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675B1 - 조광장치(調光裝置) - Google Patents

조광장치(調光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675B1
KR820001675B1 KR780003952A KR780003952A KR820001675B1 KR 820001675 B1 KR820001675 B1 KR 820001675B1 KR 780003952 A KR780003952 A KR 780003952A KR 780003952 A KR780003952 A KR 780003952A KR 820001675 B1 KR820001675 B1 KR 820001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ignal
circuit
cct
conduc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0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게히꼬 마쯔다
교오이찌 이자와
Original Assignee
시오가와 세이이찌
도요스타아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오가와 세이이찌, 도요스타아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시오가와 세이이찌
Priority to KR780003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67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광장치(調光裝置)
제1도는 종래 조광장치의 일례를 표시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블록구성도.
제3도는 상기 실시예의 구체적인 회로구성도.
제4a, b도는 상기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 도이다.
본 발명은 램프의 휘도(輝度)를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조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조광장치의 일예를 표시하는 회로구성도로서, 전원스위치(1)를 투입한 후 전원과 직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술한 전원스위치(1)와 연결한 가변저항(2) 및 콘덴서(3)등으로 된 위상 시프터(shifter)회로(4)의 가변저항(2)의 저항치를 조정함에 따라, 디이악(DIAC)(5)의 트라이악(TRIAC)(6)에의 트리거 타이밍(trigger timing)을 결정하고, 교류전원인가점에 대하여 이 트라이악(6)에 직열로 접속된 램프(7)의 휘도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즉, 가변저항(2)의 설정저항치를 변화시키면 램프(7)의 휘도는 이에 맞추어 증감한다.
따라서 상술한 회로는 램프(7)의 조광장치로서 작용하게 된다. 종개의 조광장치에서는 전원스위치(1) 및 가변저항(2)의 기계적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고장이 빈번하였고 그 수명에 문제가 있었다. 또 전원스위치(1)의 단투조작(斷投操作) 및 가변저항(2)의 조정등 조작성에서도 문제가 되어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고장의 발생이 적고 따라서 수명이 길고 또 조작성에 우수한 조광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조광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며, (11)은 인체의 일부 즉, 수지(手指)로 접속함에 따라 접지전위(기준전위) 점과의 사이에 용량을 형성하는 A1판등의 도전성 부재로된 접척판이며, (12)는 상술에서 형성되는 용량에 충전전류를 부여하여 이 충전전압을 계측함에 따라 인체의 일부가 상술한 접촉판(11)에 접촉하고 있는 사이의 시간을 계시하는 접촉시간 계시회로이다.
이 접촉시간 계시회로(12)는 상술한 계시하는 시간을 30(Msec)이하, 30(Msec)-0.38(sec) 및 0,38(sec)이상의 3개의 시간범위로 분할, 30(Msec)이하의 시간을 계시했을 경우에는 노이즈(noise)에 의하여 전술의 용량이 충전된 것으로 판단하여 어떤 신호도 출력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상술의 접척시간계수회로(12)가 30(Msec)-0.38(sec) 0의 범위에 있는 시간을 계시했을 경우에는, 제1의 도통각(導通角) 제어회로(13)에 제1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또 접촉시간 계시회로(12)가 0.38(sec) 이상의 시간을 계시한 경우에는, 그 계시시간에 맞춘 제2의 신호를 2제의 도통각 제어회로(14)에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상술한 제1의 도통각 제어회로(13)는 제1신호를 응수(應受)할때마다 후술의 트라이악을 교호로 도통 및 비도통 제어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이 제어신호는 기억회로(15)에 공급되어 여기서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2의 도통각 제어회고(14)는 제2의 신호를 응수하고 이신호에 맞는 위상으로 후술의 트라이악을 트리거 시기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이 제어신호도 상술한 기억회로(15)에 공급되어 여기서 기억하게 된다.
즉, 여기서 말하는 도통각 제어란 교류전원이 양단에 인가되는 스위칭장치에 있어서 그 제어단자에 가해지는 트리거신호의 상술한 교류전원에 대한 위상에 맞추어 스위칭장치가 도통 제어됨을 말한다.
