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734B1 - 판넬로 구성된 해치카바의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판넬로 구성된 해치카바의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734B1
KR820001734B1 KR7702881A KR770002881A KR820001734B1 KR 820001734 B1 KR820001734 B1 KR 820001734B1 KR 7702881 A KR7702881 A KR 7702881A KR 770002881 A KR770002881 A KR 770002881A KR 820001734 B1 KR820001734 B1 KR 820001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nels
hatch
cove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뀌메르망 앙리
Original Assignee
피이, 뵉클리
맥그리거 인터내쇼날 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이, 뵉클리, 맥그리거 인터내쇼날 에스. 에이 filed Critical 피이, 뵉클리
Priority to KR7702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63B19/19Hatch covers foldable
    • B63B19/197Hatch covers foldable actuat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판넬로 구성된 해치카바의 작동장치
제1도는 여러가지 작동장치가 정지위치에 있는 폐쇠위치의 해치카바를 도시하는 입면도.
제2도는 2개의 처음 카바판넬이 부분적으로 접힌 제1해치 카바 개방상태를 도시하는 입면도.
제3도는 2개의 처음 카바판넬이 완전히 접힌 제2패치카바 개방상태를 도시하는 입면도.
제4도는 2개의 마지막 판넬이 접힌 위치에 있는 마지막 해치카바 개방상태를 도시하는 입면도.
제5도는 제1작동장치가 작동되고 제2작동장치가 정지위치에 있는 2개의 처음 카바판넬을 잡는 제1및 제2작동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입면도.
제6도는 2개의 처음 카바판넬을 완전히 접힌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작동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입면도.
제7도는 정지위치에 있는 2개의 마지막 카바판넬의 제3작동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입면도.
제8도는 제3동작 장치가 2개의 마지막 카바 판넬위에서 작동된 후에 도시된 입면도.
제9도는 제8도의 화살표 Ⅸ방향의 측면도.
제10도는 제2작동장치 없이 2개의 처음 카바판넬이 완전히 접히는 장점을 제공하는 해치카바의 2개의 마지막 판넬의 제3작동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입면도.
제11도 내지 제14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는 다른 제3작동 장치의 제3실시예에 따라 카바판넬이 접히는데 필요한 여러가지 단계를 각기 도시하는 입면도.
본 발명은 선박, 차량, 건물등에 사용할수 있는 해치카바를 작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해치카바(hatch cover)가 해치 개구주위의 문틀위에 카바판넬이 놓여지는 해치폐쇄 위치와 상기카바 판넬이 서로 인접하여 평행하게 접히는 해치 개방위치 사이에서 작동되기에 적당한 몇개의 카바판넬로 나누어 질수 있었다.
공지된 여러가지 해치 카바 작동장치는 유압 또는 공기작동기 또는 유체 작동실린더 및 체인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장치는 결점을 지니며 이들 결점은 본 발명에서 개선된다.
이러한 결점중의 하나는 체인을 설치한 장치들은 해치 문틀의 2개의 상호 마주보는 측벽에 해치카바 외부로 설치되어 문틀 측벽을 따라 세로의 자유공간을 제공해야 하는 것인데 이는 이러한 체인 장치가 문틀 측벽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이러한 체인장치는 비교적 복잡하다.
