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168Y1 -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168Y1
KR820002168Y1 KR2019820006761U KR820006761U KR820002168Y1 KR 820002168 Y1 KR820002168 Y1 KR 820002168Y1 KR 2019820006761 U KR2019820006761 U KR 2019820006761U KR 820006761 U KR820006761 U KR 820006761U KR 820002168 Y1 KR820002168 Y1 KR 820002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olenoid
surge
solenoid coi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6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오 쓰기오가
Original Assignee
유겐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유우기 시게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유우기 시게가즈 filed Critical 유겐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6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1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1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Landscapes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
제1도에서 횡좌표는 스풀(SPOOL)의 변위(L)를 표시하고 종좌표는 힘(F)을 표시하는 DC 솔레노이드 밸브의 스풀변위와 관련된 솔레노이드 인력특징(A), 유력(flow force) 특징(B) 및 탄력특징(C)을 표시한 도표.
제2a도와 제2b도에서 제2a도의 종좌표는 전압(V)을 표시하고, 제2b도의 종좌표는 변위(L)을 표시하며, 제2a도와 제2b도의 횡좌표는 시간(T)을 표시하였는데 공지의 DC솔레노이드 밸브의 비여자(deenergization)에 의한 코일단자 전압(V)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스풀변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각각 표시한 도표.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여자회로를 구성하는 DC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여자회로를 구성하는 제3도에 도시한 DC 솔레노이드 밸브의 회로도.
제4b도에서 종좌표는 전압(V)과 스풀 중성위치를 0으로 놓았을 때 변위(L)를 mm로 표시하고, 횡좌표는 시간(T) 혹은 0으로된 전류공급을 중단하는 순간으로 부터 지나는 시간을 m sec로 표시하였는데, 코일단자 전압(V)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비여자된 제4a도와 회로에 연결되는 DC 솔레노이드 밸브의 스풀변위(L)를 실제로 측정하여 얻어진 도표.
제4c도 및 제4d도, 제4e도는 제4a도의 실시예에 따른 DC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의 변형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5a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C솔레노이드밸브의 여자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제5b도 및 제5c도, 제5d도는 제5a도의 실시예에 따른 DC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의 변형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6a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C 솔레노이드밸브의 여자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제6b도 및 제6c도, 제6d도는 제6a도의 실시예에 따른 DC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의 변형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7a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C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제7b도, 제7c도, 제7d도 및 제7e도는 제7a도의 실시예에 따른 AC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의 변형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8a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C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를 도시한 회도도.
제8b도는 제8a도의 실시예에 따른 AC 솔레노이드 밸브와 여자회로의 변형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9a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C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제9b도, 제9c도, 제9d도, 제9e도, 제9f도, 제9g도 및 제9h도는 제9a도의 실시예에 따른 AC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의 변형예를 도시한 회로도.
본 고안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에 관한 것으로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는 온(on)-오프(of)접점을 통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원이 접속되어 있다.
여자회로는 솔레노이드 코일과 평행으로 각각 접속된 큰덴서와 고체상태의 서어지 흡수기(Surge吸收器)를 포함하며, 상기 서어지 흡수기는 공급된 전압에 비선형인 전기저항의 특징을 가진 금속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한 소결물질(燒結物質)로 제조된다.
온-오프 접점이 분리되었을 때는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 회로에 의해 접점사이에 발생하는 아아크의 발생을 억제하여 접점의 마멸을 방지하고, 솔레노이드 코일이 비여자 되었을 때는 밸브 스풀의 복귀작동의 지연시간이 감소되고, 또한 솔레노이드 코일의 말단 사이에 발생되는 서어지 전압은 일정전압으로 제어된다.
본 고안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 특히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류공급이 밸브 스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빈번히 온-오프될 때 전류공급을 온-오프하는 접점의 아아크 방전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특히 전류 공급이 오프되는 주기동안솔레노이드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 사이에 발생되는 서어지 전압을 억제하고 또한 솔레노이드 코일의 비여자로 인한 밸브스풀의 복귀 작동의 지연 시간이 감소된다.
공지의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전류는 유력과 스프링 탄력에 대해서 밸브 스풀을 이동시키기 위해 솔레노이드 코일에 공급되고, 만일 접점의 스위치 되면 즉 릴레이가 솔레노이드 코일의 전류공급을 차단하는데 사용되어 스위치 접점사이에 아아크 방전이 발생되고, 접점의 수명은 마멸과 손실에 의해 극도르 감소되며 접점은 아아크 방전의 주기 동안 아아크 전류에 의해 불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고, 따라서 솔레노이드코일에 계속적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솔레노이드 코일에 잔류자력(residual magnetic force)을 생기게 하며, 잔류자력이 스프링 탄력보다 작게될 때까지 스풀의 복귀작동은 지연된다. 결과적으로 밸브의 접점변화 시간은 증가할 것이므로 지연현상(delaying phenomena)이 발생된다.
한편, 접점이 분리된 후에는 즉시 통상전압(접점의 분리속도에 의해서 상이하다)의 수십배의 서어지 전압에 의하여 전원을 공용하는 다른기기나 통신기기등에 악 영향을 미친다. 종래에 솔레노이드 코일 양단부의 서어지 전압의 발생과 솔레노이드 코일의 전류공급의 중단으로 인한 접점사이의 아아크방전의 발생을 방지하는 많은 방법이 제시되어 왔었으나, 모든 방법들은 완전한 것이 못되어서, 기중의 어떤 방법은 접점사이의 스파아크를 방지하면 솔레노이드 코일의 비여자로 인한 스풀의 복귀작동의 지연시간이 증가하였고, 또 다른 방법은 서어지 전압을 억제하면 접점사이에 스파아크가 발생 하였으며, 또한 스풀의 복귀작동의 지연시간을 증가시켰다.
