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010Y1 - 감 속 기 - Google Patents

감 속 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010Y1
KR820002010Y1 KR2019810002147U KR810002147U KR820002010Y1 KR 820002010 Y1 KR820002010 Y1 KR 820002010Y1 KR 2019810002147 U KR2019810002147 U KR 2019810002147U KR 810002147 U KR810002147 U KR 810002147U KR 820002010 Y1 KR820002010 Y1 KR 820002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reducer
rotation
input shaft
ge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2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묵
Original Assignee
최경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묵 filed Critical 최경묵
Priority to KR2019810002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0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46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 F16H3/48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 F16H3/50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comprising orbital conica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감속기
도면은 본 고안에 의한 감속기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본 고안은 한쌍의 베벨기어를 사용하여 간단한 구조로서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는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감속기로서는 여러개의 평치차열을 사용한 것과 내치차와 유성치차를 사용한 것이 있었으나, 이들 종래의 감속기는 많은 폐단이 있었다.
즉, 평치차열을 이용한 감속기는 큰 감속비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치차가 필요하여, 그 계통이 복잡하게 되고, 감속기의 크기도 과대하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으며, 내치차와 유성치차를 사용한 감속기는 평치차열을 사용한 것과 같이 계통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내접치차의 간섭현상에 의해 치차가 마모되기 쉽다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감속기의 폐단을 제거하고, 간단한 구조로서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는 감속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동체(7)의 내부 좌측면에 중심구멍이 형성된 베벨기어(2)를 나사(8)로 고정 부착하고, 고정베벨기어(2)에 베벨기어(1)를 부분적으로 치합하여 베벨기어(1)가 그 중심과 치부상의 1점을 연결하는 선이 회전 원추체를 그리도록 회동한다.
베벨기어(1)의 원판면(11)에는 입력축(3)의 내부단에 경사지게 고정부착된 아암(13)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로울러(4)가 베벨기어 (1)을 베벨기어(2)와 부분적으로 치합하도록 압압 접촉되어 있다.
전기한 베벨기어(1)의 치부가 형성된 쪽의 중심에는 만능이음(6)을 개재하여 출력축(5)이 연결되어 있다.
전기한 베벨기어(1)과 (2)의 꼭지점은 만능이음(6)의 회전중심점과 일치한다.
또한 베벨기어 (1)의 치수는 베벨기어(2)의 치수보다 1개 많다.
전기한 베벨기어(1)(2)는 직선 베벨기어나 헬리컬 베벨기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헬리컬 베벨기어를 사용하면 헬리컬 베벨기어의 특성이 반영되므로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된다.
전기한 입력축의 회전에 따라 베벨기어(1)의 원판면(11)의 주연을 따라 이동하는 로울러(4)가 부착된 아암(13)은 회전시 편중 원심력을 상쇄하기 위해 평형유지용 추(14)가 부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9)는 각각 출력축과 입력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며, (10)는 동체(7)조립을 위한 나사부이다.
상술한 구조에 따른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축(3)이 회전하면, 아암(13)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로울러(4)가 베벨기어(1)의 원판면(11)의 주연을 따라 회전하고, 이에 의해 베벨기어(1)는 베벨기어(2)와의 부분적인 치합위치를 이동하면서 회전한다.
로울러(4)가 원판면(11)상에서 1회전하면, 베벨기어(1)의 치부가 최초에 베벨기어(2)에 치합되었던 위치보다 1치수만큼 로울러(4)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베벨기어(2)의 치부와 치합된다.
이는 베벨기어(1)의 치수가 베벨기어(2)의 치수보다 1개가 많기 때문이며, 이로써 베벨기어(1)의 내측단 중심에 만능이음(6)으로 연결된 출력축(5)가 베벨기어(1)의 1치수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입력축(3)의 회전수를 R3,
출력축(5)의 회전수를 R5,
베벨기어(1)의 치수를 T1,
베벨기어(2)의 치수를 T2로 할때
이며, 따라서 입력축(3)의 회전을의 비율로 감속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T1=50, T2=49로 하면, 입력축(3)의 1회전당 출력축(5)의 회전수회전이 되므로, 그 감속비는 1/50로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입력축(3)의 회전방향과 출력축(5)의 회전방향이 동일방향으로 된다.
또, 다른 예로서 베벨기어(2)에 출력축을 설치하고, 베벨기어 (1)은 그 꼭지점을 중심으로 파상적인 회동만 하고,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 입력축과 출력축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감속기는 두개의 베벨기어를 사용하여 간단한 구조로서 그 감속비를 크게 설정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반와 같은 종래의 감속기에서 나타나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내에서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

  1. 베벨기어 (1)과 고안 베벨기어(2)를 동체(7)내에 내장하고, 베벨기어(1)의 치부쪽 단면 중심에는 그 회전중심이 베벨기어(1)(2)의 꼭지점과 일치하는 만능이음(6)을 개재하여 출력축(5)을 연결설치하며, 입력축(3) 위 내측단에 고정부착된 아암(13)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로울러(4)를 베벨기어(1)의 원판면(11)의 주연을 따라 압압접촉 이동하도록 설치한 감속기.
KR2019810002147U 1981-03-27 1981-03-27 감 속 기 KR820002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2147U KR820002010Y1 (ko) 1981-03-27 1981-03-27 감 속 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2147U KR820002010Y1 (ko) 1981-03-27 1981-03-27 감 속 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010Y1 true KR820002010Y1 (ko) 1982-09-22

Family

ID=1922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2147U KR820002010Y1 (ko) 1981-03-27 1981-03-27 감 속 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0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767866A (en) Gearing
US4680985A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epicyclic constant mesh gearing
US3774477A (en) Gear motor
US4012964A (en) Intermittent rotary mechanism
JPS5914650B2 (ja) 高速歯車伝達装置
US3448638A (en) Reverse planetary gear
WO2020034373A1 (zh) 一种端面齿摆线针轮副和章动减速装置
US4096763A (en) Hypocycloidal reduction gearing
KR820002010Y1 (ko) 감 속 기
US2208614A (en) Shaft coupling
KR930011880B1 (ko) 유성 치차 장치 타이밍 구동 유니트
JPS639803Y2 (ko)
US3552225A (en) Internal worm and speed reducer using an internal worm
DE3278437D1 (en) Improved hypocyclic drive transmission apparatus
JPS62101943A (ja) 減速装置
JP3689020B2 (ja) 旋回制御歯車式自動無段変速機
US4112788A (en) Torque transmission device
US4047451A (en) Variable speed device
WO1996012901A1 (fr) Transmission a vis sans fin a billes
JPS591862A (ja) 機械式無段変速機
JPS5527503A (en) Torsional vibration attenuating mechanism for use in speed change gear
GB2150665A (en) Reduction gearing
US2538352A (en) Mechanical pitch change mechanism
SU1227859A1 (ru) Конический зубчатый редуктор с ограниченным углом поворота валов
JPS6250694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