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492Y1 - 전기 복합부품 - Google Patents

전기 복합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492Y1
KR820002492Y1 KR2019820004767U KR820004767U KR820002492Y1 KR 820002492 Y1 KR820002492 Y1 KR 820002492Y1 KR 2019820004767 U KR2019820004767 U KR 2019820004767U KR 820004767 U KR820004767 U KR 820004767U KR 820002492 Y1 KR820002492 Y1 KR 820002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lectrode
composite part
electrodes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4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오루 가시나미
도시아끼 이깨다
데쓰야 무라가와
도시미 가네꼬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무라다 세이사꾸쇼
무라다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무라다 세이사꾸쇼, 무라다 아끼라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무라다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2019820004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4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4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1/02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of RC networks, e.g. integrated netwo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Landscapes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복합부품
제1도는 원판형 CR복합부품이 본 고안에 의해 적용될 수 있는 변압기가 없는 T. V수상기 세트의 구조를 한예로써 예증한 단면도.
제2a도는 재래식 원판형 CR부분품의 평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이면도.
제2c도는 제2a도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2a도의 CR복합부품의 등가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4a도는 본 고안의 하나의 구체화된 원판형 CR복합부품의 평면도.
제4b도는 제4a도의 이면도.
제4c도는 제4a도의 종단면도.
제5도는 제4a도의 원판형 CR복합부품의 실질적인 배열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6도는 제4a도와 흡사하게 도시한 것으로, 특히 그것의 수정을 나타내는 평면도.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전기복분품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변압기가 없는 T. V수상기와 같은 전기 또는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원판형 전기 용량저항 혹은 CR 복합부품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T. V수상기가 일반적으로 하우싱(Housing)(H)와 뒷뚜껑(Ha)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상을 위한 음극선관(CRT)가 하우싱(H)의 정면 윗쪽에 위치하여 있고, 내부새시(inner chassis)(ch)가 하우싱(H)의 바닥에 놓여 있으면서 전기회로의 접지 역할을 하고 있고, 내부 새시(ch)의 정면에 동조기(T)가 있으며, 손잡이(K)는 하우싱(H)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있고, 불평형형(不平衡形)의 등축 케이블(U)가 등조기(T)의 내부로부터 뽑아져 나와있고, 안테나와 연결된 접속기(J)가 아랫쪽에 원판형(CR)부분품(D)가 있는 시일드 새시(Shield chassis)(S)와 함께 뒷뚜껑(Ha)의 뒷 부분에 있고, 또한 기기에 내부새시(ch)와 안테나 접속용 접속자(J)가 저주파에서 서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고 고주파에서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CR복합부품(D)에 있는 구멍(Do)를 통과하여 고정되어 있는 등축 케이블(U)의 끝부분이 위치한 원판형 CR복합부품을 포함하는 변압기기 없는 T. V수상기의 구조의 한예로 도시하고 있다.
보통 위에서 언급한 T.V수상기에 설치된 원판형 CR복합부품은 제2a~c도에 도시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중앙부분에 형성된 관통구멍(Do)을 가진 요입제품의 절연체로 형성한 자기유전체기판(磁器誘電體基板)(Db)를 갖고 있으며, 이 자기유전체기판(Db)의 관통구멍(Do)주위와 주변 모서리에 인접되어 각각 설치된 제1과 제2의 전극층(E1)과 (E2), 제2a도에서와 같이 제1과, 제2전극층(E1)과 (E2)를 연결하기 위해 대립된 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저항기(R)과 기판(Db)의 다른한쪽 표면(제2b도) 위에 설치된 제3전극층(E3)가 있지만, 제3전극층(E3)과 제1전극층(E1) 또는 제2전극층(E2)는 예를들면 제2a~c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관통구멍(Do)안에 설치된 단락전극(ES)으로써 또는 기판(Db)의 주변모서리에서 설치된 다른 단락전극(도시되어있지 않음)으로써 또는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대등회로를 갖춘 CR복합부품을 구성하기 위해 언급된 전극층들 사이에 분리금속조작(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부착한 것과 같은 적당한 단락수단을 통해 서로 단락된다. 실질적으로 에폭시수지 또는 그와같은 물질로 만들어진 전기적 절연피복층(M)을 기판(Db)위에 부착한다. (제1과, 제2전극층(E1)과 (E2)와 저항기(R)가 설치된 기판(Db)의 최소한 한쪽면에 붙인다).
앞에서 도시된 원판형 CR복합부품(D)는 그것의 저항전압 또는 전압저항 특성이 상당히 알맞지 않을 때 파손된다.