상술한 기억회로(15)는 상술한 제1혹은 제2의 도통각 제어회로(13) 혹은(14) 어느쪽이나 일방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기억하도록 되어있으며 일단 기억된 제어신호는 도통각 비교회로(16)에 공급된다.
또 제2도에 있어서(17)은 클럭펄스 발생회로이며, 이의 공급되는 교류신호에서는 3종류의 클럭펄스 즉, cp1, cp2, cp3을 각각 출력하도록 되어 있고, 클럭펄스발생회로(17)에서 출력되는 상기 각각의 클럭펄스 cp1, p2, cp3는 각각의 회로 즉, 접촉시간 계시회로(12), 기억회로(15), 주회카운터(18), 트리거범위설정회로(19)에 대한 동기신호로서 공급되게 되어 있어 그하나의 클럭펄스 cp1은 전술한 접촉시간 계시회로(12) 및 전술한 기억회로(15)에 각각 공급된다.
즉, 접촉시간 계시회로(12) 및 기억회로(15)는 다같이 이 클럭펄스 cp1에 동기하여 그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클럭펄스발생회로(17)에서 출력되는 클럭펄스 cp2는 주회(周回)카운터(18)에 동기신호로서 공급된다. 이 주회카운터(18)는 전술한 클럭펄스발생회로(17)에 공급되는 교류신호와 동기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이신호는 전술한 도통각 비교회로(16)에 공급된다.
또 클럭펄스발생회로(17)에서 출력되는 클럭펄스 cp3는 트리거범위설정회 (19)로에 동기신호로서 공급된다. 이 트리거범위 설정회로(19)는 후술의 트라이악을 트리거하는 위상각의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 : 30°-150°와 210°-330°에 각각 설정된다.
이 트리거범위 설정회로(19)의 출력신호는 전술한 도통각비교 회로(16) 및 상술한 주회카운터(18)에 각각 공급된다.
전술한 도통각 비교회로(16)는 기억회로(15)에서 공급되는 전술 제2신호에 맞춘 제어신호와 상술한 트리거범위 설정회로(19)의 출력신호등을 비교하여 제2제어신호에 맞춘 제어신호에 있어서 후술의 트라이악의 트리거 각이 상술한 30°-150° 및 210°-330°의 범위에 있는가 없는가를 비교 판정하고, 범위내에 있으면 제2신호에 맞춘 제어신호를 출력고동회로(20)에 공급한다.
출력구동회로(20)는 이 도통각 비교회로(16)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맞추어 그 출력신호에 트리거펄스를 내삽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출력구동회로(20)의 출력신호는 증폭회로(21)에 의하여 수정범위까지 증폭한 후, 스위칭장치, 예 : 트라이악(22)의 제어 단자에 공급되고, 또 이트라이악(22)은 램프(23)를 구동제어하도록 되어있다.
제3도는 상술한 제2도시의 블록도면의 구체적인 회로구성도로서, 제2도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또 제2도시의 회로에 있어서 파선으로 둘러싼 부분은 제3도에서는 1칩(chip) 집적회로장치(30)로 치환되어있다.
제3도의 교류전압 인가단과 병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콘덴서(31), 트라이악(22)과 직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쵸오크코일(23)은 교류전압에 침입할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다이오우드(33), 콘덴서(34) 및 제너다이오우드(35)는 트란지스터(36) 및 저항(37),(38)로된 증폭회로(21) 및 집적회로장치(30)를 구동하기 위한 직류전압을 얻기위한 전원회로이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램프(23)의 휘도가 영(zero)상태일때, 즉, 트라이악(22)가 비도통상태시, 접촉판(11)에 수지로 30(Msec)-0.38(sec)-0.38(sec)사이에 접촉한다.
이 접촉시간은 수지를 접촉판(11)에 순간적으로 촉수하는 정도의 시간에 상당한다.
상술한 조작에 의하여 접촉시간 계시회로(12)는 제1도통각제어회로(13)에 제1신호를 출력하며, 그 후 제1도통각 제어회로(13)는 트라이악(22)에 인가될 교류전원 0° 및 180°의 위상으로 이 트라이악(22)를 트리거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기억회로(15)는 상술한 제어신호를 일단 기억한 후도통 각 비교회로 (16)에 출력하고 또 도통각 비교회로(16)는 입력한 제어신호를 그대로 출력구동회로(20)에 출력한다.
