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114B1 - 화류(靴類)의 골 - Google Patents

화류(靴類)의 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114B1
KR820001114B1 KR7803566A KR780003566A KR820001114B1 KR 820001114 B1 KR820001114 B1 KR 820001114B1 KR 7803566 A KR7803566 A KR 7803566A KR 780003566 A KR780003566 A KR 780003566A KR 820001114 B1 KR820001114 B1 KR 820001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floor
bone
shoes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프강 슈몰 미햐엘
Original Assignee
볼프강 슈테환 롤프 슈페르베트
유니로이알 게젤샤후트 밋트 베슈렌크테르 하후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프강 슈테환 롤프 슈페르베트, 유니로이알 게젤샤후트 밋트 베슈렌크테르 하후트웅 filed Critical 볼프강 슈테환 롤프 슈페르베트
Priority to KR7803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02Lasts for making or repairing sho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류(靴類)의 골
제1도는 발의 안쪽에 해당하는 끝을 예시한 오른쪽 신발의 투시도.
제2도는 골의 윤곽을 나타내는 상면도.
제3도,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제1도에 예시한 골의 단면도로서 제1도와 제2도에 있는 평면(10)과 (11)에 따른 단면에서 골의 중앙 종선(縱線)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도면.
본 발명은 화류, 특히 정구화, 산책화, 하이킹화, 등산화, 실내운동화, 축구화 등과 같은 운동화의 골에 관한 것으로서 화저(靴底)의 주연(周緣)을 (폐쇄된)링으로 구성하고 화저부분과 상부사이에 완화부(緩和部)를 형성시켜 줌으로서 골의 종축(縱軸)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화저의 주연에 상대하는 면적을 연결하는 직선중의 두점이 화저면에 공간을 구성하게 하고 이 화저면의 공간에 따른 측선이 골의 외부 화저 면적에 대한 공간 측선으로부터 편의(偏倚)되게 한 것이다.
신발을 신고 평상시의 보행위치로 걸을 때 하중과 힘을 적정하게 분산시켜 발의 거동을 아주 안락하게 하는 방편으로서 발바닥의 모양에 적합하게 화저면적을 적용시켜 화저 면적이 비대칭적으로 굴곡이되게끔 화류의 안창을 형성하여 골을 구성시키고 있음은 기지의 사실이다(DAS 1,958,636참조).
발 또는 골의 종축에 수직하게 형성시킨 수개의 단면으로 나타내는 극도면(극極圖面)에 이 기지의 골을 도시함에 있어서 골, 즉 화저면과 화저면적을 모든 단면에 대하여 횡와(橫臥)의 위치로 경사지게 함을 알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횡와의 위치"라 함은 시계방향에 대한 수평면과 관련하여 뒤꿈치에서 투시한 골 혹은 오른발의 면 또는 해당직선을 경사지게 하거나 비틀리게 한 것을 뜻한다. 따라서 "내전(內轉)"이라함도 마찬가지로 시계방향에 대한 수평면과 관련하여 해당직선 또는 평면을 경사지게 하거나 비틀리게 함을 뜻한다.
종래에 나온 다른 골의 경우를 보면(OLS 1,410,584참조)앞발 부분과 뒷발 부분이 서로에 대하여 비틀려져 있다. 발이 중족골(中足骨)에 있어서 발바닥면은 수평으로 진행하는 반면 뒤꿈치에 있어서는 내전하면서 경사가 져 있으며 또한 앞발 면적은 횡와의 위치를 가지고 있다.
지상에 섰을때 발이 받는 하중의 지지용량에 있어서 앞발과 뒷발부분은 해당하중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공간에 있어서 측선에 대한 바닥면으로부터 편재하는 바닥면적은 발의 종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앞발 면적이 평편하게 되어 진행하고 있는 반면 보행진행선의 방향으로 가운데가 볼록하게 굴곡된다.
