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873B1 - Vessel for flota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partial buoyancy suppot of barges and the flating cargoes - Google Patents

Vessel for flota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partial buoyancy suppot of barges and the flating cargo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873B1
KR810001873B1 KR7502032A KR750002032A KR810001873B1 KR 810001873 B1 KR810001873 B1 KR 810001873B1 KR 7502032 A KR7502032 A KR 7502032A KR 750002032 A KR750002032 A KR 750002032A KR 810001873 B1 KR810001873 B1 KR 810001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ship
carriers
vessel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20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에버레트 커비 윌리암
잭손 세이무어 다비드
Original Assignee
에버레트 커비 윌리암
화르톤 쉬핑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레트 커비 윌리암, 화르톤 쉬핑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에버레트 커비 윌리암
Priority to KR7502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8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8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A vessel for transport of a floating buoyant cargo such as barges, lighters, and pontoons, wherein the cargo is partially supported in the vessel by its own buoyancy, including in combination; a hull having a bottom shell with rigid submarine cargo-supporting and hull-reinforcing structure, bow, a stern, and side walls providing a series of buoyance compartments, and a hollow enclosed interior including a cargo hold, gate means in the hull for opening to enable floatation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floating cargo and for closing during transportation thereof, and securing means for releasably locking the cargo.

Description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Floating Carrier Ship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과, 이 선박에 반입시키기 위해 바아지나 라이터들을 일렬로 정렬시킨 상태의 측면도이며, 이때 바아지나 라이터들 중 수면 이하로 잠기는 부분은 사선으로 표시하고, 이들 바아지나 라이터들의 최종 운반위치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1 is a side view of a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in which the bars or lighters are aligned in a line to be carried in the ship, wherein the parts of the bars or lighters submerged below the water are indicated by diagonal lines, and these bars or lighters Their final transport location is indicated by a dashed line.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과 제1도의 부유성 운반체들의 상부 평면도.2 is a top plan view of the vessel and the floatable carriers of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바아지나 라이터들이 반출된 직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제1도와 유사한 도면.FIG. 3 is a view similar to FIG. 1 showing the state immediately after the bags or lighters have been taken out.

제4도는 바아지나 라이터들이 고정장치에 의해 안전하게 적재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선박의 종단면도로서, 선수관문의 폐쇄위치는 실선으로, 개방위치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ip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bars or lighters are securely loaded by the fixing device, in which the closed position of the bow gate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and the open position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제5도는 제4도의 선 5-5에 따른 수평단면 평면도.5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plan view along line 5-5 of FIG.

제6도는 제4도의 선 6-6에 따른 단면의 확대도.6 is an enlarged view of the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6-6 of FIG.

제7도는 제6도의 선 7-7에 따른 부분 단면도.7 is a partial cross sectional view along line 7-7 of FIG.

제8도는 바아지나 라이터들의 반입시 혹은 비반입시의 선박상의 부력효과를 나타내는 본 선박의 매 인치당 배수톤수를 도시한 그래프.8 is a graph showing the tonnage per inch of the ship showing the buoyancy effect on the ship during loading or non-loading of bars or lighters.

제9도는 비중의 차이에 의해 서로 다른 높이로 떠있는 2개의 바이지 혹은 라이터의 모서리에 있는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유압실린더의 부분 확대도.9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hydraulic cylinder used for a fixing device at the corner of two vices or lighters floating at different heights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제10도는 유압실린더가 충분히 연장되어 안전고정핀이 재위치에 끼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9도의 유사도.FIG. 10 is a view similar to FIG. 9 showing a state where the hydraulic cylinder is sufficiently extended so that the safety retaining pins are reinserted.

제11도는 휭 박스 비임 혹은 거어더를 부여주는 선저부의 부분 사시도.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of the bottom to give the beam box beam or girder.

제12도는 선체의 부분 단면도.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ull.

제13도는 제12도의 선 13-13에 따른 단면도.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13-13 of FIG.

제14도는 제12도의 선 14-14에 따른 단면도.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4-14 of FIG.

제15도는 선수관문의 다른 변형을 보여주는 선박의 선수부의 부분 단면도.1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w of a ship showing another variant of the fore gate.

제16도는 제15도의 평면도.FIG. 16 is a plan view of FIG.

제17도는 내파격벽(耐波隔璧)을 보여주는, 제15도의 선 17-17에 따른 확대정면도.FIG. 17 is an enlarged front view taken along the line 17-17 of FIG. 15 showing the inner wave bulkhead. FIG.

제18도는 부럭탱크와 펌프장치의 평면 계통도.18 is a plan view of the tank and pump device.

제19도는 단일윈치를 사용한 반출입장치의 다른 형식을 나타내는 제2도와 유사한 도면.FIG. 19 is a view similar to FIG. 2 showing another form of the loading / unloading device using a single winch.

제20도는 모든 고정장치를 동시에 동작시킬 때의 유압회로도.20 is a hydraulic circuit diagram when all the fixing devices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제21도는 각각의 고정장치를 분리 동작시킬 때의 유압회로도.21 is a hydraulic circuit diagram when each fixing device is operated separately.

제22도는 반출작작업이 선수관문 대신 선미관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 이외에는 제3도와 유사한 도면.FIG. 22 is a view similar to FIG. 3 except that the carry out work is carried out through the stern gate instead of the fore gate.

제23도는 선수관문, 선미관문 및 이들의 개방위치가 점선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을 나타내는, 제4도와 유사한 도면.FIG. 23 is a view similar to FIG. 4 showing a vessel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which the bow gate, the stern gate and their open positions are shown in dashed lines; FIG.

제24도는 선미관문을 통하여 반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19도와 유사한 도면.FIG. 24 is a view similar to FIG. 19 showing export through a stern gate.

제25도는 폐쇄위치는 실선으로, 개방위치는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선미관문을 나타내는 선미부의 부분 단면도.Fig. 2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rn portion showing the stern gate in which the closed position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and the open position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제26도는 제25도의 평면도.FIG. 26 is a top view of FIG. 25. FIG.

제27도는 유압실린더의 다른변형을 보여주는, 제10도의 유사도.FIG. 27 is a similarity of FIG. 10 showing another variant of the hydraulic cylinder.

제28도는 고정장치를 작동시키기 전의 상태에 있는 3개의 바아지의 부분도.28 is a partial view of three bars in a state prior to actuating the lock.

