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197B1 - 장난감 자동차 - Google Patents

장난감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197B1
KR820002197B1 KR7800074A KR780000074A KR820002197B1 KR 820002197 B1 KR820002197 B1 KR 820002197B1 KR 7800074 A KR7800074 A KR 7800074A KR 780000074 A KR780000074 A KR 780000074A KR 820002197 B1 KR820002197 B1 KR 820002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ear
motor
wheel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 넬센 에드윈
Original Assignee
사무엘 엘 코오인
아이디얼 토이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무엘 엘 코오인, 아이디얼 토이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사무엘 엘 코오인
Priority to KR780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8/00Highways or trackways for toys; Propulsion by speci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A63H18/12Electric current supply to toy vehicles through the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36Steering-mechanisms for toy vehicl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난감 자동차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난감 자동차를 사용하고 있는 장난감 자동차 경기구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경기구에 사용되는 장난감 자동차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하나의 장난감 자동차의 저면도.
제3a도는 제1도의 경기구에 사용되는 또 다른 자동차의 전단부의 저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장난감 자동차의 차체부분을 제거한 평면도.
제5도는 제2도의 선 5-5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6도는 구동 전동장치가 제4도에서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된 제4도와 유사한 평면도.
제7도는 제1도의 장난감 자동차 경기구에 사용되는 전기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
제8도는 자동차가 차선 변경시 측벽에 부딪치는 모양을 보여주는 확대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4도와 유사한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되어 있는 장난감 자동차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장난감 자동차 경기구에 사용되는 장난감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기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조종되어 한 차선에서 다른 차선으로 옮겨갈 수도 있으며 다른 자동차를 추월할 수도 있는 장난감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홈(slot)궤도"를 이용한 장난감 자동차 경기구의 인기가 높아져 가고 있으며, 좀더 흥미를 모으기 위해 차선을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마치 차선이 변경되는 것처럼 보이게 한 것도 있다. 그러나 자동차는 실제로는 항상 정해진 궤도만을 달릴 뿐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경기구는 속도 조종만이 가능한 것이므로 흥미가 제한되며, 따라서 안내홈에 제한되지 않고 실제로 자동차가 한 차선에서 다른 차선으로 옮겨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도가 많이 있었다. 이러한 시도로서, 솔레노이드로 작동되는 범퍼를 사용하여 자동차를 다른쪽 차선을 향해 기계적으로 밀어줌으로써 차선을 바꾸게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는 차선이동이 확실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특히 저속일 경우에는 만족스런 결과를 얻지 못한다. 또 한가지 예는 스위치 개폐에 의한 전류의 단속으로 조종되는 비교적 복잡한 조종장치를 갖는 자동차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조종장치가 복잡할 뿐 아니라 전류의 단속에 의해 자동차의 속도가 감소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 한가지 개발되어 있는 차선이동 방법은 자동차의 구동모우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 변화에 의한 조종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전류의 차단이 없으므로 속도를 잃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조종장치에 많은 회전부품이 필요하며 마모 및 보수관리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한가지 예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조종되는 조종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조정을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으나, 이것 역시 조종장치가 복잡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장난감 자동차 경기구가 갖는 결점을 극복하여, 안내 궤도 등에 의하여 제한됨이 없이 장난감 자동차가 회전할 수 있고 또한 차선을 변경할 수 있는 장난감 자동차 경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차선을 따라 이동하다가 경기자의 조정에 의하여 그 차선을 변경할 수 있는 장난감 자동차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각각의 자동차가 경기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조정되어서 