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328B1 - 전자총 구체 - Google Patents

전자총 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328B1
KR820002328B1 KR7900627A KR790000627A KR820002328B1 KR 820002328 B1 KR820002328 B1 KR 820002328B1 KR 7900627 A KR7900627 A KR 7900627A KR 790000627 A KR790000627 A KR 790000627A KR 820002328 B1 KR820002328 B1 KR 820002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gun
electron
electron beam
electrodes
gun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끼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요시야마 히로기찌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야마 히로기찌,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to KR790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총 구체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총 구체 특히, 하이 바이포텐셜형 전자총 구체의 1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각공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제3a도, 제3b도는 종래의 하이 바이포텐셜형 전자총 구체에 의해 형성된 형광면의 중앙부와 코너부상의 전자비임 스포트 형상을 나타낸 도면.
제4a도, 제4b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 바이포텐셜형 전자총 구체에 의해 형성된 형광면의 중앙부와 코너부상의 전자비임 스포트 형상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총 구체 특히, 하이 유니포텐셜형 전자총 구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제6a도, 제6b도 종래의 하이 바이포텐셜형 전자총 구체에 의해 형성된 형광면의 중앙부와 코너부상의 전자비임 스포트 형상을 나타낸 도면.
제7a도, 제7b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 유니포텐셜형 전자총 구체에 의해 형성된 형광면의 중앙부와 코너부상의 전자비임 스포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자총 구체(電子銃構體) 특히, 칼러 브라운관의 포커스 특성을 그 화면 전체에 있어서 개선시킨 인라인 방식의 전자총 구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샤도우마스크 방식의 칼러브라운관은 1972년에 미국의 RCA사에서 발표되었다. 그리고 이 칼러 브라운관은 일체화된 인라인 전자총을 이용한 셀프 콘버어젠스(Self Convergence) 방식이기 때문에 칼러브라운관 및 칼러텔리비젼 세트를 대폭적으로 합리화하기 위해 현재는 주류의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의한 칼러브라운관에 있어서, 그 포커스 특성은 종래 델터 방식에서 이용하고 있던 넥크(neck)부 구경의 칫수를 거의 변경하지 않고 3개의 전자총을 일체화시킨 인라인 배치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전자렌즈를 형성하는 전극군(電極群)의 직경이 작아져 필연적으로 전자랜즈의 구면수차(球面收差)를 증대시켜 포커스 특성을 크게 저하시키고 있었다.
또 셀프콘버어젠스 방식으로 함으로써 수평편향자계는 강한 핀쿠션(pincushion) 왜곡을 형성하고, 또한 수직편향자계는 강한 배럴(barrel) 왜곡을 형성한다.
이 결과 원래 진원(眞圓)으로 형성된 전자비임은, 편향자계의 왜곡을 받아 칼러브라운관의 화면 주변에 있어서의 전자비임의 스포트 형상을 진원으로부터 크게 왜곡시켜 포커스의 전면성(全面性)을 저하시켰던 것이다.
그래서 전술한 구면수차에 의한 포커스 특성의 개선을 꾀하기 위해서는 주(主) 렌즈를 구성하는 전극간의 전위차를 줄여주고, 포커스 전압을 올려 구면수차를 감소시켜서 주 랜즈중의 전자비임을 확대시켜 형광면위에 집속(集束)시키기 위한 전자비임의 발산을 감소시켜 전자비임의 스포트의 직경을 줄여주는 방법에 의해 포커스 특성의 개선을 행하고 있다.
