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105B1 - 인테그랄 휠드 자기유량계 - Google Patents

인테그랄 휠드 자기유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105B1
KR820001105B1 KR7802412A KR780002412A KR820001105B1 KR 820001105 B1 KR820001105 B1 KR 820001105B1 KR 7802412 A KR7802412 A KR 7802412A KR 780002412 A KR780002412 A KR 780002412A KR 820001105 B1 KR820001105 B1 KR 820001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current
magnetic field
electrod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2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워드 한델 네일
Original Assignee
조셒 에프. 파파렐라
더 폭스보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셒 에프. 파파렐라, 더 폭스보로 캄파니 filed Critical 조셒 에프. 파파렐라
Priority to KR7802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5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테그랄 휠드 자기유량계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 사시도.
제2도는 순간 균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도의 유량계의 종축수직 단면도.
제3도는 내부전극 주위의 자장 분포를 일반적인 형태로 도시한 파이프 내경의 평면도.
제4도는 자장을 여기시키고 유도된 출력전압을 검출하기위한 전자회로의 계통도.
제5도는 자장구동 회로의 개략 계통도.
제6a도에서 제6f도는 일련의 전형적인 파형도.
제7도는 유동유도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선택적인 실시예의 계통도.
본 발명은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기 유량계(magnetic flowmeter)에 관한 것이다.
도전성 유체가 일정한 밀도를 갖는 횡방향 자장을 통해 흘러서 유량에 비례하는 한쌍의 전극사이에 전압을 만드는 자기 유량계가 얼마동안 사용되어 왔었다. 이 유량계는 발생한 전압이 자장과 유동방향에 모두 수직한다는 양호한 원리로 동작한다.
시판되는 대부분의 자기 유량계는 그의 반대 측부상의 유체 도관내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는 두개의 소형 전극을 포함한다. 자기 코일과 코어부품은 유동 방향과 전극의 위치에 직각으로 도관을 통과하는 자장을 만들기 위해 도관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다.
전류 이송 도체를 도관의 종축을 따라(즉, 유동 방향을 따라) 중심을 맞추어서 내부 동심 자장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인테그랄[즉, 자장]휠드 자기 유량계라고 불리우는 이러한 형태의 축전류(axial current)자기 유량계에서, 출력전압은 유동방향과 자장에 모두 수직인 축을 따라 나타나고, 이 자장내에 배치한 한씽의 동심전극 사이에서 검출된다. 이와 같은 축전류에 의해서 발생된 자장때문데, 유체도관의 어느 지점에서의 자계강도는 전류의 유효 평균 축으로부터 그 지점의 반경거리에 반비례하게 된다.
전류 이송 도체에 의해 발생된 인테그랄 휠드(integral field)를 이용하는 유량계중의 한 형태는 피.씨.이 스트맨(P.C.Eastman)등이 "동심 전극을 설치한 자기 유량계"란 제목으로 발표한 인스투루멘테이션 테크널러지(Instrumentation technology)(1970년 6월 발행)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 도체를 둘러싸는 금속관은 중심 전극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파이프내에 용접되어 있다. 파이프벽에 장착한 원통형 외부전극은 도체를 둘러싼다. 이 관은 파이프내에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으므로, 비도전성 라이너(liner)는 유동 유도전압을 감지하기 위해 두 전극들 양단에 전위를 설정하도록 이 라이너로부터 외부전극을 절연시키기 위해서 파이프의 내부에 부착되어야 한다. 라이너는 제조 및 설치하기에 고가이며, 일정한 유량 조건하에서 부착하고 밀봉하는데 중대한 문제점을 가지므로 공정제어 분야에서 파이프 라인에 배치하기가 쉽지 않는 결점이 있다.
