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452Y1 - 탄성체를 이용한 조절식 브라켓트 긴체장치 - Google Patents

탄성체를 이용한 조절식 브라켓트 긴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452Y1
KR820000452Y1 KR2019810003166U KR810003166U KR820000452Y1 KR 820000452 Y1 KR820000452 Y1 KR 820000452Y1 KR 2019810003166 U KR2019810003166 U KR 2019810003166U KR 810003166 U KR810003166 U KR 810003166U KR 820000452 Y1 KR820000452 Y1 KR 820000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od
elastic body
leaf sp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3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젠사부로오 쓰구모
Original Assignee
엔테엔 도오요 베아링 가부시기 가이샤
취체역 오오쓰 고오다로오
젠사부로오 쓰구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테엔 도오요 베아링 가부시기 가이샤, 취체역 오오쓰 고오다로오, 젠사부로오 쓰구모 filed Critical 엔테엔 도오요 베아링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10003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4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4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8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9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forming a crossed-over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탄성체를 이용한 조절식 브라켓트 긴체장치
제 1도는 본고안의 전제로 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
제 2도 내지 제 6도는 각각 제 1도의 원리를 적용한 다른 출원및 그에 대한 각종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7도는 제 1도 내지 제 6도에 나타낸 다른 출원의 개량에 관한 본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대표적 실시예의 설명도.
제 8도는 제 7도에 있어서의 아암 브라겟트, 추축핀, 체착용판스프링 및 록크레버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제 9도 및 제 10도는 각각 체착용 판스프링 및 록크레버의 사시도.
본고안은 주로 원형의 로드 또는 샤프트에 브라켓트등을 부착하기 위한 탄성체를 이용한 조절식 브라켓트 긴체장치로서 특히 여기에 사용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중개체의 특정형상과, 이에 관한 조절 장치 및 로드 또는 샤프트에 설치한 고정홈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계장치에 있어서 브라켓트류의 고정방법으로서 사용되어온 것은 대부분의 경우, 셋트 스크류, 클램프, 키이등의 방식이고 이것들을 단독으로 또는 복합된 형식으로 구성한 구조만이 간단하고도 안전한 방식으로 알고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예를 들면, 방적기에 있어서 웨이팅 아암과 같이 특별히 다수 또는 면밀한 조정및 관리를 요하고 장소적으로도 제약이 있으며, 또한 개개의 부착 상태에 고도의 확실성, 안정성을 필요로하는 부분에서는 종래 방식은 어느것이든 만족할만한 것은 아니었다.
즉, 이들의 종래 방식은 경험적인 실시면에서 평가하면 셋트된 상태가 비교적 틀려지기 쉽고, 또 관리 및 보정시 숙련과 비결을 요하며, 예기치 않던 인력과 시간을 소비하게 될뿐만 아니라 장소적으로도 손이 미치기 어려운 결점이 있다.
이때문에 상술한 바와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현재까지 여러모로 새로운 시도를 했으나, 어느것이고 대동소이한 범위에서 탈피하지는 못했다. 또, 종래 방식인 셋트 스크류, 클램프, 키이등의 직접 고정 방식은 어느 것이고 공장에서 많은 수의 추를 관리할때의 실시경험으로서 여러가지 결합이 지적되어 각종 개량대책이 시도되었으나 아직 만족스런 결과에 이르지 못한것이 현 상태이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다른 출원에 개시한 탄성체를 이용한 조절식 브라켓트 긴체장치릍 개발했다.
즉, 체착용 로드 또는 샤프트(R), 브라켓트(B) 조절나사부(조절부)(J) 및 판스프링등의 탄성체(S)의 4가지 구성요소에 의한 브라켓트의 긴체장치를 개발했다.
특히, 이 방식에서는 판 스프링 등의 탄성체(S)는 그 선단부에 원통롤과 같은 원통체를 끼워놓고, 이 원통체와 브라켓트에 설치된 긴홈을 고합 결합 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 방식의 경우 중하중에 속하는 웨이팅 아암에 있어서는 때로는 밸런스 스프링을 위주로 해서 제작상의 문제에서 불안정 요인을 수반하는 경우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그 주된 문제점은 원통롤을 끼워놓은 밸런스 스프링과 원통롤과의 접촉면에 생기기 쉬운 간극 및 곡면에 있어서의 미끄러짐과 또는 다소의 구름에 의한 어긋나는 현상이다.
그래서 이것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폭을 가진 원통롤 대신 볼(구체)을 사용하고 밸런스 스프링과의 접촉 압압면을 볼에 잘맞게 상호 접촉면이 밀착상태로 되도록 브라켓트에 구멍을 가공하므로써 전면 밀착에 의한 안전한 파지 효과를 올릴수 있다.
