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2027B1 - 종이웨브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종이웨브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2027B1
KR810002027B1 KR7803631A KR780003631A KR810002027B1 KR 810002027 B1 KR810002027 B1 KR 810002027B1 KR 7803631 A KR7803631 A KR 7803631A KR 780003631 A KR780003631 A KR 780003631A KR 810002027 B1 KR810002027 B1 KR 810002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
web
breaker
roller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 드레허 죠지
Original Assignee
더크 제이. 베네만
벨로이트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크 제이. 베네만, 벨로이트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더크 제이. 베네만
Priority to KR7803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2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202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종이웨브 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소 개조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은, 브레이커 스택크(breaker stack)와 피복 프레스의 복합된 작용에 의해 브레이커 닙프(nip)와 피복닙프를 통과하는 연속 주행 웨브(web)를 피복하기 위한 종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만약 종이웨브를 사이징하거나 예비피복할 경우, 분쇄된 목재를 함유하는 종이웨브는 먼저, 냉경 주철(chilled iron) 로울러를 가진 브레이커 스택크를 통과되어야 한다. 현재 100% 화학처리된 시이트(sheet) 대신에 쇄목이 수 퍼센트 함유된 시이트로 대체되고 있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설비비용이 낮으며 목재로부터 산출량이 많고 또한 주어진 시이트 갤리퍼(sheet caliper)에 대하여 가벼운 평량(坪量)의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컴퓨터용 인쇄용지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처리된 웨브에 쇄목 70%와 장섬유재료 30%의 비율로 함유된 것이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형태의 웨브는 최종지질 변경조작 전에 사이즈 프레스(size press)를 통하여 통과시킬 필요가 있다.
브레이커 프레스 작동이 필요한 이유는 이 작동에 의해 시이트의 사이즈 정착조절을 보조하고 잉크를 번지지 않게 하는 평활한 시이트가 얻어지기 때문이다. 브레이커 프레스를 통하여 통과시킨 웨브는 종래 쇄목시이트에서 문제가 된 사이즈 프레스의 사이즈 부착로울러에의 섬유질 부착을 줄이는 잇점을 가진다.
통상의 브레이커 스택크는 상측건조기 캔(can)과 사이즈 프레스 사이에 배치되는 4-6개의 냉경 주철로울러로 구성된다. 이들 브레이커 프레스 로울러는 이들의 작동공간을 요하고, 브레이커 프레스와 다음의 사이즈 프레스 사이에 개방인출부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이들은 이들을 설치하고 조작하는 비용이 과대하게 소요되며 조작자가 기계를 작동시키고 돌보는 동안 기계장치에 밀접한 관계를 가져야하며 조각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장치의 조작상 단점들을 제거할 수 있는 복합식 브레이커 및 피복 또는 사이징 조작이 가능한 개선된 기계구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장치에서 요구된 공간을 줄이고, 조작자에의 위험을 줄이며, 설비 비용을 줄이고 기계구성에 필요한 부분과 로울러수를 줄일 수 있는 복합식 브레이커 스택크와 사이즈프레스 또는 피복작동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방인출부의 필요성을 제거하거나 필요한 인출부의 길이를 감소시키고, 웨브를 브레이커 프레스로 처리하고 피복 또는 사이징 처리하는데 요하는 시간을 줄이도록 브레이커 프레스 작동 이후 즉시 피복을 행할 수 있는 브레이커 프레스 및 피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속 이동하는 종이웨브 W가 지질개조기의 공급로울로부터 또는 연속작동제지기의 건조로부터 안내 로울러(10)를 지나 브레이커 프레스 닙프 N-1으로 공급된다.