이어서 출력구동회로(20)는 그 출력신호에 교류전원 0°와 180°의 위상에 대응한 위치에 트리거펄스를 내삽한다. 이 후 증폭회로(21)는 상술한 출력구동회로 (20)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그 결과 트라이악(22)은 공급될 교류전압의 전위상에 걸쳐 도통상태가 된다.
즉, 램프(23)에는 제4도(a)에서와 같이 0°- 360°의 위상에 걸친 사선부분의 교류전압이 인가되어 그 휘도는 최대가 된다. 이어서 램프(23)의 휘도가 최대의 상태시, 재차 접촉판(11)에 수지를 30(Msec)-0.38(sec)사이에 촉수한다.
상술의 조작에 의하여 접촉시간 계시회로(12)는 재차 제1도통 각 제어회로(13)에 제1신호를 출력한다.
이 후 제1도통각 제어회로(13)는 트라이악(22)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어느위상에도 트리거하지 않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후 램프(23)에는 0°-360°의 위상에 걸쳐 교류전압이 일체인가 되지않고, 그 휘도는 영이된다.
이와같이 하여 접촉판(11)에 수지를 30(Msec)-0.38(sec) 사이에 접촉할때마다 램프(23)의 휘도는 교호로 최대휘도의 상태 및 영의 상태가 된다.
이어서 램프(23)의 휘도가 영인상태에서 접촉판(11)에 수지를 잠시동안 접촉한다. 그리고 그 접촉시간이 0.38(sec)을 경과하면, 접척시간계시회로(12)는 그 계시시간에 맞추어 제2신호를 제2의 도통각제어회로(14)에 출력한다.
그후 제2의 도통각 제어회로(14)는 상술한 제2신호에 맞춘 위상으로 트라이악(22)을 트리거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에 기억회로(15)는 상술한 제어신호를 일단 기억한 후 도통 각 비교회로(16)에 출력한다. 다시 도통각비교회로 (16)는 입력한 상술제어신호와 트리거범위설정회로(19)의 출력신호등을 주회카운터 (18)의 출력신호에 동기 하여 비교하며, 기억회로(15)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서의 트리거를 위한 위상이 30°-150° 및 210°-330°의 범위내에 있으면 상술한 제어신호를 출력 구동회로(20)에 출력한다.
이어서 출력구동회로(20)는 그 출력신호에 상술한 제어신호에 맞춘 위상위치에 트리거펄스를 내삽한다.
이결과 트라이악(22)은 전술 접촉판(11)에 수지를 접촉하고 있는 동안, 제4도(b) 도시와 같이 그 도통각이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교류전압의 정부(正負) 양측에서 150°-30°, 330°-210°의 범위로 각각 이동하여 간다. 즉, 이때 제2의 도통각 제어회로(14)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순차변화하여 가므로 램프(23)의 휘도는 최초는 적고 그 후 순차적으로 커져간다.
그리고 접촉판(11)에서 수지를 뗀 시점에서, 또 그때의 접촉시간 계시회로 (12)에 있어서의 계시시간에 대응되는 한개의 제어 신호가 제2의 도통각 제어회로 (14)에서 출력되어 그결과 이 시점의 휘도가 보지된다.
즉, 수지를 떼게되면 접촉시간 계시회로(12)는 시간계시를 정지함에 따라 이 정지시의 계시시간에 대응되는 제어신호가 제2의 도통각 제어회로(14)에서 출력하게되어 그 결과 램프(23)의 휘도가 보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램프(23)의 휘도가 어떤 값으로 보지된 후에, 재차접촉판(11)에 수지를 30(Msec)-0.38(sec)사이에 접촉하면 이조작에 따라 접촉시간 계시회로(12)는 제1신호를 제1의 도통각제어회로(13)에 출력한다.