또한, 작동기를 사용하는 다른 장치에서는, 상호 마주보는 해치 문틀측벽의 외부면이 자유로우나 이러한 장치는 해치카바판넬위로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이것이 유압장치인 경우에는 해치의 둘레에 위치된 선박적재물에 불리한데 이는 기름의 누출이 이러한 유압장치에서 발생되어 적재물을 손상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형태의 결점을 제거하고 해치의 주변의 측과 해치의 한단부에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바판넬이 해치개구주위의 문틀위에 놓이고 공통평면에 위치되는 처음 해치폐쇄 위치와 카바판넬이 평행한 위치에서 서로 인접하게 접하는 해치 개구접철 위치사이로 서로 지지되게 연결된 최소한 3개의 연속적인 카바 판넬로 구성된 형태의 해치 카바를 작동시키는 작동장치를 지니며 이러한 장치는 2개의 처음 카바판넬을 부분적으로 접는 제1유압작동 장치와 제3카바 판넬을 접는 유압작동 장치를 지니며 최소한 하나는 힌지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레버가 제2 및 제3카바 판넬의 로울러가 이동하는 문틀 상단부 레일 또는 바아에 의해서 제공되는 륜딩 트랙외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여러가지 작동장치가 해치 개구 외측에 위치된 유압 또는 공기 작동기 또는 유체작동 실린더에 의해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은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설명으로 부터 더욱 명백해 진다.
제1도 및 4도는 작동장치가 해치카바1이 폐쇄위치에서 위치되는 문틀(5)의 하나의 단부벽을 지나서 어코디언과 같이 접철가능하도록 서로 힌지 연결된 4개의 카바판넬 1a, 2a, 3a 및 4a로 구성되는 해치카바 1의 개방을 보장하게 작동되는 여러가지 상태를 도시하는 입면도이다.
이들 도면에는, 해치카바를 작동시키는 여러가지 작동장치, 즉 제2도에 도시된 카바판넬1a, 2a를 부분적으로 접는 제1작동장치6, 제3도에 도시된 카바판넬(1a, 2a)를 완전히 접는 제2작동장치 7 및 제4도에 도시된 카바판넬(3a)및 (4a)를 접는 제3 작동 장치(8)이 도식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작동장치는 공기 또는 유압작동기 또는 유체작동 실린더로 구성되며 하기에 상세히 설명된다.
판넬(1a) 및 (2a)를 작동하는 제1 및 제2작동장치는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1작동장치 6은 해치 문틀의 단부벽 11을 지나 설치된 한쌍의 작동기(10)(단지 하나만이 도시됨)을 지닌다. 특허, 제1작동 장치(6)은 격실(12)속에 위치되고 격실의 측벽은 문틀(5)의 측벽 연장부속으로 연장되고 격실은 제1작동장치(6)과 작동되는 카바판넬(1a)사이의 기계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구멍이 설치된 상부판(13)에 의해서 덮여있다. 각각의 작동기(10)은 상기의 격실속에 위치된 수직판( 도시안됨)의 중간부를 통하여 격실 (12)의 벽에 고정되는 수평판(16) 주위에서 피봇트되는 피스톤 로드(15)와 마주보면 실린더(14)의단부를 지닌다. 각각의 작동기(10)의 피스톤 로드(15)의 자유단은 예들들면 u자형링크, 요우크( 도시안됨)등의 중간부를 통하여 카바판넬(1a)에 의해서 지지되는 수평핀(17)주위에서 피봇트된다. 판넬(1a)는 해치의 연장부속으로 연장하는 격실(12)의 상부판(13)에 고정된 예를들면, 2개의 (u) 자형링크( 도시안됨)에 의해서 지지되는 수평핀(18)주위에서 피봇트된다.
피봇트핀(16), (17) 및 (18)은 문틀(5)의 측벽에 수직한 평면에서 판넬을 접기위하여 문틀 단부벽(11)과 하단판넬의 다른 피봇트핀과 평행하다.
제5도 및 6도를 참조하면, 제2작동장치(7)은 문틀(5)의 상호 마주보는 측벽의 외부로 평행하게 각기 설치된 한쌍의 작동기(20)(단지 하나만이 도시됨)을 지닌다. 각각의 작동기(20)은 피봇트핀(16),(17)및(18)과 평행하고 문틀(5)의 측벽에 고정된 u자형링크(42)에 의해서 지지되는 수평핀(41)주위에서 피봇트되는 피스톤로드(22)와 마주보는 실린더(21)의 단부를 지니다. 각각의 작동기(20)의 피스톤로드(22)의 단부가 피봇트핀(24)의 중간부를 통하여 직선링크(23)의한단부에 힌지되게 연결된다. 제2링크(25)는 피봇트핀(24)근처에 평행하기 위치된 피봇트핀(26)에 의해서 제1링크(23)에 힌지되게 연결되어서, 작동기(20)은 링크(23)과 (25)를 동시에 모두 작동시킨다.
