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239B1 - 자려 진동형 혼합단 - Google Patents

자려 진동형 혼합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239B1
KR820002239B1 KR7904100A KR790004100A KR820002239B1 KR 820002239 B1 KR820002239 B1 KR 820002239B1 KR 7904100 A KR7904100 A KR 7904100A KR 790004100 A KR790004100 A KR 790004100A KR 820002239 B1 KR820002239 B1 KR 820002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ransistor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frequenc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4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슬러 루돌프
Original Assignee
미스터. 디. 제이. 삭커스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스터. 디. 제이. 삭커스,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filed Critical 미스터. 디. 제이. 삭커스
Priority to KR7904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6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려 진동형 혼합단
도면은 본 발명에 의한 자려 진동형 혼합단을 구비한 FM동조기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본 발명은 발진신호를 발생하며 에미터-베이스 회로에 고주파 신호가 결합되고 콜렉터 회로로부터 중간 주파신호가 취출되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인덕턴스 및 콘덴서에 의해 형성되여,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회로에 배치되는 중간주파 신호에 대한 흡수회로를 구비하는 FM무선수신기용 자려 진동형 혼합단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형태의 종래의 자려진동형 혼합단은 보통 베이스 접지회로 모오드로 작동하며 발진신호를 발생하며, 또한 고주파 및 중간 주파신호를 제각기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자려진동형 혼합단이 만족 해야만하는 최대의 요건은 중간 주파회로와 발진회로를 적절히 분리하여 혼합단이 발진기로서의 기능은 물론 중간 주파단으로서의 기능을 전체 수신 범위에 걸쳐 완전히 수행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어떠한 불안정성도 발생하지 않아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같은 요건 달성을 위해 특히 간단하고 더욱 확실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자려 진동형 혼합단중의 트랜지스터는 발진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콜렉터 접지회로 모오드로 작동된다. 이같은 목적을 위해, 중간 주파신호를 결합출력시키는 콜렉터 회로는 발진신호에 대한 단락회로를 구비하여, 이 콜렉터 회로에서 더욱 많은 중간주파신호를 처리하므로써, 중간주파회로가 발진기로부터 악영향을 받거나, 또는 그 반대로 발진기가 중간 주파회로로부터 악영향을 받게될 가능성이 전체 수신범위에 걸쳐 확실히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하므로써, 자려 진동형 혼합단의 개별 회로소자의 부착 및 칫수결정은 발진기로서의 기능과 중간 주파단으로서의 기능을 서로 분리할 필요가 있다는 관전에서 볼때, 이들 양기능에 관하여 최적의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전체의 단에 걸친 배선에 관해서도 중대한 타협을 할 필요가 없이 행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의 회로는 고주파 전치단(1)과 자려 진동형 혼합단(2)을 가지는 FM동조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 고주파 전치단(1)은 트랜지스터(3)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콘덴서(4)를 거쳐 기준 전위점에 교류접속되어 있으며, 이 트랜지스터는 베이스 저지회로 모오드로서 작동되어 고주파 신호 처리를 하게 한다. 공중선(5)으로 부터 수신한 고주파신호는 고주파 입력회로(6) 및 결합콘덴서(7)를 거쳐 트랜지스터(3)에 에미터에 공급된다. 이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회로는 공진회로(8)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공진 회로는 고주파 신호에 동조될 수 있다. 증폭된 고푸파 신호는 트랜지스터(3)의 콜렉터에 의해 콘덴서(9)를 거쳐결합출력, 즉, 취출된다.
