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079B1 - 방향족알데히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향족알데히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079B1
KR820001079B1 KR7803900A KR780003900A KR820001079B1 KR 820001079 B1 KR820001079 B1 KR 820001079B1 KR 7803900 A KR7803900 A KR 7803900A KR 780003900 A KR780003900 A KR 780003900A KR 820001079 B1 KR820001079 B1 KR 820001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ethoxy
aromatic
quinoline
mol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위트 파오로
오르넬라 틴티 마리아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시그마-타우 인더스트리에 파르마시우티쉐리유나이트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시그마-타우 인더스트리에 파르마시우티쉐리유나이트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riority to KR7803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4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hydrogenolysis or reduction of carboxylic groups or functional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향족알데히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방향족알데히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3,4,5-트리메톡시벤즈알데히드와 같은 알데히드와 그 유도체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착색 내지 방향족화는 물질 제조에서 또 중간체로서 계피산이나 만델산 제조에서 벤즈알데히드의 공업적이용은 잘 알려졌고, 또 3,4,5-트리메톡시벤즈알데히드는 중요한 화확가치료제, 특히 트리메토프린(Trimethoprin)으로서 알려진 2,4-디아미노-5-(3,4,5-트리메톡시)벤질피리미딘합성의 전 중간체(前中間體)이다.
의약공업에서 3,4,5-트리메톡시벤즈알데히드의 합성은 중요하며, 또 그 중간체 합성에 대한 종래의 제조방법에서 잘알려진 기술상의 어려움이나 결점(다음에 구체적으로 설명함)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향족알데히드류의 제조방법을 특히 벤즈알데히드의 중간체합성에 관련시켜 기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되고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특성을 가지며 적당한 출발물질을 선택하여 다른 방향족 알데히드 제조에 응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4,5-트리메톡시 벤즈 알데히드의 제조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실제로 두가지 방법만이 공업적으로 응용되고 있는 바 이 두 방법은 합성과정에 사용되는 각종화합물의 비용이 고가일뿐 아니라 수율도 상당히 불충분하다는 것은 잘알려져있다.
첫째로, 3,4,5-트리메톡시 벤즈 알데히드의 제1의 공업적인 합성제조방법은 3,4,5-트리메톡시 벤조익액시드의 클로리드를 촉매 환원시키고 그다음 촉매에 대하에 부분 불활성제를 함유한 방향족용매에서 로오즈문트 환원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이 방법에 의한 수율은 그 수율의 차이가 커서(50-80%), 얻어진 3,4,5-트리메톡시 벤즈 알데히드의 량은 빈약하다.
그 원인은 제2차 환원생성물(3,4,5-트리메톡시벤질 알코올과 3,4,5-트리메톡시 톨루엔등과 같이)의 상당한 량이 반응혼합물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 방법은 3,4,5-트리메톡시 벤조익 액시드 클로리드를 제조하는데 있어 다소불충분하고 또 제조비용이 비싸다.
둘째로, 제2의 공업적 제조방법은 소요의 생성물을 얻기 위하여 바닐린에서 5-브로모바닐린을 거치도록 하고 또 KOH와 메타놀을 연속적으로 처리하여 3,4,5-트리메톡시벤즈 알데히드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미국특허 제3,855,30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 방법으로 처리하여 얻어진 수율은 경제적인 면에서 공업적으로 충분하지 않다. 무엇보다도 이 방법을 사용하여 수율좋게 또 저렴한 비용으로 생성물을 얻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제1공정에서 혼합무수물 제조방법에 따라 3,4,5-트리메톡시-벤조일 액시드와 에틸 또는 이소부틸 클로로카르보네이트를 반응시키고, 제2공정에서는 3,4,5-트리메톡시 벤조일-에틸 카르보네이트에서 3,4,5-트리메톡시 벤즈 알데히드로 직접 유도하는 접촉환원에 의해 3,4,5-트리메톡시 벤즈 알데히드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구성한다.
제1공정중에서 형성된 화합물은 분리공정이 필요없이 다음의 공정으로 직접 이용할 수 있다.
사실, 그 수율은 실제로 양적인 것으로 93-95%범위이며 또 그 조작은 단일물질, 즉, 3,4,5-트리메톡시 벤조일에틸카르보네이트를 생성한다.