차선 변경이 이루어지고 또한 상호 추월할 수도 있는 장난감 자동차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자동차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에 응답하여 자동차의 차선을 변경시킬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구동전동장치를 가진 장난감 자동차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의 목적은 자동차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에 응답하여 자동차의 뒷바퀴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전동장치를 가진 장난감 자동차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비교적 간단하며 장기간의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상술한 특성의 장난감 자동차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하고 값싸게 제조될 수 있는 장난감 자동차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에 의하면, 프레임과 이 프레임상에 장착된 차체와, 1쌍의 구동바퀴를 포함한 다수의 바퀴를 갖는 장난감 자동차가 제공된다. 구동바퀴들은 프레임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며, 이들 바퀴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역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는 전기 모우터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전동장치는 프레임내에 설치되어서 전기 모우터의 출력을 구동바퀴에 연결하여준다. 이 구동 전동장치는 프레임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최소한 한개의 전동요소를 포함하며, 이 전동요소는 구동 모우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구동바퀴들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자동차 차선이 설치된 측벽들을 가진 무단형 궤도내에 2대의 장난감 자동차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자동차들의 각각의 모우터에 의해 자동차의 어느 한쪽 구동바퀴만이 구동될 경우에는, 자동차가 상기 측벽과 충돌하여 이 측벽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자동차 모우터에 대한 전력 공급은 자동차 궤도내의 차선에 위치된 전기 접촉 스트립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전력공급장치에 의하면 경기자가 자동차의 속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을 바꾸어서 자동차의 차선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자동차에는 차선변경시 측벽에 부딪혔을 때 그 충격을 흡수하고, 자동차의 앞바퀴들을 새로운 차선에 올바르게 위치시키기 위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충격 흡수 전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장난감 자동차 경기구(10)는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무단형의 궤도(12)와, 이 궤도(12)의 양측에 설치된 측벽(14), (16)과, 그 사이의 도로(18)로 되어 있으며, 이 도로(18)는 다수의 자동차가 주행할 수 있는 최소한 2개의 차선(20), (22)이 설치되기에 충분한 폭으로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경기자에 의해 조종되는 자동차(24), (26)가 있고, 이들 자동차는 집전기(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겠음) 배치만 다를 뿐 그 외에는 똑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무인차량(28)이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경기자가 제어장치(30)에 의해 각 자동차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키면 자동차(24), (26)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제어장치(30)에 의해 각 자동차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을 변화시키면 자동차(24), (26)의 차선을 바꾸어줄 수 있다. 무인차량(28)은 궤도를 따라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으며, 경기자에 의해 조종되는 자동차(24), (26)가 추월하여야 할 방해물로서의 역할을 한다. 무인차량(28)의 앞바퀴는 어느 한쪽방향으로 경사시켜서 이 무인차량이 내측 혹은 외측 차선만을 주행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무인차량은 밧테리에 의해 작동되는 모우터로 구동되며, 그 구동전동장치는 뒷바퀴 구동의 종래 구조와 같다.
장난감 자동차(24)는 제2-제4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 자동차(24)는 프레임(32) 위에 플라스틱 차체(34)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쌍의 앞바퀴(36)는 충격흡수 전단부(38)(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겠음)를 통해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뒷바퀴(40)는 프레임(32)에 장착되어 있는 축(42)상에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제5도 참조). 뒷바퀴(40)중의 한개는 축(42)에 스플라인(44)등으로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축상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쪽 바퀴가 모두 자유회전하도록 차측(48)에 장착되어도 좋다. 어떠한 구조에서도, 이들 바퀴는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뒷바퀴(40), 즉 구동바퀴는 플라스틱 주물 또는 주조 금속으로 되어 있고, 그 내측에는 평기어(spurgear)(46)가 일체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 평기어를 통해 회전력이 바퀴에 전달된다.
