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761B1 - 하역기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하역기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761B1
KR820001761B1 KR7901074A KR790001074A KR820001761B1 KR 820001761 B1 KR820001761 B1 KR 820001761B1 KR 7901074 A KR7901074 A KR 7901074A KR 790001074 A KR790001074 A KR 790001074A KR 820001761 B1 KR820001761 B1 KR 820001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ink arm
cargo
vehic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1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베르그링크 카를
Original Assignee
토마스 베르그링크 카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 베르그링크 카를 filed Critical 토마스 베르그링크 카를
Priority to KR7901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역기의 연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를 갖는 하역기가 제공된 지게차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지게차의 연결장치를 갖는 하역기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하역기가 최하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도.
제4도는 화물 상승작업중의 중간위치에 있는 하역기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최상 위치에 있는 하역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하역기의 연결장치, 특히 독점적인 것은 아니지만 차량용 하역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장치는 링크 아암의 일단부와 타 단부사이의 한 지점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링크 아암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 아암의 일단부에는 화물운반 장치가 제공되고 타단부는 하역작업시에 대략수평직선으로 상기 링크아암의 다른편 단부를 안내하도록 설치된 안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지게차는 특히 운송이나 원료처리분야에서 유용한 차량이다. 지게차에는 보통 포오크 또는 다른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장치에 의하여 차량이 화물을 목적지까지 수직이동시켜 그 화물이 놓인 곳보다 높은 또는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면위에 이 화물을 부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평탄벽에 인접해 있는 화물을 하역하기 위해서, 화물을 직선상승로를 따라 이동시켜야 하고 따라서 화물이동의 제어가 용이해야하며 화물에 의한 경사우력의 발생을 될수 있는 한 피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지게차의 중요한 특징은 자유이동높이가 큰 것에 있는데, 이 높이는 평탄수평면 위에 있는 차가 이 평면위로 차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고 얻을 수 있는 화물높이의 최대수직변위를 의미한다. 이것은 특히 선박과 같은 낮은 천정높이의 경우에 중요한 특징이 된다.
수직상승시키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화물운반장치가 직선형으로 만들어진 신축자재 장치따위를 갖는 레일의 협조로 홈에 안내되도록 한 것이다. 홈에 파인 두 개의 비임이 평행하게 조립되어 프레임구조를 이룬다. 이 프레임구조물위에 적당한 베어링이 제공되어 있고 홈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또 하나의 프레임구조물이 장착된다. 이 프레임구조물에 화물운반장치가 제공되며 적당한 상승력이 가해지며 화물이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에 이 지게차가 화물을 상승시키는 높이는, 다른 프레임구조물 속으로 신축자재하게 장착된 여러개의 프레임구조물을 사용하여 이차의 허용높이를 초과하지 않고서도 증가 될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하역기를 갖는 지게차는 몇가지 불리한 점이 있다. 그중에서 특히, 차량의 상승높이에 비교적 한정적인 요구사항이 있더라도 이 상승높이가 비교적 높다는 것이다. 또 상술한 구조물의 수직화물운반 안내비임은 차운전자의 시야를 가리도록 위치해 있다. 그리고 특별한 변형을 하지 않고서는 상승높이를 알아볼수 없는데, 이 때문에 제조비용을 더욱 증가시키고 운전자의 시야도 해치게 된다. 상술한 프레임구조물은 화물운반장치보다 좁아서, 화물운반장치의 짐싣기가 수직과 수평으로 비대칭적으로 되면 베어링의 마모와 변형을 가저온다. 또 상술한 구조물에서는 차륜에 가해지는 압력의 분산도 양호 하지 않다.
상술한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몇가지 해결책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해결책은 차체의 양측에 위치한 봉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쌍의 봉을 설치한다는 착안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이 봉의 자유단은 화물을 수직이동시키는데에 사용된다. 봉이 견고하면 상기 봉의 자유단은 호형을 그릴것이다. 이러한 것은 흔히 광주리식 하역기에 사용된다. 자유단을 직선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봉의 길이가 변화할수 있도록 봉이 신축자재하게 만들어져야 한다. 고정위치 주위의 회전기능으로 봉의 길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설치된 적당한 제어장치에 의해서 화물이 정확히 또는 거의 직선으로 상승되도록 봉의 자유단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의 시야, 차량의 높이, 차의 화물상승높이는 처음에 설명한 장치보다 상당히 개선되어 있다. 그러나 화물이 대략 수직상승되는 데 필요한 제어장치는 비용이 많고 종종 정확하지 않을 때가 있다. 제어장치의 정확한 기능이 실패하게 되면 화물이 제어 할수없게 떨어져 손상을 가져오고 주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상해를 줄수도 있다. 그리고 신축자재봉은 복잡해서 제조비용이 크다.