이 제1공정의 반응은 실제로 온화한 조건(대기압 0°-15℃)에서 일어난다.
실제로 온도와 압력을 특정하지 않고 작용시켜 소요의 생성물을 높은 순도와 수율로 얻을 수 있다. 또 공업적으로 생산되는 이 원료의 비용은 위에서 열거한 기지의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 것보다 현저하게 저렴하다. 3,4,5-트리메톡시- 벤조일-에틸 카르보네이트의 제조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벤젠 또는 다른 불활성용매중에서 실시하며, 이 반응조작을 촉매에 의한 수소첨가반응(테트라 히드로푸란의 경우에서와 같이)에 대해 불활성인 용매에서 실시할 경우 형성된 혼합무수물의 분리를 피할 수 있어 직접 촉매 수소첨가반응으로 처리할 수 있다.
3,4,5-트리메톡시- 벤조일액시드와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이들의 생성물은 시중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용이하게 구득할 수 있음)을 같이 무수 염기, 즉 트리메틸아민의 존재하에서 0-15℃의 온도로 혼합하여 2,3시간 동안 교반하고 그다음 트리메틸아민 클로로히드레이트 또는 사용한 다른 염기를 여과하여 제거한다. 촉매 수소첨가반응에 불활성인 용매에서 그 반응조작을 할경우연속적인 공정으로 직접 처리된다.
알데히드로 하기위하여 혼합무수물을 수소첨가시키는 촉매는 사용한 3,4,5-트리메톡시-벤조일-에틸 카르보네이트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비율로 발륨 술페이트상에 침적시킨 팔라듐 10wt%(10%Pd/BaSO4ENGELA ard)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3,4,5-트리메톡시 벤즈 알데히드의 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이 촉매를 유황과 퀴놀린의 극히 묽은 용액으로 부분 피독(posion)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반응조작은 상압과 실온에서 실시하며 환원시간은 약 6-8시간이다.
제2차 생성물의 형성을 피할 목적에서 이러한 일체의 조건을 세밀하게 관찰하여야 한다.
위에서 설명한 조건하에서 유지시킴으로써 얻어진 수율은 그 출발산으로 계산하면 90%의 이론량이 된다. 필요한 생성물의 순도와 확인은 TLC, 가스크로마토그라피, IR, NMR 및 HPLC에 의해 첵크하였다.
촉매에 의한 수소첨가반응시에 형성 가능한 제2차생성물의 성상은 HPLC와 NMR에 의해확인하였다.
촉매로 처리공정에서 재순환시킬 수 있고 회수는 항상 양적이다. 환원처리공정은 사용되는 플랜드의 타입에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처리할 수 있다.
공업적인 연속처리공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촉매를 가진 컬럼을 통하여 3,4,5-트리메톡시-벤조일에틸 카르보네이트용액을 연속적 흐름으로 통과시킴과 동시에 역류(逆流)방식으로하여 균일한 수소의 흐름을 도입시키는 연속처리공정이다.
이 방식에 의해 촉매는 환원작용에 의해 얻어진 생성물에 대하여 다량으로 항상 존재하므로 생성물은 수율좋게 얻어지며, 촉매를 여과시켜 처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어떠한 생성물도 처리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발명에 따라 방향족 알데히드의 제조과정은 그 대응하는 방향족산에서 출발하여 다음의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 사용되는 시약에 대하여 불활성인 무수염기 또는 무수용매의 존재하에서 혼합무수물 제조방법에따라 에틸 또는 이소부틸 클로로카르보네이트와 방향족산을 온도 0°-15℃ 대기압에서 반응시켜 그 대응되는 무수물을 얻으며,
(나) 유황과 퀴놀린 용액으로 미리 부분피독(posion)시킨 바륨상의 필라듐 10wt%를 구성하는 수소 첨가촉매의 존재하에서 6-8시간, 대기압 및 실온으로 (가)공정의 무수물을 알데히드로 직접 수소첨가반응을 시키는 공정을 구성한다.
유황과 퀴놀린의 용액은 유황 2.5-6×10-4wt%, 퀴놀린 2-5×10-4wt%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황 4×10-4wt%, 퀴놀린 3×10-4wt%이다.