이후 제1의 도통각 제어회로(13)는 트라이악(22)에 인가되는 교류전압의 어느쪽의 위상에도 트리거하지 않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후 램프(33)에는 0°-360°의 위상에 걸쳐 교류전압은 일체 인가되지 않으며, 그 휘도는 영이된다. 한편, 전술램프(23)의 휘도가 어떤 값으로 보지된 후에 다시 접촉판(11)에 수지를 0.38(sec)이상 접촉하면 시간제어회로(12)는 그 계시시간에 맞추어 제2신호를 제2의 도통각제어회로(14)에 출력한다.
이후 제2의 도통각제어회로(14)는 상술한 제2신호에 맞춘 위상에서 트라이악 (22)을 트리거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결과 램프(23)의 휘도는 전술한 보지된 휘도에서 점차커져가며, 그 후 수지를 뗀 지점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그 시점의 램프(23)의 휘도가 보지된다.
이와같이 수지로 접촉판(11)에 촉수하는 것만으로 램프(23)의 휘도를 자유로 변경할 수 있음으로 조작성이 극히 높고 또 종래와 같이 기계적요소를 일체 포함하지 않음으로 고장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장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데 접촉판(11)에 수지를 0.38(sec) 이상 접촉시킨 경우에는 램프(23)의 휘도가 최대로 되었을 시점에서 계속하여 수지를 촉수하게되면 이번에는 램프(23)의 휘도가 점차 적어지도록 제2의 도통각 제어회로(14)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조작성이 높은 조광장치를 제공할수가 있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장치와 상술한 스위칭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램프와 인체의 일부가 접촉함에 따라 기준 전위점과의 사이에 용량을 형성하는 접촉체와 충전전류를 부어 상술한 용량에 있어서의 충전전압을 계측함에 따라 상술한 접촉제의 인체의 일부가 접촉하고 있는 사이의 시간을 계시하고 적어도 이 계시시간을 두 개의 시간범위로 분활하되, 이중 짧은 시간범위의 시간을 계시할 경우에는 제1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긴시간범위의 시간을 계시한 경우는 그 계시시간에 상용하는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접촉시간 계시회로와 상술한 제1신호를 응수할 때마다 상술한 스위칭장치를 교호로 도통 및 비도통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의 도통각제어회로와 상술한 제2신호를 응수하면 이 신호에 상응하는 도통각으로 상술한 스위칭장치를 도통각 제어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의 도통각제어회로 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장치.
KR780003952A 1978-12-28 1978-12-28 조광장치(調光裝置) KR820001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3952A KR820001675B1 (ko) 1978-12-28 1978-12-28 조광장치(調光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3952A KR820001675B1 (ko) 1978-12-28 1978-12-28 조광장치(調光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675B1 true KR820001675B1 (ko) 1982-09-15

Family

ID=1920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03952A KR820001675B1 (ko) 1978-12-28 1978-12-28 조광장치(調光裝置)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67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0660A (en) Circuitry for load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KR880013299A (ko) 위상 제어신호 입력을 지닌 전력제어회로
KR920022940A (ko) 방전 램프 작동용 장치
US4015167A (en) Circuits for operating electric discharge lamps
JPS59181494A (ja) 低圧放電ランプ用点弧装置
US4210850A (en) Circuits for operating electric discharge lamps
US4350903A (en) Electronic light switch
KR900702755A (ko) 유도성 부하 전력 제어회로
EP0781500B1 (en) Circuit arrangement
KR820001675B1 (ko) 조광장치(調光裝置)
US3956644A (en) Integral cycle, precise zero voltage switch
KR840001992A (ko) 방전램프용 전자안정기
US4152607A (en) Soft switch with rapid recovery circuit
US3952241A (en) Electronic power varying controller device
US3845349A (en) Line synchronized strobe light
JPS6330747B2 (ko)
US3287571A (en) Solid state a.-c. contact utilizing silicon controlled rectifiers
US4211940A (en) Electronic power control device
JP3195803B2 (ja) 調光器
US3893002A (en) Switch-controlled continuously progressive dimmer circuit
KR900002169Y1 (ko) 조광 제어회로
EP0584873A1 (en) Delay means for delaying the start of a converter after turn on
US4256994A (en) Actuating circuit for light measuring circuit in electronic flash device
US6349048B2 (en) Voltage converter circuit having a self-oscillating half-bridge structure
US5144520A (en) Power solenoid drive circuit with switch bounce rej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