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837B1 - Post cure inflator - Google Patents

Post cure inf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837B1
KR820001837B1 KR7900226A KR790000226A KR820001837B1 KR 820001837 B1 KR820001837 B1 KR 820001837B1 KR 7900226 A KR7900226 A KR 7900226A KR 790000226 A KR790000226 A KR 790000226A KR 820001837 B1 KR820001837 B1 KR 820001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ring
post cure
cure inflator
ty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2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캔타루티 아민도
제이. 유하스 제랄드
지. 터크 레오나드
Original Assignee
지. 이. 이삭손
엔 알 엠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 이. 이삭손, 엔 알 엠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지. 이. 이삭손
Priority to KR7900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8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837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In a tyre post cure inflator(20) where the uppermost of two pairs of bead rings(50,51) receives a tyre(T) to be inflated and the rings are mounted upon extrusions so that they can be inverted and the tyre dropped onto a lower take-off conveyor(185),tyres from a molding press are directed down a sloping conveyor(178) against a stop carried by the inflator. The tyre is picked up by an expansible transfer device to be exactly concentric with the device and is moved over the exposed lower bead ring of the upper pair. The center of the device, & thus of the tyre, is bolted in exact allgnment with the center of the ring & the tyre released onto the ring. The upper ring is then applied & inflation effected.

Description

타이어 제조용 후경화 팽창기Post curing inflator for tire manufacturing

제1도는 타이어 프레스의 측판과 비임을 표시하고 프레스 비임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후경화 팽창기의 부분 단면측면도.1 shows a partial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post cure inf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side plate and the beam of the tire press and the press beam shown fully open.

제2도는 본 발명 후경화 팽창기의 일부를 생략해 보인 제1도의 평면도.FIG. 2 is a plan view of FIG. 1 showing a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post cure inflator omitted. FIG.

제3도는 타이어 보유봉과 이들의 작동상태를 보인 제2도의 3-3선 수직확대 단면도.3 is a vertic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2 showing the tire holding rods and their operating states.

제4도는 제3도의 4-4선 방향에서 본 평면도.4 is a plan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of 4-4 line in FIG.

제5도는 제2도의 5-5선 방향에서 본 타이어 로우더(loader)의 수직확대 단면도.5 is a vertic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tire loader as seen in the direction of line 5-5 of FIG.

제6도-제9도는 후경화 팽창기의 센터링, 로우딩 및 취출조작을 나타낸 공정도.6 to 9 are flow charts illustrating the centering, loading and take-out operation of the post cure inflator.

제10도는 비이드 직경이 상이한 타이어를 착좌시키기 위하여 후경화 팽창기에 사용된 내외측 링의 확대 단면도.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and outer rings used in a post cure inflator for seating tires having different bead diameters.

제11도는 이러한 링들중 하나의 계단을 확대표시한 단면도.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irs of one of these rings.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용 후경화 팽창기(Post Cure infla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PCI"결함이 없고 비이드 직경이 상이한 타이어의 후팽창을 변경시킴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 후경화 팽창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 cure inflator for tire manufa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st cure inflator that can be used without altering the post-expansion of tires that are free of "PCI" defects and differ in bead diameters.

타이어 경화방법에 있어서, 후팽창 방법을 이용한 것에는 일반적인 단점의 하나는 "PCI없음"(no PCI)결함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어떤 이유에서 타이어가 요구된 바와 같이 정확히 후경화 팽창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후경과 팽창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이는 대개 타이어 성형 및 경화프레스의 후측에 위치하는 별도의 장치에 의하여 수행한다.In the tire curing method, one of the general disadvantages of using the post-expansion method is known as "no PCI" defect (no PCI). This means that for some reason the tire is not post-cured expanded exactly as required. If rearview and expansion methods are used, this is usually done by a separate device located behind the tire forming and hardening press.

후경화 팽창기에 정확히 위치되게 하기 위하여 타이어는 프레스로부터 배출되어 나온후에 속박되거나 재보유되어야 하고 후경화 팽창기가 닫혀졌을 때에 비이드 계합 림(rim)과 계합되도록 정확히 중심이 마추어져야 한다. 대부분의 후경화 팽창기에는 프레스의 배출큰베이어와 연속된 경사큰베이어가 사용되며, 타이어는 프레스의 배출기구에 의하여 가속되는 상당한 운동량을 가질 수 있다. 통상, 억제 및 센터링 장치는 타이어의 외측부인 트레드에 계합토록 되어있으나 이러한 장치의 구조는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설비 비용이 과대하게 드는 결점이 있었으며 타이어의 상이한 크기나 형태를 위하여 조절할 필요가 있었다.In order to be correctly positioned in the post cure inflator, the tires must be restrained or retained after exiting from the press and correctly centered to engage the bead rim when the post cure inflator is closed. Most post cure inflators use a discharge large bay of a press and an inclined large bay in series, and the tire can have a significant momentum that is accelerated by the press's discharge mechanism. Typically, the restraint and centering device is fitted to the tread, which is the outer side of the tire, but the structure of such a device is not only complicated, bu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excessive installation costs and needs to be adjusted for different sizes or shapes of the tire.

후경화 팽창기에 대한 일반적인 불만은 타이어 억제 또는 센터링장치가 적절히 그의 기능을 수행치 못하고 후경화 팽창기를 완전히 통과하는 것이다. 따라서 타이어가 정확히 중심이 맞추어지지 않는다면 불량타이어가 제조될 것이다.A common complaint with the post cure inflator is that the tire restraint or centering device does not function properly and passes completely through the post cure inflator. Thus, bad tires will be produced if the tires are not correctly centered.

후경화 팽창기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예를들어 동력구동되는 수평콘베이어 벨트가, 타이어가 후경화 팽창기내로 이동할때에 타이어의 운동량을 줄이도록 사용되었다. 이는 어느정도 효과적이었으나, 이러한 벨트구동방법은 외측센터링을 요하고 장치의 비용을 추가시킨다. 또한 외측센터링에서 후팽창링은 미국특허 제 3,170,187호에서 보인 바와 같은 복잡하고 비교적 큰 안내표면을 요하였다. 그 특허는 링의 모든 계단(step)에 대한 적절한 센터링없이 상이한 비이드 직경의 타이어를 착좌시키고 팽창시킬 수 있는 링을 이용하도록 시도되었으나, 이러한 링은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없었다. 안내표면은 다만 가장 작은 비이드 시이트(seat)에 대해서만 타이어를 효과적으로 센터링시킨다. 따라서 출원인들은 단일 비이드 링이 상이한 비이드 직경의 타이어를 팽창시키기 위하여 성공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자동 후경화 팽창기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Attempts have been mad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post cure inflator. For example, power driven horizontal conveyor belts have been used to reduce tire momentum as the tire moves into the post cure inflator. This was somewhat effective, but this belt drive method requires outside centering and adds to the cost of the device. In addition, post-expansion rings in lateral centering required complex, relatively large guide surfaces as shown in US Pat. No. 3,170,187. The patent attempted to use a ring capable of seating and inflating tires of different bead diameters without proper centering of all steps of the ring, but such a ring could not achieve its purpose. The guide surface effectively centers the tire only for the smallest bead seat. Applicants therefore know that there is no automatic post cure inflator in which a single bead ring is successfully used to inflate tires of different bead diameters.

