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154B1 - 연신되는 물질을 섬유로 전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연신되는 물질을 섬유로 전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154B1
KR820001154B1 KR7601999A KR760001999A KR820001154B1 KR 820001154 B1 KR820001154 B1 KR 820001154B1 KR 7601999 A KR7601999 A KR 7601999A KR 760001999 A KR760001999 A KR 760001999A KR 820001154 B1 KR820001154 B1 KR 820001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gas
classification
gas stream
glass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1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르벡끄 마르셀
아 바띠겔리 장
풀랑따르 도미니끄
Original Assignee
죠지 오스틴
쏑-고벵 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죠지 오스틴, 쏑-고벵 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죠지 오스틴
Priority to KR7601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4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using centrifugal force, e.g. spinning through radial orifices; Construction of the spinner cup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신되는 물질을 섬유로 전환하는 방법
제1도는 주가스체류를 발생하는 장치와, 주가스체류 상방에 설치되어진 일련의 반송분류를 발생하여 주가스체류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장치와, 유리사를 형성하며, 중력에 의해서 분류의 상방이 지대로 부터 분류에 작용되는 지역으로 공급하고, 최후에 주가스체류와의 상호작용 지대의 방향하에 설치된 장치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섬유화 장치의 수직 단면 배치도.
제3도는 제2도와 같은 모양의 배치를 나타내나, 본 발명의 실시하는데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수치관계를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 방사장치 2 : 투사장치
3, 7 : 오리피스 4 : 노즐
5 : 주가스체류 6 : 분류관
8 : 통풍관 9 : 관계수(管繼手)
10 : 유리사흐름 12, 13 : 파형
본 발명은 분류가스 또는 반송가스에 의하여 가스의 흐름이 생기는 상호작용의 대역에 도입되는 사의 연신에 의하여 연신되는 물질을 섬유로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위체적당 운동에너지를 갖는 반송가스는 주가스체류속에 침입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다.
종래, 이와 같은 방법은 동일 출원인으로 출원한 프랑스 공화국 특허원 제7,311,525호[1973.3.30 출원, 발명의 명칭 "열가소성 물질로부터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의 목적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반송분류를 생기게 하는 분출구와 주가스체류와의 사이에 자유공간을 두개 하기 위해 반송분류는 주로 주가스체로부터 어느 정도의 거리에서 발생되며, 사 또는 연신물질은 반송분류에 따라 주가스체류속에 도입되도록 반송분류 가까이에 최초 도입되며, 그 사는 주가스체류 내에서 연신되기 전에 연속된 섬유를 형성하도록 처음의 연신 또는 부분적 연신을 받고, 다음에 상호 작용대역내에서 제2의 연신을 받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반송분류는 주가스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연신되는 물질의 사의 상류의 위치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반송분류는 수직선에 대하여 어느 각도를 이루고 연신되는 물질의 사의 통로와, 주가스체류 상부의 장소 가까이에서 교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신되는 물질의 사는 중력에 따라 사가 반송가스 분류에 공급되는 점의 상류의 높이까지 공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반송분류 가스는 연신되는 물질의 사와 3°내지 4.5°바람직하게는 약 10°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연신되는 물질의 사는 반송분류에 따라 주가스 체류에 도입되는 대역 상방에 있는 지점에서 공급되며, 사는 도입된 대역의 지점에 흐르는 사이에 도입대역에 달하기 전에 직경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연신되는 물질의 사는 두 가지 형태의 연신조작을 받는다. 첫번째 형태는 물질의 사를 반송분류의 높이에 공급하여 사는 반송분류에 실려 연속된 사의 모양으로 부분적으로 연신되여 반송분류와의 만남은 분류의 도입에 따라 행하여지고, 두 번째 형태의 연신은 반송분류에 물질의 사가 공급되는 지점 상류에 반송분류를 횡방향으로 교차하여 주가스체류에 혼류를 생기게 하여서 행하여지며, 주가스체류의 횡방향 크기는 반송분류의 크기보다도 매우 크고, 주가스체류에 들어가기 전의 반송분류의 단위체적당 운동에너지는 주가스체류내에 들어가 상호작용 대역을 형성하기 전에 주가스체류의 에너지 보다도 매우 크며, 사는 상호작용 대역에 들어가서 사에서 섬유의 변형을 완료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연신물질의 사의 단면은 반송분류와 접촉하는 대역에서는 분류의 단면에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작고, 오히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연신되는 물질의 사, 예를 들면 열가소성 물질, 특히 용융광물의 사를 섬유로 변형하는 데에 사용된다.