제29도는 고정장치를 작동시킨 후의 바아지의 부력효과와 본 발명의 부력전달을 보여주는 도면.29 is a view showing the buoyancy effect of the bar and the buoyancy transfer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operating th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바아지(barge)나 라이터(lighter)와 같은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화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화물 자신의 대부분의 중량을 지탱하고, 그 중량의 나머지 부분만이 선체에 의해 지탱되는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for transporting a floating carrier such as a barge or lighter, and more specifically, to support most of the weight of the cargo itself using the buoyancy of the cargo, and the rest of the weight. Bay is concerned with a ship for floating carrier transport carried by a hull.

이러한 선박에서의 선체는 화물을 안전하게 수용함과 동시에 유체역학적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외형이 매끄럽게 되어 있고, 또한, 선저에 구멍을 설치하여 이들 해수가 자유로이 유출입되도록 함으로써 선창내에 해수를 충만시켜 선체가 화물의 부력을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선박에서는 부유성 화물을 크레인에 의하여 선창내로 반입 또는 반출시킬 수도 있으나, 주로 선수, 혹은 선미에 있는 문을 통하여 이들 화물을 반입 및 반출한다. 또한, 이 선박은 갑판에 적재하여 화물을 운반할 수 있다.The hull in such a vessel is smoothed in appearance to safely receive cargo and at the same time reduce hydrodynamic resistance. In addition, a hol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vessel to allow these seawater to flow freely, filling the seawater in the dock so that the hull To use buoyancy. In the 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ing cargo may be brought into or out of the dock by a crane, but these cargoes are mainly brought in and out through the door at the bow or the stern. The ship can also be loaded on deck to carry cargo.

본 발명의 선박은, 특히 바아지에 선적된 화물이나 부유성 컨테이너에 선적된 화물의 운송에 유용하다. 이들 일련의 바아지나 컨테이너들을 해상에서 예인선으로 선미나 선수에까지 예인한 뒤, 이 선수나 선미의 문을 통해 선박에 반입한다. 항해가 끝나면, 이들 일련의 운반체들은 선수관문이나 선미관문을 통해 반출되고 예인선으로 예인된다.The 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useful for the transportation of cargo loaded on the barge or cargo loaded on the floating container. A series of bags or containers are towed from sea to tugboat to the stern and then brought to the vessel through the stern or stern door. At the end of the voyage, these sets of vehicles are transported through the fore and stern gates and towed by tugboats.

화물반입시 혹은 반출시에만 물로 채워지는 화물운송용 선창을 가진 선박들이 여러 특허들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선박들에서는 박수, 선미 혹은 선박의 측면에 있는 문들이 사용되었으며, 다종의 화물들이 물에 뜬채로 반입되었거나 반출되었다. 이러한 선바에서는 화물 반입 직후에 선창내의 물을 배수시켜야 했으며, 화물이 반출되는 동안에는 물을 차단하여 선박자체가 화물의 전체 정하중(靜荷重)을 지탱하여야 하였다. 이런 종래의 발명에서 선차내의 물은 화물이 단지 화물의 반출입시에만 물에 뜨게 하는데 사용되었을 뿐이어서 항해도중에는 선창이 건조상태로 유지되었다.Vessels with cargo handling docks filled with water only upon loading or unloading are known in several patents. In these ships, claps, sterns or doors on the side of the ship were used, and multiple cargoes were brought in or taken out of the water. In these ships, the water in the docks had to be drained immediately after the cargo was loaded, and while the cargo was taken out, the water had to be shut off to support the full static load of the cargo. In this conventional invention, the water in the vehicle was only used to float the cargo only upon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cargo so that the dock was kept dry during navigation.

이와 대조적으로, 미국특허 제3,356,058호에는 목재 운송용 선박이 기술되어 있다. 이 특허의 목재운송용 선박은 밸러스트 장치와 선체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어 운송도중 이들 목재가 떠있게 한다.In contrast, U.S. Patent No. 3,356,058 describes a wooden shipping vessel. The patented timber transport ship has ballast devices and hull through holes to keep these timbers floating during transport.

본 발명은 부유성 컨테이너 화물이나 바이지를 운반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선박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great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to transport floating container cargo or baiji. However, this is not possible with ships of this patent.

고속 대형선박에 의해 바아지나 라이터들을 취급하기 위한 시스템들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런 시스템들중 하나에서는 바아지나 라이터들을 선박까지 예인하여야 함이 필요하며, 이 선박 부근에서 그들은 엘리베이터에 의해 해상으로부터 갑판 높이까지 올려진 후 로울러에 의해 최종 선적위치로 이송된다. 또 다른 시스템에서는, 라이터나 바아지를 선박에까지 예인한 후 대형 크레인으로 선박에 적재된다.Systems for handling bars and lighters by high speed large vessels are well known. In one of these systems, the bar or lighters need to be towed to the ship, and in the vicinity of the ship they are raised from the sea to the height of the deck by the elevator and then transported by rollers to the final loading position. In another system, the lighter or barge is towed to the ship and then loaded onto the ship by a large crane.

이러한 시스템들은 화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대형선박이 부두에까지 접안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있다. 이선박들은 물론 대형선박이 접안할 수 없는 소항구에 도는 이들 소항구로부터 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 여러 경우에서, 이러한 적재하역 시스템은 다른 해상운송 시스템보다 경제적이다.These systems eliminate the need for large vessels to dock to the docks to handle cargo. These ships may, of course, carry cargo from these small ports to smaller ports which may not be docked by large vessels. In many cases, thes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s are more economical than other sea transport systems.

바아지나 라이터들을 선박상에 적재하기 위한 전술한 특허의 선박은 목재운송에서는 몇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Vessels of the aforementioned patents for loading bars or lighters on board ships have several problems with timber transportation.

목재들은 서로 크기와 형상이 달라도 실제적으로 동일한 비중을 갖고 있다. 그러나, 라이터나 바아지 또는 화물 컨테이너들은 보통 동일한 크기나 모양을 갖고 있으나 적재화물의 차이에 의하여 비중이 여러가지로 변한다. 때문에 이들을 선박에 반입시키고 자유로이 떠있게 하면 그들이 상하로 요동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나쁜 기상조건하에서는 선박의 선체는 물론 이들 운반체 자체의 선체에도 심한 손상을 입히게 되며 심지어는 선박을 침몰하게까지 한다. 즉, 비어있거나 가볍게 적재되어 있는 라이터의 부력을 이용하여 무겁게 적재되어 있는 라이터의 하중을 선체와 함께 분담시킬 수 있게 하는 데는 곤란한 문제가 있다. 전술한 특허의 선박으로는 이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 문제가 해결되면 매우 유익한 결과가 얻어질 것이다.Woods have practically the same weight, even if they differ in size and shape. However, lighter, barge or cargo containers usually have the same size or shape, but vary in specific gravity due to the difference in cargo. Therefore, bringing them into the ship and allowing them to float freely makes them easy to swing up and down, and under bad weather conditions not only damages the hull of the ship but also the hull of these carriers themselves, and even sinks the ship.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possible to share the load of the lighter that is heavily loaded with the hull using the buoyancy of the lighter that is empty or lightly loaded. This is not possible with ships of the aforementioned patents. However, if this problem is solved, very beneficial results will be obtained.

