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184Y1 - 자동차의 절첩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절첩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184Y1
KR820002184Y1 KR7800584U KR780000584U KR820002184Y1 KR 820002184 Y1 KR820002184 Y1 KR 820002184Y1 KR 7800584 U KR7800584 U KR 7800584U KR 780000584 U KR780000584 U KR 780000584U KR 820002184 Y1 KR820002184 Y1 KR 820002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uide groove
chair
suppor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앤 펌벌톤 호로위이
로이드레이몬드알덜
Original Assignee
에취.알 터널(위렌할)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취.알 터널(위렌할)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취.알 터널(위렌할)리미티드
Priority to KR7800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1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184Y1/ko

Link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절첩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작동 손잡이를 생략한 조절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2-2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부분 확대도.
본 고안은 주로 자동차 의자의 등과 자리의 쿳숀 프레임을 연결하는 측면에 부착사용되게 하여 의자의 등이 의자에 앉은 사람의 필요에 적응시킬 수 있도록 자리 쿳숀에 대하여 등판이 적절하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하며 기울어질 수 있는 촉이 무한대로 조정될 수 있으며 의자에 앉은 사람이 별로 힘들이지 않고도 통상적으로는 10°내지 25°정도의 비교적 작은 범위내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자의 절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1 및 제2의 조절부분이 상호간에 주축회전식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제1의 조절장치위에 장치되어 있는 안내판이 조절축들에 평행하는 축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하게되며, 안내판은 회전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여 있으며 제2의 조절부분에 형성한 돌기를 안내하는 안내홈을 구성한 안내판이 조절부분간에 각도가 형성되게되어 안내판의 회전운동에 따라 각도가 달라지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안내판의 회전으로 안내홈이 회전을 하는데 이 회전운동은 돌기를 통하여 제2번의 조절부분으로 전해지게 된다. 이 장치는 조정지지체 및 조절부분이 모두 판의 형태로 되어있으며 경사조정이 간단한 핀이나 안내홈의 배열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하는데 아주 간단하며 경제적이다. 안내판의 주어진 회전각도에 대하여 달성할 수 있는 조정량은 안내홈 높이의 각도와 돌기 및 조절축간의 간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고 자동으로 고정되는 작용을 해주기 위하여 어떠한 위치에 있어서 안내홈의 높이와 각도도 마찰의 각도보다는 작아야하며 원하지않는 안내판의 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가지 장치를 구성하기 때문에 이것은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조정지지체가 특히 나선형 안내홈의 반지름의 가장 끝부분에서 가해진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하는 것을 감안하여 조정지지체의 칫수를 비교적 작게 유지해주기 위해서는 안내판이 적어도 그 외변이 돌기가 위치하고 있는 자리에 근접해 있도록 지탱되어야 하고 한정된 원주 한계의 접합지지체는 적절한 위치에서 조정지지체 외변의 바로 옆에 위치할 수 있으며 조정 지지체는 상기 제1조절부분에 갖추어져있는 오목한 곳이나 구멍과 같은 실린더식 두루말이 속에 꼭 맞아 들어가게 구성되고,
본 고안이 원하는 형태에 의하면 상기 돌기는 안내홈 속에 받아드려지는 브레이커 받침위에 자유스럽게 장치되며, 브레이커 받침위에 상응하는 구경과 계합되는 실린더식 핀으로 돌기가 구성되며, 받침은 대치하는 커브진 양측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나선형 안내홈의 각측면의 만곡에 대체로 일치하고 받침의 한 측면은 볼록한 모양의 만곡으로서 나선형 안내홈의 오목한 측면에 면하고, 받침의 다른 측면은 오목하여 나선형 안내홈의 볼록한 측면에 면하도록되고 받침의 이러한 양측면의 만곡을 적절히 선정하므로서 받침과 나선형 안내홈의 접속측면간에 표면접촉을 연장시켜줌으로서 접촉이 큰 부분을 분산하여 압력을 골고루 줄 수있게 하였다.
