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900Y1 - Outsole for sport shoes - Google Patents

Outsole for sport sho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900Y1
KR810001900Y1 KR2019810006584U KR810006584U KR810001900Y1 KR 810001900 Y1 KR810001900 Y1 KR 810001900Y1 KR 2019810006584 U KR2019810006584 U KR 2019810006584U KR 810006584 U KR810006584 U KR 810006584U KR 810001900 Y1 KR810001900 Y1 KR 810001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projections
protrusions
lateral
out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658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슬러 아돌프
Original Assignee
아돌프 디슬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돌프 디슬러 filed Critical 아돌프 디슬러
Priority to KR2019810006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90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900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스포츠를 위한 밑창Outsole for sports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하여 두가지 다른 형태의 측면 돌출부를 갖는 스프츠와 밑창의 한 실례를 나타낸 기부도.Figure 1 is a bas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oup and a sole having two different types of side protrus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포츠와 밀창에 사용할 수 있는 측면 돌출부의 다양한 실례를 확대하여 나타낸 원근도.2 to 5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side protrusions that can be used for sports and wh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외표면에 위치한 측면돌출부를 갖는 스포츠화용 밑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rts shoe sole having a side projection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스포츠화의 밀창에 있어서 소위 "기부측면(soleprofiles)"이라 일컫는 대다수의다른 측면 돌출부는 공지 되어 있다. 측면돌출부의 근본적인 목적은 서 있을때의 안정성과 미끄러졌을 때 안정성을 부여하고, 또한 달릴 때, 가능한한 약간의 힘도 소모함이 없이 경기장에서 운동 선수의 다리에 힘을 부여하는데 있다. 스포츠화의 밑창의 본질과 이들 밀창의 측면부는 운동선수가 이용하는 경기장의 본질에 따르게 한다. 오랜동안의 연구 끝에 스포츠화의 전체측면을 이룬 것이 제조되었다. 즉 이것은 다양한 형태의 많은 경기장에 동일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사용되었으며 실제로 여러 형태의 경기장에 스포츠화로 사용될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탄력 경기장(예를 들면 잔디 경기장), 심하게 거치른 경기장(예를 들면, 타탄 경기장)또는 견고한 평면 경기장(예를 들면 스포츠 실내 경기장의 마루)에 어떠한 불편한 점을 나타냄이 없이 이들 경기장에 가능한한 모두 같은 효과를 사용할수 있는 스포츠화 밑창의 측면 디자인을 한 것을 현제까지 없었다. 예를 들면, 측면돌출부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같은 경우의 예로 축구화 또는 축구화의 징), 측면돌출부는 매끄러운 경기장에 사용이 적합하나, 거치른 경기장에서 다른 모든 형태의 스포츠를 행하는 것은 적합하지않다.Many other side projections, known as so-called soleprofiles, are known in the sports shoes.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side projections is to provide stability when standing and slipping, and when running, empowering the athlete's legs on the field without consuming as little power as possible. The nature of the soles of the sports shoes and the side portions of these wheat windows are made to conform to the nature of the stadium used by the athletes. After years of research, the whole aspect of sports shoes has been manufactured. That is, it is used to give the same effect to many stadiums of various types, and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used as sports shoes in various stadiums. However, as long as possible for these stadiums without showing any discomfort in an elastic stadium (eg grass field), a heavily loaded stadium (eg tartan stadium) or a solid flat stadium (eg floor of a sports indoor stadium). Nothing has been done with the side design of the sports shoe soles, which all have the same effect. For example, if the side projections are relatively high (eg in the case of soccer shoes or soccer shoes), the side projections are suitable for use on smooth stadiums, but not for playing any other form of sport on a rough stadium.

