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895B1 - 핵연료집합체내의 제어봉 안내튜우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핵연료집합체내의 제어봉 안내튜우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895B1
KR820000895B1 KR8201474A KR820001474A KR820000895B1 KR 820000895 B1 KR820000895 B1 KR 820000895B1 KR 8201474 A KR8201474 A KR 8201474A KR 820001474 A KR820001474 A KR 820001474A KR 820000895 B1 KR820000895 B1 KR 820000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guide tube
rod guide
control rod
fu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스 · 잽센 프렉스
Original Assignee
마틴 빅터
더 뱀콕 앤드 윌콕스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틴 빅터, 더 뱀콕 앤드 윌콕스 캄파니 filed Critical 마틴 빅터
Priority to KR8201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02Fuel elements
    • G21C3/04Constructional details
    • G21C3/16Details of the construction within the casing
    • G21C3/20Details of the construction within the casing with coating on fuel or on inside of casing; with non-active interlayer between casing and active material with multiple casings or multiple active lay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06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 G21C7/08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by displacement of solid control elements, e.g. control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핵연료집합체내의 제어봉 안내튜우브 조립체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한 전형적인 핵연료집합체의 부분절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보인 구조에 사용하기 위한 제어봉 안내튜우브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 방향을 따라 제2도에서 보인 제어봉 안내튜우브의 평면부를 보인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에서 보인 핵연료 집합체의 일부를 결합하는 그래플(grapple)과 공구의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에서 보인 그래플의 일부를 절개표시한 평면도.
제6도는 그래플의 초기 작업위치를 보인 정면도.
제7도는 그래플의 중간 작업위치를 보인 정면도.
제8도는 그래플의 계속적인 중간 작업위치를 보인 정면도.
제9도는 괘정장치가 풀린 후의 그래플의 일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원자로에 사용하기 위한 핵연료 집합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핵연료 집합체내의 제어봉 안내 튜우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로부터 유효한 전력을 발전시키기 위하여는 중성자에 의한 연속적인 핵분열을 지속시키기에 충분히 농축된 상태로 핵분열성 물질을 조립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핵분열성 물질의 농축도는 가늘고 긴 봉체(捧體)내에 이산화우라늄 연료 입자를 밀봉하므로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들 봉체내에 핵연료를 장입하고 양단부를 밀봉하였을 때에 이를 “핵연료봉”이라 한다.
핵연료봉은 핵분열성 물질의 소정 농축도를 이루도록 원자로내에 원주상 배열로 구성된다.
핵분열 과정중에 이들 핵연료봉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뽑아내기 위하여 핵연료봉은 상호 축방향으로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도록 배열되고 가압냉각수가 원자로 노심을 통하여 강제 순환된다. 이 냉각수는 핵분열 과정중에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2차 냉각수에 전달하고, 2차 냉각수는 전력발전용 터어빈장치를 구동시키는 증기를 발생케 하는 것이다.
원자로 노심내에서, 방사선, 압력, 온도 및 냉각수유속은 원자로 노심의 구조적인 짜임새에 매우 좋지 않은 환경을 조성한다. 이러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하여 핵연료봉은 약 200개를 한 그 그룹으로 한 다수의 핵연료봉 그룹으로 원자로 노심을 구성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보통이며 대개 이를 핵연료집합체라 한다.
각 핵연료집합체의 구조적 짜임새를 양호하게 하고 핵연료집합채네의 핵연료봉을 안정되게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핵연료봉은 “단부고정체” 사이에 착설되고 핵연료집합체의 각 연료봉의 중간부를 핵연료봉의 길이를 따라 예정된 중간 중간에 위치되는 세포 모양의 격자구조체(格子構造體)에 의하여 결합된다.
더우기, 핵연료집합체는 핵연료봉, 단부고정체 및 격자구조체만으로 국한되지 아니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봉 안내튜우브가 핵연료집합체내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원자로내에서 발생된 동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원자로 노심에 중성자 흡수물질이 부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중성자 흡수물질은 원자로 노심내의 핵분열화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므로서 원자로로부터 발생되는 출력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성자 흡수물질을 원자로 노심에 설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하겠으나 대체로 중성자 흡수물질은 제어봉내에 장입되는 것이 보통이나. 이들 제어봉은 각 핵연료봉의 길이만큼 연장한 속이 빈 금속제의 제어봉 안내튜우브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조합된 핵연료봉내로 제어봉의 삽입 깊이가 어느 정도 되느냐에 따라서 중성자 핵분열화와 원자로 노심으로부터의 출력을 결정한다.