본 고안은 또 다른면은 제1, 제2, 제3의 조절부분으로 구성되는 조절장치와 제2 및 제3부분 사이에서 제1부분에 비례하여 각도의 운동을 해주기 위한 미리 정해진 각도가 형성되어 있는 장치에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작용을 하는 사용자가 풀어줄 수 있는 고정장치 제1부분에 비례하여 일치하도록 제1 및 제3부분을 움직이게 하는 영구적으로 계합된 사용자가 작동시킬 수 있는 조절장치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열방법은 고정장치가 풀어지면 제2부분이 미리 정해진 장치로부터 서로 각도를 가진 상태로 제3부분에 비례하여 각도가 형성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모든 3개의 조절부분은 공통축에 축설되게 해야한다.
본 고안의 이러한 양상은 주로 자동차의 의자 같은데 적용할 수 있는데 자동차 의자는 의자의 등이 운전을 하는데 적합하도록 기댈 수 있는 자리의 위치의 한계를 정해주기 위하여 각도가 형성되도록 조정을 할수 있는 것이며, 고정장치가 풀어지면 앞뒷쪽으로 재빨리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자동차의 뒷문이 없는 경우에는 의자를 접어서 뒷자리로 갈수 있게 해주며, 앞의자를 완전히 펴서 뒷의자의 쿳숀과 맞닿게 하여 의자의 등이 침대처럼 될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안출된바 없으며 이미 알려진 종래의 배열방법에 있어서는 뒤로 제쳐서 침대모양으로 만드는 것은 경사조절장치를 통하여 의자의 등을 힘들게 조정하므로서 비로서 가능하게 된 것이다.
본 고안은 배열방법에 있어서는 경사조정의 필요성은 불과 10°내지 25°의 범위내에서 달성할 수 있으며 고정장치가 풀어지면 의자의 등은 120°가 넘는 전반적인 각도의 회전운동을 하게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장치는 조절축에 대하여 평행하는 축에 대한 치환을 하기위해 제3부분위에 주축회전식으로 되어 있는 빗장과 빗장의 한쪽끝을 자유롭게 유삽, 해탈할 수 있도록 둘째부분에 오목한 요구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고정장치가 제2부분과 같은 일부분에 있는 개구와 제3 부분과 같은 다른 부분에 의하여 지탱되는 보울트로 구성되며 이 보울트는 조절축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치환시킬 수 있도록 장치되고 멈춤쇠의 형태로 개구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편리하게 보울트는 상기한 부분이 개구에 들어갈 수 있도록 고정되는 위치로 스프링이 죄어저있고 보울트가 개구와 계합되지 않을 때는 상기부분이 개구가 갖추고 있는 조절부분의 인접한 면에 대하여 유지시켜 주게된 것인데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절장치는 의자쿳숀 프레임의 측면에 부착하는 지지판(10)과 의자등 프레임의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판(12)로 구성하되 측면연결 ㅈ지지판(10)과 연결판(12) 양자는 주축(14)에 회전토록 유착되어 축의 의자의 등과 회전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정해주는 역활을 하게하고 중단판(16)은 주축(14)에 회전식으로 축삽되어 있으며 연결판(12)에 대하여 축(1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는 빗장(18)에 의하여 연결판(12)에 비례하여 각도의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고정시키며 빗장(18)이 걸려진 상태에서 중단판(16)에 있는 삽지요구(19)에 계합되는 걸림핀(20)을 형성하고 빗장(18)은 걸린 위치에서 로드(도면에 나타나지않음)에 의하여 삽지요구(19)로부터 걸림핀(20)이 ㅌ달리되도록 치환될 수 있는데 이 로드는 걸쇠(22)에서 빗장(18)에 대하여 한쪽끝이 회전토록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에 적절한 사용자의 작동레바(도면에 나타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26)은 빗장(18)이 걸려진 상태가 되도록 죄어주고 빗장(18)이 풀려지면, 연결판(12)과의 장의 등이(도면 1에서 보는바와 같이 시계바늘방향) 전면이나 후면으로 회전되게 되는데, 이것은 경사조정장치에 의하여 정해지는 위치와는 관계가 없는데 영구적으로 계합이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면으로 회전하는 빗장(18)과 걸림턱(27)의 협조에 의하여 제한되며 후면으로는 회전은 적절한 정지장치, 특히 앞의자의 등이 대체로 수평인 위치가 되도록 후면으로 회전됨으로서 뒷쪽 의자와 함께 침대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게되고 의자의 등이 이러한 위치로 재빨리 움직이며 영구적으로 계합된 경사장치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전면만의 회전은 앞문과 두 개를 가지고 있는 자동차를 염두에 둔것인데 자동차의 뒷자리에 들어갈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해주기 위하여 앞자리를 절첩토록 해주려는데 있고 이 조절장치는 의자의 타단에도 장치한다. 