탄력성 물질(예를 들어 스포츠화 밑창의 징으로 구성되어 잇는 것)을 밑창징으로 사용할 경우 이는 원칙적으로 거치른 경기장에 신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측면으로 서있을 경우에 징의 높이가 사용된 탄력성 물질로 인하여 부유한 느낌을 전달하기 때문에 안정성 매우적다. 이와 반대로 개개의 측면돌출부가 밑창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단지약간 부유하게되고 또한 상대적으로 탄력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밑창 측면은 스포츠용 실내 체육관의 평편한 마루에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대적으로 약간 높은 측면 돌출부로 인하여 운동 경기자가 유연한 밑창 물질임에도 불구하고 안정하게 서있기 때문에며 따라서 부유하는 느낌을 야기하는 측면체의 변형은 매우 현저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반면에, 탄력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측면 돌출부는 아주 평편하지 않은 경기장에서도 압박할 수 있으며 또한 넘어지는데에 대한 안정성과 특히 안전하게 활보하는데에 중요한 매우 높은 마찰 접촉을 초래한다.In the case of the use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consisting of a gong on the sole of a sports shoe) as the sole, it is possible in principle to be used as a shoe on a tracked stadium. However, when standing sideways in this way the height of the gong is very stable because it conveys a rich feeling due to the elastic material used. In contrast, the sole side, in which the individual side protrusions are only slightly float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ole and which is made of a relatively elastic material, is well suited for the flat floor of a sport indoor gym. This is because, due to the relatively high lateral protrusions, the athlete stands stable despite being a flexible sole material, and thus the deformation of the lateral body causing the feeling of floating is very pronounced.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lateral protrusions made of resilient material can squeeze even in very uneven stadiums and also result in very high frictional contact, which is important for stabilization and particularly safe walking.

밑창 측면에 의해 부여된 넘어지는 것에 대한 안정성은 운동 경기자가 갑자기 정지했을 때 저지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크게 중요치 않다.Stability against falls imparted by the sole side is of little importance except when the athlete is stopped when he suddenly stops.

만약 이런 일이 발생한다면, 운동 경기자의 운동에 따라 신체의 각 부분에 받은 압박은 최고로 올라가고 오랜 기간동안의 압박으로 발생된 부상 또는 간장에 해를 끼칠수 있다.If this happens, the pressure placed on each part of the body by the athlete's workout may peak and harm the liver or injury caused by prolonged pressur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까지의 것보다도 매우 광범위하게 모든 경기장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포츠화의 측면으로 된 밑창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utsole of the side of a sports shoe that can be usefully used in all stadiums more widely than ever.

덧붙여서 정지했을때 밑창은 운동경기자의 운동에 따른 신체 각 부분에 지나친 압박을 방지하기 위해서 넘어지는 것을 최소한 적게 해야만한다.In addition, when stopped, the sole should be at least less prone to fall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pressure on the body parts of the athlete.

본 발명에 따라서 측면체가 한쪽단에서 또 다른 것과 밀접하게 위치하고 있고 다른 측면체각 이 단으로부터 또 다른 것에 퍼져있어 측면 돌출부의 한쪽 끝에서만 모두 방사성식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최소한 두 개로 뻗은 측면체로 밑창의 측면 돌출부를 형성할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을 성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측면 돌출부는 최소한 두 개 바람직하기로는 세 개로 뻗은 측면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경우에 있어서는 한쪽 측면을 향해 연장한 이외에 규칙적인 균형으로 배열되어 있지않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eral projections of the sole are at least two extending lateral bodies which are located at one end in close proximity to the other and the other side angles spread from one end to another so that only at one end of the side projections are all directed in the radial direction. Forming can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projections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us consist of at least two, preferably three, extending side bodies, in each of which are not arranged in a regular balance other than extending toward one side.

따라서 측면체의 배열에 대해 상기에 사용된 "한쪽 측면으로 향하는"이란 측면체가 180°각 정도의 범위내에서 있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측면부는 수평하게 있지는 않으나 작은 예각을 형성하여 즉 이들은 측면체가 파성되거나 또다른 한곳으로부터 방사성식 방향으로 된 것을 말한다. 바랍직하기로는 네 개 또는 적어도 다섯 개로 뻗은 측면체가 가장좋다.Thus, the term “facing to one side” used above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of the side bodies means that the side bodies are within a range of about 180 degrees. The side portions, however, are not horizontal but form small acute angles, ie they are ruptured or oriented radially from one side to another. Preferably, four or at least five flanks are best.