부유성 컨테이너 및 바아지나 라이터들을 적재지탱하는데 대한 문제점과, 상술한 특수한 조건에 관한 문제가 발생된다.Problems with supporting floating containers and bars or lighters and problems with the above-mentioned special conditions arise.

본 발명은 다공성 선체와 측벽을 사용하여 부력을 이용하는 점에서 미국특허 제3,356,058호와 일부 상통하는 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바아지나 라이터같은 부유성 컨테이너화된 화물단위들은 운송도중 고정된 위치에 확실히 보지하는 고정장치를 가지고 있어 이들 화물단위들의 기부가 선체와 확실히 결합하게 되고, 또 선박의 프레임 또는 갑판으로부터 균일한 간격을 가지고 하방으로 연장하는 보지장치가 화물단위의 상부에 결합되어 화물들을 고정시킨다. 개개의 바아지나 라이터들은, 비어있거나 가벼운 짐이 적재되어 이들에 걸리는 하중의 정도나 화물들 자체의 비중들의 차이에 기인하여 각각 다른 밀도를 가지기 때문에 비교적 큰 값의 초과부력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초과부력을 고정장치에 전달함으로써, 이 초과부력을 전체선박과 부유성 화물을 지지하는데 이용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선체구조를 가볍게 설계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ally in communication with US Pat. No. 3,356,058 in that it uses buoyancy using a porous hull and sidewall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floating containerized cargo units, such as bars and lighters, are held securely in a fixed position during transportation. The base of these cargo units is securely coupled to the hull, and a retaining device extending downwardly with a uniform distance from the frame or deck of the ship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cargo unit to secure the cargo. Each bag or lighter has a relatively large value of excess buoyancy because empty or light loads have different densitie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weight of the load or the weight of the cargo itself.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cess buoyancy is transmitted to the fixing device, and the excess buoyancy is used to support the entire ship and the floating cargo, whereby the hull structure can be designed light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아지나 라이터들은 통상 선수문으로부터 반입되고 선미문을 통해 반출된다. 따라서 항구에서 부분반출작업이 용이하게 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s or lighters are normally brought in from the bow door and taken out through the stern door. Therefore, partial carry-out work at the port is easy.

또한, 단일의 윈치(winch) 장치를 설치하여 부유성 화물의 선박내외로의 반출입을 보조할 수 있다.In addition, a single winch device can be installed to assist the floating cargo in and out of the ship.

바아지나 라이터들을 위한 상기 고정장치에 수압 또는 공압장치를 설치하고 화물을 최종 선적위치에 고정시키는 기계적인 안전 고정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o install a hydraulic or pneumatic device in the holding device for the bar or lighter and to install a mechanical safety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argo in the final shipping posi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잇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에서, 선박 10은 다공성 저부외피 12를 가진 적당한 선체 11을 갖고 있으며, 이 저부외피에는 개구13이 형성되어 있어서 물이 통하도록 되어 있다(제4도와 제6도 참조). 물은 모든 면에 동일한 압력을 주기 때문에, 이 외피는 얇게 만들어져도 좋다.In the figure, vessel 10 has a suitable hull 11 with a porous bottom shell 12, which has an opening 13 formed therein to allow water to pass through (see FIGS. 4 and 6). Since the water exerts the same pressure on all sides, this sheath may be made thin.

선체 11은 저부 횡 박스 거어더(box girder) 14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며 선체와 거어더가 이러한 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거어더스 상부에 라이터나 바아지같은 일련의 부유성 운반체 16을 위한 평평한 표면 15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선박 10은 다른 부유성 화물을 운송하는 데에도 사용가능하다.Hull 11 is reinforced by a bottom side box girder 14, and since the hull and girder are of this type, a flat surface 15 for a series of floating carriers 16, such as a lighter or a barge, is placed on top of the girder. Can be installed. Ship 10 can also be used to transport other floating cargo.

선체 11의 측벽 17에는 일련의 방수부력탱크 18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탱크의 각각에는 밸러스트 매니포울드(manifold) 18b에 연결된 밸러스트 파이프 설비 18a가 부설되어 있다.(제18도 참조). 매니포울드 18b는 해수를 씨이 체스트(sea chest) 19a로부터 부력탱크 18로 급수함과 동시에, 이 해수를 부력탱크 18로부터 파이프 19b, 19c를 통해 해상으로 배수하는 적절한 밸러스트 펌프 19를 가지고 있는데, 이에는 조절용 밸브가 장치되어 있다. 배기구 20이 부력탱크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탱크가 채워지거나 비워졌을 때 공기를 유출 또는 유입시키도록 한다. 선박이 선박 자체의 부력과 바아지나 라이터 16에 의해 발생된 부력에 의해 지탱되어 있을 때, 선박 10의 홀수선은, 화물의 무게, 선박의 무게 및 부력탱크 18내의 물의 무게에 의해 결정된다. 선박 10의 홀수를 조절하기 위하여 부력탱크 18에 원하는 정도로 물을 채워 선박전체에 혹은 선박과 바아지나 라이터와의 결합체에 원하는 정도의 부력과 홀수를 주도록 되어 있다. 배의 횡경사의 종경사도 이러한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는데, 이는 탱크 18을 선택적으로 충만시킴으로써 가능하다.Side wall 17 of hull 11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waterproof buoyancy tanks 18, each of which is fitted with a ballast pipe installation 18a connected to a ballast manifold 18b (see Figure 18). Manifold 18b has an appropriate ballast pump 19 that drains seawater from sea chest 19a to buoyancy tank 18, while draining it from the buoyancy tank 18 to sea through pipes 19b and 19c. Is equipped with a regulating valve. Exhaust port 20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buoyancy tank to allow air to flow in or out when the tank is filled or emptied. When the ship is supported by the buoyancy of the ship itself and the buoyancy generated by the bar or lighter 16, the odd line of ship 10 is determined by the weight of the cargo, the weight of the ship and the weight of the water in the buoyancy tank 18. In order to control the odd number of the ship 10, the buoyancy tank 18 is filled with water to give the desired amount of buoyancy and odd number to the whole ship or the combination of the ship and the barge or lighter. The longitudinal slope of the ship's transverse slope can also be adjusted in this way, by selectively filling tank 18.