링크(23)및 (24)의 자유단의 연결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제5도 및 6도를 참조하면, 문틀(5)의 상호마주보는 측벽의 각각의 상부에 설치된 각각의 문틀레일 또는 바아(27)를 따라서 해치카바(1)을 위한 롤링트랙 또는 주행로가 롤링트랙 또는 주행로(29)로서 사용되는 상부표면을 지니는 상승램프(28)에 의해서 문틀(5)의 단부벽(11)을 지나 연장된다. 각각의 램프(28)에 평행하게 부재(30)이 외부로 고정되며, 이러한 부재는 램프(28)의전장으로 연장하며 그로부터 떨어져서 각각의 작동기(20)과 상응한 링크(23) 및 (25)가 각각의 부재(30) 및 각각의 램프(28)사이의 공간을 통과한다.
각각의 링크(23)의 자유단은 각각의 실린더리의 수평 피봇트핀(24)와 평행하며 부재(30)에 의해서 지지되는 고정수평핀(31)주위에서 피봇트된다. 각각의 링크(25)의 다른 단부는 3각형부재 (32)에 힌지되게 연결된다. 특히, 각각의 링크(25)의 다른 단부가 3각형부재(32)의 하나의 정점 근처의 수평핀(33)주위에서 선회된다. 3각형부재(32)의다른정점에는 피봇트핀(33)과 평행한 수평안내핀(34)가 설치되며 핀(33) 및 (34)모두는 연결된 램프(28)의 롤링트랙(29)와 평행하게 부재(30)속에서 기계 가공된 슬로트(35)속에서 결합된다. 3각형부재(32)의 제3 정점에는 핀(33) 및 (34)와 평행한 핀 (36)이 설치되며 그 작용은 이후에 설명된다. 모든 3개의 핀(33), (34) 및 (36)은 3각형 부재(32)에 수직하고 그 측면으로 부터 돌출한다. 각각의 3각형 부재(32)는 각각의 부재(30)과 램프(28)을 분리시키는 상응한 공간 속에서 설치되어서 핀(33)및 (34)는 부재(30)속의 결합 슬로트(35)속에서 미끄러진다.
카바판넬(2a) 및 (3a)는 카바판넬(1a)의 피봇트핀(18)과 평행한 수평 피봇트(37)에 의해서 서로 힌지되게 연결된다. 제5도 및 6도에 도시되듯이, 카바판넬(2a)는 결합 문틀바아 또는 레일(27) 및 램프(29)위에서 구르는 휠 또는 로울러(39)를 그 단부에서 지지하는 2개의 아암(38)에 의해서 횡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아암(38)은 연결된 3각형부재(32)의 핀(36)을 수용하는 홈(40)은 그 단부를 향하여 설치한다. 이후에 도시되듯이, 이러한 연결이 카바판넬(2a)가 카바판넬(1a)에 대해서 완전히 접히게 하며 3각형 부재(32)의 핀(33) 및 (34)는 결합 슬로트(35)속에서 이동한다.