어떤 핵연료집합체의 예는 각 핵연료내의 독립적인 제어봉을 배열한 후에 제어봉 안내튜우브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이에 관하여는 제오봉 안내튜우브가 각각 두 단부고정체 사이의 공간부에 게재되고 단부고정체가 핵연료봉의 최단부를 결합할 수 있도록 이들 단부고정체 사이의 고유한 상대적인 위치에서 핵연료봉을 잡아줄 수 있도록 사용된다.
이와 같은 핵연료집합체의 구조는 원자로 노심을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제조비용의 절감, 품질보증의 개선 및 검사와 대체의 용이함을 위하여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핵연료집합체를 제공할 어느 정도의 보상적인 필요성이 요구된다. 만약 핵연료집합체에서 방사선의 방출이 있다면 이는 차폐벽의 후방으로 원격수동조작장치에서 조정되어야 할 것이며, 간단한 분해기술도입의 필요성이 즉각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이 입증될 것이다.
이점에서, 전형적인 핵연료봉은 단부고정체에 제어봉 안내튜우브를 연결한 너트를 풀어내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프링을 해제한 후 완전한 핵연료집합체를 부품으로 분리하므로서 분해된다.
이는 매우 번거롭고 비용이 드는 일일 뿐만 아니라, 수개의 소형 고정부품을 분실하거나 시간과 비용을 소비케 하고 만약 발견되지 않으면 경비면에서 손해를 줄 수 있는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이러한 불충분한 문제점을 광범위하게 극복할 수 있는 개선된 핵연료집합체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개선된 핵연료집합체는 제어봉 안내튜우브의 일측단부를 결합하는 본질적으로는 핵연료집합체의 단부구조물의 일단에 안내튜우브를 고정하는 슬리이브의 구성에 특징이 이루어진다.
슬리이브의 단부는 단부고정체의 표면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슬리이브의 외측표면은 세포 모양의 격자 또는 창살 모양의 괘정장치의 탄성측부에 결합되는 주연요구를 가진다.
이 꽤정장치는 단부고정체를 포함하는 여러 구성소자들 사이에 슬리이브를 고정하므로서 종래 기술의 전형적인 형태인 핵연료집합체에 자주 사용된 비용이 많이 들고 고장을 일으키기 쉬운 너트(nut)를 제거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핵연료집합체로부터 단부고정체를 분해하기 위하여 단부고정체의 일부분을 결합하고 있는 턱물리개(jaws)를 가지는 특수한 그래플에 제공된다. 턱물리개는 먼저 제어봉 안내튜우브의 단부와 그들의 각 슬리브를 지지하고 있는 상측격자를 파지하고, 제어봉 안내튜우브의 슬리이브와 결합하고 있는 스파이더(spider)가 스파이더와 꽤정장치 부분 사이의 종방향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이들 슬리이브에 위요시켜 삽입한 스프링을 압압한다.
이러한 간격이 생겨난 후에 개별적인 공구가 격자형 꽤정구의 노출된 부분을 결합하도록 각 슬리이브의 돌출단부를 각각 개방하기 위하여 압압된다.
이 공구는 요구로부터 이들 측부를 압압하고 꽤정구와 결합하므로서 꽤정구는 그래플이 연료집합체의 단부로부터 물러날 때에 슬리이브로부터 물러날 것이다. 이는 조립된 유니트(unit)로서 단부고정체와 조합된 구성분을 고정하고 있는 유니트와 같이 상측단부고정체를 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반면에 제어봉 안내 튜우브와 핵연료집합체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조합된 슬리이브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러한 방법으로 그래플에 의하여 잡혀진 단부고정체 구성은 종래 기술에서 문제시 되었던 소형부품에 따른 문제의 분해 및 조립을 원격한 조정자로부터 번거롭거나 비용이 소요됨이 없이 핵연료집합체를 손상 입히지 아니하고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핵연료집합체구성을 위하여 요구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며 제조비용을 줄이고 품질보증 및 검사문제를 간단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특징지울 수 있는 독특한 여러가지의 형태가 본 발명 명세서에 첨부되는 본 명세서를 구성하고 있는 청구범위에서 상세히 지적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하여 점부된 예시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핵연료집합체(10)는 200개 이상의 핵연료봉(11)의 배열로 구성되며, 핵연료봉(11)은 이산화우라늄 입자 또는 다른 적당한 핵연료가 용융되는 가늘고 길며 두께 가 얇은 튜우브로 만들어져 있으며, 이들 핵연료봉은 모두 핵연료집합체(10) 내에 핵연료봉이 종축선에 따라 평행하게 군집배열되어 있다.