예컨데 다이오드를 반대극성의 DC 솔레노이드 코일과 병렬되게 연결시켜서 접점을 개방시키는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이 다이오드를 통해 방전되면, 즉 솔레노이드 코일에 발생되는 서어지 전압이 전류흐름의 계속성에 의해 제한되면 접점사이에 발생되는 스파아크는 소멸된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에서 시각적으로 볼수 있는 스파아크는 발생되지 않지만 접점의 마멸을 일으키는데 충분한 스파아크가 발생되는 불리한 점이 있고 더구나 밸브 스풀의 복귀작동의 지연시간이 다이오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보다 몇배 길다. 반면에 예를들어 SIC 배리스터(varistor)같은 주로 포인트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저항요소가 있는 통상의 배리스터가 어떤 전압치에서 서어지 전압을 흡수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코일의 병렬로 연결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상기한 방법은 역시 예를들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코일과 같은 대전력코일(large power coil)인 경우에는 매우 큰 역기전력(back electromotive force)이 전류흐름을 방해하도록 생성되고 결과적으로 접점사이에 발생되는 스파아크를 단지 일정한 전압치보다 높고 넓은 파형(wave form)의 고전압의 일부만 흡수하는 것에 의해 소멸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며, 밸브 스풀의 복귀작동에서 지연시간은 배리스터를 연결하지 않았을때 만큼 길어지는 것과 같은 결정이 있다.
또한 콘덴서가 솔레노이드 코일과 병렬로 연결되는 방법이 알려져 있는데 코일의 비여자에 의해 생성되는 역기전력은 콘덴서에 저장된 전하에 의해 없어지므로 콘덴서는 접점사이에 발생되는 스파아크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값을 가져야 하고 콘덴서 용량은 일정값의 서어지 전압을 제한하기 위해 반드시 커야만 하는 결점이 있다.
예를들어 24볼트의 정격전압을 가진 DC 솔레노이드 밸브의 경우에 있어 만약 코일 사이의 서어지 전압을 150 볼트로 억제하기를 원한다면, 수십 μF의 비교적 큰 용량을 가진 콘덴서를 사용하여야 한다. 즉, 1μF의 용량을 가진 콘덴서를 사용하면 1,000 볼트 정도의 서어지 전압은 코일의 비여자로 인해 코일 사이에 발생될 것이다.
역극성의 전압은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동안과 전류공급을 중단한 후 즉시 콘덴서 사이에 인가되기 때문에 큰 용량의 무극성 콘덴서를 저렴하게 얻는 것이 곤난하며, 또한 밸브 주위의 고정된 내장 부품(built-in component)을 사용하기가 곤난하므로 콘덴서는 각각 무극성(nonpolarized) 콘덴서라야 만 된다. 또한 큰 용량의 콘덴서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류가 공급될 때 콘덴서에 러시커런트(rush current)가 흐르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러시 커런트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코일이 동일전원으로 부터 여자되는 경우는 무시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통상의 솔레노이드 밸브로는 큰 압력과 또는 큰 흐름의 통로를 변경하기 위하여 스풀복귀 시키는 스프링의 탄력은 솔레노이드 코일의 비여자와 동시에 통로를 변경할 수 있는 큰 것을 선택해야 만 하고 그래야만 유력도 역시 증대된다.
결과적으로 솔레노이드의 인력은 상기 역력(opposing force)을 이기기 위하여 커야만 하므로 암페어 턴수(amper turn)를 불가피하게 증가시키고 또 전류공급의 중단과 동시에 다른 코일 장치보다 극히 큰 역기전력을 이르키게 하는 큰 솔레노이드 코일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일 전류공급이 릴레이와 같은 접촉형 스위치 장치에 의해서 중단되면 많은 특유한 문제가 발생된다. 즉, 접점의 개방지연뿐 만 아니라 밸브스풀의 복귀작동의 지연을 고려하여 스위치 장치의 정격수명의 약 2분지 1후에는 접점은 일반적으로 수명이 다된다.
반면에 산업기기로서 사용되는 유압장치에는 장기간의 수명을 보증하는 것이 필수적이므로 전기 부품이 유압장치의 부분으로 간주되는 경우에 구성단위의 수명을 보장해야 하므로 유압장치의 수명은 전동기, 릴레이 또는 타이머와 같은 전기부품과 같게 취급해야 한다.
그러나, 릴레이 및 타이머와 같은 전동기 이외의 전기 부품에서 일반적으로 그들의 접점 수명등은 유압장치의 수명과 비교하면 짧아서 현재는 전기 부품의 단명을 고려하여 비교적 짧은 수명을 선택하는 것이 통상적인 관례이나 유압장치의 비교적 긴 수명을 고려하여 선택하기로 한다. 또 릴레이 또는 그와 유사한 것들의 교환은 보장된 기간내에 의무적으로 해야 한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아이크로 인한 전류 온-오프 접점의 마멸을 방지하고 코일의 비여자로 인해 솔레노이드 코일에 유도된 서어지 전압을 제한하며, 솔레노이드 코일의 비여자로 인한 밸브스풀의 복귀작동의 지연시간을 동시에 감소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목적은 회로의 최고전압이 일정 전압치보다 낮게 유도된 서어지 전압의 억제에 의해서 제한되고, 또한 비교적 낮은 역내전압(reverse withstand voltage)을 가진 발광다이오드를 작동지시등으로 사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작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밸브의 전기 부품으로 솔레노이드 밸브에 결합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원이 온-오프 접점을 통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에 연결되고 솔레노이드 코일과 병렬로 각각 접속되는 인가 전압에 대해 비선형 저항 특성을 갖고 있는 금속산화물을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소결물질로 구성되는 고체상태의 서어지 흡수기와 콘덴서로 구성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서어지 흡수기는 예를들어 산화아연을 필수성분으로 함유하고 소량의 부가적인 불순물을 함유하는 금속산화물로 구성되는 소결분말 물질로 이루어지는 고체상태 요소를 포함한다. 그래서 서어지 흡수능력은 탄화규소 배리스터, 셀레늄 배리스터, 실리큰 다이오드 및 제너다이오드와 같은 다른 서어지 흡수장치와 비교하여 10배 또는 그 이상이고, 또한 방전전류에 대해 인가되는 전압의 비선형 특성은 탄화규소 배리스터와 셀레늄 배리스터의 4 내지 6배인 비선형 계수를 가지고 있는 비선형 저항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과전압 흡수장치에는 비 선형전압(V)-전류(I) 특징(I~Vα, α>1 및 비 선형도가 지수(index) α로 표시된다.)을 사용하는 탄화규소 배리스터, 셀레늄 배리스터, 실리콘 배리스터제너다이오드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장치는 인가되는 전압이 보통의 인가 전압보다 낮을 때에는 높은 저항이 되어장치내의 전류흐름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되었다.
