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207B1 - 시간 교정 수평 편향 회로 - Google Patents

시간 교정 수평 편향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207B1
KR820000207B1 KR7702687A KR770002687A KR820000207B1 KR 820000207 B1 KR820000207 B1 KR 820000207B1 KR 7702687 A KR7702687 A KR 7702687A KR 770002687 A KR770002687 A KR 770002687A KR 820000207 B1 KR820000207 B1 KR 820000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upled
circuit
transistor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암 네로 레로이
웨게네 훼른슬러 로날드
Original Assignee
에드워드 제이. 노오톤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드 제이. 노오톤,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에드워드 제이. 노오톤
Priority to KR7702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4Deflection circuits ; 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간 교정 수평 편향 회로
제 1 도는 본 발명을 사용하는 수평편향회로도.
제 2a 도는 내지 제 2d 도는 제 1 도의 회로와 관련된 파형도.
본 발명은 텔레비죤 수상기내의 수평편향회로에 관한 것이다.
표시될 영상을 나타내는 비디오신호는 음극선관의 스크린상에 표시되도록 텔레비죤 수상기에 의하여 처리된다. 합성비디오신호는 표시될 영상을 나타내는 신호를 포함하며 비디오신호의 소거부분시에 이중으로 겹치는 동기펄스 형태로 있는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비디오정보는 라스터를 형성하기 위해 수평 및 수직으로 편향된 하나 이상의 전자비임의 변조를 통해 CRT 스크린위에 표시된다. 전자비임의 수평편향은 수평편향권선내에서 선형톱니파 수평편향전류를 발생하므로서 이루워진다. 수평주사선의 중심점은 스크린의 수평중앙과 일치한다. 이 중심점은 항성 편향전류가 영(zero)일 때 발생한다.
여러가지의 라스터 의곡(distortions)은 전자 비임에 가속전위를 공급하는 고전압회로의 과대 비디오 부하상태 하에서 초래된다.
블루밍(blooming : 촛점번짐)이라고 알려진 의곡은 과대 비디오 부하순간동안 고전압의 감소에 의해 라스터의 크기가 대칭적으로 변하게 한다. 블루밍에 의하여 야기된 라스터 폭의 증가는 과부하시 B+전압을 감소시키므로서 오프셋트될 수 있다.
B+전압은 톱니파주사전류를 제공하도록 수평편향 권선용 구동전압으로써 사용된다. B+전압이 감소하면 블루밍을 보상하기 위해 공급되는 피크-투-피크(peak to peak)주사전류가 감소하게 된다.
다른 라스터 의곡은 과대 비디오부하시에 평균수평 편향전류가 전이되는 경우에 생길 수 있다. 제이.이코마(J. Ikoma)에게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 3,959,689호에 의하여 알려진 바와 같이, 고전압회로의 비디오부하는 수평출력트랜스포머에 의하여 수평편향 권선의 귀선펄스로부터 고전압회로까지 연결되어 에너지가 더 커지게 한다. 이것은 라스터의 수평주사선이 음극선관 스크린에 관련해서 전이되는 것과 같은 라스터자체의 의곡과 평균 수평편향전류의 전이를 야기시킨다. 평균 수평편향전류의 것과 비슷한 전압은 전자비임전류를 샘플링(sampling)하므로서 얻어진다. 이 전압은 의곡을 보상하는 방법으로 발진기주파수를 바꾸기 위해서 수평발진기에 연결된다.
또 다른 라스터 의곡은 지. 스트라차나우(G.strachanow)에게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3,426,244호에 기재되어 있다. 과대 비디오부하는 확장된 귀선펄스가 위상 검파기의 위상 변별기 다이오드에 비교펄스로서 연결되게 한다. 위상검파기는 수평선의 전이와 영상표시의 의곡을 야기시키는 수평발진기주파수를 변화시키기 위한 오차전압을 발생함으로서 귀선펄스의 증가된 폭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게 응답한다. 수평출력 트랜지스터를 통하는 전류를 샘플링하므로서 얻어진 보상전압은 저항 양단에 나타나고 위상변별기 다이오드의 접합부에 연결되어 오차전압을 없애고 의곡을 교정한다.