선박 10의 선미단부에는 선박 추진부 21이 있는데, 이는 어떠한 형태의 배에라도 만족스럽게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절하고도 필요한 승무원실을 배치할 수도 있다.At the stern end of vessel 10 there is a ship propulsion section 21, which can be installed satisfactorily on any type of vessel, as well as the appropriate and necessary crew compartment.

운반체를 부유반입하거나 반출시키기 위하여 선박 10의 선미, 선수 중 어느 한곳, 혹은 양쪽에 적당한 관문이 설치되어 있다.Appropriate gates are installed at the stern of ship 10, at one of the bows, or on both sides to float or unload the carrier.

제1도-제4도에 도시된 선박 10의 선수 22에는 관문 23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관문 23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수면상부에 있으나 운반체 16의 연결체를 반입시키거나 반출시킬 때에는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축선회하여 수면 아래로 잠겨지게 되고, 항해시에는 폐쇄된다.The bow 23 of the bow 10 of the ship 10 shown in Figs. 1 to 4 is provided with a gateway 23, which is normally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s shown in Fig. 4, but the connector of the carrier 16 is brought in or When taken out, it is pivoted about its own axis and locked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closed when sailing.

그 선수관문의 일변형예인 선수관문 63이 제15도-제17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선수관문 63은 피봇트(pivot)64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축선회하며, 또, 그 관문과 일정한 거리에 내파격벽 65가 설치되어 있고 이 내파격벽은 일반적으로 개구 66을 가지는 수직 평판이며 이 개구들은 선수관문 63에서 첫번째 운반체 16의 전단 사이에서 해수가 전후로 출렁거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One variant of the fore gate is shown in FIGS. 15-17. This bow gate 63 pivots upwardly about the pivot 64, and is provided with an inner bulkhead 65 at a fixed distance from the gate, which is generally a vertical plate with an opening 66 and is an opening. They act to prevent sea water from tumbl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fore gate 63 a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carrier 16.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선박 10a에는 반입 및 반출시 통상위로 개방되는 선미관문 81이 설치되어 있다. 제23도에 도시된 선박 10b는 선수관문 63 뿐만 아니라 선미관문 81도 가지고 있다. 제25도-제26도에는 선미관문 81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선미관문 81은 피볼트 82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축선회하며, 1개 혹은 다수의 프로펠러 83를 가지고 있다. 이 선미관문 81은 선박 10a,10b가 화물을 운송하고 있는 도중에는 폐쇄되고, 화물의 반출입시에만 위로 열린다.As shown in FIG. 22, the ship 1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rovided with a stern gate 81 which is opened to normal position upon loading and unloading. Vessel 10b shown in FIG. 23 has a stern gate 81 as well as a foremen 63. Figures 25-26 show the stern gate 81 in detail. The stern gate 81 pivots upwards around the pivot 80, with one or more propellers 83. This stern gate 81 is closed while vessels 10a and 10b are carrying the cargo and open up only when the cargo is unloaded.

선박 10b가 선수관문 63과 선미관문 18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2개의 관문 중 하나가 반입용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하나는 반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If ship 10b uses both headgate 63 and stern gate 18 at the same time, one of these two gates may be used for import and the other may be used for export.

제1도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선박에적재될 수 있는 화물은 개개가 표준 규격화되어 있어서 선박의 규격화된 장치에 꼭맞는 표준 라이터나 바아지들의 연결체인 것이 보통이다. 운반체 16은 전부가 동일 크기 및 모양을 가지며 제9도,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취부수단을 가지고 있는데, 이 취부수단은 상부에 절두원추형 돌출부 26가 상부에 설치된 원통형 돌출부 25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 운반체들의 거저부에는 절두원추형 부분 29를 가지는 원통형 홈 27이 있다. 이들은 항해서 운반체 16들을 안전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취부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에는, 이 취부수단은 대형선박상에 운반체들을 적재하는 데에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본 발명의 선창내에는 이들 운반체들을 적재하지 않고, 즉 그 운반체들을 모두 동일 높이로 유지하고 동일한 취부수단 25, 26, 27, 29를 사용하여 화물에 안정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은 바아지나 라이터들의 다른 부분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이들은 통상 잘 알려져 있어서, 다른 형의 운반체들이라도 변형만 하면 본 발명 선박에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본 선박자체의 부품만 변화시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3, the cargo that can be loaded on this ship is typically a standardized connection of standard lighters or bars that are fitted to the ship's standardized equipment. The carrier body 16 all has the same size and shape and has the same mounting means as shown in FIGS. 9 and 10, which mounting means comprises a cylindrical protrusion 25 with a truncated cone-shaped protrusion 26 on top. . Also at the base of these carriers is a cylindrical groove 27 having a truncated conical portion 29. They are used to mount the carriers 16 in a secure position at all times. Conventionally, this mounting means has been mainly used for loading carriers on large ships, but in the d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carriers are not loaded, i.e. they are kept at the same height and the same mounting means 25, Use 26, 27, 29 to give stability to the cargo. Other parts of the bars or lighters that are not important to the invention are not shown. These are usually well known, and even other types of carriers can be used in the 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deformed, and only the parts of the ship itself can be changed.

선박 10b에서, 바아지나 라이터 16은 보통 직렬로 연결되어 선수를 통해 반입되고 선미를 통해 반출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체 16을 일련의 연결체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앵커나 원치들을 사용하여 로우프 혹은 케이블 30으로 서로 묶는다. 이렇게 한후 예인선으로 예인하거나 민다. 통상, 서로다른 적재정도와 비중에 기인하여 그 운반체들은 동일한 높이를 갖지 않는다. 이들의 동일한 홀수선으로 떠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들의 내부를 비우거나 동일한 양과 비중의 화물을 똑같이 적재하기도 한다.In vessel 10b, the bagina or lighter 16 is usually connected in series, brought in through the bow and taken out through the stern. As shown in FIGS. 1 to 3, the carriers 16 are tied together with ropes or cables 30 using anchors or ends to join the carriers 16 into a series of connections. After doing this, tow or push to tug. Typically, the carriers do not have the same height due to the different loading and specific gravity. In order to float on their same odd line, they may be emptied of their interior or may be loaded with the same amount and weight of cargo.