또 포커스 특성을 개선하는 다른 수단으로서는 주 랜즈를 복수개소로 분할하여 전자비임의 집속을 서서히 행하여 실질적으로 구면수차를 줄여 주 랜즈중의 전자비임을 확대시켜 형광면 위에 접속시키는 전자비임의 발산을 감소시키는 방식 예컨대, 하이 바이포텐셜 건(gun), 하이 유니포텐셜건, 트리포텐셜건 등의 이른바 다단수속방식(多段收束方式) 전자총에 의해 전술한 포커스 특성의 저하를 개선시킨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포커스 특성의 개석은 칼러브라운관 형광면의 중앙부분에서 그 효과가 현저하나. 형광면 주면부의 포커스 특성은 반대로 저하된다. 이것은 전술한 강한 왜곡을 지니게 한 셀프 콘버어젠스용의 편향자게의 열향에 의함이다. 즉, 주 랜스중의 비임을 굵게 함으로써 전자비임이 편향자장을 통과할때 전자비임과 편향자게와의 각도가 증가했기 때문이며, 이에 의해 전자비임은 예컨대, 칼러브라운관의 코너부에 있어서 브라운관의 X축 방향으로 긴 타원의 코어와 Y축 방향으로 헤일로우(halo)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점을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포커스 특성의 개선에서 장해가 되는 편향자계의 영향을 보정하여 형광면의 중앙부 및 주변부에 있어서의 포커스 특성을 개선시킨 전자총 구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자총 구체는 프리포커스 렌즈(prefocus lens)를 구성하는 적어도 한조의 전극에 설치된 3개의 전자비임 통과용 환공(丸孔)을 편향자계의 수평자계방향 및 수직자계방향으로 각부(角部)를 가진 각공(角孔)으로 한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의한 전자총 구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1도는 본발명에 의한 전자총 구체 특히, 바이 포텐셜형 전자총 구체의 1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이다. 동도에 있어서, 전자총 구체(1)는 이 전자총 구체(1)를 유지 고정시키는 한편 도시하지 않은 브라운관 패널의 넥크부에 봉착시키는 스템(stem)(2) 위에 각각 독립하여 3개 병렬로 배치시켜 전자비임을 방출시키기 위한 히이터(3) 및 캐소우드(4)와, 상기의 전자비임을 제어하는 제1그리드전극(G1), (5)과 전자비임을 가속하는 제2그리드전극(G2), (6)과, 전자렌즈를 구성하는 제3, 제4그리드전극(G3, G4), (7), (8)을 순차직열로 소정간격 폭으로 배열하여 글라스비이드(glass bead), (9)에 의해 지지 고정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 제1그리드전극(G1), (5), 제2그리드전극(G2), (6) 및 제3그리드전극(G3), (7)에는 3개의 전자비임을 통과시키는 3개의 구멍부가 제2도에 평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칼러브라운관의 관축 X, Y 방향으로 각부(10a)를 가진 각공(10)에 인라인으로 배설되어 있다. 즉, 동도에 있어서, 이 각공(10)의 각부(10a)의 X-X'방향은 편향주사의 수직편향자계 방향으로, Y-Y'방향은 편향주사의 수평편향자계 방향으로 일치시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각공(10)의 일변의 칫수(l1), (l2)는 개공(開孔)의 면적을 결정하는 것이며, 종래의 환공의 직경에 상당하는 칫수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의 제1그리드전극(G1), (5), 제2그리드전극(G2), (6) 및 제3그리드전극(G3), (7)에 각각 3개씩 설치된 각공(10)은 각각 칫수가 다르며, 각공(10)의 일변의 길이를 ℓ1=ℓ2로 하여 제1그리드전극(G1), (5)은 0.67㎜, 제2그리드전극(G2), (6)은 0.67㎜, 제3그리드전극(G3), (7)은 1.5㎜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각공(10)의 일변의 경사각(θ1), (θ2)은 θ12=45°로 형성되며 그리고 이 각공(10)의 간격폭(S)은 약 6.6㎜로 형성되는 한편 각공(10)의 각부(10a)의 반경(R)은 약 0.02∼0.05㎜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총 구체는 브라운관 패널 조립체에 봉착시켜 양극전압(陽極電壓) 25KV, 캐소우드전류 4mA를 공급하여 동작시키면, 셀프콘버어전스용의 편향요크에 귀인(歸因)하는 전자비임의 스포트 형상의 왜공이 관축의 X, Y 방향으로 강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미리 전자비임이 편향자계로 들어가기 전에 X, Y축에 대하여 45°경사진 방향으로 전자비임을 거의 4각형의 왜곡을 주어 편향자계에서 그 형상이 완화되어 형광면 스크린에서는 매우 양호한 전자비임 스포트 형상이 얻어진다.
다음에 이 바이 포텐셜형 전자총 구체의 제1그리드전극(G1), 제2그리드전극(G2) 및 제3그리드전극(G3)의 전자비임 통과용의 조그만 구멍을 종래의 환공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 비임 스포트 형상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각공으로 배치했을시의 비임스포트 형상과의 대비하여 보면, 제3a도,제3b도 및 제4a도, 제4b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이들의 도면들에 있어서, 제3a도는 종래의 환공을 통과한 전자비임이 형광면 중앙부에 형성된 전자비임 스포트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동도 제3b도는 형광면 코너부의 전자비임 스포트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또 제4a도는 본 발면의 실시예의 각공에 의한 형광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전자비임 스포트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동도 제4b도는 형광면의 코너부에 형성된 전자비임 스포트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어느 것이든 형광면의 중앙부의 비임스포트 직경이 헤일로우를 동반하지 않는 최소의 지름이 되도록 포커스 전압을 주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제3a도, 제3b도와 본원의 제4a도, 제4b도의 전자비임 스포트의 직경을 대비하여 보면, 제4a도에 나타낸 형광면의 중앙부에 있어서는 거의변화는 없지만, 제4b도에 나타낸 코너부의 전자비임 스포트 형상은 실용상 거의 지장이 없을 정도로 포커스 특성이 개선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총 구체 특히, 하이유니포텐셜형 전자총 구체에 적용했을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로서, 제1도와 동일기호는 동일요소가 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동도에 있어서, 제1도와 상이한 점은 제4그리드전극(G4), (8)에 소정거리 이간하여 제5그리드전극(G5), (11)이 글라스비이드(9)에 의하여 동일축상에 유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그리드전극(G1), (5), 제2그리드전극(G2), (6) 및 제3그리드전극(G3), (7)에는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거의 