예를들면 절연체인 기판의 직경이 20mmø이고, 제1과 제2전극(E1)과 (E2)사이의 간격이 3.5mm이고, 기질의 양쪽에 에폭시 수지로된 절연피복층이 설치된 상기 언급된 형태의 샘플 CR복합부품들(용량=1800PF와 저항=2MΩ)의 전압치는 교류에서 파손되고, 얻어진 합성적인 측정값은 20가지 샘플들의 평균이 약 3.0KV정도 였으며, CSA(캐나다 표준현회) 기준[(1분동안) 3KV교류전압 효과]의 불꽃저항 실험에 충분한 것으로 생각되지 않았다. 교류파손 전압의 영향수에 각각의 CR복합부품들이 신중하게 실험될 때, 언급된 전압영향에서의 방전은 주로 제1과 제2전극(E1)과 (E2)사이에 대립된 방향으로 연결된 저항기에(R)서 일어났다. 상기의 상태는 절연정도가 제1과 제2전극(E1)과 (E2)와 절연피복층(M)사이에 위치한 절연체인 기판(Db)부분 사이의 비교적 유리한 근접에 기인하여 향상되는 동안, 저항기(R)과 절연피복층(M) 사이의 접착이 매우 좋지 않아서 그것들 사이의 얇은 틈의 형성으로 전기적 절연의 감소를 추래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위에서 서술된 현상은 절연체인 기판(Db)의 표면들이 비교적 거칠지만 저항기(R)의 표면들이 대부분 매끈매끈하다는 사실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더우기 위에서 서술된 것같은 알려진 CR 복합부품(D)에서 제1전극판(E1)과 제2전극판(E2)사이에 연결된 저항기(R)가 언급된 기판(Db)위의 가장 짧은 거리로 기판(Db)의 대립된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저항기들의 길이 d(제2a도)는 결과적으로 짧고, 단위면적당 높은 저항 값을 갖는 물질의 사용이 필요하고, 그래서 안정된 물질의 CR복합부품들을 얻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본질적인 목적은 전기적 절연은 향상시키므로써 저항 전압 특성이 우수한 전기와 전자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향상된 원판형 CR복합부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중요한 목적은 CR복합부품을 위해 요업제품의 절연체인 기판의 중앙에 있는 관통구멍 주위와 주변모서리에 인접하여 각각 설치된 제1과 제2전극층 사이에서 저항기들이 언급된 기질의 대립된 방향으로 향하지 않도록 연결하기 위해 접속되어 있는 상기 서술된 형의 개선된 원판형 CR복합부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하나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쉽게 싼값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상기 서술된 형태의 개선된 원판형 CR복합부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다른 목적들을 성취함에 있어서, 본 고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있는 요업제품의 절연체인 물질로된 기판과 기판의 한쪽표면위의 관통구멍 주위와 바깥주위에 인접하여 각각 설치된 제1전극과 제2전극 전기기판의 다른표면 위에 설치된 제3전극, 제1, 제2전극과 함께 제3전극을 선택적으로 단락시키는 수단, 기판의 대립된 방향을 따르지 않고 기판의 한쪽 표면에 달하도록 제1과 제2전극사이에 연결된 저항기 전극들과, 기판의 적어도 한쪽표면에 형성된 전기적으로 절연체인 피복층을 포함한 전기와 전자장치에서 사용되는 원판형의 CR복합부품을 나타낸다.
예를들면 T. V수상기 또는 그와 같은 것에 원판형 CR복합부품들의 모든 조립품을 통합시킨 실질적으로 CR복합부품은 원통형 하우싱의 바닥에 형성된 구멍위에 부분품이 설치되는 원통형 금속 하우싱의 아래쪽에 장치할 수 있으며, 제1전극층은 하나의 단자역할을 하는 원통형 하우싱 납땜을 하였으며, 부분품의 관통구멍을 통해 연장되고 원통형 하우싱의 바닥에 구멍을 형성하는 중앙튜브는 다른 하나는 단자 역할을 하기위해 단락시키도록 납땜되어 있다.
상기 서술된 본 고안에 의한 장치에 의해, 좋은 전기적 절연을 통해 저항전압 특성이 우수한 원판형 CR복합부품이 제공되며, 같은 종류의 재래식 CR복합부품의 단점은 완전히 제거된다.
도면들을 참고로 할때, 제4a~c도까지는 본 고안의 원판형 CR복합부품 (D1)의 하나의 형상을 예시한 것이다.
CR복합부품(D1)은 예를들면 중앙부분에 관통구멍(11)이 형성된 요업제품인 절연물질의 원판과 같은 기판(10), 그리고 기판(10)의 주변모서리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1전극층(12), 기판(10)의 한쪽 표면위에 있는 관통구멍(11) 주위에 등심으로 설치된 제2 전극층(13), 기판(10)의 다른쪽 표면위에 설치된 제3전극층(15), 그리고 제3전극층(15)과 제2전극층(13)의 단락을 위해 관통구멍(11)안에 배치된 단락전극(16)을 포함하여, 상기 모든 것은 제2a도의 재래식 배열과 흡사한 방법으로 배열된다.