또 다른 라스터 의곡은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 접합부가 역바이어스된 후에 이 수평출력 트랜지스터의 차단시의 축적시간지연의 변동에 의해 발생되어 귀선기간의 초기를 변동시킨다. 이 변동 때문에, 편향전류는 동기펄스와 더 이상 동기되지 않으며, 비디오 정보는 라스터의 각 주사선의 적당한 위치에 더 이상 표시되지 않으므로, 의곡된 표시를 하게 된다.
이 의곡을 조성하기 위한 한 방법은 피. 제이. 애취. 잔센 (P . J . H. Janssen)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3,891,80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 2 위상비교기내에 동기펄스와 동기된 발진기의 출력신호와 귀선펄스를 함께 연결하는 것이다. 제2위상 비교기의 출력은 의곡된 표시를 보상하도록 수평발진기의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한 오차전압으로서 공급된다. 두 위상비교기와 두 발진기는 이와 같은 교정회로에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편향회로는 편향권선, 편향전류와 귀선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출력 편향회로,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발진기와 구동장치, 인입동기신호와 편향전류를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회로, 및 동기회로에 의하여 조정되지 않은 귀선의 초기변동을 교정하는 교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교정회로로 구성된다. 이 교정회로는 귀선펄스에 응답하여 톱니파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회로와 톱니파전압의 피이크전압 익스커션(excursion)동안 전압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피이크 분리기로 구성된다. 이 전압펄스는 교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기회로와 발진기에 연결된다.
제 1 도에서, 도시하지 않은 동기분리기로부터 얻어지고 주파수가
Figure kpo00001
인정(正)의 수평동기펄스 101은 수평편향회로 20의 종래의 자동위상주파수제어(APFC)회로 30의 한쌍의 위상변별 다이오드 22와 23의 애노드에 캐패시터 21을 통하여 단자 A에서 결합된다. 수평출력트랜스포머 24의 2차 권선 24b에서 발생된 정행(positive-going) 수평귀선펄스 102는 단자 B에 결합되어 있다.
캐패시터 25 및 26과 저항 27로 구성된 적분회로는 단자 B에 결합된다. 귀선펄스 102는 캐패시터 26과 저항 27의 접합부에서 톱니파전압 103으로서 나타난다. 이 톱니파 전압은 캐패시터 28과 29에 의해서 각각 다이오드 22의 캐소드와 다이오드 23의 애노드에 결합된다.
한쌍의 부하저항 31과 32는 다이오드 22와 23 양단에 결합된다. 저항 33내지 35로 구성되는 전압분배기회로는 +22볼트 공급전원과 접지 사이에 결합된다. 저항 34와 35의 접합부에 나타나는 직류전압은 캐패시터 36과 37 및 저항 38과 39에 의해서 다이오드 22와 23에 직류 기준레벨을 제공한다.
만약 귀선펄스 102가 동기펄스 101과 동기되지 않는다면, 순교류전압이 캐패시터 28과 다이오드 22의 캐소드의 접합부에 결합된 단자 C에 나타난다. 이 교류 전압은 각각 단자 D와 저항 43의 각 단자에 결합된 캐패시터 42를 포함하고 입력단자 D와 캐패시터 37의 각 단자에 결합된 저항 41을 포함하는 필터 (filter)회로에 의해 완만해진다. 단자 E는 캐패시터 42와 저항 43의 접합부를 형성한다.
단자 D에 나타나는 이 완만한 전압은 전압제어 발진기 40의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으로서 작용한다. 필터회로의 RC시정수는 보통 수평주파수
Figure kpo00002
에 대해 비교적 크도록 선택된다. 이와 같이 선택하므로서, 잡음펄스나 다른 의사신호가 발진기주파수를 너무 이르거나 너무 늦게 변화시키지 못하게 한다.