자기 유량계의 설계에 있어서, 발생되는 자장은 교류이거나 직류이다. 그러나, a-c자장여기(excitation)를 사용하면 선간전압, 주파수 및 고조파 비틀림(harmonic distortion)과, 유량과 무관한 유도적으로나 용량적으로 결합된 의사 전압신호의 변화에 대해 측정된 출력 유량신호의 감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가진 자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큰 a-c입력 전류레벨을 필요로 하는데, 이에 수반해서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직류자속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결점들이 생기게 된다. d-c 신호전류는 전류기간에 비례해서 생기는 전극의 분극화를 야기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 분극효과는 전극의 오믹(ohmic) 임피던스를 증가시키고, 작은 표면적을 가진 전극에 더 중대한 효과를 미친다.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하는 전기화학 또는 전지전위가 전극에 존재하게 된다. 실제로, 어떤 유동조건하에서 이들 전압은 수초내에 상당히 변화될 수 있다. 유량신호는 이들 전기화학 전압에 추가되므로, 두개의 전압을 분압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거나, 출력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해 측정회로속에 기선내의 전이를 보상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자장을 만드는 부수적인 방법은 펄스화된 d-c 신호전류를 이용하는 미합중국특허 제4,010,644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a-c 또는 일정한 d-c자장 여기보다 몇 가지의 잇점을 더 갖고 있다. 즉,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a-c 선간전압, 유도적으로 결합된 의사출력신호 및 분극효과를 최소로 줄인다. 그러나, 종래 장치의 계자권선에 관련된 긴 시정수 때문에, 전기화학 전압의 전이효과가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010,644호는 주로 펄스화된 d-c자장을 사용할 경우 이들 불안정한 d-c 전압을 보상하는 방법에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회로설치에 추가비용이 소모되며, 유량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다.
종래의 장치에 관련된 또 다른 인자는 감지전극의 크기가 비교적 작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형전극은 분극효과를 더 받기가 쉽다. 또한 이 소형전극은 저도전성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을 방해하는 고출력신호 임피던스를 만든다.
또한, 소형 전극은 출력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잡음 유동신호를 발생한다. 이것은 전극과 근접한 중간지역에서 전압을 유도하는 유동소자가 전극으로부터 먼 지점에서 유동액중에 유도된 동일한 전압보다도 전체 유량신호의 백분율을 불균형하게 더 크게하기 때문이다. 실제의 유동은 항성 거칠으므로, 도관내의 평균 유동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전극부근에서 무질서한 속도변화가 생긴다. 그러므로, 소형 전극을 사용하는 자기유량계는 유용한 결과를 얻도록 여과되어야 하는 무질서한 잡음의 수퍼센트에 지나지 않는 출력 유동신호를 만들어 낸다. 이 여과는 측정계의 응답을 느리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도체를 일반적으로 유체도관의 종축을 따라 장착하고, 그 주위에 전극을 배치하고, 다른 전극으로서 이 도관자체를 사용함으로써 고도로 정확하고, 제조가격이 저렴한 자기유량계가 구성될 수 있다.
도체를 전류신호로 활성화하면 도체주위에 동심적으로 배치되고 유체에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있는 도관내에 자장이 생긴다. 양전극에 접속된 전자회로는 유동유도전압을 감지하며, 유량에 비례하는 출력신호를 만들어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전류(예, 20암페아이상), 매우 짧은기간(예, 10밀리초이하)의 d-c펄스에 의해 자장이 형성된다. 계자코일을 신속(예, 2밀리초이하)하게 이용함으로써 증감시정수는 자장이 그의 정상상태에 도달했을 경우 전류가 통과한 후 대응하게 짧은 기간내에 전극출력 전압을 해독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므로, 최종적인 짧은 펄스, 유동유도 전압신호는 전자 해독회로에 더욱 용이하게 전달되어 이 전자해독 회로에 의해 처리된다. 예를 들면, 감지전극과 해독회로 사이에 있는 신호통로에 접속된 절연펄스 변성기가 유동유도 전압성분을 통과시키고 이와 동시에 전지 및 다른 d-c 성분을 전극출력 전압으로부터 제거하여, 그의 출력에서 실제의 유동신호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행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자기유량계(10)은 플랜지단부(13,15)를 가진 4인치 내경 스테인레스 강철 파이프(12)의 단면을 포함한다. 계자코일(22)를 형성하는 전기 도체로된 권선을 가진 연장된 스테인레스 강철 관형 하우징(16)은 파이프벽을 통해 연장된 다리부분(17A,17B)에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의 다리는 한쌍의 압압 밀봉부(18A,18B)에 의해 파이프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이 관형 하우징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파이프 내경의 2배의 길이로 파이프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하우징을 따르면 양밀봉부로부터 A 및 A'로 표시한 지점까지 처리하면, 탄화플루오르 수축관(20)은 모두 절연되지만 파이프 내경의 1.5배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하우징의 중심부분은 공정유체에 노출된다.