카바판넬(3a) 및 (4a)를 상승시키는 제3작동장치는 제7도 내지 9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3작동장치(8)은 격벽(12)속에 위치하는 제1작동장치의 2개의 작동기(10)에 각기 인접한 격실(12)속에 설치된 2개의 작동기(50)(단지 하나만 도시됨)을 지닌다. 작동기(50)의 각각의 실린더(51)은 제1 및 제2작동장치(6), (7)의 작동기 (10) 및 (20)의 실린더(14) 및 (21)의 피봇트 핀(16) 및 (41)과 평행한 수평핀(52) 주위의 중간부분에서 피봇트된다. 피봇트핀(52)는 격실(12)의 측벽과 격실속에 설치되고 측벽과 평행한 내부핀(53)에 의해서 지지된다. 각각의 피스톤로드(54)의 단부는 상기 격실의 상부판(13)속에 제공되고구멍(55)를 통하여 격실(12)외측으로 돌출하고 u자형링크(27)을 지지하는 핀 주위에서 피봇트된다. 피봇트핀(56)과 u자형링크(57)의 한측면주위로 그 중앙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2개의 곡선 링크(58)의 단부가 피봇트된다. 링크의 다른단부는 피봇트핀(56)과 힌지되게 연결된 여러 카바판넬과 평행하게 수평핀(59)주위에서 피봇트된다. 피봇트핀(59)는 격실(12)의 상부판(13)에 고정된 고정 u자형링크(60)에 의해서 지지된다. 카바판넬(3a)의 하부면위에 각각의 작동기(50)에 대해 이후에 설명되듯이 판넬(3a)가 완전히 상승하면 링크(58)위로 연장하는 피봇트핀(56)과 결합하도록 카바판넬(3a)의 종측에 평행하게, 즉 해치카바 (1)의 세로의 개방 및 폐쇄방향으로 위치되는 2개의 고리부(61)이 설치된다.
제3 작동장치(8)의 제2실시예는 제10도를 참조로 설명된다. 이러한 장치는 격실(12)속에 설치되고 격실(12)의 2개의 측벽에 각기 고정된 2개의 u자형링크에 의해서 지지되는 수평피봇트 핀(72)주위의 피스톤로드(74)와 마주보는 단부에서 피봇트되는 실린더(71)을 지니는 한쌍의 작동기(70)(단지 하나만 도시됨)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피스톤로드(74)는 피봇트핀(72)와 평행한 수평핀 주위의 굽혀진 중간부 재(73)의 단부에서 피봇트된다. 중간부재(73)은 고정 피봇트핀(75)주위의 굽힘부의 높이로 피봇트된다. 중간부재(73)의 다른 단부는 작동기가 작동되는 동안에 카바판넬(3a)를 눌러서 카바판넬(3a) 및 (4a)를 상승시도록 카바판넬(3a)로 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부재(76)과 접촉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해치카바(1)을 작동하는 장치의 작동이 여러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해치카바(1)이 폐쇄되면, 즉 카바판넬(1a), (2a), (3a), (4a)가 해치문틀(5)위에 놓인 위치에서부터 시작하면, 카바판넬(1a), (2a)는 제1작동장치(6)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상승되기 시작한다. (제2도에 도시된 위치) 제5도를 참조하면, 제1작동장치(6)은 작동하며, 즉 유압이 2개의 작동기(10)에 가해진다. 작동기의 정지위치가 제5도의 쇄선으로 도시된다. 작동기(10)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카바 판넬에 고정된 피봇트핀(17)을 통하여 카바판넬(1a)를 피스톤로드(15)가 그 단부로 연장하게 밀어대게하고 카바판넬(1a)는 격실(12)의 상부핀(13)에 의해서 지지되는 피봇트핀(18) 주위에서 회전된다.
제1작동장치(6)이 일단 작동되면, 제2작동장치(7)은 카바판넬 (1a), (2a)를 해치의 평면에 수직하고 서로 평행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카바판넬(1a), (2a)를 완전히 접는 작용을 한다. (제3도에 도시된 위치)제5도를 참조하면,제2 작동장치가 정지위치에서 도시된다. 작동기(20)의 로드(22)가 철수되고 링크(23) 및(25)가 서로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나 반면에 3각형 부재(32)는 카바판넬(1a)로 부터 가장 멀리 위치된 슬로트(35)의 단부에 위치된다. 이때에 카바판넬 (3a)및(4a)는 문틀레일(27)위를 구르고 카바판넬(2a) 및 (3a)사이의 로울러(39)는 램프(28)위에 위치되어서 카바판넬(3a)는 약간 상승한다.
