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140B1 - 가압수형 원자로의 연료조립체 - Google Patents

가압수형 원자로의 연료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140B1
KR100236140B1 KR1019960001565A KR19960001565A KR100236140B1 KR 100236140 B1 KR100236140 B1 KR 100236140B1 KR 1019960001565 A KR1019960001565 A KR 1019960001565A KR 19960001565 A KR19960001565 A KR 19960001565A KR 100236140 B1 KR100236140 B1 KR 100236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guide tube
plate
members
fu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502A (ko
Inventor
피. 브로더스 리챠드
Original Assignee
벨 주니어 로버트 에스.
에이비비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뉴클리어 파워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벨 주니어 로버트 에스., 에이비비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뉴클리어 파워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벨 주니어 로버트 에스.
Publication of KR96003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34Assembling, maintenance or repair of the bundl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를 갖는 포스트에 상단부가 결합되는 안내관을 가지며. 유동판에서 이격된 가압판(holddown plate)이 상기 헤드를 탄성 가압하는 구성으로 된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압수형 원자로에서 사용하기 위한 연료 조립체이다. 가압판은 포스트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유동판은 포스트에 고정된다. 본원의 조인트는 돌출 스텝이 형성된 스프링 핑거를 갖는 포스트 부재 또는 튜브 부재 중 한 부재를 인접한 핑거 표면 내의 리세스 내에 유지되는 상기 부재들 중 다른 부재상의 링 돌출부에 접촉시킨 채로 유동판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안내관과 포스트 사이에 급속 결합 조인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압수형 원자로의 연료 조립체
제1도는 종래 기술의 상단부 피팅/안내관의 결합에 관한 부분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조합을 이용하며 본 발명의 장점을 포함하는 상단부 피팅/안내관의 결합의 분해도.
제3도는 제2도의 조립된 조인트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3도와 유사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상단부 피팅 12 : 가압판
14, 14a : 유동판 18, 18a : 외부 포스트
19a : 스텝(step) 20 : 가압 스프링
22 : 슬롯 25a : 카운터 보어
30, 30a : 안내관 44 : 확장 영역 또는 링
48 : 핑거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가압수형 원자로(PWR)의 연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조립체 내부에 연료봉 또는 연소성 포이즌 로드(poison rod)의 제거 및 삽입을 허용하기 위하여 분해 및 재조립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는 연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자로 연료 조립체의 안내관과 상단부 피팅(upper end fitting)과의 개량된 조인트 결합(joint connection)에 관한 것이다. 이런 결합의 디자인은 종래 디자인에 비하여 비용이 저렴하고, 부품이 간단하며, 소수의 부품으로 신속한 분해 과정을 달성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종래기술]
현재의 가압수형 원자로의 연료 조립체는 통상적으로 하단부 피팅, 상단부 피팅 및 양 피팅 사이의 안내관을 포함하는 스켈리턴(skeleton)을 내장하고, 여기서 핵 연료봉과 연소성 포이즌 로드는 안내관에 장착되는 다수의 스페이서 그리드에 의해 중간에 공간을 두고 지지되어 있다.
연료 조립체가 방사된 후에 결함이 있는 연료봉을 교체하거나 또는 연소성 포이즌 로드를 추가할 수 있도록 안내관/상단부 피팅 조인트를 갖춘 연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약간의 결함이 있는 연료봉 때문에 원자로에서 연료 조립체를 너무 빨리 제거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많은 가압수형 원자로의 연료 조립체는 상기 봉의 교체능력을 염두에 두고, 상단부 피팅을 제거하여 연료봉 및 프이즌 로드를 제거 및 삽입하기 위하여, 분해될 수 있는 상단부 피팅과 안내관 사이에 조인트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가압수형 원자로의 연료 조립체의 상단부 피팅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상단부 피팅은 승강 장치를 위한 갈고랑쇠 고정 장소를 제공하고, 원자로 코어에 조립체의 상단부를 정확하게 배치하고, 또 원자로의 유동 상태하에서 연료 조립체의 들어올림을 제한하는데 사용되는 스프링용 반작용 표면을 제공한다. 전술한바와 같이, 상단부 피팅은 연료봉의 상단부로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연료 조립체의 안내관 단부로부터 원격조종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후자의 기능을 제공하는 디자인은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 4,030,975호, 제 4,631,168호 및 제 5,363,42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디자인의 결점은, 상단부 피팅을 안내관에 결합하는 각각의 결합작업(최고 24 조인트)이 언스레딩(unthreading), 로킹 슬리브 제거 등과 같은 개별 분해 작업을 방사선환경에서 수행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 4,631,168호의 경우에, 조인트를 분해 및 재조립하는 도중에 작은 부품들은 조심스럽게 취급되어야만 한다.
