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056B1 -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sheet films - Google Patents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sheet fil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056B1
KR820002056B1 KR7902767A KR790002767A KR820002056B1 KR 820002056 B1 KR820002056 B1 KR 820002056B1 KR 7902767 A KR7902767 A KR 7902767A KR 790002767 A KR790002767 A KR 790002767A KR 820002056 B1 KR820002056 B1 KR 820002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er
sheet
driving
mag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27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데쯔오 마쯔우라
야마 히로시 가게
Original Assignee
이와다 가즈오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다 가즈오,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다 가즈오
Priority to KR7902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0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056B1/en

Links

Images

Abstract

The photographing appts. using sheet films returns the sheet films of the appointed size between the planned spots of some of the driving elements of films(51,62,70,75) arranged distantly. As the driving velocity of every driving element of films is located more in the front of film feed direction, this appts. is composed in high velocity. If every driving velocity be to maintain the relative velocity within the limit of the tension operating on film not excessively, the velocity is controlled by relatively rough control and in common cases is sufficiently controlled by the open loop control.

Description

시이트 필름 반송장치Sheet Film Carrier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가 적용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2도, 제3도 및 제4도는 각각 본 발명의 1실시예의 필름 반송계열, 구동계열 및 절환동작계열의 구성을 표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2, 3, and 4 are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lm conveying sequence, the driving sequence, and the switching operat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본 발명은, X선 촬영장치등에 있어서의 시이트필름 반송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시이트 필름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이트 필름(sheet film)(로울(roll) 필름이 아닌 시이트 모양 필름)을 사용하는 X선촬영장치로서, 미촬영 시이트 필름을 복수매 준비하여, 먼저 이 시이트 필름을 1매씩 인출해서, 필름을 보유하고 촬영위치와 대기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밀착 호울더에 협지시켜서, 잠시 대기위치에 대피시켜 놓고, 다음에 X선 텔레비젼에 의한 투시장치를 사용하여서 피검체(被檢體)의 환부투시상을 관찰하고, 또한 투시상이 원하는 상태로 되었을 때에 상기 밀착 호울더를 촬영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소요량의 X선을 폭사(曝射)시켜서 촬영을 행하고, 다시 상기 대기위치로 밀착 호울더를 되돌려서, 촬영이 끝난 필름을 교환하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서 X선 촬영을 행하는 것이 있고, X선 텔레비젼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et film conveying apparatus used as a sheet film conveying means in an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or the like. An X-ray imaging apparatus using a sheet film (a sheet-like film, not a roll film), wherein a plurality of unphotographed sheet films are prepared, and the sheet films are first drawn out one by one to retain the film. In the close-up holder for moving between the photographing position and the standby position, evacuated to the standby position for a while, and then using the projection value by the X-ray television, the affected area of the subject. Observing the thalamus, and when the perspective image is in a desired state, the contact holder is moved to the photographing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required X-rays are bombarded to shoot, and the contact holder is returned to the standby position again. In some cases, X-ray imaging is performed by a series of operations of exchanging photographed film, and it is known as an X-ray television system.

이런 종류의 X선 촬영장치에 있어서, 미촬영 필름 수납케이스(이하 "피이드 매거진"(feed magazine)이라 한다) 및 촬영이 끝난 필름 수납케이스(이하 "테이크 업 매거진"(take up magazine)이라 한다)를 밀착호울더의 이동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배치하고 필름의 이동방향을 약 90°편향시키도록 하여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상기 양 매거진이 360°어느 회전각도에 있드라도 필름의 출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어떠한 회전각도에 있어서도 피검자의 X선 촬영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것이 생각되고 있다.In this type of X-ray imaging apparatus, an unphotographed film storage c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eed magazine") and a film-finished film storage c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ake up magazine") Is placed perpendicularly to the moving surface of the contact holder and the film movement direction is deflected by about 90 ° to reduce the size of the device and at the same time the magazines are rotated at any 360 ° angle. It is conceivable to carry out X-ray imaging of a subject at any rotational angle, and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1 is considered.

즉, 그 도면에 있어서, (11)은 X선 촬영장치의 상자체로서, 이 상자체(11)은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L자형을 하고 그 일단이 회전구동조작을 행하는 지지프레임(SF)에 고정지지되어 있다. 이 X선촬영장치에 있어서, (EP)는 촬영위치, (WP)는 대기위치를 각각 도시하고 있고, 대기위치(WP)는 X선관(XT)의 조사권(照射圈)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정된다. (12)는 시이드 필름 협지용의 밀착 호울더로서 이 밀착호울더(12)는 알루미늄 등의 X선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고, 촬영위치(EP)측에 설치된 경첩에 의해서 개폐된다. 이 밀착호울더(12)는 투과시에는 대기위치(WP)에 위치하고 또한 촬영시에는 촬영위치로 보내진다. 그리고, 그 경첩부분에는 납(鉛) 등의 중금속의 커버(12a)에 의하여 X선차폐처리가 제공되어 있고, X선관(XT)에서의 X선 피폭, 특히 폭사범위의 경계부근을 통과하는 2차 X선을 함유하는 X선에 의한 피폭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X선 촬영장치의 상자체(11)의 대기위치(WP)의 X선이 이르는 방향의 측벽에는 대기위치(WP)에 있는 밀착호울더(12)에, X선이 입사되지 않는 중금속판, 예를들면 납판으로된 X선 차폐판(13)이 부착되어 있다. (14)는 대기위치(WP) 측방에 설치된 한쌍의 반송로울러(14a,14b로서 됨)로서, 밀착 호울더(12) 안으로 미촬영 시이트 필름을 반송하고 또한 이 밀착 호울더(12) 안의 촬영이 끝난 시이트 필름을 인출하는 것이다. (15)는 미촬영 시이트 필름(SF1)을 수납하기 위한 상자형의 피이드 매거진이고, (16)은 촬영이 끝난 시이트 필름(SF2)를 수납하기 위한 상자형의 테이크 업 매거진이다. 이들 매거진(15),(16)에는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인출구(15a), 필름 수납구(16a)가 마련되어 있다. 또, 매거진(15),(16)은 필름 인출구(15a) 및 필름 수납구(16a)측을 대치시켜서 서로 대향하도록 함과 동시에, 필름 인출구(15a) 및 필름 수납구(16b)가 반송로울러(14)측에 위치하고, 또한 밀착호울더(12)의 이동평면에 대하여 매거진(15)(16) 안의 필름(SF1,SF2)가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하여서 상자체(11) 안에 장치되어 있다. 피이드 매거진(15)에는 그 배부에 필름(SF1)을 항상 필름 인출구(15a)측으로 압압하는 압압판(15b)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압압판(15b)는 피이드 매거진(15) 안에 설치된 예를들면 판스프링등의 탄성체(15C)에 의해서 상기 압압을 위한 편기력(偏倚力)이 도시한 R방향으로 부여되어 있다.That is,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box of an X-ray imaging apparatus, and the box 11 has an L-shaped cross section and a support frame SF whose one end is rotated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fixed to. In this X-ray imaging apparatus, EP denotes a photographing position and WP denotes a standby position, respectively, and the standby position WP is set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X-ray tube XT. .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n adhesion holder for sandwiching the film, and the adhesion holder 1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X-ray transmittance such as aluminum, and is opened and closed by a hinge provided on the photographing position EP side. The contact holder 12 is located at the standby position WP at the time of transmission, and is sent to the photographing position at the time of imaging. The hinge portion is provided with an X-ray shielding treatment by a cover 12a of heavy metal such as lead, and passes through an X-ray exposure in the X-ray tube XT, particularly near the boundary of the radiation range. Exposure by X-rays containing difference X-rays is prevented. In addition, on the side wall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X-ray of the standby position WP of the box 11 of the X-ray imaging apparatus reaches, a heavy metal plate on which the X-rays are not incident on the contact holder 12 at the standby position WP; For example, an X-ray shield plate 13 made of a lead plate is attached. (14) is a pair of conveying rollers (as 14a, 14b) provided on the standby position WP side, and conveys the unphotographed sheet film into the close holder 12, and photography in this close holder 12 is carried out. The finished sheet film is taken out. Reference numeral 15 denotes a box-shaped feed magazine for accommodating the unphotographed sheet film SF 1 , and reference numeral 16 denotes a box-shaped take-up magazine for accommodating the photographed sheet film SF 2 . As shown in these magazines 15 and 16, the film outlet 15a and the film storage port 16a are provide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magazines 15 and 16 are opposed to each other by opposing the film outlet 15a and the film storage port 16a side, and the film outlet 15a and the film storage port 16b are transport rollers 14, respectively. located in the side, and a film (SF 1, SF 2) in the magazine 15, 16 is in the device itself (11) arranged to be hayeoseo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plane of the contact holder 12. The feed magazine 15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late 15b that always presses the film SF 1 to the film outlet 15a side at its back, and the pressing plate 15b is provided in the feed magazine 15. For example, the knitting force for the pressing is applied in the R direction by the elastic body 15C such as a leaf spring.