압력이 동력실린더(20)에 가해지면, 로드(22)가 링크(23) 및 (25)에 작동하여 각각의 3각형부재(32)의 2개의 핀(33) 및 (34)가 링크(23) 및 (25)의 시이소오 작용하에서 상응한 슬로트(35)속에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이동중에, 삼각형 부재의 각각의 핀(36)은 카바판넬(2a)에 연결된 상응한 아암(38)의 각각의 홈(40)속으로 이동하여서 3각형 부재가 각각의 슬로트(35)를 따라서 이동될때 상기카바판넬을 롤링트랙(29)위에서 상부로 구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중에, 링크(23) 및 (25)는 서로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제6도는 제2작동장치(7)이 작동한 후의 카바판넬(1a) 및 (2a)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시되듯이, 링크(23) 및 (25)가 서로 일직선으로 배치되면 3각형 부재(32)는 결합 슬로트(35)의 다른단부에 도달하고 카바판넬(3a) 및 (4a)는 이들이 램프(29)와 문틀레일(27)을 따라 각기 위치되더라도 서로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카바판넬(3a) 및 (4a)가 접히게 하는 제3작동장치(8)의 작동이 제7도 내지 9도를 참조로 설명된다. 제7도에는, 이러한 판넬은 정지위치에서 도시되고 작동되기 위해서 준비상태에 있다.
카바판넬(1a) 및 (2a)가 접힌 후에, 카바판넬(3a)와 결합된다. 특히, 압력이 작동기(50)에 가해져서 U자형링크(57)의 각각의 기저요소부의 외부면이 카바판넬(3a)의 하부면과 접촉한다. 일단 이러한 접촉이 일어나서 압력이 계속작동기(50)에 가해지면, 피스톤 로드(54)가 카바판넬(3a)를 들어올리고 U자형링크(57)이 상기 카바판넬과 미끄럼 접촉한다. U자형링크(57)의피봇트핀(56)이 고정핀(59)주위에서 피봇트도는 다른단부를 지니는 링크(58)의 단부속에서 힌지되게 피봇트되기 때문에, 링크(58)은 수직방향으로 원호를 따라 이동되어서 카바판넬(3a)가 피봇트핀(37)주위의 원호로 상승되며 U자형링크(57)이 카바판넬(2a)의 단부면에 인접한카바판넬(3a)의 단부면위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딩 슈우로서 작동한다. 카바판넬(3a) 및 (4a)가 완전히 접혀서 도시되는 제8도에서 알 수 있듯이, 카바판넬(3a)에 고정된 고리요소부(61)이 자U형링크(57)의 피봇트핀(56)과 결합하여서 카바판넬이 제위치에서 신뢰성 있게 유지된다.
물론, 카바판넬(3a)위에서의 제3작동장치(8)의 작동은 카바판넬(3a)에 대해서 접히게 단부카바판넬(4a)를 밀어낸다. 일단 제4도에 도시된 위치에 이르면 압력이 베1 및 제2 작동장치(6,7)로부터 제거되고 단지 제3작동장치(8)에만 가해져서 유지되며 제3 작동장치(8)만이 해치의 둘레의 외측에 접힌 위치로 격실(12)위에 카바판넬을 유지시킨다.
제3작동장치(8)의 제2실시예의 작동은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카바판넬(1a) 및 (2a)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접혀진다. 카바판넬(3a) 및 (4a)를 기위해서, 압력이 작동기(70)에 가해져서 각각의 중간부재(73)이 고정피봇트핀(75)주위에서 피봇트되고 상응한 피스톤로드(74)에 힌지되게 연결된 단부와 마주보는 중간부재(73)의 단부가 카바판넬(3a)의 한측면으로 부터 돌출하는 상응한 하나의 요소(76)과 접촉한다. 일단 이러한 접촉이 이루어지면, 작동기(70)의 작용은 카바판넬(3a)와 카바판넬(4a)를 접히게 한다. 요소부(76)은 중간부재(73)의 단부가 상기요소부와 슬라이딩 접촉하기 때문에 예정된 길이를 갖아야 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제3 작동장치(8)의 상기형태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중간요소부(73)이 U자형링크(57)과 링크(58)이 유사하게 작동한다.
