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446B1 - 장난감 자동차 선로 부분품 - Google Patents

장난감 자동차 선로 부분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446B1
KR820000446B1 KR7702874A KR770002874A KR820000446B1 KR 820000446 B1 KR820000446 B1 KR 820000446B1 KR 7702874 A KR7702874 A KR 7702874A KR 770002874 A KR770002874 A KR 770002874A KR 820000446 B1 KR820000446 B1 KR 820000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projections
parts
adjacent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 니엘센 에드윈
카렐라 빈센트
Original Assignee
사무엘 엘 코오인
아이디얼 토이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무엘 엘 코오인, 아이디얼 토이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사무엘 엘 코오인
Priority to KR7702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9/00Model railways
    • A63H19/30Permanent way; Rails; Rail-joint connection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난감 자동차 선로 부분품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선로 부분품에 대한 사시도이며, 간략히 도시하기 위하여 폭에 비하여 길이를 상당히 짧게 표시했지만, 길이, 폭 또는 형태등의 상호관계는 다른 적당한 모양을 취할 수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선로 부분품의 부분 저면도이다.
제3a-3c도는 한 선로 부분품을 다른 선로 부분품에 연결하는 것을 표시하는 순서도이다.
제4도는 제3c도의 선 4-4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5도는 2개의 인접 선로 부분품 사이의 접합부분에서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장난감 자동차 놀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러한 놀이에 사용되는 선로 부분품(track section)에 관한 것이다.
장난감 자동차 놀이는 그 인기가 날로 늘어가고 있으며, 특히 선로의 표면에 있는 전도체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소형 장난감 자동차를 무한(endless) 선로 위에서 원거리 조종하는 놀이는 그 인기가 최근에 와서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놀이에 사용되는 선로는 단순한 타원형일 수도 있고 꼬임과 굴곡등 다양한 형태로 된 복잡한 모양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놀이에 사용되는 선로는 미리 조립된 형태의 단일 선로로 공급하는 것이 실용적인 것이 아니므로 제조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선로부분품을 제공하여 구매자가 원하는 대로 조립 및 분해하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저장 및 운반에 필요한 공간을 줄이고 또한 구매자가 보관하는 문제점도 줄이게 된다.
종래의 이러한 선로부분품은 끝과 끝을 조립하여 연속적인 노반표면을 완성하고 또한 장난감 자동차의 바닥에 장치된 브러쉬 또는 전류 콜렉터와 연속적인 전류접촉을 하도록 고안된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놀이를 만족할 만큼 운전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접한 선로부분품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그 이유는 전기회로가 연속적으로 유지되어야 운전자가 선로상에서 자동차의 속도를 조종할 수 있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자동차의 방향까지도 조종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선로배치에서는 인접 선로소재를 연결하기가 어려웠고, 따라서 한 선로부분품에서 다른 선로부분품으로 접촉 또는 전도체편을 배열하는 것이 잘못되어, 원하는 연속적인 전기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종래의 선로 배열중에는 선로부분품을 옆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연결을 완성하도록 된 것이 하나도 없다. 따라서 어린이나 연결시키기에 대단히 어려울 뿐 아니라, 인접한 선로 부분품을 서로 고정되도록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상호 연결용 돌출부 또는 꼬리부분이 조립 또는 분해작업중에 부서지게 된다. 이러한 선로 부분품에서는 접촉편의 끝이 단순히 뒤로 구부러져 있어서 인접한 선로 부분품 사이에 끝이 서로 맞닿게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접촉편의 끝이 이러한 관계에 있고, 또한 선로부분품을 상호 결합하기 위해서 선로부분품을 옆으로 밀어넣어야 하기 때문에, 선로의 끝에 있는 전도체편의 끝이 구부러지거나 부서져서 전체 선로 부분품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잦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선로 부분품을 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장난감 자동차 놀이용 선로 부분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길이 방향으로 간단히 밀어넣음으로써 인접선로 부분품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장난감 자동차 선로부분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접 선로부분품의 접촉편 사이에 확실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장난감 자동차 선로부분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 및 제조가 비교적 간단한 장난감 자동차 선로 부분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하는데 오래 견디고 제조하는데 경제적인 특성을 갖는 장난감 자동차 선로 부분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형태에서는 장난감 자동차의 인접한 선로 부분품을 길이 방향으로 간단히 밀어 넣음으로써 서로 연결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따라서 각 선로 부분품의 전기 전도체편은 인접선로 부분품의 전기 전도체편과 일열로 배열되어 확실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각 선로 부분품의 밑판은 성형 플라스틱과 같은 전기비전도 물질로 형성되고, 그 양단에는 여러 개의 돌출부 및 홈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출부 및 홈은 상호 보합적인 형상을 하고 있으며, 선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간단히 밀어 넣음으로써 서로 교합하여 연결된다.