이러한 종래의 골들이 화류에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재현됨으로해서 달릴때에 발에 대하여 훨씬 양호한 지지감(支持感)을 부여하고 있을지라도 한가지 알 수 있는 사실은 특히 운동화의 경우에 있어서 발의 제어력이 빈번히 부적절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을 할 경우에 있어서 발목을 심하게 삐지 않게끔 하는 방법으로 골을 설계하는 것이며 발에 하중이 걸리게 되는 추력점(推力點)의 면적에서 동시에 안전하게 발을 지지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면에 대하여 직선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뒤꿈치와 앞발 면적에 수직방향으로 하고 또한 중족골 면적에 횡와의 위치로 경사지게 하여주며 앞발 면적, 특히 발과 엄지발가락의 면적이 큰 쪽에 있어서 발바닥면적에 대하여 접평면(接平面)을 해당바닥면에 관련하여 내전하도록 경사지게 하여 줌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신규의 골로 형성된 화류를 제조함에 있어서 바닥면을 뒤꿈치 면적에 수평하게 방향을 잡아 주기때문에 운동을 한다든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발이 바깥쪽으로 삐어질 위험같은 것은 없게 된다. 중극골 면적에서 바닥면을 반듯하게 경사지도록 하여주면 발이 평행형 아아치(arch)를 가지고서 특별히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에 의한 골은 뒤꿈치 면적에 대한 평면의 수평측선으로 부터 중족골면적에서 반듯하게 경사지게 완화부를 설정하여 줌으로서 뒤꿈치 면적으로 하중전이가 일어나며 중족골의 최대 경사점을 발에 걸리는 하중의 추력점에 두도록 설계를 한 것이다.
따라서 뒤꿈치 쪽으로 발의 평행형 아아치가 지지시초부터 걸리게 된다. 발에 걸리는 하중의 추력점의 면적에서 평행형 아아치가 최대한도로 걸리게 되므로 정강이 뼈까지도 충분히 전달이 된다. 이 추력점의 면적은 코파르트 관절(Coparth's joint)에 거의 가까이 위치하게 되므로 발이 받는 하중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평행형 아아치의 이탈을 특히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면적에서 뼈의 구조부분에 충격이 가면 발가락의 힘줄이 이동하게 되어 대체로 중족골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서도 발의 평행 아아치가 끈과 같이 신축성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새로운 지지형식으로 인하여 힘줄은 고차되는 하중을 받지않게 되므로 발을 피로감이 없이 신속히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고안에 입각하여 뒤꿈치의 뼈대가 상당히 구면배위(球面配位)를 하게 되므로 지지면이 동시에 확대되어 뒤꿈치가 유연하게 자리잡게 된다.
발이 받게 되는 추력점에서의 중족골 면적을 특히 양호하게 지지함에 있어서 또 하나의 장점은 발은 안정한 저항을 받게 되는데, 다시말하면 전방으로 이탈이 되지 않기 때문에 발가락 면적은 필연적으로 신발 콧등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발이 횡단 아아치를 지지하기 위하여 유연한 윤곽선을 형성시켜 이를 따라 중족골 지지요소를 구성시켜준다. 유연한 윤곽선을 형성시켜 주면 신발을 신고 있을 때 통증이 없어지며, 또한 안정한 지지효과가 손상되지도 않는다. 결과적으로 골의 형성부분에서 중족골의 지지정도는 현저하게 되는데 이것은 바닥면의 중족골 면적에 분명히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오목부분을 형성시켜 주면 되는 것이다. 앞발 부분에서 바닥면에 대하여 내전위치에서 경사지게 바닥표면을 형성시켜 주는 방법으로 골을 구성시킨다. 이렇게 하면 발바닥의 외부는 물론 내부와 엄지발가락 면적에 접선방향으로 연결접속되는 경사를 형성시켜 주면 분명하게 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바닥 면 밑에 엄지발가락과 두개의 발바닥이 오도록 하여 시계와 반대방향으로 내전시켜 경사지도록 하는 것이다. 접선 기울기는 약 2°~10°정도로 적절히 형성시켜주는데 대체적으로 5°정도가 좋다. 이러한 설계는 발이 자연적으로 비틀리게 되는 것과 상응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종, 아아치를 지지한다는 것은 앞뒤 발바닥 면적에서 시작되며, 더욱이 앞발의 내전경사를 형성시켜 주면 운동중에 발의 상향전이 운동을 자연스럽게 해주게 된다.
따라서 발이 삐어질 위험은 상당히 줄어든다. 따라서 앞발바닥의 위치를 낮게 잡아주면 중족지골(中足趾骨)관절아래 위치한 종자골(種子骨)이 안정성을 갖게 되어 신발을 신고다닐때 특히 만족감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규의 골을 형성시켜 제조한 화류를 신으면 발이 삐지 않게 되며 발바닥이 접촉면적을 크게함과 동시에 적응이 순화되어 신발 내부에서 구속력을 훨씬 작게 받게 된다. 신발의 안창과 바닥간의 공간은 크지않게 되므로 신발의 표피를 균일하고도 편안할 정도로 형성시켜 신발내에서 발이 비틀리지도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제위치에서 미끄러져 나가지도 않는다.