미국특허 제 4,030.975호에 개시된 디자인의 원격 제어식 분해는 외부 포스트를 언스레딩하고(이에 의해 얇은 벽 부위의 비틀림에 의해 제공된 저항력을 극복한다), 상단부 피팅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외부 포스트는 가끔 교체를 필요로 한다. 재조립은 상단부 피팅을 안내관으로 되돌려 넣어, 외부 포스트에 삽입하여 스레딩하고, 그후, 독립된 공구작업으로 이루어진 공정을 거쳐 외부 포스트의 얇은 벽 부위를 정위치에 재확장하는(re-expanding) 것을 포함하고 있다.
[발명의 요약]
간략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헤드를 갖는 포스트에 상단부가 결합되는 안내관을 가지며, 유동판에서 이격된 가압판(holddown plate)이 상기 헤드를 탄성 가압하는 구성으로 된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압수형 원자로에서 사용하기 위한 연료 조립체이다. 가압판은 포스트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동판과 가압판은 스프링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유동판은 포스트에 고정된다. 본원의 조인트는 돌출스텝이 형성된 스프링 핑거를 갖는 포스트 부재 또는 튜브 부재 중 한 부재를 인접한 핑거 표면 내의 리세스 내에 유지되는 상기 부재들 중 다른 부재상의 링 돌출부에 접촉시킨 채로 유동판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안내관과 포스트 사이에 급속 결합 조인트를 제공한다.
예시된 발명의 구조에 의해, 상기 분해는 포스트 핑거가 안내관의 확장 영역에 걸쳐 외측으로 다시 구부러지도록 가압 스프링을 추가의 증가량으로 압축한 후, 상단부 피팅 전체를 들어올리므로써 달성된다. 재조립은 가압 스프링이 추가의 증가량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상단부 피팅을 안내관 위로 다시 배치시킨 후, 추가의 압축을 해제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수행된다. 재확장과 같은 이차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더구나, 부품의 단순성에 본 발명의 신규한 장치의 장점이 있다. 미국특허 제 4,030,975호에 도시된 디자인은 확장된 포스트 스커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안내관에 용접된 후, 나사, 언더컷 및 구멍이 기계가공되는 안내관 플랜지를 포함하고 있다. 본원의 신규한 구조는 단순히 안내관 자체에서 확장 영역 또는 링만을 필요로 한다. 미국특허 제 4,030,975호에 도시된 디자인은 나사, 언더컷 및 손상되기 쉬운 박벽 스커트 영역(thin-walled skirt)을 포함하는 복잡한 기계가공부를 하단부에 가지는 포스트 디자인을 갖는다. 또한, 이 특허의 디자인은 작업중에 포스트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별개의 확장 공정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기본적인 예비 기계가공을 몇가지 실시한 후 하단부에 슬롯을 형성하여 가요성 핑거가 형성된 포스트를 가진다. 상기 두 디자인의 유동판은 관통구, 카운터보어(conuterbore) 및 도입각을 가지지만, 본 발명의 장치와 관련된 유동판은 복잡한 기계 가공 형태를 거의 가지지 않으며 대체로 형태에 관하여 더 큰 가공여유를 가진다.
또한, 미국특허 제 4,631,168호와 같은 디자인은 중요한 기계가공을 포함하고 조인트를 고정 및 체결하기 위한 여분의 부재들을 가지며 로킹 구조물을 제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추가의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치는 단순성 면에서 비교할 수 없이 아주 양호하다.
[실시예]
제1도에는 전형적인 종래 기술의 상단부 피팅(10)이 도시되어 있다. 상단부 피팅(10)은 가압판(12), 유동판(14), 중앙 포스트(16) 및, 가압 스프링(20)이 각각 둘러싸고 있는 4개의 외부 포스트(18)를 구비한 부조립체(subassembly)를 포함한다.4개의 외부 포스트는 부조립체 내에서 수직으로 자유로이 미끄럼 이동하고, 공구를 사용하여 위로부터 회전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슬롯(22)을 가진 헤드(21)를 포함한다.