또, 테이크 업 매거진(16)은 피이드 매거진(15)측에, 즉 도시한 L-R 방향에 대해서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진퇴이동 조정은, 상자체(1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본체(17a) 및 그 본체(17a)에 대략 편심으로 돌설되어 상기 테이크 업 매거진(16)에 계합되는 축(17b)으로 된 회전체(17)의 도시한 A-B 방향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행하여진다.In addition, the take-up magazine 16 is provided on the feed magazine 15 side, that is, in the LR direction as show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adjustment is supported by the box 11 so as to be rotatable. It is performed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AB direction shown by the rotating body 17 which consists of the shaft 17b which protrudes substantially eccentrically to 17a and its main body 17a, and is engaged with the said take-up magazine 16. As shown in FIG.

(18)은 필름 이송용의 한쌍의 수납로울러(18a,18b로서 됨)로서, 이 수납로울러(18)은 테이크 업 매거진(16)의 필름 수납구(16a) 부분 근방에 배치되어 상자체(11)에 그의 축이 지지되어 있고, 테이크 업 매거진(16)의 도시한 L-R 방향에 대한 상기 진퇴 이동에 의하여 테이크 업 매거진(1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한쪽 로울러(18a)가 다른쪽 로울러(18b)를 따라서 도시한 P-S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 매거진(16) 안으로 침입하고 또한 이탈한다. (19)는 촬영된 필름(SF2)를 테이크업 매거진(16) 안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판으로서, 수납로울러(18)의 송출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자체(11)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20)은 피이드 매거진(15)의 필름 인출구(15a)로부터 시이트 필름(SF1)을 1매씩 인출하기 위한 흡착 캡으로서, 도시한 C-D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고 또한 시이트 필름(15)을 1대씩 흡착하여서 인출한다.Reference numeral 18 denotes a pair of storage rollers 18a and 18b for film transport, and the storage roller 18 is disposed near the film storage port 16a portion of the take-up magazine 16 to form a box 11. Is supported by its axis, and moves relative to the take-up magazine 16 by the above-mentioned retraction movement in the LR direction of the take-up magazine 16, and one roller 18a moves to the other roller 18b. ) Moves in the PS direction as shown, and enters and escapes into this magazine 16. 19 is a guide plate for guiding the photographed film SF 2 into the take-up magazine 16, which is located on the feeding side of the storage roller 18 and fixed to the box 11. 20 is an adsorption cap for drawing sheet sheet SF 1 from the film outlet 15a of the feed magazine 15 one by one, and reciprocates in the illustrated CD direction and adsorbs the sheet film 15 one by one. To withdraw.