동일한 구성에 의한 각공(10)이 각각 설치되어 하이 유니포텐셜형 전자총 구체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이 유니포텐셜형 전자총 구체를 칼러브라운관 패널 조립체에 봉착시켜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 조건으로 동작시켜도 전술과 똑같은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또 이 경우 형광면 위에 형성되는 전자비임스포트 형상은 제6a도, 제6b도 및 제7a도, 제7b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이 도면들에 있어서 제6a도, 제6b도는 종래의 환공을 통과한 전자비임이 형광면의 중앙부와 코너부에 각각 형성된 전자비임 스포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제7a도, 제7b도는 본원 실시예의 각공에 의한 형광면의 중앙부와 코너부에 각각 형성된 전자비임 스포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이들의 제6a도, 제6b도와, 제7a도, 제7b도와 대비하면 이해되듯이 형광면의 중앙부에 있어서는 변화는 없으나, 코너부에 있어서의 전자비임 스포트 형상이 실용상 거의 지장이 없을 정도로 포커스 특성이 개선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전자총 구체의 다른 효과로서, 종래는 형광면의 중앙부와 주변부에서의 포커스 전압은 주변부가 촛점거리가 긴 관계로 중앙부보다는 주변부가 높아지지만, 각공(10)은 거의 4각형의 왜곡정도를 가감함으로써 주변부에서의 보정 효과를 상기의 포커스 전압차를 강하게 함으로써 중앙부와 주변부와의 포커스 전압차를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1그리드전극(G1), 제2그리드전극(G2) 및 제3그리드전극(G3)에 각각 각공을 설치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극군의 적어도 1조에 각공을 설치하여도 효과의 정도차는 있으나 어느 것이든 유효하다. 또한 각공의 각부의 반경(R)은 작게 할수록 효과는 커지나 이들의 조합은 설계적으로 자유로히 조합할 수 있다. 또 경사각(θ)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각공은 릉형(菱形) 형상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X축에 대하여 대칭되는 각공이면 전술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이 바이포텐셜형 전자총 구체 및 하이 유니포텐셜형 전자총 구체에 관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종류의 인라인 방식의 칼러브라운관용 전자총 구체 예컨대, B. P. F형이나 제2그리드전극(G2)에 보조전극(G2')을 설치한 형의 전자총 구체 등에 적용하여도 전술과 거의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총 구체에 의하면, 칼러 브라운관 형광면의 중앙부 및 코너부를 포함한 전면에 있어서 포커스 특성을 거의 균일하게 개선할 수 있고, 높은 품질의 칼란 브라운관이 얻어지는 등의 매우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1. 캐소우드(4)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전극(G1), (5), 제2전극(G2), (6), 제3전극(G3), (7)을 동일축상에 배열하여 각각 3개의 전자비임을 통과시키는 조그만 구멍을 인라인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진 전자총 구체에 있어서, 적어도 1조의 전극의 조그만 구멍을 편향자계의 수평자계 방향과 수직자계 방향으로 각부(10a)를 가진 각공(10)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총 구체.
KR7900627A 1979-02-28 1979-02-28 전자총 구체 KR820002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627A KR820002328B1 (ko) 1979-02-28 1979-02-28 전자총 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627A KR820002328B1 (ko) 1979-02-28 1979-02-28 전자총 구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328B1 true KR820002328B1 (ko) 1982-12-17

Family

ID=1921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627A KR820002328B1 (ko) 1979-02-28 1979-02-28 전자총 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32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722B1 (ko) 컬러음극선관
EP0424888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4764704A (en)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a three-lens electron gun
US4528476A (en) Cathode-ray tube having electron gun with three focus lenses
US4443736A (en) Electron gun for dynamic beam shape modulation
US4831309A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100270387B1 (ko) 컬러음극선관
US6339284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having auxiliary grid electrodes
US4833365A (en) Electron gun structure for converging electron beams
KR0145214B1 (ko) 컬러음극선관
KR0147541B1 (ko) 음극선관용 다단집속형 전자총
US6614156B2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KR940000302B1 (ko) 전자총을 구비한 음극선관
US3005927A (en) Cathode-ray tubes of the focus-mask variety
KR820002328B1 (ko) 전자총 구체
JPS63166126A (ja) 陰極線管
GB2046988A (en) Colour television tube guns
US4399388A (en) Picture tube with an electron gun having non-circular aperture
US4241275A (en) In-line type electron gun structure for color picture tubes
US5543681A (en) In-line type electron guns for color picture tube
JP3672390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KR970006037B1 (ko) 개선된 전자총을 갖는 음극선관
KR100405233B1 (ko) 칼라음극선관 장치
JP3315173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200147994Y1 (ko) 인라인형 전자총의 전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