제어봉 안내튜우브(12)는 핵연료봉 사이에 자리 잡게 되며, 각 제어봉 안내튜우브(12)는 핵연료집합체의 종축선을 따라 평행하게 핵연료집합체의 전 길이 만큼 연장된 속이 비고 두께가 얇은 튜우브로 되어 있다.
핵연료봉(11)의 종방향 축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된 단부지지고정체(13)은 핵연료봉의 인접 단부와 결합되어 있으며, 제어봉 안내튜우브(12)가 핵연료집합체 구조물에 단부고정체를 취부하기 위하여 단부고정체(13)을 통과한다. 제어봉 안내튜우브(12)의 단부는 핵연료봉(11)의 밀봉단부에 의하여 구성된 평면상부로 돌출되며, 이들 제어봉 안내튜우브(12)의 돌출단부는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횡형격자(14)의 끝에서 끝나고 있다.
격자(14)는 세포상 격자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평판체(平板體)의 수직배열에 형성된 결합요구와 결합하는 요구가 형성된 평판체의 평행한 배열로서 조립된다.
핵연료봉(11)과 제어봉 안내튜우브(12)의 평행한 군집구성은 이미 언급한 바 있는 격자(14)의 구조와 유사한 횡형격자구조체(15)에 의하여 안정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측 횡형격자(16)은 제어봉 안내튜우브의 돌출부분에 인접한 핵연료봉(11)의 단부를 향하여 자리잡고 있다.
상측격자(16)은 핵연료집합체의 이 부분의 구조적인 짜임세를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격자구조체(15)보다 핵연료봉(11)의 종방향 축선으로의 깊이가 더 깊다.
중공체로 된 원통상의 슬리이브(17)이 격자(14), 횡형 스피이더(20), 그리고 이에 근접시킨 안내봉 안내튜우브 조립꽤정부(21)을 통하여 상측격자(16)으로 연장하기 위하여 제어봉 안내튜우브(12)의 각 돌출단부에 중첩되어 있다. 각 슬리이브(17)에는 핵연료봉(11)의 종방향 측선의 방향으로 핵연료집합체(10)의 운동을 보상하거나 흡수할 수 있도록 격자(14)와 스파이더(20) 사이에 코일스프링(22)가 삽설된다.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슬리이브(17)은 안내튜우브(12)와 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이 슬리이브는 코일스프링(22)의 안내역활을 하며, 코일스프링(22)는 안내튜우브의 종축선과 일치하는 중축선을 가진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독특한 구조를 보다 상세히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제어봉 안내튜우브(12)가 볼트구조체(24)에 의하여 하측격자(23)에 착설되어 있으며, 볼트구조체(24)는 제어봉 안내튜우브(12)의 인접개방단부내에 접수되는 헤드(25)를 가진다. 볼트동체(26)은 단부지지고정체(13)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측격자(23)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동체(26)의 돌출부분은 고정너트(27)을 나착하기 위하여 나선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고정자(30)이 작업 도중 너트가 느슨해해지거나 핵연료집합체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부고정체와 너트(27) 사이에 계재된다.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어봉 안내투우브(12)는 핵연료집합체의 주요 부분과 상측격자(16)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상측격자(16)내에서 안내튜우브(12)는 슬리이브(17) 내에 중첩되어 있고 제어봉 안내튜우브(12) 내의 개방단부는 슬리이브(17)의 내측면내에 형성된 견부(肩部)(32)에 접경되어 있다. 슬리이브(17)의 견부(32)는 압축부하를 직접 안내튜우브에 전달한다.