(21)은 흡착캡(20)으로 인출된 시이트 필름(SF1)을 흡착캡(20)으로부터 벗겨서 상기 반송로울러(14)측에 송출하기 위한 한쌍의 송출로울러(21a,21b로서 됨)로서, 이 송출로울러(21)는 필름 인출구(15a)의 근방에 설치되어, 필름을 협지하기 위하여 한쪽 로울러(21a)가 화살표 E-F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있다. (22)는 한쌍의 방향절환 로울러(22a,22b로서 됨)로서, 이 방향절환로울러(22)는 송출로울러(21)로부터 송출된 미촬영 시이트 필름(SF1)을 반송로울러(14)로 이송하고, 또한 반송로울러(14)에서 송출되어온 촬영이 끝난 시이트 필름(SF2)을 수납로울러(18)로 이송하기 위하여 한쪽 로울러(22a)가 도시한 G-H 방향으로 위치 절환 조작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도시한 실선위치에서는 피이드 매거진(15)에서의 필름(SF1)을 받고, 또 도시한 점선의 위치에서는 테이크 업 매거진(16)으로 필름(SF2)를 송출할 수가 있다.(23)은 방향 절환 로울러(22)와 반송로울러(14)와의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로서, 이 가이드(23)은 이송되어 오는 시이트 필름(SF1) 및 (SF2)의 안내를 한다. (24)는 촬영위치(EP)의 후방에 설치된 투시용의 X선 텔레비젼계를 위한 이미기 증강판(image intensifier)이다. (25)는 수납로울러(18)의 커버로서 이 커버(25)는 한쪽의 로울러(18a)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촬영이 끝난 시이트 필름(SF2)를 지지하는 기능까지도 다하고 있다.21 is a pair of feed rollers 21a and 21b for peeling the sheet film SF 1 taken out by the adsorption cap 20 from the adsorption cap 20 and feeding it to the conveying roller 14 side. This delivery roller 21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film outlet 15a, and the one roller 21a is movable in the arrow EF direction so that the film may be clamped. Reference numeral 22 denotes a pair of direction switching rollers (as 22a and 22b), and the direction switching roller 22 transfers the unphotographed sheet film SF 1 sent out from the delivery roller 21 to the transport roller 14. In addition, in order to transfer the photographed sheet film SF 2 sent out from the conveyance roller 14 to the storage roller 18, one roller 22a is comprised so that a position switching operation is possible in the GH direction shown, The film SF 1 in the feed magazine 15 is received at the solid line position shown, and the film SF 2 can be sent to the take-up magazine 16 at the dotted line position shown. As a guide provided between the switching roller 22 and the conveyance roller 14, this guide 23 guides the sheet films SF 1 and SF 2 which are conveyed. Reference numeral 24 denotes an image intensifier for a perspective X-ray television system installed behind the photographing position EP. Numeral 25 denotes a cover of the storage roller 18,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with one of the rollers 18a and also serves to support the photographed sheet film SF 2 .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의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device in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시이트 필름의 이동의 개략을 기술하면, 피이드 매거진(15) 안의 시이트 필름(SF1)은 탄성체(15C)에 의하여 도시한 R방향에 대한 편기력을 받은 압압판(15b)에 의하여 필름 인출구(15a)측에 항상 적절한 압력으로 압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자체(11), 피검자(PA)를 지지하는 침대판(BT) 및 X선 관(XT) 이미지 증강판(24)를 포함한 장치 가동부분이 피검자(PA)를 중심으로 도시한 V-W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어떠한 회전각도로 되었다 하드라도, 시이트 필름(SF1)은 항상 필름 인출구(15)측에 정렬하여 피이드 매거진(15) 안으로부터의 탈락이나 매거진 안에서의 흐트러짐을 생기게 하는 일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피이드 매거진(15) 안의 시이트 필름(SF1)은 도시한 C-D 방향으로 원호(円孤)구동되는 흡착캡(20)에 의하여 윗면의 것으로부터 차례로 1매씩 흡착되어 인출된다.First, describing the outline of the movement of the sheet film, the sheet film SF 1 in the feed magazine 15 is the film outlet by the pressing plate 15b subjected to the knitting force in the R direction shown by the elastic body 15C. It is always pressed by the appropriate pressure on the (15a) side. For this reason, the apparatus movable part including the box 11, the bed board BT supporting the subject PA, and the X-ray tube XT image reinforcement plate 24 is shown in the center of the subject PA. The sheet film SF 1 is always aligned on the film outlet 15 side, even if it is rotated in any direction so as to be at any rotational angle, without falling off from the feed magazine 15 or causing disturbance in the magazine. Maintain state. Therefore, the sheet film SF 1 in the feed magazine 15 is adsorbed and taken out one by one from the upper surface by the adsorption cap 20 arc-driven in the CD direction shown.

인출된 시이트 필름(SF1)은 송출로울러(21)에 의하여 협지되어 구동된다. 이때 한쪽 송출로울러(21)가 도시한 E-F 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에 의해서 시이트 필름(SF1)이 협지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흡착캡(20)이 도시한 D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흡착캡(20)으로부터 시이트 필름(SF1)이 안전하게 박리된다. 그리고 송출로울러(21)에 의해서 시이트 필름(SF1)이 방향절환 로울러(22)에 보내진다. 이때 방향절환 로울러(22)는 도시한 실선위치에 있고, 이송되어온 시이트 필름(SF1)을 가이드(23)를 통하여 반송로울러(14)측에 송출한다. 방향절환 로울러(22)와 반송로울러(14)의 이송방향에 대략 90°의 각도차가 있으나, 시이트 필름(SF1)은 가이드(23)에 의하여 안내되어서 반송로울러(14)에 이송된다. 그리고, 반송로울러(14)에 의해서 대기위치(WP)에 열려진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밀착 호울더(12)로 시이트 필름(SF1)이 이송된다.The sheet sheet SF 1 drawn out is sandwiched and driven by the delivery roller 21. At this time, the sheet film SF 1 is pinched by operating the EF direction in which one feed roller 21 is shown, and the suction cap 20 moves in the D direction again in this state, whereby the suction cap ( The sheet film SF 1 is peeled off safely from 20). Then, the sheet film SF 1 is sent to the direction switching roller 22 by the delivery roller 21. At this time, the direction switching roller 22 is in the solid line position shown, and conveys the sheet film SF 1 which was conveyed to the conveyance roller 14 side via the guide 23. Although there is an angular difference of approximately 90 degrees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direction switching roller 22 and the conveying roller 14, the sheet film SF 1 is guided by the guide 23 and conveyed to the conveying roller 14. Then, the sheet film (SF 1) is transported to the contact holder 12 are waiting on the open position to the waiting position (WP) by the conveying roller 14.

밀착 호울더(12)는 시이트 필름(SF1)이 이송되어 오면 상부 뚜껑을 닫고 대기상태에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 조작테이블(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촬영지령이 내려지면, 밀착 호울더(12)는 즉시 촬영위치(EP)로 보내지고, 이어서 X선관(XT)에서 촬영조건에 따른 통요한 X선이 폭사되어서 촬영이 행하여진다. 촬영이 끝나면, 밀착 호울더(12)는 대기위치(WP)에 되돌려 보내짐과 동시에 상부 뚜껑이 개방되어서, 안의 시이트 필름(SF2)가 반송로울러(14)에 의하여 인출되어 가이드(23)에 안내되어서 방향 절환로울러(22)에 이른다. 이때, 방향 절환로울러(22)는 한쪽 로울러(22a)가 점선위치로 이동조작되어 있어, 방향절환 로울러(22)에 들어간 시이트 필름(SF2)가 수납로울러(18)측으로 이송된다. 그러면, 수납로울러(18)은 이송되어온 시이트 필름(SF2)를 다시 이송하는데 시이트 필름(SF2)의 선단이 수납로울러(18)의 출구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판(19)에 접하여서 매거진 안쪽으로 안내되어서 테이크 업 매거진(16) 안에 수납된다. 이경우, 테이크 업 매거진(16) 안에 수납되어 있는 시이트 필름(SF2)의 양에 따라서 회전체(17)을 조작하고 로울러 커버(25)가 적당한 압력으로 시이트 필름(SF2)를 압압하도록 조정할 수가 있다. 수납로울러(18)은 회전체(17)의 조작과 함께 그의 가동상태가 제어되고, 시이트 필름(SF2)를 로울러커버(25)를 사이에 두고 안정하게 지지한다.The close holder 12 enters the standby state by closing the upper lid when the sheet film SF 1 is transferred. In this state, when a photographing command is issued from an operation table (not shown), the close holder 12 is immediately sent to the photographing position EP, and then the X-rays of the X-ray tube XT in accordance with the photographing conditions are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by being bombed. After the photographing is finished, the close holder 12 is returned to the standby position WP and the upper lid is opened, and the sheet film SF 2 therein is drawn out by the conveying roller 14 to the guide 23. Guided to the direction switching roller 22. At this time, the direction switching roller 22 is one roller (22a) that it is moved to the broken line position the operation, the sheet film (SF 2) into the direction switching roller 22 is transported toward the storage roller (18). Then, the storage roller 18 transfers the sheet film SF 2 which has been conveyed again, but the front end of the sheet film SF 2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plate 19 provided near the outlet of the storage roller 18. Guided inward and stored in take-up magazine 16. In this case, the rotary body 17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sheet film SF 2 stored in the take-up magazine 16, and the roller cover 25 may be adjusted to press the sheet film SF 2 at an appropriate pressure. have. The storage roller 18 is controlled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the rotary body 17, and stably supports the sheet film SF 2 with the roller cover 25 interposed therebetween.