그리고, 과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저항치는 대량의 전류를 신속히 흡수하기 위하여 급속히 감소된다. 그러나, 탄화규소 배리스터와 셀레늄 배리스터로는 비 직선도 지수 α가 크지 않기 때문에 서어지 전압을 흡수하는 클램핑전압(clamping voltage)이 증가되는데, 결과적으로 솔레노이드 코일의 비여자로 인한 솔레노이드 코일에 유도된 서어지 전압은 낮은 치로 억제될 수 없고 또한 서어지 흡수 능력은 통상의 솔레노이드치의 솔레노이드 코일과 함께 사용하기에는 불충분하며, 따라서 전류 온-오프 접점사이의 아아크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반면에 실리콘 배리스터와 제너다이오드가 극히 높은 비선형도 지수를 가지고 있는 한 상기 장치들은 극히 작은 서어지 에너지만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고, 또한 높은 인가 전압에 견디는 장치를 제조하기도 곤란할 것이다. 그래서 상기 장치들은 단지 십 몇볼트 정도의 저 전압회로에서 만 사용 가능하고 솔레노이드 밸브에는 사용될 수 없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상기한 서어지 흡수기는 산화아연과 같은 주로 금속산화물로 구성된 소결분말 물질을 포함하는 고체상태 장치이다. 예컨데, 분말산화 아연의 소결 물질은 필수적으로 비교적 낮은 저항을 가진 N-형 반도체이고, 예를들어 휘귀산화물 또는 산화코발트와 같은 약간의 상이한 금속산화물을 분말산화 아연에 가하며, 그 혼합물을 소결(예컨데, 일본 동경의 후지전기 주식회사 제조의 Z-TRAP′S) 시켜서 제조한 산화아연으로 세라믹 서어지 흡수기를 제조한 경우에는 절연층은 소결된 물질을 구성하는 산화아연 결정 그레인(grain)의 그레인 경계(boundary)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층은 비선형 특징을 나타내는 소결물질의 전기저항을 나트내는 포텐셜 베리어(potential barrier)로서 작용한다.
다시말하면 상기한 소결물질로 구성된 고체서어지 흡수기는 통과하는 서어지 전류를 흡수하는 훨씬 큰 효율적인 단면적을 갖고 있고, 그로인하여 전기 저항이 그레인 사이의 접점에 의해 나타나는 탄화규소 배리스터인 경우보다 큰 서어지 흡수능력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소결물질에 인가된 전압은 연속적으로 접속된 결정 그레인의 수와 같은 그레인 경계층 사이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발생된 클램핑 전압은 인가 전압이 싱글정션(single junction)에 생기는 제너다이오드 보다 높다. 또한 상기와 같은 소결물질로 구성된 서어지 흡수기는 30정도의 높은 비선형도 지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로 인하여 비선형 전압특성은 누설전류가 ㎂ 또는 그 이하이고, 클램핑전압이 낮고 또 통상의 배리스터와 비교하면 안정도가 우수하며 또 서어지에 대한 응답이 1μsec 또는 그 이하이기 때문에 탄화규소 배리스터 보다 수배가 된다.
따라서 샤아프 펄스(Sharp pulls) 파형의 서어지를 흡수할 수 있고, 또한 그 본래의 대칭 전압-전류 특성이 양, 음 양극성인 서어지 전압 모두를 흡수할 수 있으며, AC와 DC 모두에 적용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서어지 흡수기에서 인가 전압이 일정치를 초과하면 저항은 급속히 감소하고, 또 대전류가 방전된다. 솔레노이드 코일과 결합된 상기한 서어지 흡수기를 사용한다면 일정한 클램핑 전압을 가진 서어지 흡수기를 솔레노이드 코일의 성격전압과 그리고 최대 회로 인가전압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경우에 흡수기의 클램핑 전압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비여자로 인한 솔레노이드 코일에 인가된 서어지 전압이 아무리 높더라도 회로에 나타나게된다.
적당한 용량치의 콘덴서가 솔레노이드 코일의 인덕턴스(inductance)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데, 원하는 접점마멸 방지 효과가 약 0.01μF 또는 그 이상인 콘덴서로 달성되고, 또 접점 사이의 아아크 방전이 0.3μF 또는 그 이상인 콘덴서로 제거된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축전지는 특히 무극성 축전지가 좋고, 또한 서어지 흡수지의 특정한 클램핑 전압보다 높은 내압을 갖는 것이 좋으며, 또한 습기와 화학적 저항 및 장기간 사용에 따른 열화에 견딜수 있는 것이 좋다. 솔레노이드 코일에 대한 전류공급이 방해될 때 솔레노이드 코일의 인덕턴스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가동철심이 스프링에 의해서 가동철심이 당겨지는 위치로 부터 솔레노이드 밸브스풀의 변위가 영(0)인 중성위치 쪽을 향하여 솔레노이드 코일의 고정철심으로 복귀될때마다 변화된다.
그 결과로 많은 서어지 전압이 짧은 주기마다 전류 변화로 인한 인덕턴스의 순간적인 변화에 의해서 생기는 역기전력의 충합에 의해 발생된다. 본 고안에서 인덕턴스(또한 저항 성분이 있기는 하지만)에 대한 콘덴서의 용량을 적당히 선정함에 의해 L, C 및 R에 대해서 특유한 공진 진동회로가 이루어지고, 코일로 부터의 서어지 전압은 전류공급 온-오프 접점의 개방 속도에 무관한 콘덴서의 방전에 의해 상쇄되고, 따라서 아아크 방전이 제거된다.
다시말하면, 콘덴서는 전류공급이 개시됨과 동시에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한 극성으로 방전되는 것에 의해 전하가 저장되고, 또 전류공급이 중단됨과 동시에 수 μsec가 경과 할때까지 그 시간동안 완전히 접점을 분리시키는 전류의 온-오프 접점을 개방하는 순간부터 전하의 증가를 방지하는 방향으로 솔레노이드 코일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에 의해서 전하는 더욱 증가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접점은 역기전력이 축전지에 전하로서 저장되어 있는 동안 어떠한 아아크도 발생시키지 않고 분리된다.