제어봉 안내튜우브(12)와 슬이리브(17)이 중첩된 부분에는 슬리이브와 안내튜우브를 모두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적당한 방법으로 외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3)”을 형성한다. 격자(14)의 바로 아래부분 슬리이브(17)의 일부를 제한하고 격자(14)의 횡방향 표면에 지지되는 링형의 칼라(34)가 착설되어 있다.
칼라(34)와 슬리이브(17) 및 제어봉 안내튜우브(12)의 위요부에는 핵연료집합체 구조물의 균형에 대한 칼라(34)의 위치를 정하여 제어봉 안내튜우브의 종축선방향으로 가하여지는 부하에 대하여 칼라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고 격자(14)와 조합된 슬리이브(17) 및 제어봉 안내튜우브(12) 사이에 이 부하를 전달하기 위하여 돌출부(34)(36)이 형성되어 있다. 와샤(40)은 칼라(34)가 결합된 횡형격자(14)의 상부로 돌출한 슬리이브(17)의 일부를 감싸고 있다. 일반적으로 코일스프링(22)의 종축선은 다른 와샤(41)에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종축선(37)에 일치한다. 와샤(41)은 세포상 스파이더조립체(20)과 결합되며, 슬리이브(17)은 스파이더와 슬리이브가 종축선(37)의 방향으로 상호 상대적인 운동이 가능하도록 슬리이브와 스파이더요구(42)의 벽면 사이에 간극을 가지는 스피이더(20)의 세포상 요구(42) 내에 접수된다. 슬리이브(17)의 종단부(43)은 괘정부(21)과 결합하기 위하여 스파이더(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괘정부(21)과 결합하기 위하여 종단부(43)의 외측표면에는 괘정부(21)의 가장자리와 결합되도록 작용하는 돌출견부(45)를 형성하는 환상요구(44)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서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괘정부(21)은 세포 모양의 격자구조체를 형성하도록 교차선에서 판체(46)(47)에 수직인 유사한 탄성판체(50)(51)과 상호 결합된 평행한 탄성판체(46)(47)의 배열로 조립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평행한 판체(46)(47) 사이에 간격은 종단부(43)에 형성된 요구(44)의 최대 외측 직경보다 작다.
판체(50)에는 슬리이브의 종단부(43)의 요구가 형성된 일부분을 제한하고 지지할 수 있는 아아취형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한쌍인 판체(51)은 견부(45)를 결합할 수 있는 평면부를 가진다.(제2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도에서 보인 제어봉 안내튜우브는 모두 하나의 단일한 유니트로 구성되는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종단부(43)에는 종축선(37)에 평행한 4개의 종방향요구(52)(53)(54)(5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 요구(52)(53)(54)(55)는 상호 90°의 간격으로 배하여져 있고 그 깊이는 견부(45)의 조합된 종방향 깊이와 판체(50)(51)의 폭과 적어도 동일한 깊이이다.
제4도에서는 본 발명의 부각적인 형태인 그래플(56)을 보인 것으로, 그래플(56)은 제어봉 안내튜우브의 슬리이브(17)로부터 괘정부(21)을 풀고, 괘정부(21), 제어봉 안내튜우브(12)(제4도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음)와 조합된 슬리이브(17), 스파이더(20), 코일스프링(22)와 격자(14)로 구성되는 하나의 완전한 유니트로서의 조립체를 설치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결과를 성취하기 위하여, 그래플(56)은 종축선(60)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부재(57)을 가지며, 횡형 연결구(61)이 교차부재(제5도)를 지나 수직가동부재(57)에 착설되어 있다. 연결구(61)(제4도)의 단부에는 각각 핀(65)(66)이 접수되는 요구(63)(64)가 형성되어 있다. 핀(65)(66)은 가위와 같이 작동하도록 횡형공구후레임(7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턱물리개(67)(70)을 위하여 각 요구내에서 횡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축(72)는 턱물리개(70)을 공구후레임(71)에 연결한다.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턱물리개(70)의 최외단에는 격자(14)의 가장자리와 결합되는 클램프(clamp)(7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턱(67)의 최외단에도 턱물리개(70)의 클램프(73)과 대향되게 배치된 클램프(74)가 제공되어 있다.