그 다음은 상기한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차례차례로 촬영을 행할 수가 있다.Next, 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in sequence by repeating the above operation.

이와같은 구성에서는, 피이드 매거진(15) 안의 필름을 압압판(15b)에 의하여 적절한 압력으로 항상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장치가(침대판(BT) 혹은 피검자(PA)를 회전중심으로 하여서) 360°의 어느회전각도 상태에 있드라도 한쪽 필름(SF1)은 안정상태에 있고, 흡착캡(20)에 의한 인출도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테이크 업 매거진(16)은 회전체(17)의 회전에 의하여 도시한 L-R 방향으로 진퇴조정 가능하고, 또한 수납로울러(18)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해서(이 수납로울러(18)이 정지하여 있을 경우에는) 테이크 업 매거진(16) 안에 한쪽 로울러(18a)가 들어가는 형태로 되어서 이 로울러(18a)로 매거진 안의 시이트 필름(SF2)를 누를 수가 있고, 또한 시이트 필름(SF2)의 수납상태에 따라서 회전체(17)과 수납로울러(18)을 조정하여서 로울러(18)로서 매거진 안의 시이트 필름(SF2)를 누르는 압력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므로 장치가 360°어느 회전 위치에 있어서도 테이크 업 매거진(16) 안의 시이트 필름(SF2)를 안정하게 수납하여 놓은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such a configuration, the apparatus (with the bed plate BT or the subject PA as the center of rotation) is 360 ° by always pressing the film in the feed magazine 15 at an appropriate pressure by the pressing plate 15b. The film SF 1 is in a stable state even at any rotation angle of, and the drawing by the adsorption cap 20 can also be performed stably. The take-up magazine 16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R direction shown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7, and the position of the storage roller 18 is fixed (this storage roller 18 is stopped). The roller 18a is pressed into the take-up magazine 16, and the roller 18a can press the sheet film SF 2 in the magazine, and the sheet film SF 2 is stored. By adjusting the rotating body 17 and the storage roller 18 according to a state, the pressure which presses the sheet film SF 2 in a magazine as the roller 18 becomes possible, and the apparatus takes up in 360 degree rotation position. The sheet film SF 2 in the magazine 16 can be stored stably.

그런데, 상기 구성에서는, 떨어져 배치된 반송로울러(14), 수납로울러(18), 송출로울러(21) 및 방향 절환로울러(22)의 4개의 구동요소에 의하여, 필름 공급시에는 피이트 매거진(15)로부터 송출로울러(21)→방향절환로울러(22)→반송로울러(14)로 필름을 반송하여서 대기위치(WP)에 있는 밀착 호울더(12)로 이동이고, 필름 배출시 에는 밀착 호울더(12)로부터 반송로울러(14)→방향 절환로울러(22)→수납로울러(18)로 필름을 반송하여서 테이크 업 매거진(16)으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필름을 반송할 때에 필름에 느슨해짐이 생기면 필름이 극단적으로 절곡되어서 필름을 손상시키거나 촬영화질의 뒤떨어짐을 초래하거나 한다. 특히 상기한 장치와 같이 장치 전체가(침대 판(BT) 혹은 피검자(PA)를 중심으로 하여서) 360°에 걸쳐서 회전할 경우에는 필름의 주행이 불안정하게 되기 쉽고, 상기 필름의 느슨함이나 기타의 필름 반송상의 불편(필름의 반송도중에 필름이 걸리거나 막히거나, 탈락하는 등)을 일으키기 쉽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이와같은 경우 상기한 각 구동요소(반송로울러(14), 수납로울러(18), 송출로울러(21), 방향 절환로울러(22))의 반송속도를 같은 속도로 하는 것에 의해서 주행의 안정화를 도모하는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각 구동요소의 구동속도를 균일화시켜서 주행의 안정화를 도모할 경우 각 구동요소의 속도제어를 상당히 정확하게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구동부에 타코제너레이터(tachogenerator) 등과 같은 검출기를 설치하여 구동속도를 검출하고 구동제어부에 피이드 백(feed back)하여서 소위 페루우프(閉 loop) 제어를 행하는 등의 대단히 복잡한 구성을 요한다. 또한 이 경우, 각 구동요소 개개의 조정과 각 구동요소 상호간의 조정을 엄밀하게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조정이 극히 곤란하게 된다.By the way, in the above structure, by the four drive elements of the conveying roller 14, the storing roller 18, the sending roller 21, and the direction switching roller 22 arrange | positioned apart, the feed magazine 15 at the time of film supply. ), The film is transported from the delivery roller (21) to the direction switching roller (22) to the transport roller (14) and moved to the contact holder (12) at the standby position (WP). 12, the film is conveyed from the conveying roller 14 to the direction switching roller 22 to the storing roller 18 and conveyed to the take-up magazine 16. If the film is loosened when conveying these films, the film may be extremely bent, resulting in damage to the film or inferior image quality. In particular, when the entire device (about the bed plate BT or the subject PA) rotates through 360 ° as in the device described above, the running of the film is likely to become unstable, and the looseness of the film or other It is easy to cause inconvenience on film conveyance (such as a film jamming, clogging or falling off during conveyance of the film). Thus, in general, in such a case, the conveying speeds of the above-mentioned driving elements (the conveying roller 14, the storing roller 18, the dispensing roller 21, and the direction switching roller 22) are made at the same speed. The stabilization of running is performed. However, in order to stabilize driving by making the driving speed uniform for each driving element, the speed control of each driving element must be performed fairly accurately, and a detector such as a tachogenerator or the like is installed in the driving unit to detect and drive the driving speed. It requires a very complicated configuration such as feed back to the control unit to perform so-called Peruoop loop control. In this case, the adjustment of each drive element and the adjustment of each drive element must be strictly performed, and the adjustment becomes extremely difficult.