전술한 문제점의 몇가지를 해결하는 하나의 시도가 본 출원인의 미국특허출원 제797,938호(명칭 : 타이어 경화시스템, 1975.5.18 출원)에 기술되었다. 이 출원에는 프레스가 직접 타이어를 후경화 팽창기에 배치하는 프레스-후경화 팽창기 조합체가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출원의 타이어 경화시스템은 몇가지의 문제점에 당면하게 되었으며, 이는 많은 자본투자를 요구하는 비교적 비용이 많이드는 해결책을 제공하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프레스 라인에서는 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One attempt to solve some of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in Applicant's US Patent Application No. 797,938, entitled Tire Curing System, filed 1975.5.18. This application describes a press- post cure inflator combination in which the press directly places the tire in the post cure inflator. However, the tire curing system of this application faces several problems, which provide a relatively costly solution requiring a lot of capital investment and cannot be solved in the press lines currently in use.

본 발명의 후경화 팽창기는 모든 형태의 타이어 경화프레스에 이용할 수 있으며, 예비배치 플래트폼으로부터 타이어를 집어올려 수직축선에 대하여 일치되게 중심을 맞출 수 있도록된 로우더(loader)기구를 후경화 팽창기의 일체의 부분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그 로우더는 로우딩 작동을 방해하지 않고 후경화 팽창기의 고정되지 않은 링의 이동과 동시에 타이어를 후경화 팽창기와 일렬로 정렬되도록 센터링된 타이어를 들어올린다. 다음, 그 로우더는 타이어의 중심이 정확히 맞추어진채 후경화 팽창기의 노출된 링상에 타이어를 배치하므로서 타이어가 다계단링의 적절한 계단상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타이거가 해방된 후 로우더는 타이어의 폐쇄 및 팽창을 위한 외측링의 재배치와 동시에 밖으로 회동한다. 타이어 보유봉은 트러니언(trunnion)형태인 후경화 팽창기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타이어는 필요한 경우 팽창없이 그곳을 통하여 순환될 수 있으며, 후경화 팽창기의 아래로 정확히 굴러떨어져 배출될 수 있도록 트러니언에 파지될 수 있다.The post cure inf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ll types of tire cure presses, and a loader mechanism, which is capable of picking up tires from the pre-placement platform and centering them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axis, is integrated with the post cure inflator. It is provided as a part of. The loader lifts the centered tire to align the tire with the post cure inflator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of the unfixed ring of the post cure inflator without disturbing the loading operation. The loader then places the tire on the exposed ring of the post cure inflator with the tire centered correctly so that the tire can be placed on the appropriate staircase of the multistage ring. After the tiger is released, the loader rotates out at the same time as repositioning the outer ring for closing and inflating the tire. Since the tire retainer is mounted on a trunnion type post cure inflator, the tire can be circulated through it without expansion if necessary, and gripped on the trunnion so that it can be accurately rolled down and discharged under the post cure inflator. Can be.

본 발명의 주목적은, 실제로 "PCI 없음" 결함을 제거하는 후경화 팽창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st cure inflator that actually eliminates the "no PCI" defect.

다른 중요한 목적은, 타이어를 예비배치 플래트폼상에 자동적으로 센터링시키는 로우더를 구비한 후경화 팽창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important object is to provide a post cure inflator with a loader which automatically centers the tire on the prepositioning platform.

다른 중요한 목적은, 센터링장치의 어떠한 수동조절이나 링의 교체없이 상이한 크기, 상이한 형태의 타이어에 적용될 수 있는 후경화 팽창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important object is to provide a post cure inflator that can be applied to tires of different sizes and types without any manual adjustment of the centering device or replacement of the r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취출콘배이어로 배출하기 전에 일부 또는 전체의 후경화 싸이클에서 팽창없이 공기냉각을 위하여 타이어를 임의로 보유할 수 있는 후경화 팽창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st cure inflator that can optionally retain a tire for air cooling without expansion in some or all of the post cure cycles before discharging to the blowout convey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후경과 팽창기 개폐기구와 함께 작동하는 로우더를 구비한 후경화 팽창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st cure inflator having a loader operating at least in part with the rear mirror and the inflat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또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상이한 비이드 크기의 타이어에 적용될 수 있는 후경화 팽창기용 비이드 착좌링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링은 원추형의 계단을 가진 외연부를 가지고 있고 각 계단의 트레드는 그의 높이보다 약간 크고, 각 계단의 돌출모서리는 밀폐를 위해 착좌된때 타이어의 측벽에 접하지 않도록 모서리가 깎여져 있다.It is also an importan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ad seating ring for a post cure inflator that can be applied to tires of different bead sizes, the ring having an outer edge with conical steps and the tread of each step having its height Slightly larger, the protruding corners of each step are edged so that they do not touch the side walls of the tire when seated for sealing.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제1도 및 제2도는, 측판(22)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된 프레스 비임(23)을 윤곽선만으로 표시한 타이어 프레스의 후측바닥(21)에 착설된 후경과 팽창기(20)를 보이고 있다. 물론 도시한 바와 같은 측판구조나 비임의 위치로 보아 이 타이어 프레스는 요동-후퇴(tilt-back) 프레스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후경화 팽창기는,수직 및 수평운동중에 상부금형이 하부금형과 평행하게 되는 접동후퇴(slide back) 프레스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형태의 타이어 프레스에도 사용할 수 있다.1 and 2 show the rearview mirror and the inflator 20 mounted on the rear bottom 21 of the tire press in which the press beam 23 shown in the state of being completely opened with the side plate 22 is shown only as an outline. . The tire press is, of course, a tilt-back press in view of the side plate structure or the position of the beam as shown.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ost cure inf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with a slide back press in which the upper mold is parallel to the lower mold during vertical and horizontal mo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for other types of tire presses.

후경화 팽창기의 프레임은 후경화 팽창기의 일측에 하나씩 두 개의 주(主) 수직지주(25)를 포함한다. 수직지주의 하측단 가까이에는 각 지주로부터 후측으로(제1도 및 제2도에서 볼때 우측에 있는) 수평프레임부재(29)이 연장되어 있다.The frame of the post cure inflator includes two main vertical posts 25, one on one side of the post cure inflator. Near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column, a horizontal frame member 29 extends from each shore to the rear side (on the right side in the first and second views).

지주(25)들은 수평프레임부재(27)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고, 역시 유사한 수평프레임부재(28)이 수평프레임부재(26)들의 후단을 연결한다. 수평프레임부재(28) 하측에는 비교적 짧은 수직다리부(29)가 설치되어 있고, 그 다리부가 후경화 팽창기의 각측부에 하나씩 위치하여 있다.The struts 25 are interconnected by horizontal frame members 27, and similar horizontal frame members 28 connect the rear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members 26. A relatively short vertical leg portion 29 is provided below the horizontal frame member 28, and one leg portion thereof is located at each side of the post cure inflator.