이와 같은 디자인으로한 측면 돌출부는 상대적은 작은 높이로 징이 부착되어 있으나 부드러운 경기장에서 매우 좋은 역할을 부여함을 알수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이들이밟는 표면은 상대적으로 크게 유지될수 있으며 또한 이들은 탄력성 물질(예를 들면 고무)로 구성되어 평편하고 딱딱한 경기장에서도 사용할 수있다.The lateral protrusion of this design has a relatively small height, but the gong is attached to it.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surfaces on which they step can be kept relatively large, and they can also be made of elastic materials (eg rubber) for use on flat and hard stadiums.

매끄러운 경기장내에 스며들고 또한 견고한 경기장에 놓여있는 측면돌출부는 개개의 측면체 파생 방향에 반대의 압박받을 때, 넘어지는 것에 대한 안전감이 급증하는 바깥쪽으로 효과를 받게된다.The side projections, which permeate in a smooth arena and lie on a solid arena, are forced outwards when the opposition to the direction of individual lateral derivations increases, increasing the sense of safety against falling.

이 바깥쪽으로는 벌어지는 효과는 각 측면부의 개개측면부(변형성 물질로 구성된)가 압박하에서 약간 밖으로 경사지므로 이같은 결과로써 전환의 효과가 일어나는 반대의 방향에서 압박받는 동안에 압박의 방향에서 사용된 표면이 급증하는 경향으로부터 일어난다. 두 개의 측면체로 되어있는 것에 비해 세 개 또는 네게로 뻗어있는 측면체의 측면돌출부의 구조는 동일한 밟는 표면에 대해서 측면체가 더좋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이로인해 측면부가 더욱 용이하게 경사져서 상기 바깥쪽으로 벋어지는 효과가 매우 명확하게 나타나는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러관 4개 이상의 측면돌출부 구조는 손가락 형태의 돌출부의 공간이 너무 적으므로 축적된 흙의 굳은 점착을 피할수 없기 때문에 그 이상의 이점을갖는 측면돌출부의 제조는 불필요하다 세워진 측면돌출부의 측면체는 어느정도 직사각형을 갖을수 있다. 그러나 측면돌출부는 이들 전환하는 연각을 향해 테이퍼하거나 연부 또는 점에서 끝난다 할지라도 소망된 변형 효과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제한하기 때문에 더욱 이점이 있다. 이 목적에 바람직한 형태는 어느정도 마름모꼴이거나 측면체의 피침형의 외선 형태이다. 덧붙여서, 밑창의 외표면상에 측면체의 높이가 또 다른 한쪽 끝에 밀집되어 있는 상기 한쪽끝에서 증가하도록 측면체의 밟는 표면을 구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밑창의 측면돌출부는 측면 돌출부가 원칙적으로 예상되는 압박의 방향으로 다루워질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즉 이것은 앞밑창의 있는 대부분의 측면돌출부는 전환하는 끝에서부터 측면체와 함께 배열되어 있으며 또한 최소한 뒷밑창에 있는 일부분의 측면돌출부는 전환하는 앞에서부터 측면체와 함께 배열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같은 결과로, 의도된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효과는 신발의 회전 운동 동안에 힘의 전달이 앞 밑창에서 일어나는 곳에서 (특히 신발의 내부 원심지역에서) 명백하게 나타난다. 이와 반대로, 정지했을 때 주로 측면체는 정지 작용을 필요로하는 언덕밑에서 이동되어 진다. 덧붙여서, 일련의 측면체를 연부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배열하여 옆으로 넘어지는 것에 대한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본발명에 의한 측면돌출부를 스포츠화 밑창에 분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위치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측면돌출부는 밑창의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필수적으로 밑창에 성형(예, 사출성형)되어진다. 밑창었 적합한 물질로는 PVC, 폴리우레탄, 고무 등과같은 통상의 탄력성 밑창 물질이다.This outward effect is caused by the fact that each side of each side (consisting of deformable material) slopes slightly out under pressure, so that the surface used in the direction of compression suddenly increases while being pres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re the effect of the transition occurs. Arises from the tendency. The structure of the side projections of the three or four extending sides compared to the two sides is better because the sides can be kept better with respect to the same tread surface.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effect is very clear. Since the four or more side projecting structures have too little space for finger-shaped protrusions, it is not necessary to manufacture the side projecting parts having more advantages because the firm adhesion of accumulated soil is inevitable. It can have a rectangle. However, the side projections are further advantageous because they limit the spreading of the desired deformation effect outward, even if they taper towards these transitional edges or terminate at edges or points. Preferred forms for this purpose are, to some extent, rhombic or lateral lanceolated, externally shap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ructure the stepped surface of the side body such that the height of the side bod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ole is increased at the one end which is concentrated at the other end. The lateral protrusions of the sole are arranged such that the lateral protrusions can be handled in the direction of compression that is expected in principle. This means that most of the side protrusions of the front sole are arranged with the side bodies from the end of the transition and at least some of the side protrusions of the rear sole are arranged with the side bodies from the front of the transition. As a result, the intended outward effect is evident where the transfer of force occurs in the front sole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hoe, especially in the inner centrifugal area of the shoe. In contrast, when stationary, the lateral body is moved under the hill, which requires a stationary action. In addition, a series of side bodies may be arranged to extend almost parallel to the edge to allow for stability against sideways fall. In principle, it is possible to position the side proje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anner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sole of a sports shoe. Preferably, however, the side projections are composed of the material of the sole and are essentially molded (eg injection molded) to the sole. Suitable outsole materials are conventional resilient outsole materials such as PVC, polyurethane, rubber, and the like.