제5도에서, 핀으로 축설된 턱물리개(76)(77)을 가진 한쌍이 되는 연결구(75)도 역시 교차부재(62)에 의하여 종방향가동부재(57)에 연결되고, 이 대향 쌍의 구조체는 턱물리개(67)(70)에 관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적인 배열상태를 안정되고 균형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횡형공구후레임(71)에는 공구(81)의 한그룹에 적용되는 종방향으로 배열된 통공(80)의 배열이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공구(81)은 축선(60)과 일렬로 배열된 원통상의 봉체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구(81)은 일반적으로 원추형단부(82)를 가진다. 공구(81)은 중간부에는 도면에서는 3개의 돌기만이 표시된 4개의 돌기(83)을 가진다.
각 돌기(83)은 각각 90°의 위치가 되게 배열되어 있으며, 단부(82)를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형 경사부(84)를 가진다. 테이퍼형 경사부(84)는 일반적으로 평면부(85)에서 끝나며, 각 돌기(83)의 폭은 요구(52)(53)(54)(55)(제2도 및 제3도)의 횡방향 폭보다 약간 작다.
그러나 평면부(85)(제4도)와 공구(81)의 인접표면부 사이의 이들 각 돌기의 횡방향 깊이는 제2도 및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슬리이브의 종단부(43)의 벽두께보다 크다.
환상칼라(86)이 공구(81)에 착설되어 있으며, 슬리이브의 종단부(43)에 형성한 각 요구내에 종단부를 향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열할 때에 돌기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돌기(83)의 평면부(85)가 스파이더(20) 상부의 슬리이브 종단부(43)에 형성된 요구의 종방향 깊이보다 깊게 슬리이브(17)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평면부(85)로부터 종방향으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한다.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공구(81)의 단부(82) 대향측 단부에 스프링으로 편중된 압축공기식 실린더(95)(96)를 화살표(93)(94)로 보인 종방향으로 조절하여, 가동시킬 수 있는 횡형판체(92)에 공구(81)을 착설하기 위하여 너트(90)(91)을 고정하기 위한 나선부(87)을 가진다. 압축공기식 실린더(95)(96)의 상대적인 운동에 따라서, 공구(81)은 슬리이브 종단부(43)과 일렬로 배열될 때에 돌기(83)에 형성된 평면부(85)가 판체(46)(47)(50)(51)에 대하여 지지될 수 있는 충분한 깊이로 슬리이브(17) 내로 구동된다(제2도 및 제3도). 평면부(83)은 모든 판체가 슬리이브 종단부(43)에 형성된 견부(45)로부터의 간격을 제거할 수 있도록 종방향 축선(37)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이들 판체를 압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완전한 세포상 괘정부(21)은 슬리이브(17)과 결합된 상태에서 풀려나고 그 자신은 공구(81)에 고정된다. 작동에 있어서 제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그래플(56)은 턱물리개(70)의 클램프(73)〔제6도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턱물리개(67)의 클램프(71)와 턱물리개(76)(77)의 클램프와 같이〕이 격자(14)의 외측방향, 그러나 격자와 동일한 평면내에 올 수 있도록 단부고정체와 일렬로 배열된다. 그래플(56)의 이러한 작동상태에서는 스프링탄발핀(97)과 조합된 스프링이 화살표(93)의 방향으로 판체(92)를 움직이는 압축공기식 실린더(95)의 작용으로 압축된다.
제7도에서, 각 턱물리개(70)(67)의 클램프(73)(74)〔한쌍의 턱물리개(76)(77)의 클램프도 함께〕는 격자(14)의 주연부를 견고하게 잡기 위하여 화살표(101)(102)로 표시한 방향으로 내향 수축된다. 클램프(73)(74)의 내향 수축운동은 화살표(103) 방향으로 부재(57)를 종방향 상측으로 움직이므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부재(57)의 운동은 핀(65)(66)이 각 요구(63)(64)에서 종축선(60)을 향하여 움추려 돌게 하며, 이들 요구내에서의 핀의 운동은 턱물리개(67)(70)이 시계 반대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축(72)〔턱물리개(70)의〕에 대하여 각각 강제 희동하게 하며 턱물리개(67)의 축(제7도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음)도 상기와 같이 회동하게 한다.