부조립체는, 가압 스프링(20)을 유동판(14)의 구멍(24)에 적절하게 배치하고, 가압판(12)을 가압 스프링(20)의 상단에 놓은 후에, 중앙 포스트(16)의 하단부를 가압판(12)의 중앙 구멍(26)과 중앙 가압 스프링(20)(하나만 있는 경우)으로 통과시키고. 스프링(20)을 압축하면서 동시에 구멍(24)의 하부 나사부에 의해 유동판(14) 내로 나사식으로 돌려서 영구적인 나사 결합부(28)를 만듦으로써 조립된다. 상기 부조립체는 가압 스프링(20)에 형성되어 있는 전하중(preload)에 의해 스스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self-contained).
상단부 피팅(10)은 제1도의 종래 기술의 연료 조립체에서, 부조립체를 외부 안내관(30)에 배치하고, 다음에 외부 포스트(18)를 가압판(12)의 구멍(26)과, 외부 가압 스프링(20)과 유동판(14)의 구멍(24)으로 통과시키고, 안내관(30)의 암나사 플랜지부(32) 내에 나사식으로 끼워서 제거가능한 나사 결합부(34)를 만듦으로써 장착된다.
외부 포스트(18)의 하단부(36)는 제거가능한 나사 결합부(34) 바로 아래에서 박벽 스커트 영역(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가지며, 그 스커트 영역은 안내관의 플랜지(32) 내부 영역(38) 내의 구멍(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내로 확장되어서, 냉각수 유동에 따른 진동으로 인해 상기 포스트(18)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 기술 구조의 이러한 특징은 미국특허 제 4,030,975호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 및 도시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자로 연료 조립체의 안내관(30)과 상단부 피팅(10) 사이에 개량된 조인트 결합을 제공한다. 이러한 신규한 결합의 디자인은 가격이 저렴하고. 비교적 소수의 부품으로서 단순하고 급속한 분해 능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 디자인에 비해 장점을 제공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수형 원자로의 연료 조립체의 상단부 피팅(10a)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되는데, 이 원리는 양호한 실시예에서 급속 분해하는 상단부 피팅 조인트를 이용하고, 안내관(30a)의 상부(32a)가 포스트(18a)의 하부 영역(40) 내에 끼워 맞추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안내관(30a)은 확장 영역을 포함하고, 원주 방향으로 손상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는데. 즉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롯을 가지지 않는다. 제2도 및 제3도는 포스트(18a)의 슬롯 형성된 하단부가 유동판(14a)과 안내관(30a) 사이에 끼워 맞추어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포스트(18a)는 안내관(30a)의 확상 링부(44)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는 내직경부(42; 리세스부)를 가진다. 포스트(18a)의 영역(40)에는 슬롯(46)이 형성되어 있어서, 포스트를 유동판(14a)을 통해 삽입하여 상단부 피팅(10a)을 조립 또는 결합할 때에는 핑거(finger: 48)가 내부로 구부러지게 하고 또, 안내관(30a)에서 상단부 피팅(10a)을 부착 또는 분해할 때에는 핑거가 외부로 구부러지게 한다. 유동판(14a)의 바닥쪽에 있는 카운터보어(25a)는 포스트의 핑거(48)의 바닥쪽의 대직경부(19a; 스텝)에 대해 여유부가 거의 없지만, 유동판 내의 관통 구멍(24a)은 포스트(18a)에 대해 상당히 큰 여유부를 갖는다. 가압판(12) 및 가압 스프링(20)은 제2도 및 제3도에서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준 디자인에 속한다.
급속 분해식 상단부 피팅 조인트의 기본 개념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경은, 포스트 핑거(48)에 합체된 환형 링 돌출부가 안내관의 리세스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안내관이 유동판과 포스트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변경에서, 안내관의 상부 영역(또는 결합부 아래에서 안내관에 부착된 독립된 연장부품)에는 슬롯이 형성되고(어느 부품에 리세스가 형성되는지의 두가지 가능성이 이러한 형태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의해야 한다), 간단한 급속 분해식 조인트가 나타나게 된다.