서로 다른 높이로 떠있는 운반체들의 각기 다른 홀수선이 제1도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보면 무거운 것은 홀수선이 상단부에 가까이 있고 가벼운 것은 홀수선이 하단부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다. 본 선박 10은, 이러한 높이의 차이를 감안하여, 저부 횡거어더 14와 갑판 횡거어더 33 사이에 있는 선창 32가 실제적으로 운반체 16의높이의 2배의 높이를 갖도록 설계되었다.Different odd lines of carriers floating at different heights are shown in Figures 1 and 3, which shows that the heavy ones are near the top and the lighter ones near the bottom. In view of this difference in height, the ship 10 is designed such that the dock 32 between the bottom transverse girder 14 and the deck transverse girder 33 is actually twice the height of the carrier 16.

운반체 16을 예인하거나 선박 10쪽으로 밀어 이들 운반체를 16이 선박 10에 가까이 가면 선수관문이 열리고 선박 10상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윈치 35가 운반체 16 중 제일 선두에 있는 것에 부착된다. 윈치 35는 선박 10에 중앙부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선미 부근에는 반입시에 사용되는 풀리(pulley) 37이 있고, 선수 부근에는 반출시에 사용되는 풀리 38이 있다. 즉 반입시에는, 윈치 35로부터의 케이블 36이 선박의 좌현이 있는 풀리와 우현에 있는 풀리의 2개가 선미 풀리 37 위를 지나고 이들 케이블 중 하나가 선수 22를 지나서 관문 23을 통해 연장되어 운반체 16 중 제일 선두에 있는 것에 부착된다. 그런 후에, 풀리에 동력이 공급되어 운반체 16을 선창 32 내로 끌어당기게 되며, 예인선 31은 떨어져서 항구로 돌아가게 된다.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의 단부에 굴레(bridle) 39를 가진 단일 윈치 35를 가지는 다른형의 운반체 반입 또는 추진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Towing the carrier 16 or pushing it towards the ship 10 brings the carrier closer to the ship 10, opening the bow gate and attaching a pair of winches 35 mounted on the ship 10 to the top of the carrier 16. Winch 35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center of vessel 10. In the vicinity of the stern, there is a pulley 37 used to bring in, and in the vicinity of the bow there is a pulley 38 used for carrying out. That is, at the time of import, the cable 36 from the winch 35 passes over the stern pulley 37 above the pulley with the ship's port and the pulley at the starboard, and one of these cables extends through the gate 23 past the bow 22 and is carried out in the carrier 16. It is attached to the first one. Then, the pulley is powered to pull the vehicle 16 into the dock 32 and the tug 31 is dropped back to the port. Other types of carrier loading or propulsion means may be used having a single winch 35 with bridle 39 at the end of the cable as shown in FIG. 19.

모든 라이터나 바아지들이 선박 10 내의 선차 32 내로 운반되면, 일단 이들은 제각기 적소에 놓여진다. 부력탱크 18의 내벽 40은 내측 하방으로 경사져 있으며, 이에 따라 이 탱크의 상단부는 하단부보다 좁게 되어 있다. 이 측벽 40에는, 부력탱크 18로 하여금 바아지나 라이터들로부터 충격을 방지할 목적으로 매트(mat)나 인조고무같은 물질로된 대각선형 완충대 41이 부착되어 있다. 그 부력탱크 18은, 가장 무거운 짐이 실린 바아지나 라이터의 운반체를 선체 11상의 횡거어더 14 위에 들어올리기 위해, 배가 가볍게 되도록 펌프에 의해서 배수될 수 있다. 탱크가 배수되는 동안에 운반체 16들은 정렬되어 거어더 14상에 위치한 저부 돌출부상에 안착된 후, 제9도,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반체 16의 홈 27과 결합된다. 돌출부 44는 각각 절두원추형 단부 46을 가진 원통형 부재 45로 되어 있다.Once all of the lighters or bars are transported into Vessel 32 in Ship 10, they are placed in their respective places. The inner wall 40 of the buoyancy tank 18 is inclined downwardly inwar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tank is narrower than the lower end. The side wall 40 is fitted with a diagonal buffer 41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mat or an artificial rubber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buoyancy tank 18 from being impacted by bars or lighters. The buoyancy tank 18 can be drained by a pump to lighten the boat to lift the heaviest baggage or lighter carrier onto the girder 14 on the hull 11. While the tank is drained, the carriers 16 are aligned and seated on the bottom protrusion located on the girder 14 and then engage with the grooves 27 of the carrier 16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protrusions 44 each consist of cylindrical members 45 with truncated conical ends 46.

일련의 유압(혹은 공압)장치 50이 운반체 16의 상부와 갑판 33으로부터 현수되어 있는데, 이들 장치의 각각은, 피스톤 로드 52와 고정피스톤 53이 설치되고 갑판 거어더 33에 고착된 고정하우징 51을 가지고 있다. 가동(可動) 실린더 5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실린더 54에 가동 스퍼드(spud), 혹은 하우징 부재 55가 트러니온(trunnion) 핀 6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유압 혹은 공압 유체가 입구 57을 통해 피스톤 53의 하단부와 실린더 54 사이의 공간으로 유압될 때, 실린더 54가 아래로 이동하여 스퍼드 55를 이동시킨다. 이 유체가 입구 58을 통해 피스톤 53과 실린더 54의 상단부 사이로 유입되면 실린더 54는 위로 철회된다. 제9도, 제10도의 각각의 스퍼드 55는 2개의 돌출부 26과 절절히 결합되는 수용부 59를 가지고 있다.A series of hydraulic (or pneumatic) devices 50 are suspended from the top of the vehicle 16 and the deck 33, each of which has a fixed housing 51 with a piston rod 52 and a fixed piston 53 installed and fixed to the deck girder 33. have. A movable cylinder 54 is provided, and a movable spud or a housing member 55 is fixed to the cylinder 54 by a trunnion pin 65. Thus, when hydraulic or pneumatic fluid is hydraulically pumped through the inlet 57 into the spa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piston 53 and the cylinder 54, the cylinder 54 moves down to move the spud 55. When this fluid flows through the inlet 58 between the piston 53 and the upper end of the cylinder 54, the cylinder 54 is withdrawn upwards. Each of the spuds 55 in Figs. 9 and 10 has a receiving portion 59 which is properly engaged with the two projections 26. Figs.

