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232B1 -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232B1
KR820002232B1 KR7801849A KR780001849A KR820002232B1 KR 820002232 B1 KR820002232 B1 KR 820002232B1 KR 7801849 A KR7801849 A KR 7801849A KR 780001849 A KR780001849 A KR 780001849A KR 820002232 B1 KR820002232 B1 KR 820002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mcinolone acetonide
acid
added
acetonide
thionyl 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1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로디오 가와짜아 덕터
엔리코 다이아만트 덕터
Original Assignee
덕터 피에트로 아네에시
시구마-로오 인더스트리 화아마슈우리히 리유나잇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터 피에트로 아네에시, 시구마-로오 인더스트리 화아마슈우리히 리유나잇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덕터 피에트로 아네에시
Priority to KR7801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17/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having an oxygen-containing hetero ring not condensed wit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아래의 일반식, 즉 R이
Figure kpo00001
또는
Figure kpo00002
이고, X는 2내지 10개의 카르본 원자를 가진 직쇄 또는 측쇄인 알킬렌으로 된
Figure kpo00003
의 트리알시놀론 아세토니드 에스테르가 소염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술한 구조식의 화합물들은 새로운 것이며 또 본 발명의 특이한 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또 한가지 특이한 점은 상기 일반식의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인데,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를 반응으로 생성되는 할로겐화 수소에 대한 수용체의 존재하에 10내지 50℃의 온도로 불활성, 건조 유기용매에서, R과 X가 위에서 정의한대로 인 일반식 :
R -NH- X -COCl
의 염화 아실과 반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하는 적합한 염화 아실은 예를 들면, β-아세트아미노프로피온산, β-벤조일아미노프로피온산, β-벤조일이미노이소낙산, δ-아세트아미노길초산, δ-벤조일아미노길초산, δ-아세트아미노카프론산, ε-벤조일아미노카프론산, (7-아세트아미노)-헵탄산, (7-벤조일아미노)-헵탄산, (8-아세트아미노) 옥탄산과 (8-벤조일아미노)-옥탄산들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적합한 용매는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이나, N,N-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이들의 어느 것이나의 혼합물이고 호적한 할로겐화 수소의 수용체는 피리딘이다. 피리딘은 또한 용매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여러 화합물의 소염성은 실험동물로 종전에 가장 활성이라고 여겨진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에스테르와 비교해서 연구하였다. 본 발명의 여러 화합물은 특히 유용한 것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면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21-(ε-아세트아미노)-카프로산염과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21-(β-벤조일아미노)-이소낙산염을 트리암시놀론 및 베타메타존 발레릴산염을 티몰리틱과 글루코코르티 코이드의 효과는 동일하지만 비교하였고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의 국부적 사용에서 그 소염효과는 우수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2종의 화합물은 또한 니트륨-보유작용이 없었다.
본 발명의 여러 화합물을 사용하는데는 약제의 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해서 불활성이고, 생리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캐리어와 혼합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투여하는 방법에 따라서 모든 적합한 부형제를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다음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방법으로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1]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21-(β-아세트아미노) 프로피온산염
262mg의 아세트아미노프로피온산을 2cc의 무수염화메틸렌에 현탁하고 476㎎의 염화티오닐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이것의 염화메틸렌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무수벤젠을 유상 잔류물에 첨가하여 과잉 염화티오닐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얻어진 유상잔류물을 2cc의 N, 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하여 생성된 용액을 2cc외 N, N-디메탈포름아미드와 1cc의 무수피리딘에 용해한 390mg의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 물을 12간 실온에서 방치하고 생성한 용액을 200cc 1N 황산에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주입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고 황산염 이온이 소멸할때까지 세척하고 화덕에서 40℃로 진공에 건조하였다. 생생한 조제생성물을 한냉한 메탄올에 용해하고, 10%의 활성목탄으로 탈색하고 이어서 메탄올을 제1 결정이 나타날때까지 농축하였다. 결정된 생성물을 여과하고 소량의 메탄올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융점 194-197℃를 가진 160mg의 무색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21-β-벤조일아미노) 프로피온산염
500mg의 β-조일아미노프로피온산을 2cc의 무수염화메틸렌에 현탁하는 618㎎의 염하티오닐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5시간 교반하였다. 염화메틸렌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에 무수벤젠을 첨가하여 과잉 염화티오닐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2cc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하고 이 용액을 2cc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1cc의 무수 피리딘에 용해한 434㎎의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방치한 다음 이 용액을 200cc의 1N 황산에 교반하면서 주입하고 황산염 이온이 소실할때까지 여과, 세척하여 진공 화덕에서 건조하였다.
얻어진 조제생성물을 메탄올에 용해하고 10% 활성목탄으로 탈색, 농축하여 결정화하였다.
여과한 후 융점 180-182℃인 300㎎의 백색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β-벤조일아미노) 이소낙산염 1.242g의 β-N-벤질일아미노이소낙산을 2cc의 무수염화 메틸렌에 현탁한 다음 1.420g의 염화 티오닐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한 다음 이 염화메틸렌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무수벤젠을 잔류물에 첨가하여 과잉 염화티오닐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생성하는 산염화물을 l0cc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하고, 이 용액을 10cc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4cc의 무수 피리딘에 용해한 2.170g의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방치한 다음, 1N 황산에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적하하여 주입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고 황산염 이온이 소멸할때까지 세척하여 화덕에서 40℃로 진공에서 건조하였다. 이 조제생성물을 활성목탄으로 탈색한 후에 에탄올에서 결정화하였다. 융점 203-207℃인 2.750g의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4]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21-(δ-아세트아미노)-길초산염 출발재료로서 318mg의 아세트아미노길초산, 476mg의 염화티오닐과 347mg의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로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융점 194-197℃인 268mg의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5]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21-(δ-벤조일아미노) 길초산염 출발재료로서 500mg의 벤조일아미노길초산 534mg의 염화티오닐과 434mg의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로 실시예 2에 기술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융점 175-178℃인 360mg의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6]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ε-아세트아미노) 카프론산염 출발재료로서 2g의 ε-아세트아미노카프론산, 2.730g의 염화티오닐과 2.470g의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로 실시예 1에 기술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융점 188-191℃인 2.150g의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7]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21-(ε-벤조일아미노) 카프론산염
출발재료로서 1.250g의 ε-벤조일아미노카프론산, 1.260g의 염화티오닐과 1.150g의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로 실시예 2에 기슬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융점 235-237℃인 1.1g의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8]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21-(7-아세트아미노)-헵탄산염 출발재료로서 370mg의 7-아세틸아미노헵탄산, 476mg의 염화티오닐과 434mg의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로 실시예 1에 기술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융점 144-147℃인 300mg의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9]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7-벤조일아미노)-헵탄산염 출발재료로서 500mg의 7-벤조일아미노헵탄산, 476mg의 염화티오닐과 434mg의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로 실시예 2에 기술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융점 200-202℃인 440mg의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10]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21-(8-아세트아미노)-옥탄산염 출발재료로서 402mg의 8-아세틸아미노옥탄산, 476mg의 염화티오닐과 434mg의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로 실시예 1에 기술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융점 134-136℃인 350mg의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11]
트이암시놀론 아세토니드 21-(8-벤조일)-옥탄산염 출발재료로서 526mg의 8-벤조일아미노옥탄산, 476mg의 염화티오닐과 434mg의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로 실시예 2에 기술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융점 215-218℃인 420mg의 에스테르를 얻었다.