본 발명은 이와같은 사정에 의거하여서 된 것으로서,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필름 구동요소에 의하여 소정치수의 시이트 필름을 예정장소 사이에서 반송하는 시이트 필름 반송장치에 있어서, 구성이 간단하고 또한 필름주행이 안정되고 또한 조정이 용이한 시이트 필름의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on the basis of such a situation. In the sheet film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a sheet film having a predetermined dimension between predetermined locations by a plurality of film driving elements arranged apart,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the film traveling is stable. It aims at providing the conveying apparatus of the sheet film which is easy to adjust.

즉, 본 발명의 특징은, 각 필름 구동요소의 구동속도를 필름 이송방향의 앞쪽에 위치하는 것일수록 고속으로 하여 구성하는데에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That is, the characteristic of this invention is that it is comprised so that the drive speed of each film drive element is located in the front of a film conveyance direction, so that it is high speed. Nex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2도-제4도에 본 발명의 I실시예의 구성을 표시한다. 제2도는 필름 반송계열, 제3도는 그 구동계열, 제4도는 절환동작계열을 각각 도시하고 있고, 제2도는 제3도의 앞쪽, 제4도는 제2도의 앞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는 배치관계에 있다.2 to 4 show the constitution of Embodiment I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film conveying sequence, FIG. 3 shows a driving sequence, and FIG. 4 shows a switching operation sequence. FIG. 2 shows an arrangement relationship in which FIG. 2 is located in front of FIG. 3 and FIG. 4 is located in front of FIG. .

제2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표시한다. (51)은 제1도에 있어서의 송출로울러(21)에 대응하는 제I 구동요소로서의 송출구동기구로서, 이 송출구동기구(51)은 2개의 로울러(52),(53) 및 이들과 쌍을 이르는 2개의 풀리(54),(55), 및 풀리(54),(55) 사이에 설치된 벨트(56)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울러(52) 및 (53)은 각각 회전축(57) 및 (58)에 의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58)은 그의 양단부 근방에서 상자체(11)에 고정된 지지측판(SB)에 지지되어 있고, 회전축(57)은 그의 양단부가 지지부재(59)의 일단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재(59)는 그의 타단이 회전축(58)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In FIG. 2,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shown to the same part as FIG. Numeral 51 denotes a discharging driving mechanism as the first driving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dispensing roller 21 in FIG. 1, wherein the discharging driving mechanism 51 has two rollers 52, 53 and a pair thereof. It consists of two pulleys 54 and 55 and a belt 56 provided between the pulleys 54 and 55. The rollers 52 and 53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on shafts 57 and 58, respectively. The rotating shaft 58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ide plate SB fixed to the box 11 near both ends, and the rotating shaft 57 is supported by the one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59 at both ends. The supporting member 59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other end thereof by the rotation shaft 58.

따라서 로울러(52) 및 (53)은 지지부재(59)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회전축(58)을 축으로 하여서 도시한 I-J 방향으로 회동하여서, 송출 구동기구(51)의 개폐동작을 행할 수 있도륵 되어 있다. 또 풀리(54) 및 (55)는 각각 회전축(60)및 (61)에 의해 양단부 근방에서 지지측판(SB)에 지지되어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Therefore, the rollers 52 and 53 are integrally connected by the supporting member 59, and rotate in the IJ direction shown with the rotational shaft 58 as the axis to perform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elivery drive mechanism 51. It can be done. The pulleys 54 and 55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side plates SB in the vicinity of both ends by the rotation shafts 60 and 61, respectively, and are rotatable.

또, (62)는 제1도에 있어서의 반송로울러(14)에 대응하는 제2구동요소로서의 반송구동기구로서, 이 반송구동기구(62)는 2개의 풀리(63),(64), 및 이들 쌍방에 대응하는 로울러(65), 및 폴리(63),(64) 사이에 설치된 벨트(66)으로 구성되어 있다. 풀리(63) 및 (64)는 각각 회전축(67) 및 (68)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이들 회전축(67) 및 (68)이 각각의 양단부근방에서 지지측판(SB)에 지지되어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로울러(65)는 회전축(69)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회전축(69)도 양단부에서 지지측판(SB)에 지지되어 있다.In addition, 62 is a conveyance drive mechanism as a second drive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conveyance roller 14 in FIG. 1, and this conveyance drive mechanism 62 has two pulleys 63, 64, and The roller 65 corresponding to both of these, and the belt 66 provided between the pulleys 63 and 64 are comprised. The pulleys 63 and 64 are supported by the rotation shafts 67 and 68, respectively, and these rotation shafts 67 and 68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side plates SB near their respective ends, and are rotatable respectively. It is supposed to be done. Moreover, the roller 65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69, and this rotating shaft 69 is also supported by the support side plate SB at both ends.

(70)은 제1도에 있어서의 수납로울러(18)에 대응하는 제3구동요소로서의 수납구동기구로서, 이 수납구동기구(70)은 제1도의 경우와 대략 동일하게 한쌍의 로울러(71) 및 (72)로 구성되어 있다. 로울러(71)은 회전축(73)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이 회전축(73)이 그의 양단부 근방에서 지지측판(SB)에 지지되어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로울러(72)는 회전축(74)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회전축(74)도 양단부에서 지지측판(SB)에 지지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70 is an accommodating driving mechanism as a third driving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ng roller 18 in Fig. 1, which is a pair of rollers 71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Fig. 1. And (72). The roller 71 is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73, and this rotating shaft 73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ide plate SB near its both ends, and is rotatable. Moreover, the roller 7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74, and this rotating shaft 74 is also supported by the support side plate SB at both ends.

그리고, (75)는 제1도에 있어서의 방향 절환로울러(22)에 대응하는 제4구동요소로서의 방향 절환구동기구로서, 이 방향 절환구동기구(75)는 2개의 로울러(76),(77), 및 이들과 쌍을 이루는 2개의 풀리(78),(79), 및 풀리(78),(79) 사이에 설치된 벨트(80)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울러(76) 및 (77)은 각각 회전축(81) 및 (82)에 의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회전축(81),(82)는 그의 양단부가 지지부재(83)에 지지되어 있다. 풀리(78)은 회전축(84)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이 회전축(84)가 지지부재(83)에 지지되어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풀리(79)는 회전축(85)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이 회전축(85)가 지지측판(SB)에 지지되어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83)은 회전축(85)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로울러(76),(77), 풀리(78),(79)는 지지부재(83)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회전축(85)을 축으로 하여서 도시한 M-N 방향으로 회동하여 방향 절환구동기구(75)의 방향절환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75 denotes a direction switching drive mechanism as a fourth driving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switching roller 22 in FIG. 1, and the direction switching drive mechanism 75 includes two rollers 76, 77. ) And two pulleys 78, 79 paired with these, and a belt 80 provided between the pulleys 78, 79. The rollers 76 and 77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on shafts 81 and 82, respectively. These rotary shafts 81 and 82 are supported at both ends thereof by the support member 83. The pulley 78 is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84, and the rotating shaft 84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member 83 to be rotatable. Moreover, the pulley 79 is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85, and this rotating shaft 85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ide plate SB, and is rotatable. The support member 83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on shaft 85. Therefore, the rollers 76, 77, the pulleys 78, 79 are integrally connected by the support member 83, and rotate in the MN direction shown with the rotational shaft 85 as the axis to change direction. The direction switching operation of the drive mechanism 75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에서는 특히 명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각 구동기구에서의 풀리 및 로울러는 어느 것이나 그것을 지지하는 회전축에 시이트 필름의 폭 치수에 따라 떨어져 한쌍씩 설치되어 있고, 시이트 필름의 양단부를 로울러와 벨트에 의하여 협지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pecifically mentioned above, both pulleys and rollers in each said drive mechanism are provided by the pair of the rotational shaft which supports it apart according to the width dimension of the sheet film, and both ends of the sheet film are clamped by a roller and a belt. It is a structure to drive.

