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707B1 - 핀쇄정 공구 지지구 - Google Patents

핀쇄정 공구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707B1
KR820001707B1 KR7901378A KR790001378A KR820001707B1 KR 820001707 B1 KR820001707 B1 KR 820001707B1 KR 7901378 A KR7901378 A KR 7901378A KR 790001378 A KR790001378 A KR 790001378A KR 820001707 B1 KR820001707 B1 KR 820001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blade
hole
tool support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 에릭슨 로버트
제이. 후리들린 어니스트
떠블유. 워렌 도날드
Original Assignee
제이 떠블류. 르위스
케나메탈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떠블류. 르위스, 케나메탈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제이 떠블류. 르위스
Priority to KR7901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핀쇄정 공구 지지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구 지지구와 상부클램프의 사시도.
제2,3 및 4도는 제1도의 공구 지지구의 전방부의 수직 부분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캠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한 측면에 대해서 회전되는 클램프를 지니는 제1도의 공구 지지구의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구 지지구의 평면도.
본 발명은 절삭작업중에 심은 날(imsert)을 착탈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인덱스 가능한 심은날 수용 포케트를 지니는 공구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공구 지지구는 심은날 수용 포케트의 저부를 통하는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긴 핀부재가 상술한 구멍속에 배치되어 있다. 핀의 상단부는 포케트의 영역속에 들어가서 고정될 심은날 속의 중앙구멍속에 들어간다. 핀의 상단부는 중앙구멍과 결합하고, 또한 공구 지지구의 포케트의 측벽에 심은날을 고정시키도록 이동된다.
그와 같은 공구 지지구의 예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3,488,822호가 있다. 이러한 형태의 공구 지지구의 다른 예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3,792,516호, 제3,316,616호, 제3,889,332호, 제3,579,776호, 제3,491,421호, 제3,355,786호 및 제3,469,296호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심은날을 인덱스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심은날 수용 포케트를 지닌 개량된 공구 지지구가 도시된다. 포케트는 포케트의 저벽을 통하여 공구 지지구에 뻗어있는 구멍이 있는 저벽 및 측벽을 가지고 있다.
핀은 상술한 구멍에 위치되는 하나의 단부와 포케트의 영역속에 뻗어있고 심은날의 중앙구멍과 결합하는 다른 단부를 지닌다. 핀은 상술한 구멍의 측벽과 꼭맞는 그의 단부 사이에 그의 영역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면에 이 영역의 마주보는 측벽에 있는 핀의 부분은 핀이 영역주위로 구멍속에서 기울어질수 있도록 구멍에 틈새를 가지고 있다.
요홈이 공구지지구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멍속에 위치된 핀의 일단부 가까이에 있는 구멍과 연통하고 있다. 구형요소, 바람직하게는 볼(ball)이 효홈속에 위치되고 그 하나가 핀의 일단부와 접촉하고 있다. 핀은 한단부의 원주 주위에 홈이져 있고 이 홈은 요홈속에 위치한 구형 요소의 일부분과 결합한다. 이러한 구형요소가 홈이 형성된 단부의 결합은 심은날이 포케트 속에서 고정되지 않을때 공구 지지에 핀을 고정시키는 것을 돕는다.
구형요소를 이동시키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핀은 구멍 속에서 기울어지고 핀의 다른 단부는 포케트속에 절삭 심은날을 고정시킨다.
구형요소를 이동시키는 장치는 핀의 일단부와 접촉하는 상술한 구형 요소를 캠고정시키고 구형요소를 클램프 위치로 경사지게 하는 제1위치를 지니는 캠장치를 지닌다.
구형요소가 핀의 일단부와 캠접촉 상태에 있지 않고, 핀이 포케트속에 심은날을 고정시키지 않는 제2위치를 지닌다.
캠장치는 공구 지지구의 구멍속에 위치되고 요홈은 구멍과 연결되어 있다. 특히, 캠장치는 구멍속에서 직선으로 미끄러지며 핀을 클램핑 위치로 경사지게 하는 제1위치와 상술한 핀을 클램핑 위치로 부터 경사져 나오게하는 제2위치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목적은 공구 지지구의 포케트에 절삭 심은 날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구 지지구의 포케트에 절삭 심은 날을 교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빨리 작동되고 효과적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구 지지구의 포케트에 절삭 심은날을 간단하고 신속히 그리고 정확하게 설치하며, 변경될 수 있는 클램핑힘으로 심은날을 고정시키는 공구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전단부에 심은날 수용 포케트(12)를 지닌 공구 지지구(10)를 도시한다. 심은날 수용포케트(12)는 저벽(14) 및 측벽(16)을 가지고 있다. 심은날(18)은 심은날 수용포케트(12)에 안치되고, 통상 포케트(12)속에 안치되는 삽입부재(20)을 지닌다.