신발은 편안하고 균일하게 구성시키게 되면 발이 가하게 되는 모든 힘은 다른데로 분산이 됨이 없이 지상으로 전달되며 이것은 운동화의 경우에서 특히 정확성을 가져올 수 있다는데 중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신규의 골을 형성시켜 제조하는 화류, 특히 운동화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화류에 비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골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든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화류의 골(1)은 오른발의 신발에 대한 것이며 골의 콧등(2)과 골의 끝(3)에 있어서 화류표피는 상부면적(4)을 가지면 화저(5)는 하부 면적을 가진다. 이들 두 가지 면적은 골의 주연(周緣)(6)을 따라 접합되며 이것이 신발의 바닥면의 주연이 된다. 골, 다시 말하자면 골의 주연(6)은 (폐쇄된 형태의)링으로 되어 있고 이것이 바닥면(9)의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 여러개의 직선(10)을 골의 중앙종선(13)에 수직방향으로 구성하여 바닥의 골의 주연(6)에 있는 각기 두개의 점과 교차하도록 한다.
제1도와 제2도를 볼것 같으면 이러한 직선이 4개나 있는데 이들은 각기 신발의 골의 주연(6)에서 (10a)와 (10b), (10c)와 (10d), (10e)와 (10f) 및 (10g)와 (10h)로서 한쌍의 점과 교차하고 있다.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바닥의 공간에 위치한 평면(9)은 바닥면적(5)의 공간에 있는 측선과는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인데, 제1도에 예시한 바와 같은 이 골은 발의 형상을 재현하는 것으로서 골의 바닥면적(5)은 해당하는 발의 바닥면적과 동일하다.
신발과 발을 조화시키는데 있어서, 특히 운동화의 경우에 있어서 필요한 것은 수평면과 관련하여 바닥 평면(9)를 형성하고 있는 직선들(10)에 대한 각각의 기울기인데 해당하는 바닥 면적(9)에 대한 화저면적(5)의 상대 기울기도 포함된다. 골 면적을 결정함에 있어서 이러한 관계를 분명히 하기 위해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직선들(10)로 구성되는 면적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골의 단면적을 제3도에서부터 제6도에 예시하고 있는데 이 도면들에서는 해당 직선에 대하여 중앙수직선(11)(이것은 제1도에 도시되어 있음)을 그어 평면에 대한 각각의 해당되는 수직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제5도와 관련을 가진 제1도를 보면 알 수 있는 것은 공간적으로 만곡된 평면(9)은 제5도의 중족골 면적(16)의 준하여 단면적에 있어서 상당히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점(10e)와 (10f)를 연결하는 직선(10)은 제3도~제6도에 있는 바와 같이 괘선(罫線)으로 나타나는 수평면(25)에 대하여 옆으로 반듯이 누운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있는데 수평면(25)에 대한 이 기울기의 크기(24)는 약 14°~45°사이이고 대체적으로 약 25°정도가 된다. 뒤꿈치 면적(8)과 앞발의 면적, 특히 앞바닥의 면적(7)과 엄지 발가락의 면적에 있어서 평면(9)을 구성하고 있는 직선들(10)은 제3도, 제4도 및 제6도를 보면 수평면(25)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을 취하고 있다.
직선(10)의 반듯하게 누운 종족골 면적(16)중의 점(10e)를 보면 골의 주연 (6)은 뒤꿈치면적(8)을 향하여 안쪽으로 발을 따라 만곡되어 있으므로 바닥 평면(9)의 종족골면적으로부터 뒤꿈치 면적(8)의 수준에서 수직방향의 바닥면적 쪽으로 반듯이 형태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제1도의 점(10e)를 관통하는 직선(10)과 각 골의 주연(6)에서 점(12)을 통과하는 직선간에 존재하는 바닥면적은 발의 코파르트 관절과 접근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면적은 정강이 뼈와 연결되는 부분과 관계되는 것으로 발에 가해지는 하중의 추력점이 존재하는 곳이다. 점(10e)의 바닥평면(12)간에 형성되는 면적에 있어서의 공간측선으로 인하여 이들 점들간에 존재하는 중족골면적은 안정하게 지지되며 또한 신발의 콧등쪽으로 미끄러질 때 이것을 제동할 수 있게 발이 효과적으로 안착하게 되는 것이다.
제6도에 있어서 골의 주연부분의 점(10g)와 (10h)을 연결하는 직전(10)의 수평 축전으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뒤꿈치면적(8)을 수직으로 지지하게 된다.