브레이커 프레스 닙프는 냉경주철 로울러(11)과 스테인리스 스틸제의 가변 크라운(crown) 로울러(12) 사이에 형성된다. 제3도의 단면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가변 크라운 로울러는 여러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저스터스"의 미국특허 제3,276,102호에 도시된 형태일 수 있다. 이 스테인리스 스틸로울러(12)는, 닙프조절 압력슈우(shoe)(12b)가 그 닙프의 반대측에서 내부에 장설된 로울러 동체(12a)를 가지며, 압력 슈우에 가해진 화살표(12c)로 나타낸 반경방향 닙프의 압력을 조절한다.
제1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닙프 N-1을 통과하면서 브레이커 스택크의 프레스 작용을 받는 웨브는, 즉시 제2피복 닙프 N-2내로 통과하여 2닙프들 사이에서 제2로울러 (12)의 표면을 따라 주행한다. 이와같이 조절된 웨브는, 별도의 브레이커 스택크와 별도의 코팅기를 통과시킬때 위험이 초래되는 종래의 장치와 같이 별도의 브레이커 스택크에 수반되는 완전 개방인출부를 통과시킬때 위험이 초래되는 종래의 장치와 같이 별도의 브레이커 스택크에 수반되는 완전 개방인출부를 통과할 필요가 없으며, 시이트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반송로우프(carrier rope)를 이용하여 기계에 통과시킬 수가 있다. 또한, 웨브에 대한 브레이커 작동의 효과가, 피복처리가 브레이커 작동이후 즉시 행해질때 더 양하호게 얻어져 브레이커 스택크 작동과 피복 또는 사이징처리 사이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개선된 결과가 얻어진다.
닙프 N-1에서의 브레이커작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닙프의 압력은, 회동점(14)에 회동 가능하게 취부된 회동 암(arm)(13)에 냉경 주철으로된 브레이커 로울러(11)를 설치하여 그 암에 공기주름통(bellow)(15)에 의하여 힘을 가하므로서 그 로울러(11)에 의해 조절된다.
회동점(14)는 냉경주철 로울러의 축수의 일측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브레이커 스택크의 하중이 주름통(15)로부터 공기가 방출된 후라도 닙프에 가하여지지 않는다.
브레이커 로울러(11)의 닙프를 지난 지점에 닥터(doctor)(16)이 설치되어 있는 냉경주철의 브레이커 로울러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브레이커 닙프를 통과한 종이 웨브의 절단물들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도록한다.
사이즈 프레스의 피복 닙프 N-2는 피복로울러(12)와 제3로울러(20)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닙프 N-2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2로울러(12)가 회동점(18)에 축지된 회동암(17)의 축수에 설치되어 있고, 공기 주름통(19)가 닙프 N-2의 압력을 50-350PLI의 범위에서 조절하도록 작용한다. 닙프를 지나 웨브는 안내 로울러(21)(22)상을 통과한다.
제1도에서 보인 바와같은 작동으로, 먼저 웨브의 하측면 즉, 와이어 측이 피복된다. 웨브의 하측면은 흡수율이 높아, 후속 마무리 조작시 캐린더(calender) 로울러에서 부착이 적게 일어나게 된다. 상측면을 먼저 피복할때는, 섬유가 과량의 피복재를 취하여 마무리 조작시에 박리되는 현상이 일어날 것이다. 종이 웨브의 양측면의 상이한 흡수율은, 일측 방향으로의 배수에 기인하여 와이어의 상면에 다량의 미세물들이 수집되는 개방형 장막식 초지기의 와이어 상에 웨브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쌍 와이어(twin wire) 성형기의 2개의 이동하는 와이어 사이로 재료가 공급되고 양방향으로 배수가 행해지는 종래의 쌍 와이어 성형기에 형성된 웨브에서는, 생성된 종이웨브 양측면의 흡수율이 같으므로 웨브 양측을 동시에 피복할 수있다.