발진기 40은 토드 제이. 크리스토퍼(Todd. J. Christopher)에게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3,611,176호에 기록된 것과 비슷하므로, 이 발진기의 작동을 간단하게 기술하겠다. 상부 트리거전압 V2는 전압분배저항 33내지 35에 의해 단자 F에 나타난다. 단자 F는 캐패시터 44와 저항 45의 직렬필터에 의해서 접지에 결합된다. 단자 F는 스위칭트랜지스터 46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46의 에미터는 트리거트랜지스터 44의 에미터에 결합되고, 콜렉터는 반전트랜지스 48의 베이스에 결합되며 저항 49와 52을 통해 +22볼트 공급전원에 결합된다. 적분캐패시터 52는 트랜지스터 48의 베이스와 콜렉터의 양단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48의 에미터와 바이패스 캐패시터 53은 저항 49와 캐패시터 53의 접합부에서 트랜지스터 47의 콜렉터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48의 콜렉터는 저항 54를 통해 단자 F에 결합되며 저항 56과 캐패시터 57의 직렬회로에 병렬로 되어 있는 저항 55로 구성되는 접지되어 있는 적분회로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47의 베이스는 저항 56과 캐패시터 57의 접합부에 결합되며, 콜렉터는 저항 58을 통해 단자 E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47의 에미터는 저항 99를 통해 접지된다.
상부 트리거전압 V2에 나타나는 단자 F의 전압으로서, 트랜지스터 46이 도통되며 순방향바이어스 트랜지스터 48이 도전상태로 된다. 캐패시터 57은 V2전압레벨로 충전되며 +22볼트 공급전원으로부터 저항 51, 트랜지스터 48, 저항 56을 통해 캐패시터 57에 전류가 흐른다. 캐패시터 57이 V2로 충전될 때, 트리거 트랜지스터 47은 순방향 바이어스되어 도전상태로 되고 동시에 트랜지스터 46과 48은 차단된다. 새로운 하단부 트리거전압 V1은 단자 F에서 나타난다.
캐패시터 57은 저항 55와 56을 통해 접지로 방전하기 시작한다. 트랜지스터 47의 에미터에 나타난 전압이 V1-Vbe이므로, 트랜지스터 47은 캐패시터 57이 하부트리거전압 V1으로 방전했을 때 동작하지 않게 된다. 트랜지스터 46이 도전상태로 되면, 트랜지스터48이 동작되며 단자 F에서 상부트리거 전압 V2가 다시 나타나므로, 완전한 하나의 발진기 싸이클이 된다.
정확한 발진기 주파수는 각각 트랜지스터 46의 콜렉터와 에미터에 결합된 콜렉터와 에미터를 갖고 있는 트랜지스터 59에 의해 제어된다. 트랜지스터 59의 베이스는 입력단자 D에 결합된다. 단자 D의 전압은 트리거 트랜지스터 47이 동작하지 못하게 하는 하부트리거 전압 V1을 나타낸다. 자동주파수 위상제어회로 30은 수평출력 트랜스포머 24에 의해 발생된 귀선펄스를 입력동기펄스에 동기시키기 위해서 하부트리거 전압을 변화시키는 단자 D에 제어전압을 공급한다.
트랜지스터 48의 콜렉터는 버퍼(blffer:완충) 트랜지스터 61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61의 에미터는 저항 76을 통해 구동회로 50의 구동트랜지스터 62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61의 에미터는 또한 저항 63과 64를 통해 접지된다. 트랜지스터 61의 콜렉터는 저항 65를 통해 +27볼트 공급전원에 결합되며 바이패스 캐패시터 66에도 결합된다. 캐패시터 67은 트랜지스터 62의 베이스와 저항 63과 64의 접합부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62의 콜렉터는 구동트랜스포머 68의 1차 권선 68a의 일단에 결합된다. 1차권선 68a의 타단은 필터소자 69 내지 72를 통해 접지된다. 저항 71과 캐패시터 72의 접합부는 +27볼트 공급전원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62의 콜렉터와 에미터 양단에는 직렬결합저항 74와 캐패시터 75, 및 캐패시터 73으로 구성되는 펄스 형성(型成) 및 댐핑회로가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48이 동작하지 않을 때, 트랜지스터 61은 동작하지 않게 되고 트랜지스터 62도 동작하지 않게 된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권선극성으로, 정(正)의 동작전압구동신호는 구동트랜스포머 68의 2차선권 68b에서 발생된다. 2차권선 68b의 일단은 저항 77과 인덕터 78을 통해 출력편향회로 60의 출력 트랜지스터 79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권선 68b의 타단은 트랜지스터 79의 에미터와 접지에 결합된다. 저항 81과 캐패시터 82는 트랜지스터 79의 베이스와 에미터 양단에 결합된다.