다른방법으로는 조절장치를 의자의 다른쪽에 갖추어 놓을 수도있고 조정장치는 지지판(10)위에 회전운동을 하도록 장치되고 사용자가 안내판(28)을 돌리거나 또는 조절장치(13)가 의자의 각 측면에 중복되어 있을때에는 안내판(28)을 돌릴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고 도면에서의 안내판(28)은 주요부문의 주위에 뻐쳐있는 나선형안내홈(30)을 공백의 원형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내홈(30)의 넓이는 안내판(28) 반지름의 35% 정도이지만 그보다 작을수도 있고 안내판(28)의 반지름의 25% 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며 중단판(16)은 브레이커 안내받침(34)위에 맞는 핀(32)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핀(32)과 안내홈(30)에 계합되어 있는 핀과 받침에 비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해주고 안내홈(30)의 방향을 선정하므로서 안내판(28)으 회전함에 따라 중단판(16)과 결과적으로 연결판(12)가 주축(14)에 대하여 각이제게 단단히 피봇트 되므로서 의자등의 경사를 다양하게 만들어주며 원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위치에서도 핀(32)과 안내받침(34)이 자동고정작용을 하므로서 중단판(16)이 선정한 경사로 조정되어 다른 추가적인 받침장치가 없어도 지탱될 수 있게 해준다. 안내홈(30)이 나선형의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그 측면 만곡부의 반지름이 안내홈의 한쪽 끝으로부터 다른쪽 끝으로 계속해서 변화하게되고 안내받침(34)는 안내홈 양측면의 표면접촉 부분으로 뻗치게하므로서 받침(34)의 양측면(36)(38)이 아아치 형태의 스롯트 안내홈(30)측면 가까이로 가능한 한 보충시켜 줄수 있도록 아아치형을 형성하게 되며 편의상 받침측면(26)(38)의 만곡반지름은 스롯트안내홈(30)의 중간 위치에서 안내홈 측면의 각 만곡반지름에 일치하고 있고 안내받침(34)의 나머지 측면은 대체로 평평하며 안내홈(30)의 끝도 또한 대체로 평평하게 구성되고 방사상으로 가장사리 바깥쪽 안내홈(30)끝 홈단부(40)와 안내판(28)외 변간에 넓이가 다른 안내홈(30) 단부(40)끝에서 약간 작아지기 때문에 안내판(28)의 가장 약한 부분이되고 이 위치에 결함은 좀더 큰 직경을 가진 안내판(28)을 선정하므로서 극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형태에 일치하도록 하기위해 특히 핀(32)과 받침(34)바로 근처에 접속된 안내판(28)의 외변을 지탱하므로서 이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 이러한 지탱은 안내판(28)의 중심축(56)과 핀(32)를 통과하는 선상에 있으며 안내판(28)에 계합되어 일치하고 있는 안쪽표면을 형성하고 접합점(44)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의자의 등을 앞쪽으로 죄어주는 경향을 갖는 힘이 안내판(28)의 약한 부분을 눌러주지 못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힘이 반작용을 하는접합점(44)에 의하여 지탱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체할 수 있는 구체화(예시되지 않음)에 있어서는 안내판(28)의 지탱이 지지판(10)에 있는 원형개구 또는 오목한 내부로 바싹 달라붙을 수 있게 안내판(10) 장치하므로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수정된 방법에는 반작용을 하는 접합점(44)이 지지판(10)과 불가분의 관계를 갖게된다. 예를들면 지지판(10)을 아아치형으로 스폿팅해주고 안내홈(30)의 커어브진 가장자리의 하나가 안내판(228)의 바깥쪽 외변과 서로 힘을 쓸수 있도록 접합점(44)을 눌러줄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조정장치는 정상적 위치의 한정된 범위 내에서만 의자등의 각도를 조정해줄 수 있는데 예를들면 안내판(28)이 한 한계점으로부터 다른 한계점으로 회전함에 따라 (안내홈 30의 끝에 의하여 정해지는) 의자의 등받이 연결판(12)가 10°-25°(도면 1의 굵은선과 점선으로 이루어진 윤곽에서 볼수 있는)의 범위내에서 조정되는데 반하여 빗장(18)이 풀리게되면 전반적인 각도의 운동이 120°를 초과할수 있도록 해준다.