웨브의 하측면만을 피복하거나 사이징 하기 위하여, 웨브는 사이즈 프레스 로울러(21)(23)(24)에 의해 제3로울러(20)의 표면으로 이송된다. 이들 로울러들은, 닙프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 제1사이즈 프레스 닙프 N-3가 피복로울러(20)와 사이즈 프레스로울러(21) 사이에 형성되고, 다른 닙프 N-4는 로울러(21)과 로울러(23) 사이에 형성되며 닙프 N-5는 로울러(23)과 (2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닙프 N-5에서 피복재가 측량되어 도관(25)로 공급된다. 로울러(20)에 그리고, 닙프 N-2을 통하여 통과하는 웨브에 피복되는 피복량의 조절은 닙프 N-3, N-4 및 N-5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사이즈 프레스 로울러(23)가 회동점(29)에 축지된 회동암(28)에 선치되어 있고, 조절가능한 공기주름통(30)이 닙프 N-4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회동암(28)에 힘을 가한다.
사이즈 프레스 로울러(24)는 회동점(32)에 축지된 회동암(31)에 설치되어 있고, 공기 주름통(33)이 닙프 N-5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회동암(31)에 힘을 가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배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구조이지만, 사이즈 프레스를 통과한 웨브의 양면을 피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웨브 W'는 안내 로울러(40)를 통하여 제1닙프 N-1'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그 닙프에서 브레이커 프레스 작동이 행해진다. 이 닙프 N-1'는 냉경 주철 브레이커 로울러(41)과 스테인리스스틸 로울러(45)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사이즈 프레스 다음에서, 닥터(41a)가 냉경주철 로울러에 설치 되어있다. 제1닙프 N-1'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냉경주철 로울러가 회동점(43)에 축지된 회동암(42)에 설치되어 있고 공기주름통(44)에 의하여 그 회동암에 힘이 가하여진다. 이 주름통은 닙프 N-1'에서의 압력이 0-400PLI(pounds per lineal inch)의 범위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압 능력은 주름통(15)이 닙프 N-1에 동일한 범위의 압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된 제1도 구조의 가압 능력과 유사하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닙프 N-1'를 통과한 즉시, 웨브는 안내로울러(41b)의 상측을 돌아 제2닙프 즉 피복닙프 N-2'로 보내진다. 피복닙프 N-2'는 로울러(45)와 피복 로울러(49)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웨브는 제2닙프 N-2'를 하측방향으로 통과하고, 그 닙프는 웨브 양측면을 동시에 퍼들(puddle) 피복 재공급관(50)(51)으로 부터의 피복재로 피복하는 퍼들 피복기로 작용한다.
피복닙프 N-2'를 떠난 다음, 웨브는 안내 로울러(61)측으로 보내진다.
또한, 제2도의 구조는 사이즈 프레스에 의하여 웨브의 상측면을 사이징하기 위한 조절식 사이즈 프레스 피복기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장치는 닙프 N-2'에서 웨브의 상측면을 사이징하거나, 또는 피복재공급관(50)으로 부터의 피복재에 의하여 웨브의 하측면을 피복하는 동시에 웨브의 상측면에 사이징을 행할 수 있다.
웨브의 상측면에 여러층으로 사이징을 하기 위하여 피복재는 사이즈 프레스 로울러(52)(53)을 통하여 로울러(49)에 이송된다. 사이징재료는 공급관(54)을 통하여 제4닙프 N-4'에 공급된다. 측정된 피복재는 로울러(52)의 표면에 운반되는 닙프 N-3'에서 로울러(49)에 전달된다.
사이즈 로울러의 닙프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이즈 로울러(52)는 회동점(56)에 축지된 회동암(55)에 지지되어 있고, 공기주름통(57)에 의하여 회동암(55)에 하중에 가해진다. 사이즈 로울러(53)은 회동점(59)에 축지된 회동암(58)에 지지되어 있고, 공기 주름통(60)에 의하여 회동암에 하중이 가하여진다.