더욱이, 수소첨가촉매량은 (가)공정의 혼합수소물에 대하여 40 내지 60wt%(가장 바람직하게는 50wt%)가 바람직하다. (가) 공정의 무수용매는 그다음의 수소첨가 반응에 대하여 불활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그 수소첨가반응을 처리하기전에 그 혼합무수물을 포함한 반응공정에서 분리시킬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은 특히 바람직한 용매이며, 기타 다른용매가 있음은 이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그 대응되는 알데히드로 전환 시킬 수 있는 방향족산은 벤조익액시드(안식향산), 페닐초산, 오르토 메타 및 파라-톨루일산, 오르토, 메타및파라 클로로(또는 브로모) 벤조익 액시드, 3,4,5-트리메톡시 벤조익 액시드의 트리알콕시 벤조익액시드를 열거할 수 있다.
그 대응되는 알데히드는 또 저급 알킬기, 저급알콕시기와 할로겐 특히 클로린과 브로민으로 치환된 벤즈알데히드류를 포함한다.
다음의 실시예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가) 공정 : 3,4,5-트리메톡시-에틸 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틸클로로프로메이트 10.8g(0.10몰)을 테트라히드로 푸란 100ml에 용해시켰다.
그다음 이 용액을 교반 내지 냉각하면서 5-10℃에서 10-30분간 3,4,5-트리메톡시 벤조익 액시드 21.2g(0.10몰)과 트리에틸아민 12.12g(0.12몰)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00ml에 용해한 용액에 가하였다.
첨가후에 이 반응혼합물을 연속적으로 교반하면서 상온에서 2시간 유지하였다.
이와 같이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충분히 세척하여 제거하였다. 반응용액과 세척액을 합하여 3,4,5-트리메톡시벤즈 알데히드를 제조하기위하여 직접 접촉환원처리를 하였다.
3,4,5-트리메톡시-벤조일-에틸 카르보네이트는 50-70℃의 온도에서 그 모액을 진공상태하에서 충분히 증발시켜 분리하였다. 그 잔사는 백색의 미세한 결정질고체(26.7g : 수율 94%)로서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졌다.
M.P : 92℃-94℃
IR 스펙트럼 : λ-1810 및 1710㎝-1
NMR 스펙트럼 : (CD3)2SOδ : 7.4(s, 2H, 방향족화합물), 4.4(q, 2H, -C H2-CH3); 3.9(s, 6H, 3.5OCH3); 3.8(s, 3H, 4-OC H3); 1.35(t, 3H, -CH2-CH3)
원소분석치 : C=54.85% H=5.34
이 물질은 안정성이 현저하며 실온에서도 잘 유지되고 습기에 영향을 받지않는다.
(나) 공정 : 3,4,5-트리메톡시-벤즈 알데히드로의 환원 (가) 공정에서와 같이 제조된 300ml에 3,4,5-트리메톡시-벤조일 에틸 카르보네이트 28.4g(10.1몰)을 용해한 용액에, 로오즈문트와 젯쉐(Zetische) 방법에 의해 제조하여 1: 3000의 비율로 희석한 유황 및 퀴놀린 용액 0.1ml와 BaSO4상의 pd(10wt%) 14.2g을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2시간 효과있게 교반하면서 상압 25℃에서 수소 대기압하에 있는 파르(PARR)장치에서 수소첨가반응을 하였다. 이 촉매를 여과시켜 제거하고 희수하였다.
반면에 유기액을 5% NaOH 용액으로 세척하고 최종적으로 진공 증발하였다.
3,4,5-트리메톡시벤즈 알데히드 17.64g을 얻었으며 문헌에 있는 특성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2]
3,4,5-트리메톡시-벤즈알데히드
직경 2㎝, 길이 20㎝, 25℃에서 온도가 조절되는 컬럼을 다음과 같이 제작하였다.
그 저부에 불활성인 다공질 지지부 5㎝와 그 다음에 Pd/BaSo4(10wt%)(약 50g) 12㎝로 되게 충전하고 최종적으로 그 기층을 충전시킨 동일한 불활성 다공질 지지부를 5㎝ 더 그 상부에 설치하여 층(層)을 형성시켰다.