연신되는 물질을 섬유로 변형하는 장치는 가스체의 흐름, 즉 주가스체류를 발생하는 장치와, 분류가스 즉, 반송분류를 발생하는 장치와를 설치하며, 그 분류의 단위체적당 운동에너지의 방향은 주가스체류내에 침입하여, 상호 작용 대역을 주가스체류에 반송분류가 들어가는 대역 가까이에 만들어, 연신되는 물질의 사를 주가스체류의 범위내에 공급하여 상호작용 대역에 침입시키는 장치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반송분류를 발생하는 장치는 주가스체류에서 어느 거리 지점에 배치되며, 연신되는 물질의 사를 공급하는 장치는 처음에 반송분류의 가까이의 반송분류로 유인되는 가스체류내에 사를 도입하고, 사가 주가스체류에 달하기 전에 제1의 연신 또는 부분적으로 연신되어 연속된 섬유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므로 따라서 사는 상호작용 대역중에서 제2의 연신을 받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연신되는 몰질을 공급하는 장치에 설치된 출구오리피스에서 어느 거리로 주가스체를 발생하여 사의 횡방향에 작용시키는 장치와, 주가스체류의 단면보다 매우 작은 단면의 반송분류를 발생하여 주가스체류의 방향으로 흘러 침입시켜 주가스체류와 반송분류의 상호작용 대역을 이루는 오리피스를 갖는 장치와를 설치하여, 반송분류를 발생하는 오리피스와 연신되는 몰질의사를 발생하는 오리피스와는 상호 관련하여 배치되며, 용융된 몰질의 사가 주가스체류에서 어느 거리 지점에서 반송분류와 만나 반송분류에 트래블(travel)된 몰질의 사를 반송분류와 주가스체류와의 상호 작용대역에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를 다른 특징에 의하면 연신되는 물질을 공급하는 장치는 몰질의 사를 하방에 공급하며, 주가스체류를 발생하는 장치는 몰질의 출구 오리피스에서 하방의 어느 거리에 있고, 반송분류를 발생하는 오리피스는 주가스체류의 방향으로 분류를 하방으로 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송분류를 발생하는 장치는 주가스체류에 대하여 물질의 사는 상방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반송분류를 발생하는 장치는 몰질을 공급하는 오리피스에 관하여 수평방향으로 떨어진 대역내의 주가스체류내에 분류가 침입하여 사를 공급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여 있다. 이 장치는 주가스체류에 대하여 반송분류를 약 45°내지 87°의 각도 방향에서 흐르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반송분류의 출구 오리피스와 주가스체류 상부와의 거리는 30 내지 60mm, 바람직하게는 약 45mm인 것이 좋다.
반송분류의 오리피스 직경은 0.3 내지 3mm, 바람직하게는 약 1mm인 것이 좋다.
연신되는 물질의 출구 오리피스와 반송분류의 출구 오리피스의 수직방향의 거리는 0 내지 150mm, 바람직하게는 약 85mm인 것이 좋다.
연신되는 물질의 사의 공급을 제어하는 오리피스의 직경은 1 내지 10mm로 약 4mm인 것이 좋다.
분류의 오리피스, 연신되는 물질의 오리피스는 주가스 체류의 흐름에 대하여 서로 떨어져 있고, 1 내지 15mm, 약 5mm 떨어져 있는 것이 좋다.
주가스체류를 발생하는 연소실 출구의 크기는 연신되는 물질을 공급하는 방향으로 측정해서 10 내지 50mm, 바람직하게는 약 25mm인 것이 좋다.
연신되는 물질의 사의 죽의 연소실 출구에서의 거리는 물질을 공급하는 방향에 수직으로 측정하여 0 내지 30mm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5mm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각 반송분류는 주가스체류의 상류의 어떤 높이의 상방에서 발생되여, 주위 공기를 유인하고, 분류는 유인된 공기의 경계면을 만들어 주가스 체류의 범위에 가까와짐에 따라 증대된다. 반송분류는 따라서 두개의 부분을 가지고, 분류 오리피스에서 발생된 중심부와, 분류의 주체를 형성하여, "혼합대역"으로 불리는 부분, 즉 중심부와 유인공기의 혼합부로서 형성되는 대역이다.