상기 구성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계열을 도시하는 제3도에 있어서, (86),(87) 및 (88)은 각각 회전축(61),(73) 및 (85)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여서 구동기구(51),(70) 및 (75)의 구동을 행하기 위한 스프로킷으로서, 이들 스프로킷 (86),(87),(88)은 각각 회전축(61),(73),(85)에 고착되어 있다. (89)는 구동기구(51),(70),(75) 구동용의 모우터(M1)의 구동축으로서, 이 구동축(89)에는 스프로킷(90)이 고착되어 있다. 또 (91)은 장력조정을 위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로킷으로서, 이 스프로킷(86),(87),(88),(90),(91)사이에는 체인(CH)가 설치되어 있고, 모우터(M1)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93)은 회전축(67)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로서 회전축(67)에 고정되어 있다. (94)는 구동기구(62) 구동용의 모우터(M2)의 구동축으로서, 이 구동축(94)에는 기어(95)가 고정되어, 도시한 바와같이 기어(93)에 맞물려 있다.In FIG. 3 showing a drive sequence for driving the above configuration, 86, 87, and 88 transmit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otary shafts 61, 73, and 85, respectively, to drive the mechanism. As the sprockets for driving the 51, 70, and 75, the sprockets 86, 87, 88 are fixed to the rotary shafts 61, 73, 85, respectively. have. Reference numeral 89 denotes a drive shaft of the motor M 1 for driving the drive mechanisms 51, 70, and 75, and the sprocket 90 is fixed to the drive shaft 89. Reference numeral 91 denotes a sprocket rotatably provided for tension adjustment, and a chain CH is provided between the sprockets 86, 87, 88, 90, and 91, and the motor It is suppos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M 1 ). On the other hand, 93 is fixed to the rotation shaft 67 as a gear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rotation shaft 67. Reference numeral 94 denotes a drive shaft of the motor M 2 for driving the drive mechanism 62. The gear 95 is fixed to the drive shaft 94 and engaged with the gear 93 as shown.

상기 각 스프로킷(86),(87),(88)은, 톱니수가(87)<(85)<(86)의 관계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모우터(M1)은 필름 공급시에는 도시한 0→P방향으로, 필름을 배출시에는 도시한 P→O방향으로, 동일속도로 회전하고, 모우터(M2)는 필름공급시는 제1설정속도로 도시한 S→T방향으로, 필름배출시에는 제2설정속도로 도시한 T→S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서, 최종적으로 제1, 제3 및 제4 구동요소, 즉 구동기구(51),(70) 및 (75)에 의한 각각의 필름의 반송속도 V1,V3및 V4Each of the sprockets 86, 87, and 88 is set so that the number of teeth is in the relationship of (87) <(85) <(86). In addition, the motor M 1 rotates at the same speed as shown in the 0 → P direction when the film is supplied, and in the P → O direction as shown when the film is discharged, and the motor M 2 is rotated when the film is supplied. The film is set to rotate in the S-> T direction shown at the first set speed and in the T-> S direction shown at the second set speed at the time of film ejection. In this way, the conveying speeds V 1 , V 3 and V 4 of the respective films by the first, third and fourth driving elements, that is, the driving mechanisms 51, 70 and 75, are finally

V1

Figure kpo00001
V4
Figure kpo00002
V3(1)V 1
Figure kpo00001
V 4
Figure kpo00002
V 3 (1)

로 되고, 또 제2 구동요소, 즉 구동기구(62)의 필름 공급시와 필름 배출시의 각각의 필름의 반송속도 V2F와 V2T가 V4에 대하여Also, the conveying speeds V 2F and V 2T of the second driving element, that is, each film at the time of supplying the film of the driving mechanism 62 and at the time of discharging the film, are set to V 4 .

V2T

Figure kpo00003
V4
Figure kpo00004
V2F(2)V 2T
Figure kpo00003
V 4
Figure kpo00004
V 2F (2)

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It is set to be.

다음에 절환동작 계열을 도시하는 제4도에 있어서, (96)은 절환동작용 구동원으로서의 로우터리 솔레노이드로서, 이 로우터리 솔레노이드(96)의 작동축(97)에는 레버(98)이 부착되어 있다. 레버(98)은 로우터리 솔레노이드(96)의 동작에 의하여 도시한 p-q사이에서 회동한다. (99)는 회전축(58)에 중앙부가 고착된 제1 작동부재로서의 레버로서, 이 레버(99)는 회전축(58)을 축으로하여 지지부재(59)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레버(99)의 일단은 연결부재(100)을 사이에 두고 레버(98)에 언결되고, 로우터리 솔레노이드(96)의 동작에 의하여 레버(99)를 도시한 i-j사이에서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레버(99)의 타단은 로우터리 솔레노이드(96)의 복귀동작용의 스프링(101)에 의하여 항상 도시한 j→i방향으로의 편기력이 주어져 있다.Next, in Fig. 4 showing the switching operation sequence, reference numeral 96 denotes a rotary solenoid serving as a switching motion driving source, and a lever 98 is attached to the operating shaft 97 of the rotary solenoid 96. . The lever 98 rotates between p-q shown by the operation of the rotary solenoid 96. 99 is a lever serving as a first actuating member whose central portion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58. The lever 99 rotates integrally with the supporting member 59 with the rotating shaft 58 as the axis. One end of the lever 99 is fixed to the lever 98 with the connecting member 10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lever 99 is rotated between i-j shown by the operation of the rotary solenoid 96. The other end of the lever 99 is always given a knitting force in the j- &gt; i direction shown by the spring 101 of the return motion of the rotary solenoid 96.