이후에 가동코일은 여전히 스풀의 중성위치를 향하여 이동을 계속하고 상기 역기전력은 계속적으로 인덕턴스 값의 순간적인 변화에 의해 계속적으로 발생된다. 그래서 콘덴서의 저장용량을 초과한 모든 역기전력은 좁은 파형을 가진 고전압 형태로서 솔레노이드 코일 사이에 발생되는 서어지 전압에 의해 발생되고 상기한 고전압은 특정한 클램핑 전압에서 서어지 흡수기에 클램프되고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비여자에 의한 밸브스풀의 복귀작동에서 지연시간이 감소되기 때문에, 만일에 본 고안품이 플라스틱 물질의 분사기(injection machine)와 같은 유력장치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결합된다면 분사의 조형사이클(molding cycle)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 고속반복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부가해서 스풀의 복귀작동의 지연시간의 변화가 불완전한 조형부분을 제거하는 결과로 감소될 수 있고, 또 예컨데 전류 온-오프 접점의 수명은 아아크의 발생을 방지시키므로써 크게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가된 접점의 수명은 솔레 노이드 밸브를 여자시키고 또는 비여자 시키는 릴레이와 같은 전기 부품과 솔레노이드 밸브와 결합되는 유력장치 유니트의 장기수명을 보장하게 된다. 또한 접점사이의 아아크 방전을 제거하는 특성에 의하여 릴레이 또는 그와 유사한 부품의 선택은 솔레노이드 코일에 공급된 전류치를 주로 고려하고 차단능력을 무시하여도 이루어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대 전류전력 릴레이 대신에 시그날 트랜스미숀(signal transmission) 릴레이와 같은 소형 릴레이를 사용해도 좋다.
따라서 프린트된(printed) 회로 보오드(Board)에 릴레이를 결합시킬 수도 있고, 또한 소형 밀폐형으로 컨트롤 팬널(control panel)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목적은 비여자로 인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에 인가된 서어지 전압이 일정치 이하로 제한되기 때문에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각자가 1,000볼트 이상의 순환첨두역내 전압(recurrent peak reverse withstand voltage)을 가진다수의 고역내전압 다이오드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대신에 예컨데 수백볼트의 저역내 전압을 가진 다이오드를 서어지 흡수기의 클램프전압을 고려하여 악투에이션 인디케이팅 서어큐트(actuation indicating circuit)로서 발광다이오드와 같이 사용하므로서 발광다이오드가 파괴되는 위험이 없다.
본 고안은 다른 많은 실제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는데 솔레노이드 코일 자체의 서어지 억제효과, 필요한 용량과 내압의 감소로 인한 병렬접속 콘덴서로서 소형 콘덴서의 사용,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 몸체에 전기부품으로서 상기 부품과의 결합등을 들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구조와 부가적인 이점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DC 솔레노이드 밸브가 한 위치에서 다른위치에 이동될 때는, 솔레노이드 코일 인력특성과 탄력 및 유력의 관계는 예컨데 솔레노이드 코일은 비여자 상태의 중립시에 있어서 모든 부품들이 폐색되어 있는 스풀 형식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1도 표시와 같이 밸브스풀이 중립위치(La)에서 절환된 위치(Lb)에 이동될때는 솔레노이드 인력특성(A)은 가동철심과 고정철심사이의 감소에 따라서 상승하고, 또 유력(B)은 첨두치(Fb)를 특정 스풀위치에서 이룬다.
유력이 상승하는 위치와 거기에 이어지는 첨두위치는 밸브내의 압력유량이 변화되어도 변경되지 않으며 또 밸브체와 스풀 사이의 구조상 관계가 일정하다.
도면에서 기호(C)는 솔레노이드 인력에 대항하는 탄력을 스풀에 주는 스프링의 탄력 특성이며, 중립위치에서 이미 늘어나 있고, 또 스프링의 탄력은 스풀의 변위에 따라 강하게 된다.
솔레노이드의 여자에 의하여 중립위치(La)에서 절환위치(Lb)에 이동된 스풀은 솔레노이드 코일에의 전류공급을 차단하므로시 다시 되돌아 오는 경우 코일에서의 전류공급을 끊기 때문에 릴레이등의 접점이 열릴시부터 스풀이 중립위치(La)에 돌아가기까지의 시간 즉, 오프시간은 솔레노이드 코일의 비여자의 시간적 변화가 접점의 열림에 따라 대응해서 변화한다.
솔레노이드 코일에 대한 전류공급을 차단해서 흡인력(Fa)을 무시하므로서 스풀은 탄력(Fc)에 따라서 중립위치에 되돌아오지 만 상술한 바와 같이 중립시에는 모든 부품이 블록(block)되는 형식의 밸브에서는 이 복귀력은 탄력(Fc)와 유력(Fb)의 합에서 스풀의 접동저항(Fd)을 배어낸 힘이다. 한편 중립시에는 모든 부품은 열려서 역형식의 밸브에서는 유력(Fb)은 가산되지 않고 감산되어서 (Fc-Fb-Fd)의 힘으로 스풀이 중립위치에 되돌아 오게 된다.
어떤 형식의 솔레노이드 코일의 역기전력의 감쇄가 상술한 순환전류에 따라 서서히 행하여 지게 되면 솔레노이드의 최대흡입력이 언제까지라도 남고 이것에 의해서 잔류흡입력이 점차 약해지므로 상기 복귀력을 이길 수 있는 사이에 스풀의 복귀가 지연되게 되고, 특히 상술한 후자와 같은 형식의 밸브에서는 복귀력은 유력에 따라 일층 약해지므로 이 지연이 현저히 나타나서 스풀의 복귀가 불능하게되는 경우도 있다.
제2a도와 제2b도는 t0시점에서 솔레노이드 코일에 직렬로 접속한 릴레이 접점이 열렸을 때의 솔레노이드 코일양단의 전압의 변화(제2a도)와 스풀의 변화(제2b도)를 시간에 관련하여 나타낸 선도이다.