제3도와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면적(9)의 직선들(10)은 앞발쪽의 면적에 대하여 수평하게 진행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발의 앞발바닥부분(7)과 뒷발바닥부분(21) 및 엄지발가락의 면적(이것은 도면에 예시되지 않았음)은 바닥의 수평면(9) 밑에 분명히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발의 앞바닥 부분(7)과 엄지발가락부분은 뒤바닥부분(21)보다 분명히 낮은 위치에 있으며 이 면적에서 바닥면(5)에 대하여 가해지는 접선(20)은 바닥의 수평면(9)에 대하여 내전하는 위치에서 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앞발의 전체 바닥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타당성이 부여되는 것이다.
내전각도(內轉角度)(20a)는 수평면(9)에 대한 것으로서 약 2°~10°의 범위에 있는데 대체로 약 5°정도로하는 것이 좋다.
앞발과 중족골간의 완화부분의 면적에 있어서 함몰변형부분(14)에서 골(1)의 바닥 표면(5)에 대하여 중족골의 지지효과를 분명히 나타내고 있다.
제4도를 보면 평면도는 바닥면적(5)의 오목부분(14)의 깊이가 최대로 되는 점(22)을 예시하고 있는 것인데 오목부분(14)의 점(22)은 제4도의 골의 주연부분의 점(10c)와 (10d)간을 연결하는 수평직선으로 형성되는 수평바닥면(9)보다 높은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수평바닥면 위에 위치하는 점(22)의 위치는 약 1~2mm의 거리를 가지고 있다.

Claims (1)

  1. 본문에서 상술하고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화저의 주연을(폐쇄된)링으로 구성하고 화저부분과 상부사이에 완화부를 형성시키고, 골의 종축에 수직방향의 직선들을 형성하고 골의 주연부의 각기 상대되는 두 개의 점을 연결하여 공간이 있는 바닥면을 형성시키고, 이 바닥면의 측선이 골의 외부 주연의 측선과 떨어지게 구성함에 있어서 바닥의 평면(9)을 형성하는 직선들(10)을 뒤꿈치(8)와 앞발(9)의 면적에 대하여 수평방향을 취하게 하고 중족골 면적(16)에서 옆으로 반듯이 누운 위치에서 기울기를 가지게 함과 동시에 앞발 면적, 특히 앞발바닥 면적(7)과 엄지발가락 부분에 있어서 바닥의 해당 평면(9)에 대하여 바닥면적(5)쪽으로 내전하는 위치에서 기울기를 가지도록 접평면(接平面)을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정구화, 산책화, 하이킹화, 등산화, 실내운동화, 축구화 등과 같은 운동화 등을 포함하는 화류의 골.
KR7803566A 1978-11-27 1978-11-27 화류(靴類)의 골 KR820001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566A KR820001114B1 (ko) 1978-11-27 1978-11-27 화류(靴類)의 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566A KR820001114B1 (ko) 1978-11-27 1978-11-27 화류(靴類)의 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114B1 true KR820001114B1 (ko) 1982-06-26

Family

ID=1920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566A KR820001114B1 (ko) 1978-11-27 1978-11-27 화류(靴類)의 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11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0456B2 (en) Athletic positioning apparatus and applications thereof
US6021588A (en) Shoe assembly
US5826351A (en) Shoe sole and shoe and sandal including the sole
KR960013828B1 (ko) 미끄럼 방지 안창 받침
US6161315A (en) Shoe outsole having a stability ridge
US5983529A (en) Footwear shock absorbing system
US2008207A (en) Foot support
US5408761A (en) Sport shoe and support system
EP2499926B1 (en)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sole structure
US2052115A (en) Outer sole for boots and shoes
JPS59155204A (ja) 運動靴
EP0206439A2 (en) An outer sole for a basketball or like shoe
US20130312292A1 (en) Sole for a shoe and related methods
US6065229A (en) Multiple-part foot-support sole
EP0078306A1 (en) Athletic shoe and sole
US4272899A (en) Footwear
JPH05130902A (ja) 非対称的なバレーシユーズ
US4188736A (en) Footwear with specially formed insole
KR200414204Y1 (ko) 신발
JPS6235762B2 (ko)
US2353829A (en) Footwear
US5893221A (en) Footwear having a protuberance
US3992788A (en) Insole and outsole construction for athletic (tennis) shoes, and the like
KR820001114B1 (ko) 화류(靴類)의 골
CN106455751B (zh) 用于运动鞋的鞋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