본 고안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하게 기술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제1에서 나타낸 밑창은 딱딱한 트랙(예를 들면 로드(road)각 크로스 컨츄리 경기에 모두 적합한 스포츠화이다. 본 발명의 스포츠화는 어떤 불편한 점없이 평편한 스포츠실내에 사용될 수 있다. 밑창 전체를 나타내는 (1)의 밑창은 PVC, 폴리우레탄, 고무등과 같은 일반적인 밑창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밑창 스포츠화 상부에 접착되어 있거나 직접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밑창(1)은 측면돌출부(2),(3)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은 거의 세 개로 뻗어있는 측면체 (2')(3')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모두 한쪽단에 접합되어 있으면서 이들의 각단은 한 측면을 향해 방사성식으로 파생되어 있다. 앞 밑창의 주표면은 측면체(2')가 약간의 마름모꼴 이거나 마름모꼴 형태를 갖는 더 큰 측면돌출부(2)로 되어있다.The soles shown in the first are sports shoes suitable for both rigid tracks (e.g. road angle cross-country competitions). The sports sho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flat sports room without any inconvenience. The sole of (1) is composed of general sole material such as PVC, polyurethane, rubber, etc., and is also bonded to or directly molded on the top of the sole of the sole of the sole of the sole. They are also formed from side three (2 ') (3') extending almost threefold, all of which are joined to one end while their ends are radioactively derived toward one side. The main surface of the sole consists of a larger side projection 2 whose side body 2 'is slightly lozenge or rhombic.

측면돌출부의 배열은 측면체(2')가 일반적으로 하방향으로 뻗어있는 것과 같다. 뒤밑창은 정확하게 측면돌부(2)의 정반대로 배열하여 되어있다. 뒤밑창에 측면체(2)는 위쪽으로 파생하여 있다. 측면돌출부(3)는 약간 적으며 또한 측면돌출부(3')은 직사각형의 외형을 갖는다.The arrangement of the side protrusions is as if the side bodies 2 'generally extend downwards. The rear sole is exactly the opposite of the side projections 2. The lateral body 2 in the sole is derived upwards. The side protrusions 3 are slightly smaller and the side protrusions 3 'have a rectangular shape.

측면돌출부(3)은 단지 밑창의 연부에 위치하게끔 배향되어 있으므로 각경우의 돌출부(3')은 외향으로 파생 또는 방사성식으로 되어 있다.Since the side projections 3 are oriented so as to be located only at the edges of the sole, the projections 3 'in each case are derived or radioactive outwards.