예시된 구체화의 수정에 있어서는 연결판(12) 및 중단판(16)간의 빗장형태의 연결은 멈춤쇠 형태의 연결에 의하여 대치할 수 있는데 도면 제1도에서 볼수있는 바와 같이 정상적인 운동을 할수있도록 연결판(12) 위에 장치된 보울트가 편의상 스프링작용하에 있으며 중단판(16)의 개구가 연결판 (12)과 중단판(16)이 미리 정해진 각도의 방향에 있을때 보울트를 받아드릴 수 있게하므로서 이를 대치할 수 있는 보울트는 다음에 레바 또는 그와 비슷한 사용자에게 미칠 수 있는 장치에 연결시켜 주므로서 사용자가 보울트 (또는 범춤쇠장치가 자리의 각쪽에 갖추어져 있을 때는 보울트들)를 풀어줄 수 있게하여 의자의 등이 앞쪽 또는 뒷쪽으로 추축회전 될 수 있도록 한다. 의자의 등이 상기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부터 회전되자마자 보울트는 더 이상 개구들과 다시 계합되지 않으며 의자의 등이 그 정상적인 위치로 되돌아간 다음에 다시 한번 개구에 맞아들어가게 될때까지 중단판(16)위로 미끄러져 다니게 된다.
이러한 장치의 장점은 보울트가 앞, 뒷쪽으로 충돌하는 힘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않으며 각각의 개구로 맞아들어가게 될 때에는 보울트가 반대방향으로 움직일수 있게 해주는데 있다. 결과적으로 측면상의 충돌의 효과는 있으나 보울트가 풀어지려는 경향이 있는데 비하여 다른 보울트는 좀더 단단히 계합되려는 경향이 있다. 안내홈(30)을 따라서 어떠한 위치에 있는 나선형의 높이의 각도가 마찰의 각도보다 작게되어 자동고정 작용을 해줄수 있 도록 고안되어 있고, 그러나 이것은 중요한 것이 아니며 실제에 있어서도 안내홈(30)의 높이와 나선형 각도는 마찰의 각도보다 약간 크며 안내홈(30)을 따라서 브레이커 받침이 미끄러지려는 경향은 부품간의 뜻하지 않은 각도가 진 운동을 저지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를 만들어줌으로서 극복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저지를 해줄뿐 만 아니라 안내판(28)의 회전을 곤란하게 해주지 않은 채 안내판(28) 및 지지판(10)간에 원활히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탄력성 있는 마찰 방지용패드(50)이 작용할수 있도록해야 한다. 이러한 장치는 탄력성 있게 변형될 수 있는 마이크로쎌 환상형의 마찰피드와 다수의 산형치발로 구성되어 있다. 마찰방지패드(50)은 핸들(29)로 회전시킬수 있는 접시-형체의 장치요판(52)과 지지판(10)에 단단히 붙어있으며 안내판(28)을 굴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중심축(56)에 보울트로 연결되어 있는 와샤(54)사이에 압축되어 있다.