제2a도에 관하여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단락전극(16)은 제3전극(15)과 제1전극(12)사이에서 단락을 위해 기판(10)의 주변 모서리에 설치된 다른 전극(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또는 언급된 전극들을 단락시키도록 높여진 금속조작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더우기 본 고안의 CR복합부품(D1)은 제4a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저항기 소자(14)가 그들의 위치에 있어서 원판과 같은 기판(10)에서 대립된 방향을 따르지 않고 제1과 제2전극층(12)와 (13)사이를 연결하도록 각각 접속되어 있는 한쌍이 길게 굽어지고 얇은 저항기 소자(14)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서술하면, 각각의 길고 얇은 저항기 소자(14)는 한쪽끈이 제2전극(13)에서 마주보는 위치에서 같은 크기의 부분이 접속되어 있고, 제1과 제2전급층(12)와 (13)사이의 기판(10)의 표면위로 구부러진 형태로 연장되어 다른 한쪽끝이 제1전극(12)의 마주보는 위치에서 같은 크기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저항기 소자(14)는 원판과 같은 기판(10)의 표면위에 원주의 약 반정도가 되도록 연장되어 위치하고 있다. 예를들면 에폭시수지와 그와같은 것으로 된 전기적 절연체인 피복층(17)은기판(10)의 최소한 언급된 한쪽표면에서 기판(10)의 위에 붙인다.
실질적으로 제4a~c도의 CR복합부품(D1)은 예를들면 복합부품(D1)의 모든 조립품을 T. V수상기 또는 그와같은 것에 합체시키기 위해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금속케이스(F)안에 장치될 수 있다는 것이 기록되어야 한다.
제5도에 금속케이스(F)는 하우싱(B)의 바닥에 형성된 구멍(Bo)위에 설치되어 있고 제3도의 단자(B)의 역할을 하도록 하우싱(B)의 (Bs)에 납땀되어 있는 CR복합부품(D1)과, 복합부품(D1)의 관통구멍(11)과 하우싱(B)의 구멍(Bo)을 통해 연장되어 있고, 제3도의 단자(A)의 역할을 하도록 단락전극(16)과(As)에서 납땜되어 있는 중앙튜브(A)와 구멍(Bo)을 통해 에폭시수지 또는 그와같은 것을 사용하여 기판(10)의 최소한 언급된 한쪽표면에 형성된 전기적 절연층(17)등을 포함한다. 필요에따라 기판(10)의 다른한쪽 표면위에 제3전극층(15)위로 절연피복층(17)을 형성하기 위해, 에폭시수지와 그와같은 것은 제5도와 같이 원통형 하우싱(B)의 위로부터 중앙튜브(A)의 윗쪽 모서리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사용된다.
물론, 제4c도와 같이 기판(10)의 한쪽 또는 양쪽 표면위에 절연층(17)과 함께 형성된 복합부품(D1)은 원통형 하우싱(B)의 위로부터 구멍(Bo)을 통해 에폭시수지와 그와 같은 것의 그 이상것이 없도록 원통형 하우싱(B)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상기서술된 본 고안에 의해 기판(10)의 대립적 방향으로 제1과 제2전극층(12)와 (13)사이의 어느 위치에 장치되므로써, 기판(10)에 밀착되어 있는 절연피복층(17)은 제4c도에 도시된 것과같이 언급된 제1과 제2전극층(12)와 (13)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제4a,c도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절연층(17)은 제1전극층(12)와 저항기 소자(14)사이에 그리고 저항기 소자(14)와 제2전극층(13)사이에, 그리고 또한 저항기 소자(14)의 끝부부의 근처에 설치되며, 절연층(17)은 최소한 제1과 제2전극층(12)또는 (13)과 저항기(14)사이에 설치된다.
앞에서 서술한 본 고안의 CR복합부품에 의해, 절연기판(10)과 절연피복층(17)사이의 밀착이 가능한 부품들이 설치되며 부품들은 절연정도가 크므로 언급된 기판의 대립된 방향에서 제1과 제2전극층(12)와(13) 사이의 기판(10)의 언급된 한쪽표면의 어느 부분에서도 제1과 제2전극층(12)와 (13)사이의 저항 전압특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재래식 CR복합부품과 본 고안의 CR복합부품을 같은 조건에서 교류 파괴 전압값을 비교 측정한 결과 본 고안에 의한 CR복합부품은 CSA(캐나다 표준협회)기준의 불꽃 실험에 견디어내기에 충분한 약 5.5KV의 교류파괴전압을 견디어 낼수 있었다.