제2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퍼드 55a는 단지 하나의 돌출부 26과만 결합하는 수용부 59a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 수용부 59a는 고정실린더 54a와 가동피스톤 53a가 있는 로드 52a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스퍼드 55와 55a는 제각기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 2가지 형은 모두 다 공지된 조절 제어밸브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그리하여 하나의 돌출부와 결합하였건 안하였건간에 또한 화물상으로 밀려 내려갔건 안 내려갔건에, 상기 스퍼드 모두가 동일속도로 아래로 내려간다.As shown in FIG. 27, each spud 55a has an accommodating portion 59a that engages only one protrusion 26, which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rod 52a with the fixed cylinder 54a and the movable piston 53a. have. Spurds 55 and 55a ha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respectively. Both types are used in conjunction with known regulating control valves, and thus whether or not combined with a single projection, whether pushed or unloaded into cargo, all of the spuds at the same speed. Go down.

운반체 16이 전부 결합되어 자신들의 최하 위치로 밀려 내려지면, 이들은 안착되어 부력 전달작용이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제28도에서와 같이, 개개의 운반체 16은 각각 다른 홀수선을 갖는다. 자유로이 부유되어 있을 때는 3개의 운반체 16a,16b, 16c(제28도)는 모두 떠있지만 운반체 16a는 최고 홀수선을 가지며, 운반체 16b는 최저 홀수선을 갖는다. 부력 전달작용과 제2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장치에 의해서 안착되면, 그 운반체들은 모두 같은 높이로 고정된다. 이들의 최초홀수선 W1L1과 최후홀수서 W2L2가 제29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8도의 빗금친 부분은 최초홀수선 W1L1이하의 부분을 나타내며, 제29도의 빗금친 부분의 최후홀수선 W2L2로부터 최초홀수선 W1L1간의 홀수선 이동부분을 나타낸다. 운반체 16a에서와 같이 이동부분이 최후홀수선 W2L2의 상부에 있는 경우, 부력의 순효과(net effect)는 (제29도에서 전체 운반체에 대한 빗금친 부분의 이에 대응하는) 운반체 중량의 비이다. 운반체 16b, 16c에서와 같이 이동부분이 최종톨수선 W2L2의 하부에 그 부력효과는 선박 10에 상향부력을 부가하는 것, 즉 제29도의 빗금친 부분에 상응하는 부력을 운반체 16b,16c로부터 선박 10으로 전달하여 운반체 16b,16c의 부력이 선박 10을 뜨겁게 하는 것을 보조하고 운반체 16a의 빗금친 부분의 하중을 지탱하는데 보조하도록 하는 것이다.When the carriers 16 are all combined and pushed down to their lowest position, they are seated and are buoyant. For example, as in FIG. 28, the individual carriers 16 each have a different odd line. When freely suspended, all three carriers 16a, 16b, and 16c (FIG. 28) are floating, but carrier 16a has the highest odd line, and carrier 16b has the lowest odd line. When seated by a buoyancy transfer action and a fixture as shown in FIG. 29, the carriers are all fixed at the same height. Their first odd line W 1 L 1 and the last odd line W 2 L 2 are shown in FIG. The hatched 28 ° pro-portion shows a first waterline W 1 L final waterline W first waterline W moves waterline part between 1 L 1 from 2 L 2 of the first portion represents a part of the following, hatched claim 29 degrees friendly. When the moving part is at the top of the last odd line W 2 L 2 , as in carrier 16a, the net effect of buoyancy is that of the carrier weight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hatched part for the whole carrier in FIG. 29). It is rain. As in the carriers 16b and 16c, the buoyancy effect at the bottom of the final toll line W 2 L 2 is to add upward buoyancy to the vessel 10, i.e. buoyancy corresponding to the hatched portion of FIG. From the ship 10 to the buoyancy of the carriers 16b and 16c to help the ship 10 heat up and to support the load of the hatched portion of the carrier 16a.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50은 각기 따로 작용할 수도 있으나, 대부분으 경우 이들은 제20도에서와 같이 단일 제어 혹은 동시작용을 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운반체 16이 장치 50에 의해서 적소에 고정될 때, 케이블 30은 따로 분리되어 있는다.As shown in FIG. 21, the devices 50 may operate separately, but in most cases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or a single control or simultaneous action as in FIG. When the carrier 16 is held in place by the device 50, the cable 30 is separated.

제20도는 단일 모우터 47과 단일펌프 48을 사용하고 실리더 54를 평행히 설치한 실시예의 계통도이며, 반면에 제21도는 모우터 47이, 하나의 실린더 54만을 가동시키는 서로 평행한 일련의 펌프 49를 사용한 실시예의 계통도이다.FIG. 20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a single motor 47 and a single pump 48 are used and the cylinder 54 is installed in parallel, while FIG. 21 is a series of parallel pumps in which the motor 47 operates only one cylinder 54. Schematic of the example using 49.

제11도-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10에는, 상부판 70과, 기저판 12와 접합된 측면판 71 및 72를 가진 방수 박스 거어더형의 횡거어더 14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 13(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이어도 좋다)은 거어더 14 내로는 개방되어 있지 않고, 그 거어더는 항상 부럭을 제공하는 방수공간의 역할을 한다. 거어더 14는 다공성 웨브 73과, 판 70, 71, 72에 취부된 각철(angle iron) 74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으며, 웨브 73은 각철이 통과하여 연장되는 개구 75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 44가 위치에서 판 70은, 두껍게 하거나 또는 각철 74까지 연장하는 대각선부재 76에 의해 보강되었다. 연속거어더 14 사이에서 선체 기부 12는 T자형 비임과 같은 종방향 연장 비임 77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보강되어 있다. 부럭탱크 18역시 다공성 웨브 78과 탱크 18의 벽의 일부인 판에 부착된 각철 78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1 to 14, the vessel 10 is provided with a transverse girder 14 of a waterproof box girder having a top plate 70 and side plates 71 and 72 joined to the base plate 12. Opening 13 (which may be a conduit as shown in FIG. 12) is not open into girder 14, and the girder always serves as a watertight space that provides a block. Girder 14 is reinforced by porous webs 73 and angle irons 74 mounted on plates 70, 71 and 72, which webs 73 have openings 75 through which angle irons extend. At the location of the projection 44 the plate 70 was reinforced by a diagonal member 76 that thickened or extended up to the round iron 74. Between the continuous girders 14 the hull base 12 is longitudinally reinforced by a longitudinally extending beam 77, such as a T-beam. Tank 18 is also reinforced by porous web 78 and square iron 78 attached to the plate which is part of the wall of tank 18.

선창위의 갑판은, 일반적으로 양측에 놓인 2개의 크레인 80에 의해 처리되는 경첩형 폰툰(pontoon) 혹은 가동푼툰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통상의 마스트(mast) 및 부움(boom)식 화물처리장치가 이용될 수도 있다.The deck on the dock may be a hinged pontoon or movable tuntun, which is generally handled by two cranes 80 on both sides. In addition, conventional mast and boom cargo handling devices may be used.