분류의 중심은 분류의 오리피스 직경의 3 내지 10배의 거리로 넓혀지고 이는 오리피스를 나오는 분류의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분류 오리피스라고 불리우는 장치의 오리피스는 극히 작고, 오리피스의 중심의 분출거리는 비교적 짧다.
중심부는 원추형이며, 중심부를 포위하는 혼합대역은 분출 오리피스의 면으로부터 그 대역에서 하류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증대하고, 오리피스가 정점을 형성한다. 이 장치에서는 분류 오리피스와 주가스체류대역의 거리는 가스체류의 상호작용점은 중심의 정점상에 있고, 어느 배치에 따르면 중심부는 주가스체류에 가까와지거나, 또는 그 속에 침입한다.
모든 경우 반송분류와 주가스체류의 교차점에서는 분류의 중심은 운동에너지 또는 속도에너지는 주가스체의 속에 침입하여, 분류와 주가스체류와의 상호작용 대역을 만드는 강도이다.
상호작용 대역에서의 특성은 프랑스공화국 특허원 제73-11525호에 기재되여 있다.
상기 유리사와 반송분류와 주가스체류에 대하여 고찰하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유리사는 주가스체류의 상방의 어느 거리에서 오리피스로부터 공급되며, 동시에 반송분류 출구의 상당한 거리에서 공급된다.
유리사의 출구는 유리사를 중력으로 낙하시켜 반송분류의 축과 주가스체류 대역상방, 상호작용 대역의 상방에서, 마주치도록 한다. 유리사가 반송분류에 가까와짐에 따라, 유인공기의 작용을 받아 반송분류의 방향에 유리사가 분류가스의 축 주위와 만나는 점 상류로 휘어진다.
유인력 효과에 따라 유리사는 분류에 가까와지고 유리사의 오리피스 위치에 따라 유리사는 반송분류 속에 중심의 상류 높이로 들어가거나 또는 유인공기의 경계면 또는 주위층 속에 들어간다.
이 두 가지 경우 유리사는 혼합대역 속으로 유도되는 투사도에 따라 분류의 중심내에 배치된 유리사는 주가스체류속의 상호작용 대역까지 강화한다. 유인공기에 따라 반송분류의 혼합대역 속으로 인도되나 분류의 중심부 속으로는 들어가지 않는다.
유리사는 유인공기에 따라 중심부 표면까지 운반되나 분류의 중심에는 침입되지 않는다.
이는 유리사가 분쇄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이 순간에서 유리사는 분류의 혼합대역의 영향하에 제1의 연신작용을 받아 속도는 주가스체류 상부에 가까와짐에 따라 증가된다.
이 공기력학에 따른 연신작용외에 연신된 사는 보강하는 다른 모종의 역학적 작용을 받는다. 그 작용은 유리사를 분류외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경향을 가지며, 분류의 범위내에 보내여, 유인공기의 영향을 받는다. 사는 이여서 분류의 내부로 돌아온다. 이 충격이 반복되여서 동적연신을 완료한다.
부분적으로 연신된 유리사는 이여서 반송분류와 주가스체류의 상호작용 대역속에 도입된다. 이것은 중력에 따른 가속과 전술한 제1연신과의 부분적 이유와 상기 특허원 제73-11525호에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상호작용 대역내에 발생하는 흐름의 영향에 따라 부분적으로 행하여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사는 계속되는 두 가지의 연신단계의 작용을 받는 것이 명백하다.
또 반송되는 반송체분류에서 공급되는 유리사는 그 분류의 주위에 유인되는 공기류에 따라 유리사가 분쇄되지 않고 처음의 연신이 행하여지며, 다시 제2단계의 연신이 반송분류와 주가스분류의 상호작용 대역에서 유리사의 세분을 생기게 하지 않고 행하여지는 것이 명백하다.
이 2단계의 방법에 따라 장 섬유를 발생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종래의 여러가지 방법에 비하여 중요한 이점을 가지며, 장치의 어느 기관의 사이의 매우 큰 거리, 특히 주가스체류의 발생장치, 즉 연소실과 분출구 즉, 반송분류와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 관련되는 가스체류의 분출구, 또는 방사장치를 갖춘 유리의 도착장치 또는 유리에 대한 오리피스를 갖는 같은 식의 장치간에 큰 거리를 갖는 장치로 가능한 긴섬유와 같은 장섬유를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장치간의 간격은 설비의 구조에 필요한 장소의 넓이라는 점에서 뿐 아니라 조작상태 특히 주가스체류와 반송분류 및 유리사의 도착장치의 온도를 매우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 배치에 따른 또 다른 이점은 이 발명에 따르면 유리도착장치와 유리가 반송분류와 만나는 지점의 간격은 유리의 분출 오리피스를 매우 크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것은 특별한 목적 또는 특수재료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특히 적합하다).