여러 개의 전도체편이 선로부분품에 설치되어 각각 선로부분품 양단에 있는 돌출부 및 홈 사이로 연장된다.
이들 전도체편의 양단은 관련 돌출부 및 홈에 위치하여, 이에 연결되는 인접 선로부분품의 대응 전도체편과 맞닿게 된다. 홈 및 돌출부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정지장치가 형성되어 있어서 돌출부가 인접 선로부분품의 홈에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또한 각 접촉편의 적어도 한끝은 구부러져 있어서 스프링 접촉을 이루며, 이 스프링 접촉은 선로부분품을 조립할때 인접 선로부분품의 접촉편의 끝에 맞닿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잇점은 본 발명의 구체형태에 대한 다음 설명으로 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에는 장난감 자동차 경주 놀이에 사용하기에 알맞는 장난감 자동차 선로부분품(10)이 표시되어 있다. 선로부분품(10)에는 2개의 인접한 통로(12),(14)가 있어서 장난감 자동차가 이동할 수 있고, 옆벽(20),(22)에 의해 선로를 벗어나지 않게 되어 있다. 장난감 자동차 경주 놀이에서는, 장난감 자동차가 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원거리 조종장치에 의하여 운전자가 자동차를 한 통로에서 다른 통로로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이렇게 방향을 바꾸는 것은, 장난감 자동차가 선로를 따라 이동할때 장난감 자동차 내의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을 조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전류는 선로 내에 끼워져 있으며 전류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여러 개의 접촉편을 통하여 공급된다. 전류는 장난감 자동차 바닥에 있는 콜렉터로 수집되어 자동차의 전동기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러한 놀이에서는 선로의 전체 길이를 따라 각 선로부분품의 접촉편이 인접 선로부분품의 접촉편에 연속적으로 전기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렇게 해야만 전기공급회로가 끊기지 않고 연결되어 장난감 자동차에 일정한 전류가 공급된다.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 형태에서는 통로(12),(14)의 각각에 3개의 전기전도체 금속편(A),(B),(C)가 형성되어 있다. 양쪽 통로의 전도체편(A) 및 (B)는 서로 연결되어 놀이에 사용되는 2개의 장난감 자동차를 조종 및 전류 공급하도록 되어 있고, 전도체편(C)는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다. 이들 전도체편은 선로의 밑판(18)의 윗 표면에 형성된 길이 방향의 홈(16)에 얇은 금속편이 들어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밑판(18)은 플라스틱과 같은 전기비전도 물질로 형성된다.
홈(16)의 선로를 만들때 성형작업으로 표면(18)에 형성되며, 제2도의 거꾸로 본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들 홈(16)은 표면(18)의 아래로 연장되어 선로의 아랫표면에 형성된 보강재(24)에 박혀 있다. 이들 보강재(24)는 얇은 금속편을 수직으로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금속편이 홈(16)으로 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편을 절단하여 옆으로 구부린 부분(26)을 만들며, 따라서 금속편이 수직방향으로 당겨지면, 구부러진 부분(26)이 선로표면(18)의 바닥에 걸리게 되어 금속편이 수직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로부분품(10)의 밑판(18)에는 여러개의 돌출부(28)이 있고, 이들 돌출부는 쐐기 모양을 하고 있으며 끝이 무딘 단부(30)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밑판(18)에는 교합 홈(32)가 형성되어 있어서 인접 선로부분품의 쐐기 모양 돌출부를 받아들인다.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 형태에서는 선로의 각 통로마다 3개의 돌출부와 3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각 쌍의 홈 및 돌출부에는 1개의 전기 접촉편이 선로에 박혀 있다. 전기 접촉편과는 무관하게 더 많은 돌출부 및 홈을 원하는 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돌출부를 모두 선로의 한쪽에, 그리고 홈을 모두 선로의 다른쪽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돌출부(28) 및 홈(32)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교합면(34)(제3a도)가 있으며, 이를 따라 접촉편이 연결된다. 또한 홈 및 돌출부에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포켓트(36)이 있어서 각각 접촉편의 단부(38),(40)을 수용한다. 이들 포켓트는 길이방향표면(34)의 계단부분(42)를 형성하며, 조립상태에 있을때 이 계단부분과 플렌지(42a)는 제3c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열로 배열된다.