상기 제2a,b도의 곡선중 실선은 솔레노이드 코일에 축전기와 역극성 다이오드를 접속한 경우의 것이고 점선은 아무것도 접속하지 않은 솔레노이드 코일만의 경우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솔레노이드 정상 전압(V)에서 여자되어 있는 솔레노이드에 따라서 (Lb)위치에 있는 스풀을 t0시점에서 접점을 열려 놓는 것으로서 (La)위치로 되돌아올 경우, 솔레노이드 코일에 아무것도 병렬접속 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접점을 열수 있도록 릴레이 t0를 시점에서 여자되게 하면서 t1점까지의 사이에서 접점간에 아아크 방전이 일어나고, 이 사이의 아아크 전류에 의해서 솔레노이드 코일이 계속적으로 여자된다. 이 t0-t1사이의 시간은 솔레노이드의 사용 전압이 높게 증가하고, 이 사이에서는 탄력에 대항하는 솔레노이드 잔류흡입력은 탄력에 따라 크기 때문에 스풀은 (Lb)위치에서 정지되게 되었다.
t1시점에 지난 후 또는 릴레이 접점을 열수 있는 동작으로 아아크 방전이 차단된 후 먼저 회로에 정상 전압의 수십배의 서어지 전압이 생기고 상기 탄력에 의해 잔류 흡입력이 점차감소하여 적게된 시점 t2에서 처음으로 스풀(La)이 위치를 향해서 움직이기 시작한다.
tS1시점에서 복귀를 완료한다.
이 t1~t2~tS1의 시간은 전자기적 및 기계적인 과도상태로서 어쩔 수 없는 것이지만 상술한 t0-t1사이의 시간은 접점사이의 아아크 방전에 의해 지연시간이다.
또 상기 서어지 전압은 예를들면 12V용 솔레노이드 코일로 300V이상, 24V 솔레노이드 코일로 600V에 가까운 큰 전압이고, 더구나 첨예한 펄스형 전압이며, 솔레노이드 코일의 절연 파괴나 주변기계의 인펄스 노이즈의 악영향의 원인이 된다.
솔레노이드 코일에 콘덴서와 역극성의 다이드를 함께 병렬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릴레이 t0시점에서 여자되어 직접 접점이 열리기 시작하고 이때 솔레노이드에 유도된 역기전력은 그 이전에 전원 전압에 의해서 충전되어 있는 콘덴서에 전류로서 흐르는 것에 따라 콘덴서를 역방향으로 충전 하면서 콘덴서의 용량으로 정하여진 일정시간 사이에 흡수되며, 이 사이에 접점은 아아크 방전 없이 완전히 열려서 끝난다.
그후 역기 전력이 다이오드를 순방향 바이어스 하는데 충분한 정도의 전압치로 도달하는 시점에서 다이오드에 의한 솔레노이드 코일의 단락 폐회로를 형성하고 이후는 이 폐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점차 감소하면서 소멸해서 서어지 전압이 생기지 않는다.
밸브의 상기 탄력보다 상기 전류의 감소에 따라 서서히 적어지는 잔류흡입력이 적어지는 시점은 통상 상술한 시점보다. 다시금 지연 t3시점에 도달할 시에는 처음으로 스풀(La)이 위치를 향해서 움직이기 시작하고, tS2시점에서 복귀를 완료한다. 상기 t3~tS2시점간의 시간은 상술한 t3~tS2시점간의 시간과 같지만 시점의 스파아크 발생의 방지와 서어지 전압의 발생방지 때문에 솔레노이드 코일에 콘덴서와 다이오드를 병렬접속하는 것으로서 통상 20~30m sec 정도의 t0-t2시점간의 지연시간 보다 긴 t0~t3시점간의 지연시간이 생기고 이것은 통상 밸브로 약 100m sec의 근사치이다.
이 지연시간의 존재에 의하여 이 사이에 점차 감소하는 솔레노이드 잔류 흡입력은 복귀력으로서의 탄력에 대항하고, 또 탄력과 솔레노이드 잔류 흡입력의 되돌아오는 유력의 관계에서 스풀의 복귀를 특히 연장하여서 복귀 불능의 상태를 초래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3도의 실시예는 여자회로를 결합한 DC솔레노이드밸브가 표시되어 있다.
제3도에서 밸브체(8)는 스프링(7),(7)에 의해서 중립위치에 평행되게 위치하고, 스풀(6)의 단면에는 압핀(5)을 개재하여 솔레노이드(3)의 가동철심(4)이 당접되고, 가동철심(4)의 여자시에는 스프링(7)에 대항해서 고정철심을 흡착되게 양철심의 주위에 솔레노이드 코일(2)이 배치되어 있다.
숫자(1)은 밸브체(8)의 상위 부분의 요부에서 수납되는 단자상자를 표시한다. 그러므로 단자상자(1)는 접속자(14)로 솔레노이드 코일(2)에 접속된다.
그리고 다를 접속단자(15)는 릴레이와 같은 접촉형의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제어전원에서 도선에 접속된다.
제4a도 표시와 같이 단자(15)와 접속자(14)는 각각 일조의 단자(15a),(15b)와 일조의 접속단자(14a),(14b) 및 금속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한 소결물질로 구성된 서어지 흡수기(10)를 포함한다. 이 서어지 흡수기(10)와 콘덴서(11)는 각각 평행으로 솔레노이드 코일(2)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평행회로는 단자(15a),(15b),(14a),(14b) 사이에서 접속되고 단자상자(1)에 수납된다. 단자(15a),(15b)는 단자(14a),(14b)에 접속된 솔레노이드 코일(2)에 여자 및 비여자 하게금 개폐하는 접점(9)을 통하여 DC제어 전원에 접속된다. 콘덴서(11)와 서어지 흡수기(10)는 필히 단자상자(1)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서어지 흡수기(10)는 공급된 전압의 변경에 극히 민감하므로 일정치 이하의 공급된 전압에 대하는 높은 저항을 나타내므로 거의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전압이 일정치를 초과하면 급격히 저 저항으로 되어 큰 전류가 방전한다.
서어지 흡수기(10)와 솔레노이드 코일(2)의 결합으로는 솔레노이드 정격전압과 최고 사용회로 전압을 고려하여서 선택한 특정 고정전압을 가진 흡수기(10)를 사용하지만, 그 결과 솔레노이드 밸브가 비여자 될때는 솔레노이드 코일(2)에 생긴 서어지 전압이 아무리 높아도 서어지 흡수기(10)의 제한 전압만이 회로에 나타난다.
콘덴서(11)는 솔레노이드 코일(2)의 인덕턴스치에 따라서 적당한 용량치를 가지고 있지만 통상 솔레노이드의 경우에는 약 0.01μF 또는 그 이상의 콘덴서로 접점 소모의 방지 효과가 달성 되었으며, 0.3μF 또는 그 이상의 콘덴서에서는 접점사이의 아아크 방전이 완전히 방지됨을 확인 하였다.