심은날(18)에 중앙구멍(34)이 도시되어 있고, 상부 클램프 부재(24)는 심은날(18)의 상부에서 아래로 누르며 도시된다.
제2도에서 본 발명의 클램프 장치가 절단면으로 도시된다. 핀 요소(26)는 심은날 수용 구멍(28)속에 위치되어 도시되며 심은날 수용 구멍(28)은 심은날 수용 포케트(12)의 저벽(14)을 통하여 공구 지지구 하방으로 뻗어있다.
삽입부재(20)은 심은날(18)을 지지하게 되시되며 삽입부재(20)는 포케트(12)의 저벽(14)과 확실하게 접촉되어 있다. 핀 요소(26)는 구멍(28)속에 위치된 하나의 단부(30)와 포케트(12)영역에 까지 연장하고 심은날(18)의 중앙구멍(34)과 결합하는 다른 단부(32)를 지닌다.
요홈(36)이 공구 지지구(10)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멍(28)과 연통하고 있다. 핀 요소(26)의 저단부(30)는 홈(38)을 지니며, 요홈(36)은 홈(38) 또는 핀요소(26)가 홈져있지 않으면 핀요소(26)의 저단부(30)과 연결된다.
구형요소(40)가 요홈(36)속에 캠요소(42)와 접촉하게 위치되어 있다. 캠 요소(42)은 구멍(44)와 연결되어 있다.
캠 요소(42)는 한측면에 챔퍼(46)를 가진 원통형 부재로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위치에서 캠(42)이 구형요소(40)와 접촉하고 있으면 핀요소(26)가 공구 지지구의 포케트속에 심은날(18)을 경사기게 고정시킨다.
경사 장치의 요소가 핀요소(26) 및 구(28)사이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단부(32) 및 (30)사이의 영역을 지니는 핀요소에 의해서 구성되며 확대부의 마주보는 측면위의 부분(30) 및 (32)은 구멍속에 틈새를 지니어서 핀이 그 중간 영역둘레에서 구멍(28)속에 경사지게 된다.
캠요소(42)는 이중 단부핀(48)에 나사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 단부핀(48)은 구멍(44)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부에 나사를 지니며 이들 나사는 서로 반대이다.
견부(50)는 구멍(44)속에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52)는 견부(50)위에 안치된다. 캠요소(42)반대편의 이중 핀(48)의 단부에는 클램프 부재(24)가 안치되고, 클램프 부재(24)는 이중 단부 핀(48)에 나사결합될때 스프링(52)을 구멍(44)의 상단부속에서 압축시킨다.
클램프 부재(24)는 심은날(18)의 상향 주행 통로를 지나 뻗어있는 돌출휭거(56)를 가지거나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클램프 부재(24)가 휭거(56)를 가지지 않는 경우, 제2도에서 도시되듯이, 스프링부재(50)가 심은날(18)을 심은날 수용 포케트(12)속에 고정시켜 유지하고 캠요소(42)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캠요소(42)를 그 제1위치로 밀어대어서 핀요소(26)가 심은날(18)과의 클램핑 결합으로 부터 벗어나게 경사지게되며, 이 모든 것이 클램프 부재(24)가 스프링힘을 극복하도록 하향으로 눌려지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만약 클램프 부재(24)가 휭거(56)를 지니면 이중 단부핀(48)이 회전되는 경우 클램프부재(24)및 캠요소(42)는 이중 단부핀(48)을 따라 서로를 향하여 이동한다. 한 방향으로 이중 단부핀(48)이 회전하면 캠요소(42)를 클램핑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 상부 클램프 부재(24)의 휭거(56)을 심은날(18)의 상부면위로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이 위치는 심은날을 견고하고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클램핑 위치를 형성하여 준다.
제3도에는 공구 지지구(10)가 도시되어 있으며, 심은날(18)은 여전히 핀요소(26)에 의하여 클램프된 위치로 유지된다. 핀요소(26)의 단부(32)는 구멍(34)의 측면과 결합되며 포케트(12)의 측벽(16)에 대하여 심은날을 뒤로 압축시킨다. 클램프 부재(24) 및 캠요소(42)는 이중 단부핀(48)위에 도시된다.