수직방향으로 연장한 측판(32)는 지주(25)와 수평프레임부재(26)의 각각의 내측에 취부되어 있으며, 이들 측판은 수평프레임부재(33)에 의하여 상부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프레임부재는 도시의 편리를 위하여 제2도에 도시되지 않았다.The side plates 3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mounted inside each of the struts 25 and the horizontal frame member 26, and these side plates are connected at the top by the horizontal frame members 33. This horizontal frame member is not shown in FIG. 2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측판과 각각의 지주사이에는 견고한 보강대(34)(35)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수직보강대(36)이 지주(25)와 수평프레임부재(27)사이에 착설되어 있는 반면에 보강대(37)은 측판(32)와 수평프레임부재(26)사이에 후향 연장되어 있다. 대부분의 지주와 프레임부재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인 관상(管狀)부재로 제조된다.Between the side plate and each strut, a rigid reinforcement 34 or 35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the vertical reinforcement 36 is installed between the strut 25 and the horizontal frame member 27, while the reinforcement 37 ) Extends backward between the side plate 32 and the horizontal frame member 26. Most struts and frame members are made of tubular members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s shown.

측판들 사이에는, 두 개의 긴 수평프레임부재(41)(42)로 구성된 트러니언 프레임(40)이 연결되어 있고 수평프레임부재(41)(42)는 트러니언 축(44)가 돌출연장되어 있는 프레임(43)에 의하여 각 양단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 축(44)는 (45)에서 각 축판에 지지되어 있다. 제1도에서 보는 사람의 반대측에 있는 트러니언 축은 상기 미국특허출원 제797,938호에서 명백하게 보인 바와 같은 수평축에 대하여 기어모터로서 회전 구동될 수 있다.Between the side plates, a trunnion frame 40 composed of two long horizontal frame members 41 and 42 is connected, and the horizontal frame members 41 and 42 have a trunnion shaft 44 protruding from each other. Frame 43 is interconnected at each end. The shaft 44 is supported at each shaft at 45. The trunnion shaf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viewer in FIG. 1 can be rotationally driven as a gear motor about a horizontal axis as is apparent from US Patent Application No. 797,938.

또한, 그 트러니언 프레임은 축방향으로 회동가능한 고정축(52)가 관통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타이어 지지링(50),(51)을 지지하며, 고정축(52)는 미국특허출원 제782,496호에 보인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하우징(53)내부로 돌출되어 있다. 하우징(53)에는 외측 후팽창링(55)을 지지하는 조절가능한 지지대(54)가 착설되어 있다. 링(55),(50)에 대한 상세한 것은 제10도 및 제11도에 확대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53)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승강암(arm)(50)의 아래에 놓인링(58)내에 설치되는 돌출부(57)을 가진 캡(56)을 포함한다. 돌출부가 링내에 있을경우, 이는 상기 특허출원 제797,938호에서 보인 바와 같은 방식으로 그 링에 고정된다. 링(51)과 한쌍이 되는 링은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되며 제1도에서 점선(60)으로 도시되었다.In addition, the trunnion frame supports a pair of tire support rings 50 and 51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which the axially rotatable fixed shaft 52 passes, and the fixed shaft 52 is a US patent. It protrudes into the housing 53 in the manner as shown in application 782,496. The housing 53 is equipped with an adjustable support 54 for supporting the outer post-expansion ring 55. Details of the rings 55 and 50 are shown enlarged in FIGS. 10 and 11. The housing 53 includes a cap 56 with a protrusion 57 installed in a ring 58 lying underneath the vertically movable lifting arm 50. If the protrusions are in a ring, they are fixed to the ring in the manner as shown in the above patent application 797,938. The ring paired with the ring 51 is fixed in the same manner and is shown by dashed line 60 in FIG.

후경화 팽창기에는 프레스의 각 요입구(cavity)에 두 개씩 4쌍의 이러한 링이 착설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링(50),(51)를 통하여 돌출된 고정축(52)는 상기 미국특허출원 제782,496호에 보인 형태일 수 있으며, 링들이 가능한 한 상호 접근되지 않는한 측과 하우징의 상대적인 회동을 방지하도록 하우징의 슬로트에 안전하게 접촉되어 있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ost cure inflator is equipped with four pairs of these rings, two in each cavity of the press. The fixed shaft 52 protruding through the inner rings 50 and 51 may be of the type shown in US Patent Application No. 782,496, which prevents relative rotation of the side and housing as long as the rings are not mutually accessible. Securely contact the slot of the housing.

암(59)는 사각형(65)상에서 수직접동 가능하게 착설된 상하의 슬라이드 블록(63),(64)를 상호 연결하는 수직연장 "U"자형 구조체(62)를 포함하며, 그 측(65)는 측판(32)에 고정된 브라켓트(66),(67)에 상하부가 축지되어 있다. 축(65)의 하측단 가까이에 그 축(65)에 피스턴 실린더 조랍체(69)의 하단을 지지하는 브라켓트(68)이 취부되어 있다. 그리하여,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69)는 외측링(55)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들어올리거나 위치를 옮기기 위해 암(59)를 승강시키도록 작용한다.Arm 59 includes vertically extending " U " shaped structures 62 interconnecting upper and lower slide blocks 63, 64 mounted vertically on a rectangle 65, with sides 65 thereof.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supported by brackets 66 and 67 fixed to the side plate 32. A bracket 68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piston cylinder jaw body 69 is attached to the shaft 65 near the lower end of the shaft 65. Thus,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69 acts to elevate the arm 59 to lift or reposition the housing supporting the outer ring 55.

축(65)는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75)에 의하여 그 축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그 축의 폐쇄단부는 지주(25)에 (76)에서 축지되어 있다. 피스턴 로드(77)은 축(65)에 착설된 크랭크암(79)의 돌출단부에(78)에서 연결되어 있다.The shaft 65 is rotated about the vertical axis of the shaft by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75, and the closed end of the shaft is supported at 76 on the strut 25. The piston rod 77 is connected at the protruding end 78 of the crank arm 79 mounted on the shaft 65.

축(65)는그의 상단부근에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측판(32)의 내측에 대하여 지탱될 수 있도록된 조절가능한 접합물(83)을 포함하는 정지구(82)가 착설되어 있다.The shaft 65 is mounted near its upper end with a stop 82 which includes an adjustable joint 83 which can be held against the inside of the side plate 32 as shown in FIG. 2.