제8도에서는 핵연료집합체로부터 단부고정체를 분해하기 위한 기술의 다음 단계를 보인 것으로 압축공기 실린더(96)이 화살표(105)로 표시한 방향으로 피스턴봉(104)를 움직이게 하고, 노출된 피스턴봉(104)의 단부는 스파이더(20)의 횡방향 인접표면에 대하여 압압하게 되고, 피스턴봉(104)에 의하여 스파이더(20)에 가하여지는 힘은 슬리이브내에 접수된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설정된 대향측의 힘 이상으로 나타나며, 코일스프링(22)와 슬리이브(17)이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새로운 힘의 균형에 따라서 스파이더(20)도 스파이더(20)의 괘정부(21)에 가하는 힘을 나타낼 수 있도록 스파이더(20)과 괘정부(21)사이의 종방향 간극을 제공하기 위하여 화살표(105)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제9도에서는 그래플(56)의 계속적인 작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괘정부(21)의 세포상 구조가 운동을 다시 하도록 슬리이브 종단부(43)에 형성된 요구(44)(제2도)와 견부(45)가 괘정부(21) 내의 세포상 구조를 구성하는 판체(46)(47)(50)(51)(제3도)와 결합한다. 압축공기식 실린더(95)은 화살표(107)의 방향으로 판체(92)를 해제하고 압축하기 위하여 코일스프링을 스프링탄발핀(97)상에서 해제한다. 슬리이브의 요구와 견부가 화살표(107) 방향의 어떠한 운동으로 괘정부가 결합하는 것을 지지하며 판체(92)에 고정된 공구(81)은 전형적으로 괘정부(21) 내의 독립된 세포상 공간을 통하여 각 슬리이브(17)에 압압된다.
또한 공구(81)내에 방사상으로 돌출한 돌기(83)은 그 삽입요구(52)(53)(54)(55)(제2도 및 제3도)내로 삽입된다. 공구(81)의 이러한 종방향 운동은 슬리이브 종단부(43)에 형성된 환상요구(44)(제2도 및 제3도)내에서 결합된 판체를 풀기 위하여 핀(83)(제9도)의 테이퍼형요구(84)가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괘정부(21)의 판체(46)을 압압하도록 한다.
이때에 핀(97)상의 해제된 스프링의 탄력하에 화살표(107) 방향으로 공구(81)(제9도)의 종방향 운동은 각 공구에 형성한 칼라의 제동작용에 의하여서만이 제한된다. 칼라(86)은 괘정부(21)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괘정부(21)내에 각 세포상 공간을 형성하는 판체는 돌기(83)의 일치하는 평면부(85)에 힘을 가한다. 괘정부(21)에 세포상 공간을 형성하는 판체와 돌기(83)의 평면부(85) 사이의 이러한 결합효과는 각 환상요구(44)(제2도 및 제3도)와 견부(45)를 결합하고 있는 판체를 압압한다
다음 설명을 분해단계로서, 완전한 그래플(56)은 화살표(108)로 표시한 종방향으로 운동하며, 상기한 방법으로 핵연료집합체로부터 철수하는 그래플은 그들의 고유한 상대적인 위치에서 단부고정체의 대부분 구성분자를 발취한다. 괘정부(21), 스파이더(20) 및 격자(14)는 그래플(56)에 잔류하고, 코일스프링(22)와 이들과 조합된 와샤(40)(41)(제2도)도 그래플(56)(제9도)와 함께 발취된다. 이 대신에 공구는 코일스프링(22)와 와샤를 안내하거나 지지하기 위한 잠정적인 스프링 역활을 한다. 더우기, 스프링(22)는 격자(14)와 스프링(20)사이의 대략적으로 고유의 종방향 분리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며, 이점에서 슬리이브(17)은 핵연료집합체의 잔류부내에 남아있게 된다. 핵연료집합체의 주요부분에서 단부고정체의 구성분자들을 제조립하기 위하여, 그래플(56)에 설치된 공구(81)의 단부는 그들의 각 슬리이브와 종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다음, 그래플(56)이 각 공구(81)이 각 슬리이브(17) 내에 충분히 안착될 때까지 화살표(107) 방향으로 종방향 운동을 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램프(도시하지 않았음)은 요구(44)(제2도 및 제3도)에 대하여 적당한 위치로 괘정부(21)를 지지하고 슬리이브 종단부(43)상의 견부(45)를 지지한다.