물론, 원통롤의 경우에 있어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이 부분을 엄밀히 밀착하도록 가공하는 것에 의해 안정화 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상술한 원통롤 또는 볼을 사용하는 방법의 어느 것으로도 아직 불확정 요인을 수반할 염려가 생길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 문제의 해결이 최량의 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긴요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 발생의 가능성에 착안해서 각종 실시 시험을 행한 결과의 확인 실험에 의한 실증에 기초를 둔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제 1도 내지 제6도에 표시한 다른 출원과 아울러 제 7도내지 제 10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이르는 메카니즘의 원리는 제 1도에 표시한 4가지의 요소로 구성된다.
즉, 체착용 로드 또는 샤프트(R), 브라켓트(B), 조절나사부(조절부)(J) 및 판 스프링등의 탄성체(S)이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탄성체(S)의 양단중 선단(C)은 브라켓트(B)본체의 정점에 부착되어 있고 후단(b)은 로드(R)의 축선××방향으로 형성한 오목한 긴홈에 계탈자재하게 끼워진 상태로 되어있다.
또 조절나사부(J)의 블럭(a)는 상술한 선단(C)와 마찬가지로 브라켓트(B)본체와 일체적 구조체로 조절나사가 블럭(a)의 나사구멍에 끼워져서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며 탄성체의 중간부분을 누르는 자세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조절나사부(J)를 예컨대 탄성체가 늘어나는 방향 즉, p점을 내려 누르는 방향으로 조절하면 c-b사이의 거리는 늘어나서 브라켓트(B)의 축(ZZ'는 로드의 수직축 YY'에 접근하고 각는 작아진다.
반대로 탄성체(S)가 오무라지는 방향 즉 셋트볼트가 상방으로 풀려나오는 방향으로 조절하면 탄성체(S)의 복원력에 의해 c-b사이 거리는 축소되기 때문에 축 YY'에 대하여 즉 ZZ'은 멀어져서 각는 크게되는 쪽으로 벌어지며 브라켓트(B)는 우회전(시계 바늘 방향)으로 후퇴한다. 또 이 탄성체의 복원작동범위내에 있어서는 그 잔류 내부 용력(F0)에 의해 탄성체(S)의 후단(b)과 부착 샤프트(R)의 접촉 감합면(d)에 있어서 체착 압력(F1)으로서 작용한다.
또 F0=O부근까지 조절나사를 늦추면 브라켓트(B)는 로드(R)의 긴홈 축방향 (x x)에 조절자재하게 된다.
즉, 본고안은 상술한 원리에 따르는 것으로 제 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서로 조절에 의해 정해진 고정적 관계로 체결시키기 위한 2개의 요소(R)(B)를 충분히 강인한 탄성체(S)를 중개체로해서 각각 탄성체(S)의 양단에서 고정적으로 연결한 상태를 형성하고 이 상태를 브라겟트(B)자체에 부착한 조절나사부(J)의 조절에 의해서 강한 탄성체(S)의 변형도를 변화시킨다.
이 작동에 의해(a)(b)사이 거리를 조절적으로 변경하여 로드(R)브라켓트(B)양자의 부착각도를 회동적으로 변위 조절한다.
상술한 조절 범위내로 되면 탄성체(S)는 항상 복원 가능한 변형된 상태에 있게된다.
이 상태에서의 탄성체(S)내에는 용력 에너지가 내재한다.
즉 제 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절 나사부(J)에 의해서 점(P)에 외력 F0가 작용하면 탄성체(S)의 일단 (C)부의 중심 (O0)와 타단(b)부의 중심(O1)에 있어서 다음의 관계가 성립된다.
F0=d0F1,d1
∴ F1=
F1은 F0에 대한 반력에 상당하며 로드(R)와 브라켓트(B)의 체착력에 상당한다.
이 관계는 조절나사부(J)의 조절량을 변경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즉, 탄성체(S)의 변형도를 변경하지 않는 한은 불변이기 때문에 c,b,R의 3자간의 변위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하 상술한 원리를 실지로 전개한 실시예를 제 4도 내지 제 6도에 도시한다.
즉, 브라켓트(B), 탄성체(S), 로드(R) 및 조절나사부(J)의 4가지의 요소를 도시와 같이 배치한 구조를 취한다.
제 4도, 제 5도의 상위점은 탄성체 스프링(S) 사용방법을 반대로한 모양으로 작동면에는 같은 것이나 제 5도는 조절나사부의 조정방향이 전자에 비해 반대인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각각 스페이스라든가 자유로운 조작이라든가 외력의 거는 수단등으로 구분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판 스프링(S)의 선단에는 원통롤 또는 볼이 끼워져 있고 브라켓트에 설치한 긴홈또는 구멍과 맞물리게 결합시키게 되어있다.