자려진동형 혼합단(2)은 트랜지스터(10)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트랜지스터는 보통은 고주파 신호 및 중간주파신호처리를 위해 베이스회로 접지모오드로 작동한다. 고주파 전치단(1)으로 부터 콘덴서(9)를 거쳐 취출된 고주파 신호는 트랜지스터(10)의 에미터에 공급된다.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에미터 다이오드에 있어서는 중간주파신호에 관해 고주파 신호와 발진신호가 혼합된다. 이경우, 중간 주파신호는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획로내의 중간주파수에 동조된 공진회로(11)로부터 발생된다. 이 중간 주파신호는, 예를들어, 공진회로(11)에 결합된 권선(12)에 의해 취출되어, 무선수신기에 있어서의 다른 처리를 위해 동조기의 출력단자(13)에 공급된다. 통상적으로, 트랜지스터(10)의 에미터는 중간주파 신호에 대한 스퀄치(squ- elch)회로(16)를 거쳐 기준전위점에 접속되므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 다이오드는 중간주파신호에 대해 저 저항성 상태로 종단처리되어 자려진동형 혼합단은 혼합동작을 적절하게 한다. 또한 스퀄치회로는 코일(14) 및 콘덴서(15)에 의해 형성되며 중간주파수에 동조된단. 고주파신호와 혼합단 자체에서 발생하는 발진신호는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에미터 다이오드를 거쳐 통과되는데, 여기서 고주파 신호와 발진신호의 혼합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자려진동형 혼합단은 고주파신호 및 중간주파신호 처리를 위해 베이스회로 접지모오드로 작동하는 외에 발진신호를 발생하기 위해서도 베이스 회로접지 모오드로 작동하는데, 이경우, 동조가능한 발진기의 공진회로를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결합시켜, 발진신호를 용량성 분압기를 거쳐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 궤환시켜, 자려진동을 얻고 있다. 그러나 발진기의 공진회로와 중간주파 공진회로의 상호작용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의 콜렉터회로에서 발진기의 공진회로와 중간주파 공진회로에 관해 개별의 신호통로를 장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때문에, 통상적으로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중간주파 공진회로 사이에 쵸오크를 배치하여, 이 쵸오크를 발진신호에 대해 차단 임피이던스로서 작용시키고 있으나, 상술한 상호작용을 회피할 수가 없다. 또한, 발진신호의 주파수는 넓은 주파수 범위에 걸쳐 동조가능하므로, 동조기의 전체 수신범위에 걸쳐 발진회로를 중간주파회로로부터 분리한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자려 진동형 혼합단이 발진기 및 중간주파단으로서의 기능을 다하도록 혼합단의 회로 소자를 정하기 위해서는 어느정도의 타협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때문에 자려 진동형 혼합단의 동작모오드가 불안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같은 불안정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려진동혀 혼합단(2)의 트랜지스터(40)를 콜렉터 접지회로 모오드로서 작동시켜 발진신호를 발생케한다. 이같은 목적에 대해 도면으로 부터 명백히 알수 있듯이, 동조가능한 발진기의 공진회로(17)는 콘덴서(18)를 거쳐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발진신호는 콘덴서(19)및 (20)에 의해 형성된 용량성 분압기를 거쳐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궤환된다. 용량성 분압기는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로부터 에미터에 접속되며, 또한 기준 전위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0)의 콜렉터회로에 있어서는, 발진신호가 중간주파 공진회로(11)를 통과하므로, 단락에 의해 통과되어 출력회로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공진회로(17)와 중간주파 공진회로(11)의 양호한 분리가 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려진동형 혼합단은 전체 수신범위에 걸쳐 대단히 안정성이 좋게 된다. 이 같은 발진회로와 중간주파 회로가 적절히 분리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자려진동형 혼합단의 회로소자는 발진기로서의 기능 및 중간주파단으로서의 기능의 쌍방에 대해 최적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가 있다. 이때 유일한 조건은 공진회로 코일(22)의 인덕턴스와 중간주파공진회로(11)의 콘덴서(21)의 용량과의 비를 선정하여, 콘덴서(21)가 발진신호에 대해 적절한 단락회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만으로 족한데, 이것은 발진신호 주파수의 전체동조범위에 대해 무난히 행해질 수 있다.