홈(32)에 설치된 전기 전도체편의 단부(38)은 평탄하고, 그 한쪽(38a)이 홈(32)에 노출되어 있다. 돌출부(28)의 전도체편의 축부(40a)는 반대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제3a-3c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 접촉편은 구부러져 있어서 스프링 접촉소자를 형성한다. 또한 여기에는 홈(44)가 형성되어 있어서, 인접 선로부분품에 있는 관련 홈(32)의 포켓트(36)의 플렌지(42a)를 수용한다.
본 발명의 선로부분품을 조립하려면, 돌출부(28)을 인접선로 부분품의 교합홈(32)와 일열로 배열하고 선로부분품들을 서로 길이방향으로 움직여서, 돌출부(28)이 홈(32)에 들어가게 한다. 이렇게 하면 돌출부 및 홈의 경사면(46),(48)이 서로 미끌어지며, 돌출부가 홈속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부를 약간 옆으로 이동시키면서 접촉편 단부(40)의 구부러진 부분(50)이 인접 선로부분품에 있는 관련 접촉편의 표면(38a)에 맞걸리게 된다. 이렇게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접촉편의 구부러진 부분(50)이 다른 접촉편에 연결되어 전기적 접촉이 잘 이루어진다.
돌출부(28)가 교합홈에 완전히 맞추어지면, 즉 인접선로부분품의 단부(52),(54)가 서로 맞닿으면, 돌출부에 있는 접촉편의 구부러진 부분(50)은 인접 선로부분품의 홈에 있는 접촉편에 맞닿아서 전기접촉이 잘 이루어진다. 돌출부 및 홈에 계단부분(36)이 있고 또한 플레인지(42a)가 스프링의 홈(44)에 들어맞기 때문에, 선로부분품이 서로 떨어지려는데 대한 탄성적 저항이 발생하고, 따라서 분해작업을 하기 이전에는 선로부분품이 제자리에 단단히 고정된다. 그러나 인접 선로 부분품이 서로 떨어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돌출부 및 관련홈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정지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체형태에서는 홈(32)중 한쪽 안내벽(46)에 정지장치(56)이 반원통형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정지장치(56)은 관련돌출부(28)의 벽(48)에 있는 교합하는 반원통형 홈속에 들어맞게 되어 있다. 돌출부 및 밑판(18)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물질이 탄성이 있기 때문에, 돌출부(28)은 정지장치(56)을 지나 홈(32)에 쉽게 들어가며, 정지장치와 홈이 맞닿으면 밖으로 빠져나오는데 대한 더 큰 저항력이 생긴다. 그러나 선로부분품을 손으로 당기면 이 저항력은 쉽게 극복된다. 이 저항력의 목적은 놀이 도중에 선로부분품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돌출부(28)안에 들어 있는 접촉편의 구부러진 단부(40a)는 그 높이가 접촉편의 나머지 부분의 높이에 비하여 낮다(제1,4 및 5도). 단부(40a)의 주부의 높이는 관련 돌출부(28)의 윗면(49)와 대체로 동일 평면상에 오도록 되어 있으며, 구부러진 부분(50)은 단부(40a)의 짧은 부분으로 부터 선로표면(18) 근처의 접촉편의 전체높이로 경사져 있다.
