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386Y1 - 선반용 지지각 - Google Patents

선반용 지지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386Y1
KR820000386Y1 KR2019810002994U KR810002994U KR820000386Y1 KR 820000386 Y1 KR820000386 Y1 KR 820000386Y1 KR 2019810002994 U KR2019810002994 U KR 2019810002994U KR 810002994 U KR810002994 U KR 810002994U KR 820000386 Y1 KR820000386 Y1 KR 820000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bolt
support angle
center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2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집호
Original Assignee
금영실업주식회사
신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영실업주식회사, 신집호 filed Critical 금영실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10002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3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3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반용 지지각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면,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두부를 상향 절곡하여 협지부를 형성하고 하부를 확개하여 고정편을 형성한 호형만곡된 지지각 본체에 사방이 만곡된 협지판을 보울트로서 체결한 선반용 지지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반은 선반자체가 주로 판상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ㄱ자형으로 절곡된 지지각을 보울트로서 쉽게 체결할 수가 있었으나 근래에 와서는 제작이 용이하고 통풍이 잘되는 다수개의 종, 횡봉으로 형성된 선반이 많이 사용되는 바 이는 종래의 단순한 ㄱ자형지지각으로는 선반의 세봉에 보울트로서 체결할 수가 없으므로 별도의 지주를 사용하게 되므로 제작이 불편하고 가격이 고가인 결점등이 있었든 바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시정하여 보울트 하나로서 간편히 지지각과 선반을 체결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 하 단턱(3)(3')을 형성한 협지부(2)를 상향절곡하여 중앙에 보울트공(4)을 천설하고 하부를 확개하여 고정편(5)을 형성한 단면이 ∨형이며 호형만곡 된 지지각 본체(1)의 협지부(2)에, 중앙에 통공(7)을 천설하고 사방에 만곡부(6a)를 형성한 협지판(6)을 보울트(8)로서 체결하여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9)(9')(9")은 선반(11)의 횡봉이며 (10)은 종봉, (12)은 고정금구, (13)은 취부용 보울트, (14)은 벽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선반(11)을 부착할때는 공지의 고정금구(12)로 선반(11)의 후측횡봉(9)을 먼저 보울트(13)로 고정시킨후 선단이 하향절곡된 선반(11)의 상, 하 횡봉(9')(9")에 선반(11)의 후측으로부터 지지각 본체(1) 선단협지부(2)의 상. 하 단턱(3)(3')을 결합시킨뒤 선반(11)의 전방으로부터 협지편(6)을 감합하여 보울트(8)로서 체결한다음 하부고정편(5)을 보울트(13)로서 벽에 부착시키면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협지판(6) 상. 하. 좌 우의 만곡부(6a)가 선반의 종. 횡봉(10)(9')(9")을 완전히 협지하므로 사용 중 선반의 요동이 없으며 보울트 하나로서 선박과 지지각을 체결하므로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 하 단턱(3)(3')을 형성한 협지부(2)를 상향절곡하여 중앙에 보울트공(4)을 천설하고 하부에 고정편(5)을 형성한 단면이 V형이며 호형만곡된 지지각본체(1)의 협지부(2)에, 중앙에 통공(7)을 천설하고 사방에 만곡부(6a)를 형성한 협지판(6)을 보울트(8)로서 체결하여서 된 선반용 지지각.
KR2019810002994U 1981-04-27 1981-04-27 선반용 지지각 KR820000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2994U KR820000386Y1 (ko) 1981-04-27 1981-04-27 선반용 지지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2994U KR820000386Y1 (ko) 1981-04-27 1981-04-27 선반용 지지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386Y1 true KR820000386Y1 (ko) 1982-03-27

Family

ID=1922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2994U KR820000386Y1 (ko) 1981-04-27 1981-04-27 선반용 지지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3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20000386Y1 (ko) 선반용 지지각
JPS6326490Y2 (ko)
KR820000387Y1 (ko) 선반용 지지각
JPH0119880Y2 (ko)
JPS5832485Y2 (ja) チヤンネル型支柱の取付装置
JPH03101711U (ko)
KR900003593Y1 (ko) 조립식 컴퓨터 테이블
JPS6352446U (ko)
JPS5829720U (ja) 間仕切パネル装置
JPS6140949U (ja) 棚板用柵
JPS62153964U (ko)
JPS6197957U (ko)
KR930003877Y1 (ko) 간막이용 판재의 연결구
JPH0124252Y2 (ko)
KR800000140Y1 (ko) 조립식 학교용 걸상
JPS5932784Y2 (ja) 機械器具台
JPH0232548U (ko)
KR840003721A (ko) 커어튼 월(Curtain Wall)의 섀시(Sash) 부착장치
JPS6330526U (ko)
JPH0449888Y2 (ko)
JP2532185Y2 (ja) タイヤ用陳列什器
JPS59116690U (ja) 組立式スタンド
JPH01134104U (ko)
JPS6111400Y2 (ko)
JPH02786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