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003Y1 - 모심는 기계 - Google Patents

모심는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003Y1
KR830000003Y1 KR2019790002245U KR790002245U KR830000003Y1 KR 830000003 Y1 KR830000003 Y1 KR 830000003Y1 KR 2019790002245 U KR2019790002245 U KR 2019790002245U KR 790002245 U KR790002245 U KR 790002245U KR 830000003 Y1 KR830000003 Y1 KR 830000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stand
shaft
planting machine
seedling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790002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모리 마쓰다
다다시 곤도오
Original Assignee
야마오까 다다오
얀마-노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오까 다다오, 얀마-노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오까 다다오
Priority to KR2019790002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0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0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023Lateral adjustment of thei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심는 기계
도면은 본 고안의 1실시예를 표시하며
제1도는 보행형 모심는 기계의 측면도.
제2도는 그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에서 본 중요부분의 확대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선에서 본 확대측면도.
제5도는 묘재치대 상부 장착위치의 확대 일부 단면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선에서 본 도면.
본 고안은 모심는 기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기체에 부착하는 모심는 기구와 묘재치대와의 간격을 이동조절 가능하게 하여 묘재치대에서 모심는 기구에 의하여 절단 채취되는 묘판의 세로 채취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결여된 포기를 없애고, 묘식재작업을 능률적으로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1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도면에 있어서(1)은 밋숀케이스(2)의 앞부분에는 엔진대(3)를, 후부에는 통형 프레임(4)을 각각 연결한 기체로서, 이 기체(1)에 있어서 엔진대(3)의 윗면에는 전기한 밋숀케이스(2)에 동력을 벨트(6)에 의해 전동(傳動)하는 엔진(5)이 설치되며, 밋숀 케이스(2)의 좌우 양측면에는 뒷쪽으로 연장되는 스윙아암(7)(7)이 그 기단(基端)을 회전자재하게 추착하여 설치되고, 그 양(兩)스윙아암(7)(7)의 선단에는 밋숀케이스(2)에서 아암(7)내의 체인등을 개재하여 동력 전달되는 차륜(8)(8)이 각각 설치되는 한편, 기체(1)의 하부 및 차륜(8)(8)의 바깥쪽에는 논의 표면(9)을 활주하도록한 플로오트(10)(11)(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체(1)에 있어서의 프레임(4)의 후단에는 전동케이스(12)가 연결되고, 그 케이스(12)의 후단 하부에는 그 상부를 뒤방향으로 비스듬하여 윗쪽으로 향하도록 연장한 1쌍의 조종핸들(13)(13)이 장착되며 이 핸들의 전면부에는 이것과 대략 평행하게 묘재치대(14)를 설치하는 바, 이 묘재치대(14)의 하부는 핸들에 장착한 좌우 1쌍의 활모양 지지부재(15)(15)의 하단 사이에 기체와 직각방향으로 가설한 안내레일(16)에 접동자재하게 재치하고, 묘재치대(14)의 상부는 그 상부 이면에 설치한 레일(17)에 전기한 양 지지부재(15)(15)의 선단이 접동 자재하게 감합되어 옆쪽으로 반송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며, 그 묘재치대(14)를 그 평면에 따라서 대략 평행하게 상하 이동 조절가능하게 하고 뒤에 설명하는 모심는 기구(59)에 대하여 상하이동시켜서 모심는조(54)에 의한 묘판의 세로 채취하는 량을 조절자재하게 하는바, 상기 양핸들(13)(13)의 하부에 가로걸쳐 고착한 파이프(18)에 브라켓트(19)(19)을 입설하고, 전기한 각 활모양 지지부재(15)(15)의 하부를 전기한 각 브라켓트(19)에 그 조절용 장공(20)을 개재하여 볼트(21)로 연결하는 한편, 그 양핸들(13)(13)의 상부 바깥쪽 위치에 상자모양의브라켓트(22)(22)을 돌설하고, 여기에 높이 위치조절용 구형(溝形) 브라켓트(23)(23)을 볼트(24)로 고정하고, 전기한 각 활모양 지지부재(15)의 상부를 여기에 천설한 조절용 장공(30)을 관통하는 볼트(30')로서 브라켓트(23)와 고착하는 것이며, 전기한 상하 양 조절용 장공(30)(20)은 묘재치대(14)가 그 묘재치대 평면에 따라서 대략 평행으로 상하 이동할수 있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기한 각지 지부재(15)의 상단부(25)를 전기한 조절용 구형 브라켓트(23)의 홈안에 끼워넣고, 이 브라켓트(23)의 천정판(26)윗쪽에서 헐겁게 끼운 손잡이달린 나사(27)를 전기한 활모양 지지부재(15)상단부(25)와 나사부착하고 이 손잡이 달린 나사(27)를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한 활모양 지지부재(15)를 묘재치대(14)와 함께 상하 이동 시키는 것이다.