또한 제2a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덴서(11)는 무극성 콘덴서가 바람직하고, 또 그 내전압은 서어지 흡수기(10)의 고정 전압보다 높게 선택되어야 한다. 예컨데, 콘덴서(11)의 내전압에 관하여서는 200~250볼트의 내전압을 가진 콘덴서가 만일에 24볼트의 정격전압을 가진 솔레노이드 밸브와 150볼트의 클램핑 전압을 가진 서어지 흡수기(10)를 결합하여서 사용한다면 충분할 것이다.
제4b도는 서어지 흡수기(10)로서 제한 전압 150볼트의 ZnO 소결체로 된 소자를 사용하고 콘덴서(11)로는 0.3μF의 용량과 250볼트의 내전압을 가진 무극성 콘덴서와 24볼트의 정격전압의 DC솔레노이드 전압을 사용하여 시간을 측정하고, 또 DC 솔레노이드 밸브를 비여자시켜서 얻은 결과를 표시하는 도표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한 릴레이는 2.4A의 차단전류와 500,000회를 넘는 공급수명을 가진 최대정격의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릴레이는 반복된 3,000,000회의 온-오프 시험이 완료된 후에도 릴레이 접점에는 하등 이상이 없었다. 또 릴레이의 특성은 릴레이가 바로 셀프(shelf)에서 정확하게 떨어져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이었다.
제4b도 표시와 같이 서어지 전압 발생이 없이 코일의 양단의 전압은 최대 150볼트로 억제되고 슬풀의 중립위치에서의 복귀도 접점이 오프 될때부터 15m sec에서 복귀한다.
일방 유사한 비주기 특성 측정은 솔레노이드 코일에 역극성의 다이오드와 22ohms의 전항기의 직렬회로를 병렬 접속하여서 유사한 오프시의 특성을 측정한 곳의 서어지 전압이 25볼트로 낮게한 접점사이에서 적은 스파아크가 방생되고, 또 스풀 귀환시간도 55~65m sec의 장시간을 요함을 알았다. 저항기를 제거하고 다이오드만이 사용되었을 때에는 110~120m sec라는 긴 복귀 시간이 소요됨을 확인 하였다. 또 콘덴서만이 코일과 평행으로 접속되었을 때는 발전된 서어지 전압은 1,000볼트 정도이고, 또 접점사이에서 스파아크발생이 있었다.
제4a도에 표시된 실시예서 콘덴서(11)와 서어지 흡수기(10)는 솔레노이드 코일(2)과 각각 병열접속 되었고, 제4c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 ohms 저항치를 가진 낮은 저항기(18a)와 (18b)는 콘덴서(11)에 각각 진렬로 접속되었으며,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러시 커턴트의 흐름과 동시에 발생되는 일시적으로 만은 전류가 다수의 솔레노이드 코일이 동일전원에 접속된 것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제4d도와 제4e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4a도는 제4c도에서 표시한 회로에서 사용된 서어지 흡수기(10)는 솔레노이드 코일(2)을 고회로 인가전압예컨데 100볼트 또는 그 이상의 공급전압을 가진 온-오프 조절에 종속 시키기 위하여 높은 동작전압(higher operating voltage)을 가져야 되지만, 제4d도 또는 제4e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서어지 흡수기(10)에 다이오드(19)를 직렬접속 시켜서 부하 전압보다 낮은 동작전압을 가진 서어지 흡수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꾸어 설명하면 공급전압이 적용되지 않지만 서어지 전압만을 서어지 흡수기(10)에서 적용하는 것과 같이 공급전압 보다 낮은 절대치의 전압치에서 솔레노이드 코일(2)로 부터의 역기전력을 큼립(Clip)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제4d도에서 다이오드(19)는 단자(15a)와 접촉이 닫혔때에 양극로서의 역할을 하는 단자(14a)에 접속된 음극과 그리고 서어지 흡수기(10)에 접속된 양극을 가지고 있지만 다이오드(19)와 서어지 흡수기(10)는 제4e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반대의 방법으로 접속하여도 좋다.
전술의 실시회로에 나타난 전압은 모든 상태하에서 서어지 흡수기(10)의 특정의 클램핑 전압보다 낮기 때문에 전류가 솔레노이드 코일(2)에 공급되어 있다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와 직렬로 접속된 낮은 내전압 다이오드의 사용이 가능하다.
제5a도는 발광다이오드가 제4a도의 회로에 부가되는 제4a도의 실시예와는 상이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즉, 저항기(17)의 직열회로, 발광다이오드(12) 및 다이오드(16)가 단자(15a)와 (15b)사이에서 접속된다.
물론 발광다이오드(12)를 제3도 표시와 같이 외부로 빛을 투광시키기 위하여 단자상자(1)안에 결합하여도 좋다.
도면에서 발광다이오드(12)는 전류가 솔레노이드 코일(2)에 공급되어 있을때만 DC 전원으로 부터 전류에 의해서 점등되다. 전술의 실시예들에 의해서는 서어지 흡수기(10)의 저항은 솔레노이드 코일(2)로 부터의 역기전력이 흡수되고 있는 동안 낮은치로 떨어진다. 그 결과 역기전 에너지에 의해 생긴 전압은 흡수기(10)에 대한 동작 전류로 흐른다.
이와 같은 동작 전류는 접점(9)이 콘덴서(11)에 충전된 충전이 예정치를 달성할 때까지 열리는 시간에서의 시간간격 후에만 흐르기 시작한다.
그리고 전류치는 스풀을 당겨서 이동시킬 수 있게 솔레노이드 코일(2)을 여자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지만 발광다이오드(12)를 점등시키기에는 충분한 것이다.
제5b도는 전술의 동작 전류에 의해서 점등되게 적용시킨 다른 발광다이오드(21)가 다이오드(19)와 서어지 흡수기(10) 사이에 직열로 접속된 변경된 실시예를 표시한다.
이 방법에서 접점이 닫혔을 때는 발광다이오드(12)만이 지고, 접촉(9)이 열렸을 때는 발광다이오드(12)는 꺼진다. 그 후에 전술한 과정이 끝나면 발광다이오드(21)는 제어회로에 나타나고 있는 역기전력이 전멸될때까지 켜진다.