이중 단부핀(48)은 회전하면, 부재(42) 및 (24)를 서로 떨어지게 이동시킨다. 그러나, 견부(50)위에 안치된 스프링(52)은 캠요소(42)를 구형요소(40)와 결합시키므로 핀요소(26)가 공구지지구(10)에 심은날(18)을 고정 유지시킨다.
제2 및 3도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방향으로 이중 단부핀(48)이 회전하면, 캠요소(42) 및 부재(24)는 서로를 향하여 이중 단부핀(48)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반면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부재(42) 및 (24)는 서로 떨어지게 이중 단부핀(48)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7도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구멍(44)의 상부는 확대 부분(45)을 가지고 있다. 확대부분(45)외에 구멍(44)으로 부터 공구 지지구의 포케트 영역(12)까지 연결하는 개구(62)가 있다. 공구 지지구의 돌기(63)는 포케트(12)로 부터 구멍(44)으로 연결하는 개구(62)와 구멍(44)의 확대부분(45)을 분리시킨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 부재(24)위에는 키이 가공 부분(60)이 도시되어 있으며, 클램프가 조여질때 제7도에 도시한 개구(26)에 맞추어 진다.
이중단부핀(48)이 회전하고 클램프 부재(24)가 구멍(44)속으로 상부로 전진하므로서, 키이가공부분(60)의 저부는 돌기(63)의 상부 위로 활주하되 확대부(45)의 후방부에 의하여 정지된다.
돌기(63)의 상부는 확대부분(45)의 벽의 상부만큼 높지 않다.
이중단부핀(48)은 나선의 힘이 스스로 클램프 부재(24)를 회전시키도록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도에는 공구 지지구(10)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 클램프 부재(24)는 키이 가공부분(60)이 돌기(63)의 상부로 부터 제거될때까지 상부로 이동하도록 시계 반대방향으로 이중단부핀(48)을 회전시키며 이 경우 휭거(56)가 제6도에 도시한 위치에 놓일때까지 전 클램프 부재(24)는 회전한다.
이때, 키이 가공부분(60)은 구멍(44)의 확대부분(45)의 벽에 맞닿아 정지된다. 확대부분(45)은 클램프 부재(24)의 키이 가공부분(60)을 하방으로 통과시키기에 충분히 커서 클램프부재(24)위에 압력이 가해지면 캠요소(42)가 하방으로 제4도에 도시된 것같이 이동하게 된다.
제4도에는 클램프 부재(24)가 눌려진 공구지지구(10)가 도시되어 있으며, 캠요소(42)는 구형요소(40)로 부터 이탈되어 있다.
구형요소(40)가 캠요소(42)로부터 이탈되면, 핀요소(26)는 구멍속에서 경사지게되어 심은날(18)이 구멍(34)의 측면으로 부터 이탈된다.
상부 클램프 휭거(56)가 심은날(18)의 상향 이동 통로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심은날(18)은 인덱스 되거나 또는 교체되도록 용이하게 제거될수 있다. 핀요소(26)에는 삽입부재(20)를 고정시키는 플랜지(65)가 있어서 삽입부재는 심은날과 함께 벗겨지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하면 심은날(18)을 삽입부재(20)의 상부에서 교체되며 클램프 부재(24) 및 캠요소(42)는 눌린채로 유지된다.
일단 심은날(18)이 제 위치에 놓여지면, 심은날(18)의 구멍(34)은 핀 요소(26)의 상부부분(32)을 둘러싸고 이중단부핀(48)에 압력이 제거된다. 이중단부핀(48)에 힘이 제거되자마자, 캠요소(4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형부재(40)와 결합하도록 상방으로 이동한다.
시계 반대방향으로 이중단부핀(48)이 회전하면 키이 가공부분이 포케트 측벽에 맞닿아 정지될때까지 클램프 부재(24)를 이중단부핀(48)와 함께 회전시킨다. 이것은 휭거(56)가 심은날(18)의 상향이동 통로 바로 위에 있을때 정지하며 이중단부핀(48)이 회전하면 클램프 부재(24)의 휭거(56)가 심은날(18)의 상부위에 견고하게 압축 결합되고, 한편 캠요소(42)는 핀을 경사지게 하도록 구형요소를 밀어대어서 심은날이 포케트의 후방벽에 확실하게 유지되게 한다.