어떤 지게차에는 승강 가능한 플랫홈이 제공되어 있다. 플랫홈이 승강하는 방식은 차량에 따라 다양하지만 가장 일반적인 사용방식은 소위 신축자재방식이다. 이 방식에 따르면 한개의 봉에는 일직선상에 있는 세개의 동거리 회전축점이 제공되어 있다. 두개의 봉은 그들 중간 회전축점에서 서로 연결되어 가위형 장치를 위룬다. 한봉의 저위 회전축점은 차량에 부착된다. 다른 봉의 저위 회전축점에는 동륜의 중앙이 이동하는 직선의 기하학적 연장이 최초봉의 회전축의 차량부착점을 횡단하는 방식으로 차량에 장착된 레일을 이동하는 동륜 또는 활주부가 제공되어 있다. 이때 동륜을 이동시키는 봉의 상위회전축점은 동륜의 운동방향과 직각으로 직선이 되게 이동한다. 하나의 신축자재식 장치가 상술한 장치의 자유상위 회전축점에 장착될 수 있고, 또 하나의 신축자재식 장치가 상기한 장치위에 설치될수도 있으며, 이와같이 계속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플랫홈은 조립된 최후의 신축자재식 장치의 자유회전축점들의 하나에 부착된다. 다른 회전축점에는 플랫홈에 장착되어 있고 차량에 장착된 레일과 평행을 이루는 레일위에서 이동하는 동륜이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평행운동형식으로 플랫홈을 수직이동시킬 수 있다. 단 한개의 신축자재식장치가 사용되면, 이 장치는 보통 단일 신축자재식 상승플랫홈이라 불리우고, 복수개의 신축자재장치가 사용되면 복수신축자재식 상승플랫홈이라 불리운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의 불리한 점은 플랫홈이 차량위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차량을 불필요하게 대형화시킨다. 또 화물이 플랫홈의 폭보다 더 크게 상호 이격되도록 특별히 건조한 지탱대위에 놓여지지 않으면 차량자체가 화물을 들어 올릴 수 없다. 또 하나의 약점은 신축자재장치가 다만 차량에 제공된 안내레일의 한측부에만 작동하므로 플랫홈이 차량운전평면까지 하강할수 없다는 점이다. 이러한 본래의 약점들 때문에 이러한 상승플랫홈은 단지 예를들면 작업플랫홈이나 수송비행기의 하역트랩 따위의 유사한 작업에만 이용된다. 그밖에 다른 구조물들이 알려져있지만 이들은 비용이 많고 대형이고 복잡하며 취급특징이 나쁘다는 등의 이유때문에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차량용 하역기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는데, 상기장치는 화물이 연결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지점보다 낮은 높이에서 상기지점의 높은 위치까지 또는 이와 반대로 대략 수직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화물이 승강할때에 안내부에서 회전가능한 링크아암의 단부가 대략 수평이동하는 동안 상기화물이 연결장치의 링크아암의 안내부하부에 있는 높이에서 상기 안내부상부의 높이까지 또는 이와반대로 수직이동할수 있는 방식으로 상승력 동력장치가 연결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점에 있다.
종래의 하역기의 약점들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에 의해 제거된다. 따라서 차량운전자는 방해받지 않는 시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어떤 고정된 화물운반비임이 없기 때문에 자유상승높이는 비교적 높다. 또 하중이 수직안내프레임이 사용될때보다 차륜에 양호하게 분산된다. 화물이 복잡하지 않은 방식으로 수평위치를 유지한다. 또한 운전안정성과 차량의 상승안정성이 이러한 종류의 종래 하역기들에 비해서 개선되어 있다.
본 발명이 더욱 쉽게 이해되고 기타의 특징이 드러나도록 첨부 개략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는 부재들의 참조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제1도는 두개의 이동 아암(3)을 갖는 하역기(2)가 설치되어 있는 지게차(1)을 도시한 것이다. 하역기(2)는 지게차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4, 5)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장치(4, 5)는 차의 정면에 위치한 비임(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 포오크아암(3)도 비임(6)에 장착되어 있다.
제2도는 다른 각도에서 제1도보다 더 확대하여 하역기(2)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연결장치(4, 5)는 차에 설치된 두 개의 수평 안내비임(7)의 각각에 변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안내비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로울러(8)(제2도에 도시되지 않음)은 관형비임(10)의 단부(9)부근에 장착되어 두개의 연결장치의 링크아암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연결장치(4, 5)의 링크(11)은 링크의 한 단부에 각각의 축(12)에 의해 차에 장착되어 있다. 링크(11)은 그 다른 단부에서 축(13)에 의해 관형비임(10)의 돌출부(2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포오크가 통구(15)에 삽입된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네개의 아암들(14)는 가로비임(6)에 장착되어 있다. 연결장치의 링크아암은 상기 아암들과 관형비임(10)으로 구성된다. 포오크지탱대의 회전은 이것이 승강작업시에 수평을 유지하도록 유압식 피스톤실린더장치(도시되지않음)에 의해 조절된다. 상승력을 주는 장치는 차에 장착되어 있고 회전축(18)에 의해 링크(11)의 두개의 설부(舌部)(17)에 연결되어 있는 유압식 피스톤실린더장치(16, 도시되지않음)으로 구성된다. 관형비임(10)의 각각에는 신축자재 아암(19)의 각각이 삽입되어 있다. 가로비임(6)은 이 신축자재 아암에 고정된다.