축(65)의 하단부근에는 조절가능한 암(87)에 회동점(86)에서 피봇트 된 조절가능한 연결구(85)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크랭크암(84)가 착설되어 있다. 이 암(57)은 지주(25)에 고착된 브라켓트(89),(90)에 상하단이 지지된 사각형 피봇트축(88)의 하단에 고착되고 그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Near the lower end of the shaft 65 is mounted another crank arm 84 pivotally connected to an adjustable arm 87 with an adjustable connector 85 pivoted at pivot point 86. The arm 57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rectangular pivot shaft 88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rackets 89 and 90 fixed to the support 25 and protrudes therefro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축(88)에는 하축부에서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93)을 지지하는 브라켓트(92)가 고착되어 있고, 피스턴로드(94)는 그 브라켓트를 통하여 연장되며, 사각측(88)을 따라 수직운동하도록 로우디암 조립체(95)를 지지한다.In addition, the shaft 88 is fixed to the bracket 92 for supporting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93 at the lower shaft portion, the piston rod 94 extends through the bracket, the vertical movement along the square side 88 To support the low-diameter assembly 95.

로우더암 조립체(95)는, 축상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암을 안내하는 축방향 편기된 슬라이드블록(97),(98)을 포함하는 수직연장 플렌지를 가지고 삼각형의 판체(96)을 포함한다. 또한 로우더암(95)는 말단부상에서 로우더 척크조립체(100)을 지지하는 편기된 암연장부(99)를 포함한다. 그 조립체의 보다 상세한 구조는 제5도에 도시하였다.The loader arm assembly 95 includes a triangular plate body 96 with a vertically extending flange comprising axially knitted slideblocks 97 and 98 for guiding the arm to be moved on the axis. The loader arm 95 also includes a knitted arm extension 99 that supports the loader chuck assembly 100 on the distal end.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the assembly is shown in FIG.

제5도에서, 로우더 척크는 원형의 플렌지를 가진 판체(102)를 포함하고, 그 판체로부터, 형태가 동일한 4개의 동일원주 간격의 로우더 슈우(103)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로우더 슈우는 플렌지를 가진 판체(102)에 고착된 한쌍의 돌편(105),(106)사이 (104)로 나타낸 점부에서 회동된다. 각 슈우는 완전히 후퇴한 위치에서 판체의 플렌지로부터 떨어져 있도록 절곡부(107)을 포함하고, 각 슈우는 수직 방향으로 길고 약간 만곡된 판체의 형태이며 그의 하단에는, 타이어의 상부 비이드아래에 설치되도록 설계된 외향턱(108)이 형성되어 있다.In FIG. 5, the loader chuck includes a plate body 102 having a circular flange, from which four equally spaced loader shoes 103 of the same shape are rotatably supported. Such a loader shoe is rotated at the point indicated by 104 between the pair of protrusions 105, 106 fixed to the plate body 102 with a flange. Each shoe includes a bent portion 107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ange of the plate in a fully retracted position, each shoe being in the form of a long, slightly curved p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its lower end to be installed under the top bead of the tire. Designed outward jaw 108 is formed.

각 슈우는 상측단 가까이의 내측면에 상향 연장된 볼 핀(ball pin)(111)을 지지하는 하향 연장하고 약간 경사진 돌편(110)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볼핀은 사각형의 작동판체(114)의 한 모서리에 고착된 하향연장한 볼핀(113)에 조절가능한 연결구(11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그 작동판체는 그 각 모서리에 하나씩 이러한 4개의 볼핀을 가지고 있고 각 볼핀은 유사한 조절가능한 연결구에 의해 각 로우더 슈우에 연결되어 있다.Each shoe has a downwardly extending and slightly inclined protrusion piece 110 supporting a ball pin 111 extending upwardly on the inner side near the upper end. These ball pins are connected by an adjustable connector 112 to a downwardly extended ball pin 113 secured to one corner of the rectangular working plate body 114, the working plate being connected to these four ball pins, one at each corner thereof. Each ball pin is connected to each loader shoe by a similar adjustable connector.

판체(114)는,로우더암의 부분(99)를 통하여 연장한 허브(hub)(119)에 지지된 수직축(118)에 핀(117)에 의해 연결된 허브(116)을 포함한다. 축(118)의 상부는 암(122)에 고착되어 있고, 그 암의 외축단부는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124)의 피스턴로드(123)의 "U"자형 연결구, 즉 클레비스(clevis)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의 폐쇄단부는 암의 부분(99)에 고착된 브라켓트(126)에 (125)에서 연결되어 있다. 피스턴로드(123)의 연장을 제한하는 조절가능한 정지구(128)은 암의 부분(99)에 고착된 브라켓트(129)에 착설되어 있다.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가 연장될 때에 그는 제2도에서 보인 시계방향으로 판체(114)를 회전시키고 연결구(112)는 슈우가 정지구(128)에 의하여 허용된 범위까지 외측으로 회동되게한다. 연결구(112)는 균일한 반경으로 연결구가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절된다. 그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는 제1도에서 부호(130)으로 보인 슈우의 가상선 위치로 척크를 후퇴시키도록 수축된다.The plate body 114 includes a hub 116 connected by a pin 117 to a vertical axis 118 supported by a hub 119 extending through the portion 99 of the loader arm. The upper part of the shaft 118 is fixed to the arm 122, and the outer shaft end of the arm is pivotable to the “U” shaped connector, ie clevis, of the piston rod 123 of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124. Is connected. The closed end of this piston cylinder assembly is connected at 125 to the bracket 126 secured to the portion 99 of the arm. An adjustable stop 128 that limits the extension of the piston rod 123 is mounted on a bracket 129 secured to the portion 99 of the arm. When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is extended he rotates the plate body 114 in the clockwise direction shown in FIG. 2 and the connector 112 causes the shoe to pivot outward to the extent permitted by the stopper 128. The connector 112 is adjusted to move the connector in a uniform radius.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is retracted to retract the chuck to the imaginary line position of the shoe shown at 130 in FIG.

그러한 슈우의 수직길이와 로우더의 구조는 척크가 16.51cm 직경의 원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후퇴되고 40.64cm 직경의 원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확장되게 한다.The vertical length of such shoe and the structure of the loader allow the chuck to be retracted to be secured in a circle of 16.51 cm diameter and expanded to be secured in a circle of 40.64 cm diameter.

외축링이 이동될 수 있을 지라도 타이어를 내부 비이드 계합링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타이어 보유장치(132)가 제공된다. 제3도에서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실린더 조립체 (133),(134)에 의하여 작동되는 두 개의 동일한 부유장치가 트리니언 프레임(40)의 각 축부에 설치된다.In order to secure the tire to the inner bead engagement ring even though the outer ring can be moved, a tire holding device 132 as shown in FIGS. 2, 3 and 4 is provided. As shown in more detail in FIG. 3, two identical floaters actuated by each cylinder assembly 133, 134 are installed on each shaft of the trinity frame 40.