댐퍼 다이오드 83, 귀선 캐패시터 84, 및 직렬 결합된 수평편향권선 85와 "S"형 캐패시터 86은 트랜지스터 79의 콜렉터와 에미터 양단에 결합된다.
상세하게 +107볼트로 표시한 B+편향전압은 단자 G에서 얻어지고 인덕터 87과 캐패시터 88의 고전압동조회로를 통해 편향권선 85에 결합되며 수평출력트랜스포머 24의 1차권선 24a를 통해서 결합된다. B+전압은 편향권선 85에서 소인선(frace)전류 104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단자 L-L에서의 교류선전압은 출력이 B+전압인 조절된 직류공급전원회로 89에 결합된다.
정의 동작신호는 각 편향싸이클의 소인선기간의 중심 가까이에 있는 2차 권선 68b에서 발생된다. 트랜지스터 79가 작동하면 소인선전류가 도통한다. 소인선의 종단을 향해, 트랜지스터 48이 동작하지 않게 되면, 트랜지스터 61과 62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부(-)의 동작중지전압구동신호는 트랜지스터 79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소자 77, 78, 81, 82는 출력트랜지스터 79를 신속하게 차단시키고 정해진 시간보다 이른게 트랜지스터 79를 동작시키거나 동작하지 않게 하는 동작중지신호에서 링잉(ringing)성분이 발생되지 못하도록 작용한다.
비록 트랜지스터 79의 베이스-에미터 접합부가 역바이어스 되었다 하더라도, 베이스전류는 역바이어스 신호를 인가할 때 즉시 0(zero)로 낮아지지는 않는다. 그대신, 열베이스전류는 유효기간에 나타난다. 이 역전류는 포화상태로 동작하는 동안 트랜지스터 79의 베이스영역에 축적된 전하에 의해 발생된다. 전류는 축적된 전하가 베이스-콜렉터 접합부를 지나갈 때까지 콜렉터속과 베이스 밖으로 흐른다.
과대하게 축적된 전하가 이동되면, 역전류는 영(zero)으로 감소되며, 출력트랜지스터 79의 콜렉터 전압은 증가하기 시작하므로, 귀선기간을 시작하게 된다. 자동주파수 위상제어회로 30은 입력수평동기펄스 101이 귀선기간내에 집중되는 형태로 발진기 40의 위상을 정상적으로 동기시키므로 적당한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귀선기간동안, 트랜지스터 79가 도통되지 않으므로, 편향권선 85와 캐패시터 84는 1/2싸이클 동안 동작하는 공진회로를 형성하고, 편향전류 104는 역방향으로 된다. 정의 귀선펄스 105는 1차 권선 24a에서 발생되며 수평출력트랜스포머 24의 3차 권선 24c를 통해 고전압회로 91에 결합된다. 고전압회로 91은 도시하지 않은 음극선관의 고압단자에 단자 H에서 고전압을 제공한다.
댐퍼 다이오드 83은 권선 85와 캐패시터 83으로 구성된 공진회로의 부의 1/2싸이클에서 순방향바이어스되어, 귀선기간을 끝내고, 소인선기간의 제1부분동안 전류를 도통시킨다.