이하 제 7도 내지 10도에 따라서 본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 7도에 있어서 본 고안에 관한 장치(또는 기구)는 체착용 로드 또는 샤프트(R), 아암 브라켓트(B), 조절나사부(조절부)(J), 판 스프링(S) 록크레버(L) 및 축핀(P)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나사부(J)와 축핀(P)은 아암 브라켓트(B)에 일체적으로 고정 부착되어있다.
지지로드(R)은 아암 브라켓트(B)의 부착공에 회동적으로 헐거운 상태로 되어있다.
따라서 양자만의 관계로는 아암 브라켓트(B)는 지지로드(R)를 중심으로 어느 방향으로나 회동해서 특정의 위치를 점유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지지로드(R)와 아암 브라켓트(B)의 양자를 체착용 판 스프링(S)을 가지고 축핀(P)과 지지로드(R)에 있는 감입용 긴홈(R')을 이용해서 양자가 적극적 구속상태를 보전하도록 가설해서 관계를 맺고 동시에 별도로 축핀(P)을 지점으로해서 조절나사(J')에 의해서 요동하는 록크레버(L)가 탄성 가교체(架橋體)인 체착용 판 스프링(S)의 탄성부의 배부 중앙부근(S")에 압압 감합한 관계로 조절나사(J')를 조작해서 위치시킨다.
이렇게해서 아암브라켓트(B)는 도면에 표시한 소정의 각도를 보존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다음에 아암 브라켓트(B)를 지지로드(R)를 중심으로해서 시계바늘 방향으로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그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즉, 조절나사(J')를 체착 방향으로 조절하면 체착용 판 스프링(S)의 탄성부는 배면 후방에서 록크레버(L)하부의 원호부(L')로서 압압연신시키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서 소정량이 압압 연신된다.
이런것에 의해서 판스프링(S)의 단부(S')가 감합된 지지로드(R)의 긴홈(R')과 체착용 판 스프링(S)의 지점을 이루는 축핀(P)의 중심사이 거리는 상술한 연신량 만큼 깊게 변화하게 된다.
이때 지지로드(R)는 기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하지 않고, 따라서 체착용 판 스프링(S)의 단부(S')는 부동인채로 이점을 표준으로해서 축핀(P)의 중심이 양자사이에 걸쳐있는 체착용 판 스프링(S)연신량에 비례해서 이동 회전 시킬수 없게된다.
결국 지지로드(R)가 아암브라켓트(B)의 회동 중심축으로 된다. 그래서 이 변위는 도면에 설정되는 제반 관계에 의해 아암 브라켓트(B)가 반시계 방향으로 지지로드(R)쪽의 주위를 이것과 감합하는 감입공을 가이드로해서, 일정량 회전 변위한 위치에서 그대로 고정 상태로된다. 또한 제 8도는 제 7도에 있어서의 아암 브라켓트(B)위의 축핀(P)에의 체착용 판스프링(S)과 록크레버(L)의 부착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 9도 및 제 10도는 각각 체착용 판 스프링(S)과 록크레버(L)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은 원형의 로드 또는 샤프트에 브라켓트등을 선택적으로 고착하는 방식의 장치(또는 기구)로서 복원 가능한 탄성 한계내에서 충분히 강인한 탄성물체로된 중개체(판 스프링)(S)를 이용하고 그 일단은 브라켓트상의 정점(C)에 타단은 브라켓트를 긴체하기 위한 체착용 로드 또는 샤프트(R)의 외주면의 정점(b)에 부착한 상태로 브라켓트(B) 및 로드 또는 샤프트(R)양자를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또한 그 블럭(a)에 전기한 브라켓트 자체에 부착된 조절나사를 배치하는 형식의 장치(또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로 된 중개체(판 스프링)(S)를 일단이 원호상으로 만곡되고 또한 타단이 록크레버(L)와 같이 축핀(P)에 축받혀지는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형성하고, 록크레버(L)하부의 원호부(L')로서 판스프링(S)의 만곡부(S")를 배후에서 압압 또는 보호 보강하도록 구성하며, 이 판스프링의 선단부(S')가 상기한 로드 또는 샤프트(R)에 설치한 긴홈(R')과 직접 맞물려 결합하도록 해서 이루어지는 탄성체를 이용한 조절식 브라켓트 긴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 고안에 관한 장치는 다음과 같이 많은 효과를 가져온다. 즉, 조절이 가동중에도 자유자재하며 또한 간편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미량 또는 정확한 조절이 용이하게 되고 깊은 경험과 고도의 숙련을 요하지 않고 누구에게도 가능하며, 대규모 다수관리의 경우에 있어서도 신뢰성이 매우 높고 실의 품질의 안정화는 물론이고 성력화에 크게 기여한다. 또 긴체시 항상 안정된 탄성체의 내부 용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종래제품에서 본 충력 진동등에 의해서 체착부가 이완되는 위험성이 없다. 따라서 안정성에서 우수하며, 긴체 신뢰성이 높다.