즉, 제4b도와 경우와 같은 접촉이 열린 후로 부터 약 15m sec동안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은 서어지 흡수기(10)에 흐르는 동작 전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5도에 표시된 회로에 의해선 발전된 역내전압 전압치는 서어지 흡수기(10)에 의해서만이 결정되고, 역내접압에 관한 결과로 다이오드(12),(16)는 전술의 역내전압을 고려하여 선택되어도 좋고, 또 다이오드(19),(21)는 전력공급 전압을 고려하여 선택되어도 좋다. 그래서 이들 다이오드로 인한 높은 역내전압을 가진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필요성을 제거하게 한다.
전술의 실시예로서는 발광다이오드(21)의 조명은 솔레노이드 코일(2)의 역기 전력이 접점(9)의 열림에 따라 유도된다는 표시이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코일(2)이 정상적으로 기능을 발휘하고 있는지를 발광다이오드(21)로 부터의 빛에 따라 판정될 수 있다. 특히 수력 솔레 노이드 밸브(hydraulic solenoid valve)의 경우에는 밸브의 어떠한 기능미 발휘로 인하여 솔레노이드 코일의 고장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고장이 소실과 잘못된 솔레노이드 코일의 접속 및 코일자체는 정상적으로 기능을 발휘하지만 밸브스풀이 보류되고 있는 것인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발광다이오드(21)가 발광하는 가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접속에서는 만일 표시가 이 목적만을 위해서 요구된다면 다이오드(16), 발광다이오드(12) 및 저항기(17)를 포함한 직렬회로는 제5b도의 실시예에서는 제거되어도 좋다. 물론 다이오드(19)와 서어지 흡수기(10)의 접속위치는 제5c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변경하여도 좋다.
제5d도는 다이오드(16)가 제거되고 그리고 저항기(17)가 발광다이오드(12)의 음극에 접속되었다. 또 다이오드(16)는 이와 같은 방법에 서로 제거될 수 있다.
제6a도는 역시 제5b도의 실시예와는 상이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데, 이 실시예에서는 발광다이오드(12),(21)는 단일 발광다이오드(22)와 교체된다.
이 경우에서는 정상 작동의 표시가 발광다이오드(22)와 다이오드(16)를 경유한 저항기(17)로 부터의 전류흐름에 의해서 발광다이오드(22)가 발광되게 하여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접점(9)의 열림과 동시에 생기는 역기전력의 소멸작용의 표시는 발광다이오드(22) 및 다이오드(19)를 경우한 서어지 흡수기(10)로부터 흐르는 동작전류에 의해서 짧은 시간동안 발광다이오드(22)를 발광케 하므로써 이루어 진다. 그 결과 접점(9)의 닫친힘에 따라 발광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22)는 접촉의 열림에 감응되어서 임시 꺼진다.
그리고 콘덴서(11)에 의한 역기전력의 흡수가 완료되고, 그리고 발광다이오드(22)가 서어지 흡수기(1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다이오드(19)와 더불어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게 된 후에는 발광다이오드(22)는 지침이 동작전류가 발광다이오드(22)를 끌수 있게 충분히 감소될 때까지 다시 발광된다.
제6b도는 제6a도에 표시한 회로의 변경을 표시하는데 여기서는 서어지 흡수기(10)와 다이오드(19)의 접속위치가 서로 변경된다. 제6c도는 제6a도 표시의 회로를 변경한 상이한 것인데 여기서는 저항기(17)와 다이오드(16)의 접속위치가 서로 변경된다.
제6d도는 역시 제6a도 표시의 표시의 회로를 변경한 것인데 여기서는 서어지 흡수기(10)와 다이오드(19)의 접속위치와 저항기(17) 및 다이오드(16)의 위치 접속이 각각 서로 변경된다.
구성부품의 위치 변경은 실제적으로는 회로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이와 같은 여러 변경은 예컨데 프린트 회선반에서의 구성부품들의 배치를 요망한데로 이루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DC 전원(20a)이 사용되고, 전술의 여러실시예는 전원에 관계시켜 비 극성단자(15a),(15b) 사이의구간을 보충해서 AC 전원에서 작동시키게 변경시켜도 좋다.
제7a도 표시의 실시예는 제4d도와 제4e도는 상이하지만 여기서는 쌍향(Bidirectional) 다이오드(19a),(19b),(19c)가 다이오드(19) 대신에 사용되고, 그리고 이들 다이오드는 다이오드(19)와 동일 방식으로 작동한다.
도면에서 단자(14a)에 관련한 양 전위를 가진 역기전력은 다이오드(19c),(19b)를 경유하여 서어지 흡수기(10)로 흡수된다.
그리고, 단자(14b)에 관련한 양전위를 가진 역기적력은 다이오드(19d),(19a)를 경유하여 서어지 흡수기(10)에 의해서 흡수된다.
제7b도는 제7a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변경인데 여기서는 발광다이오드(12)가 솔레노이드 코일(2)에 흐르는 전류흐름을 표시하게 더 첨가 되었다. 제7b도의 실시예에서는 그 표시는 저항기(17) 발광다이오드(12) 및 다이오드(19b),(19a)를 경유하여 다이오드(19d) 또는 (19c)로 부터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이룩된다.
제7b도 표시의 실시예에서는 솔레노이드 코일(2)에 흐르는 전류만이 발광다이오드(12)에 의해서 표시되지만 제7c도 표시의 회로는 접점의 열림에 감응한 서어지 흡수기에 의해서 성취된 작용을 전멸시키는 전술의 역기전력을 부가적으로 표시하게끔 사용되어도 좋다.
제7c도에서는 저항기(17)와 서어지 흡수기(10)의 평행회로는 발광다이오드(12)와 직렬로 접속되고, 그리고 이 직렬회로는 다이오드(19a) 및 (19b)의 음극 접점과 다이오드(19c)와 (19d)의 양극접점 사이에서 접속된다.
제7d도는 역시 제7a도의 실시예를 변경한 것을 표시하는 데 여기서는 발광다이오드(12)가 다이오드(12)(19a)와 (19b)의 음극 접점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발광다이오드(12)의 음극은 각각 저항기(17a),(17b)를 통하여 단자(14a),(14b)에 접속되어서 솔레노이드 코일에 흐르는 전류 흐름을 표시한다. 제7e도는 제7d도 표시회로의 병행을 표시하는데 여기서는 발광다이오드(12)의 음극이 다이오드(19c)와 (19d)의 양극의 접점사이에 접속된다.
