그림과 텍스트 카드를 포함한다.In order to improve the utility of the device, other partial or alternative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device, which may be fastened by a flexible support on the back, a device holding a device such as a frame, and all devices on the front. A number of windows of different shapes and reinforceable replaceable additional frames, the slope of the slider being in the fully open or closed position by the springs and the window, one related to the picture file and the other to the text card And a picture and text card located in the partition of the housing wall and the guide conveying device.

나아가서는 슬라이더에 있는 사진 원판에 속하는 그 원판을 보관하기 위하여 장치내에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장치는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창문을 갖춘 전면 및 후면에 평행으로 장착된 두 개의 다른 슬라이더가 마련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space in the device for storing the originals belonging to the photo negatives on the sliders, which in each case are provided with two different sliders mounted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with respective windows. Can be.

Claims (1)

조망창과 슬라이더를 형성한 몸체를 포함하며 파일 이송장치와 그림이송 장치를 갖고 있는 그림교환장등으로 구성되는 그림틀에 있어서, 교환된 그림을 창문에 가까이 지지하는 스프링(6)과, 교환된 그림을 해체하고 파일로부터 이송장치에 의해 제거되고 재 삽입되어지는 각 그림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교환된 그림에 대해 스프링을 해체시키는 받침부(abutment, 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틀.A picture frame comprising a viewing window and a body formed with a slider and having a file transfer device and a picture exchange place having a picture transfer device, comprising: a spring 6 for supporting the exchanged picture close to the window; Picture frame comprising abutment (9) to dismantle the spring and to dismantle the spring for the replaced picture to support each picture being removed and reinserted by the feeder from the pile.
KR1019780002842A 1978-09-19 1978-09-19 Picture frame with inverter KR8300000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2842A KR830000008B1 (en) 1978-09-19 1978-09-19 Picture frame with inve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2842A KR830000008B1 (en) 1978-09-19 1978-09-19 Picture frame with inve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008B1 true KR830000008B1 (en) 1983-01-25
KR830000008A KR830000008A (en) 1983-03-25

Family

ID=19208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2842A KR830000008B1 (en) 1978-09-19 1978-09-19 Picture frame with inve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00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008A (en) 198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988199A3 (en) Apparatus for reviewing photographs
CA1107102A (en) Viewer for photographic prints
US5026034A (en) Document output apparatus having anti-dishevelment device
US4238899A (en) Picture viewer
US4241528A (en) Picture viewer
SU799637A3 (en) Plastic casing for storing photocopies
US3679096A (en) Bag holder and opening apparatus
KR830000008B1 (en) Picture frame with inverter
CN209769519U (en) Foldable table for unfolding and placing paper for environment design
JPH045186B2 (en)
JPS61243764A (en) Stacker for prints
JP2012176819A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pparatus
JP4385377B2 (en) Paper holder
CN219385738U (en) Clamping and rolling assembly for rolling clothes and clothes stacking machine
US806506A (en) Ticket-case.
JPS6013653Y2 (en) ribbon cassette
KR830000013B1 (en) Picture frame
RU2129980C1 (en) Device for taking out separate sheets from stack
US2255121A (en) Loose-leaf binder
JPH0520747Y2 (en)
KR830000011B1 (en) Picture frame
JPS627630Y2 (en)
KR200153203Y1 (en) Press supporting paper plate of sheet feeding cassette
US20040051233A1 (en) Paper cassette
JPS63668Y2 (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