실제의 타이어보유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보유봉(136),(137),(138),(139)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유봉은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양반대방향으로 돌출하고, 후경화 팽창기의 내부링에 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타이어의 트레드에 대향된 후퇴위치로부터 가상선 위치(140)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타이어 측벽상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먼저, 보유봉(138),(139)에 관하여 설명하면, 이들 각 보유봉은 암(142),(143)의 말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게 착설되어 있고, 이러한 암의 인접단부는 각각 벨크랭크(144),(14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벨크랭크(144)는 프레임판체(147)로부터 돌출된 스터브(stub)축(146)에 피봇트되어 있는 반면에, 벨크랭크(145)는 프레임판체(149)로부터 돌출되고 그에 지지된 회동축(148)의 돌출단부에 고착되어 있다. 각 벨크랭크의 짧은 암은 연결구(150)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Actual tire holding is performed by holding rods 136, 137, 138, and 139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is retaining rod protrud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shown in FIG. 4, and the tire as indicated by the imaginary line position 140 from the retracted position opposite the tread of the tire to secure the tire to the inner ring of the post cure inflator. It is designed to be moved to a position on the side wall. First, the retaining rods 138 and 139 will be described. Each of these retaining rods is installed to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distal ends of the arms 142 and 143, and the adjacent ends of the arms are respectively cranked 144. ), 145 is rotatably connected. The bell crank 144 is pivoted on a stub shaft 146 protruding from the frame plate body 147, while the bell crank 145 is pivoted on and supported by the frame plate body 149. 148 is fixed to the protruding end. Short arms of each bell crank are interconnected by connectors 150.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133)의 로드(152)는 회동축(148)의 반대축단부, 즉 내측단부에 고착된 크랭크암(153)에 연결되어 있다.The rod 152 of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133 is connected to the crank arm 153 fixed to the opposite shaft end of the pivot shaft 148, that is, the inner end.

타이어 보유봉(136),(137)은 각각 암(154),(155)의 말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암의 인접단부는 각각 벨크랭크(144),(145)와 동일한 형태인 벨크랭크(156),(157)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벨크랭크(156),(157)의 짧은 암은 연결구(150)과 동일한 연결구(158)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벨크랭크(156)은 프레임 판체(161)로부터 돌출된 회동축(160)과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그축에 고착되어 있고, 벨크랭크(157)은 프레임판체(163)으로부터 돌출된 축(162)상에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판체(161),(163)은 프레임판체(147),(149)와 동일하며,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트러니언 프레임(40)의 수평프레임부재(41),(42)들중 하나에 용접되어 있다.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133)의 폐쇄단부은 축(160)에 고착된 크랭크암(166)에 (165)에서 피봇트되어 있다.The tire holding rods 136 and 137 protrude horizontally from the ends of the arms 154 and 155, respectively, and the adjacent ends of the arm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bell cranks 144 and 145, respectively. It is supported by the bell cranks 156 and 157, respectively. The short arms of the bell cranks 156 and 157 are interconnected by the same connector 158 as the connector 150. The bell crank 156 is fixed to the shaft so that it can be rotated with the rotation shaft 160 protruding from the frame plate body 161, the bell crank 157 on the shaft 162 protruding from the frame plate body 163 It is supposed to be rotated. The frame plates 161 and 163 are the same as the frame plates 147 and 149, and as shown in FIG. 3, one of the horizontal frame members 41 and 42 of the trunnion frame 40 is shown. Welded on The closed end of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133 is pivoted at 165 to the crank arm 166 secured to the shaft 160.

보유봉(138),(139)를 지지하는 암(142),(143)은 또한 안내연결구(168),(169)에 의하여 프레임판체(147),(149)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유사한 안내연결구(170),(171)은 각각 프레임판체(161),(163)에 대하여 암(154),(155)를 지지한다.Arms 142 and 143 supporting retaining rods 138 and 139 are also connected to frame plate bodies 147 and 149 by guide connectors 168 and 169. Similar guide connectors 170 and 171 support the arms 154 and 155 with respect to the frame plates 161 and 163, respectively.

그리하여,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133)은, 팽창가능하고 수축가능한 연결구로 되며, 그 연결구는 신장되었을 때에 제3도에서 여러 가상선위치들을 통해 보유봉(138),(139)를 이동시킨다.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의 각 단부에 의하여 작동되는 2개의 연결장치의 정마찰의 약간의 본질적인 차이때문에, 작동시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는 먼저 봉들중 하나의 셋트를 타이어 보유위치에 배치시키고, 타이어 측벽에 대하여 충분한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다른 셋트의 보유봉은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가 그의 행정을 완료할 때에 요구된 타이어 보유위치로 이동된다. 작동시, 축(148)의 회전에 의해 벨크랭크(145)가 타이어의 상부측으로 보유봉을 회동시키도록 이동되며, 연결구(150)에 의하여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보유봉(138)을 회동케하는 벨크랭크(144)를 이동시킨다.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138)의 수축은 타이어 보유봉을 도시한 바와 같은 실선의 후퇴위치로 복귀시킨다. 연결구(168),(169)는 타이어 견부 둘레에서 보유봉을 안내한다.Thus,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133 becomes an inflatable and retractable connector, which moves the retaining rods 138, 139 through various imaginary line positions in FIG. 3 when it is extended. Due to some inherent differences in the static friction of the two linkages actuated by each end of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during operation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first places one set of rods in the tire holding position and provides sufficient pressure against the tire sidewalls. When applied, the other set of retaining rods is moved to the required tire holding position when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completes its stroke. In operation, the bell crank 145 is moved to rotate the retaining rod to the upper side of the tire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148 and the retaining rod 138 as shown in FIG. 3 by the connector 150. Keha moves the bell crank 144. Retraction of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138 returns the tire retaining rod to the retracted position of the solid line as shown. Connectors 168 and 169 guide the retaining rod around the tire shoulder.

이와 같은 보유봉에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타이어의 정확한 배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로울러나 다른 적당한 타이어 계합면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장치의 행정은, 보유장치가 상이한 촉 또는 크기의 타이어를 보유할 수 있도록 정해지며, 가상선 위치(175)는 비교적 큰 타이어의 측벽에 계합하는 가상선위치(140)에 비하여 보유봉의 가능한 이동범위를 보이고 있다.Such retaining rods are formed with rollers or other suitable tire engagement surfaces to facilitate accurate ejection of the tire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stroke of the connecting device is determined so that the retaining device can hold tires of different tip or size, and the virtual line position 175 is a possible movement of the holding rod relative to the virtual line position 140 engaging the sidewall of the relatively large tire. It is showing range.

다시 제1도 및 제2도에서, 타이어 프레스로부터 배출되는 타이어(T)는 경사진 콘베이어(178)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지주(25)의 내부의 (181)에서 피봇트된 프레임(180)상에 착설된 정지로울러(179)에 접하게된다.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182)의 로드(183)는 작동 또는 후퇴위치에 정지로울러(179)를 위치시키도록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Again in FIGS. 1 and 2, the tire T discharged from the tire press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conveyor 178, pivoting the frame 180 at 181 inside the strut 25.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 roller 179 mounted on the phase. The rod 183 of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18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ame to position the stop roller 179 in the actuation or retraction position.

트리니언 프레임(40)의 하측에는 후경화 팽창기로부터의 타이어를 배출하는 배출콘베이어(185)가 착설되어 있다.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타이어 프레스의 베출콘베이어(178)은 배출콘베이어(185)와 일렬된 위치(186)으로 회동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타이어(T)를 후경화 팽창기로부터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conveyor 185 which discharges a tire from a post-curing inflator is built in the lower side of the trion frame 4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 the ejection conveyor 178 of the tire press can be rotated to a position 186 in line with the discharge conveyor 185 so that the tire T can be bypassed from the post cure inflator if necessary. .