이것은 유리사가 낙하할 때 중력 및 외관상의 장력에 의하여 직경이 감소하기 때문이며, 제1의 연신이행하여질때 유리사의 직경이 작고, 이 작은 직경은 자유낙하중에 얻어지므로 매우 용이하며, 비교적 큰 단면의 공급 오리피스를 사용함에서 불구하고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 발생장치 또는 다른 유리 공급장치내에서 매우 높은 온도를 이용할 수가 있고, 따라서 연신온도가 높은 물질의 사용이 가능한 이점을 갖고 있으며, 유리사의 자유낙하중에 사는 주의 공기와의 접촉에 따라 부분적으로 가벼운 응축이 행하여져 제1단계의 연신에 적합한 온도로 된다.
상술한 이유에서 본 발명은 섬유화를 위한 용융된 재료, 예를 들면 우유 또는 모종의 유리와 같이 작은 단면의 공급 오리피스를 균일하게 흐르지 않는 물질에도 이용된다.
용융물질의 도착에 관해서는 큰단면과 온도가 높은 공급 오리피스를 사용하여 균일한 도달과 연신을 행할 수가 있고, 용융된 물질의 사의 연신에 따라 섬유를 제조하는 기본적 방법을 이용치 않으런 연신할 수 없는 모종의 연신물질을 연신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실시예를 표시하는 첨부도면에 대하여 다음의 설명에서 명백하여진다.
유리를 공급하는 장치는 하나의 도가니 즉, 방사장치 1를 가지며, 적당한 방법으로 용융된 유리를 공급한다. 예를 들면 제3도에 표시한 투사장치 2에 따라 행하여진다.
유리를 공급하는 오리피스 3이 용융된 유마사 S를 중력에 따라서 하방에 공급한다.
주가스체류 5는 노즐4에 따라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분출된다.
주가스체류 5는 일반적으로 연소장치를 갖는 발생장치에 따라 흘러지며, 주가스체류의 출구에서는 연소에 따른 발생물에 공기를 가하여진 것이다. 또 공기는 가하여져 있지 않다.
첨부된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주가스체류 5는 유리사 S의 분출 오리피스 3의 하방에서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에 분출된다.
도가니와 주가스체를 분출 노즐 4의 중간 높이 위치에 분류관 6이 배치되어, 각각 분출 오리피스를 갖고 분류관 6은 통풍관 8에 따라 분류가스체가 공급되고 통풍관 8은 그 일부가 표시된 관계수 9에서 공급된다.
분류관 6에 공급되는 가스체는 연소장치를 갖는 발생장치에 의하여 주어지며, 연소발생물은 분류가스를 생하고 공기가 가하여진다든가, 또는 가하여지지 않고 분출되나, 매우 고온의 가스체가 분류관 6으로 흐르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기로 희석되는 것이 좋다.
각 분류관 6과 그 오리피스는 반송분류를 하방에 유리사 S의 투사로의 극히 가까이에 분출하도록 배치되여 주가스체류 5의 흐름에 대하여 유리사 S의 상류측인 것이 좋다. 또 각 분류관 6과 오리피스 7은 반송분류의 출구가 하방의 주가스체류의 방향으로 흐르도록 배치되여 분류의 측은 수직선에 대하여 경사하고, 유리사의 통로와 분류가 주가스체류 5의 상류의 상방에서 만나게 된다.
주가스체의 수직 방향의 크기와 폭은 각 반송분류의 횡방향의 디멘죤보다 상당히 크게 되여, 주가스 체류의 적당한 용적과 각 분류가 상호작용 대역을 형성하도록 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반송분류에는 주가스체류의 동작대역내에 큰 운동에너지를 주어 분류가 주가스체류속에 침입할 수 있도록 한다. 프랑스공화국 특허원 제73-11524호에 설명한 바와 같이 반송분류의 단위체 적당의 운동에너지는 주가 체류 운동에너지보다 매우 크게 된다. 또 반송분류는 중력으로 공급되는 유리사의 속도보다 상당히 큰 속도로 접촉지점 방향으로 흘러 같은 식으로 주가스체류의 속도보다 크게 된다.