새로운 급속 결합 장치를 이용하는 상단부 피팅을 위해서, 부조립체 부품들은 유동판의 구멍들을 새로운 외부 포스트(18a)에 적합하도록 기계가공해야 한다는것을 제외하고는 제1도의 종래 기술의 구조에서 변화되지 않는다. 부조립체를 연료 조립체 안내관(30a)에 장착하기 전에, 가압 스프링(20)을 추가의 증가량 만큼 압축하기 위해 가압판(12)이 유동판(14)쪽으로 가압되고, 새로운 외부 포스트(18a)는 가압판(12)의 구멍(26)과 가압 스프링(20) 및 유동판(14)의 구멍(24)을 통과함으로써 설치된다. 유동판(14)의 구멍(24)은 포스트(18a)의 바닥에 있는 스텝(19a)보다 더 작기 때문에, 포스트(18a) 바닥에서의 핑거(48)는 이 지점에서 내부로 구부러진다. 포스트(18a)의 스텝(19a)이 유동판(14a)의 구멍(24)의 축소된 직경을 통과하면, 핑거(48)는 정상 직경으로-탄성복귀한다. 4개의 외부 포스트(18a)가 모두다 제위치에 놓인 후에, 가압 스프링의 추가 압축이 제거되고, 유동판(14a)이 핑거(48)의 바닥에서 스텝(19a)에 정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 스프링(20)에는 전하중이 걸려 있지만, 중앙 포스트(16)를 가로지르며 전하중이 가해지는 대신에, 신규한 장치에서는 헤드(21)와 핑거(48)의 스텝(19a) 사이에서 외부 포스트(18a)를 가로지르며 전하중이 가해진다. 그 결과, 상단부 피팅 조립체(10a)는 어떤 자유로운 부품이 없이 단독형 조립체(stand-alone assembly)가 된다.
상단부 피팅(10a)을 안내관(30a)에 고정하기 위하여, 가압 스프링은 중앙 포스트(16)를 통해 유동판(14)을 위로 잡아당기고. 또한 외부 포스트(18a)의 상단을 아래로 미는 것에 의해 추가의 증가량으로 압축된다. 그 결과, 포스트(18a)의 핑거의 바닥에 있는 스텝(19a)이 유동판(14a) 아래로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제, 상단부 피팅(10a)은, 돌출한 링(44)이 핑거의 하단부를 지나갈 때, 안내관(30a)의 확장 영역 또는 링(44)이 외부 포스트(18a)의 핑거(48)를 외부로 구부림으로써, 4개의 외부 안내관(30a)상에서 하강될 수 있다. 확장 영역 또는 링(44)이 외부 포스트(18a)의 핑거(48)의 내면에 있는 리세스 영역(42)에 도달하면, 핑거(48)는 다시 정상 위치로 탄성 복귀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외부 포스트(18a)의 내부 직경 숄더(50)는 안내관(30a)의 상단부(52)에 정착하게 되고, 이 지점에서 가압 스프링(20)의 추가 압축이 제거되어, 유동판(14a)을 다시 포스트 핑거(48)의 바닥에 있는 스텝(19a)에 안착시킨다.(제3도)
부품들의 크기는, 유동판(14a)에서의 카운터보어(25a)와, 포스트(18a) 핑거(48)에서의 스텝(19a)과, 안내관(30a)의 확장 영역 또는 링(44)과, 상기 확장 영역 또는 링(44) 아래의 안내관의 정상 직경과의 사이의 여유부가, 유동판(14a) 구멍(24a)의 카운터보어(25a)가 포스트 핑거(48)를 방사상으로 억제하는 동안에, 외부 포스트(18a)의 하부 영역 또는 부분(40)을 통한 안내관의 확장 영역 또는 링(44)의 통과를 배제하도록 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 피팅(10a)은 안내관(30a)의 상단부(52)에 정착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원자로에서의 가압 하중은 핑거(48)를 거쳐 안내관의 상단(50)에 전달된다. 제4도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핑거(48a) 내면의 리세스(42a)는 가압수형 원자로의 가압 하중이 핑거(48a)를 거쳐 안내관(30a)의 확장 영역 또는 링(44)의 저면을 통해 핑거(48 또는 48a) 내로 전달된후 포스트 헤드(21) 내로 전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는, 모든 조인트를 동시에 풀거나 또는 단단히 조이는 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다른 급속 해제 디자인에 비해 급속 분해 형태가 추가의 부재들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달성된다고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두 장점은 조인트를 함께 로킹하는 수단으로서 현재 사용되는 가압 스프링력을 이용함에 의해 달성된다. 