Claims (1)

  1.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를 반응으로 생성하는 할로겐화 수소수용의 존재하에 일반식 :
    R-NH-X-COCl
    의 염화아실과 10°내지 50℃ 온도에서 불활성 건조 유기용매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
    Figure kpo00004
    의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의 제조방법. 위 식에서 R이
    Figure kpo00005
    또는
    Figure kpo00006
    이고, X는 2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직쇄 또는 측쇄 알킬렌라디칼이다.
KR7801849A 1978-06-17 1978-06-17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820002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1849A KR820002232B1 (ko) 1978-06-17 1978-06-17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1849A KR820002232B1 (ko) 1978-06-17 1978-06-17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232B1 true KR820002232B1 (ko) 1982-12-03

Family

ID=1920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1849A KR820002232B1 (ko) 1978-06-17 1978-06-17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23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628356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neuer androstadien-17-carbonsaeureester.
US2713587A (en) 11, 17-dihydroxy-4-pregnene-3, 20-dione
KR820002232B1 (ko)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US3095412A (en) 9alpha, 11alpha-epoxy and 11beta-chloro-9alpha-hydroxy 17alpha-(2-carboxyethyl)-17beta-hydroxyandrost-4-en-3-one gamma-lactones and delta1 and delta6 analogs
US2441936A (en) Imidazolones and method of preparation
US2906758A (en) 3-(hydroxyalkyl)-ethers of estradiol
US2837535A (en) 1-acylthio substitution products of 17alpha-oxa-d-homo-4-androstene-3, 17-dione
US2926167A (en) Process of esterifying ib-hydroxy
US3176032A (en) 17alpha, 21-diacyloxy derivatives of 6alpha-methyl-delta1, 4-pregnadien-3, 20-dione and of 6alpha-methyl-delta4-pregnen-3, 20-dione
US2873284A (en) N, n-dialkyl acylamide solvate of 1, 4-pregnadiene-17alpha, 21-diol-3, 11, 20-trione-21-acylate and process of preparing such
US3128291A (en) New hemiacetals and hemicaetal esters of the androstane series and a method for their production
US4456766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N-acetyl-2,3-dehydro-aminocarboxylic acid esters
AT362889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euen estern von androstadien-17-carbonsaeuren
US2860156A (en) Pentaerythritol trinitrate half esters of dicarboxylic acids
US2953581A (en) 3-oxygenated-20-keto-21-fluoro-pregnanes
US2982774A (en) 21-aldehydes of 9alpha-fluoro-steroids and derivatives thereof
US3082221A (en) 4-chloro-6alpha-methyl derivatives of testosterone
US3036069A (en) Acetoxylated 17alpha-carboxyethyl-17beta-hydroxyandrost-4-en-3-one lactones and intermediates
DE1568013B2 (de) 17 alpha - eckige klammer auf 3'-furyl eckige klammer zu -steroid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arzneimittel
US2932641A (en) Alpha, beta-butenolides of the pregnene, pregnane and allopregnane serie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m
US3076827A (en) 3-halo-19-nor-delta5(10)-androsten-17beta-ol derivatives
US2931806A (en) dl-delta5-3-ethylenedioxy-11-keto-20-cyano pregnenes
US3068243A (en) 2-keto-delta3, (5) a-norcortisones
US3070507A (en) Novel corticoids from delta16-20-ketoalkenyl adducts
US3278564A (en) 6, 16-substituted progester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