각 섬유화 대역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특히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분류의 중심부 C 는 선 A로 표시하는 바와 같은 유인공기류를 발생하고, 그 량은 분류의 흐르는 길에 따라 점차로 증가한다. 분류의 중심부가 유인공기와 혼합하면 주가스체의 범위에 달하여, 제2도의 선 I로 표시하는 대역내에 상호 작용대역을 형성한다.
용융 유리사 S가 낙하하여 오리피스 7에서 나오는 반송분류에 근접하면 분류에 따라 형성된 유인공기의 흐름은 유리사를 주가스체류의 방향으로 흘러 10으로서 향한다. 유리사 오리피스 3은 반송분류의 오리피스 7보다도 직경 또는 단면이 상당히 큰 것도 좋으며, 유리사 S가 중력에 따라 공급되면은 직경이 크게 작아져서 반송분류 속에 도착한 유리사는 유리의 오리피스에 있는 직경보다 상당하게 직경이 작아진다.
반송분류 속도는 유리사의 속도보다 상당히 크므로, 분류의 중심부 가까이의 상류대역에서 유리사가 분류와 만나도 분류의 중심부에 침입하지 않는다. 분류를 포위하는 유인공기의 경계면 속의 분류의 중심부 표면에 트래블되여 공급되거나 또는 중심부의 상류에서 분류체부간에 공급된다.
유인된 공기가 유리사를 반송분류까지 공급하는 작용은 유리사의 공급은 안정하게 하고 유리유출 오리피스의 분류 오리피스에 대한 작은 오차에 대한 보상을 행한다. 각개의 분류의 유인효과에 따라 유리사는 분류의 중심에서 발생되는 가스체류와 유인공기의 혼합대역중에 공급되며, 유리사 또는 형성되는 섬유의 파괴 또는 세분을 생하지 않는다. 그 작용은 장치에 따라 유리사는 그 투사로내에 급각도의 변화가 없고, 큰 연신작용을 받아 그 직경과 관성이 작아지고 강하여진다.
유리사를 반송분류의 혼합 대역중에 공급하면은 부분적으로 연신되며, 그 작용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2단계로 이루어진 제1도 연신을 받는다.
이 부분적 연신에 따라 섬유의 길이는 증대하고, 파형 12와 고리의 형성에 따라 용이하게 길어진다.
이때, 유리사는 그 제1연신단계에서는 변화치 않고, 제1연신단계의 섬유의 고리가 혼합대역을 강화하여 이동된다.
주가스체류가 반송분류와 합류하는 장소에서는 분류와 주가스체류 속에 침입하고, 그 침입은 분류와 주가스체류의 상호작용 대역을 생하여 유리사를 주가스체류내에서 부분적으로 연신하여, 제2단계의 연신이 행하여져 형성되는 섬유는 더욱 길어진다. 섬유길이는 새로운 파형 13이 주가스체류내에서 생하는 것에 따라 도움을 받게 된다. 이 작용에도 불구하고 섬유는 손상하지 않고 주가스체류에 따라서 상당히 긴 섬유로서 운반된다. 용융유리인 이사는 2단계의 연신에 따라 한가닥의 섬유로 변하여진다. 이 2단계의 연신에 즈음하여 유리사와 반송분류 및 주가스체류의 온도는 제1단계의 연신과 제2단계의 연신이 분류와 주가스체류의 상호작용 대역내에서 완료되도록 유리를 유지할 수 있게 조정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섬유화 중심을 이용한다. 주가스체류 5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큰 흐름으로서 수평방향으로 흘르며 같은 모양으로 연신복수의 유리 오리피스를 갖는 도가니 1을 사용한다. 도가니 1의 오리피스를 나오는 유리사에 인접하여 하나의 오리피스를 갖는 분류관 6의 복수가 설치된다. 복수의 분류관 6은 공통 통풍관 8을 통하여 분류를 공급한다.
상기의 프랑스공화국 특허원 제73-11525호에는 복수의 섬유화 중심에 대한 일반적 설명과 예를 들면 섬유의 집합장치유리 공급장치 주가스체류 반송분류의 분출장치 등의 다른 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되여 있으며, 반송분류와 주가스체류의 상호작용 대역에 있는 파라메타에 관한 설명도 포함되여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관하여 제3도에 여러가지의 디멘죤에 대한 기호가 표시되여, 다음 표에 이들 기호에 대한 수치가 mm 단위로 표시되어 있다.