촉매를 습윤상태로 충전하고 2시간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유황 및 퀴놀린의 용액 0.2ml을 함유한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처리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 9000ml에 3,4,5-트리메톡시-벤조일-에틸 카르보네이트(실시예)(가) 공정에서와 같이 제조됨 900g을 함유한 용액을 20ml/min의 유속으로 그 칼럼상부에서 그 촉매를 통하여 통과시켰다.
반면에 가벼운 수소증기를 역류로 하여 도입시켰다. 약 8시간후 3,4,45-트리메톡시-벤조일-에틸-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한 전 용액이 컬럼을 통과하게하여 적당한 용기에 희수시키고 5%NaOH 용액으로 세척한다음 최종적으로 진공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1(나)공정에서와 같은 특성을 가진 3,4,5-트리메톡시-벤즈 알데히드(87%)530g을 회수하였다. 이 컬럼에 있는 촉매는 위에서 언급한 환원반응에서 나타낸동일 한 효능을 가진 생성물을 더 환원시킬 수 있는 상태로 존재한다.
이 장치는 3,4,5-트리메톡시-벤조일-에틸 카르보네이트를 3,4,5-트리메톡시-벤즈 알데히드로 다량 연속해서 환원시키는데 응용될 수 있다.
[실시예 3]
(가) 공정 : 벤조일-에틸-카르보네이트의 제조
테트라히드로푸란 100ml에 용해한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 10.8g(0.10몰)을, 벤조익 액시드 12.2g(0.10몰)과 트리에틸아민 12.12g(0.12몰)을 함유한 테트라히드로푸란용액(200ml)에 가하였다. 그다음 실시예 1(가)공정에서와 같이 처리하여 생성물 17.8g(수율 92%)을 얻었다. 그 생성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원소분석 : C=61.85%, H=5.19%
NMR 치스펙트럼 : (CD3)2Soδ=8.2∼7.4(m, 5H, 방향족화합물); 4.4(q, 2H, -CH2-CH2); 1.3(t, 3H, -CH2-CH3)
(나) 공정 : 벤즈알데히드로의 환원
테트라히드로푸란 300ml에 벤조일-에틸카르보네이트 19.4g(0.10몰)을 함유한 용액에 BaSO4상의 10wt% Pd 9.7g과 1 : 3000의 유황과 퀴놀 용액 0.1cc를 가하였다.
그다음실시예 1(나) 공정에서와 같이 처리하여 벤즈 알데히드 9.7g(수율 92%)을 얻었다.
[실시예 4]
(가) 공정 : p-톨루일-에틸-카르보네이트의 제조
테트라 히드로푸란 100ml에 용해한 에틸클로로포르 메이트 10.8g(0.10몰)을, p-톨루일산 13.6g(0.10몰)과 트리에틸아민 12.12g(0.12몰)을 함유한 테트라히드로푸란용액(200ml)용액에 가하였다. 그다음 실시예 1(가) 공정에서와 같이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 생성물18.7g(수율 90%)을 얻었다.
원소분석 : C=63.45%, H=5.80%
NMR 치스펙트럼 : (CD3)2Soδ=8.0(d, 2H, 방향족화합물); 7.2(d, 2H, 방향족화합물); 2.4(s, 1H, CH34.4(q, 2H, -CH2-CH3); 1.3(t, 3H, -CH2-CH3)
(나) 공정 : p-메틸-벤즈알데히드의 환원
테트라히드로푸란 300ml에 p-톨루일에틸-카르보네이트 20.8g(0.10몰)을 함유한 용액에 BaSO4상의 10wt% Pd 10.4g과 유황과 퀴놀린 1 : 3000의 비율로 구성된 용액 0.1cc를 가하여 실시예 1(나)공정에서와 같이처리하였다.
그결과 p-메틸 벤즈 알데히드 10.5g(수율 88%)을 얻었다.
[실시예 5]
(가) 공정 : p-클로로-벤조일-에틸-카르보네이트의 제조테트라히드로푸란 100ml에 용해한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 10.8g(0.10몰)을, p-클로로벤조익 액시드 15.6g(0.10몰)과 트리에틸아민 12.12g(0.12몰)을 함유한 테트라 히드로푸란(200ml) 에 가하였다. 그다음 실시예 1(가)공정에서와 같이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 생성물 21g(수율 92%)을 얻었다.