첨부된 도면의 이해를 명확하기 위해서 제2도에 나타낸 측면돌출부(2),(3)의 분포가 완전하지 못하나 대신에, 도시된 측면 돌출부는 전체의 밑창 표면위에 동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또한 다른 형태의 측면돌출부가 제공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order to clarify the understanding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stribution of the side protrusions 2 and 3 shown in FIG. 2 is not complete, but instead, the side protrusions shown are equal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sole surface and also in other for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side projections of are provided.

더욱이 밑창의 연부지역에서 위치한 측면돌출부(3) 대신에 필요한 경우 측면돌출부(2)를 더작은 이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2도-제5도는 제1도에 의한 밑창(1)과 같은 형태로 제조된 측면 돌출부를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적으로 표현하여 확대한 것이다.Furthermore, instead of the side projections 3 located in the soft area of the sole, the side projections 2 may be provided in a smaller release if necessary. 2 to 5 are enlarged by expressing in detail in various forms the side protrusions manufactured in the same form as the sole 1 according to FIG.

제2도에 의한 측면돌출부(22)에 있어서, 세 개의 측면체(22')는 어느정도 직사각형 외형을 가지며 또한 이들의 전체길이에 일정한 높이는 갖는다.In the side projections 22 according to FIG. 2, the three side bodies 22 'have a somewhat rectangular outline and have a constant height over their entire length.

이같은 결과로, 이들이 밟은 표면(4)는 밑창(1)의 의표면(도시안됨)에 거의 평평하다. 개개의 측면체(22')는 약35°내지 40°의 각도를 이룬다.As a result, the surface 4 on which they step is almost flat on the surface (not shown) of the sole 1. The individual side bodies 22 'are at an angle of about 35 degrees to 40 degrees.

제3도에 나타낸 측면돌출부(32)는 제2도의 외형과 거의 상용한다. 그러나, 측면돌출부가 또 다른 것과 접합하고 있는 단에서의 측면체(32')의 높이는 단지 타단에정도이므로 측면부(32')의 파생방향에서 각을 이루는 밟는 표면(5)가 얻어진다.The side protrusion 32 shown in FIG. 3 is almost compatible with the outline of FIG. However, the height of the side body 32 'at the end where the side protrusion is joined to another is only at the other end. As a result, a tread surface 5 angled in the derivation direction of the side portion 32 'is obtained.

제4도에 의한 측면돌출부(42)의 측면체(42')는 어느 정도 규칙적인 마름모꼴이거나 마름모꼴의 외형을 갖는다. 여기서 다시 개개의 측면체(42')는 제2도 및 제3도에 따라 구체적으로 표현한 바와 같이 등각적으로 배열하여 두 개의 외부 측면체(42')가 중간 측면체의 중앙축에 대칭적으로 위치하게 한다.The side body 42 'of the side protrusion part 42 by FIG. 4 has a somewhat regular rhombus or a rhombus external shape. Here again the individual side bodies 42 'are conformally arranged as specifically expressed according to FIGS. 2 and 3 so that the two outer side bodies 42' are symmetrically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intermediate side body. To be located.

마름모꼴 형태로 인하여 측면체(42')는 측면체(42') 둔각의 연부와 함께 모아져 있기 때문에 다른 끝에서 이루는 사이에 양쪽끝에서 뾰족한 모서리가 끝난다.Due to the lozenge shape, the side body 42 'is gathered with the edge of the side body 42' obtuse angle so that the sharp edge ends at both ends between the other ends.

뾰족한 연부에서 데이퍼 및 말단은 측면체(42')의 변형을 도우며 또한 이들은 제4도에 있어서 측면체(42')중 어느 하나를 가리키는 이들의 경사축에 대해 선단에 있는 경향이 있다. 상기 기술한 벌어지는 효과를 가져오는 선단은 힘이 화살표(7)의 방향에서 작동하는 경우 벌어지는 것이 화살표(8) 방향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At the pointed edges, the taper and tip help to deform the side body 42 'and they also tend to tip against their inclined axis pointing to either side of the side body 42' in FIG. The tip leading to the gaping effect described above can be expected to appear in the direction of arrow 8 when the force acts in the direction of arrow 7.