상기한 레버(99)의 일단부 근방에는 전달부재(102)의 일단이 지지되고, 전달부재(102)의 타단은 제2 작동부재로서 기능하는 지지부재(83)에서 돌출한 회전축(84)에 지지되어 있다. 즉, 전달부재(102)는 레버(99)의 회동력을 지지부재(83)에 전달하고 지지부재(83)을 회전축(85)를 축으로 하여서 도시한 m-n사이에서 회동시키는 것이다. 또, 전달부재(102)에는 돌출부(102a)가 형성되고, 이 부분의 소정의 동작범위의 양단위치에 각각 설치된 동작 검출용의 2개의 위치검출기, 예를들면 포토센서(photo sensor)(103),(104)를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레버(99)의 회전축(58)에서 연결부재(100)의 지지점까지의 치수 및 전달부재(102)의 지지점까지의 치수, 즉 각점의 회동반경은, i-j사이의 동작각도와 m-n사이의 동작각도의 관계가 각각 제2도에서의 지지부재(59)의 필요한 회동각도와 지지부재(83)의 필요한 회동각도의 관계에 대응하는 회동각도비로 되도록 설정되고, 로우터리 솔레노이드(96)를 예정각도(p-q사이)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각 필요한 회동각도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서, 절환동작계열의 링크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e end of the transmission member 102 is supported near one end of the lever 99, and the other end of the transmission member 102 is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84 protruding from the support member 83 functioning as the second operation member. Supported. That is, the transmission member 102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ever 99 to the support member 83 and rotates the support member 83 between m-n shown with the rotation shaft 85 as the axis. In addition, the projecting member 102a is formed in the transmission member 102, and two position detectors for detecting motion, for example, photo sensors 103,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redetermined operating range of the part. , 104 is to be operated. Here, the dimension from the rotational axis 58 of the lever 99 to the supporting point of the connecting member 100 and the dimension up to the supporting point of the transmission member 102, that is, the rotation radius of each point, is between the operating angle between ij and mn. The rotation angle ratios are set so as to be the rotation angle ratios correspon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quired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member 59 and the required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member 83 in FIG. 2, respectively. By rotating the predetermined angle (pq), it is possible to obtain each of the above required rotation angles. In this way, a link mechanism of the switching operation series is configured. The operation in the above structure is explained as follows.

먼저, 필름 공급시에는, 로우터리 솔레노이드(96)을 작동시켜서 제4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레버(98)를 q위치(필름 배출시에 이 상태로 되어 있다.)에서 p위치로 회동시킨다. 이 때문에, 연결부재(100)을 사이에 두고 레버(99)가 i위치에서 j위치로 회동하고, 전달부재(102)를 사이에 두고 지지부재(83)가 n위치에서 m위치로 회동한다. 따라서, 송출구동기구(51)의 지지부재(59) 및 로울러(52)는 제2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상태에서 I→J방향으로 회동하여 실선으로 표시하는 폐쇄상태로 되고, 흡착 캡(20)에, 의하여 피이드 매거진(15)에서 인출된 시이트필름의 단부를 협지한다. 또, 방향절환 구동기구(75)의 지지부재(83), 로울러(76),(77) 및 풀리(78)은 동일하지 제2도에 표시한 N→M방향으로 회동하여, 실선으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송출구동기구(51)과 가이드(23)에 양단부를 각각 대향시킨 상태, 즉 제1의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실제에는 로우터리 솔레노이드(96)의 작동과 동시에) 모우터(M1)을 회전시키고, 체인(CH)를 제3도 O→P방향으로 구동시킴과 동시에, 모우터(M2)를 제1의 설정속도로 S→T방향으로 회전시킨다.First, at the time of film supply, the rotary solenoid 96 is operated to rotate the lever 98 from the q position (it is in this state at the time of film ejection) to the p position as shown in FIG. Thus, the lever 99 rotates from the i position to the j position with the connecting member 10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upport member 83 rotates from the n position to the m position with the transmission member 102 interposed therebetween. 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59 and the roller 52 of the delivery drive mechanism 51 are in the closed state shown by the solid line by rotating in the direction I → J in the state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2, and the suction cap 20 ), The end portion of the sheet film drawn out from the feed magazine 15 is sandwiched.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83, the rollers 76, 77, and the pulley 78 of the direction switching drive mechanism 75 rotate in the N → M direction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ing drive mechanism 51 and the guide 23 face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state. In this state (actually,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the rotary solenoid 96), the motor M 1 is rotated, the chain CH is driven from the third degree O to P direction, and the motor M 2 ) Is rotated from S to T at the first set speed.

그러면 송출구동기구(51), 방향절환구동기구(75) 및 반송구동기구(62)는 각각V1,V4및 V2F라는 속도로 차례로 구동되고, 최종적으로는 반송구동기구(62)에서(밀착 호울더(12)안으로) 송출된다. 이때, 각 구동속도는 V1<V4<V2F라는 관계에 있으므로, 시이트 필름은 적절한 장력이 부여된 채로 반송되고, 느슨해지는 등의 불편을 일으키는 일 없이 원활하게 반송된다.Then, the discharge drive mechanism 51, the direction switching drive mechanism 75 and the transfer drive mechanism 62 are sequentially driven at the speeds V 1 , V 4 and V 2 F , respectively, and finally at the transfer drive mechanism 62 ( The contact holder 12). At this time, since the respective drive speed relationship of V 1 <V 4 <V 2F , the film sheet is conveyed smoothly without causing any inconvenience such as this is conveyed while the tension granted, become loose.

또 필름 배출시에는, 로우터리 솔레노이드(96)를 정지시켜서, 용수철(101)의 편기력에 의하여 레버(99)를 제4도의 j위치에서 i로 회동시킨다.(레버(98)은 q위치로 된다) 이 때문에 지지부재(83)가 m위치에서 n위치로 회동하고, 송출구동기구(51) 및 방향절환 구동기구(75)는 각각 제2도에 점선으로 표시하는 개방상태 및 제2의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실제는 로우터리 솔레노이드(96)의 정지와 동시에) 모우터(M1)을, 공급시와는 역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체인(CH)를 제3도 P→O방향으로 구동시킴과 동시에, 모우터(M2)를 제2의 설정속도로, 역시 공급시와는 역으로 T→S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여서, 시이트필름은 반송구동기구(62)→방향절환구동기구(75)→수납구동기구(70)로 차례로 반송되고, 메이크업 매거진(16)에 수납된다. 이때의 반송기구(62), 방향절환구동기구(75) 및 수납구동기구(70)의 각 반송속도 V2T,V4및 V3은 V2T