적절한 혼합동작을 하도록 하기위해서는,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에미터 다이오드를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주파신호에 대해 저 저항성 상태로 종단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에미터 회로에서 코일(14)과 콘덴서(15)로 형성된 스퀄치회로(16)에 의해 간단히 실현된다. 또한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를 중간주파 신호에 대해 단락회로가 형성되게 한다.
이 경우, 탭(23)과 기준전위점간에서 작동하는 공진회로 코일(24)의 인덕턴스가 여전히 중간주파 신호에 대해 최저 저항성 상태에 있으므로,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에 대한 상술의 요구에도 역시 만족된다. 중간 주파신호에 대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부터 기준전위점에 이르는 접속부가 저 저항성 상태인 경우에는 발진기의 공진회로(17)를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에 다른 종래의 방법으로 결합시킬 수 있음은 명백한데 이것은, 예를들어, 중간주파수에 동조시킨 다른 스퀄치 회로를 장치하여 달성할 수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두 개의 트랜지스터(3) 및 (10)를 직류직렬접속시킬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는데, 이 를 위해서는 반대 도전형의 트랜지스터를 선택하여, 이들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를 스퀄치회로(16)의 코일(14)과 분리저항을 통해 상호 접속시킬 필요가 있다. 이경우, 스퀄치회로(16)의 기준전위점에 접속되는 콘덴서(15)는 분리저항과 상호작동하여 고주파 신호를 감결합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같이, 특히 간단한 방법으로 두개의 트랜지스터(3) 및 (10)의 직류동작점을 설정할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각종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

  1. 발진신호를 발생하며, 에미터-베이스 회로에(9를 통해) 고주파 신호가 결합되고, 콜렉터 회로로부터 (11을 통해) 중간주파신호가 취출되는, 트랜지스터(10)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인덕턴스(14) 및 콘덴서(15)로서 형성된 상기 중간주파 신호에 대한 스켓치회로(16)를 상기트랜지스터(10)의 에미터 회로에 구비하고 있는 자려진동형 혼합단(2)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10)를 콜렉터 접지회로 모오드로 작동시켜 발진신호를 발생하게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자려 진동형 혼합단.
KR7904100A 1979-11-22 1979-11-22 자려 진동형 혼합단 KR820002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100A KR820002239B1 (ko) 1979-11-22 1979-11-22 자려 진동형 혼합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100A KR820002239B1 (ko) 1979-11-22 1979-11-22 자려 진동형 혼합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239B1 true KR820002239B1 (ko) 1982-12-03

Family

ID=1921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4100A KR820002239B1 (ko) 1979-11-22 1979-11-22 자려 진동형 혼합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23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8129B2 (ko)
US5418500A (en) High-frequency oscillator circuit
US4160953A (en) Self-oscillation mixer circuits
US4596045A (en) Input circuit for television receiver
US6163222A (en) Buffer amplifier with frequency selective mechanism
KR100427106B1 (ko) 가변주파수발진기회로
US3949306A (en) High frequency amplifier with frequency conversion
KR20000069168A (ko) 발진기
US4731592A (en) Voltage controllable oscillator
US4194158A (en) Integrated front end circuit for VHF receiver
US3493870A (en) Mixing circuit arrangement
KR820002239B1 (ko) 자려 진동형 혼합단
US3458819A (en) Uhf-if or vhf-if converter
US3010014A (en) Frequency converter circuits
JPH0241934B2 (ko)
US4264980A (en) Self-oscillating converter for ultrashort wave radio receivers
US3745480A (en) Oscillator circuit for several frequency ranges having plural feedback paths
US3573631A (en) Oscillator circuit with series resonant coupling to mixer
US3437934A (en) Series resonant circuit for coupling output of mixer to input of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JP2003309777A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EP1432116B1 (en) Oscillation circuit for television tuner
US3417341A (en) Composite am-fm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JPS6119166B2 (ko)
US3427544A (en) Ultrahigh frequency oscillator for a television tuner
KR900010618Y1 (ko) 전자동조식 튜너의 국부발진출력 안정화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