제4도에 있어서, 현저하게 들어간 부분은 각 외부 측면부체(42')와 중간 측면체 사이에서 볼 수 있으며 이 들어간 부분은 또한 선단에 측면체를 보조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들어간 부분을 측면 돌출부에서 측면체(42')의 페이퍼가 충분히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In FIG. 4, the prominent indentation can be seen between each outer side body 42 'and the intermediate insulator, which also tends to assist the side body at the tip. However, it is not absolutely necessary because the recessed part has an effect that the paper of the lateral body 42 'is fully outwardly from the side protrusion.

이 들어간 부분대신에, 모든 개개의 측면체가 거의 측면 돌창부의 더크게 밟은 부분(4)에서 나오므로 이것은 마름모꼴의 연부에 모여져 있는 것이 가능하다. 제4도에 의한 측면돌출부(52)는 구조 및 기능이 제4도에 측면돌출부(42)와 동일하다. 그러나, 측면체(52')의 외선은 양쪽 끝의 지점과 피침형으로 되어 있거나 또는 약간의 잎형태로 되어 있다. 측면돌출부의 후미에 경계되는 표현은 밑창(1)의 외부 표면과 거의 직각으로 되어 있어 이들은 부드러운 경기장에서 사용할 때 측면 돌출부가 배열된 상태를 제2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것이다. 더욱이 측면 돌출부는 상대적으로 큰 밟는 표면 (4) 또는 (5)을 갖으며 이들중 표면은 측면체의 접합단의 지역에 놓여있다. 밟는 표면의 부분은 밑창을 거치른 경기장에 사용할때와 언급한 벌어지는 효과 그 자제가 명확하지 않는 방향에서 독특한 측면돌출부가 압박을 받을 경우 느낌이 미끄러지는 표면과 같은 작용을 할 때 특히 연간이 있다. 미끄러지는 표면으로서의 기능은 제3도에 구체적으로 기술한 바에 의해서, 밟는 표면(5)가 다른단의 방향에서 측면체의 결합단으로부터 나올 때 특히 좋은 기능을 발휘하게 되며 즉 다시말하면 이것은 밑창(1)의 바깥 표면으로부터 경사적으로 연장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Instead of this part, it is possible that all the individual side bodies come out from the larger stepped portion 4 of the side ledge, and this can be collected in the lozenge edge. The side protrusion 52 according to FIG. 4 has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e side protrusion 42 in FIG. However, the outer line of the side body 52 'is lanceolate with the points at both ends, or it is a little leaf-shaped. The expression bounded by the trailing edge of the side projections i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ole 1 so that they show the arrangement of the side projections in FIGS. 2 to 5 when used in a soft stadium. Moreover, the lateral projections have a relatively large tread surface 4 or 5, of which the surface lies in the region of the junction of the lateral body. Part of the tread surface is particularly annual when used on a soled arena and when the mentioned effect is acting like a slippery surface when the unique side projections are pressed in a direction that is unclear. The function as a sliding surface is particularly good when the tread surface 5 emerges from the mating end of the side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as described in detail in FIG. It extends oblique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제2도-제5도에 따른 측면돌출부의 모든 구체적인 표현은 경사진 밟는 표면(5)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all specific representations of the side projections according to FIGS. 2 to 5 can be provided with the inclined tread surface 5.

제1도에 나타낸 밑창에 있어서, 이것은 밑창의 외부표면에 수평하게 되어 있는 밟는 표면(4)와 함께 측면돌출부(2),(3) (내부원심지역에 위치한)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류하는 측면돌출부(2),(3)은 경사진 밟는 표면(5)을 가질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밑창의 회전성을 도우며 또한 신발 착용자의 내부 원심에서 특히 나타나는 착용시의 결점을 제거해준다.In the sole shown in FIG. 1, it is desirable to make the side projections 2, 3 (located in the inner centroid) together with the treading surface 4 being horizonta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ole. The remaining side projections 2, 3 may have an inclined tread surface 5. This method aids in the rotation of the sole and also eliminates the wear defects that are especially seen at the inner centrifuge of the shoe wearer.