제2도 구조의 작동에서, 웨브 W'는 냉경주철 로울러(44)와 스테인 리스스틸 로울러(45) 사이의 제1닙프 N-1'내로 연속 공급되고, 다음, 그 웨브는 로울러(45)와 (49) 사이의 피복 닙프 N-2'내로 들어가며, 그 닙프에서 양측면에 퍼들 피복하거나, 또는 하측면에 공급관(50)으로부터의 퍼들 피복재를 피복하면서 상측면에 사이즈 프레스를 행할수도 있다. 브레이커 프레스 작동은 피복 작동 이후 즉시 행하여진다. 그 장치는 종이의 취급 처리가 보다 신속하게 행하여질 수 있게하는 효과를 가지며, 적은 수의 로울러와 작은 크기와 공간을 요하는 작은 설비를 이용함에 의해 개방인출부의 필요성을 피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제2도에서, 피복을 위해 게이트(gate) 로울러 만을 이용할 때는 웨브는 보다 많이 로울러 표면을 지나 제1도와 같은 닙프를 통과하여 안내 로울러(41b)를 지나게 된다.
본 발명의 원리는 전화번호책 및 카달로그와 같이 쇄목시이트는 물론 증지 및 옵셋트용의 목질섬유가 거의없는 시이트를 처리하는 제지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같은 경우, 쇄목시이트는 브레이커 스택커의 사용을 요구하나 사이즈 프레스는 요구되지 아니하며, 물질 섬유가 거의 없는 시이트는 사이즈 프레스를 필요로 하나 브레이커는 요하지 아니한다.

Claims (1)

  1. 연속 주행하는 종이 웨브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 제1로울러와 제2로울러사이에 브래이커 닙프가 형성된 브레이커 프레스, 상기 로울러들 사이의 닙프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종이웨브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로울로가, 웨브상의 섬유질들을 균일하게 분포 시키기 위한 브레이커 프레스 작동을 위해 평활한 금속 표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브레이커 닙프를 통과한 직후 웨브가 통과하는 피복닙프를 상기 제2로울러와 함께 형성하는 제3로울러와 상기 피복닙프를 통과할 때에 웨브의 적어도 일측면에 피복을 행하기 위한 피복재 공급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종이웨브처리 장치.
KR7803631A 1978-11-30 1978-11-30 종이웨브 처리장치 KR810002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631A KR810002027B1 (ko) 1978-11-30 1978-11-30 종이웨브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631A KR810002027B1 (ko) 1978-11-30 1978-11-30 종이웨브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2027B1 true KR810002027B1 (ko) 1981-12-15

Family

ID=19209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631A KR810002027B1 (ko) 1978-11-30 1978-11-30 종이웨브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202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3231B2 (ja) 繊維ウェブ処理方法及び装置
US5685909A (en) Device for producing paper webs coated on both sides
US6287424B1 (en) Method for finishing paperboard to achieve improved smoothness
US6332953B1 (en) Paper product having enhanced printing properties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5784955A (en) Calender in a paper-making or a coating machine
EP0549553A1 (en) Press section of a paper machine, in particular for printing paper qualities
US6038789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curl of paper and a paper or board machine line that applies the method
CA233719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lendered paper
FI58801C (fi) Till en pappersmaskin hoerande sk superkalander
US4192712A (en) Combined breaker size press coater
US4700658A (en) Device for coating traveling material
US2281340A (en) Paper coating device
US4915026A (en) On-machine calender for a paper machine with elastic reserve roll
US5203920A (en) Device for applying a coating composition to traveling webs of material on two web paths
US4712506A (en) Device for two-sided coating of a paper web
FI65640C (fi) On-machine superkalande foer papper
KR810002027B1 (ko) 종이웨브 처리장치
US2257113A (en) Coating apparatus
US3231418A (en) Coating a moving paper web with a coating roller having lower peripheral speed than web
CA2188359C (en) Method and assembly for coating a paper web
KR850000455B1 (ko) 종이 웨브 처리장치
US5179909A (en) Device for dosing coating substances on a traveling web of paper or cardboard or the like
US5811157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coated paper web using a coated roll
CA240149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cessing a wide paper or board web
US5462594A (en) Coating device for coating of a size-press roll, paper or 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