비디오 과부하시에 공급전원 89는 단자 G에서 적당한 B+전압을 공급할 수 없다. B+전압내의 변동은 처음에 대략 B+전압에 비례하는 편향권선 85를 통하는 피크-투-피크(peak to peak) 편향전류가 변하게 한다. B+전압내의 모든 변동은 소인선기간의 끝을 향한 출력트랜지스터 79의 콜렉터를 통하는 피크전류와 편행 권선 85를 통하는 피크전류가 변하게 한다.
축적시간지연량은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전류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소인선의 끝을 향한 콜렉터전류내의 변동은 축적시간지연이 변하게 한다. 축적시간지연내의 변동은 수평동기펄소의 예정된 도착 순간에 관련하여 귀선 및 소인선기간의 시작시기가 변하게 한다. 의곡영상을 표시하는 이러한 시간오차는 자동주파수위상제어회로 30의 응답 주파수보다 더 큰 주파수에서 생긴다. 필터소자 37과 41 내지 43은 발진기 40의 입력단자 D로부터 자동 주파수위상제어회로 30의 고주파수전압을 통과시킨다. 자동 주파수위상제어회로 30의 응답 주파수가 증가하면 바람직하지 못하게 되어, 의사 잡음신호와 과도현상이 트리거제어트랜지스터64와 트리거트랜지스터 63을 바람직하지 못하게 한다.
교정회로 70은 자동 주파수 위상제어회로 30에 의해 보상되지 않은 귀선기간의 초기시에 이 변동들을 교정하기 위해 발진기 40에 교정전압신호를 제공한다. 교정회로 70은 결합캐패시터 92를 통해 발진기회로 40의 단자 E에 결합된 출력단을 갖고 있다. 제 2a 도의 시간 T1에서, 트리거트랜지스터 47의 베이소에서의 전압은 하부트리거전압 V1으로 감소되어 이 트랜지스터가 차단되게 한다. 축적시간이 지연되기 때문에 수평귀선은 시간 T2까지 동작하지 않는다. 수평출력 트랜스포머 24의 2차 권선 24d에서 발생된 부행(ne-gative going)수평귀선펄소 106은 저항 93과 캐패시터 94를 포함하는 적분회로에 결합된다.
제 2a 도와 제 2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U1에서 -U2로 감소하는 부행귀선펄소 106은 기간 T2-T4동안 +U1에서 -U3로 감소하는 캐패시터 94양단에 부행톱니파전압 107을 공급하는 저항 93과 캐패시터 94에 의해 적분된다. 전류는 캐패시터 94 및 저항 93을 통해서 접지로부터 흐르고 2차 권선 24d를 통해 접지로 다시 흐른다. 소인선기간 T4-T7동안에, 캐패시터 94양단의 전압은 정행톱니파이다.
캐패시터 95와 저항 96은 캐패시터 94양단에 직렬로 결합되어 있다. 다이오드 97의 캐소드는 캐패시터 95와 저항 96의 접합부에 결합된다.
저항 98의 일단은 다이오드 97의 애노드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접지에 연결된다. 결합캐패시터 92의 일단은 저항 98과 다이오드 97의 접합부에 결합되며, 타단은 단자 E에 결합된다.
저항96의 저항성은 저항 98의 저항성보다 훨씬 더 크게 선택된다. 소자 95 내지 98은 제 2b 도와 제 2c 도에 도시된 파형으로 동작하는 피크분리기회로를 형성한다. 텔레비존 수상기에 전력이 공급되기 전에, 캐패시터 95는 충전되지 않는다. 전력이 공급된 후에 캐패시터 95는 부행귀선펄소 106에 의한 귀선기간동안 부(-)로 충전되기 시작한다. 전류는 접지를 통해서 2차권선 24d로부터 흐르고, 저항 98, 다이오드 97, 캐패서터 95, 저항 93을 통해서 2차권선 24d로 다시 흐른다. 소인선기간이 계속되는 동안, 캐패시터 95는 약간만 방전한다. 왜냐하면 이것은 저항 96의 고저항성을 통해서만 방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캐패시터 95는 캐패시터 94가 각 귀선기간의 종단에서 충전한 부(-)의 피크전압 -U3부근으로 충전한다.