또 어떤곳 어떤 방향에서도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정밀 조작에 우수하고 능률적이며 합리성이 풍부하고 다수관리의 경우는 특히 재래 방식에 비해서 실지 조업관리면에 있어서도 큰 장점이 있다.
또 완전 고정식에 비해 탄성체를 중개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적이고 범용성 풍부하고 융통성이 있으며, 또 특히 웨이팅 아암과 같은 장치의 긴체장치로서는 고도로 우위성이 인정된다.
또 구조체로서 설계면에서도 무리가 없고 조작면에서도 무리가 없다. 또 웨이팅아암의 경우는 면(線)의 권취시등의 무리한 취급에 의한 파손에 대한 안전장치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또 구조가 단순해서 스페이스도 비교적 작고 공간의 배치를 유효하게 이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구조, 조립에도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양산에 적합하다.

Claims (1)

  1. 원형의 로드 또는 샤프트에 브라켓트등을 선택적으로 고착하는 방식의 장치로서 복원 가능한 탄성 한계내에서 충분히 강인한 탄성물체로된 중개체(S)를 이용하며, 그 일단은 브라켓트위의 정점(C)에 타단은 브라켓트를 긴체하기 위한 체착용 로드 또는 샤프트(R)의 정점(b)에 부착한 상태로 브라켓트(B)및 로드 또는 샤프트(R)양자를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또한 그 중간부(a)점에 전기한 브라켓트 자체에 부착된 조절나사를 배치하는 형식의 장치 도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체로된 중개체(S)를 한쪽이 원호상으로 만곡되고 다른 쪽이 록크레버(L)와 함께 추축핀(P)에 받혀지는 형상의 판스프링으로 형성하고 록크레버(L)하부의 원호부(L')로 판스프링(S)의 만곡부(S")를 배후에서 압압및 보강하도록 구성하고, 이 판스프링의 선단부(S')가 상기한 로드 또는 샤프트(R)에 설치한 긴홈(R')과 직접 맞물려 결합되도록 해서된 탄성체를 이용한 조절식 브라켓트 긴체장치.
KR2019810003166U 1976-10-29 1981-05-01 탄성체를 이용한 조절식 브라켓트 긴체장치 KR820000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3166U KR820000452Y1 (ko) 1976-10-29 1981-05-01 탄성체를 이용한 조절식 브라켓트 긴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60002694 1976-10-29
KR2019810003166U KR820000452Y1 (ko) 1976-10-29 1981-05-01 탄성체를 이용한 조절식 브라켓트 긴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60002694 Division 1976-10-29 1976-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452Y1 true KR820000452Y1 (ko) 1982-03-29

Family

ID=2662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3166U KR820000452Y1 (ko) 1976-10-29 1981-05-01 탄성체를 이용한 조절식 브라켓트 긴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4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4121A (en) Bat swing practice means
US3955241A (en) Cam operated spring biased counterbalance hinge mechanism for cabinet lid or the like
DE3518984C2 (ko)
US2733035A (en) Fine adjustments for dial indicators
NO123255B (ko)
GB1447261A (en)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seat
US4726253A (en) Torque counterbalancing mechanisms
JPS62182381A (ja) ドア−閉止装置
US1935246A (en) Staging clamp
DE102020200932A1 (de) Elektrische nagelpistole
KR820000452Y1 (ko) 탄성체를 이용한 조절식 브라켓트 긴체장치
US4338860A (en) Hinge and spacer apparatus
US2731865A (en) Predetermined torque release socket
US2432245A (en) Locking device for the seat posts of chairs
EP0586173B1 (en) A locking device
US3722316A (en) Overload prevention handle
US5340073A (en) Display supporting device
US4433878A (en) Self-aligning bearing assembly
CN110914782B (zh) 一种拨轮结构及控制设备
US3238900A (en) Balancing mechanisms for furniture
DE2702020C3 (de) Uhrwerk
DE973428C (de) Spannbandgelagertes drehbares Messsystem mit zwei durch Spannfedern vorgespannten Spannbaendern
JPS5932691B2 (ja) ダンセイタイオリヨウシタチヨウセツシキ ブラケツトキンテイソウチ
CN212177734U (zh) 一种拉伸弹簧
NO754320L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