또 그 조절용 브라켓트(23)의 측면부 등에 전기한 활모양 지지부재(15)의 상부 단면(28)을 들여다 볼수 있는 창(29)를 천설하고, 여기에 눈금을 각설하여 전기한 손잡이 부착 나사(27)의 회동에 의한 활모양 지지부재(15)의 상하 이동량을 관찰하는 것에 의하여 묘판의 세로 채취량을 한눈에 보아서 알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31)은 브라켓트(23)에 천설된 전후 간격조정용 장공이다.
전기한 전동케이스(12)내에는 전기한 엔진(5)의 동력이 프레임(4)내의 축(32) 및 베벨기어(33)(34)을 개재하여 전달되는 상부정지 기구부착 중간축(35), 그 중간축(35)에서 체인 전동되는 주축(36) 및 그 주축(36)에서 변속치차 기구를 개재하여 동력 전달되는 캠축(37)을 각각 기체와 직각으로 축지함과 아울러 양단이 전기한 묘재치대(14)의 앞면에 부착한브라켓트(38)(38)의 내측면에 당접하는 송급축(39)을 전기한 캠축(37)과 평행으로 접동자재하게 설치하고, 캠축(37)의 외주에 설치한 왕복 사나사홈(40)에 송급축(39)에 고착한 배모양의 미끄럼 키이(41)를 계합하여 캠축(37)의 회전에 의하여 묘재치대(14)를 좌우로 왕복하여 옆으로 송급하도록 구성한다.
또 묘재치대(14)의 옆쪽 송급하는 좌우 종단에서 전기한 미끄럼 키이(41)가 캠축(37)단부에 접동자재하게 부세된 캠판(42)(42)을 압압하고 이것과 당접하는 캠(43)(43)에 의하여 축(44)이 요동하고, 그 요동축(44)의 전동케이스(12)외부에 있어서 연결한 연동간(45)을 개재하여 묘재치대(14)위의 묘판을 일정량 세로 송급함에 당하여 전기한 조종핸들(13)(13)하부에 전기한 묘재치대(14) 이면과 평행으로 요동간(46)을 추착하고 이 요동간(46)에 장착하는 레버(47)와 전기한 연동간(46)을 연결하고 이 요동간(46)에는 묘재치대(14)의 좌우 이동길이에 상당하는 거리(1)만큼 격리하여 캠(48)(48')을 고착하는 한편, 묘재치대(14)이면 하부에 전기한 요동간(46)과 평행하게 추착한 세로 송급하는 축(49)에는 복귀위치 조절 스톱퍼 부착 1방향 송급 캠(50)을 고착하고 묘재치대(14)가 좌우로 1정거리(1)만큼 이동하면 전기한 요동간(46)에 있어서의 한쪽의 캠(48) 또는 (48')와 전기한 1방향 송급 캠 (50)이 당접하고, 전기한 전동케이스 (12)내의 요동축(44)의 움직임에 연등하여 연동간(45)을 개재하여 캠(48)(48')(50)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 세로 송급하는 축(49)에 적당한 간격으로서 부착한 조차(爪車)(51)……을 간헐적으로 회동하여 묘재치대(14)위의 묘판을 묘재치대(14)하단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세로 송급하는 것이다.
이때 제4도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것같이 캠(48)(50)끼리가 당접하는 상태에서 묘판의 세로 채취하는 량이 최대로 되도록 전기한 묘재치대(14)를 최하 위치까지 내려두면, 그후 손잡이나사(27)의 회동에 의하여 묘재치대(14)를 윗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캠(48)(50)사이는 제4도 이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것 같이 간극이 생기고 아울러 뒤에 설명하는 모심는조(54)에 의한 묘판 세로 채취량을 감소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기한 전동케이스(12)의 양측면에는 좌우방향으로 향하여 차륜(8)(8)의 바깥쪽까지 연장한 관상 횡부재(52)(52)를 보트로 체결하고 양(兩) 횡부재(52)(52)의 선단에는 하단이 기체의 앞방향으로 향하여 경사하는 체인케이스(53)(53)를 각각 고착하고 그 양체인 케이스(53)(53)의 하단 및 전기한 전동케이스(12)의 하부에 모심는조(54)(54)(54)(54)가 장착된 조축(爪車)(55)(55)(56)을 배설하고 앞에 설명한 엔진(5)의 동력은 밋숀케이스(2), 통형 프레임(4), 전동케이스(12)내의 동력 전동기구를 개재하고, 또 주축(36), 전동축(57)(57) 및 체인(58)을 통해서 각 모심는조(54)의 선단이 전기한 안내레일(16)에 설치한모의 채취출구와 포장면(9)와의 사이를 상하 요동 하도록한 모심는 기구(59)를 각각 설치하는 것이다.