본 발명에 의해 적극적이고 정확한 센터링이 얻어지기 때문에, 제10도 및 제11도에서 보다 상세히 보인 본 발명에 사용된 비이드 계합 및 밀폐링들은 안내면의 구성이 필요치 아니하고, 직경이 상이한 타이어를 밀폐 및 팽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0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링(50,55)는 서로 인접하게 될 수 있고, 링(50)은 링(55)의 원추형 요홈부(201)에 설치되는 내부원추형 돌출부(200)을 가지고 있다. 요홈부(201)에는 링의 내부로부터 타이어 요입부로 팽창공기가 통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슬로트(202)가 형성되어 있다. 다르게는, 링(50),(55)는 상호 대칭형이고 따라서 링(5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Since active and accurate centering i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d engagement and sealing ring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more detail in FIGS. 10 and 11 do not require the construction of guide surfaces and seal and seal tires of different diameters. It is configured to be inflated. As shown in FIG. 10, the rings 50 and 55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ring 50 has an inner conical projection 200 installed in the conical groove 201 of the ring 55. The recess 201 is formed with one or more slots 202 through which inflation air can pass from the inside of the ring to the tire recess. Alternatively, the rings 50 and 55 are mutually symmetrical and therefore only the ring 50 will be described.

그 링의 외측연부에는, 비이드 직경이 상이한 타이어를 위하여 세개의 상이한 비이드 시이트(seat)(204),(205),(206)을 제공하는 계단을 가진 원추면이 형성되어 있다. 제1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각 계단(step)은 트레드 또는 수평칫수 및 높이 또는 축방향 칫수를 갖는다. 이 칫수들은 각계단의 (206),(207),(208)로 보인 지점에서 교차된다. 이들 점을 지나는 선은 링의 축선에 대하여 45°보다 약간 큰 각을 이루거나, 반대로 링의 축선에 수직인 선에 대하여 45°보다 약간 작은 각도를 이룬다. 두 인접한 소직경계단(204),(205)의 트레드를 동일하고 칫수(210),(211)로 표시한 바와같이 약 12.3mm일 수 있다. 최외축 계단(206)의 트레드는 계단 (204),(205)의 트레드만큼 클 필요는 없고 그 트래드보다 작게하는 것이 좋다. 반대로, 각각 칫수(212),(213)로 표시된 두 외측계단(205),(206)의 높이는 동일하나, 내부계단(204)의 높이는 칫수(214)로 표시한 바와 같이 현저하게 작다. 칫수(212),(213)은 특히 칫수(210),(211) 과 같이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예를들어 칫수(210),(211)은 12.3mm 정도인 반면에 칫수(212),(213)는 약11mm 정도이고, 칫수(214)는 6.1mm정도이다.At the outer edge of the ring is formed a conical surface with steps which provide three different bead seats 204, 205 and 206 for tires of different bead diameters. As shown in FIG. 11, each step has a tread or horizontal dimension and a height or axial dimension. These dimensions intersect at the points shown at 206, 207, and 208 at each step. The line passing through these points is at an angle slightly larger than 45 °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ring or at an angle slightly smaller than 45 ° with respect to the li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ring. The treads of the two adjacent small diameter steps 204, 205 are the same and may be about 12.3 mm as indicated by the dimensions 210, 211. The tread of the outermost staircase 206 does not have to be as large as the treads of the staircases 204 and 205, and may be smaller than the tread. Conversely, the heights of the two outer staircases 205 and 206, denoted by the dimensions 212 and 213, are the same, but the height of the inner staircase 204 is markedly small, as indicated by the dimension 214. Dimensions 212 and 213 are particularly important, as are dimensions 210 and 211. For example, the dimensions 210 and 211 are about 12.3 mm, while the dimensions 212 and 213 are about 11 mm and the dimension 214 is about 6.1 mm.

그들 계단구조중 다른 중요한 특징은 계단(206)과 (205)사이 계단(205)와 (204)사이에 형성한 사면부(216),(217)이다. 이 사면부의 경사각도는 각도칫수(218),(219)로 표시한 바와 같이 45°이고, 계단외측의 대략 1/3에 형성되어 있다. 사면부의 목적은 밀폐를 위한 적절한 착좌를 방해하는 타이어 측벽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각 사면부의 내측연부에는 약 1.5mm의 반경부(220)가 형성되어 있어 타이어 측벽에 마크나 선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또한 각 계단의 내부는 비이드에 맞도록 만곡된 만곡부(221)로 형성되어 있다.Another important feature of those staircase structures is the slopes 216 and 217 formed between the stairs 205 and 204 between the stairs 206 and 205.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is slope part is 45 degrees as shown by the angle dimension 218, 219, and is formed in about 1/3 of the step outer side. The purpose of the slope is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tire sidewalls that would prevent proper seating for sealing. In addition, a radial portion 220 of about 1.5 mm is formed at the inner edge of each slope to prevent the formation of marks or lines on the side walls of the tire, and the inside of each step is curved to fit the beads. The curved portion 221 is formed.

본 발명의 링에서, 그 링상의 점(206),(207),(208)은 각각 31.9mm, 34.3cm, 36.8cm(13,14 및 15인치)의 비이드 타이어를 밀폐할 수 있도록 12.3mm, 33.7mm, 55mm(1/2인치, 1-3/8인치, 2-1/4인치)의 범위내에 있으며, 이는 타이어를 밀폐하는데 충분함을 알았다. 따라서 일셋트의 링은 상이한 비이드 직경의 타이어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교환될 필요가 없다. 물론 링의 효과는 그 링들이 서로 접근할 때에 이에 대하여 타이어가 정확히 센터링되는 것에 좌우된다.In the 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s 206, 207, and 208 on the ring are 12.3 mm to seal the bead tires of 31.9 mm, 34.3 cm, and 36.8 cm (13, 14 and 15 inches), respectively. , 33.7 mm, 55 mm (1/2 inch, 1-3 / 8 inch, 2-1 / 4 inch), which was found to be sufficient to seal the tire. Thus, one set of rings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ires of different bead diameters and need not be replaced. The effect of the ring, of course, depends on the tire being correctly centered with respect to the rings as they approach each other.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제1도 및 2도와 제6도-제9도에 의하여 설명된다. 타이어(T)는 타이어 프레스로부터 배출되어, 정지로울러(179)에 닿을때까지 경사진 콘베이어(178)을 따라 하강한다. 타이어의 부가적인 억제를 위한 억제구(225)(제2도)가 타이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착설되어 있다. 정지로울러(179)는 가능한 한 타이어 프레스에 접근하도록 위치하여 타이어가 크게 움직이는 기회를 갖지 않게 한다. 타이어가 도시한 바와 같이 포착 속박되었을 때에 후경화 팽창기에의 배치를 위하여 중심이 맞추어져 있지 않으나, 어떠한 중심이나 위치의 허용범위내에 놓여진다.The effect of the invention is illustrated by FIGS. 1 and 2 and 6-9. The tire T is discharged from the tire press and lowered along the inclined conveyor 178 until it reaches the stop roller 179. A suppressor 225 (FIG. 2) for additional suppression of the tire is mount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tire. The stop roller 179 is positioned as close to the tire press as possible so that the tire does not have a chance to move significantly. The tire is not centered for placement in the post cure inflator when the tire is trapped as shown, but lies within the tolerance of any center or position.