장난감 자동차의 구동력은 프레임(32)에 부착되어 있는 직류 모우터로 부터 공급된다. 이 모우터는 공지의 직류 모우터로서 회전자에 출력축(50)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평기어(52)가 축(50)에 부착되어 있고, 이 축(50)은 전동장치(56)에 연결되며, 이 전동장치는 평기어(52)의 회전방향 〔즉,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에 따른 모우터 출력축(50)의 회전방향〕에 반응하여 구동바퀴(4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2도 및 제4-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동장치(56)는 톱니(60)가 아랫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크라운 기어(58)와 중앙 칼라부(62)를 갖고 있다. 칼라(62)내에는 핀(64)이 끼워져 있고, 이 핀(64)의 하단부(66)는 프레임(32)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크라운 기어(58)는 프레임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칼라(62)에는 슬리브(68)가 끼워져 있고, 이 슬리브(68)에는 크라운 기어(58)의 회전축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축이 달려 있으며, 이 축에는 평기어(70), (72)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들 평기어(70), (72)는 서로 일정각을 이루며 크라운 기어(58)에 계합되어 있다(제4도 참조). 따라서 모우터(48)가 작동되면, 평기어(52)와 연결되어 있는 크라운 기어(58)는 모우터(48)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에 따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제4도 및 제6도 참조). 동시에 평기어(70), (72)가 크라운 기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평기어(70), (72)는 회전 슬리브(68)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기어(58), (70), (72)들 사이의 계합에 의하여 슬리브(68)와 기어(70), (72)가 핀(64) 및 칼라(62)의 주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4도의 경우와 같이 크라운 기어(58)가 화살표(X)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기어(70), (72)도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기어(70)가 바퀴(40)의 기어(46)에 물리게 되고, 따라서 오른쪽 바퀴는 구동되고 왼쪽 바퀴는 자유회전하게 된다.
제1도에 도시한 경기구에 있어서, 자동차가 외측차선에 있을때 오른쪽 바퀴(40)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자동차(26)와 같이 자동차가 외측 차선에서 내측차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자동차의 앞부분은 궤도의 내측벽(16)에 접촉하게 되고, 오른쪽 바퀴가 계속 구동되면 자동차가 벽(16)을 따라 내측차선을 주행하게 된다. 물론, 자동차가 고속으로 궤도의 곡선부분을 주행할 때에는 원심력에 의해 외측차선으로 밀려나는 경향이 있으나, 계속적으로 오른쪽 바퀴만 구동시키면 내측차선에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반대로, 모우터(48)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이 바뀌어져 크라운 기어(58)가 반시계 방향으로, 즉 제6도의 화살표(Y) 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70), (72)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고, 슬리브(68)는 크라운 기어(58)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되면 기어(72)가 좌측 구동바퀴(40)에 물리게 되고, 따라서 왼쪽바퀴만 구동되면 오른쪽 바퀴는 자유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왼쪽 바퀴만 구동되면 자동차는 오른쪽으로 굽어지려는 힘을 받을 것이며, 따라서 제1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자동차(24)와 같이 내측차선(20)에서 외측차선(22)으로 옮겨가게 된다. 이때 자동차의 앞부분이 외측벽(14)에 부딪치면, 외측벽을 따라 계속해서 외측차선(22)을 주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기어(52), (58), (70), (72)의 사용으로 인하여, 자동차는 모우터의 출력요소, 즉 평기어(52)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항상 전진방향으로 주행하게 됨을 주목하기 바란다.