제8a도는 역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거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를 표시하는데 여기서는 두개의 서어지 흡수기(10a),(10b)가 서로 직열로 접속된다.
전류표시 발광다이오드(12)는 다이오드(16a,(16b),(16c),(16d)와 저항기(17a),(17b)의 사이에서 비여자 방법으로 접속된다.
서어지 흡수기(10a)와 서어지 흡수기(10b)는 작동중일 때는 다이오드(23a),(23b)를 경유하여 단자(15a),(15b) 사이에서 비여자 방법으로 접속된다.
제8b도는 제8a도 표시의 실시예를 변경한 것을 표시하는데 여기서는 발광다이오드(21)가 역방법으로 접속되었다.
제9a도는 역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데 여기서는 단자(15a)(15b) 사이의 구간이 역시 전원에 관련해서 비여자 되게 한다. 이 실시예는 제8a도의 실시예와는 상이한데 여기서는 발광다이오드(12),(21)가 발광다이오드(22)와 치환된다.
서어지 흡수기(10a),(10b)는 단자(15a),(15b)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다이오드(23a),(23b)는 각각 단자(15a),(15b)에 접속된 양극과 서로 접속된 그들의 음극을 가지고 있다.
다이오드(16c), (16d)의 음극은 저항기(17a),(17b)를 경유하여 단자(15a),(15b)사이에 각각 접속된다. 그리고 그들의 양극은 서로 접속된다.
발광다이오드(22)의 음극은 서어지 흡수기(10a),(10b)의 접점과 다이오드(16c),(16d)의 양극의 접점에 접속되며, 그리고 발광다이오드(22)의 양극은 다이오드(23a),(23b)의 음극의 점접에 접속된다. 그리고, 전체 회로조립부품은 그와 같이 제3도에 표시한 단자상자(1)내에 결합된다.
접점이 닫혔을 때는 발광다이오드(22)의 조명회로는 저항기(17a)와 다이오드(16c) 또는 저항기(17b) 및 다이오드(16b) 그리고, 다이오드(23b),(23a)로 제공된다. 접촉이 열렸을 때는 솔레노이드 코일에서 발생한 역기전력은 발광다이오드(22)를 경유하여 서어지 흡수기(10a) 또는 서어지 흡수기(10b), 그러고, 다이오드(23b),(23a)에 의해서 구성된 방전회로를 통해서 방전된다.
그리고, 발광다이오드(22)는 서어지 흡수기(10a)와 (10b)에 흐르는 동작 전류흐름에 의해서 짧은 시간 동안 다시 점등된다.
제9a도 표시의 실시예로는 저항기(17a),(17b) 그리고 다이오드(16c),(16d)의 위치는 제9b도 표시와 같이 변경되고 또는 교대로 다이오드(16c),(16d)는 제9c도 표시와 같이 변경되어도 좋다. 그리고, 또 제9a도의 실시예는 제9d도와 같이 변경되어도 좋은데, 여기서는 서어지 흡수기(10a),(10b)의 접속이 발광다이오드(12)가 솔레노이드 코일에 흐르는 전류 흐름만을 표시하게끔 다이오드(23a),(23b)의 음극의 접점에 접속된다.
제9e도는 제9d도의 실시예의 변경을 표시하는데 여기서는 저항기(17a),(17b) 그리고 다이오드(16c),(16d)의 위치가 서로 변경되고, 그리고 저항기(17a),(17b)는 제9f도 표시의 단일저항기(17)로 치환된다.
제9d도 표시의 실시예로는 다이오드(16c),(16d)가 제9g도 표시와같이 제거되고, 그리고 또저항기(17a),(17b)는 제9h도 표시와 같이 발광다이오드(12)의 양극측에 제공되어도 좋다.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의 여자회로에 대한 각종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분야에 숙련된 사람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Claims (1)

  1. 온-오프 접점을 통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에 접속된 전원을 가진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에 있어서 콘덴서와 고체상태의 서어지 흡수기가 평행으로 솔레노이드 코일과 각각 접속되고 서어지 흡수기는 본질적으로 금속산화물로 구성된 소결분말로 구성되었으며 서어지 흡수기가 인가전압과 관련하여 비선형인 전기저항을 가진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
KR2019820006761U 1978-10-24 1982-08-26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 KR820002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6761U KR820002168Y1 (ko) 1978-10-24 1982-08-26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3201 1978-10-24
KR2019820006761U KR820002168Y1 (ko) 1978-10-24 1982-08-26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3201 Division 1978-10-24 1978-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168Y1 true KR820002168Y1 (ko) 1982-10-08

Family

ID=2662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6761U KR820002168Y1 (ko) 1978-10-24 1982-08-26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1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6621A (en) Energizing circuit for solenoid valve
KR100814514B1 (ko) 부하시 탭 전환 장치
US3912966A (en) Incandescent lamp series string having protection against voltage surges
US20190157855A1 (en) Phase-to-phase surge protective devices
EP3550581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c arc detection/suppression
US6624989B2 (en) Arc suppressing circuit employing a triggerable electronic switch to protect switch contacts
US5598311A (en) D.C. breaker arc extinguishing circuit
JP2020036307A (ja) 過電圧抑制回路及び直流遮断装置
KR820002168Y1 (ko) 솔레노이드 밸브의 여자회로
US3961204A (en) Firing circuit for an electric valve
US200802667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switching life of electromechanical contacts in a hybrid power switching device
EP3486933B1 (en) Device to attenuate arc fauts in an electric distributor
JPS6245393Y2 (ko)
JPS6034853Y2 (ja) ソレノイドバルブの励磁回路
JPH0249682Y2 (ko)
Van Beneden Varistors: Ideal solution to surge protection
US4764836A (en) Circuit breaker
KR100239674B1 (ko)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유도성부하를 갖는 제품의 전원안정화 회로
EP3594980B1 (en) Apparatus to switch a led
JPH04354374A (ja) ハイブリッドスイッチ
KR200386838Y1 (ko) 전자접촉기의 서지흡수 장치
CA1132656A (en) Circuit for protecting anti-parallel-connected switches against overvoltages
SU123491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от перегрузки
EP0025404A2 (fr) Elément de court-circuit d'alimentation série
US5696661A (en) Remanence switch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