이렇게 선정된 조정위치로부터 안내판(28)을 떨어지게 하는 경향은 요판(52) 및 와샤(54)사이에서 연결되는 마찰에 의하여 저지된다. 안내판(28)의 회전으로 인한 마찰을 저지시키는 것은 다른 형태는 물론 본 고안의 범위내에서 가능하다.
수정된 방법에 있어서 높이의 나선형 각도는 핀이 들어가서 남아있게 되도록 나선형 안내홈의 측면이 음푹 들어갈 수 있도록하는 마찰의 각도보다 크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수정된 방법에 있어서 브레이커 받침은 빼어버릴 수도 있으며 핀은 크게 만들 수도 있지만 안내홈의 어느쪽에 대한 이러한 함몰사이의 부풀어오른 접합점 사이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범위에 한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안내홈을 형성하는 한 방법은 예컨대 5°의 간격으로 아주 근접한 각도를 가진 간격에 안내판의 끝을 갈아주므로서 각 안내홈의 측면이 각 쌍의 요면간에 첨단과 같은 접합점을 가지는 일련의 부분적인 원형요면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원하는 경우에는 스프링이의 자의 등이 빗장에 걸리는 위치를 향하여 엇갈릴 수 있도록 측면에 있는 각 조절장치에 설치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의자의 등을“침대”의 위치로 지탱해주는 제2의 빗장이 걸리는 위치가 될수있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10)과 중단판(16)은 절첩되도록 주축(14)으로 축설하며 지지판(10)의 중심축(56)에는 나선형 안내홈(30)이 형성된 나선안내판(28)을 축삽하고 걸림턱(27)이 형성된 중단판(16)에는 곡만측면(36)(38)이 만곡된 받침(34)을 안내홈(30)에 유삽 안내되도록함과 동시에 걸쇠(22)가 돌출되어 측(17)에 축설된 걸림편(20)이 중단판(16)의 요(19)구에 삽탈자재토록 하여 의자등받이 연결판(12)을 주축(14)에 유착하여서 된 자동차의 절첩 조절장치.
KR7800584U 1978-02-04 1978-02-04 자동차의 절첩 조절장치 KR820002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584U KR820002184Y1 (ko) 1978-02-04 1978-02-04 자동차의 절첩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584U KR820002184Y1 (ko) 1978-02-04 1978-02-04 자동차의 절첩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184Y1 true KR820002184Y1 (ko) 1982-10-13

Family

ID=19207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584U KR820002184Y1 (ko) 1978-02-04 1978-02-04 자동차의 절첩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1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94221B1 (en) Variable back adjustor for chairs
US5462335A (en) Adjustable lumbar support for seat backs
US4830434A (en) Adjustable head rest device for vehicle
JP3544709B2 (ja) 椅子
JP3663217B2 (ja) いす
US5893610A (en) Longitudinal adjusting device in motor vehicle seats, particularly two-door motor vehicles
EP0516341A1 (en) A chair tilting mechanism
JPS58136313A (ja) 座家具着座部分のための錠止可能な傾動装置
KR20060113549A (ko) 리클라이닝 기구
US3854772A (en) Back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office furniture chairs
US5018787A (en) Chair seat tilt control
US5211444A (en) Locking mechanism for a foldable piece of seating furniture
EP0108424A1 (en) Sunshade fitting convertible into veranda curtain fitting
KR820002184Y1 (ko) 자동차의 절첩 조절장치
KR100371541B1 (ko)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US5921630A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back rest or an arm rest of a chair
US4534591A (en) Controlled rocking action furniture
IE46184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ontrollably adjustable hinge fittings
US4401344A (en) Automobile seat back reclining mechanism
EP0976606B1 (en) Seat reclining system
KR860001947Y1 (ko) 자동차용 시이트(seat)의 리클라이닝(reclining) 장치
EP1097660B1 (en) A sliding blocking device for varying and regulating the position of chair structures and/or their parts
JPH0418429Y2 (ko)
JPH021143Y2 (ko)
JPH0411563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