도시한 바와 같은 속박된 위치로 타이어가 도달하기전에, 피스턴 실린더 조합체(75)는 제2도에서 보인 위치로 암(59),(95)를 이동시키도록 연장된다. 제6도에서, 부호(88),(65)로 표시한 수직선은 이러한 암을 위한 각 회동축의 수직축선을 나타낸다. 제2도에서 보인 여러가지 조정에 의해 제2도에서 부호(227)로 표시한 로우러의 중심은 정확히 예정된 위치로 옮기어지며, 또한 암(59)의 하측에 위치하는 링(58)의 중심도 정확히 예정된 위치(228)로 옮기어진다. 중심(227),(228)은, 비록 암(59)이 로우러암(95)보다 작다더라도 회동축(88)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반경거리에 있다. 암(59),(95)가 일치하여 회동하여야 하나 이들은 수직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Before the tire reaches the confined position as shown,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75 extends to move the arms 59, 95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In Fig. 6, the vertical lines denoted by the numerals 88 and 65 represent the vertical axes of the respective pivot axes for this arm. Due to the various adjustments shown in FIG. 2, the center of the roller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27 in FIG. 2 is moved to exactly the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center of the ring 58 located below the arm 59 is also precisely adjusted. It is mov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228. The centers 227, 228 are at the same radial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pivot shaft 88, even if the arm 59 is smaller than the roller arm 95. Arms 59 and 95 must rotate in unison but they can move independently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이러한 속박위치에서, 타이어(T)는 적재될 수 있도록 준비되고 후경화 팽창기는 개방되고 배출되도록 준비되어 있다. 제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후경화 팽창기에는 두 개의 타이어(230),(231)이 놓여 있다. 타이어(230)가 수축된때 암(59)는 하우징(53)상의 돌출부(57)가 링(58)로 진입되게 하강한다. 따라서 타이어에는 가벼운 어떤 압력을 받게되고 암은 상호 인접한 링(55),(50)을 하향이동시키도록 하우징을 압압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고정축(52)는 상부링을 해방시키도록 회동되며, 전술한 미국특허출원 제797,938호에 기술된 핀고정 장치가 암의 하측부에서 하우징과 상부링을 고정시키도록 사용된다.In this bondage position as shown in FIG. 6, the tire T is ready to be loaded and the post cure inflator is ready to be opened and discharged. As shown in FIG. 6, two tires 230, 231 are placed in the post cure inflator. When the tire 230 is retracted, the arm 59 is lowered such that the protrusion 57 on the housing 53 enters the ring 58. Accordingly, the tire is subjected to some light pressure and the arm presses the housing to move the adjacent rings 55 and 50 downward. In this position, the fixed shaft 52 is rotated to release the upper ring, and the pinning device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 No. 797,938 described above is used to fix the housing and the upper ring at the lower side of the arm.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로우더(1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우더 척크가 수축되어 하강된다. 로우더척크가 수축된때 그는 타이어가 아직 정확히 중심이 맞추어져 있지 않더라도 타이어의 상부 비이드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로우더가 제7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팽창되었을 때에, 타이어는 중심(227)과 일치하는 위치로 오게되고, 타이어의 상부 비이드가 슈우(103) 아래로 하강할때 수평위치로 된다.At the same time or independently, the loader 100 is contracted and lowered by the loader chuck as shown. When the loader chuck is retracted he can easily be secured in the top bead of the tire even if the tire is not yet exactly centered. When the loader is inflated as shown in FIG. 7, the tire is brought into a position coinciding with the center 227 and is in a horizontal position when the upper bead of the tire descends below the shoe 103.

타이어가 제7도에서 보인 수평의 중심이 맞추어진 위치에 있게하기 위해, 정지로울러(179)는 제1도에서 보인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182)의 수축에 의해 철회된다. 로우러가 타이어의 중심이 맞추어지고 타이어가 수평으로 유지된때 로우더는 제7도에서 보인위치로 상승되고, 암(59)도 타이어(230)로부터 상부링(55)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승된다.In order to keep the tire in the horizontally centered position shown in FIG. 7, the stop roller 179 is withdrawn by contraction of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182 shown in FIG. 1. When the roller is centered on the tire and the tire is horizontal, the loader is rais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7, and the arm 59 is raised to lift the upper ring 55 from the tire 230. .

제7도 위치에서, 타이어(231)는 팽창된 상태로 남아있는 반면에 타이어(230)는 팽창되어 있지 아니하고 단지 내부링(50)상에 얹혀 있는다. 타이어 보유봉은 타이어의 측벽에 인접하는 제7도 위치로 이동되도록 작동된다. 상부 및 하부 모두를 억제하기 위한 보유봉은 동시에 그리고 독립적으로 작동된다.In the FIG. 7 position, the tire 231 remains inflated while the tire 230 is not inflated and merely rests on the inner ring 50. The tire retention rod is operated to move to a seventh degree position adjacent the sidewall of the tire. The retaining rods for suppressing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perate simultaneously and independently.

제8도에서, 트러니언(40)는, 타이어(230)는 하부에 있고 팽창된 타이어(231)는 상부에 있도록 역전된다.In FIG. 8, trunnion 40 is reversed so that tire 230 is at the bottom and inflated tire 231 is at the top.

도시한 위치의 보유봉(139),(138)은 트러니언으로부터 타이어(230)가 조기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8도의 이러한 역전위치에서, 보유봉(139),(138)은 트레드의 대향위치로 들러나고, 타이어(230)은 배출콘베이어(185)위로 비교적 짧은 거리로 자유롭게 낙하한다. 경사진 배출콘베이어(185) 대신에, 타이어를 옮기기 위한 평범한 콘베이어벨트(235)를 사용할 수 있다.Retaining rods 139, 138 in the illustrated position prevent the tire 230 from falling prematurely from the trunnion. In this inverted position of FIG. 8, the holding rods 139, 138 are lifted to opposite positions of the tread, and the tire 230 freely falls over the discharge conveyor 185 at a relatively short distance. Instead of the inclined discharge conveyor 185, a conventional conveyor belt 235 may be used to move the tire.

타이어(230)이 배출된때 그 타이어는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콘베이어(185)로 굴러 떨어져 정지로울러(236)에 계합되며, 다른 콘베이어로 옮겨지기까지 이러한 위치에 보유된다.When the tire 230 is discharged, the tire rolls down to the conveyor 185 and engages the stop roller 236 as shown in FIG. 1 and is held in this position until it is transferred to another conveyor.