시간 T3에서, 부행 톱니파 107은 캐패시터 95 양단전압을 서서히 방전하고 있는 것과 같은 -U4값에 도달한다. 캐패시터 94는 더 부(-)로 충전되기 때문에, 다이오드 97은 순방향 바이어소되고 도전 상태로 된다. 캐패시터 95는 방전을 중지하고 제 2b 도에 파형부분 108a로 도시한 바와같이 귀선펄소 106에 의하여 부(-)로 충전되기 시작한다. 전류는 접지로부터 저항 98, 다이오드 97, 캐패시터 95, 저항 93과 2차 권선 24b를 통해 다시 접지로 흐른다.
톱니파전압 107의 방전부분동안 캐패시터 95는 시간 T5까지 부(-)로 충전을 계속한다. 시간 T5에서 캐패시터 94양단의 전압은 부(-)로 충전하는 것을 중지하고 제 2b 도에 파형부분 108b로 도시한 바와같이 싸이클이 반복될 때 시간 T8까지 저항 96을 통해 서서히 방전되기 시작한다. 기간 T3-T5동안 캐패시터 95가 충전하므로 전류는 저항 96을 통해서 흐른다. 제 2c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항 98양단의 전압은 시간 T4주위에서 생기는 부전압펄소 109이다. 이 시간에 톱니파전압 107은 부(-)의 피크값에 도달한다.
부전압펄스 109는 결합 캐패시터 92에 의해서 수평발진기 40의 단자 E에 교류로 결합된다. 부펄소 109는 제 2d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평발진기 40용 고정신호 110으로 변형된다. 교정신호 100의 부(-)부분은 대략 시간 T3-T-5부터 부(-)펄소부분 110a로서 나타내고 부행으로 나타나지만 T5-T8부터는 정(+)의 값을 가진 톱니파전압부분 110b로서 나타난다.
시간 T6에서 단자 E에서의 교정전압 Vc는 하부트리거전압 V1를 형성하도록 결합캐패시터 42를 통해 입력단자 D에 있는 전압에 더해진다. 그러므로, 트리거트랜지스터 47의 베이소에서의 전압이 그의 하부트리거 전압 V1에 접근하는 때인 시간 T6에서 교정전압 110이 변하면 발진기 40의 주파수가 변하게 된다.
트리거트랜지스터 47이 차단될 때 시간 T6부근에서의 교정전압 110의 값은 정확한 차단순간을 결정한다. 입력동기펄소에 관련된 귀선기간의 시작시기변화는 축적시간지연변화로 인한 것과 같이 시간 T6이 부근에서 교정전압이 변하게 한다. 교정전압이 변하면 귀선기간 시작시기가 변하는 것을 충분히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트리거트랜지스터 47 의 연속편향싸이클이 차단되는 순간이 변하게 된다.
제 2a 도의 시간 T9에 의해, 고전압회로 91의 충분한 비디오부하는 귀선기간의 초기에 축적시간지연이 증가되게 한다. 트리거트랜지스터 47이 시간 T9에서 차단되면, 귀선펄소 106은 작은 비디오부하이기 때문에 시간 T10에서 시작하지 않고, 시간 T11후에 시작한다. 그 다음의 연속편향싸이클에서 트리거트랜지스터 47의 베이소에 나타나는 전압이 그의 하부트리거전압에 도달하는 순간은 시간 T12이다. 그러나 증가된 축적시간지연 때문에, 교정전압 110의 부행톱니파부분 110b는 대응하는 초기순간 T9와 전압 Vc보다 ΔVc만큼 더 큰 전압 V'c로 있다. 제어전압내의 증가는 동작시에 다수의 편향싸이클 후에 입력동기 펄스로서 귀선기간을 재동시키도록 발진 주파수가 증가되게 한다.