Figure kpo00001
이상의 디멘죤외에 다음 표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간격 또는 각도 관계 또는 각 크기에 대한 제한 범위에 대하여 고려되는 것이 좋다.
Figure kpo00002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함에 있어서의 파라메타에 관하여, 유리는 오리피스에서 안정하여 계속 유출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목적을 위하여 유리의 유출구, 방사장치의 온도, 유리공급 오리피스의 직경은 실험적으로 정하여진 모종의 제한치보다 큰 것이 좋다. 따라서, 유리의 흐름은 24시간중에 각 오리피스에서 60kg이상이며, 방사장치의 온도는 1250℃보다 높고, 유리공급 오리피스의 직경은 2.5mm보다 큰 것이 좋다.
이들의 제한치에 관하여 유리의 조성에 따라서는 명백한 립상의 형성이 행하여지는 경향의 불규칙성을 피하는 것이 좋다. 이 현상은 섬유화에는 적합하지 않다. 전형적인 실시상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수치 즉, 매일 각 오리피스에서 100kg, 온도는 방사장치에서 1400℃, 유리공급 오리피스의 직경 3mm로 된다.
다음은 보충적인 조작의 제한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3
운동에너지 : 반송분류/주가스체류는 10/1 내지 1000/1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이들의 치의 각 표에 따라 사용할 수가 있다.
[실시예]
유리의 조성은 다음과 같았다.(중량비)
Figure kpo00004
운동에너지 : 반송분류/주가스체류=24/1
섬유의 직경 : 6미크론

Claims (1)

  1. 가스체의 분류 또는 반송분류를 가스체류 또는 주가스체류의 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생기는 상호 작용지대의 중에 도입되는 물질의 사의 연시에 의해서 연신되는 물질을 섬유로 전환(상기 분류의 단위물질 동적 에너지는 주가스체류의 중으로 침입하는데 충분한)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송분류는 주가스체류로부터 어느 정도의 거리에서 분출되며, 연신되는 물질의 사는 첫째로 상기 반송분류에 의해서 유인되는 가스체류의 중으로 반송분류 근처에 도입되며, 사는 최초 또는 부분적인 연신을 받아서 주가스체류의 범위에 도달하기 전에 연신섬유를 형성하고, 사는 계속해서 상호 작용지대의 중에서 두 번째 연신작용을 받아서 부분적으로 연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연신되는 물질을 섬유로 전환하는 방법.
KR7601999A 1976-08-16 1976-08-16 연신되는 물질을 섬유로 전환하는 방법 KR820001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1999A KR820001154B1 (ko) 1976-08-16 1976-08-16 연신되는 물질을 섬유로 전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1999A KR820001154B1 (ko) 1976-08-16 1976-08-16 연신되는 물질을 섬유로 전환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154B1 true KR820001154B1 (ko) 1982-06-28

Family

ID=1920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1999A KR820001154B1 (ko) 1976-08-16 1976-08-16 연신되는 물질을 섬유로 전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15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4886A (en) Fiber toration; method, equipment and product
US4243400A (en) Apparatus for producing fibers from heat-softening materials
US4185981A (en) Method for producing fibers from heat-softening materials
US3357808A (en) Method of preparing fibers from a viscous melt
US4337074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mineral wool fibers
US2206058A (en) Manufacture of glass wool
US32683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hollow glass fibers
NO823553L (no) Fremgangsmaate og innretning til fremstilling av ullfibre
US4494970A (en) Apparatus for production of fiber mats
US3773483A (en) Process for fibre drawing by fluid means
US2961698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mats
US3881903A (en) Apparatus for producing glass fibers
CA1281188C (en) Apparatus for producing mineral fibres from silicate raw materials such as basalt by blast drawing
US1769181A (en) Method of producing fibers from vitreous materials
KR820001154B1 (ko) 연신되는 물질을 섬유로 전환하는 방법
US6562282B1 (en) Method of melt blowing polymer filaments through alternating slots
SK279343B6 (sk) Spôsob vytvárania minerálnych vláken
US41182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berizing attenuable materials and product thereof
US4676815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fine mineral fibres
US4828469A (en) Blowing nozzle for ceramic fiber production
US2774630A (en) Blower nozzle
US40701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berizing attenuable materials
US3681169A (en)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wicks,threads and screens from thermoplastic materials
US4268293A (en) Stabilization of glass feed in fiberization by toration
US3945815A (en) Apparatus for drawing fibers by fluid m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