계자코일(22)는 #17Formvar 절연선 25다발을 관형 하우징(16)을 통해 인장시키고 25회 권선을 형성하도록 파이프(12)의 외부에 장착된 접속상자(14)내에 이것들을 연속해서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코일의 입력측은 케이블(24)에 의해 콘덴서(34)(0.1패럿)를 약 30볼트로 충전시킬 수 있는 직류 전원(32)를 포함한 d-c 펄스 스위칭 회로망(30)(제4도)에 접속되어 있는데, 이것들은 모두 접속상자와 정반대위치에 있는 파이프에 장착된 케이스(26)내에 배치되어 있다. 공지된 강도의 자장을 만들기 위해 전류를 구동시키는 스위칭 회로망, 유동관 및 이와 결합된 계자코일과, 유동유도 전압신호를 감지하는 전극은 자기유량 측정계의 일차 요소를 구성한다. 25회 권선을 사용하면 유용한 출력신호를 얻는데 필요한 입력 전류량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고상 스위칭 및 조정장치의 범위내의 레벨로 감소시킨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전극에 의해 감지된 전압은 시일드(shield)신호 케이블(27)에 의해 유동신호 해독회로(40)(즉, 이차요소)에 접속되어 있다. 펄스변성기(43)의 출력에서 해독되는 전압은 공통 클럭회로(36)에 의해 자장구동 전류펄스와 동기하여 이차요소에 게이트된다.
유량계(10)은 파이프(12)의 플랜치 단부(13,15)를 정합 플랜지에 결합시킴으로써 유동선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파이프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관형 하우징(16)으로부터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체에 의해 발생된 전압은 하우징(16)의 절연시키지 않은 중실부분(21)과 파이프벽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이 배치는, 특히 전극으로서 파이프벽을 사용하면, 출력 유동잡음과 신호출력 임피던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저도전성 유체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표면적이 큰 한쌍의 전극을 제공해준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는 두개의 전극을 절연시키기 위해 파이프의 내부에 절연 라이너를 부착시킬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각각의 플랜지 사이에 단부 가스켓트(도시하지 않음)를 간단히 배치하므로서 효과적인 압압밀봉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 동심전극 배열에 의한 대칭은 유동선내에서 계기구조의 배향에 관계없이 적당하게 실행되게 한다.
펄스 스위칭 회로망(30)은 계자 코일(22)에 매초당 7.5펄스의 비율로 필요한 여기 전류를 공급한다. 클럭회로(36)은 60Hz선 주파수를 8로 나누어 얻은 적당한 반복비로 3밀리초 펄스를 제공하고 이 펄스를 고상스위치 및 전류조정기(38)에 공급한다. 이 스위치 및 전류조정기는 계자코일에서 공칭 40암페아의 대응하는 전류펄스를 생성하기 위해 매초당 7.5배로 3밀리초동안 콘덴서(34)를 계자코일에 접속시키도록 작용한다(제6a도 및 제6b도 참조). 이 저충격 계수때문에, 전원은 약 1암페아 정도의 평균 충전전류를 축적콘덴서(34)에 공급해야 하고, 각각의 펄스는 콘덴서 양단의 전압을 극히 적은량만 감압시켜야 한다. 그 결과, 전류조정기는 계자전류를 정확하게 바람직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5도는 고상스위치 및 전류조정기(38)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전원전압은 처음에 고이득 증폭기(52)의 비-반전단자(52A)에서 적당한 바이어스 레벨을 설정하도록 기준다이오드(50)과 저항회로망(51)의 결합에 의해 분압된다. 다음에 그 이유를 명백히 기술한 바와 같이, 이 바이어스 레벨은 전위차계(51A)에 의해 미리 선택된 범위이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압력단자(52A)에 인가된 펄스는 증폭기를 트리거시킨다. 증폭기(52)의 출력은 다알링톤 접속회로(Darlington Pair)(53)을 작동시키는데, 이 회로는 차례로 계자코일(22)에 40암페아를 제공하도록 합산된 출력을 가진 병렬로 배열된 4개의 동일한 스위칭 트랜지스터(54)를 작동시킨다. 각각 공칭 1오옴(각각의 저항기가 각각의 스위칭 트랜지서터에 결합됨)의 저항치를 갖고 계자코일과 직렬로 배치된 전류감지 저항기(56) 그룹은 코일에 인가된 전류를 조정하도록 증폭기(52)에 부귀환을 제공한다.