본 고안에 의한 밑창을 특히 부드러운 경기장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하기 위해서는 측면돌출부의 높이를 이들 기능이 징의 것과 상용하도록 4내지 5이하로 해야만한다. 이 길이에 개개의 측면체의 바람직한 길이는 12mm이나 더 크거나 작아도 또한 가능하다. 거치른 경기장과 부드러운 경기장에 모두 유익한 측면돌출부의 바람직한 배열은 제1도에서 볼수 있듯이 또다른 것과 옆으로 배열되어 있고 또한 또다른 것과 뒤에 배열되어 있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50 내지 60개의 돌출이 밑창 전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제1도에 나타낸 이 정도의 크기는 일상 생활의 크기와 거의 상응한다.In order to be able to effectively use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articularly soft stadium, the height of the side projections should be 4 to 5 or less so that these functions are compatible with those of the gong. The preferred length of the individual side bodies to this length is also possible, although larger or smaller than 12 mm. The preferred arrangement of side projections, which is beneficial for both rough and smooth stadiums, is arranged sideways with another as shown in FIG. 1 and also behind another with 50 to 60 protrusions as shown in FIG. It is located in the whole. This magnitude shown in FIG. 1 corresponds almost to the size of daily life.

Claims (1)

저부면에 돌출하고 있는 다수의 측면돌출부를 가지며, 이 측면 돌출부 각각은 두 개의 단을 갖는 3개 또는 4개로 뻗어있는 측면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측면체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한쪽단에서 서로 밀접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이 예각의 각각은 3개 또는 4개 모두 180°이하의 선형각을 갖으며 또한 이 측면체 각각은 최소한 이들의 수직중심으로부터 테이퍼하게 뻗어있는 측면체가 점진적으로 이들의 타단에 향하고 있는 탄력성 물질의 밑창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화를 위한 밑창.It has a number of side projections protruding at the bottom surface,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three or four extending sides having two ends, which in each case are close to each other at one end. Each of these acute angles has a linear angle of less than 180 ° in all three or four angles, and each of these flanks has a resilience with progressively directed tapered flanks extending at least from their vertical centers. Outsole for sports shoe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ole of the material.
KR2019810006584U 1981-09-24 1981-09-24 Outsole for sport shoes KR81000190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6584U KR810001900Y1 (en) 1981-09-24 1981-09-24 Outsole for sport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6584U KR810001900Y1 (en) 1981-09-24 1981-09-24 Outsole for sport sho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900Y1 true KR810001900Y1 (en) 1981-10-27

Family

ID=19222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6584U KR810001900Y1 (en) 1981-09-24 1981-09-24 Outsole for sport sho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90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0923A (en) Outsole for sport shoes
US4378643A (en) Sole with skewed cleating arrangement
US8584380B2 (en) Self-adjusting studs
US5351421A (en) Sports shoe sole
US8789296B2 (en) Self-adjusting studs
US3982336A (en) Athletic shoe with a detachable sole
US6948264B1 (en) Non-clogging sole for article of footwear
JP4435415B2 (en) Multi-layer outsole
US4096649A (en) Athletic shoe sole
US4546556A (en) Basketball shoe sole
US4445286A (en) Footwear, such as athletic shoe
EP0206439A2 (en) An outer sole for a basketball or like shoe
US3507059A (en) Shoe sole
US20020004999A1 (en) Sole for a trail running shoe
JPS6329522B2 (en)
JPH05503455A (en) Shock absorbing sole for footwear
CN104053375A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lateral offset heel stud
CN104023578A (en) Article of footwear with forefoot secondary studs
JP7450335B2 (en) sports footwear
US4223459A (en) Athletic shoe for racing and training
KR810001900Y1 (en) Outsole for sport shoes
GB1587382A (en) Sole for a sports shoe
EP0574432A1 (en) Sports shoe sole
CA1068900A (en) Outsole for sport shoe
AU653333B2 (en) Sports shoe s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