라이터들이나 바아지들 16이 선박 10의 선창 32 내부에 들어왔을 때, 그 운반체 16들을 자동적으로 정렬시키도록, 장치 50과 스퍼드 55(혹은 55a) 전부의 하부구멍 57에 유체가 가해져서, 큰 부력을 갖는 바아지나 라이터들 16의 돌출부 26과 각 스퍼드 55가 결합하여 그 운반체들을 압압하고, 다음에, 작은 부력을 갖는 바아지나 라이터 16의 돌출부 26과 결합하여 그 운반체들의 홈 27을 기저돌출부 44쪽으로 압압함으로써, 그 운반체 16들은 제자리에 안착되어 항해 도중에서도 움직이지 않게 된다(스퍼드 55a에 대해서도 유사한 조작이 이루어진다). 미리 유의하여야할 안전상의 주의점은 고정핀 60이 하우징 51 내에 개구 61을 통해 삽입되고, 상향 운동을 방지하도록 스퍼드 55의 상단부 62와 결합시켜야 한다. 이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도중이나 후에는, 적절한 홀수선 및 좌우 균형을 갖도록 부력탱크 18에 해수를 채워주어야 한다. 선창 32의 내부에는 항상 해수가 존재하고, 또, 어떤 운반체들은 너무 무거워 선체 거어더 14에 직접 안착되어 버리기 때문에, 선박 10의 전체 하중은, 완전히 비어지거나 비교적 가벼운 운반체들에 의해 가벼워질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무거운 운반체 16들의 어느정도의 정(正)하중에 반작용하는 부(負)하중을 선체 11에 효과적으로 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부력 전달에 의해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담할 수 있다.When lighters or bars 16 enter the dock 32 of the vessel 10, fluid is applied to the lower hole 57 of all of the device 50 and the spud 55 (or 55a) so that the carriers 16 are automatically aligned. Each of the studs 55 and the buoys of the baggers or lighters 16 with buoyancy are combined to press the carriers, and then they are combined with the protrusions 26 of the bars or lighters 16 with the small buoyancy to base the grooves 27 of the carriers. By pressing towards 44, the carriers 16 are seated in place and do not move during voyage (similar manipulations are made for the spud 55a). Safety precautions to be taken in advance should be that the retaining pin 6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61 in the housing 51 and engages with the upper end 62 of the spud 55 to prevent upward movement. During or after this operation, the buoyancy tank 18 is to be filled with seawater to ensure proper odd-line and left-right balance. Since there is always seawater inside the dock 32, and some of the carriers are so heavy that they rest directly on the hull girder 14, the total load on the vessel 10 can be lightened by completely empty or relatively light carriers. have. Thu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pply the negative load to the hull 11 which reacts to a certain positive load of the heavy carriers 16. By this buoyancy transfer, the load can be shared more effectively.

운반체 16들이 모두 안착됨과 동시에, 혹은 직후에는, 물에 뜰 수 없는 다른 화물 84들을 도시한 바와 같이 갑판상에 적재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as the carriers 16 are all seated or shortly thereafter, other cargoes 84 which cannot be floated can be loaded onto the deck as shown.

선박 10이 자신의 목적항구에 도착하여 닻을 내리게 되면, 핀 60이 철회되고 스퍼드 55가 철회되어 모든 운반체들이 자유로이 부유한다. 반출작업은 선수관문 22가 개방되어 윈치 35가 전방 풀리 38에 부착된 다음, 운반체 16 중 최말단에 있는 것에 부착되어 제3도와 같이 행해질 수 있다. 모든 운반체들은 고정된 상태에서 선수를 통해 밀어내게 된다. 그런 후에, 이 반출된 바아지나 라이터들의 연결체들은 예인선 31에 의해 부두로 예인되어 간다. 또 다른 방식에서는, 윈치 35를 후미풀리 37에 부착시키고 다음에 최선두운반체에 부착시킨 후, 고정된 상태로 있는 모든 운반체를 선미로 당겨내어 제22, 24도와 같이 반출작업이 행해질 수도 있다. 선수관문 63과 선미관문 81을 모두 가진 선박 10b에서는, 반출입 작업이 가장 먼저 들어가는 운반체는 가장 먼저 나오도록 하여 같은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When Ship 10 arrives at its destination port and anchors it, pin 60 is withdrawn and Spud 55 is withdrawn, leaving all carriers free to float. The carrying out operation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3 by opening the bow gate 22, attaching the winch 35 to the front pulley 38, and then attaching the end of the carrier 16 to the end. All carriers are pushed through the bow while stationary. Then, these exported bags or lighter connections are towed to the dock by tug 31. Alternatively, the winch 35 may be attached to the aft pulley 37 and then attached to the foremost carrier, and then all the carriers in the fixed state may be pulled out of the stern and carried out as described in Nos. 22 and 24 degrees. On ship 10b with both fore and aft gate 63 and stern gate 81, the first incoming and outgoing vehicle can be routed first and proceed in the same direction.

이는 첫번째 기항지에서 운반체의 일부를 반출하고, 나머지들을 또 다른 기항지에서 반출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는 처음부터 운반체들의 순서를 반출 순서대로 정렬시켜야 한다. 즉, 각 기항지에서 장치 50이 철회되고, 또, 케이블 30을 적절히 풀어 수개의 운반체를 선미관문 81을 통해 운송항구에 반출한 후에, 나머지 운반체들을 윈치 38로 선미쪽으로 끌어당겨, 선수관문 63을 통하여 선창내로 이동시켜 모두 제위치에 안착시킨다. 부분 반출이나 반입을 위해서 또 다른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This is particularly useful if you want to export a portion of the vehicle from the first port of call and the rest from another port of call. For this purpose, the carriers must be arranged in the order of export from the outset. That is, after the device 50 is withdrawn at each port, the cable 30 is properly released and several carriers are transported to the transport port through the stern gate 81, and then the remaining vehicles are pulled toward the stern by the winch 38, through the fore gate 63 Move into the dock and settle all in place. Another method may be applied for partial export or import.