제9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트러니언은 재역전되고 내부링(50)은 타이어(T)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상측으로 향하게 된다. 이 순간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75)는 암(59,95)를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회동되게 철회되어 중심(227)이 중심(228)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93)은, 암(95)를 링(50)의 적당한 계단에 타이어를 배치시키도록 하강시키기 위해 수축된다. 적재척크는 수축되고 암(95)는 그의 최대위치로 상승한다. 그리고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75)는 양암을 제2도 위치로 회동시키도록 연장된다. 피스턴 실린더 조립체(69)는 링(55)를 타이어의 상측 비이드에 착좌시키도록 암(59)을하강시키기 위해 수축되고, 링(50),(55)를 상호 충분히 인접되게 이동시켜, 링들이 모두 고정된때 고정축(52)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고정이 되었을때에, 링(58)은 돌출부(57)로부터 풀려나고 암(59)는 상승된다. 그 암은 다음 적재 및 배출과정이 시작될 때까지 제2도에서 보인 위치로 상승되어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9, the trunnion is reinverted and the inner ring 50 is directed upward to accept the tire T. As shown in FIG. At this moment,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75 is withdrawn to pivot the arms 59, 95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2, causing the center 227 to be moved towards the center 228 side.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93 is then retracted to lower the arm 95 to place the tire on a suitable step of the ring 50. The loading chuck is retracted and the arm 95 rises to its maximum position. And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75 extends to rotate both arms to the second degree position. The piston cylinder assembly 69 is retracted to lower the arm 59 to seat the ring 55 on the upper bead of the tire, and moves the rings 50 and 55 sufficiently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rings When both are fixed, do not disturb the fixed shaft (52). When secured, the ring 58 is released from the protrusion 57 and the arm 59 is raised. The arm is rais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ure 2 until the next loading and unloading process begins.

본 발명의 후경화 팽창기는 적어도 세가지의 선택작동이 제공된다. 타이어는 필요한 경우 후경화 팽창공정없이 후경화 팽창기를 완전히 통과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하다면 다른 공정 또는 검사를 위하여 콘베이어로 배출되기전에 공기냉각을 위하여 타이어를 보류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외측링(55)의 사용은 필요치 않다. 다음, 타이어는 내측링상에 놓여지고 타이어 측벽에 계합하는 보유봉에 의하여 그 위치가 보유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타이어는 내면이 개방되고 공기냉각되도록 보유된다.The post cure inf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three optional actions. The tire may pass through the post cure inflator if necessary without a post cure inflation process, and may also hold the tire for air cooling before being discharged to the conveyor for other processes or inspections, if necessary. In this case, the use of the outer ring 55 is not necessary. The tire is then placed on the inner ring and held in position by a retaining rod that engages the tire sidewalls. In this way, the tire is held so that the inner surface is open and air cool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문제가 되는 "PCI 없음" 결함의 문제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후경화 팽창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후 경화팽창기는 타이어가 운동량을 얻기전에 포착보유하여, 비교적 큰 허용오차범위에서 타이어를 예비 배치한다. 다음, 로우더는 타이어의 중심이 정확히 맞추어지게하여 타이어가 후경화 팽창기의 중앙에 배치되게 한다. 이러한 정확한 센터링에 의해 후경화 팽창기는, 비이드 직경이 상이한 타이어에 적응시킬 수 있도록 교체할 필요가 없는 간단한 밀봉링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st cure inflator that can minimize the problem of problematic "no PCI" defects. The cure inflator then catches and holds the tire before it gains momentum, preliminarily placing the tire in a relatively large tolerance range. The loader then allows the tire to be centered exactly so that the tire is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post cure inflator. This accurate centering allows the post cure inflator to utilize a simple sealing ring that does not need to be replaced to adapt to tires with different bead diameters.

본 발명의 보다 중요한 특징은 후경화 팽창기를 프레스의 후측에 설치하여 조절부품의 교환을 위한 접근이 용이치 아니한 경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더우기 본 발명의 타이어 보유장치에 의해, 타이어 배출이 트러니언의 역전으로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 more importan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ost cure inflator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press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when the access for the replacement of the adjustment parts is not easy. It can be done simply by reversing.

Claims (1)

수직방향으로 분리가능한 척크, 후경화 팽창기로 타이어가 진입되기전에 타이어를 예정된 중심위치에서 어느정도의 여유가 허용되도록 보유하기 위한 수단, 및 타이어를 그 보유 위치로부터 들어올려 타이어가 예정된 중심과 일치되게 한 다음, 그 중심이 마추어진 타이어를 후경화 팽창기와 일렬이 되게 이동시키고 타이어가 후경화 팽창기의 폐쇄전에 그 후경화 팽창기내에 정확하게 놓일 수 있도록 로우더 수단에 의한 타이어의 해방전에 상기 척크들중 하나와 접촉되게 타이어를 배치하는 로우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용 후경화 팽창기.Vertically separable chuck, means for holding the tire to allow some clearance at a predetermined center position before the tire enters the post cure inflator, and lifting the tire out of its holding position to bring the tire in line with the predetermined center Next, the centered tire is moved in line with the post cure inflator and contacted with one of the chucks prior to the release of the tire by the loader means such that the tire can be accurately placed in the post cure inflator prior to closing the post cure inflator. And a loader means for arranging the tires.
KR7900226A 1979-01-26 1979-01-26 Post cure inflator KR8200018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226A KR820001837B1 (en) 1979-01-26 1979-01-26 Post cure inf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226A KR820001837B1 (en) 1979-01-26 1979-01-26 Post cure inf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837B1 true KR820001837B1 (en) 1982-10-13

Family

ID=19210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226A KR820001837B1 (en) 1979-01-26 1979-01-26 Post cure inf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837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9698A (en) Post cure inflator
US4092090A (en) Tire curing system
US4768937A (en) Tire curing press
US4608219A (en) Tire press, loader and method
US2978741A (en) Mechanism for holding and inflating tires after vulcanization
JP4493203B2 (en) Pneumatic tire manufacturing method
US4013186A (en) Tire press unloader
US4447385A (en) Tire press, loader and method
US4338069A (en) Tire press
JPH03101906A (en) Taking-out device of tire of tire vulcanizing machine
US4573859A (en) Apparatus for unloading cured tires from a tire vulcanizing press
CA1106561A (en) Tire curing press
US3229329A (en) Tire curing press and loader therefor
US3343208A (en) Device for removing a pneumatic tire from the curing unit and for postinflating and discharging it
KR820001837B1 (en) Post cure inflator
US6070332A (en) Wheel alignment apparatus
KR100301943B1 (en) Tire vulcanizer
US4124337A (en) Post cure inflator
GB2126153A (en) Apparatus for loading or unloading tires for a tire vulcanizing machine
US4395209A (en) Tire press
US3621520A (en) Post cure inflator
CN111976179A (en) Multilayer multi-mold tire vulcanizing machin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US3924983A (en) Green tire loader
JP2980642B2 (en) Apparatus for loading green tires and / or removing finished tires in a tire heat press
US20070023966A1 (en) Tire bead stretcher and method for holding a green t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