교정회로 70에 의해 공급된 증가교정전압 ΔVc는 회로 파라메터의 설계 선택에 따른다. 신속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회로파라메터는 비교적 예민하게 변하는 ΔVc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트리거트랜지스터 47의 차단은 입력단자 D에서의 하부트리거전압값에 매우 민감하다. 대표적으로 하기에 작성한 값을 가진 회로로 구성된 발진기에서는 하부트리거전압 V1이 단지 수십분의 1볼트 정도만 변해도 수 마이크로초(μsec)의 시간이 변한다. 그러므로 증가교정전압 ΔVc는 크게 할 필요가 없다.
교정회로 70은 밀폐된 루프(loop) 위상비교 발진기 시스템이 오버슈트(over shoot)점으로 떨어지는 것처럼 크게 떨어지지는 않는다.
교정회로 70에 의한 과대교정은 회로 70에 의해 인가된 모든 교정전압을 크게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질적으로 적어지게 되고, 교정전압은 만족한 교정을 하기 위해 크게 변할 필요가 없다.
다수의 중요한 희로소자들의 값은 다음 표에 기록되어 있다.
[표]
Figure kpo00003

Claims (1)

  1. 편향권선(85)과, 상기 편향권선에 결합되고 귀선신호(106)를 발생하는 장치(24d)를 포함하는 출력 편향 장치(60)와, 상기 출력편향장치 (60)에 결합된 발진기(40)와 구동기장치(50) 및, 상기 발진기(40)와 구동기장치(50)에 결합된 동기장치(30)와, 발진기(40)와 구동기장치 (50)에 결합되고, 이 발진기와 구동기장치에 교정신호(110)를 공급하여 상기 동기장치(30)에 의해 조정되지 않는 라스터의 곡을 교정하는 교정장치를 포함하며 동기신호(101)에 동기하여 편향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편향회로에 있어서, 상기 교정장치가 상기 귀선신호(106)에 응답하여 톱니파전압을 공급하는 톱니파발생장치(93,94)와 상기 톱니파발생 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톱니파전압의 피크전압기간동안 전압펄스를 공급하는 피크분리기(95 내지 98)와, 상기 발진기와 구동기장치에 상기 전압펄스를 결합시켜 상기 교정신호(110)를 생성하는 장치(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교정 수평 편향회로.
KR7702687A 1977-11-16 1977-11-16 시간 교정 수평 편향 회로 KR820000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687A KR820000207B1 (ko) 1977-11-16 1977-11-16 시간 교정 수평 편향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687A KR820000207B1 (ko) 1977-11-16 1977-11-16 시간 교정 수평 편향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207B1 true KR820000207B1 (ko) 1982-03-04

Family

ID=1920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687A KR820000207B1 (ko) 1977-11-16 1977-11-16 시간 교정 수평 편향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20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3133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with timing correction
US5399945A (en)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FI73560B (fi) Horisontalavboejningskrets.
US4327376A (en) Dual phase-control loop horizontal deflection synchronizing circuit
US4225809A (en) Side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US3863106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US4942341A (en) Vertical ramp generator
GB2034137A (en) Dual phase-control loop horizontal deflection synchronizing circuit
KR820000207B1 (ko) 시간 교정 수평 편향 회로
GB2221815A (en) Blanking circuits for television receivers
KR0137274B1 (ko) 비디오 표시장치의 수직 편향회로
CA1099402A (en) Retrace blanking pulse generator with delayed transition
CA2039781C (en) Switched mode vertical deflection system and control circuit
EP0265986B1 (en) Field deflection circuit in a picture display device
US4746842A (en)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a sawtooth-shaped signal for the field deflection in a picture display device
US4001715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for television receiver set
CA2038778C (en) Synchronized horizontal scanning at horizontal frequency multiples
US4855828A (en) Television synchronizing arrangement
US4385320A (e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circuit
US3411031A (en) Transistor deflection circuit
JP3840648B2 (ja) ビデオ表示装置
US6307334B1 (en) Television receiver with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GB1598345A (en) Raster correction circuit with line transformer load compensation
US20040100198A1 (en) Scanning circuit of electron tube displays
Dean A feedback-stabilized vertical-deflection circ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