제5도에는 구형요소(40)와 결합하는 챔퍼(46)를 지닌 캠(42)가 도시되어 있다. 캠요소(42)가 이중단부핀(48)과 나사 결합하고 이러한 결합이 캠요소(42)를 통하여 편심되게 현성된 구멍(70)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멍(70)은 나사 결합되어, 이중 단부핀(48)이 어떤 방향으로든지 회전할때, 캠요소(42)는 구멍(44)속에서 회전하지 않을 것이다.
견부(50)위의 구멍(44)의 상부는 견부(50)아래의 구멍(44)의 저부와 동일한 축 중앙선에 있지 않다.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속에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한 심은날을 위한 심은날 수용 포케트가 측벽과 저벽을 지니며 심은날 수용 구멍이 상기 저벽을 통하여 공구 지지구속에 뻗어있고 경사가능한 핀이 마주보는 단부와 단부 사이의 중간 영역을 지니며 구멍속에 위치되고 그 하나의 단부가 심은날의 구멍속에 결합하도록 포케트속으로 뻗어 있으며 효홈이 구멍과 연결되어 있고 핀을 경사지게 하는 장치를 수용하며 직선으로 미끄러지는 캠 장치가 공구 지지구의 구멍속에 위치되며 상기 요홈이 경사지게 하는 장치와 상기 캠 장치사이의 작동 관계를 설립하도록 상기 구멍과 연결되며 상기 캠이 핀이 심은날 고정위치로 경사지는 제1위치와 핀이 심은날을 고정시키지 않는 경사지지 않은 위치에 있는 제2위치를 지니고 상부클램프가 결합된 이중 단부핀이 공구 지지구속에 위치되는 공지의 핀쇄정공구지지구에 있어서, 이중 단부핀이 반대로 나선 가공된 마주보는 단부를 지니고 한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캠 장치와 다른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상부 클램프를 지니며 상부 클램프는 이중단부핀이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심은날로부터 떨어져 위로 올라가서 심은날의 상향 이동통로 밖으로 선회하며 이중단부핀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심은날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통로로 이동하여 심은날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핀 쇄정공구 지지구.
KR7901378A 1979-04-30 1979-04-30 핀쇄정 공구 지지구 KR820001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378A KR820001707B1 (ko) 1979-04-30 1979-04-30 핀쇄정 공구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378A KR820001707B1 (ko) 1979-04-30 1979-04-30 핀쇄정 공구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707B1 true KR820001707B1 (ko) 1982-09-21

Family

ID=1921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1378A KR820001707B1 (ko) 1979-04-30 1979-04-30 핀쇄정 공구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70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6985B2 (ja) 切削インサートを保持するための工具ホルダおよび締付け板
RU2365470C2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и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для него
KR100626926B1 (ko) 절삭 인서트 클램핑 기구
US7780380B2 (en) Insert-indexable tool
US5921724A (en) Insert and toolholder for machining operations
RU2432235C2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одержащий режущую пластину, закрепленную расположенным вне ее резьбовым крепежным элементом
KR101266995B1 (ko) 도구 홀더에 인서트를 클램핑시키기 위한 장치, 클램프 핀 도구 홀더, 및 도구 홀더의 인서트 포켓 내에 인서트를 클램핑하기 위한 기구
US4245937A (en) Clamping mechanism for cutting insert
EP0152729A2 (en) Chip cutting tool
CA2053461C (en) Cutting tool
US7063488B2 (en) Pin lock system for cutting insert having a blind hole
US3740807A (en) Inserted blade cutting tool with locking pin
US3525136A (en) Clamping arrangement
KR20050090440A (ko) 절삭 삽입물 홀더
JPH10501181A (ja) 割出可能なインサート用の工具ホルダ
US4876932A (en) Cutting tool holder
JPH07314234A (ja) 工具ホルダ
US2999301A (en) Cutting tool
KR100640139B1 (ko) 절삭 공구 조립체 및 그 절삭 인서트
WO2000045981A1 (en) Cutting tool for parting and similar operations
US4470732A (en) Tool holder with retaining lip
US3905081A (en) Tool holder
US2860402A (en) Cutting tool holder
US3534457A (en) Cutting insert mounting assembly
PL184599B1 (pl) Oprawka narzędziowa do przestawianych wkład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