나사 결합을 사용하는 디자인에 비해, 본 장치는 원격 제어식으로 조립 및 분해하기가 더욱 빠르고 용이하다. 다른 급속 분해 디자인에 비하여, 본 장치는 동시에 모든 결합부를 해제하고, 또한 로킹 수단이 유동판 및 가압 스프링의 형태로 디자인 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임의의 로킹 수단의 제거, 취급 또는 재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상단부 피팅 조립체와 안내관 사이에 개량된 조인트가 제공되어 있다. 본 장치는 추가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한번의 작업으로 상단부 피팅 조립체 전체를 해체할 수 있는 급속 분해 형태를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경은, 안내관의 상부 영역이 보조부재(가능하면 스테인레스강)로 되고, 안내관에 슬롯이 형성되어 유동판과 포스트 사이에 끼워맞춰지고, 리세스가 안내관이나 포스트에 형성되며, 그리세스의 방향이 안내관 중심선을 향하게 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하도록 하는 것이지만, 그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6)

  1. (정정)다수의 안내관 부재가 상단부에서 다수의 포스트 부재 중 하나에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포스트 부재가 제2수평 방향 평판에서 이격된 제1수평 방향 평판이 탄성 가압되는 헤드부를 가지며, 상기 제1평판은 그 내부의 구멍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포스트 부재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평판은 상기 포스트 부재에 고정되고 스프링이 상기 포스트 부재를 둘러싸며 제1 및 제2평판에 접촉한 채로 지지되는, 가압수형 원자로에 사용하기 위한 연료 조립체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포스트 부재 및 안내관 부재 조인트에서, 포스트 부재 또는 안내관 부재 중 하나는 제2평판과 접촉 결합을 하기 위해 핑거 단부에 돌출 스텝을 갖는 가요성 스프링 핑거를 형성하도록 축선에 평행하게 슬롯을 가지고, 상기 부재들 중 다른 하나는, 스프링 핑거 스텝이 제2평판과의 접촉 결합에서 해제되고 그에 따라 스프링 핑거가 자유롭게 구부러질 때, 상기 부재들을 로킹 또는 언로킹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부재들 중 하나에 인접한 표면부에서 상기 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리세스 내에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수평 평판이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스프링을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스프링 핑거 스텝은 제2평판과의 접촉 결합부에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조립체.
  2. (정정)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 방향 평판은 가압판인 연료 조립체.
  3. (정정)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 방향 평판은 유동판인 연료 조립체.
  4. (정정)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재 또는 안내관 부재 중 슬롯을 갖는 부재는 포스트 부재인 연료 조립체.
  5. (정정)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재 또는 안내관 부재 중 한 부재의 인접한 표면부에서 상기 부재들 중 다른 부재의 리세스 내에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돌출부를 갖는 부재는 안내관 부재인 연료 조립체.
  6. (정정)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재 또는 안내관 부재 중 한 부재의 인접한 표면부에서 상기 부재들 중 다른 부재의 리세스 내에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내관 부재의 환형 링인 연료 조립체.