Figure kpo00005
V4
Figure kpo00006
V3이라는 관계에 있고, 공급시와 동일하게 원활하게 반송된다. 이와같이, 각 구동기구의 반송속도를 다르게 하고, 항상 필름의 주행방향 앞쪽의 구동기구가 고속으로되도록 하였으므로, 반송중의 시이트 필름에 항상 어느정도의 장력이 걸려서, 필름 반송시의 필름의 느슨함, 기타의 반송상의 불편등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반송된다. 단, 이때 상기 각 구동기구의 속도차에 의하여 필름에 과대한 장력이 걸려서 필름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도록 각 구동속도 및 구동력(마찰등을 포함한다)을 필름의 강도에 따라서 설정하여 놓는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상기의 경우(1),(2)식으로 표시되는 바와같이 각 구동속도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제2 구동요소로서의 반송구동기구(62)만을 구동방향의 절환이 따라서 속도를 절환시킬 뿐으로 다른 것은 구동방향에 관계없이 동일속도로 하여도 된다.At the time of film discharge, the rotary solenoid 96 is stopped and the lever 99 is rotated from the j position in FIG. 4 to i by the knitting force of the spring 101. (The lever 98 is moved to the q position. For this reason, the support member 83 rotates from the m position to the n position, and the delivery drive mechanism 51 and the direction switching drive mechanism 75 are each in an open state and a second state indicated by dotted lines in Fig. 2, respectively. It becomes In this state (actually, at the same time as the stop of the rotary solenoid 96), the motor M 1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from the time of supply, and the chain CH is driven in the third direction P → O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e motor M 2 is rotated at the second set speed and again in the direction of T? In this way, the sheet film is sequentially conveyed to the conveyance drive mechanism 62 → the direction switching drive mechanism 75 → the storage drive mechanism 70, and stored in the makeup magazine 16. At this time, each of the conveyance speeds V 2T , V 4 and V 3 of the conveyance mechanism 62, the direction switching drive mechanism 75, and the storage drive mechanism 70 is V 2T.
Figure kpo00005
V 4
Figure kpo00006
It has a relationship of V 3 and is smoothly conveyed as in the case of supply. In this way, the conveyance speed of each drive mechanism is changed and the drive mechanism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film is always made high, so that a certain amount of tension is always applied to the sheet film during conveyance, resulting in looseness of the film during film conveyance, etc. It is conveyed smoothly without causing any inconvenience in conveyance. In this case, however, the driving speed and driving force (including friction, etc.) are set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film so as not to damage the film due to excessive tension on the film due to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mechanisms. Nothing. In addition, by setting the respective drive speeds as shown in the above-described cases (1) and (2), only the transfer drive mechanism 62 as the second drive element switches the drive direction so that the speed is different. The speed may be the same regardless of the driving direction.

이 때문에, 반송구동기구(62) 이외의 각 구동기구는 모우터(M1)로 일괄하여 구동시킬 수가 있고, 또한 모우터(M1)로 되는 속도가 고정된 모우터를 사용할 수가 있고, 반송구동기구(62)를 구동하는 모우터(M2)만을 속도가변 모우터로 하면 된다. 또 상기 각 구동속도도, 필름에 과대한 장력이 걸리지 않는 범위이면 상대적인 속도의 대소관계만 유지시킬 수 있으면 되므로, 속도기어는 비교적 거치른 제어로서 될 수 있고 통상의 경우 개(開)루우프제어로서 충분하다. 따라서, 제어계열이 간단한 구성으로서 되고 조정도 용이하다.As a result, each drive mechanism other than the conveying drive mechanism 62 may not be driven to collectively as a Motor (M 1), and can also use the Motor speed is fixed to be a Motor (M 1), transport Only the motor M 2 for driving the drive mechanism 62 may be a variable speed motor. In addition, since each drive speed can only maintain the relative magnitude of the relative speed as long as the film is not subjected to excessive tension, the speed gear can be a relatively rough control, and in general, the open loop control is sufficient. Do. Therefore, the control series has a simple configuration and is easy to adjust.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하고 또한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만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변경시키지 않는 범위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시켜서 실시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Example mentioned above and shown in drawing, It can variously deform and implement in the range which does not change the summary.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흩어지게 배치된 복수의 필름 구동요소에 의하여 소정치수의 시이트 필름을 예정장소 사이에서 반송하는 시이트필름 반송장치에 있어서 구성이 간단하고 또한 필름의 주행이 안정되고, 또한 조정이 용이한 시이트 필름반송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heet film conveying apparatus which conveys the sheet film of a predetermined dimension between predetermined locations by a plurality of scattered film driving elements,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the running of the film is stab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eet film conveying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adjusted.

Claims (1)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필름 구동요소(51,62,70,75)에 의하여 소정치수의 시이트 필름을 예정장소들 사이에서 반송하는 필름 반송장치에 있어서, 각 필름 구동요소의 구동속도를, 필름 이송방향 앞쪽에 위치하는 구동요소일수록 고속으로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필름 반송장치.In the film conveying apparatus which conveys the sheet | seat film of the predetermined dimension between predetermined places by the some film drive element 51,62,70,75 arrange | positioned apart, the drive speed of each film drive element is a film conveyance direction. A sheet film conve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element located on the front side is configured at a higher speed.
KR7902767A 1979-08-14 1979-08-14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sheet films KR8200020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767A KR820002056B1 (en) 1979-08-14 1979-08-14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sheet fil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767A KR820002056B1 (en) 1979-08-14 1979-08-14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sheet fil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056B1 true KR820002056B1 (en) 1982-10-26

Family

ID=1921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767A KR820002056B1 (en) 1979-08-14 1979-08-14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sheet fil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056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6586A (en) Selective cut sheet feed device
KR930010160B1 (en) Peper conveying, discharging and recovering mechanism
DE4020814C2 (en) Sheet transport device and its use in an image recorder
US2719714A (en) Sheet conveyor for microfilm apparatus
US4282439A (en) X-ray photographing machine using sheet films
US4433836A (en) End of stack sensor
US4842264A (en) Sorting machine
KR820002056B1 (en)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sheet films
JPH0823665B2 (en) Sheet film transport device
JPS6259019B2 (en)
US4541625A (en) Sheet film supply apparatus
GB2117525A (en) Viewing and printing
KR890015086A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US3415988A (en) X-ray film sheet changer having conveyor means for supplying and removing film sheets at an exposure station
KR830000263B1 (en) Sheet Film Carrier
JPS625864B2 (en)
JPS6129492B2 (en)
EP3862983A1 (en) Paper sheet storage device and paper sheet handling device
EP0854387A1 (en) Photo-processing apparatus
JPS5831143Y2 (en) Film changer for X-ray imaging equipment
EP0618499B1 (en) Leader-card storage unit and leader-card storage assembly
JP3148299B2 (en) Automatic opening device for X-ray long films
JP2742511B2 (en) Magazine for loading photosensitive material
KR820002055B1 (en) X ray photographing aparatus
JP2583876Y2 (en) Document hold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