계자코일(22)에 인가된 전류가 조정되어 있고, 이 조정치는 전위차계(51A)에 의해 조절되므로, 일정한 크기의 일차 소자(예, 4인치 내경계기)는 모두 동일한 교정인자(즉, 주어진 유량에 대한 출력신호의 밀리볼트수)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자장교정을 제거하면 계량기의 현지 교체를 용이하게 해주고 또한 전체 시스템의 사고율을 최소로 해준다. 전류를 조정하면 자장강도의 변화에 대한 유동신호를 보상할 필요가 없고, 계자전류 펄스의 증가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과전압이 인가되게 하는 잇점이 있다.
한편, 전류가 통과할 경우에는, 파이프내에 자장이 존재하는데, 이 파이프의 자력선은 일반적으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효유체 유동측정 지역내의 내부전극(21) 주위에서 동심원을 형성한다. 전류가 조정되기 때문에, 자장의 강도를 알 수 있으므로, 유동도전선 유체와 자장이 상호 작용하여 내부적극(21)과 파이프(12) 사이에서 감지된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데, 이것은 유량에 비례하는 것으로서 알려져 있다. 전술한 실시에에서, 매초당 10피이트의 유량은 2밀리볼트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정상상태 또는 p-c 자장 여기와 반대방향으로 단기간, 고전류 펄스화 자장 구동회로를 사용하면 계기의 전체 에너지 소비를 상당히 절약할 수 있고, 스위칭 및 조정장치에서의 전력소비를 최초로 줄여준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펄스화 d-c 자장 구동회로는 유동신호 해독회로가 a-c 선간전압, 주파수 및 고조파 비틀림에 둔감하게 해준다.
정상 상태치로 상승하는 짧고 명확한 계자 전류 펄스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유동유도 전극출력 전압을 만들도록 가능한한 짧은 기간내에 제로치로 감쇠시키는 것이 특히 유익하다.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펄스화된 출력전압은 추가로 처리조작을 필요로 하는 이차요소에 더 용이하게 전달되어 전지전압과 전극에 의해 감지되는 다른 여분의 전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독특한 전극구조는 처리유체와 접촉하는 큰 표면적을 제공하므로 고도의 출력잡음을 제거해주어 감지되는 잡음 피이크의 가능성을 본질적으로 제거해 주므로서, 신호를 주기적으로 샘플링할 경우 전체적인 측정 정확도를 증대시켜 준다.
3밀리초의 펄스길이는 0.4밀리초인 계자코일(22)의 시정수(상승 및 감쇠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상승시간은 40암페아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높은 입력전압을 사용하고 상기한 조정회로를 통해 계자코일(22)에 인가된 전류를 제어하므로서 감소된다. 이 정상상태의 전류는 2밀리초 이내에 도달되어, 적어도 1밀리초의 정전류로 유동을 측정할 수 있게 해준다.
구동회로의 스위칭 응답특성과 출력측정의 정확도에 관한 다른 요인은 유동액을 통하는 계자코일(22)와 파이프(12)내의 전류의 상승 또는 감소의 결과로서 관형 하우징(16)의 다리부분(17A,17B)사이에 유도적으로 연결된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균형시키는 것이다. 각각의 다리를 통과하는 전류의 반대방향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유도 과전류는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갖는 두 개의 도전성 루우프를 형성한다. 이 과전류를 제로로하여 출력신호 케이블(27)의 중심도체와 시일드사이에 존재하는 정미(net)유도 전위가 제로로 되도록, 전위차계(60)(제2도 참조)은 신호케이블(27)의 중심도체에 미끄름 접촉하도록 다리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 출력신호 출발지점은 신호케이블의 시일드의 접지점과 동일한 과전위를 갖도록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으므로, 유도된 과전류가 신호회로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반대로, 전류를 제로로 감쇠시키는 속도는 반드시 소비되어야 하는 코일(22)의 의 자장내의 에너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40암페아 코일전류에 대해서 생성되는 자장을 감쇠시키기 위해 약 0.22쥬울을 흡수해한다. 매초당 반복비 7.5에서 소비될 평균 전력은 1.65와트이다. 이와 같은 저평균 전력레벨은 계자코일에 접속되고 감쇠하는 자장에 의해 생성된 역전압에 대해 단락회로로서 작용하는 댐핑다이오드(58)에 의해 적당하게 흡수되므로, 제로 계자전류로 복귀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크게 감소시킨다.