KR1019960001565A 1995-02-22 1996-01-25 가압수형 원자로의 연료조립체 KR100236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93,102 US5600694A (en) 1995-02-22 1995-02-22 Nuclear fuel upper end fitting quick disconnect joint
US393,102 1995-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502A KR960032502A (ko) 1996-09-17
KR100236140B1 true KR100236140B1 (ko) 1999-12-15

Family

ID=2355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565A KR100236140B1 (ko) 1995-02-22 1996-01-25 가압수형 원자로의 연료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600694A (ko)
KR (1) KR100236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347B1 (ko) 2015-12-15 2017-06-08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자체정렬구조를 가지는 상단고정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7524A1 (en) * 2002-07-18 2005-09-22 Framatome Anp Gmbh Method for preparing a built-in part of a fuel element of a pressurized water nuclear reactor for disposal, and corresponding conditioned built-in part
KR101515116B1 (ko) 2007-12-26 2015-04-24 토륨 파워 인코포레이티드 원자로(대용물), 원자로(대용물)를 위한 드라이버-브리딩 모듈들로 구성된 연료 집합체 및 연료 집합체용 연료 요소
US8116423B2 (en) 2007-12-26 2012-02-14 Thorium Power, Inc. Nuclear reactor (alternatives), fuel assembly of seed-blanket subassemblies for nuclear reactor (alternatives), and fuel element for fuel assembly
US9208904B2 (en) * 2008-04-15 2015-12-08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Reinforcement for a nuclear fuel assembly
HUE027561T2 (en) 2008-12-25 2016-10-28 Thorium Power Inc Heating element unit for a light-water nuclear reactor and light-water nuclear reactor
KR101032867B1 (ko) * 2010-01-28 2011-05-06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집합체용 안내관 마개
WO2011143172A1 (en) 2010-05-11 2011-11-17 Thorium Power, Inc. Fuel assembly with metal fuel alloy ker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10170207B2 (en) 2013-05-10 2019-01-01 Thorium Power, Inc. Fuel assembly
US10192644B2 (en) 2010-05-11 2019-01-29 Lightbridge Corporation Fuel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1583E (en) * 1971-05-20 1984-05-08 Combustion Engineering, Inc. Fuel assembly hold-down device
US3770583A (en) * 1971-05-20 1973-11-06 Combustion Eng Fuel assembly hold-down device
US4265708A (en) * 1978-12-26 1981-05-05 Combustion Engineering, Inc. Radially channeled guide post for a nuclear fuel assembly
US4684499A (en) * 1985-12-10 1987-08-04 Westinghouse Electric Corp. Burnable absorber rod releasable latching structure
US4716004A (en) * 1986-02-06 1987-12-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Thimble guide extender
US4983351A (en) * 1987-04-24 1991-01-08 Westinghouse Electric Corp. Top head penetration, hydro-ball in-core instrumentation system
US4966747A (en) * 1987-04-24 1990-10-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Hydro-ball in-core instrument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5268948A (en) * 1992-06-25 1993-12-07 Duke Power Company Locking assembly for nuclear fuel bund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347B1 (ko) 2015-12-15 2017-06-08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자체정렬구조를 가지는 상단고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00694A (en) 1997-02-04
KR960032502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7171A (en) Device for fixing a guide tube in a recess on the end fitting of a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US20220215973A1 (en) Lower end fitting locknut for nuclear fuel assembly
KR100236140B1 (ko) 가압수형 원자로의 연료조립체
KR840002450B1 (ko) 원자로 핵연료 집합체의 안내관 고정장치
JPH02296198A (ja) 高圧/低圧用封止装置
GB1466887A (en) Fuel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US5207980A (en) Top nozzle-mounted replacement guide pin assemblies
EP0140588B1 (e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with a removable top nozzle
US4631168A (e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with a removable top nozzle
US6086120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jet pump riser pipe repairs
JPS6245511B2 (ko)
JPH0214677B2 (ko)
US5297176A (en) Remotely replaceable fuel assembly alignment pin
US4358421A (en) Industrial technique
US4321111A (en) Industrial technique
US6240156B1 (en) Top guide grid attachment for a boiling water reactor
US5015435A (en) Device for demountable fastening of a guide tube into an end fitting of a fuel assembly of a nuclear reactor
KR20080030978A (ko) 원거리에서 핵연료집합체 상단의 해체 및 조립의 편의성을증대시킨 상단고정체구조
US5492170A (en) Device for radially supporting the bundle envelope and spacer plates of a steam generator
CZ61697A3 (en) Expandible upper adapted and a mounting system for its safe attachment to a nuclear fuel element
US4568111A (en) Detachable connection for a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EP0895248A1 (en) System for joining the bottom head, independent dashpot and reinforced guide tubes in nuclear reactor fuel elements
EP0889482A1 (en) Tie plate quick release retaining device
KR102550784B1 (ko) 설치 및 해체 성능이 제고된 사용후 핵연료집합체 취급용 고정장치
CA1129565A (en) Control rod guide tub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