접촉편의 단부(40a)가 이런 형상을 하고 있고 또한 돌출부(28)의 윗 표면(49)가 표면(18)보다 약간 아래에 오도록 되어 있으므로, 선로부분품이 잘못 연결되어도 접촉편의 단부가 교합홈(32)에 있는 접촉편의 단부(38) 위로 연장되지 않는다. 즉 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선로 부분품이 놓인 표면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또는 선로가 구부러짐에 따라 선로부분품 사이에 각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접 접촉편의 단부(38),(40a)의 윗면이 한쌍의 연결선로 부분품에 놓이는 평면은 서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만일에 접촉편의 단부(40a)가 접촉편의 나머지 부분과 같은 높이를 하고 있다면, 단부(40a)는 접촉편 단부(38)의 위로 나올 것이며, 따라서 장난감 자동차가 선로를 따라 제5도의 화살표(X) 방향으로 이동할 때 장해물이 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는 이유는 돌출부(28)의 단부(40)이 홈(32)에 있는 접촉편 단부(38)의 맨 끝보다 선로부분품의 아랫 가장자리에 있는 회전점(52)로 부터 더 멀기 때문이다. 그러나 접촉편 단부(40a) 및 돌출부(28)의 높이를 상술한 바와 같이 낮게 함으로써 인접선로 부분품 사이에 원활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5도에서 선로부분품은 연결점에서 위로 기울어져 있으며, 따라서 점(52)에서 아랫가장자리 주위로 회전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선로부분품이 점(52)에서 아래로 회전되어 있다면 돌출부(28)은 교합 홈내에서 단순히 아래로 연장될 것이다. 왜냐하면 홈의 깊이가 돌출부의 높이보다 크기 때문이다(제4도). 결국 평탄한 연결이 다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돌출부 및 접촉편 단부의 형상때문에 선로 부분품은 어느정도 서로 잠그어지며, 이러한 잠금은 정지장치 및 홈(56),(58)에 의해 더욱 보강된다. 따라서 선로부분품들을 옆으로 움직이거나 서로 비틀지 않고도 신속하고 쉽게 서로 연결할 수 있고 또한 인접 접촉편 사이에 전기 접촉도 확실히 이룰 수 있다. 더우기 접촉편 단부는 관련 포켓트로 보호되어 있어서, 선로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구부러지거나 상하는 일이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은, 접촉편 단부가 유리된 채 노출되어 있어서 조립작업중에 상하기 쉬웠던 종래의 선로 부분품에 비하여 우수한 특성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구체형태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 구체형태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 및 개량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기 비전도 물질로 된 밑판(18)과 양단부 그리고 자동차가 이동할 수 있는 선로 표면등이 포함되어 있고, 유사한 선로부분품과 함께 사용하여 서로 연결된 선로를 형성하는 장난감 자동차 선로부분품에 있어서, 상기 선로부분품의 한쪽 단부에는 쐐기 모양의 돌출부(28)가 여러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윗면은 상기 선로 표면이 이루는 평면보다 낮은 평면내에 놓이고, 상기 선로부분품의 다른쪽 단부에는 쐐기모양의 홈(32)이 선로 표면에 여러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의 각각은 선로 표면에서 트여 있으며 또한 선로부분품의 단부에서도 트여있고, 따라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홈의 단부를 통하여 삽입하면 상기 홈은 인접 선로부분품의 상기 돌출부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홈 및 돌출부는 상호 교합하도록 되어 있어서 돌출부가 인접선로 부분품의 홈으로 부터 길이방향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연결된 선로 부분품들이 그 인접 단부 주위로 서로 회전할 때는 선로표면위에 아무런 장애물도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자동차 선로 부분품.
KR7702874A 1977-12-09 1977-12-09 장난감 자동차 선로 부분품 KR820000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874A KR820000446B1 (ko) 1977-12-09 1977-12-09 장난감 자동차 선로 부분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874A KR820000446B1 (ko) 1977-12-09 1977-12-09 장난감 자동차 선로 부분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446B1 true KR820000446B1 (ko) 1982-04-03

Family

ID=19205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874A KR820000446B1 (ko) 1977-12-09 1977-12-09 장난감 자동차 선로 부분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86B1 (ko) * 2006-10-30 2008-01-21 조동현 라인 트레이스 로봇용 트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86B1 (ko) * 2006-10-30 2008-01-21 조동현 라인 트레이스 로봇용 트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6695A (en) Toy vehicle track
US4392705A (e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system
US4066211A (en) Model track section
KR950009902B1 (ko) 전기 커넥터
US3744009A (en) Pcb surface connector
JPS62500480A (ja) 二重列電気コネクタ−
US3414194A (en) Racing track
US4082220A (en) Model roadway track construction
US20150079853A1 (en) Electrical connector
US4228376A (en) Brush device
US4007977A (en) Electrical connector
US2853689A (en) Printed circuit contact receptacle
WO1996009867A1 (en) A constructional building set having an electric conductor
US4150789A (en) Connection device for toy vehicle tracks
KR820000446B1 (ko) 장난감 자동차 선로 부분품
KR100492804B1 (ko) 기다란 가요성 전기 도체
US4081133A (en) Toy track section with electrical connector safety means
US6398120B1 (en) Model railroad electric tubular snap-together track
JPS62178471U (ko)
US3000573A (en) Track for electrical toy vehicle
US4046444A (en) Connector for use with printed wiring circuits
GB2055593A (en) Toy vehicle tracks
JPH0218890Y2 (ko)
US6224416B1 (en) Insulator-displacement type connector
US6191373B1 (en) Dial programming swi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