제4도 및 6a-f도에는 유동신호를 해독하기 위한 이차요소(40)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럭회로(36)은 매초당 7.5배의 반복비로 3밀리초 펄스를 생성하여, 계자코일(22)내에 전류를 발생시키고 파이프(12)내에 대응하는 자장을 형성시키도록 스위치 및 전류조정기(38)을 작동시킨다(제6a도-제6c도 참조). 두개의 전극양단에 나타나는 유동유도 신호전압은 두 개의 값을 갖는데, 제1값은 전극에서 전지전위와 거의 같은 d-c 전압에 부가된 유량(즉, 유동신호)에 비례한다. 이 유동 유도전압은 제6d도에 도시한 파형을 만들어 내도록 전치증폭기(42)에 의해 증폭된다. 그 다음에 이 신호는 펄스화된 유동신호만이 출력(43B)를 통과하게 하는 펄스변성기(43)의 입력(43A)에 공급되어, d-c 성분을 검출회로의 잔여부분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시킨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d-c 블럭을 제공하는 펄스변성기(43)은 감지전극의 접지시스템을 해독회로의 접지시스템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출력 측정회로에 분리된 접지를 제공하는 것은 특정접지 시스템에 공정제어기를 연결하는 것이 불필요한 공정 제어계에서 중요하다.
클럭(36)은 자장 구동회로와 동기되어 있는 이차요소(40)에 펄스를 동시에 전달한다. 지연기(46)으로 측정하여 전류를 통과시킨 후 약 2밀리초 후에, 게이트(45)는 유동신호가 펄스변성기(43)의 출력(43B)에서 나타나도록 1밀리초 동안 개방된다. 그러므로, 이 샘플신호(제6f도 참조)는 계자코일의 전류가 일정할 때에 나타난다. 그 다음에 생성되는 신호는 유량에 비례하는 공업계측 요구치(즉, 전형적으로 4-20밀리암페아)와 양립할 수 있는 출력신호를 만들어 내도록 휠터(72)와 d-c 전류조정기(74)에 공급된다.
유량의 변화는 매초당 7.5배의 반복비로 제6a도-제6f도에 도시한 전체 측정사이클을 반복하므로서 검출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앞에서 상세하게 기술하였는데, 이것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접지분리가 필요하지 않거나 시스템의 후단부에서 분리시킨 다음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를 상기한 펄스화시키는 기술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유동해독을 하기 위해 d-c 측정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실시예에서, 두 개의 전극전압 해독이 샘플되는데, 한 신호해독은 자장이 정상상태일 경우 계자 전류펄스의 후단부 동안 만들어지고, 다른 신호해독은 발생된 자장이 제로로되어 전지전압과 다른 여분의 전압이 전극에 의해 감지될 경우 계자전류가 단전된 직후에 만들어진다. 이 두 전압해독의 차이는 실제의 유동신호이다. 이 두 해독은 수밀리초내에 만들어지므로, 전지전압의 편류(drift)는 무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선(baseline)편류를 보상하기 위한 부수적인 회로가 필요없다.
자장 구동회로와 이차요소에 관련된 클럭회로(36)의 동기작동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전치증폭기(42)에 의해 증폭된 후 전극 출력전압은 종래의 샘플 및 유지회로(44A,44B)에 별렬로 인가된다.
지연기(46)으로 측정하여 전류가 통과한 후 약 2밀리초 후에, 샘플 및 유지회로(44A)는 실질적으로 유동유도 및 전기전위의 성분인 유동신호를 생성하도록 1밀리초동안 개방된다. 제2지연기(47)에 의해 3밀리초 지연된 후 계자전류가 제로가 될 경우, 다른 샘플 및 유지회로(44B)는 전극사이의 전압전위, 즉, "제로"신호를 해독하도록 1밀리초동안 개방되다.