이러한 형태의 실시예에서, 제2작동장치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사실상, 일단 제1작동장치가 부분적으로 2개의 처음 카바판넬을 접도록 작동되면 제3작동장치의 구조물은 2개의 마지막 카바판넬을 접고 동시에 작동기(70)의 로드(74)의 이동말기에는 제2판넬에 대한 제3판넬의 반작용으로 인하여 2개의 처음 카바판넬을 접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제2작동 장치가 제11도 내지 14도의 실시예에서 도시되듯이 필요없으며 따라서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치카바(1)의 작동장치가 문틀의 측벽을 따라 제공된 세로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않고 유리하게 해치의 둘레 외측에 위치되게 한다. 따라서, 사고의 위험성이 감소된다.
이러한 작동장치는 해치둘레에 어떠한 유압장치도 없기 때문에 종이와 같은 물품을 운반하는 경우에 오일누출에 의해서 종이가 손상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물론, 이러한 작동장치는 선박용 해치와는 다른 카바판넬에서도 사용가능하며 지상 건물에서도 사용될수 있다.
제11도를 참조하면, 해치문틀(115)의 상부와 평행하게 위치된 4개의 판넬(111), (112), (113) 및 114)를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해치카바(110)이 도시된다. 저장소(120)은 해치문튼(115)의 오른쪽끝에 인접한 갑판(125)위에 위치된다. 편외상, 이러한 4개의 판넬(111), (112), (113) 및 (114)는 각기 저장소(120)으로부터 제1, 제2, 제3 및 제4판넬로 참조된다. 제1, 제2 및 제3판넬(111),(112) 및 (113)의 각각을 힌지부재(116)(110) 및 (118)에 의해서 인접한 판넬에 힌지되것 연결된다. 제1판넬(111)은 그 곳으로부터 오른쪽 단부로 연장하는 아암(101)을 설치한다. 아암(101)은 수평핀(123)에 의해서 그 외단부에서 갑판(125)위의 브래킷(112)에 피봇트되게 연결된다. 유압실린더(103)과 같은 작동장치는 피봇트핀(122)에 의해서 갑판(125)에 연결된 하나의 단부와 제1판넬(111)이 피봇트핀(122)주위로 피봇트 되도록 피봇트핀(119)에 의해서 갑판에 연결된 다른단부를 지닌다. 4개의 판넬(114)는 해치문틀(115)의 상부위의 레일( 도시안됨)을 따라서 구르는 로울러(126)을 설치한다. 또한, 제2 및 제3판넬(112), (113)은 유사한 로울러( 도시안됨)을 각기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치카바(110)이서는, 예정된 길이의 위치바아(104)는 제2 판넬(112)에 인접한 단부면(128)위의 제3판넬(113)위에 설치된다. 하나의 위치바아(104)는 제3판넬(113)의 각각의 측면에 제공되며 단부면(128)에 수직하게 연장한다. 제12도에 도시되듯이, 제1 및 제2판넬(111), (112)가 작동장치(103)의 작동에 의해서 수직의 저장위치가 되기전에 수직한 A형 구조로 일어서면 제3 판넬(113)이 해치문틀(115)의 상부위에 레일을 따라서 상부로 끌러가고 저장소(120)에 접근한다. 동시에, 위치바아(104)의 오른쪽 단부는 예정된 위치의 갑판(125)위에 설치된 정지 포스트(105)와 맞닿는다. 제2도에 도시되듯이 A형태로 제1 판넬(111)과 함께 일어서는 제2판넬(112)가 중력에 의해서 힌지부재(116)주위에서 화살표 A로 도시된 방향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나 제1 및 제2판넬 (111), (112)사이의 각이 판넬(113) 및 (114)의 관성과 해치문틀 위의 이러한 판넬과 레일의 마찰작용으로 예정된 값에도달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위치바아(104)의 길이와 정지 포스트 5의 위치가 위치바아(104)가 각 α가 상기에 언급된 예정값이 도달되기전에 정지 포스트(105)와 접촉하에 선택된다. 즉 위치바아(104)는 제2판넬(112)가 힌지(116)주위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트되게 공간을 지니는 지점에서 정지 포스트(105)와 접촉한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제2판넬(112)가 후슬되는 회전레바(106)에 의해서 작동되는 제3판넬(113)의 작동에 의해서 제1판넬(111)에 대한 접철작동을 돕는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해치카바(110)은 갑판에 피봇트되게 연결된 예정된 길이의 회전레바(106)을 각 측면위에 설치한다. 회전레바(106)은 피봇트핀(124)에 의해서 갑판(125) 또는 해치문틀(115)위에 설치되는 적당한 지지부재에 피봇트되게 연결되는 하나의 단부를 지닌다.