제9도와 제10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장난감 자동차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다른 구조의 전동장치가 이용되고 있으나,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에 따라 장난감 자동차의 오른쪽 또는 왼쪽 구동바퀴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이 실시예의 장난감 자동차도 프레임(32)과 구동모우터(48)를 포함하고 있다. 구동 모우터(48)의 출력축(90)에는 워엄기어(92)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워엄기어(92)는 전동장치(94)에 연결되어서 왼쪽 혹은 오른쪽 바퀴(40)를 구동시키게 된다. 전동장치(94)는 가동 전동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가동 전동요소로서 한개의 평기어(96)를 채용하고 있다. 이 평기어(96)에는 그 양측으로 연장되는 축(98)이 있고, 이 축(98)은 프레임(32)의 직립 플랜지(102)에 형성되어 있는 홈(100)에 끼워져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에 따라 평기어(96)은 제10도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앞쪽위치, 혹은 홈(100)의 반대편 뒷쪽위치(점선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기어(96)의 위와 같은 이동위치의 양단에는 또 다른 기어(104), (106)가 플랜지(10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모우터(48)의 출력요소(92) 혹은 축(90)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들 기어(104), (106)중 어느 하나가 기어(96)와 계합하게 된다. 이들 기어(104), (106)는 축(108)을 통해 기어(110)의 직접 연결되어 있고, 기어(110)는 바퀴(40)의 기어(46)에 물려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구동바퀴(40)는 기어(96)의 위치 및 모우터(48)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항상 전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모우터의 극성을 제어함으로써 자동차의 뒷쪽 구동 바퀴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제1도에 도시한 경기구에 이 자동차를 사용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선을 옮겨가게 할 수 있다. 제9도에 도시되어 있는 자동차의 왼쪽 바퀴쪽에 기어(110')가 기어(110)와 왼쪽바퀴 기어(46)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어, 기어(106)가 구동될 때 왼쪽 바퀴(40)가 전진방향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장난감 자동차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궤도면(18)에는 다수의 접촉 스트립이 각 차선(20), (22)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차선에 세개의 접촉 스트립(A), (B), (C)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트립은 전기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되어 있고, 궤도표면과 같은 평면상에 놓여 있으므로 자동차가 차선을 옮길 때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전류는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들 스트립을 통해 공급되어, 자동차 프레임의 예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집전장치에 의해 수전된다.
각 차선내의 스트립들은 서로 짝을 이루고 있다. 즉, 내측 차선의 스트립(A)은 외측차선의 스트립(A)과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트립(B)와 스트립(C)도 이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트립(C)은 접지되어 있고, 스트립(A)와 스트립(B)은 각 자동차에 대해 전류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고 그 극성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같은 차선에 두 개의 자동차가 있더라도 이들 자동차는 독립적으로 조종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자동차의 집전장치는 각기 다른 한쌍의 스트립으로 부터 전류를 받도록 되어 있다. 예를들면, 자동차(24)는 스트립(B)로 부터, 자동차(26)는 스트립(A)로 부터 전류를 받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24)에는 2개의 집전장치(111), (112)가 있으며, 집전장치(112)는 접지스트립(C)에 접촉된다. 자동차(26)은 제3a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집전장치(112), (114)를 갖고 있으며, 집전장치(112)는 자동차(24)에서와 동일하게 위치되어 접지 스트립(C)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집전장치는 공지의 방식으로 자동차에 장착되어 이들 자동차의 모우터(48)에 연결되어 있다. 자동차(24)의 집전장치(111)는 차선에 관계없이 스트립(B)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집전장치(111)는 자동차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해 있다. 반면, 자동차(26)의 집전장치(114)는 중앙에서 약간 떨어진 위치, 즉 집전장치(112)와 반대쪽 위치에 있어, 차선에 관계없이 항상 스트립(A)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집전장치 및 스트립의 배치에 의해, 각 자동차(24), (26)는 어느 차선에 있더라도 각각 일정한 스트립(A 또는 B)에 접촉되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자동차 경기구의 제어장치(30)는 제7도에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어장치(30)에는 제어기(124), (126)가 있으며, 이 각각의 제어기(124), (126)에 의해 자동차(24), (26)가 각각 조종된다. 제어장치(30)는 플러그(128)에 의해 교류전원에 연결되며, 변압기(130)를 포함하고 있다. 전력은 변압기(130)로 부터 반파 정류기(132)를 통해 각 제어기(124), (126)에 공급된다.
이 반파 정류기(132)는 두께의 다이오우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다이오우드는 각 제어기(124), (126)로 전류를 개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각 제어기(124), (126)는 수동작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트리거 작용을 하는 가변 저항(134)과 단극상투 스윗치(136)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기(124)로부터의 전류는 그 가변저항(134)를 통해 스트립(B)에 공급되고, 제어기(126)로 부터의 전류는 그 가변저항(134)을 통해 스트립(A)에 공급된다. 이 가변저항은 자동차에 공급되는 전류를 변화시키고 다라서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변화시키는데 사용된다.