원소분석 : C=52.53%, H=3.96%
NMR 치스펙트럼 : (CD3)2So δ=7.9(d, 2H, 방향족화합물); 7.4(d, 2H, 방향족화합물); 4.4(q, 2H, -CH2-CH3); 1.3(t, 3H, -CH2-CH3)
(나) 공정 : p-클로로벤즈알데히드의 환원
테트라히드로푸란 300ml에 p-클로로-벤조일에틸-카르보네이트 22.8g(0.10몰)을 함유한 용액에 BaSO4상의 10wt% pd12.4g과 1 : 3000의 유황과 퀴놀린으로 구성된 용액 0.1ml를 가하여 실시예 1(나)공정에서와 같이 처리하였다. 그결과 p-클로로벤즈 알데히드 12.5g(수율 89%)을 얻었다.

Claims (1)

  1. 방향족산에서 출발하여 저급알킬기, 저급알콕시기, 클로린 또는 브로민으로 치환된 방향족 알데히드를 제조함에 있어서 반응시약에 대하여 불활성인 무수염기와 무수용매의 존재하에서 온도 0-15℃, 대기압하에서 방향족산을 에틸 또는 이소부틸클로로카르보네이트와 작용시켜 그 대응하는 무수물을 얻고 이 무수물을 사용전에 부분피독(被毒)처리를 한 바륨술페이트상에 10wt%pd를 함유한 수소첨가촉매와 유황 2.5-6×10-4wt% 및 퀴놀린 2-5×10-4wt%를 포함하는 불활성용매의 존재하에서 6-8시간 대기압하에서 실온으로 직접 알데히드를 수소첨가반응을 시킴을 특징으로하는 방향족 알데히드의 제조방법.
KR7803900A 1978-12-23 1978-12-23 방향족알데히드의 제조방법 KR820001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900A KR820001079B1 (ko) 1978-12-23 1978-12-23 방향족알데히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900A KR820001079B1 (ko) 1978-12-23 1978-12-23 방향족알데히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079B1 true KR820001079B1 (ko) 1982-06-21

Family

ID=1920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900A KR820001079B1 (ko) 1978-12-23 1978-12-23 방향족알데히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07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71006B1 (en) Tetrahydronaphthalene derivatives and their production
KR820001079B1 (ko) 방향족알데히드의 제조방법
EP0877015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yclopropanecarboxamide
EP0069339A2 (en) Process for producing 7-octen-1-al and derivatives thereof
US4240984A (en) Process for producing aromatic aldehydes
US415496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resorcinol or alkylsubstituted derivatives thereof
EP0210320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thienyl-chloroacetamides
JPS6114144B2 (ko)
US4239702A (en) Process for preparing aromatic aldehydes and alcohols
US3910958A (en) Process for preparing arylacetic acids and esters thereof
US4465872A (en) Process for producing p-cresol
US5847225A (en) Production of naphthyl-substituted ketones from naphthaldehydes
US3704251A (en) Production of phenyl-maleic anhydride by catalytic vapor phase oxidation of biphenyl or sec-butyl benzene
KR820001844B1 (ko) 벤즈 알데히드의 제조방법
US4308211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thraquinone
JP3923133B2 (ja) α,β−不飽和アルデヒドの製造方法
EP0288144B1 (en) 3-(6'-methoxy-2'-naphthylmethyl)-2,4 pentane dione,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intermediates
US4211711A (en) Method of preparing phthalide
US4806656A (en) Preparation of N-thienyl-chloroacetamides and tetrahydro-thien-3-ylidenimines
US4447636A (en) Synthesis of 11-deoxyprostaglandins
US4532081A (en) Synthesis of 11-deoxyprostaglandins
US4249028A (en) Selective conversion of d-isolimonene to d-3-menthene
JPH05286932A (ja) インドール類の製造方法
US4415475A (en) Mixed metal oxide catalyst containing titanium, boron and molybdenum values
SU745890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2-оксициклогексанон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