하나의 단부가 피봇트핀(121)에 의해서 갑판(125)에 연결되고 다른단부가 피봇트핀(109)에 의해서 그중간 위치에서 회전레바(106)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107)과 같은 다른 작동장치가 회전레바(106)이 피봇트핀(124) 주위에서 피봇트되게 제공된다.
제12도에 도시되듯이, 스터드(108)은 위치바아(104)가 설치되는 단부와 마주보는 단부 근처에서 각각의 측면위의 제3판넬(113)위에 설치된다. 회전레바(106)이 작동장치(107)의 작동에 의해서 피봇트핀(124)주위에서 화살표 B에 의해서 도시된 방향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레바(106)은 제3판넬(113)위의 스피드(108)과 결합하며, 제3판넬은 저장소(120)에 인접한 위치로 당겨지며 위치바와(104)는 정지포스트(105)와 접촉하고 회전레바(106)은 제3판넬(113)이 제13도에 도시되듯이 인지부재(117)주위에서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4도에서 도시되듯이 인지부재(117)주위에서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4도에서 도시되듯이 저장소(120)에서 제2판넬 위에서 접히게 한다. 이때에, 회전레바(106)은 힌지(117)을, 즉 제1판넬(111)을 향하여 제12도의 제2 판넬(112)의 하단부를 밀어대어서 제2판넬(112)가 제1판넬(111)에 대해 완전히 접히게 한다.
따라서, 회전레바(106)은 제2판넬(112)에 대한 제3판넬(113)뿐만 아니라 제1 판넬(111)에 대한 제2판넬(112)도 저장소(120)에서 접는다. 제1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모든 판넬의 접철 상태에서 4개의 판넬(114)가 제3판넬(113)의 상부위에 힌지(118)로 부터 현가되며 제3판넬은 수직하게 일어서고 로울러(126)은 램프(127)과 결합하는 하단부위에 제4판넬(114)위에 설치된다. 모든 판넬(111), (112), (113) 및 (114)는 저장소(120)에서 모두 접철되고 체결와이어( 도시안됨)에 의해서 적당한 지지 포스트부재( 도시안됨)에 체결되며 회전레바(106)은 제11도에 도시된 수평위치로 되돌아간다.