자동차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은 스윗치(136)에 의해 각각 별도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므로, 자동차의 모우터(48)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은 스윗치(136)의 위치에 따라 변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여, 경기자는 제어기(126 또는 124)에 의해 자기 자동차의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고 단지 전류의 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차선을 옮겨가게 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에 따라 두 개의 뒷바퀴중 어느 한쪽 바퀴를 구동하게 되어 차선을 옮기게 된다.
제1도에 도시된 자동차(26)와 같이 자동차를 외측 차선으로 부터 내측 차선으로 옮기려 할 때에는, 자동차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을 변화시켜서 자동차의 바깥쪽 바퀴, 각 우측 바퀴를 구동시키면 자동차가 왼쪽을 향하게 되어 내측 차선으로 옮겨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자동차를 내측 차선으로 부터 외측 차선으로 옮기려 할 때에는, 자동차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을 적절히 선택하여서 자동차의 안쪽 바퀴, 즉 좌측 바퀴를 구동시키면 자동차가 바깥쪽을 향하게 되어 외측 차선으로 옮겨진다. 이와 같이, 경기자는 자동차의 속도뿐만이 아니라 그 차선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는 무인차량(28)을 이용하면, 이 무인차량이 외측 차선에서의 방해물로 되어 다른 자동차들이 추월하게 된다. 즉, 이 무인차량을 추월하기 위해 적당한 차선변경이 요구되므로 경기의 흥미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난감 자동차에는 충격흡수 전단부(38)가 설치되어 있다. 제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충격흡수 전단부(38)에는 바퀴 지지판(130)이 선회핀(132)에 의해 프레임(32)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지지판(130)에는 축(136)이 끼워질 보스부분(134)이 있고, 축(136)의 양단에는 앞바퀴(138)들이 장착되어 있다. 지지판(130)은 그 중앙부가 지지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앞바퀴들은 스프링 장치(140)에 의해 곧바르게 주행하게 된다. 이 스프링 장치(140)에는 플라스틱 지지판(130)에 일체로 형성된 혀부분(142)이 있다. 이 혀부분(142)은 프레임(32)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돌출부(144)에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지지판(130)과 바퀴(138)는 그 중앙 위치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가 차선을 바꾸어 어느 한쪽 측벽 〔예컨대, 제8도의 외측벽(14)〕에 부딪치게 되면 지지판(130)에 충격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충격은 스프링 요소, 즉 혀부분(142)에 의해 흡수된다. 이 지지판의 회전과 동시에 바퀴(138)도 틀어지게 되어 자동차가 차선위에 올바르게 위치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자동차는 가장 신속하게 접촉 스트립상에 위치되는 것이다. 충격 흡수 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지지판(130)에는 범퍼부(146)가 프레임의 밖으로 연장되어 있어, 자동차의 다른 어느 부분보다도 측벽에 먼저 부딪히도록 되어 있다.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부분(142)의 양쪽에는 슬로트(148)들이 지지판(130)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로트(148)의 외측단부(150)는 지지판(130)이 지나치게 틀어질 경우, 돌출부(144)에 부딪히게 되어 있다. 즉, 지지판(130)이 어느 한계치 이상 틀어지게 되면 슬로트의 측단부(150)가 돌출부(144)와 부딪쳐 더 이상 틀어지지 않게 된다.