더우기 본 고안의 CR복합부품은 아래표에 나타낸 것 같은 UL(보험업자 실험실 주식회사) 기준 또는 CSA(캐나다표준협회)기준에 근거를 두고 5KV와 10KV로 각각 방전실험을 한후 저항변화는 역시 재래식 CR복합부품보다 우수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더우기, 앞에서 서술된 본 고안은, 저항기 소자의 길이가 사실상 늘어났기 때문에 단위 면적당 낮은 저항값을 갖는 물질의 사용을 가능하게하여 안정된 질의 CR복합부품을 얻을 수 있어 실질적으로 극히 유리하다.
제6도는 제4a~c도의 배열이 수정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제6도의 수정된 CR복합부품(D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실용적인 원판형 기판(10)의 대립된 방향으로 제1과 제2 전극층(12)와 (13)에 각각 연결된 저항기 소자(14)의 각각의 반대쪽 끝부분들은 똑바로 직선부분이 설치되도록 더욱 구부러져 있으나 직선부분(14a)와 (14b)사이의 저항기 소자(14)의 각각의 부분은 제4a~c도의 배열과 같이 기판(10)의 대립적인 방향을 따르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6도의 배열은 특히 각각의 전극층(12)(13)과 저항기 소자(14)사이의 매우작은 방전까지도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방전은 그것들 사이의 연결이 예각으로 비스듬히 이루어졌을 때 일어나기 쉽다.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 관하여 예를들어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화와 수정은 그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하여 행할 수 있으나, 예를들면, 요업제품의 절연체인 기판의 형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수정될 수 있으며, 저항기 소자들의 형태, 번호 또는 길이는 앞의 구성에서 제한되어 있지 않으나, 이러한 저항기 소자들이 설비되어 절연층이 기판의 대립된 방향으로 제1과 제2 전극층들 사이에 있는 언급된 기판의 한쪽표면의 어느위치에든지 항상 장치되어 있는 한 다양한 방법으로 변화될수 있다.
그러므로, 그런 변화와 수정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그 권리범위에 포함된 것과 같이 해석될 것이다.

Claims (1)

  1.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는 요업제품인 자기유전체기판, 이 기판의 한쪽표면위의 관통구멍 주위와 바깥쪽 주변에 인접하여 각각 설치된 제1전극, 제2전극과 기판의 다른 한쪽 표면위에 설치된 제3전극, 전기한 제1, 제2전극과 제3전극을 도전(導電)시키는 단락수단(短絡手段), 기판의 대립된 방향을 따르지 않고 기판의 한쪽표면위로 연장되기 위해 제1과 제2전극들 사이에서 연결된 저항기 기판의 최소한 한쪽표면위에 형성된 전기적으로 절연체인 절연피복층, 기판의 대립된 방향으로 제1과 제2전극들사이의 기판의 한쪽표면위의 어느위치에나 전기적 절연피복층이 장치 되도록 설치한 저항기등을 포함하여 전기와 전자장치에서 사용되는 전기 복합부품.
KR2019820004767U 1982-06-17 1982-06-17 전기 복합부품 KR820002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767U KR820002492Y1 (ko) 1982-06-17 1982-06-17 전기 복합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767U KR820002492Y1 (ko) 1982-06-17 1982-06-17 전기 복합부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576 Division 1979-10-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492Y1 true KR820002492Y1 (ko) 1982-12-02

Family

ID=1922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4767U KR820002492Y1 (ko) 1982-06-17 1982-06-17 전기 복합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4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322629A (ja) 静電容量式レベルセンサ
US6510038B1 (en) High-voltage feedthrough capacitor
EP0614202B1 (en) Three-terminal capacitor and assembly
JPH0250606B2 (ko)
US5113309A (en) High-voltage through-type ceramic capacitor
JP3438907B2 (ja) 高電圧ユニット
US3937954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patial separation of AC and DC electric fields, with application to fringe fields in quadrupole mass filters
US3243738A (en) Feed-through capacitor
US3443251A (en) Discoidal feed-through capacitors
EP0798950B1 (en) High voltage noise filter and magnetron device using it
KR820002492Y1 (ko) 전기 복합부품
JPS5828667A (ja) 電圧測定装置
JPH06124792A (ja) 除帯電電極
US4302736A (en) Electrical composite part
US5028863A (en) High voltage measuring device
US6396678B1 (en) Capacitor
US3366831A (en) Overvoltage arrester having stacked arrays of arc gap and grading resistor units
US4454561A (en) Electrical component having a resistance element
CA1202671A (en) Coaxial lightning arresting sturcture
JPS6015275Y2 (ja) 複合厚膜バリスタ
CA10461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 separation of ac and dc electric fields, with application to fringe fields in quadrupole mass filters
US3249834A (en) Capacitive component
USRE26694E (en)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p manufacture thereof
JPH0325910A (ja) 放電ギャップ付cr複合部品
US2011548A (en) Lightning arre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