이러한 구조를 가진 선박은 통상 약 10,000톤의 배수량, 약 108m(360피이트)의 선장(船長),약 24m(80피이트)의 비임길이, 약 4.5m(15피트)의 홀수를 가지고 있다. 스퍼드는 보통 약 1.5m(5피트),단면적 약 1.5m 평방(5피트 평방) 및 높이 약 4.2m(14피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8개의 바아지나 라이터들이 수용되었는데, 이들 운반체의 각각은 길이 18m(60피트), 폭 9m(30피트) 및 높이 4.2m(14피트)이다.Ships with this structure typically have a displacement of about 10,000 tons, a captain of about 108 meters (360 feet), a beam length of about 24 meters (80 feet), and an odd number of about 4.5 meters (15 feet). Spuds are typically about 1.5 m (5 ft), cross-section about 1.5 m square (5 ft square), and about 4.2 m (14 ft) high. Eight bags or lighters were accommoda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se carriers being 18 m (60 ft) long, 9 m (30 ft) wide and 4.2 m (14 ft) high.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인치당 배수 톤수는 처음 30cm(1피트)의 홀수에서 급격히 증가하다가, 그 다음부터 횡거어더 14의 상부면 15의 높이인 약 3m(10피트) 홀수까지는 직선적인 관계를 갖는다. 이 3m홀수 높이에서, 1인치당 배수톤수는 크게 변화한다. 즉, 배가 비워지면 감소하고, 바아지나 라이터들이 적재된 때는 급격히 상승한다. 3m 홀수에서 배가 비워지면, 1인치당 배수톤수는 약 4.5m(15피트)홀수까지 직선적으로 증가한다.As shown in FIG. 8, the drainage tonnage per inch increases rapidly at the first 30 cm (1 foot) odd number and then linearly up to about 3 m (10 foot) odd height, which is the height of the top surface 15 of the transverse girders 14. Have a relationship. At this 3m odd height, the tonnage per inch varies greatly. That is, it decreases when the ship is emptied and rises sharply when the bars or lighters are loaded. When the boat is emptied at 3m odd, the tonnage per inch increases linearly to about 4.5m (15ft) odd.

그러나 이 4.5m 홀수에서의 값은 처음의 3m 홀수에서의 값보다 작다. 3m 홀수에서 선박이 적재되면, 1인치당 배수 톤수는 최대치로 직선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약 4.68m(15피트 6인치)의 최적 작용 홀수 수위까지 저하한다.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력전달 개념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바아지나 라이터들과 같은 가벼운 부유성 운반체의 초과부력이, 스퍼드를 통해 선박에 전달됨으로써 선박이나 다른 무거운 바아지들을 지탱시키는 것을 보조한다.However, the value at this 4.5m odd is smaller than the value at the first 3m odd. When the ship is loaded at 3m odd, the tonnage per inch will increase linearly to its maximum, dropping to an optimal working odd level of about 4.68m (15ft 6in). 8 is a graph showing the buoyancy transfer concep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xcess buoyancy of light floating carriers, such as bars or lighters, assists in supporting a vessel or other heavy bars by being transmitted to the vessel through a spud. .

Claims (1)

선체의 측벽에 일련의 부력탱크를 설치함과 동시에, 내부가 빈 선창을 설치하고, 바아지, 라이터 등과 같은 일련의 부유성 운반체를 부유에 의해 반입시키기 위해 개방되고 운송중에는 폐쇄되는 선수관문을 설치하고, 선창내로 일련의 연결된 상기 운반체들을 끌어들이고 또 내보내기 위한 수단을 설치하여된 통상의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에 있어서, 운반체들의 반출을 위한 관문(81)이 피봇트 축(82)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선미부에 설치되고, 선창내 반입된 운반체들을 일정한 장소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으로써, 갑판거어더(33)에 취부된 고정실린더(54a)내에서 왕복동하는 가동 피스톤(53a)을 가진 스퍼드(55a)가 각 운반체의 단부 상방에 하나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In addition to installing a series of buoyancy tanks on the side walls of the hull, an empty dock is installed inside, and a bow gate is opened to carry a series of floating carriers, such as bars and lighters, by floating and closed during transportation. In a conventional floating carrier transport ship provided with means for attracting and exporting a series of connected carriers into a dock, the gateway 81 for carrying out the carriers is upwardly about the pivot axis 82. A movable piston 53a reciprocated in the fixed cylinder 54a mounted on the deck girder 33, as a fixing means for being fixed to the stern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and fixed in a fixed place. Floating carrier transport ship, characterized in that one having a spud 55a is provided above the end of each carrier.
KR7502032A 1975-09-12 1975-09-12 Vessel for flota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partial buoyancy suppot of barges and the flating cargoes KR8100018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032A KR810001873B1 (en) 1975-09-12 1975-09-12 Vessel for flota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partial buoyancy suppot of barges and the flating carg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032A KR810001873B1 (en) 1975-09-12 1975-09-12 Vessel for flota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partial buoyancy suppot of barges and the flating cargo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873B1 true KR810001873B1 (en) 1981-11-19

Family

ID=1920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2032A KR810001873B1 (en) 1975-09-12 1975-09-12 Vessel for flota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partial buoyancy suppot of barges and the flating cargo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8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606A (en) 2014-07-28 2016-0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Train-shaped PNG transportatio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606A (en) 2014-07-28 2016-0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Train-shaped PNG transporta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3512A (en) Vessel for flo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partial buoyancy support of barges and other floating cargoes
US4135468A (en) Barge-carrying waterborne vessel and transportation method
CZ2002312A3 (en) Autonomous cargo vessel for containers
US4147123A (en) Barge-carrying waterborne vessel for flo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transportation method
US3556036A (en) Deep sea cargo vessel
US3835802A (en) Marine cargo vessel
US3587505A (en) Partially submersible carrier vessel
US3939790A (en) Transport ship construction and method of loading floating cargo into a floatable cargo space of a ship
PL108209B1 (en) HULL OF A CARGO CARRIER FREIGHT HUB
US4048937A (en) Cargo carrying vessel having at least one cargo carrying deck
KR20100136766A (en) Self propelled offshore cargo handling system
KR810001873B1 (en) Vessel for flota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partial buoyancy suppot of barges and the flating cargoes
US3118416A (en) Heavy duty submarine type anchor
USRE30040E (en) Vessel for flo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partial buoyancy support of barges and other floating cargoes
US3978806A (en) Vessel with flooded hold for transport of barges
US3993012A (en) Vessel for transport of buoyant cargo
KR810000565B1 (en) Vessel for flo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partial buoyancy support of foating containers
US4292915A (en) Ocean-going barge carrier
US4361105A (en) Barge-carrying vessel
US3368515A (en) Submersible barge
US3863585A (en) Marine cargo vessel
US1005408A (en) Device for raising sunken vessels.
US4011825A (en) Swash plate
EP0101171A1 (en) Barge carrying vessel
KR810001447B1 (en) Barge-carrying waterborne vessel