제9도와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격 흡수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한 충격흡수 전단부에는 선회핀(162)에 의해 프레임(32)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앞바퀴 지지판(160)이 있다. 앞바퀴 지지판(160)에는 축(166)이 끼워지기 위한 보스부분(164)이 있고, 축(166)에는 자동차의 앞바퀴들이 고정된다. 프레임(32)에 설치된 돌출부(170)와 앞바퀴 지지판(160)의 사이에는 코일형 스프링(168)이 고정되어 있으며, 앞바퀴 지지판(160)은 이 스프링(168)에 의하여 그 중심부분이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충격흡수 전단부를 가진 장난감 자동차가 궤도의 측벽에 부딪히면, 지지판(160)이 상술한 지지판(130)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회전하여 바퀴를 차선위에 올바르게 위치시켜서 가장 신속하게 접촉 스트립상에 위치시킨다. 이 실시예의 프레임(32)에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활모양의 정지면(172)을 설치하여서, 지지판(160)이 필요 이상으로 틀어질 경우, 이 지지판(160)의 후단부(174)와 접촉하여 더이상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장난감 자동차에 의해 자동차 경주를 하면서 각각의 자동차를 독립적으로 자유자재의 속도변경을 하며 즐길 수 있으며, 한쪽 궤도에서 다른쪽 궤도로 옮겨가며 다른 자동차 또는 무인차량을 추월할 수도 있고, 종래와 같은 솔레노이드 범퍼나 조종장치 등의 복잡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더우기, 단지 전류의 극성을 변화시키기만 하여도 차선을 바꾸어 줄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전원차단에 의한 차선변경에서 발생하였던 속력의 감소를 막을 수 있다.

Claims (1)

  1. 자동차 프레임과, 수직면내에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프레임에 장착되어 서로 간격을 이루며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한쌍의 구동바퀴와, 상기 프레임상의 역전가능한 구동모우터와, 이 모우터에 연결되어서 회전하는 출력측 기어와, 이 출력측 기어에 맞물려서 이 기어의 회전에 반응함으로써 상기 구동바퀴 중의 어느 한쪽을 자동차의 전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구동하며 구동되지 않는 바퀴는 자유바퀴가 되도록 하는 기어열로 구성되는 장난감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기어열에는 상기 구동바퀴에 직접 연결되어 각각 구동가능하게 맞물려 있는 제1 및 제2 구동기어 및 출력측 기어의 회전에 다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도록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가동 기어가 있으며, 상기 구동기어들은 제1 및 제2 위치에서 상기 가동기어와 각각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프레임내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가동기어는 제1 위치에서 구동바퀴중 어느 한쪽 바퀴를 전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며 제2 위치에서 다른쪽 구동바퀴를 전진방향으로 구동하는 한편 구동되지 않는 바퀴는 자유바퀴가 되도록 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자동차.
KR7800074A 1978-01-14 1978-01-14 장난감 자동차 KR820002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74A KR820002197B1 (ko) 1978-01-14 1978-01-14 장난감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74A KR820002197B1 (ko) 1978-01-14 1978-01-14 장난감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197B1 true KR820002197B1 (ko) 1982-11-29

Family

ID=1920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074A KR820002197B1 (ko) 1978-01-14 1978-01-14 장난감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19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9913A (en) Toy vehicle
US5019009A (en) Toy car chassis intermittent tilt and steering structure
US4156987A (en) Toy vehicle
US4187637A (en) Toy vehicle
US5928058A (en) Slot car and mechanism for guiding same
US4218846A (en) Lane changing toy car with unidirectional clutch and positive steering
US4231183A (en) Differential gear drive
US4141553A (en) Toy vehicle game
KR820002197B1 (ko) 장난감 자동차
US4125261A (en) Toy vehicle and toy vehicle game
US3304652A (en) Model slot type racing car with differential front wheel drive
KR820002199B1 (ko) 장난감 자동차 경기구
KR820002200B1 (ko) 장난감 자동차
KR820002201B1 (ko) 장난감 자동차
CA1141547A (en) Toy vehicle and toy vehicle game
JPS6325793B2 (ko)
CA1090132A (en) Toy vehicle and toy vehicle game
US4295649A (en) Toy miniature vehicle racing game
US5141469A (en) Toy racing set
CA1148357A (en) Toy vehicle and toy vehicle game
GB1589537A (en) Toy vehicle and toy vehicle game
KR830000117B1 (ko) 장난감 무인자동차
US4346894A (en) Driver skill test for toy miniature vehicles
KR830000184B1 (ko) 장난감 자동차 경기구
JPS625639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