제3도는 포오크(3)이 지면에 인접해 있을때의 하역기의 작업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링크아암(10, 14)의 기하학적 형태는 이것이 지게차의 차륜주위로 늘어날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장치에 의해 축(15)는 축(12)를 통과할 수 있고 따라서 하역기는 신축자재식하역기처럼 축(15)가 단지 축(12)의 한측부에만 작용할때보다 더욱 큰 전체상승높이를 얻을 수 있다.
제4도는 로울러(8)와 축(12, 13)이 대략 동일수평면에 위치할때의 작업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공지된 구조물에서 이위치는 사점(死點)위치에 해당하지만, 이것은 실린더가 링크(11)의 전회전시에 회전축(12) 주위에 회전우력을 줄 수 있도록 상승실린더(16)이 링크(11)위의 위치 축(18)에 연결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제5도는 최고작업위치에서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점선은 신축자재아암(19)가 늘어나 이 결과 화물이 계속 대략 수직상승될 때 링크아암이 취하는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제3, 4 및 5도(신축자재아암은 들어가있음)에 보인바와 같이 로울러(8)과 축(13 및 15)는 전하역작업시에 상호등거리위치, 즉 축(12와 13)의 사이의 거리가 대략 로울러(8)와 축(13)사이의 거리와 같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컨테이너와 같은 화물을 취급하여 상승시키는데도 이용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하역기는 화물운반장치가 화물의 상층에 연결되는 상승프레임을 가진다. 이러한 화물운반장치에는 포오크대신에 바께쓰나 또는 고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

  1. 프레임과 링크 아암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링크아암에 회전가능 하도록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링크아암의 일단부에는 화물 운반장치가 제공되고, 타단부는 하역작업시에 링크아암의 상기 타단부를 대략 수평직선 적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에서 회전가능 하도록 되어있는 하역기에 있어서, 안내부에 장착된 링크 아암의 단부가 대략 수평이동 함과 동시에 하역 작업중 화물 운반장치를 갖는 링크아암의 단부를 상기 안내부 하부의 위치에서 상기 안내부 상부 위치까지 또는 그 역으로 수직이동시킬 수 있도록 링크가 프레임상의 그 베어링에 대해 회전하게 배치되며 링크상의 중간점과 프레임 사이에 연결된 1개 이상의 선형모우터를 구비한 것이 특징인 하역기의 연결장치.
KR7901074A 1979-04-04 1979-04-04 하역기의 연결장치 KR820001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074A KR820001761B1 (ko) 1979-04-04 1979-04-04 하역기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074A KR820001761B1 (ko) 1979-04-04 1979-04-04 하역기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761B1 true KR820001761B1 (ko) 1982-09-30

Family

ID=1921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1074A KR820001761B1 (ko) 1979-04-04 1979-04-04 하역기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76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3230A (en) Loader/unloader conveyor system
US4010826A (en) Cargo loading vehicles
US3747789A (en) Load handling vehicle
US3589490A (en) Apron transloading device for an air freight transloading station
US5509774A (en) Load clamping apparatus with an increased extent of vertical movement
KR102252870B1 (ko)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농업용 지게차
US3387731A (en) Fork truck
US3998346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JP2790202B2 (ja) 船の荷積―荷下ろし用の貨物転送システムおよび貨物転送手段
US3586183A (en) Container handling vehicle
US6378652B1 (en) Lateral jib for vertical mast mobile elevating work platform
US20110163058A1 (en) Bridge or gantry crane, in particular for handling iso containers
US3313429A (en) 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US4222461A (en) Conveying system with a driven reciprocating load-holding device which is guided in a hollow column
US4441585A (en) Lift mast assembly
US2514052A (en) Industrial truck
EP0362306B1 (en) Cargo conveyor system
KR820001761B1 (ko) 하역기의 연결장치
US2492608A (en) Industrial truck
US3472341A (en) Lift truck with telescopic mast
KR20210026927A (ko) 지게차용 무인운반차
US7350840B2 (en) Lifting device for containers
US3048293A (en) Side-loading counterbalanced industrial lift truck
JP2003500317A (ja) リフトトラック
US4431083A (en) Apparatus for lifting a member using parallelogram mounted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