약 3밀리초의 제3 지연기(48)을 통과한 후 클랙펄스는 차동증폭기(70)에 "유동"및 "제로"신호를 모두 동시에 공급하는 두 개의 게이트회로(49A,49B)에 전달된다. 차동증폭기의 출력은 실제의 유량신호, 즉 "유동"신호-"제로"신호를 나타낸다. 그 다음에 이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당한 출력신호를 만들어 내도록 휠터(72)와 d-c 전류조정기(74)에 공급된다.
계자코일에 대한 상승 및 감쇠시정수를 2밀리초 정도로 높게하면, 대응하는 펄스폭을 10밀리초로 증가시키고, 전류레벨을 20암페아로 감소시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출력신호를 얻도록 전자적인 변형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장 구동회로는 외부에 장착한 계자코일이 전류 펄스회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비슷하게 낮은 시정수를 제공하도록 이 코일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전술한 계자코일을 갖는 자기 유량계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일차 요소를 변형하여 관형 하우징(16)을 모두 처리 유체로 부터 절연시키고, 분리된 내부전극을 절연 하우징 주위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두개의 다리 부분(17A,17B)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지않도록 관형하우징을 장착할 수도 있다. 이것은 고속으로 교란되는 유체에 사용할 때에 하우징이 진동하지 못하게 한다.
이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을 가할 수도 있다.

Claims (1)

  1. 도전성 부분을 갖는 유체유동도관, 이 유동도관의 종축에 수직한 동심자장을 형성하도록 상기 도전부분내에서 이 유동도관의 종축을 따라 연장된 부분을 갖는 계자코일,상기 종방향 코일부분 주위에 배치되고 이 코일부분에 근접한 상기 유동도관 도전부분의 종축으로 연장된 내부전극 및 상기 내부전극을 상기 도전부분과 절연시켜서 이 도전부분이 표면적이 큰 전극으로서 작용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그랄휠드 자기유량계.
KR7802412A 1978-08-07 1978-08-07 인테그랄 휠드 자기유량계 KR820001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412A KR820001105B1 (ko) 1978-08-07 1978-08-07 인테그랄 휠드 자기유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412A KR820001105B1 (ko) 1978-08-07 1978-08-07 인테그랄 휠드 자기유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105B1 true KR820001105B1 (ko) 1982-06-25

Family

ID=1920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412A KR820001105B1 (ko) 1978-08-07 1978-08-07 인테그랄 휠드 자기유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10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6866B1 (en) Electromagnetic flowmeter utilizing magnetic fields of a plurality of frequencies
US582828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ielding a toroidal current sensor
US5551306A (en) Magnetic flowmeter
RU96107107A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расходомер с детектором порожней трубы
US3339410A (en) Flow meter
JPS6018014B2 (ja) 導電性流体導電率監視装置
WO1996018086A9 (en) Magnetic flowmeter
JPH04306890A (ja) 誘導型線形変位トランスジューサおよび温度補償信号プロセッサ
KR890015026A (ko) 상호 인덕턴스 전류 트랜스듀서와 그 제조방법 및 전기 에너지 메터
US7574924B1 (en) Magnetic flow meter
US4137766A (en) Integral field magnetic flowmeter
US6191575B1 (en) Device for measuring linear displacements
US2734380A (en) mittelmann
US4357835A (en) Electromagnetic flowmeter in shielded lines
GB2403542A (en) Electromagnetic flowmeter having elongate electrodes and magnets
US3397575A (en) Magnetic flowmeter
KR820001105B1 (ko) 인테그랄 휠드 자기유량계
CA1157097A (en) Process for the measurement of the specific capacity of a cable and a device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US4122714A (en) Magnetic current meter for open channel flow measurement
KR920010267A (ko) 전자유량계
EP0360574B1 (en) Current sensor having an element made of amorphous magnetic metal
US3380301A (en) Magnetic flowmeter for magnetic slurries
US3555409A (en) Magnetic susceptibility logging system with transmitter and receiver null coils
US3054946A (en) Method for measuring electrical conductivity of fluids
US3377855A (en) Noise nulling network for magnetic flowme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