해치문틀(115)가 닫힐때는, 먼저 제14도에 도시되듯이 저장소(120)에 함께 접철된 해치카바(110)으로부터 체결와이어가 풀리고 제3판넬(113)이 힌지부재(117)주위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동시에 제4판넬(114)의 하단부의 로울러(126)이 램프(127)을 따라서 구르며, 따라서 제3및 제4판넬(113, 114)의 하단부가 A형으로 펴지게 되고 판넬(113) 및 (114)가 제13도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제3 판넬(113)위에 설치된 위치바아(104)는 제13도에 도시된 것같은 상태에서 정지 포스트(105)와 접촉하며 위치바아(104)의 외단부가 정치포스트(105)와 접촉하는 지점(129) 주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힌지부재(117)이 제13도의 위치로부터 왼쪽으로 당겨져서 제1 및 제2판넬(111) 및 (112)의 하단부가 A형으로 펴져서 해치의 폐쇄작동을 향상시키고 모든 판넬(111), (112), (113) 및 (114)가 제12도에 도시된 상태로 놓인다. 이때에, 작동장치(103)은 제11도에 도시되듯이 해치개구를 폐쇄시키기 위해 해치문틀(115)의 상부에 판넬(111) 및 (112)를 펼치게 작동된다.

Claims (1)

  1. 카바판넬이 평행한 위치로 서로에 인접해서 접히고 2개의 처음카바 판넬을 부분적으로 접는 제1 유압작동 장치(6)와 최소한 하나의 관절레바(58)를 지니는 제3카바판넬을 접는 작동유압장치(8)를 지니는 카바판넬이 해치개구를 둘러싸는 문틀위에 같은 높이로 배열되게 놓이는 제1해치폐쇄 위치와 해치 개구의 한단부의 접철위치사이에서 서로 힌지되게 연결되는 최소한 3개의 연속적인 카바판넬로 구성또는 형태의 해치카바를 작동하는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 제1작동장치(6)가 그 피스톤 로드의 자유단에서 제1카바판넬에 피봇트 되게 직접 연결되고 제3카바 판넬을 접는 상기레바(58)가 접철작동중에 제2 판넬과 인접한 제3판넬의 단부와 결합하며 상기의 2개의 작동장치가 저장공간 아래의 격실(12)속에 위치되고 문틀측벽에 의해서 문이 인접한 그 단부에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카바의 작동장치.
KR7702881A 1977-12-09 1977-12-09 판넬로 구성된 해치카바의 작동장치 KR820001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881A KR820001734B1 (ko) 1977-12-09 1977-12-09 판넬로 구성된 해치카바의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881A KR820001734B1 (ko) 1977-12-09 1977-12-09 판넬로 구성된 해치카바의 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734B1 true KR820001734B1 (ko) 1982-09-27

Family

ID=1920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881A KR820001734B1 (ko) 1977-12-09 1977-12-09 판넬로 구성된 해치카바의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71886A (zh) * 2022-07-01 2022-09-20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围口移动盖及其船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71886A (zh) * 2022-07-01 2022-09-20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围口移动盖及其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207392A3 (ru) Судова аппарель
US5815988A (en) Expandable retractable portable structure
EP1079787B1 (en) Wheelchair lift with foldable platform
US4121695A (en) Hydraulic wheelchair lift
US4193439A (en) Device for operating hatch covers or the like composed of panels
US4168134A (en) Vehicle doorway lift
GB2112449A (en) Device for operating a sliding door
US20080184500A1 (en) Bi-Fold Wheelchair Ramp
KR820001734B1 (ko) 판넬로 구성된 해치카바의 작동장치
JPS6141796B2 (ko)
PL121012B1 (en) Vessel cover arrangement
NO155531B (no) Folderampe, saerlig for kjoeretoeyer.
US6905154B1 (en) Universal room extension
US5005629A (en) Compact curtain for the closure of passages
US2906324A (en) Hatch cover actuator
US3467164A (en) Cover for a part vertical,part horizontal opening
US3362460A (en) Cam controlled folding closure
US3224491A (en) Hatch cover system
US3090429A (en) Flap cover devices for closing open spaces such as shiphold hatchways, railway cars, and the like
KR820001756B1 (ko) 가동램프의 신축장치
EP0461448B1 (en) Roof of a railway wagon
US3422877A (en) Flush deck hatch cover assembly and movable pivot mount therefor
SU116939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крывани и закрывани ворот
FI20205135A1 (fi) Rahtilaivan lastiluukkujen operointimekanismi
SU742192A1 (ru) Рельсовый пут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