이때에 실린더(95)(제9도)가 스프링탄발핀(97)상의 스프링을 압축하도록 작용하므로서 괘정부(21)내에 세포상 공간부를 형성하는 판체와 결합된 상태의 핀(83)을 뽑아낸다. 공구(81)과 괘정부(21)의 분리는 각 괘정부의 세포상 공간부를 형성하는 판체가 환상요구(44)(제2도 및 제3도)와 슬리이브 종단부(43)에 형성된 견부(45)로 다시 걸리게 하는 것이다.
코일스프링(22)의 작용하에 스파이더(20)(제9도)는 괘정부(21)의 인접표면에 대하여 접경하게 되고, 더우기 부재(57)은 턱물리개(67)(70)이 각각 시계방향과 시계 반대방향으로 희동할 수 있도록 화살표(107)의 종방향으로 운동한다. 턱물리개(67)(70)의 이러한 회동운동은 클램프(73)(74)가 격자(14)를 풀고 있는 것을 해제하도록 하고 다른 클램프(도시하지 않았음)도 역시 괘정부로부터 이동된다.
이와 같이 완전한 단부고정체가 종래 기술에서 귀찮고 부품 부품이 하나 하나 분해되고 재조립되는 결점을 완전히 탈피한 방법으로 핵연료집합체에 재조립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특징지우는 이러한 기술은 또한 단부고정체의 작은 부품을 분실하기 쉬운 종래 결점을 해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제어봉 안내튜우브 조립체에 있어서, 중공의 제어봉 안내튜우브(12)의 그 단부를 개방되게 하고, 원통상 중공의 슬리이브(17)을 상기 안내튜우브의 일부분과 중첩시키며, 상기 슬리이브 내측 표면에는 견부(32)를 형성시켜 제어봉 안내튜우브와 결합되게 하고 또한 그의 외측 표면에는 환상요구(44)를 형성시키며, 칼라(34)가 서로 중첩된 안내튜우브와 슬리이브의 부분을 둘러싸게 하여 상기 칼라와 그에 둘러 싸여진 안내튜우브 및 슬리이브 부분이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시킨 일체식의 제어봉 안내튜우브 조립체.
KR8201474A 1982-04-02 1982-04-02 핵연료집합체내의 제어봉 안내튜우브 조립체 KR820000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1474A KR820000895B1 (ko) 1982-04-02 1982-04-02 핵연료집합체내의 제어봉 안내튜우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1474A KR820000895B1 (ko) 1982-04-02 1982-04-02 핵연료집합체내의 제어봉 안내튜우브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653A Division KR820000897B1 (ko) 1978-08-31 1978-08-31 원자로내의 제어봉 안내튜우브용 괘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895B1 true KR820000895B1 (ko) 1982-05-20

Family

ID=19224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474A KR820000895B1 (ko) 1982-04-02 1982-04-02 핵연료집합체내의 제어봉 안내튜우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89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195B1 (ko) 원자로 연료어셈블리의 단부이음쇠(end fitting)의 리세스에 안내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GB2086127A (en) Grapples for manipulating end fittings for nuclear reactor fuel assemblies
JP3443587B2 (ja) 制御棒駆動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US4323428A (en) Reconstitutable fuel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US4357298A (en) Nuclear fuel assembly space arrangement
JPS6245511B2 (ko)
US4358421A (en) Industrial technique
US4631168A (e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with a removable top nozzle
US4828792A (en) Nuclear fuel assembly with holding structure and hold down device
JPS6224185A (ja) 原子炉炉心の燃料集合体
US4321111A (en) Industrial technique
JPH0211119B2 (ko)
KR820000895B1 (ko) 핵연료집합체내의 제어봉 안내튜우브 조립체
JPH0478957B2 (ko)
JPH0566993B2 (ko)
KR820000896B1 (ko) 핵연료 집합체내의 단부 고정체용 조정 그래플(grapple)
KR100236140B1 (ko) 가압수형 원자로의 연료조립체
JPS6266193A (ja) 燃料集合体における再使用可能な締結装置
KR820000897B1 (ko) 원자로내의 제어봉 안내튜우브용 괘정장치
US20100020916A1 (e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grid
JPH0478958B2 (ko)
JPH0545151B2 (ko)
GB1576252A (en) Locking nut assemblies
JPH0466319B2 (ko)
CA1136676A (en) Grapple for manipulating end fitting for fuel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