이구성에 있어서 묘재치대(14)에 묘판을 공급하고 엔지(5)의 시동에 의하여 구동하면, 기체(1)가 양 차륜(8)(8)에 의하여 전진 주행하는 한편, 묘재치대(14)가 캠축(37)의 회전에 의하여 좌우로 황복하여 옆으로 송급되며 각 모심는기구(59)가 일제히 상하 요동하는 것에 의하여 묘 재치대(14)위의 모는 상하 요동하는 모심는기구(59)의 모심는 조(54)에 의하여 한포기씩 분할된 후 사전에 플로오트(10)(11)(11)로서 정지(整地)된 논의 표면(9)에 순차로 4조(條)에 따라서 심어지는 것이다.
이 경우, 한포기의 모의 갯수는 묘판에서 절단 채취되는 세로 채취량의 대소에 의하여 변화시킬수가 있으며, 모의 발육상태, 모의 식재에 의한 모 손상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갯수로 되도록 묘판의 세로 채취량을 조절하는 것인바, 본 고안에 따르면 묘재치대를 그 묘재치대 평면에 다른 방향으로 모심는 기구에 대하여 이동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구조로서 묘재치대 위의 하단에서 절단 채취되는 묘판의 세로 채취량을 증감시킬 수가 있으며 묘식부(苗植部)를 주행기체와 별체로 구성하여 조종자가 탑승하는 주행기체에 연결하여 줄로 끌도록하거나 밀어서 미끄러지게하는 구조의 것에도, 또 본 실시예와 같은 보행형에 것에도 적용할수 있는 것이며, 또 본 실시예와 같이 묘재치대를 조종핸들 윗면에 따라서 후방으로 경사하도록 배치한 것에 있어서는 묘판의 세로 채취량 조절용 손잡이 부착나사를 핸들의 손잡이 근처에 위치시켜 놓으면 핸들 부분에서 모가 심어지는 상태를 관찰하면서 이동량을 조절할수 있어서 능률을 향상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주행기체(1) 에 그 동력 전달기구에서 모심는 조(54)를 요동시켜서 구동하도록한 모심는기구(59)를 연결하는 한편, 그 모심는조에 의하여 절단송급되는 묘판을 재치하기 위한 묘재치대(14)를 이면에 있어서 좌우 1쌍의 묘재치대 지지부재(15)로서 옆방 향으로 이동자재하게 지지한 모심는 기계에 있어서, 지지부재(15)의 상단부(25)를 양핸들(13)에 돌출설치한 구형브라켓트(23)의 홈내에 삽입하고 구형브라켓트(23)에 회동만 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 부착나사(27)에 나사부착하여 그 양지지부재를 모심는 기구(59)에 대하여 묘재치대(14)가 그 묘재치대평면에 따라서 대략평행으로 상하이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심는 기계.
KR2019790002245U 1979-04-18 1979-04-18 모심는 기계 KR830000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2245U KR830000003Y1 (ko) 1979-04-18 1979-04-18 모심는 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2245U KR830000003Y1 (ko) 1979-04-18 1979-04-18 모심는 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003Y1 true KR830000003Y1 (ko) 1983-01-25

Family

ID=1921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790002245U KR830000003Y1 (ko) 1979-04-18 1979-04-18 모심는 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0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0003Y1 (ko) 모심는 기계
CN208428283U (zh) 一种具有横切功能的手动板材切割机
US2580936A (en) Laterally adjustable oscillating hoe
US2688907A (en) Mobile soil tilling machine
CN112264668A (zh) 一种移动式圆盘锯
KR100250171B1 (ko) 석재 절단기
JPH0238573Y2 (ko)
KR101710277B1 (ko) 석재 가공장치
CN217915469U (zh) 一种橡胶输送带用手动裁切设备
CN214815898U (zh) 一种激光切割上料装置
CN215616423U (zh) 一种双头锯床
JPS6231277Y2 (ko)
CN219274790U (zh) 一种激光切割机料架
JPS6345153Y2 (ko)
JP2537437Y2 (ja) 移植機の苗取出装置
JPS6332586Y2 (ko)
JPH035215Y2 (ko)
JPS5841791Y2 (ja) 田植機
JPH0323045Y2 (ko)
JPS5833842Y2 (ja) 苗植機
JPS6238507Y2 (ko)
JPS6314594Y2 (ko)
JPH0238572Y2 (ko)
JPS6235292Y2 (ko)
JPS6010348Y2 (ja) 田植機における苗縦送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